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617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617A
KR20230005617A KR1020210086544A KR20210086544A KR20230005617A KR 20230005617 A KR20230005617 A KR 20230005617A KR 1020210086544 A KR1020210086544 A KR 1020210086544A KR 20210086544 A KR20210086544 A KR 20210086544A KR 20230005617 A KR20230005617 A KR 20230005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terminal
seller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링크
Priority to KR102021008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5617A/ko
Priority to PCT/KR2022/009474 priority patent/WO2023277635A1/ko
Publication of KR2023000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주문을 할 수 있고, 소비자의 주문 내역이 판매자의 프린터를 통해 판매자의 주문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출력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주문 내역을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ORDER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 및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판매자가 보유한 다양한 아이템들로부터 구매할 아이템을 선택하고 이를 주문하는 경우, 주문을 받기 위해 종업원이 소비자가 위치한 테이블 등으로 찾아와 주문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식당의 경우, 종업원이 소비자가 앉아 있는 테이블에 찾아가 소비자가 주문하는 음식의 종류 등을 기록하여 카운터로 가지고 온다. 그리고, 카운터 종업원이 주문된 음식을 식당에 구비된 POS (Point of Sales)와 같은 판매자 단말에 주문 내역을 기록한다. 소비자가 주문한 음식에 대한 정보는 조리를 위해 주방쪽으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판매자 단말에 연결된 주문서 프린터를 통해 주문서를 출력하고 이를 주방에 전달한다. 그리고, 주문서를 전달받은 주방에서는 주문된 요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조리가 완료되면 음식을 서빙하는 종업원이 주문서에 따라 해당 음식을 주문한 테이블로 가져간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종업원이 식당의 테이블마다 찾아다니며 주문을 받고, 주문 정보를 판매자 단말에 입력하게 되므로 식당의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사시간 등 소비자가 많은 시간대에 주문을 받는 시간이 길어져 테이블 회전이 느려질 뿐 아니라, 소비자와 종업원 간에 의사소통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혹은 종업원이 판매자 단말에 주문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주문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의 주문 내역이 판매자의 프린터를 통해 판매자의 주문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의 주문 내역을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치 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 저장부와, 주문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판매자 단말에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번호 전달서버와, 주문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주문서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상기 주문정보 전달서버로부터 수신한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생성하여 상기 프린터에 전달하는 판매자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 저장부와, 주문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주문서 데이터 포맷 및 명령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판매자 단말에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번호 전달서버와, 주문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주문서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상기 주문정보 전달서버로부터 수신한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생성하여 상기 프린터에 전달하는 판매자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문을 수행하고, 판매자 프린터를 통해 주문 내역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는 편리하게 주문을 수행할 수 있고, 판매자는 용이하게 주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2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방법을 나타낸 제1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3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방법을 나타낸 제2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4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확인 방법을 나타낸 제1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5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확인 방법을 나타낸 제2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21), 위치정보 저장부(22), 주문정보 전달서버(24), 판매자 단말(25), 프린터(26) 및 통신테트워크(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이동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단말기를 의미하나,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21)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판매자 단말(25)은 판매자가 주문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그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OS 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소비자가 음식을 주문하기 위해 스마트폰(21)에 설치되어 있는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소비자의 스마트폰(21)은 자신이 앉아 있는 테이블 등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정보 저장부(22)로부터 주문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위치정보 저장부(22)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QR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이 스마트폰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정보는 테이블 번호 등이 ID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스마트폰(21)이 터치나 스캔 등의 방식으로 ID 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22)는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NFC 태그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에서는 위치정보 저장부(22)가 NFC 태그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한다.
NFC 태그(22)에는 주문 위치정보(예를 들어, 식당의 경우 식당 식별자 및 테이블 번호)에 대응되는 일련번호(Serial Number)가 ID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21)이 NFC 태그(22)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면, 통신테트워크(27)를 통해 위치정보 및 스마트폰 번호를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전송한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수신한 위치정보 및 스마트폰 번호에 대응되는 주문 인증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인증코드는 주문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주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접속하여 특정 테이블에 대해 허위로 음식을 주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서 발급한 주문 인증코드 및 메뉴 표출을 위한 주문 URL 을 소비자의 스마트폰(21)에 전송한다. 소비자는 스마트폰(21)에 수신된 주문 URL 에 접속하여 메뉴 및 가격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음식 아이템을 선택한다. 소비자가 선택한 음식 아이템 및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는 주문정보 전달서버(24)로 전달된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주문서 데이터 포맷 및 판매자 단말(25)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가 수행할 명령어를 생성한다.
각각의 식당마다 출력되어야 하는 주문서의 데이터 포맷이 상이하므로,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수신된 위치정보 및 표1을 이용하여 해당 식당을 식별하고, 해당 식당에서 사용하는 주문서의 데이터 포맷에 맞도록 주문정보를 가공한다.
표1은 데이터 포맷 및 명령어를 생성하기 위해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가맹점 정보 리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문정보 전달서버(24)가 스마트폰(21)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위치정보(식당의 경우, 테이블 번호에 해당)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가맹점 ID 및 주문서 양식을 파악할 수 있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주문서 양식에 맞도록 주문정보를 가공하여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생성한다.
또한,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판매자 단말(25)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가 수행할 동작을 알려주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명령어는 수신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프린터 포트 COM3 으로 전달하고 프린트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이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연결된 판매자 단말(25)이 다수이므로,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데이터 포맷 및 명령어를 전송할 목적지 판매자 단말(25)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스마트폰(21)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및 표1을 이용하여 목적지 판매자 단말(25)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정보 전달서버(24)가 스마트폰(21)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가 "M0278176103" 이면 표1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가맹점 ID가 "M02781761" 임을 파악할 수 있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가맹점 ID 에 해당하는 판매자 단말(25)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 및 명령어를 전송한다.
판매자 단말(25)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는 주문정보 전달서버(24)가 전송한 주문서 데이터 포맷 및 명령어를 수신하고,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수신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이 프린터(26)에 의해 프린트 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는 판매자 단말(25)의 POS 프로그램(251)과 주문정보 전달서버(24) 사이의 정보 처리 방법이 미리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주문정보 전달서버(24)와 판매자 단말(25)의 POS 프로그램(251) 사이에 정보 처리 방법이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에 명령어 및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전달하지 않고도 주문정보 전달서버(24)가 직접 POS 프로그램(251)에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전송하고, 판매자 단말(25)의 POS 프로그램(251)이 프린터(26)를 제어하여 주문서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소비자가 결제 등을 위해 주문 내역을 확인하려는 경우, 먼저 스마트폰(2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결제할 주문에 대한 주문번호를 선택한다. 또한,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1)을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로부터 판매자 단말 ID를 획득한다.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QR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이 스마트폰에 판매자 단말 ID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나 스캔 등의 방식으로 스마트폰(21)이 판매자 단말 ID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는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NFC 태그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에서는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가 NFC 태그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한다.
스마트폰(21)이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로부터 판매자 단말 ID 를 획득하면, 스마트폰(21)은 소비자가 선택한 주문번호 및 판매자 단말 ID를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전송한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스마트폰(21)으로부터 전송된 판매자 단말 ID를 이용하여 어느 판매자 단말로 주문번호를 전송해야 할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판매자 단말(25)에 주문번호를 전송한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로부터 주문번호를 수신한 판매자 단말(25)은 주문번호에 해당하는 주문정보를 표출하고, 표출된 주문정보에 대해 소비자가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판매자 단말(25)이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주문정보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주문정보 전달서버(24)가 주문번호에 해당하는 주문정보를 판매자 단말(25)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2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방법을 나타낸 제1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폰(21)을 이용하여 주문을 하기 위해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S201), 식당의 테이블 등에 설치되어 있는 NFC 태그 방식의 위치정보 저장부(22)에 스마트폰(21)을 터치함으로써 위치정보를 획득한다(S202).
스마트폰(21)은 스마트폰 번호 및 위치정보 저장부(22)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전송한다(S203). 이때, 주문지점의 지리적인 위치 파악 및 외부의 제3자에 의한 허위 주문을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폰(21)이 자신의 GPS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해당 주문에 대한 주문인증코드를 생성하고(S204), 생성된 주문인증 코드와 함께 음식 주문을 위한 주문 URL 을 스마트폰(21)에 전송한다(S205).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1)에 전송된 URL 에 접속하여 메뉴 및 가격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음식 아이템을 선택한다. 그리고, 소비자가 선택한 음식 아이템 및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는 스마트폰(21)을 통해 주문정보 전달서버(24)로 전송된다(S206).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주문정보를 저장하고(S207), 주문정보를 판매자 단말(25)의 POS 프로그램(251)에 전송한다(S208).
POS 프로그램(251)은 주문정보를 저장하고(S209),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서 가 인쇄될 데이터 포맷으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생성한다. 그리고, POS 프로그램(251)이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프린터(26)로 전달하고(S210) 프린터(26)는 수신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주문서를 프린트 한다(S211).
이때, POS 프로그램(251)이 프린터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직접 전달하는 대신 판매자 단말(25)에 별도로 구비된 프린트 매니저(미도시)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전달하고, 프린트 매니저의 제어에 따라 주문서 데이터 포맷이 프린터(26)에 의해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3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방법을 나타낸 제2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폰(21)을 이용하여 주문을 하기 위해 주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S301), 식당의 테이블 등에 설치되어 있는 NFC 태그 방식의 위치정보 저장부(22)에 스마트폰(21)을 터치함으로써 위치정보를 획득한다(S302).
스마트폰(21)은 위치정보 저장부(22)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 및 스마트폰 번호를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전송한다(S303). 이때, 주문지점의 지리적인 위치 파악 및 외부의 제3자에 의한 허위 주문을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폰(21)이 자신의 GPS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해당 주문에 대한 주문인증코드를 생성하고(S304), 생성된 주문인증 코드와 함께 음식 주문을 위한 주문 URL 을 스마트폰(21)에 전송한다(S305).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1)에 전송된 URL 에 접속하여 메뉴 및 가격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음식 아이템을 선택한다. 그리고, 소비자가 선택한 음식 아이템 및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는 스마트폰(21)을 통해 주문정보 전달서버(24)로 전송된다(S306). 그리고,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주문정보를 저장한다(S307).
현재 식당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OS 프로그램은 POS 종류마다 이를 구동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정해진 정보 처리 절차가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POS 기기 종류마다 개별화되어 있는 POS 프로그램의 정보 전달 방식을 따르지 않고서는 원하는 정보를 POS에 전달할 수 없다.
즉, 주문정보 전달서버(24)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여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서 전송된 주문정보를 프린터(26)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처리 절차가 POS 프로그램(251)에 미리 규정되어 있지 않다면, 주문정보 전달서버(24)가 POS 프로그램(251)에 직접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프린트 처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판매자 단말(25)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를 통해 주문정보가 프린터로 전달되도록 한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스마트폰(21)으로부터 수신한 주문정보 및 표1과 같은 가맹점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판매점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는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생성한다(S308). 또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이 프린터(26)에 의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가 수행해야 할 명령어를 생성한다(S308).
예를 들어,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의해 작성되는 명령어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가 주문정보 전달서버에서 수신한 정보를 프린터 포트 "COM1" 로 전달하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서 생성된 주문서 데이터 포맷 및 명령어는 판매자 단말(25)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에 전송된다(S309).
이때, 주문정보 전달서버(24)는 스마트폰(21)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및 표1과 같은 가맹점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문정보 전달서버(24)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판매자 단말 중에서, 어느 판매자 단말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 및 명령어를 전송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주문정보 전달서버(24)로부터 명령어 및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수신한 판매자 단말(25)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는 수신한 명령어를 실행하고(S310),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의 명령어 실행에 따라 주문서 데이터 포맷이 프린터(26)로 전달된다(S311).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수신한 프린터(26)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의 제어에 따라 주문서를 프린트한다(S313).
또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가 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주문정보를 POS 프로그램(251)에 전달하고(S312), 주문정보를 수신한 POS 프로그램(S251)은 주문정보를 저장한다(S314).
도4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확인 방법을 나타낸 제1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와 판매자가 주문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폰(2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S401), 주문내역을 확인할 주문번호를 선택한다(S402).
그리고, 소비자가 스마트폰(21)을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로부터 판매자 단말 ID를 획득한다(S403).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가 NFC 태그로 구현된 경우,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1)을 NFC 태그(23)에 터치함으로써 판매자 단말 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와 소비자가 POS(25)를 통해 주문정보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는 POS(25) 근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매자 단말 ID를 획득한 스마트폰(21)은 판매자 단말 및 소비자가 선택한 주문번호를 주문번호 전달서버(24)에 전송한다(S404).
주문번호 전달서버(24)는 판매자 단말 ID를 이용하여 주문번호 전달서버(24)에 연결된 다수의 POS(25) 중에서 어느 POS로 주문번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고(S405), 결정된 POS(25)에 주문번호를 전송한다(S406).
주문번호를 수신한 POS(25)의 POS 프로그램(251)은 수신한 주문정보를 표출한다(S407).
도5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확인 방법을 나타낸 제2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와 판매자가 주문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폰(2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S501), 주문내역을 확인할 주문번호를 선택한다(S502).
그리고, 소비자가 스마트폰(21)을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로부터 판매자 단말 ID를 획득한다(S503).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가 NFC 태그로 구현된 경우,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1)을 NFC 태그(23)에 터치함으로써 판매자 단말 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와 소비자가 POS(25)를 통해 주문정보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23)는 POS(25) 근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매자 단말 ID를 획득한 스마트폰(21)은 판매자 단말 및 소비자가 선택한 주문번호를 주문번호 전달서버(24)에 전송한다(S504).
주문번호 전달서버(24)는 판매자 단말 ID를 이용하여 주문번호 전달서버(24)에 연결된 다수의 POS(25) 중에서 어느 POS로 주문번호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고(S505), 결정된 POS(25)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로 주문번호를 전송한다(S506).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는 POS 프로그램(251)로 주문번호를 전달하고(S507), 판매점의 판매자는 POS 프로그램에 표출된 주문번호를 확인한다(S508). 판매점의 판매자가 POS(25)의 버튼 입력 등을 통해 주문번호에 해당하는 주문정보를 요청하면, POS 프로그램(251)은 주문번호 전달서버(24)에 주문번호에 해당하는 주문번호 전송을 요청한다(S509).
POS 프로그램(251)으로부터 주문정보를 요청받은 주문번호 전달서버(24)는 주문번호에 해당하는 주문정보를 해당 POS(25)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에 전송한다(S510).
주문번호 전달서버(24)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252)는 POS 프로그램(251)에 주문정보를 전달하여(S511) 판매자에게 표출되도록 한다(S512).
21 : 스마트폰 22 : 위치정보 저장부
23 :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 24 : 주문정보 전달서버
25 : 판매자 단말 251 : POS 프로그램
252 : 소프트웨어 에이전트 26 : 프린터

Claims (4)

  1. 위치 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 저장부;
    주문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판매자 단말에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번호 전달서버;
    주문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주문서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상기 주문정보 전달서버로부터 수신한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생성하여 상기 프린터에 전달하는 판매자 단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 ID 가 저장된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로부터 획득한 판매자 단말 ID 및 상기 주문번호를 더 전송하며,
    상기 판매자 단말은 상기 주문정보를 표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3. 위치 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 저장부;
    주문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 저장부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주문서 데이터 포맷 및 명령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판매자 단말에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주문번호 전달서버;
    주문서 데이터 포맷에 따라 주문서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상기 주문정보 전달서버로부터 수신한 주문정보를 기초로 주문서 데이터 포맷을 생성하여 상기 프린터에 전달하는 판매자 단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 ID 가 저장된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판매자 단말 ID 저장부로부터 획득한 판매자 단말 ID 및 상기 주문번호를 더 전송하며,
    상기 주문번호 전달서버(24)는 상기 주문번호 및 주문정보를 판매자 단말에 더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0210086544A 2021-07-01 2021-07-0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230005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44A KR20230005617A (ko) 2021-07-01 2021-07-0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PCT/KR2022/009474 WO2023277635A1 (ko) 2021-07-01 2022-06-30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44A KR20230005617A (ko) 2021-07-01 2021-07-0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617A true KR20230005617A (ko) 2023-01-10

Family

ID=8469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544A KR20230005617A (ko) 2021-07-01 2021-07-0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5617A (ko)
WO (1) WO20232776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204B1 (ko) * 2011-02-07 2012-05-04 전화성 큐알코드를 이용한 외식매장 주문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555A (ko) * 2011-12-08 2013-07-22 김석우 큐알코드를 활용한 주문방법 및 주문시스템
KR20140000520A (ko) * 2012-06-22 2014-01-03 안만근 모바일(휴대폰)을 이용한 실시간 주문정보 관리 시스템
KR20170027502A (ko) * 2015-09-02 2017-03-10 홍교식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정보 처리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KR102194597B1 (ko) * 2017-11-24 2020-12-23 (주)더베스트미디어 렌탈 분양몰 관리서버
KR20210070784A (ko) * 2019-12-05 2021-06-15 (주)넷킨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635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9405B2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US9117231B2 (en) Ordering method and system for restaurants
KR101953851B1 (ko) 고객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결제 및 수령을 포함하는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06484A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40205A1 (en) Order Management Server, Order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200160296A1 (en) Bill splitting system
JP2019012374A (ja) 注文受付システム
GB2488660A (en) Ordering system
KR20160052523A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7933A (ko) 스마트 메뉴판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190084394A (ko) 주문 관리 시스템
KR20170048293A (ko) 원격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5090A (ko)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11624A (ko)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맞춤형 양방향 비대면 전자주문시스템
JP202312959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30005617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20200024596A (ko)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5179451A (ja) 在庫情報閲覧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968332B1 (ja) 注文管理装置、注文管理プログラム、及び注文管理方法
TWM547721U (zh) 點餐服務裝置
JP2019117576A (ja) 店舗システム
JP2019036277A (ja) 出力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28067A (ko) 원격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9826A (ko) 공항 내 음식 주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
KR20210070784A (ko)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