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523A -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523A
KR20160052523A KR1020160053109A KR20160053109A KR20160052523A KR 20160052523 A KR20160052523 A KR 20160052523A KR 1020160053109 A KR1020160053109 A KR 1020160053109A KR 20160053109 A KR20160053109 A KR 20160053109A KR 20160052523 A KR20160052523 A KR 2016005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menu
store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봉
Original Assignee
이만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봉 filed Critical 이만봉
Priority to KR102016005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2523A/ko
Publication of KR2016005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서비스를 위한 URL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QR코드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유쉐프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테이블 번호 및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한다. 다음, 상기 포스 단말기가 주방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고, 조리 완료후 주방 단말기가 신호에 출력하여 표시장치를 통해 조리완료 정보를 표시한다. 진동벨을 울린다. 음식이나 음료를 다 먹은후 고객의 요청에 따라 매장 운영자는 상기 포스 단말기를 조작하여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생성하고, 고객의 단말기에서 결제처리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장 내 주문을 처리하는 POS(Point Of Sales) 단말 및 고객의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고객이 QR코드나 NFC 등의 접촉만 하면, 별도의 앱설치 없이 자동으로 메뉴를 제공하고 주문이 가능하여 편리하다. 또한,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장소와 관계없이 주문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Uchef service system using a smartphon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QR코드나 NFC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각 매장에 맞는 메뉴판에 접속하고 메뉴판 조회와 주문 그리고 결제까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핸드폰,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현재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전화, 이메일,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의 스마트폰 등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마치 자신의 개인용 PC와 같이 핸드폰을 구성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핸드폰 개념의 진화에 따라 거래시장에는 스마트폰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사용되고 있다.
한편,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커피전문점 등의 다양한 매장들은 수없이 밀려드는 다수의 주문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POS 단말을 기준으로 매장 주문 시스템의 일정 부분이 자동화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소위 "진동벨"이라고 하는 주문식별장치를 주문고객에게 지급하여 주문된 상품의 제조가 완료됨과 동시에 주문식별장치를 통해 고객에게 주문상품을 인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매장에서 주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일례로 커피전문점에서 주문을 하는 경우, 고객은 먼저 자신이 주문할 커피의 종류를 선택한다. 그러나 단지 커피종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주문이 완료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고객은 점원에게 주문한 커피의 개수를 정확히 전달해야 하고, 아울러 커피의 사이즈(예컨대, 스몰 또는 레귤러)를 명확하게 전달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커피주문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약 상기 커피전문점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다면, 상기 고객은 점원의 질문에 대답하여 상기 이벤트에 참가해야 한다. 또한 상기 고객이 상기 커피전문점의 제휴 카드(또는 할인 카드)를 소지하고 있다면, 상기 고객은 상기 점원에게 상기 제휴 카드(또는 할인 카드)를 제시해야 하며, 현금 결제의 경우 현금영수증의 수취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에 따라 현금영수증 발급 식별 정보를 점원에게 전달해야 한다. 이와 같은 복잡한 주문절차가 매 고객들에게 반복됨으로 인해 커피주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고객이 소지한 휴대폰을 통해 상기 주문절차의 일부를 처리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는 휴대폰은 기본적으로 특정 공간에 한정된 로컬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휴대폰을 이용한 주문 처리는 상기 휴대폰을 로컬 서비스화하기 위해 복잡한 인증 절차와 식별 절차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공개특허 2011-0129330호에 매장주문 처리 시스템 및 POS 단말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도 여전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매장 운영자는 웹사이트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메뉴 등의 변경이 있어도 이를 웹사이트에 변경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매장 내 주문을 처리하는 POS(Point Of Sales) 단말 및 고객의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고객이 QR코드나 NFC 등의 접촉만 하면, 자동으로 각매장 별 메뉴를 제공하고 주문 및 상황에 따라 결제까지 진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편리한,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장소와 관계없이 주문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매장 운영자가 자유롭게 메뉴판을 신규로 만들거나 기존 메뉴판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를 위한 URL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큐알코드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의 유쉐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특정 URL에 접속하면,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안에서 필요에 따라 전자 결제를 진행하고, 이 결제정보를 포스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문하고자 하는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기가 주방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조리 완료후 주방 단말기가 조리 완료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 단말기가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생성하고, 결제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를 위한 URL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QR코드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 의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의 유쉐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또는 큐알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테이블 번호 및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선불 결제를 진행한 경우 결제처리 정보를 포스 및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기가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생성하고, 결제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기가 주방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조리 완료후 주방 단말기가 조리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불결제의 경우 주문 메뉴의 조리완료후 주문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통하여 주문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를 위한 URL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QR코드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기가 설치된 매장 정보, 상기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 및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고객의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테이블 번호 및 주문하고자 하는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주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점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생성하고, 결제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서버로부터 메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위치 정보와 메뉴 선택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포스 단말기 정보 및 상기 포스 단말기가 설치된 매장 정보를 저장하는 매장 정보 DB;
상기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를 저장하는 메뉴정보 DB;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하고자 하는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주문 처리부;
*매장 운영자의 단말기가 접속하면,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작성된 메뉴를 상기 메뉴정보 DB에 저장하는 메뉴 작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정보는, 메뉴의 이미지 정보, 가격정보, 주문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장 내 주문을 처리하는 POS(Point Of Sales) 단말 및 고객의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고객이 QR코드나 NFC 등의 접촉만 하면, 스마트폰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메뉴를 제공하고 주문이 가능하여 편리한,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장소와 관계없이 주문이 가능한, 고객의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운영자가 자유롭게 메뉴판을 신규로 만들거나 기존 메뉴판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객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웹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를 위한 유알엘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QR코드(240)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210)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300)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기(210)가 설치된 매장 정보, 상기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 및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20);
상기 고객의 단말기(300)가 NFC 또는 QR코드(240)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테이블 번호 및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210)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서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 단말기(210)는,
상기 서버(110)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주방 단말기(220)로 전송하며, 상점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생성하고, 결제처리를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상기 포스 단말기(240) 정보 및 상기 포스 단말기(240)가 설치된 매장 정보를 저장하는 매장 정보 DB(121);
상기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를 저장하는 메뉴정보 DB(122);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123)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고객의 단말기(300)가 NFC 또는 QR코드(240)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테이블 번호 및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210)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주문 처리부(111);
매장 운영자의 단말기(200)가 접속하면,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작성된 메뉴를 상기 메뉴정보 DB(122)에 저장하는 메뉴 작성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정보는, 메뉴의 이미지 정보, 가격정보, 주문버튼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입력부(320), GPS부(340), 저장부(360), 카메라부(370), 통신부(350), 제어부(330), 표시부(310)를 포함한다.
입력부(320)는 터치패널,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선택을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GPS부(340)는 적어도 두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필요에 따라 GPS부를 생략하고,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360)는 다운로드받은 바탕화면에 관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370)는 입력부(320)의 선택에 따라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제어부(330)는 상기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메뉴화면을 상기 표시부(310)에 표시하고, 입력부(320)에 의해 선택되는 주문정보를 상기 서버(110)로 전송한다.
통신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며, 와이파이 방식, 3G, 4G 등 다양한 무선 인터넷이나 다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웹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이용자는 자신의 단말기(300) 또는 오프라인 또는 기타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망(200)을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할수 있으며 비회원으로 주문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회원가입을 할 때,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한 신상정보, 아이디, 비밀번호 등이 입력될 수 있다.
그러면, 서버(110)는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한 신상정보,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부(120)의 회원 DB(122)에 저장하고 회원가입을 완료한다.
한편, 매장 운영자는 자신의 단말기(200)로 서버(110)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메뉴 작성을 선택하고, 자신의 매장 메뉴 작성을 선택한 경우, 메뉴 작성부(112)가 도 4와 같은 메뉴 작성 화면을 제공한다.
그러면, 매장 운영자는 상기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정보 즉, 메뉴의 이미지 정보, 가격정보, 주문버튼 등을 선택 및 삽입배치하여 메뉴판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객이 매장을 방문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고객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매장 내에 또는 지정된 장소에 부착된 NFC 또는 QR코드(240)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고객 단말기(300)가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서버(110)에 접속한다.
그러면 서버(110)는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다(S310). 이때 필요에 따라 고객은 회원로그인을 통하거나 비회원 모드로도 주문을 할 수 있다.
회원이 아니고 고객이 회원가입을 원할 경우, 서버(110)는 회원가입을 받는다(S330).
한편, 정상 회원으로 판명되거나(S320), 비회원 주문이거나 하면 서버(110)는 도 5와 같이 매장명과 좌석번호를 입력받는다. 필요에 따라 QR코드에 매장 정보와 좌석번호 정보를 삽입하여 입력절차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장명과 좌석번호가 입력되거나 QR코드에 의해 미리 입력받은 경우, 주문 처리부(111)는 NFC 또는 QR코드(240)에 대응되는 해당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매장 운영자는 다양한 언어로 메뉴정보를 작성하여 저장해 두고, 상기 서버가 고객 단말기의 언어정보와 대응되는 언어로 상기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메뉴 정보는 도 6과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일 수도 있으며, 매장 운영자가 작성하는 바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언제든지 수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제품을 선택하여 가격을 확인하고, 도 8과 같이 메뉴들을 선택한후 도 9와 같이 메뉴리스트를 확인하여 최종 주문을 한다(S340).
여기서, 선불결제의 경우 주문 정보가 POS로 전달되기 전에 고객의 단말기에서 모바일 결제를 수행한다. 이후 결제에 성공하면 주문정보를 POS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서버(110)의 주문 처리부(111)가 상기 고객 단말기(300)로부터 메뉴를 입력받고, 메뉴정보를 게재한 매장의 포스 단말기(210)로 주문정보를 전달한다(S350).
그러면, 상기 포스 단말기(210)가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주방 단말기(220)로 주문정보를 전달한다.
이후 주방 담당당자들은 주방 단말기(220)로 수신된 주문정보에 따라 조리를 한뒤 고객에게 제공되고, 해당 주문 리스트의 요리가 완료되면, 주방 단말기를 제어하여 진동벨 울림 신호를 출력하여 진동벨을 울리도록 한다(S360). 필요에 따라서는 진동벨이 아니라 표시장치에 번호를 표시하는 방식을 수도 있다.
이후 고객은 자신이 주문한 음식이나 커피 등의 음료를 가져와 먹거나 마시게 된다.
후불제의 경우, 고객이 계산을 원하는 시점에, 고객의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포스 단말기(210)로부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가 고객의 단말기(300)로 전달되고, 고객의 단말기(300)에서 결제처리를 한다(S370).
그리고 이러한 주문정보 및 결제정보는 서버(11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된다.
그리고 매장 운영자가 통계정보가 필요시에 서버(110)에 요청하면, 서버(110)는 해당 매장의 매출정보에 관하여 제공한다. 이때, 서버(110)는 주문 및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통계정보를 가공 변환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300)로부터 좌석번호가 수신되지 않아도 매장정보만으로도 메뉴 선택을 가능하게 하여 미리 주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주문 및 결제를 하고, 매장에 방문하여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메뉴 정보에 조리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미리미리 주문 및 결제를 하여 기다리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매장 도착후 바로 식사또는 take-out 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서버가 해당 매장의 약도 또는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과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서는 구두로 음식을 주문하고, 매장 운영자가 포스 단말기(210)로 직접 결제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객이 계산을 원하는 시점에, 고객의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포스 단말기(210)로부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가 서버(110)로 수신되고, 서버(110)가 고객의 단말기(300)로 가격정보를 전달하면, 고객의 단말기(300)에서 결제처리를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장 내 주문을 처리하는 POS(Point Of Sales) 단말 및 고객의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고객이 QR코드나 NFC 등의 접촉만 하면, 자동으로 메뉴를 제공하고 주문이 가능하여 편리하다.
또한,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장소와 관계없이 주문이 가능하다.
또한, 매장 운영자가 자유롭게 메뉴판을 신규로 만들거나 기존 메뉴판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서비스를 위한 URL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QR코드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의 유쉐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테이블 번호 및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기가 주방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조리 완료후 주방 단말기가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기가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생성하고, 결제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운영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자신의 매장 메뉴 작성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가 메뉴 작성 화면을 제공하고,
    매장 운영자는 상기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메뉴의 이미지 정보, 가격정보, 주문버튼을 포함한 정보를 선택 및 삽입배치하여 메뉴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선불제의 경우 고객의 단말기에서 주문정보를 선택후 결제처리를 하고 나서 결제정보를 상기 포스 단말기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쉐프 서비스 방법.
  2. 서비스를 위한 URL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QR코드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의 유쉐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문하고자 하는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기가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생성하고, 결제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기가 주방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조리 완료후 주방 단말기가 조리완료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운영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자신의 매장 메뉴 작성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가 메뉴 작성 화면을 제공하고,
    매장 운영자는 상기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메뉴의 이미지 정보, 가격정보, 주문버튼을 포함한 정보를 선택 및 삽입배치하여 메뉴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선불제의 경우 고객의 단말기에서 주문정보를 선택후 결제처리를 하고 나서 결제정보를 상기 포스 단말기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쉐프 서비스 방법.
  3. 서비스를 위한 URL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QR코드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기가 설치된 매장 정보, 상기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 및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고객의 단말기가 NFC 또는 큐알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문 정보를 주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점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생성하고, 결제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포스 단말기 정보 및 상기 포스 단말기가 설치된 매장 정보를 저장하는 매장 정보 DB;
    상기 매장정보에 대응하는 메뉴정보를 저장하는 메뉴정보 DB;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고객의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고, 테이블 번호 및 메뉴를 입력받아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주문 처리부;
    매장 운영자의 단말기가 접속하면,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작성된 메뉴를 상기 메뉴정보 DB에 저장하는 메뉴 작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정보는, 메뉴의 이미지 정보, 가격정보, 주문버튼을 포함하며,
    운영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자신의 매장 메뉴 작성을 선택하면, 상기 메뉴작성부가 메뉴 작성 화면을 제공하고,
    매장 운영자는 상기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메뉴의 이미지 정보, 가격정보, 주문버튼을 포함한 정보를 선택 및 삽입배치하여 메뉴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선불제의 경우 고객의 단말기에서 주문정보를 선택후 결제처리를 하고 나서 결제정보를 상기 포스 단말기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4. 서비스를 위한 URL 주소를 포함하는 NFC 또는 QR코드가 소정의 장소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매장 내의 주문을 처리하는 포스(POS: Point Of Sales) 단말기 및 상기 매장에 입객한 고객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의 유쉐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매장 운영자에 의해 상기 포스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기가 주방 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조리 완료후 주방 단말기가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고객이 계산을 원하는 시점에, 고객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포스 단말기로부터 주문정보에 대응하는 가격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가 고객의 단말기로 가격정보를 전달하고, 고객의 단말기에서 결제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가 NFC 또는 QR코드와의 접촉을 통해 접속하면, 서버가 매장 운영자가 미리 작성한 상기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운영자 단말기가 접속하여 자신의 매장 메뉴 작성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가 메뉴 작성 화면을 제공하고,
    매장 운영자는 상기 메뉴를 작성할 수 있는 메뉴의 이미지 정보, 가격정보, 주문버튼을 포함한 정보를 선택 및 삽입배치하여 메뉴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고객 단말기의 언어에 대응하는 언어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선불제의 경우 고객의 단말기에서 주문정보를 선택후 결제처리를 하고 나서 결제정보를 상기 포스 단말기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쉐프 서비스 방법.
KR1020160053109A 2016-04-29 2016-04-29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09A KR20160052523A (ko) 2016-04-29 2016-04-29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09A KR20160052523A (ko) 2016-04-29 2016-04-29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416A Division KR20150106484A (ko) 2014-03-11 2014-03-11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523A true KR20160052523A (ko) 2016-05-12

Family

ID=5602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109A KR20160052523A (ko) 2016-04-29 2016-04-29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25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86B1 (ko) * 2017-06-24 2018-06-20 김영빈 스마트폰 기반의 주문 결제 시스템
KR102099243B1 (ko) 2019-10-02 2020-04-09 이준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포스 시스템
KR20210039513A (ko) * 2019-10-01 2021-04-12 김경우 무인 자동 주문수거 식당관리 시스템
KR20220075947A (ko) * 2020-11-30 2022-06-08 장재혁 비대면 매장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86B1 (ko) * 2017-06-24 2018-06-20 김영빈 스마트폰 기반의 주문 결제 시스템
KR20210039513A (ko) * 2019-10-01 2021-04-12 김경우 무인 자동 주문수거 식당관리 시스템
KR102099243B1 (ko) 2019-10-02 2020-04-09 이준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포스 시스템
KR20220075947A (ko) * 2020-11-30 2022-06-08 장재혁 비대면 매장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6484A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102514B2 (en) Payment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KR101953851B1 (ko) 고객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결제 및 수령을 포함하는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80240205A1 (en) Order Management Server, Order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20160052523A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4081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ustomer interaction with an establishment
JP2019012374A (ja) 注文受付システム
WO2012117220A1 (en) Ordering system & method
US20220207592A1 (en) Contactless dining experience system and method
KR20170048293A (ko) 원격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1272658B1 (ko) Qr코드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주문 방법
KR20170098772A (ko) 주문배달 데이터 전달장치
KR20210070726A (ko) 스마트폰 기반의 주문 결제 시스템
JP7178019B2 (ja) 情報システム、出力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25090A (ko)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07593A1 (en) Contactless post-dining experience system and method
KR2014013982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KR20210070784A (ko)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99826A (ko) 공항 내 음식 주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
KR20190005500A (ko) 주문 및 결제 시스템
KR101997551B1 (ko) 매장 방송 보드판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JP2018055507A (ja) 販売支援装置、販売支援システム及び販売支援方法
KR20230005617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JP20220281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42047A (ko) 주문배달 데이터 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