KR20140139824A -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824A
KR20140139824A KR1020130060420A KR20130060420A KR20140139824A KR 20140139824 A KR20140139824 A KR 20140139824A KR 1020130060420 A KR1020130060420 A KR 1020130060420A KR 20130060420 A KR20130060420 A KR 20130060420A KR 20140139824 A KR20140139824 A KR 20140139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sa
order
menu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350B1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102013006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350B1/ko
Priority to PCT/KR2014/004091 priority patent/WO2014193096A1/ko
Publication of KR2014013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스마트폰을 소지한 채 매장에 진입하는 경우 특정 앱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매장 내의 메뉴를 자동으로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로컬 무선망 통신 클라이언트에서 매장 내의 AP와 링크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의 브라우저가 활성화되는 경우 AP에서 HTTP 리디렉션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 서비스 어댑터(MSA)의 eMenu 서비스로 접속을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MSA에서 접속을 시도한 스마트폰과 HTTP 세션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에 웹방식의 eMenu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에서 MSA에 메뉴를 주문하고, MSA에서 주문서를 작성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해서 주문을 확인받는 단계 및 상기 MSA에서 주문을 확인하고 결제 단말에 비용이 포함된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AUTOMATIC ORDER METHOD FOR MENU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특정 매장에 진입할 경우 스마트폰에서 자동으로 매장 내부의 있는 AP와의 링크를 활성화하고, 스마트폰의 브라우저가 활성화되는 경우 AP의 HTTP리디렉션 기능을 이용해서 eMenu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뉴 서비스 어댑터로 접속을 유도하여, 특정 앱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매장 내의 메뉴를 자동으로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카페 등에서 음식 주문을 하는 경우, 종업원이 오기를 기다려서 메뉴판을 확인한 후 원하는 메뉴를 종업원에게 주문하게 되는데, 종업원이 바쁘거나 다른 이유로 종업원이 오지 못하는 경우 종업원이 올 때까지 기다린 후에야 주문을 할 수 있다.
또한, 종업원에게 주문을 했다 하더라도 음식점이 바쁘거나 주문량이 많을 경우 종업원이 혼동하여 잘못된 메뉴가 나와 손님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셀프-서비스 방식의 음식점에서는 손님이 직접 계산대까지 이동하여 주문을 한 후, 다시 자기 테이블로 되돌아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식당을 포함하는 일반 매장에서는 팔린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판매시점에서 즉시 기록함으로써 판매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주문 등의 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시점정보관리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포스시스템(Point Of Sales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
매장에서 음식을 주문하기 위해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카운터에서 매장 포스시스템을 통해 선택한 메뉴를 입력하여 결제를 수행하면 대기번호가 발행되고 주방으로 주문정보가 통지됨으로써 주문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주문을 위해서는 카운터에 마련된 모형 및 메뉴판을 보면서 메뉴를 선택하고 주문을 해야만 될 뿐만 아니라 줄을 서서 주문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지루함 초래하거나 카운터 주변에는 많은 사람으로 북적거리는 등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2-0043565호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매장의 포스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주문을 위해 대기하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제공되는 메뉴정보를 통해 직접 메뉴를 선택하고 주문하며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0-0043726호에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을 이용한 메뉴 검색, 티켓 검색, 발권 및 주문, 결제 시스템으로써 기존의 핸드폰의 SMS 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유료 시스템이 아닌 WPAN을 이용하는 무료 인프라에서의 서비스에 관한 WPAN 통신가능 핸드폰을 이용한 주문/결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선행특허는 공히 스마트폰이나 핸드폰(이하 스마트폰)에서 고객이 특정 앱을 동작시켜 기지정된 URL에 접속하여 메뉴 데이터를 다운받아 데이터를 재가공하여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때 서버 구현에 필요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비표준에 의하여 구현하는 방식이어서(서버 구현의 API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음), 구현자의 의도에 따라 API가 달라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앱을 서버의 구현 방식에 따라 매장(음식점, 상점, 마트 등)마다 설치해야 하므로 고객의 서비스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즉, 서버와 스마트폰에 내장된 통신 클라이언트 간에 호환성이 없어서 서버의 구현 방식에 따라 매장마다 주문을 위한 앱을 스마트폰(핸드폰)에 별도로 각각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에 메뉴를 표현하기 위하여 서버로부터 모든 로 이미지(raw image)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공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대용량 메뉴와 다량의 고객이 접속할 경우 대량 트래픽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서비스 질의 저하, 시스템 불안정의 위험성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43565호(2012년05월04일)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43726호(2010년04월2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뉴 서비스 어댑터를 국제표준인 HTTP 표준 API를 이용해서 구현하여 기존 스마트폰에 설치된 인터넷 브라우저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별도의 앱이 필요하지 않고 모든 매장에서 동일한 환경에서 메뉴를 주문할 수 있어 고객의 서비스 활용성이 뛰어난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시스템의 안정성이 검증된 상기 HTTP 표준에 의한 메뉴 주문 서비스로 서비스 질의 저하나 시스템 불안정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은 (a) 로컬 무선망이 형성된 매장에 진입하는 경우 스마트폰에 내장된 로컬 무선망 통신 클라이언트에서 매장 내의 AP와 링크를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의 브라우저가 활성화되는 경우 AP에서 HTTP 리디렉션 기능을 이용하여 결제 단말과 연동해서 자동주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뉴 서비스 어댑터(MSA)의 eMenu 서비스로 접속을 유도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에서 eMenu 서비스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MSA에서 스마트폰과 HTTP 세션(session)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에 웹방식의 eMenu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된 eMenu 화면을 통해 MSA에 주문하고, MSA에서 이를 토대로 비용이 포함된 주문서를 작성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해서 주문을 확인받는 단계;
(e) 상기 MSA에서 주문을 확인하고 결제 단말에 비용이 포함된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로컬 무선망 통신 클라이언트에서 AP에 해당 로컬 무선망 내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AP에서 스마트폰에 IP를 할당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스마트폰에서 AP에 HTTP로 메뉴보기를 요청하는 단계와,
AP에서 이에 응답해서 HTTP 리디렉션 기능을 이용하여 MSA의 URL 정보를 HTTP로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SA는 HTTP 표준 API로 구현되고, 서버엔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MSA에 AMAS(Automatic Menu Activation Service) 드라이버가 저장되어 스마트폰에서 MSA 접속시 AMAS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설치하고,
상기 AMAS 드라이버에서 스마트폰의 브라우저를 활성화하여 직접 MSA의 eMenu 서비스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메뉴 서비스 어댑터를 국제표준인 HTTP 표준 API를 이용해서 구현하여 기존 스마트폰에 설치된 인터넷 브라우저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별도의 앱이 필요하지 않고 모든 매장에서 동일한 환경에서 메뉴를 주문할 수 있어 고객의 서비스 활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시스템의 안정성이 검증된 상기 HTTP 표준에 의한 메뉴 주문 서비스로 서비스 질의 저하나 시스템 불안정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매장에 입장하여 인터넷 브라우저를 활성화하면 특정 URL을 입력하지 않아도 AP에서 HTTP Redirection API를 이용해서 메뉴 서비스 어댑터(MSA)로 접속을 유도하여 고객의 스마트폰 조작없이도 메뉴를 출력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더욱이 고객의 동의하에 스마트폰에 자동 메뉴 서비스(AMAS)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경우 고객이 매장에 입장하면 자동으로 매장 내의 메뉴 서비스 어댑터를 인식하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활성화하여 메뉴 서비스 어댑터에 접속해서 고객의 스마트폰에 메뉴를 출력할 수 있는 편리함이 더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문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문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문 이후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문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는 기존에 매장에서 사용중인 POS 단말이나 EMV 단말(10)에 자동주문을 가능케 하는 메뉴 서비스 어댑터(20)(이하 MSA)가 별도로 구비되어 시리얼 통신이나 이더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구성이고, 도 1b는 신규 POS 단말이나 EMV 단말(60)인 경우 상기 신규 POS 단말이나 EMV 단말(60)에 MSA(64)를 직접 내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POS 단말은 자기테이프방식의 접촉식 마그네틱카드에 대한 거래시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고, EMV 단말은 보안성 및 편리성을 갖는 IC칩 내장형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에 대한 거래시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으나, 결제 단말이 POS 단말이나 EMV 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MV 단말에서 EMV는 Europay/MSAterCard/Visa의 카드사가 모여 공동으로 제정한 신용 및 직불 거래에 관한 국제 표준이며 특히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거래에 관한 표준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a에서 POS 단말이나 EMV 단말(10)이 시리얼 통신이나 이더넷을 통해 MSA(20)와 연동하여 POS 단말이나 EMV 단말(10)에서는 비용을 포함한 최종 주문 정보를 전송받아 GUI(12)에 표시함으로써 시스템의 확장성을 놀이고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다.
또한, EMV 단말인 경우에는 GUI(12)를 표현하기에 리소스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MSA(20)의 화면에 GUI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결제 과정에 필요한 최소의 정보만 EMV 단말에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주문 시스템은 POS 단말 또는 EMV 단말(이하에서 POS 단말로 통칭)(10), MSA(20), AP(30), 로컬 무선망(40) 및 스마트폰(50a,…,50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POS 단말(10)은 매장에 설치되어 MSA(20)로부터 비용을 포함한 최종 주문 정보를 전송받고 인터넷망을 통해 결제 서버와 연계하여 주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MSA(Menu Service Adapter)(20)는 상기 POS 단말(10)과 연동하여 자동주문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어댑터로, 모든 메뉴 관련 서비스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HTTP 서버 역할을 하면서 경량화할 수 있도록 apach, nginx 등과 같은 서버엔진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MSA(20)는 상기 POS 단말(10)과 시리얼 통신이나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연동하며, 내부에 eMenu 서비스와, 스마트폰(50a,…,50n)에서 자동으로 MSA(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AMAS(Automatic Menu Activation Service) 드라이버(22)가 설치된다.
또한, 후술하는 AP(30)의 HTTP 리디렉션 기능에 의해 스마트폰(50a,…,50n)을 통한 eMenu 서비스의 접속을 허용하는 경우 MSA(20)는 스마트폰(50a,…,50n)과 HTTP 세션(session)을 형성하여 스마트폰(50a,…,50n)에 웹 방식의 eMenu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MSA(20)는 국제표준인 HTTP 표준 API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여기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한 인터페이스로서,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P(Access Point)(30)는 유선랜과 무선랜을 연결시켜 주는 장치로 로컬 무선망(40) 내에서 스마트폰(50a,…,50n)의 브라우저를 활성화하는 경우 HTTP 리디렉션(Redirection) 기능을 이용하여 MSA(20)의 eMenu 서비스로 접속을 유도한다.
스마트폰(50a,…,50n)에는 로컬 무선망 통신(예를 들어 WiFi) 클라이언트가 내장되어 있어, 고객이 스마트폰(50a,…,50n)을 소지한 채 로컬 무선망(40)이 형성된 매장에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로컬 통신망(40)을 통해 AP(30)와의 링크를 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50a,…,50n)에 상기 MSA(20)의 AMAS 드라이버(22)를 설치하는 경우에, HTTP 리디렉션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브라우저를 활성화하여 직접 MSA(2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주문 시스템은 MSA(64)가 내장된 POS 단말(60), AP(30), 로컬 무선망(40) 및 스마트폰(50a,…,50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b는 시스템의 단순화를 위해 POS 단말(60)에 MSA 기능을 내장하도록 구성되는 것만 도 1a와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약한다.
미설명 부호 62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이고 68은 D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문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MSA 서버(200)는 다수의 매장(300,400)에 구비된 POS 단말(310,410) 및 AP(330,430)와 인터넷망(500)을 통해 연결되고, 각 매장(300,400)마다의 eMenu 정보가 등록되어 저장된다.
이때 AP(330,430)에는 각 매장(300,400) 고유의 ID나 IP 주소가 부여된다.
고객이 스마트폰(350,450)을 소지한 채 특정 매장(300,400)에 들어가 스마트폰(350,450)의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AP(330,430)에서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매장 내의 MSA에 접속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HTTP 리디렉션에 의하여 인터넷망(500)을 통해 외부에 있는 MSA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MSA 서버(200)는 AP(330,430)의 ID나 IP 주소를 보고 어느 매장인지 확인한 후 해당 매장(300,400)의 eMenu를 스마트폰(350,450)에 전송하고, 고객은 스마트폰(350,450)에 출력된 eMenu의 메뉴를 선택하여 주문을 하게 된다.
MSA 서버(200)는 주문이 완료되면 해당 매장(300,400)의 POS 단말(310,410)에 비용을 포함한 최종 주문 정보를 제공하고, POS 단말(310,410)은 그 주문 정보를 토대로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1a의 구성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고객이 스마트폰(50a)을 소지한 채 특정 매장을 방문하는 경우 스마트폰(50a)에서 연속적으로 자동추적 기능을 수행하여 로컬 무선망(40) 내에서 스마트폰(50a)을 이용하여 주문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S1~S7).
즉, 고객이 스마트폰(50a)을 소지한 채 로컬 무선망(40)이 형성된 특정 매장에 진입하면, 스마트폰(50a)에 내장된 로컬 무선망 통신 클라이언트가 AP(30)에 해당 로컬 무선망(40) 내에 진입했음을 알리고(S1), AP(30)는 그 스마트폰(50a)에 IP를 할당하여(S2) 스마트폰(50a)과 AP(30) 간에 링크를 활성화한다.
다음 고객이 스마트폰(50a)의 브라우저를 활성화하면(S3), 상기 스마트폰(50a)은 AP(30)에 HTTP로 메뉴보기를 요청하고(S4), AP(30)에서는 이에 응답해서 HTTP 리디렉션 기능을 이용하여 MSA(20)의 URL 정보를 HTTP로 스마트폰(50a)에 전송하여(S5) MSA(20)의 eMenu 서비스로의 접속을 유도한다.
스마트폰(50a)에서는 상기 MSA(20)의 URL 정보를 토대로 MSA(20)에 접속하여 HTTP로 메뉴보기를 요청하며(S6), MSA(20)에서는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폰(50a)과 HTTP 세션을 형성하고 eMenu를 스마트폰(50a)에 전송하여(S7) 웹방식의 eMenu 화면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S3단계에서 스마트폰(50a)에 AMAS 드라이버(22)가 기설치되어 있어 AMAS 드라이버에서 스마트폰(50a)의 브라우저를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S4단계와 S5단계의 HTTP 리디렉션을 사용하지 않고 MSA(20)에 직접 접속하여 HTTP로 메뉴보기를 요청하며(S6), MSA(20)에서는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폰(50a)과 HTTP 세션을 형성하고 eMenu를 스마트폰(50a)에 전송하여(S7) 웹방식의 eMenu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eMenu의 메뉴는 기준메뉴와 그 기준메뉴의 세부항목으로 이루어져 고객이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해당 기준메뉴에서 세부항목을 선택하여 주문할 수 있으며, MSA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거 주문 정보에 의하여 주문하고자하는 메뉴의 비교 내용을 표시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장이 음식점인 경우 해당 음식에 들어가는 주재료의 맴기, 짜기 등의 기준 정보가 그래프로 나타나며, 고객은 이 그래프 정보를 수정하므로 주재료의 양이 수정되어 주문됨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식을 주문할 수 있고, 과거의 주문 정보가 DB에 그래프로 저장되므로 이 주문 정보를 추후 주문시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로컬 무선망(40)에서 스마트폰(50a)을 이용하여 주문을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된다.
고객은 스마트폰(50a)에 출력된 eMenu에서 메뉴와 수량을 선택하는 경우(S8) 스마트폰(50a)에서 MSA(20)에 HTTP로 주문하고(S9), MSA(20)는 이에 응답해서 비용이 포함된 주문서(bill)를 작성하여 HTTP로 스마트폰(50a)에 전송한다(S10).
이에 고객은 스마트폰(50a)의 화면에 출력된 주문서를 확인한 후 스마트폰(50a)을 이용해 MSA(20)에 HTTP로 주문 확정을 하며(S11), MSA(20)는 상기 S9단계에서의 주문 정보를 주방 단말(70)에 제공하는 한편(S12), 비용(즉, 주문서 정보)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POS 단말(10)에 업데이트하여(S13) 이후 POS 단말(10)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주문 이후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A(2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제공받은 POS 단말(10)은 결제 서버(80)에 주문에 대한 지불 절차의 개시를 알리고(S14), 결제 서버(80)는 POS 단말(10)에 지불 절차를 위한 주문서 정보를 요청한다(S15).
POS 단말(10)은 이에 응답하여 결제 서버(80)에 주문서 정보를 제공하는(S16) 한편, 고객의 스마트폰(50a)에 비용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고객이 POS 단말(10)을 통해 현금이나 신용 카드 등으로 결제 서버(80)에 결제를 수행하고(S17), 결제 서버(80)는 은행 서버(90)에 해당 결제의 승인을 요청한다(S18).
상기 은행 서버(90)는 이에 응답하여 결제 서버(18)에 결제의 승인을 처리하고(S19), 결제 서버(80)는 POS 단말(10)에 해당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S20).
POS 단말(10)은 해당 결제에 따른 정산으로 어카운트(Account)를 업데이트하고(S21), 해당 결제에 따른 전자 영수증(eReceipt)를 생성하여(S22), MSA(20)를 통해 스마트폰(50a)에 전송하는(S23,S24) 한편 다수의 종이 영수증을 출력한다(S25).
이 종이 영수증 중 하나는 고객에게 제공되며, 고객은 스마트폰(50a)에 출력된 전자 영수증과 받은 종이 영수증을 확인한 후, 전자 영수증을 스마트폰(50a)에 저장한다(S26).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POS 단말 또는 EMV 단말 12: GUI
20: MSA 22: AMAS 드라이버
30: AP 40: 로컬 무선망
50a,…,50n: 스마트폰 70: 주방 단말
80: 결제 서버 90: 은행 서버
200: MSA 서버 300,400: 매장
500: 인터넷망

Claims (5)

  1. (a) 로컬 무선망이 형성된 매장에 진입하는 경우 스마트폰에 내장된 로컬 무선망 통신 클라이언트에서 매장 내의 AP와 링크를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의 브라우저가 활성화되는 경우 AP에서 HTTP 리디렉션 기능을 이용하여 결제 단말과 연동해서 자동주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뉴 서비스 어댑터(MSA)의 eMenu 서비스로 접속을 유도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에서 eMenu 서비스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MSA에서 스마트폰과 HTTP 세션(session)을 형성하여 스마트폰에 웹방식의 eMenu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된 eMenu 화면을 통해 MSA에 주문하고, MSA에서 이를 토대로 비용이 포함된 주문서를 작성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해서 주문을 확인받는 단계;
    (e) 상기 MSA에서 주문을 확인하고 결제 단말에 비용이 포함된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로컬 무선망 통신 클라이언트에서 AP에 해당 로컬 무선망 내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AP에서 스마트폰에 IP를 할당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스마트폰에서 AP에 HTTP로 메뉴보기를 요청하는 단계와,
    AP에서 이에 응답해서 HTTP 리디렉션 기능을 이용하여 MSA의 URL 정보를 HTTP로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A는 HTTP 표준 API로 구현되고 서버엔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A에 AMAS(Automatic Menu Activation Service) 드라이버가 저장되어 스마트폰에서 MSA 접속시 AMAS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설치하고,
    상기 AMAS 드라이버에서 스마트폰의 브라우저를 활성화하여 직접 MSA의 eMenu 서비스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KR1020130060420A 2013-05-28 2013-05-28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KR10150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420A KR101501350B1 (ko) 2013-05-28 2013-05-28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PCT/KR2014/004091 WO2014193096A1 (ko) 2013-05-28 2014-05-08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420A KR101501350B1 (ko) 2013-05-28 2013-05-28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824A true KR20140139824A (ko) 2014-12-08
KR101501350B1 KR101501350B1 (ko) 2015-03-11

Family

ID=5198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420A KR101501350B1 (ko) 2013-05-28 2013-05-28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1350B1 (ko)
WO (1) WO20141930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772A (ko) * 2017-05-18 2018-11-28 엄태경 당구 게임 자동 매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04328B1 (ko) * 2019-04-02 2019-07-26 비코비엔주식회사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649B1 (ko) * 2019-05-02 2019-10-08 비코비엔주식회사 키오스크 앱 기반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936A (ko) * 2010-07-22 2012-02-02 박선영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실시간 상품 주문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0789A (ko) * 2010-07-27 2012-02-06 (주)휴빌론 와이파이 기반 음식주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 방법
KR101360615B1 (ko) * 2011-10-18 2014-02-10 김성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772A (ko) * 2017-05-18 2018-11-28 엄태경 당구 게임 자동 매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04328B1 (ko) * 2019-04-02 2019-07-26 비코비엔주식회사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649B1 (ko) * 2019-05-02 2019-10-08 비코비엔주식회사 키오스크 앱 기반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350B1 (ko) 2015-03-11
WO2014193096A1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7631B2 (ja) トランザクショントークン発行権限者
US9117231B2 (en) Ordering method and system for restaurants
US842294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US20190279198A1 (en) Transaction Token Issuing Authorities
KR20150106484A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19441A1 (en) Electronic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101780707B1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0135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KR20170088014A (ko) 간편 주문 pos 시스템
KR20140012001A (ko) 스마트폰 결제기반 차세대 키오스크형 주문 시스템 및 결제 방법
US1007876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eripherals, associated peripheral driver(s) and computer program
KR20160052523A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3299A (ko)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499503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전자 주문 방법
KR101298206B1 (ko) 가맹점 운영 시스템
KR20190106829A (ko) 직원 호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93247B1 (ko)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20010789A (ko) 와이파이 기반 음식주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 방법
US20170134353A1 (en)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flow conditioning
KR20220087959A (ko) 전자 메뉴 주문 및 결제 시스템
KR20150025139A (ko) 자동응답 주문 결제 시스템
CN117693763A (zh) 使用移动电子设备用于支付终端可访问性的系统和方法
KR20120002504A (ko) 쇼핑 시스템 및 상기 쇼핑 시스템에서의 물품 판매 지원방법
KR20200113723A (ko) 스마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지원 시스템
KR20110136231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주문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