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247B1 -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247B1
KR102293247B1 KR1020210086790A KR20210086790A KR102293247B1 KR 102293247 B1 KR102293247 B1 KR 102293247B1 KR 1020210086790 A KR1020210086790 A KR 1020210086790A KR 20210086790 A KR20210086790 A KR 20210086790A KR 102293247 B1 KR102293247 B1 KR 10229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smart terminal
information
product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히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히어
Priority to KR102021008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바코드 리더기(스캐너)를 구매할 필요 없이,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활용해 바코드를 스캔하고 이를 상품 등록 및 결제에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은, 카메라를 구비한 스마트 단말; 및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앱의 설치를 지원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스캐너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기기별로 다른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생성된 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연동 관리 모듈과, 스캐너 연동을 요청하는 스마트 단말별로 다른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인증코드 생성모듈과, 무선 프린터기와 연동되며, 바코드별로 다른 식별정보를 갖도록 구성된 바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를 상기 무선 프린터기를 통해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프린트하도록 제어하는 바코드 생성 모듈과, 상품 카테고리, 상품명 및 가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프린트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획득된 바코드 정보가 전달되면, 입력된 상품의 상세 정보와 매칭되도록 전달된 바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바코드 등록 모듈과, 연동된 스마트 단말로부터 스캔을 통해 획득된 바코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상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의 상품명 및 가격을 이용해 주문 목록을 생성하는 주문정보 생성 모듈과, 각 모듈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과, 상기 스마트 단말 및 POS 시스템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POS 시스템의 상품 등록, 주문 입력 및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스캔연동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THE SCAN COUPL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CAMERA OF THE SMART TERMINAL, AND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POS(Point of Sales,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코드 리더기(스캐너)를 별도 구매할 필요 없이,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활용해 바코드를 스캔하고 이를 상품 등록, 주문 입력 및 결제에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트나 슈퍼마켓 등의 오프라인 매장은 대부분 POS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고, 고객이 상품을 골라서 가져오면 매장 담당자는 POS 시스템에 유선 연결된 스캐너를 이용해 바코드를 스캔하여 주문을 입력하고, 고객 신용카드나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진행한다.
그러다 보니 고객은 매장 담당자가 주문 입력과 결제를 진행하는 동안 기다려야 하고, 매장 담당자는 일일이 스캐너를 통해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주문을 입력하고, 결제를 진행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정산 주기가 느려지게 된다.
이처럼 기존 POS 시스템은 느린 정산 주기로 인한 고객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주문 및 결제를 위해 POS에 매장 담당자가 상주해야 하므로 인건비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OS 시스템과 연결되는 별도의 스캐너를 구비해야만 상품의 주문 입력이 가능해지므로 가맹점들은 고비용을 지불하면서 기기들을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POS 시스템은 가맹점이나 고객의 편의성 측면에서 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7244호(2008.03.2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스캐너를 구비하지 않고, 스마트 단말(예, 휴대전화)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이를 통해 상품 등록, 주문 입력 및 결제가 가능하도록 스마트 단말을 POS 시스템의 스캐너로 연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스마트 단말을 스캐너로 연동시키고,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자동으로 주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은, 카메라를 구비한 스마트 단말; 및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앱의 설치를 지원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스캐너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기기별로 다른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생성된 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연동 관리 모듈과, 스캐너 연동을 요청하는 스마트 단말별로 다른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인증코드 생성모듈과, 무선 프린터기와 연동되며, 바코드별로 다른 식별정보를 갖도록 구성된 바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를 상기 무선 프린터기를 통해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프린트하도록 제어하는 바코드 생성 모듈과, 상품 카테고리, 상품명 및 가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프린트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획득된 바코드 정보가 전달되면, 입력된 상품의 상세 정보와 매칭되도록 전달된 바코드 정보를 등록하는 바코드 등록 모듈과, 연동된 스마트 단말로부터 스캔을 통해 획득된 바코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상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의 상품명 및 가격을 이용해 주문 목록을 생성하는 주문정보 생성 모듈과, 각 모듈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과, 상기 스마트 단말 및 POS 시스템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POS 시스템의 상품 등록, 주문 입력 및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스캔연동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단말은, 인증코드의 식별코드 정보 및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동시에 연동 관리 모듈로 전달하며, 상기 주문정보 생성 모듈은, 동일한 인증코드의 식별코드 정보와 동시에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를 하나의 주문 목록으로 작성하고, 다수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바코드 정보가 동시에 수신되면, 스마트 단말의 식별코드별로 수신된 바코드 정보를 분류하여 각각의 주문 목록을 생성하되,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매칭된 상품의 상세 정보를 독출하여 상품명 및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목록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 관리 모듈은,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앱의 설치를 지원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바코드 스캐너 앱의 설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스캐너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바코드 리더기(스캐너)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코드를 스캔하고 상품 등록, 주문 입력 및 결제에 이용 가능하므로 고비용의 POS 시스템 유지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대의 스마트 단말을 바코드 스캐너로 연동시켜 여러 대의 스마트 단말로 동시에 상품 등록 및 상품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판매 상품이 많은 매장의 경우 상품 등록에 소요되던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 등록 또는 검색 등 다른 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스마트 단말을 스캐너로 연동시켜 고객이 직접 카메라를 활용해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주문 입력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점원의 주문 입력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이로써 고객의 대기 시간을 줄여 고객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와 스마트 단말 간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 과정의 실제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와 스마트 단말 간 상품별 바코드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상품별 바코드 등록 과정의 실제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와 스마트 단말 간 주문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주문정보 생성 과정의 실제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100)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100)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 통신망(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망(400)은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망(4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0)은, 카메라를 구비하며,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하여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하는 스캐너 앱(30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너 앱(300)은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부터 직접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은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 앱(300)을 실행하여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와 연동되며,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품 등록 및 주문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00)이 가맹점에 구비된 스마트 단말일 경우, 별도의 스캐너의 도움 없이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 주문 입력을 수행하고 주문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00)이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일 경우, 고객이 직접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주문 정보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 전달하고,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는 전달된 주문 정보에 대한 주문 목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고객은 별도의 주문 대기 없이 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마트 단말(100)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인증코드와 주문 정보를 동시에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 전달하고, 스캔연동 관리서버(200)가 인증코드별로 주문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코드는 스마트 단말(100)의 바코드 스캐너 앱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 간 연동 요청시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단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당된 코드정보이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100)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카메라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며 카메라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스마트 단말(100)을 스캐너로 연동시킬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앱(Application, 응용 소프트웨어)(300)을 저장하거나 설치 경로를 스마트 단말(100)로 제공하여 스마트 단말(100)의 바코드 스캐너 앱 설치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바코드 스캐너 앱(300)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100)이 바코드 스캐너 앱(300)을 실행하여 스캐너 연동을 요청하면, 스마트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코드를 스마트 단말(100)에서 인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은 기기별로 서로 다른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코드를 인식하게 된다. 이로써 여러 대의 스마트 단말이 동시에 연동되더라도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각 스마트 단말별로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스마트 단말(100)의 카메라를 이용해 바코드가 스캔되고, 스캔된 바코드 정보가 전달되면 상품 정보의 바코드 항목에 전달된 바코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품의 바코드 등록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스캐너 연동된 스마트 단말(100)이 카메라를 통해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한 바코드 정보와 인증코드정보를 전달하면, 주문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주문 목록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음식점, 카페, 편의점, 마트 등 고객을 응대하고 상품(예를 들어, 음료, 음식, 기성품 등)을 판매하기 위한 바코드를 구비하고 바코드 스캔을 통해 상품의 등록, 주문 및 결제를 처리하는 가맹점에 구비되는 POS(Point of Sales,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500)에 연동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바코드 스캐너의 연동 관리를 수행하는 POS 시스템(500)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POS 시스템(500)은,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기(미도시)와,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의 운용 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와, 신용카드, 체크카드, 기프트카드 등 상품에 대한 결제를 위한 카드리더기(미도시)를 적어도 포함한다. 카드리더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NFC, RFID 등)을 이용함 무선 카드리더기이며,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를 포함한 POS 시스템(500)의 본체와 통신하도록 통신모듈(예를 들어, 모뎀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카드리더기가 POS 시스템(500)의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POS 시스템(500)은 무선 카드 리더기와 연동되며, 고객 예약 관리, 상품 관리, 주문 관리, 결제 관리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매장용 POS 지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매장 예약, 메뉴 및 상품 주문, 결제(일반 결제, 전자 결제 등)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고, 소비자 단말기로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지원하며, 매장용 POS 지원 애플리케이션 및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매장 이용 정보 및 소비자 정보를 수집, 저장, 분류, 분석하는 서버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스캔연동 관리서버(200)가 POS 시스템(500)과 연동되어 동작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가 POS 시스템의 기능을 일부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은, POS 시스템 및 스캔 연동 관리 서버와 연동되며 바코드를 스캔 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앱을 설치한 스마트 단말을 스캐너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스캐너를 구비할 필요 없이 상품의 등록, 주문 입력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스캐너 구매 비용과 같은 전반적인 POS 시스템의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은, 고객의 스마트 단말에, POS 시스템 및 스캔 연동 관리 서버와 연동되며 바코드를 스캔 할 수 있는 스캐너 앱의 설치를 유도하고, 고객의 스마트 단말을 스캐너로 활용해 상품의 주문 입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점원을 통한 별도의 주문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고객의 결제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빠른 결제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은 무인 상점, 바코드 메뉴판을 구비하여 테이블에서 고객이 직접 메뉴 주문을 수행하고, 픽업 요청시 메뉴를 수령하면서 결제를 진행하거나 해당 테이블로 메뉴를 서빙해준 후 후결제가 가능한 음식점(예를 들어, 식당, 카페, 커피 전문점 등), 다수의 상품을 진열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고객이 구매할 수 있는 상점(편의점, 마트, 슈퍼마켓, 백화점 등) 등의 가맹점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상점의 경우, 가맹점주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에 바코드 스캐너 앱을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하고,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 앱을 실행하여 무인 상점 내 설치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스캔연동 관리서버는 POS 시스템과 연동됨)와 연동을 수행한 후, 스캔 모드가 실행되면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품의 상세 정보에 바코드를 등록하여 저장하다.
마찬가지로,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에 바코드 스캐너 앱을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하고,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 앱을 실행하여 무인 상점 내 설치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스캔연동 관리서버는 POS 시스템과 연동됨)와 연동을 수행한 후, 스캔 모드가 실행되면 무인 상점 내 상품을 선택하면서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한다. 그러면, 스캔연동 관리서버가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주문 목록에 출력하게 되고, 상품 선택 및 바코드 스캔이 완료되면 소비자가 스캔연동 관리서버를 통해 출력된 주문 목록을 확인한 후 결제를 바로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커피 전문점의 경우, 바코드 메뉴판을 구비하며, 소비자가 카운터에서 주문하기 위해 줄을 서지 않고,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에 구비된 바코드 스캐너 앱을 실행한 후 바코드 메뉴판에서 원하는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 스캐너 앱과 연동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에서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전달받아 주문 목록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캔연동 관리서버는 해당 스마트 단말로 주문 번호를 할당하여 전달하고, 이후 상품 준비가 완료되면 해당 스마트 단말로 상품 준비 완료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그러면 소비자는 카운터로 가 수신된 주문 번호를 보여주고 상품을 수령하면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소비자는 주문 및 상품 수령 대기를 위해 카운터에 줄을 설 필요가 없고 자리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편의점의 경우, 가맹점주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에 바코드 스캐너 앱을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하고,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 앱을 실행하여 상점 내 설치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스캔연동 관리서버는 POS 시스템과 연동됨)와 연동을 수행한 후, 스캔 모드가 실행되면 소비자가 구매하기 위해 선택해 온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주문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앱 설치 안내 QR 코드가 상점 내 비치되고, 소비자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로 앱 설치 안내 QR 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스캐너 앱을 다운로드를 통해 소비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하고,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 앱을 실행하여 편의점 내 설치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스캔연동 관리서버는 POS 시스템과 연동됨)와 연동을 수행한 후, 스캔 모드가 실행되면 편의점 내 상품을 선택하면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한다. 그러면, 스캔연동 관리서버가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주문 목록에 출력하게 되고, 상품 선택 및 바코드 스캔이 완료되면, 점원이 스캔연동 관리서버를 통해 출력된 주문 목록과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의 상품명 및 수량을 확인한 후 결제를 바로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POS 시스템(500)과 연동되며 스마트 단말(100)의 카메라를 활용해 상품 바코드의 스캔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주문 입력이 완료되면 POS 시스템(500)으로 결제를 진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연동 관리 모듈(210), 인증코드 생성 모듈(220), 바코드 생성 모듈(230), 바코드 등록 모듈(240),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 출력 모듈(260) 및 통신 모듈(270)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연동 관리 모듈(210)은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앱의 설치를 지원하고,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스캐너 연동 요청이 수신되거나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의 실행과 동시에 출력 모듈(260)을 통해 출력되는 메인 화면의 메뉴 중 장비 설정 메뉴를 통해 스캐너 항목이 선택되면, 스마트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포함된 인증코드를 출력 모듈(260)을 통해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한다. 인증코드는 스마트 단말별로 다른 식별코드가 할당되어 스마트 단말들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로써 연동 관리 모듈(210)은 다수의 스마트 단말이 동시에 연동되도록 지원하여 동기화를 수행하고, 동기화된 다수의 스마트 단말들을 기기별로 구분하여 상품 등록, 주문 입력 및 결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동 관리 모듈(210)은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앱의 설치를 지원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저장하며, 스캐너 연동을 요청한 스마트 단말에 대한 바코드 스캐너 앱의 설치 유무를 확인하도록 요청하고, 바코드 스캐너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출력 모듈(260)을 통해 화면 상에 출력하고, 바코드 스캐너 앱이 설치되어 있으면 인증코드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스마트 단말(100)은 카메라를 구동하여 화면에 출력된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촬영하고 QR코드에 포함된 경로를 통해 바코드 스캐너 앱의 다운로드를 통한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캐너 앱은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안드로이드 OS, iOS 모두 지원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인증코드 생성모듈(220)은 스캐너 연동을 요청하는 스마트 단말별로 다른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인증코드를 생성한다.
즉, 인증코드 생성모듈(220)은 스마트 단말(100)에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 앱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 간 스캐너 연결이 요청되면, 스마트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코드를 생성한 후 이를 연동 관리 모듈(210)로 전달한다. 인증코드는 바코드 이미지, QR코드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코드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코드 생성 모듈(230)은 바코드별로 다른 바코드 정보를 갖도록 구성된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바코드 생성 모듈(230)은 무선 프린터기와 연결되며 생성된 바코드 이미지를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인쇄되도록 무선 프린터기로 생성된 바코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프린트된 바코드 이미지는 이후, 바코드 등록 모듈(240)을 통해 상품 등록시 사용되며, 바코드 등록 후 상품에 부착되거나 상품 이미지와 함께 바코드 메뉴판에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개별 바코드를 이용해 상품별로 바코드를 다르게 등록함으로써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바코드 등록 모듈(240)은 상품의 상세 정보를 입력받고, 스마트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스캔된 바코드 정보가 전달되면, 입력된 상품의 상세 정보와 매칭되도록 전달된 바코드 정보를 자동으로 등록한다. 여기서, 바코드 정보는 바코드 생성 모듈(230)을 통해 생성된 후 미리 인쇄된 바코드로부터 획득된 것이다.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서버(200)와 연동된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인증코드의 식별코드 정보와 스캔된 바코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상품명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명을 주문 목록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상품명을 주문 목록에 추가할 때 가벼운 진동이 발생하거나 알림음이 울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동일한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바코드 정보가 계속 수신되면,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동일 주문 목록에 상품명을 추가하고 전체 수량과 결제 금액을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다수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바코드 정보가 수신되면 다수의 스마트 단말의 각 인증코드의 식별코드별로 바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상품명을 분류하여 다수 개의 주문 목록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테이블을 구비한 매장의 경우, 각 테이블별로 주문 목록이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에는 테이블을 식별할 수 있는 테이블 번호가 포함된 테이블 인식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해 테이블 인식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 메뉴판에서 주문하고자 하는 메뉴의 해당 바코드를 순차적으로 스캔하면, 테이블 인식 바코드 정보와 메뉴 인식 바코드 정보가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로 전달되고,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테이블 인식 바코드 정보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판독하고, 메뉴 인식 바코드 정보로부터 메뉴명을 판독한 후 판독된 테이블 번호에 메뉴명을 주문 목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바코드 정보로부터 상품명을 판독하여 주문 목록을 생성하되, 동일 상품명에 대한 주문 수량이 1개 이상인 경우, 해당 상품명의 주문 정보를 다른 주문 정보와 구분되도록 별도의 색(예를 들어, 적색)으로 표시하여 점원 또는 고객으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동일 상품의 바코드 정보가 반복하여 전달될 경우, 해당 상품의 주문 수량이 맞는지 확인하는 알림을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바코드 정보를 전달한 스마트 단말이 가맹점용일 경우, 수량 확인 알림을 점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 모듈(260)을 통해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바코드 정보를 전달한 스마트 단말이 고객용일 경우, 통신 모듈(270)을 통해 고객의 스마트 단말로 수량 확인 알림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스마트 단말의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에 따라 해당 상품의 주문 수량이 맞으면 계속하여 바코드 정보의 수신을 대기하고, 해당 상품의 주문 수량이 틀릴 경우 수량을 수정할 수 있도록 정정된 수량 정보를 고객의 스마트 단말로 요청하고 수신되는 정정 수량으로 해당 상품의 주문 수량을 정정할 수 있다. 고객은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출력된 수량 정정란에 구매할 수량을 기입한 후 응답 기능을 통해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로 응답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 앱은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자동으로 스캔연동 관리 서버(200)로 전달하는 스캔 모드외에도, 스캔연동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알림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송신하는 알림모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주문 목록을 스마트 단말과 공유할 수 있으며, 이후, 스마트 단말로부터 확인된 주문 목록을 공유받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 앱은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자동으로 스캔연동 관리 서버(200)로 전달하는 스캔 모드외에도,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로부터 주문 목록을 공유받고 이를 수정할 수 있는 주문 목록 확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은 스캔 모드에서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한 후 주문 목록 확인 요청을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로 전달하고,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로부터 주문 목록을 공유받아 확인하고, 상품의 주문 수량을 수정하거나 상품의 주문을 삭제한 후 확인 완료된 주문 목록을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확인 완료된 주문 목록으로 이전 주문 목록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문정보 생성 모듈(250)은 주문 목록에 대한 결제를 POS 시스템(5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결제 방법으로는 현금 결제, 일반적인 카드 결제, 삼성페이, LG페이 등의 전자 카드 형태의 전자 결제, 제로페이, 카카오페이 등의 바코드 결제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바코드 결제의 경우, 고객의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와 연동된 스마트 단말(가맹점용)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스캔하고 이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 및 POS 시스템(500)에 전달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출력 모듈(260)은 각 모듈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일 수 있으며, POS 시스템(500)의 디스플레이 수단과 동일할 수 있다.
통신 모듈(270)은 스마트 단말(100) 및 POS 시스템(5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270)은 유/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스마트 단말(100)에 구비된 바코드 스캐너 앱과의 연동을 지원하며, 각 스마트 단말별로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가지도록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각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바코드 등록 및 주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와 스마트 단말 간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연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 또는 점원이 스마트 단말(100)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앱이 스마트 단말(100)에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하고(S10), 스마트 단말(100)에 바코드 스캐너 앱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S10, N)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점원의 조작에 의해 바코드 스캐너 앱 다운로드 경로를 포함하는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출력 모듈(260)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다(S11). 한편,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바코드 스캐너 앱 다운로드 경로를 포함하는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 외에도, 바코드 스캐너 앱 다운로드 경로가 포함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해당 스마트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S12).
그리고 스마트 단말(100)은 바코드 또는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앱 스토어에 접속하고, 앱 스토어로부터 바코드 스캐너 앱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S13).
이후, 스마트 단말(100)은 고객 또는 점원의 조작에 의해 바코드 스캐너 앱을 실행한 후, 다운로드 된 바코드 스캐너 앱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 간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을 요청한다(S14). 여기서,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의 요청은 점원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메인 화면의 메뉴 선택을 조작하여 장비설정의 스캐너 항목에서 연결하기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100)에 바코드 스캐너 앱이 구비되어 있다면(S10, Y)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을 요청할 수 있다(S14). 여기서,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 요청은, 점원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의 출력 모듈(260)을 통해 출력되는 메인 화면에서 장비 설정 메뉴를 선택하고 스캐너 항목의 연결하기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스캔연동 관리서버(2O0)에서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포함된 인증코드를 출력 모듈(260)을 통해 화면 상에 출력한다(S15).
이에 스마트 단말(100)에서 바코드 스캐너 앱이 실행된 상태에서 인증코드를 스캔하여 인식하면(S16), 스마트 단말(100)의 바코드 스캐너 앱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 간 동기화가 수행된다(S17).
그러면, 스마트 단말(100)에서 바코드 스캐너앱의 스캔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고 카메라 출력 화면이 스캔 대기 화면으로 전환된다(S18).
도 4는 도 3에 따른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 과정의 실제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바코드 스캐너 앱의 다운로드 경로를 포함하는 앱 설치 안내 QR코드의 일 예를, (b)는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출력된 메뉴 화면에서 스캐너 항목이 포함된 화면의 일 예를, (c)는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와 스마트 단말(100)의 바코드 스캐너 앱을 연결하기 위한 인증코드의 일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점원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메인 화면 중 장비 설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 스캐너 항목을 선택한 후, 바코드 스캐너 앱이 스마트 단말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 도움말 항목을 선택하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와 연동가능한 바코드 스캐너 앱의 다운로드 경로를 포함하는 앱 설치 안내 QR코드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스마트 단말이 화면 상에 출력된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촬영하면, 바코드에 포함된 다운로드 경로에 접속하여 바코드 스캐너 앱을 다운로드하게 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점원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메인 화면 중 장비 설정 메뉴의 하위 항목 중 스캐너 항목을 선택하면, 현재 바코드 스캐너 앱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 단말 기기 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며, 현재 연결 중인 기기가 없으면 '연결 중인 스캐너가 없습니다.'와 같은 문구가 출력된다. 이에 점원이 '연결하기' 항목을 선택하여 스마트 단말을 스캐너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점원이 도 4의 (b)에 도시된 '연결하기' 항목을 선택하면, 인증코드(예를 들어, QR코드)가 출력되고, 스마트 단말은 바코드 스캐너 앱의 실행을 통해 구동된 카메라를 통해 출력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바코드 스캐너 앱에 인식시킨다. 여기서, 인증코드는 각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기기별로 다른 식별코드를 갖도록 생성된다. 이를 통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연동되는 스마트 단말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스마트 단말별로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주문 목록을 중복되지 않도록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와 스마트 단말 간 상품별 바코드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연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 과정을 통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와 스마트 단말(100)의 바코드 스캐너 앱이 연동되어 동기화 된 상태이다(S20).
그러면, 바코드 스캐너 앱이 실행된 상태에서 스캔연동 관리 서버(200)와 동기화된 스마트 단말(100)은 스캔 모드로 전환되고(S21), 점원이 바코드를 매칭하여 등록할 상품의 상품 수정 메뉴에서 바코드 항목의 '+등록'을 선택하면(S22),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는 스캔된 바코드 정보가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되기를 대기한다(S23).
이에 스마트 단말(100)에서 상품과 매칭할 바코드가 스캔되고(S24),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 전달한다(S25).
그러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는 전달된 바코드 정보를 상품에 매칭하여 해당 상품의 바코드로 등록하고, 상품 수정 메뉴의 바코드 항목에 바코드 정보를 기입하여 저장한다(S26).
도 6은 도 5에 따른 상품별 바코드 등록 과정의 실제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상품 수정 메뉴 선택시 출력되는 예시 화면을, (b)는 바코드 항목의 등록 선택시 출력되는 예시 화면을, (c)는 바코드 등록에 기입된 바코드 정보의 예시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점원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메인 화면에서 상품 수정 메뉴를 선택하고, 상품 수정 메뉴의 선택에 의해 출력되는 상품 수정 화면에서 바코드 항목의 '+등록'(빨간 네모 표시)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해당 상품의 바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점원이 도 6의 (a)에 도시된 상품 수정 화면에서 바코드 항목의 '+등록'(빨간 네모 표시)을 선택하면, '바코드 스캐너 앱을 켜서 바코드를 등록시켜주세요'라는 안내 문구가 표시된다.
이에 점원이 스마트 단말(100)의 바코드 스캐너 앱을 실행시킨 후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두 기기를 동기화시키고, 스마트 단말(100)의 스캔 모드가 활성화되면, 등록할 바코드를 스캔한다.
그러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0)에서 스캔된 바코드 정보가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 전달되고 전달된 바코드 정보(빨간 네모 표시)가 바코드 항목에 기입된다. 이때, 상품 수정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품의 바코드 등록이 완료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캔연동 관리서버와 스마트 단말 간 주문목록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연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코드 스캐너 앱 연동 과정을 통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와 스마트 단말(100)의 바코드 스캐너 앱이 연동되어 동기화 된 상태이다(S30).
그러면, 바코드 스캐너 앱이 실행된 상태에서 동기화된 스마트 단말(100)은 스캔 모드로 전환되고(S31),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메인 화면에서 상품 또는 테이블 메뉴를 선택한 후 주문 화면 상태에서 주문 정보의 수신을 대기한다(S32). 여기서, 주문 정보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한 바코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점원 또는 고객이 스마트 단말(100)의 카메라를 이용해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고(S33), 스마트 단말(100)에서 스캔된 바코드 정보를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 전달한다(S34).
그러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수신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하는 상품명을 검색하고,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상품명을 주문 목록에 자동으로 추가하여 주문 화면 상에 출력한다(S35). 이때, 상품명이 주문 목록에 추가될 때 기본 수량은 1로 설정되며, 동일한 바코드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수량이 1씩 증가되도록 설정한다.
이어서 점원이 결제 항목을 선택하면(S36, Y)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주문 목록에 따른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를 POS 시스템(500)으로 요청하여 진행할 수 있다(S37). 한편, 스캔연동 관리서버(200)가 POS 시스템(500)으로 구현될 경우, 직접 결제를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점원이 결제 항목을 선택하지 않으면(S36, N) 스캔연동 관리서버(200)에서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주문 정보의 수신을 계속 대기한다(S32).
도 8은 도 7에 따른 주문목록 생성 과정의 실제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연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100)에서 카메라를 이용해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면, 스캔된 바코드 정보가 스캔연동 관리서버(200)로 전달되고, 전달된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하는 상품명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명을 주문 화면의 주문 목록에 출력한다. 주문 화면의 좌측에는 상품의 카테고리별 상품 목록이 표시되고, 주문 화면의 우측에는 주문 목록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고객이 브라우니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점원이 브라우니의 바코드를 스마트 단말(100)의 카메라를 이용해 스캔하면, 스캔연동 관리서버(200) 또는 POS 시스템(500)에서 제공하는 주문 화면 상에서 주문 목록에 브라우니가 출력된다(빨간 네모 표시). 주문 목록의 하단에는 총 주문 수량과 결제 금액이 표시되며, 이때, 점원이 결제 금액을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단말 200. 스캔연동 관리서버
300. 바코드 스캐너 앱 400. 네트워크 통신망
500. POS 시스템

Claims (3)

  1. 카메라를 구비한 스마트 단말; 및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앱의 설치를 지원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스캐너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기기별로 다른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생성된 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연동 관리 모듈과,
    스캐너 연동을 요청하는 스마트 단말별로 다른 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인증코드 생성모듈과,
    무선 프린터기와 연동되며, 바코드별로 다른 식별정보를 갖도록 구성된 바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를 상기 무선 프린터기를 통해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프린트하도록 제어하는 바코드 생성 모듈과,
    상품 카테고리, 상품명 및 가격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스티커형 인쇄매체에 프린트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획득된 바코드 정보가 전달되면, 입력된 상품의 상세 정보와 매칭되도록 전달된 바코드 정보를 등록하여 상품 등록을 수행하는 바코드 등록 모듈과,
    연동된 스마트 단말로부터 스캔을 통해 획득된 바코드 정보와 함께 인증코드의 식별코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된 상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의 상품명 및 가격을 이용해 주문 목록을 생성하는 주문정보 생성 모듈과,
    각 모듈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과,
    상기 스마트 단말 및 POS 시스템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POS 시스템의 상품 등록, 주문 입력 및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스캔연동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바코드 스캐너 앱을 구비하며, 상기 바코드 스캐너 앱이 실행됨에 따라 구비된 카메라가 구동되고, 구동된 카메라를 통해 출력된 인증코드를 촬영하여 인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캐너 앱과 상기 스캔연동 관리서버 간 스캐너 연동을 수행하여 동기화되고, 상기 스캐너 연동에 따른 스캔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어 카메라 출력 화면이 스캔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스캔 대기 화면을 통해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상품의 바코드 정보 및 인증코드의 식별코드 정보를 함께 상기 주문정보 생성 모듈로 전달하며,
    상기 주문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달된 인증코드의 식별코드 정보 및 스캔된 상품의 바코드 정보를 이용해 전달된 인증코드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하나의 주문 목록을 작성하고, 다수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각각 인증코드의 식별코드 정보 및 상품의 바코드 정보가 동시에 수신되면, 전달된 인증코드의 식별코드별로 수신된 상품의 바코드 정보를 분류하여 각각의 주문 목록을 생성하되, 수신된 상품의 바코드 정보에 매칭된 상품의 상세 정보를 독출하여 상품명 및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목록을 작성하고,
    동일 상품명에 대한 주문 수량이 1개 이상일 경우, 해당 상품명의 주문 정보를 다른 주문 정보와 구분되도록 별도의 색으로 표시하여 출력하면서, 해당 상품명의 주문 수량이 맞는지 확인을 요청하는 수량 확인 알림을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수량 확인 알림을 상기 스마트 단말로 통지한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메시지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명의 주문 수량을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관리 모듈은,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앱의 설치를 지원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바코드 스캐너 앱의 설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앱 설치 안내 QR코드를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스캐너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시스템.
KR1020210086790A 2021-07-02 2021-07-02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9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790A KR102293247B1 (ko) 2021-07-02 2021-07-02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790A KR102293247B1 (ko) 2021-07-02 2021-07-02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247B1 true KR102293247B1 (ko) 2021-08-25

Family

ID=7749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790A KR102293247B1 (ko) 2021-07-02 2021-07-02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2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028A (ko) * 2002-09-17 2004-03-27 유선진 모바일폰 이미지 바코드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주문결재방법
KR100817244B1 (ko) 2006-04-10 2008-03-27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포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124030A (ko) * 2013-04-15 2014-10-24 이준희 중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625A (ko) * 2017-07-03 2017-07-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단말을 이용한 매장 주문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028A (ko) * 2002-09-17 2004-03-27 유선진 모바일폰 이미지 바코드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주문결재방법
KR100817244B1 (ko) 2006-04-10 2008-03-27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포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124030A (ko) * 2013-04-15 2014-10-24 이준희 중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625A (ko) * 2017-07-03 2017-07-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단말을 이용한 매장 주문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951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facilitating in-store or near-store ordering and payment of goods and services through a single-tap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
US9747632B2 (en) Store mobile cloud applicatio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customer order fulfillment and method for retail establishment
US8831981B2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JP2014510327A (ja) 電子取引記録の配信システム
AU2013207852A1 (en) Financial card method, device and system utilizing bar codes to identify transaction details
KR101339651B1 (ko) 대면거래에서의 온라인 결제 방법
KR101954642B1 (ko)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79197A1 (en) Commodity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US2020020241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ulfilling orders
EP2870574A1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JP6175201B1 (ja) ショッピング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1329678B2 (en) Financial card method, device and system utilizing bar codes to identify transaction details
JP2012048528A (ja) 購入支援システム
CN111435517B (zh) 商品数据处理装置及控制方法、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KR20170048293A (ko) 원격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293247B1 (ko)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 연동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50135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메뉴 자동주문 방법
JP201916017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
US20210090056A1 (en) Store checkout verification system
WO2022123451A1 (en) Store checkout verification system
KR20120011347A (ko) 매장 그룹 별 주문 값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20170028067A (ko) 원격 주문 시스템 및 방법
JP7447592B2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TWI811797B (zh) 使用移動終端發送收據資訊的系統和方法
KR20150025139A (ko) 자동응답 주문 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