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534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534A
KR20120138534A KR1020110058085A KR20110058085A KR20120138534A KR 20120138534 A KR20120138534 A KR 20120138534A KR 1020110058085 A KR1020110058085 A KR 1020110058085A KR 20110058085 A KR20110058085 A KR 20110058085A KR 20120138534 A KR20120138534 A KR 20120138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smart phone
turn
server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1005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8534A/ko
Publication of KR20120138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객장 내에 위치한 대기표 발급기, 대기표 발급기에 접속하여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는 스마트폰, 대기표 발급기 또는 스마트폰과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의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으로서, 스마트폰에 내장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대기표 발급기에 접속하고, 스마트폰에서 객장 내 제공메뉴와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발급요청을 입력받고, 대기표 발급기로부터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이 표시된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고, 스마트폰에서 대기표 발급기와의 접속이 단절되었음이 판단되면 사용자가 객장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고, 스마트폰에서 대기순서가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에 근접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상대기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해당 대기순번에 근접할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기순번을 예약하고 자신의 차례가 도래할 때까지 객장을 떠날 수 없었던 이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METHOD OF SERVICING A WAITING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순번대기순서로 작업을 진행하는 각종 장소에서의 순번 대기 처리를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이나 극장, 병원, 대형 음식점, 운전면허 시험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각기 특정한 작업(예컨대 은행의 경우는 입출금, 대출, 상담업무)을 진행하기 위한 상근 인원과 업무창구가 제한되어 있는데 비해서 해당 작업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과다하여 차례대로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의 해소를 위해 번호 대기표를 순서대로 인쇄하여 발생하는 순번 대기표 발행기를 통해 사용자가 번호 대기표를 순서적으로 뽑아서 대기하게 되면, 별도의 번호 표시판을 통해서 대기하고 있는 번호를 순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자신의 순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번호표 발급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번호표 발급 시스템은 인쇄된 번호표를 사용자가 직접 수령한 후에 해당 번호가 번호표시판에 표시되거나 안내 방송이 송출되는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오프라인 방식으로 운영하다 보니 사용자는 객장에 직접 가서 번호표를 발급받을 수 밖에 없으며 번호표시판이나 안내방송을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순번 대기자가 매우 많아 자신의 차례가 도래할 때까지 장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 경우라 할지라도 대기 시간을 정확히 산출할 수가 없었으므로 창구를 떠날 수 없도록 하는 등 이용상의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객장에 진입하지 않고도 서버를 통해 근처에 있는 객장의 순번을 예약하여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객장에 진입하여 대기표 발급기와의 접속을 통해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고, 해당 객장을 벗어나서 대기표 발급기와의 접속이 단절되면 경고메시지를 송출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대기표 발급기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대기표 발급기와 접속하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고, 해당 객장을 벗어나면 경고메시지를 송출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위치에 근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해 객장과 상기 객장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선택받고, 해당 메뉴에 대한 대기표 발급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이 표시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고,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은 후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해 대기해지 요청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대기해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해당 대기번호를 해지하고 대기인원수를 차감하고, 상기 대기해지 요청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서버에서 대기순서가 상기 대기번호에 근접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출한다.
한편, 서버는 객장내에서 오프라인으로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한 요청을 통해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를 모두 반영해서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을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의 누적된 대기인원과 미리 저장된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예상 대기시간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해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대기번호 이전의 누적 대기인원을 재산출하고,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현재의 업무처리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누적 대기인원과 상기 현재의 업무처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재산출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받은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기순서가 상기 대기번호에 근접함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대기번호 이전의 대기인원이 미리 설정된 값이면 상기 대기순서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대기번호에 근접함을 알리는 알람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서 진동방식, 벨방식, 문자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장서버, 상기 객장서버를 관리하는 본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은 객장 내에 위치한 대기표 발급기,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 접속하여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는 스마트폰, 상기 대기표 발급기 또는 스마트폰과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객장 내 제공메뉴와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발급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대기표 발급기로부터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이 표시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대기표 발급기와의 접속이 단절되었음이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객장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고,상기 스마트폰에서 대기순서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에 근접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대기표 발급기는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인터넷이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접속을 지원하는 신호송수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은 3G, WIFI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RF통신규약에 따를 수 있다.
또한, 대기표 발급기에서 객장내에서 오프라인으로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한 디지털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를 모두 반영해서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을 카운팅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의 누적된 대기인원과 미리 저장된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고,상기 예상 대기시간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해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대기번호 이전의 누적 대기인원을 재산출하고,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현재의 업무처리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누적 대기인원과 상기 현재의 업무처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재산출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받은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상기 대기표 발급기와의 접속이 단절되고, GPS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가 상기 객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을 벗어나면 대기해지 신호를 상기 서버에 자동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대기해지 신호를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의 대기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은 객장 내에 위치한 대기표 발급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는 스마트폰, 상기 대기표 발급기 또는 스마트폰과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으로서,상기 대기표 발급기는 상기 대기표 발급기의 고유번호와 발급된 대기표의 대기번호, 대기인원수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내장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상기 바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대기표 발급기와 접속하고,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대기표의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수 정보가 표시된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가 상기 객장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대기순서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에 근접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스마트폰에서 GPS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가 상기 객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을 벗어나면 대기해지 신호를 상기 서버에 자동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대기해지 신호를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의 대기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이동중 또는 해당 객장에 직접 도달하지 않고서도 물품을 미리 주문하거나 서비스 순서를 미리 예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불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이 배치된 객장은 페이퍼 형태의 순번대기표를 따로 발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발생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예상대기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해당 대기순번에 근접할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기순번을 예약하고 자신의 차례가 도래할 때까지 객장을 떠날 수 없었던 이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대기표 발급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대기표 발급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객장에 진입하지 않고도 근처에 있는 객장의 순번대기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온라인 방식을 지원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은 스마트폰(100), 본사서버(200) 및 복수의 객장 서버(30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0)은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인터넷을 경유하여 본사서버(200)에 객장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스마트폰(100)은 GPS기능과 연계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본사서버에 저장된 객장정보에서 근접객장을 검색한다. 한편, 본사서버(200)로부터의 객장정보는 스마트폰에서의 요청과 함께 스마트폰에 연계된 서버에 저장되거나, 본사서버에 실시간 스트리밍 검색을 시행하여 스마트폰과 근접한 객장을 검색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에 객장정보가 수신되면, 스마트폰(100)은 사용자로부터 객장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객장에서의 메뉴를 선택받는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순번생성을 요청하는 대기표 발급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스마트폰(100)은 대기표 발급신호를 송출한 결과 발급된 대기표를 화면에 표시하고, 대기해지요청 또는 실시간 대기시간정보확인의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객장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순번대기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스마트폰(100)의 사용자는 앱스토어 등에 업로드되어 있는 순번대기 서비스 구현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물론, 앱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해당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또는 버전업시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스마트폰(100)이 출시될 때 순번대기 서비스 구현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순번대기 서비스를 구현하는 스마트폰(100)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2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진동구동부(120), 제어부(130), 메모리부(140), 무선회로부(150), 근거리 통신부(160) 및 오디오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따른 명령을 인식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위에는 별도의 터치패널이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른 스마트폰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화면, 여러 가지 기능을 보여주는 메뉴화면,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화면, 이에 따른 결과화면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사용자는 이를 보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진동구동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진동자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진동구동부(120)는 발급받은 순번의 대기순서가 일정수준으로 근접하였을 경우 이를 알람하기 위해 진동벨이 울리도록 진동자를 구동시킨다.
상기한 진동구동부(120)에 의한 진동벨은 문자 수신이나 착신 전화 알람을 알리는 진동벨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문자수신이나 착신전화알람을 알리는 진동벨의 경우, 2초 진동과 2초 휴식이 반복되는 방식이라면 상기 순번근접을 알람하는 진동벨의 경우, 3초 진동과 10초 휴식이 반복되는 방식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진동구동부(120), 메모리부(140), 무선회로부(150), 근거리 통신부(160) 및 오디오 처리부(170)와 같은 구성요소들과의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100)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고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40)에 탑재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객장서버를 관리하는 본사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에 근접한 객장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수신된 객장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객장과 해당 객장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객장의 메뉴에 대한 순번 대기표를 요청할 것을 입력받으면 이를 해당 객장의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해당 객장에 순번 대기표 요청신호를 전송한 결과 발급받은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는 대기인수, 예상 대기시간의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대기를 해지하거나 실시간 대기시간을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는 해당 객장의 신상품 등을 소개하는 메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수신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대기를 해지하는 신호를 상기 객장 서버에 제공하는 동작과, 실시간 대기시간을 검색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객장 서버에 전송하고 그 결과 전송받은 실시간 대기시간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과, 객장 서버로부터 해당 매장의 신상품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부(140)는 보통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램(RAM:Random Access Memory) 및 롬(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플래쉬 메모리에는 기본적인 실시간 처리운영시스템(OS: operating system)과 스마트폰(100)의 호처리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며, 이들 프로그램의 변수 및 상태는 상기 램으로부터 읽어들여 동작시킨다. 상기 롬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고,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른 입/출력을 수행한다. 상기 롬에 저장되는 데이터로서는 지워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및 이름, 문자메시지, 동영상 등)등이다.
또한, 상기 플래쉬 메모리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non-volatile)메모리로서, 스마트폰(100)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경우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객장 서버를 관리하는 본사서버 또는 객장 서버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에 근접한 객장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동작과, 객장과 함께 객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메뉴 등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객장과 서비스메뉴에 대한 순번 대기표를 수신하는 동작과,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순번 대기를 해지하거나 실시간 대기시간을 수신받아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순번대기표의 대기순서에 미리 설정된 순번 앞으로 근접하였을 때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알람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순번근접의 알람동작은 진동방식, 벨방식, 문자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의 종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회로부(150)는 이동통신망과 통신채널을 설정하여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측의 전화기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부(160)는 객장 서버간에 설정된 근거리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객장 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 또는 순번근접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70)는 스마트폰(100)의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사 서버(200)는 객장정보 및 객장에서 제공되는 메뉴정보를 스마트폰(100)에 전송한다. 수신된 매장정보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스마트폰(100)에 표시되고, 특정 객장과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대기표가 발급되도록 스마트폰(100)과 객장서버(300)가 연결된다.
객장서버(300)는 본사 서버(200)로부터 스마트폰(100)의 정보가 수신되면, 스마트폰(100)과 무선인터넷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객장서버(300)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한 대기표를 발급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대기순번을 기초로 새로운 대기순번을 생성하여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스마트폰(100)에 송신한다. 이때 객장서버(300)는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예상 대기시간과 대기인원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객장서버(300)는 해당장소에서 직접 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와, 스마트폰(100)을 통해 모바일 순번 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를 모두 반영하여 현재 대기순번을 카운팅한다.
또한, 객장서버(300)는 직원 컴퓨터로부터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었음을 통보받으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한 대기상태를 해지한다. 또한,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대기해지 신호를 수신받으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한 대기상태를 해지한다. 이렇게 대기번호에 대한 대기상태가 해지됨으로써, 객장서버(300)는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의 대기순서가 도래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객장서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대기상태가 해지되는 경우를 반영하여 현재 대기인원수를 실시간으로 카운팅한다.
객장서버(300)는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여기서, 객장 서버(300)는 해당 객장에서 시간대별로 업무처리가 수행된 건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평균적으로 일인당 소요되는 업무처리시간을 산출한다.평균 업무처리시간이 산출되면, 객장 서버(300)는 시간대별 평균 업무처리시간을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베이스로 미리 저장시킨다. 예컨대, 오후 12시에서 1시 사이에 업무처리 건수가 20건이면, 평균적으로 동시간대에는 일인당 소요되는 업무처리시간이 5분임을 산출한다. 이런 방식으로 모든 업무시간대의 업무처리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다.
객장 서버(300)는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의 누적된 대기인원과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예컨대,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간이 오후 12시라면, 객장 서버(300)는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 베이스 상의 오후 12시에 속하는 업무처리시간이 5분임을 검색하고, 상기 대기인원수와 상기 검색된 업무처리시간을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객장 서버(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장 서버(300)는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누적 대기인원을 재산출하고, 상기 재산출된 누적 대기인원과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 베이스로 실시간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이로써, 순번을 기다리는 동안 타사용자의 대기상태가 해지되는 경우와, 대기시간이 예상보다 지체되는 경우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대기시간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타사용자의 대기상태가 해지되어 대기인원수가 감소하였을 경우 현재 대기인원수를 재반영하여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상 대기시간을 초과하여 업무가 지체되는 경우 현재의 업무시간대의 업무처리시간을 재반영하여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간이 오후 12시에서 1시 사이였으나 현재 시간이 오후 1시에서 2시사이라면 상기 현재시간에 상응하는 업무처리시간과 현재 대기인원을 기초로 예상 대기시간을 재산출한다.
객장서버(300)는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에 대기순서가 근접하게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스마트폰(100)에 송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객장서버(300)는 상기 할당된 대기번호 이전의 대기인원이 미리 설정된 값이면 대기순서가 근접하였음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알람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1~2명일 수 있다.
객장서버(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객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서비스 정보 또는 메뉴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본사서버와 객장서버가 분리되어 독립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순번대기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나 도 3과 같이 스마트폰의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서버(200)로 본사서버와 객장서버의 통합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서버(200)는 스마트폰(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근접하게 위치하는 객장정보와 상기 객장에서 제공되는 메뉴정보를 제공하고, 스마트폰(100)으로부터 객장과 메뉴의 선택 및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200)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대기해지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객장에서의 대기상태를 해지할 수 있고, 대기순서에 근접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스마트폰(100)과 서버(200)를 통한 순번대기 시스템의 구체적인 역할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로 대체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객장 외부에서 대기순번을 발급받는 순번대기 서비스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폰은 내부에 탑재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여부를 체크한다(410).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의 초기화면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는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켜 순번대기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도 5b와 같이 객장종류를 선택받는 스마트폰용 초기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5b와 같이 관공서, 음식점, 병원, 은행 등 대기순번을 예약할 객장의 종류를 선택한다.
객장의 종류가 선택되면, 스마트폰은 GPS기능과 연계하여 자신의 현재위치정보를 저장하고, 본사서버로부터 객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현재위치와 근접한 객장정보를 검색한다(420).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상에 근접객장의 정보와 객장제공메뉴를 도 5c와 같이 표시한다(430).
스마트폰은 도 5d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근접객장과 객장메뉴가 선택되고(440), 해당 메뉴에 대한 대기표 발급의 요청이 확인되면(450) 해당 객장서버에 대기표 발급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객장서버에 대기표 발급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객장서버는 도 5e와 같은 대기인원과 예상대기시간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스마트폰에 발급한다(460).
도 5e를 참조하면, 디지털 순번대기표는 대기번호와 대기인원 및 예상대기시간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대기해지요청의 메뉴 및 실시간 대기시간을 요청할 수 있는 새로고침 메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기해지 요청의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470), 해당 객장서버에 대기해지 요청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해당 객장서버는 해당 대기번호를 해제하고 대기인원 수를 하나 차감한다.
객장서버는 대기순서가 해당 대기번호에 근접한지를 판단하고(480),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스마트폰에 송출한다(49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중 또는 해당 객장에 직접 도달하지 않고서도 물품을 미리 주문하거나 서비스 순서를 미리 예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불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이 배치된 객장은 페이퍼 형태의 순번대기표를 따로 발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발생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예상대기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해당 대기순번에 근접할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기순번을 예약하고 자신의 차례가 도래할 때까지 객장을 떠날 수 없었던 이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객장에 진입하여 순번대기표를 발급받고, 해당 객장을 벗어날 경우 경고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순번대기 시스템은 대기표 발급기(500), 스마트폰(600) 및 서버(700)를 포함한다.
대기표 발급기(500)는 통상의 대기표 발행기와 외관이 유사하며 단지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송수신장치(52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신호송수신장치(520)는 대기표 발급기(510)의 외부에 따로 구비되어 연결되거나, 대기표 발급기(5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송수신장치(520)는 스마트폰(600)과 대기표 발급기(510) 간에 3G, WIFI등의 무선인터넷 또는 RF통신규약을 따르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대기표 발급기(510)는 도 7과 같이 조작부(511), 표시부(512),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13), 감지부(514), 제어부(515), 메모리부(516) 및 인쇄부(517)를 포함한다.
조작부(511)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조작명령의 입력을 처리한다.
표시부(512)는 일반적으로 LCD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며 조작부(511)의 입력에 따른 대기표 발급기의 현재상태나 또는 다음 처리될 대기번호를 표시한다.
통신부(513)는 유선 또는 무선의 랜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버와 연결된다. 통신부(513)는 서버로 카운트된 대기번호와 대기인원수를 송출하고, 서버로부터 예상 대기시간정보와 대기해지 신호를 수신한다.
메모리부(516)는 제어부(515)에 의해 카운트된 대기번호를 저장하고, 통신부(513)를 통해 수신한 예상 대기시간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515)는 인쇄부(517)를 통해 순번대기표를 인쇄출력하며, 사용자가 인쇄된 번호표를 뽑으면 감지부(514)에서 이를 감지하여 그 다음 순서의 번호를 인쇄부(517)를 통해 인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515)는 현재 대기번호와 대기인원수를 카운팅하고, 대기해지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대기번호의 대기상태를 해지하고 대기인원수를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15)는 객장내에서 통상적인 대기표 지급방식으로 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와 스마트폰으로부터 디지털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를 모두 반영해서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제어부(515)는 직원 컴퓨터로부터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었음을 통보받으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한 대기상태를 해지한다. 또한, 스마트폰으로부터 대기해지 신호를 수신받으면 해당 대기번호에 대한 대기상태를 해지한다. 제어부(515)는 상술한 바와 같은 대기상태가 해지되는 경우를 반영하여 현재 대기인원수를 실시간으로 카운팅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15)는 신호송수신장치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으로부터 대기표 발급요청이 수신되면 카운팅한 대기번호와 대기인원수 및 예상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인쇄부(517)는 통상적인 대기표 발급기에 익숙한 사용자나 또는 스마트폰을 소지하지 못한 사용자를 위하여 통상적인 대기표 발급기의 기능을 지원한다. 즉, 인쇄부(517)는 제어부(515)에 의해 카운팅된 대기번호와 대기인원수를 순번대기표에 인쇄한다.
스마트폰(600)은 대기표 정보수신과 사용자 조작을 처리하는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대기표 처리기능을 선택하면 스마트폰(600)은 대기표 발급기(500)에 연결 설정을 요청한다. 대기표 발급기(500)와 스마트폰(600)의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양자 구성은 3G, WIFI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또는 RF통신규약을 따르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대기표 발급기(500)와 연결이 완료된 스마트폰(600)은 사용자에게 객장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 등을 표시하고 이를 선택받을 수 있고,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한 대기표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600)은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기표 발급기와의 통신이 단절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통신이 단절되었음이 판단되면 객장을 벗어났음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600)의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은 GPS와 연동하여 스마트폰(6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600)은 자동대기 해지신호를 서버(700)에 자동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600)은 객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대기 해지신호를 서버(700)에 전송한다. 서버(700)는 상기 자동대기 해지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대기표 발급기(5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일정거리는 일반인의 보행속도를 고려하였을 경우 일정시간 내에 객장에 복귀하기 어려운 거리로 설정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일정거리는 300미터로 설정된다.
또한, 스마트폰(600)은 대기순서가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에 근접하게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600)은 상기 할당된 대기번호 이전의 대기인원이 미리 설정된 값이면 상기 대기번호에 근접하였음을 판단하고, 알람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1~2명일 수 있다.
그 밖의 스마트폰(600)의 상세 구성과 동작은 도 2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로 대체한다.
서버(700)는 대기표 발급기(500)로부터 전송받은 카운팅된 대기번호와 대기인원수와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서버(700)는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의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과 누적 대기인원수를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예컨대,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간이 오후 12시라면, 객장 서버는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 베이스 상의 오후 12시에 속하는 업무처리시간이 5분임을 검색하고, 상기 대기인원수와 상기 검색된 업무처리시간을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서버(7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서버(700)는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누적 대기인원을 재산출하고, 상기 재산출된 누적 대기인원과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 데이터 베이스로 실시간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이로써, 순번을 기다리는 동안 타사용자의 순번대기가 해지되는 경우와, 대기시간이 예상보다 지체되는 경우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대기시간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700)는 스마트폰(600)으로부터 대기해지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대기표 발급기에 전송한다.
또한, 서버(7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객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서비스 정보 또는 메뉴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순번대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순번대기 서비스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폰은 내부에 탑재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여부를 체크한다(811).
상기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811), 스마트폰은 대기표 발급기에 연결설정을 요청하고 무선인터넷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다(812).
스마트폰이 대기표 발급기에 접속되면(812), 스마트폰은 객장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표시하고(813), 사용자로부터 메뉴와 대기표 발급요청의 명령을 입력받는다(814).
대기표 발급요청의 명령이 입력되면(814), 대기표 발급기는 대기번호와 예상 대기시간 및 대기인원수가 표시된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815).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발급이 완료되면(815), 스마트폰은 대기표 발급기와 무선 인터넷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접속이 단절되었는지를 판단하고(816), 접속이 단절되면 사용자가 객장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표시한다(817).
또한, 스마트폰은 대기순서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에 근접하게 도래하였음이 판단되면(818)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819).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순번대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는 스마트폰과 GPS기능을 연계하여 스마트폰이 객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을 벗어나면 대기해지 신호를 서버에 자동전송하여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의 대기상태를 해지시킨다(826a 내지 827b).
그밖의 순번대기 서비스의 제공과정은 도 8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로 대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은 대기표 발급기(10), 스마트폰(900) 및 서버(1000)를 포함한다.
대기표 발급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 11을 참조하면, 대기표 발급기(10)는 통상의 대기표 발행기와 외관이 유사하나, 발급되는 대기표(20) 상에 바코드(21)를 인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표 발급기(10)는 조작부(11), 표시부(12), 통신부(13), 감지부(14), 제어부(15), 메모리부(16) 및 인쇄부(17)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어부(15)는 대기표 발급기의 고유번호, 대기번호, 대기인원수 및 예상대기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인코더(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바코드는 일차원 바코드, 이차원 바코드, 이미지 코드(QR)코드 및 워터마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폰(900)은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고, 스마트폰(90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번호표(20)에 출력된 바코드(21)를 디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은 디코딩된 바코드(21)의 정보를 기초로 대기표 발급기(10)와 접속하며, 바코드(21)에 포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은 GPS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위치가 객장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송출한다.
그 밖의 대기표 발급기(10), 스마트폰(900) 및 서버(1000)의 구성과 동작은 도 6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으로 대체한다.
본 실시예는 통상적으로 발급된 번호표의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모바일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2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은 대기표 발급기(10), 스마트폰(900) 및 서버(10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에에 따른 대기표 발급기(10)는 LCD화면과 같은 표시부에 대기번호, 대기인원수 등 통상의 대기표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바코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는 일차원 바코드, 이차원 바코드, 이미지 코드(QR)코드 및 워터마킹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표시부 표시된 대기번호, 대기인원 수의 정보 뿐만 아니라 대기표 발급기의 고유번호와 예상대기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본 실시예에 따른 순번대기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은 도 10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0으로 대체한다.
100: 스마트폰
200: 본사서버
300: 객장서버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위치에 근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해 객장과 상기 객장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선택받고, 해당 메뉴에 대한 대기표 발급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이 표시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고;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은 후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해 대기해지 요청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대기해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에서 해당 대기번호를 해지하고 대기인원수를 차감하고;
    상기 대기해지 요청이 입력되지 않고, 상기 서버에서 대기순서가 상기 대기번호에 근접함이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송출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객장내에서 오프라인으로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한 요청을 통해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를 모두 반영해서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을 카운팅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의 누적된 대기인원과 미리 저장된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예상 대기시간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통해 표시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해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대기번호 이전의 누적 대기인원을 재산출하고,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현재의 업무처리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누적 대기인원과 상기 현재의 업무처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재산출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받은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순서가 상기 대기번호에 근접함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대기번호 이전의 대기인원이 미리 설정된 값이면 상기 대기순서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번호에 근접함을 알리는 알람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서 진동방식, 벨방식, 문자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7. 객장 내에 위치한 대기표 발급기,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 접속하여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는 스마트폰, 상기 대기표 발급기 또는 스마트폰과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객장 내 제공메뉴와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발급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대기표 발급기로부터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이 표시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대기표 발급기와의 접속이 단절되었음이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객장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대기순서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에 근접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표 발급기는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인터넷이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한 접속을 지원하는 신호송수신장치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은 3G, WIFI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RF통신규약에 따르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서 객장내에서 오프라인으로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한 디지털 순번대기표가 발행되는 경우를 모두 반영해서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을 카운팅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 발급시의 누적된 대기인원과 미리 저장된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예상 대기시간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표시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조작을 통해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의 대기번호 이전의 누적 대기인원을 재산출하고, 상기 시간대별 업무처리시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현재의 업무처리시간을 검색하고, 상기 누적 대기인원과 상기 현재의 업무처리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재산출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받은 실시간 예상 대기시간을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대기표 발급기와의 접속이 단절되고, GPS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가 상기 객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을 벗어나면 대기해지 신호를 상기 서버에 자동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대기해지 신호를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의 대기상태를 해지시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14. 객장 내에 위치한 대기표 발급기,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발급받는 스마트폰, 상기 대기표 발급기 또는 스마트폰과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기표 발급기는 상기 대기표 발급기의 고유번호와 발급된 대기표의 대기번호, 대기인원수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내장된 순번대기 요청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상기 바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대기표 발급기와 접속하고;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대기표의 대기번호 및 대기인원수 정보가 표시된 디지털 순번대기표를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가 상기 객장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대기순서가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에 근접하면 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GPS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가 상기 객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을 벗어나면 대기해지 신호를 상기 서버에 자동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대기해지 신호를 상기 대기표 발급기에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순번대기표에 할당된 대기번호의 대기상태를 해지시키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KR1020110058085A 2011-06-15 2011-06-15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KR20120138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085A KR20120138534A (ko) 2011-06-15 2011-06-15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085A KR20120138534A (ko) 2011-06-15 2011-06-15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534A true KR20120138534A (ko) 2012-12-26

Family

ID=4790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085A KR20120138534A (ko) 2011-06-15 2011-06-15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85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50B1 (ko) * 2013-02-28 2014-12-22 김정원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KR101536168B1 (ko) * 2013-04-11 2015-07-1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103877A (ko) 2015-02-25 2016-09-02 박영철 비컨 신호를 이용한 순번 대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5130A (ko) * 2019-11-06 2021-05-17 주식회사 우리은행 실시간 금융 영업점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14220211A (zh) * 2021-12-27 2022-03-22 咪咕音乐有限公司 视频彩铃排号提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50B1 (ko) * 2013-02-28 2014-12-22 김정원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KR101536168B1 (ko) * 2013-04-11 2015-07-1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103877A (ko) 2015-02-25 2016-09-02 박영철 비컨 신호를 이용한 순번 대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5130A (ko) * 2019-11-06 2021-05-17 주식회사 우리은행 실시간 금융 영업점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14220211A (zh) * 2021-12-27 2022-03-22 咪咕音乐有限公司 视频彩铃排号提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33133A1 (en) Vehicle-Parking Services
CA2944765A1 (en) Micro video assistant
KR101875145B1 (ko) 앱(App)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853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JP6179686B1 (ja) 認証システム、及び、サーバー
US20130096963A1 (en) Check-in system and method for lodging establishments
KR20160060185A (ko) 음식 주문 방법
EP3319019A1 (en) Queue managemen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queue management program
CN111247519A (zh) 认证系统及服务器
KR101505995B1 (ko) Nfc 지능형 순번 대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번호표 발급방법.
JP201908290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50828A (ko)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43207B1 (ko) 매장 정보를 매장 방문 고객에게 제공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KR20190021883A (ko) 고객대기순번 관리시스템
KR20140112690A (ko) 휴대장치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3832B1 (ko) 테블릿형 승차권 자가 발매기
US20150025955A1 (en) System for enrollment of customers into company loyalty programs
KR101898285B1 (ko) 셀프장비 사용 방법
JP2020030834A (ja) 宿泊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宿泊施設利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09276A (ko) 감성 조명 및 사운드 연동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식당 테이블 시스템
KR102473195B1 (ko)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KR2020000350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20140016007A (ko) Nfc를 통한 간편 차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102370351B1 (ko) 실시간 원격 대기 신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50108482A (ko) 대기표 처리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 대기표 처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