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195B1 -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195B1
KR102473195B1 KR1020210097145A KR20210097145A KR102473195B1 KR 102473195 B1 KR102473195 B1 KR 102473195B1 KR 1020210097145 A KR1020210097145 A KR 1020210097145A KR 20210097145 A KR20210097145 A KR 20210097145A KR 102473195 B1 KR102473195 B1 KR 102473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store
reques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 헬로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헬로팩토리 filed Critical (주) 헬로팩토리
Priority to KR102021009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195B1/ko
Priority to PCT/KR2021/009620 priority patent/WO2023003063A1/ko
Priority to US17/429,267 priority patent/US2024003763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는 고객으로부터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고객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평가 메뉴 요청이 입력되면,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 및 주문 평가 요청 메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평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평가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평가 정보 및 상기 테이블 정보에 포함된 테이블 식별 정보가 평가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매장 단말로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in store}
본 발명은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을 방문한 고객으로부터 매장,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평가 정보 및 설문 정보를 수집하고,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고객이 찾는 서비스 장소에서 고객이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손을 들거나 혹은 큰 소리로 운영자 또는 종업원을 불러야 한다. 그러나 손만 들 경우, 업소 운영자 또는 종업원이 인지하기 어렵고, 큰 소리로 부르는 경우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업소에 설치되는 무선 호출 시스템은 손님이 앉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복수의 테이블이 존재하며 복수의 테이블 각각에는 무선 호출벨이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테이블에 앉아 서비스를 받기 위해 무선 호출벨을 눌러 직원을 호출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직원이 테이블에 오기만을 기다려야 하며 해당 직원의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직원을 평가할 별도의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무선 호출벨 시스템은 무선호출 수신기가 하나의 주파수의 무선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주파수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호출 송신기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무선호출 송신기 및 무선호출 수신기중 하나가 고장 나면, 상기 주파수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호출 송신기 또는 무선호출 수신기를 구매하여야만 하므로 유지보수가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무선 호출벨 시스템은 동일 주파수의 무선호출 송신기 또는 무선호출 수신기를 구매하지 못하는 경우, 기존 고장 나지 않은 무선호출 송신기 및/또는 무선호출 수신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무선호출 시스템 전체를 재구매하여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주파수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매장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종래 무선 호출벨 시스템이 개선되었으나, 종래 무선 호출벨 시스템은 단순히 호출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고객에게 다양한 매장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8404호, 2010.12.08 공개
본 발명은 매장을 방문한 고객으로부터 매장,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평가 정보 및 설문 정보를 수집하여 매장에 대한 고객의 피드백을 매장 관리제에게 제공할 수 있는 매장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는 고객으로부터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고객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평가 메뉴 요청이 입력되면,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 및 주문 평가 요청 메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평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평가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평가 정보 및 상기 테이블 정보에 포함된 테이블 식별 정보가 평가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매장 단말로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으로부터 이전에 입력된 서비스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으로부터 이전에 입력된 주문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주문 평가 요청 메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 인증을 수행하는 고객 인증 페이지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코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획득된 테이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주문 요청이 입력되면, 주문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혜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혜택 정보를 고객 정보에 매칭시켜 추가할 수 있는 혜택 코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혜택 코드는 상기 요청 주문 정보에 따른 적립 혜택 크기 정보 및 상기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획득된 테이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 매장 내 직원이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 전달 정보 또는 고객 알림이 수신되면, 상기 고객 전달 정보 또는 상기 고객 알림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전달 정보 또는 상기 고객 알림에 대응되는 알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을 방문한 고객으로부터 매장,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평가 정보 및 설문 정보를 수집하여 매장의 서비스 및 상품의 개선 기준이 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와 다른 구성 요소 간의 통신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와 테이블 정보 태그 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포함된 입력부의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매장 정보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주문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주문 현황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결제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평가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인증 코드 및 혜택 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와 다른 구성 요소 간의 통신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는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500)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 내에 위치하여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사항을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하거나 처리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는 매장의 각 테이블에 위치하여, 고객이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신호를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및 서버(400)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는 고객으로부터 요청된 주문을 서비스 제공자에 전달하기 위해 주문 요청 신호를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및 서버(400)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는 식당, 노래방, 주점, 스크린골프, 볼링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에 위치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직원 단말(200)은 매장 내에서 근무하는 직원 각각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원 단말(200)은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직원 단말(200)은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 및 표시하여 고객으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됨을 직원에게 알릴 수 있다.
매장 단말(300)은 매장 내에 위치하여 직원 또는 매장 운영자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단말(300)은 포스 장치일 수 있다.
매장 단말(300)은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직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매장 단말(300)은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로부터 주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요청된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
서버(400)는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로부터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5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매장 운영에 과정에서 생성되는 매장 운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 운영 정보는 매장에서 발생한 서비스 요청, 주문 및 매출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고객 단말(500)은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500)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고객 단말(500)은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500)은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하거나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표시된 전자 코드를 인식하여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결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코드는 QR(Quick Response;QR) 코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와 테이블 정보 태그(10) 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면,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프로세서(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테이블 정보 태그(10),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5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테이블 정보 태그(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500)과 범용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 통신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NFC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범용 무선 통신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이거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WiFi(Hi-Fi·High Fidelity), BlueTooth,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LTE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범용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테이블 정보 태그(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로 테이블 정보 태그(10)와 이격된 경우, 테이블 정보 태그(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테이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 정보는 테이블 정보 태그(10)가 위치한 테이블의 테이블 식별 정보 및 테이블 정보 태그(10)가 위치한 매장의 매장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테이블 정보 태그(10)는 테이블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 요청 신호 및 주문 요청 신호를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및 서버(400)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140)에 의해 생성된 장치 상태 정보를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및 서버(400)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및 서버(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매장 내 직원이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 전달 정보 또는 고객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120)의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입력부(120)는 고객으로부터 다양한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고객으로부터 버튼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20)는 고객으로부터 이동 버튼(B1, B2, B3)에 푸쉬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메뉴 이동 버튼(B1, B2, B3)에 푸쉬 입력이 입력되면 고객으로부터 메뉴 변경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메뉴의 선택 상태 정보가 변경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는 고객으로부터 메뉴 선택 버튼(B4)에 푸쉬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메뉴 이동 버튼(B1, B2, B3)에 푸쉬 입력이 입력되면 현재 선택 상태인 메뉴에 대응되는 요청 및 정보가 선택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선택 입력된 요청 및 정보에 대응되는 메뉴 및 정보를 표시가 선택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선택 입력된 메뉴 및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서비스 메뉴 요청, 서비스 요청, 매장 정보 메뉴 요청, 매장 정보 요청, 주문 메뉴 요청, 주문 요청, 결제 메뉴 요청, 결제 요청, 평가 메뉴 요청 및 평가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는 컬러 액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130)는 저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는 E-paper 또는 고해상도의 High Resolution Circular Screen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3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EPD(Electronic Paper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고객의 요청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 고객의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0)는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및 서버(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통신부(110)에 매장 내 직원이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 전달 정보 또는 고객 알림이 수신되면, 수신된 고객 전달 정보 또는 고객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의 입력, 통신부(110)에 수신되는 정보에 따른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포함된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서비스 메뉴(M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포함된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매장 정보 메뉴(M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포함된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주문 메뉴(M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포함된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주문 현황 정보(O1, O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포함된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결제 메뉴(M4)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포함된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평가 메뉴(M5)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포함된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인증 코드(Q1) 및 혜택 코드(Q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고객으로부터의 입력부(120) 입력에 따라 메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부(120)에 회전이 입력되면 서비스 메뉴(M1), 매장 정보 메뉴(M2), 주문 메뉴(M3), 결제 메뉴(M4) 및 평가 메뉴(M5)를 순서대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서비스 메뉴(M1), 매장 정보 메뉴(M2), 주문 메뉴(M3), 결제 메뉴(M4) 및 평가 메뉴(M5)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세부 메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메뉴(M1)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서비스 메뉴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호출 서비스 요청 메뉴(M1-1), 계산서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2), 물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3) 및 넵킨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4)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호출 서비스 요청 메뉴(M1-1), 계산서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2), 물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3) 및 넵킨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4) 중 어느 하나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표시된 서비스 요청 메뉴(M1-1, …, M1-4)에 대응되는 서비스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호출 서비스 요청 메뉴(M1-1)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호출 서비스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계산서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2)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계산서 전달 서비스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물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3)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물 전달 서비스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넵킨 전달 서비스 요청 메뉴(M1-4)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넵킨 전달 서비스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호출 서비스 요청은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인 직원 또는 매장 운영자를 고객이 위치한 테이블로 호출하는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계산서 전달 서비스 요청은 서비스 제공자인 직원 또는 매장 운영자에게 고객이 위치한 테이블로 계산서를 전달받기 원함을 의미할 수 있다. 물 전달 서비스 요청은 서비스 제공자인 직원 또는 매장 운영자에게 고객이 위치한 테이블로 물을 전달받기 원함을 의미할 수 있다. 넵킨 전달 서비스 요청은 서비스 제공자인 직원 또는 매장 운영자에게 고객이 위치한 테이블로 넵킨을 전달받기 원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된 서비스 요청은 호출, 계산서 전달, 물 전달 및 넵킨 전달을 요청함을 의미하였으나, 요청되는 물건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서비스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서비스 정보 및 테이블 정보에 포함된 테이블 식별 정보가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직원 단말로 송신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서비스 정보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요청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으로써, 호출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요청 서비스 정보는 호출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요청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직원 단말(200)에 수신되면, 직원에게 고객이 요청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테이블 정보가 획득되었는지 확인하고, 테이블 정보가 획득되었으면 테이블 정보에 포함된 테이블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40)는 테이블 정보가 미획득되었으면,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와 테이블 정보 태그(10) 간의 태깅을 유도하는 태깅 유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고, 테이블 정보 태그(10)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획득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확인된 테이블 식별 정보와 매핑된 직원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직원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직원 단말(200)로 요청 서비스 정보와 테이블 식별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테이블-직원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테이블 식별 정보와 매핑된 직원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 테이블 식별 정보에 매핑된 테이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테이블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테이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송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직원 단말(200)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송신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테이블-위치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테이블 식별 정보와 매핑된 테이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테이블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테이블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송신 범위 내의 영역을 송신 영역으로 설정하고, 매장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직원 단말(200)로부터 통신부(110)에 수신된 직원 단말 위치 정보 각각이 나타내는 직원 단말 위치 중에서 송신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직원 단말 위치에 대응되는 직원 단말(200)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과 근접한 직원에 모두에게 서비스를 요청하여 요청된 서비스가 신속하게 처리되도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정보 메뉴(M2)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매장 정보 메뉴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벤트 정보 요청 메뉴(M2-1) 및 할인 정보 요청 메뉴(M2-2)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부(120)에 회전이 입력되면 이벤트 정보 요청 메뉴(M2-1) 및 할인 정보 요청 메뉴(M2-2)를 순서대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이벤트 정보 요청 메뉴(M2-1) 및 할인 정보 요청 메뉴(M2-2) 중 어느 하나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표시된 정보 요청 메뉴(M2-1, M2-2)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이벤트 정보 요청 메뉴(M2-1)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이벤트 정보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할인 정보 요청 메뉴(M2-2)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할인 정보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 정보 요청은 매장에 대한 정보 요청이며, 구체적으로, 이벤트 정보 요청은 매장에서 현재 시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요청이며, 할인 정보 요청은 매장에서 현재 시행되는 할인에 대한 정보 요청일 수 있다. 또한, 매장 정보 요청은 이벤트 정보 및 할인 정보 외에 매장 공지사항 정보 및 매장 광고 정보의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매장 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매장 정보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매장 정보를 매장 정보 중에서 검색하고, 테이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매장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테이블 적합 매장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테이블 적합 매장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매장 정보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매장 정보 요청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매장 정보 요청으로써, 할인 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요청 매장 정보는 할인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매장 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미리 설정된 갱신 주기 마다 서버(400)로 최신의 매장 정보를 요청하는 매장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매장 정보 갱신 요청 신호의 응답으로 통신부(110)로 매장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매장 정보를 통신부(110)로 수신된 매장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40)는 매장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정보 및 할인 정보 중에서 고객이 요청한 매장 정보를 나타내는 요청 매장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테이블 식별 정보와 테이블 정원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정원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테이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테이블 정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테이블 정원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매장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장 정보를 테이블 적합 매장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할인 정보 요청이 입력되고, 테이블 식별 정보에 매핑된 테이블 정원 정보가 4인인 경우, 매장 정보 중에서 할인 정보를 검색하고, 할인 정보 중에서 4인에게 적용될 수 있는 할인 정보만을 테이블 적합 매장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테이블 적합 매장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40)는 매장 정보를 요청한 고객에게 모든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점유한 테이블에 대응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매장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메뉴(M3)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주문 메뉴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테이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를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로 선택하고, 선택된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주문 요청 메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테이블 식별 정보와 테이블 정원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정원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테이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테이블 정원 정보를 확인하고,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품 정보를 테이블 정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주문 메뉴 요청이 입력되고, 테이블 식별 정보에 매핑된 테이블 정원 정보가 4인인 경우, 상품 정보 중에서 4인에게 제공될 수 있는 상품 정보를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40)는 주문 메뉴를 요청한 고객에게 매장에서 판매하는 모든 상품의 상품 정보를 상품 주문 요청 메뉴에 포함시켜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점유한 테이블에 대응하여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 정보만을 상품 주문 요청 메뉴에 포함시켜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시간 정보 및 요일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편집하고, 편집된 상품 정보 중에서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40)는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매장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가 2개 선택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로써 제1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와 제2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가 선택되면, 제1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1) 및 제1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2)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부(120)에 회전이 입력되면 제1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1) 및 제1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2)를 순서대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제1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1) 및 제1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2) 중 어느 하나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표시된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1, M3-2)에 대응되는 주문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1)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제1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 요청하는 제1 상품 주문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2 상품 주문 요청 메뉴(M3-1)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제2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을 주문 요청하는 제2 상품 주문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요청은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주문 요청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주문 요청이 입력되면, 주문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주문 정보 및 테이블 식별 정보가 주문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매장 단말(300)로 송신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주문 정보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이 나타내는 주문 상품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주문 요청 신호를 송신한 이후, 미리 설정된 갱신 시간 마다 주문 현황 요청 신호를 매장 단말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현황 요청 신호의 응답으로 수신된 주문 현황 정보(O1, O2)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현황 정보는 주문된 상품의 출고 단계를 나타내는 출고 단계 정보(O1) 및 주문된 상품의 출고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출고 예정 시간 정보(O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10)에 주문된 상품이 출고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품 출고 신호가 수신되면, 주문 요청 신호를 송신한 주문 시점으로부터 상품 출고 신호가 수신된 출고 시점까지의 대기 시간을 산출하여 매장 단말(3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매장 관리자는 주문된 상품의 출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메뉴(M4)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결제 메뉴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NFC 결제 요청 메뉴(M4-1) 및 QR코드 결제 요청 메뉴(M4-2)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부(120)에 회전이 입력되면 NFC 결제 요청 메뉴(M4-1) 및 QR코드 결제 요청 메뉴(M4-2)를 순서대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NFC 결제 요청 메뉴(M4-1) 및 QR코드 결제 요청 메뉴(M4-2) 중 어느 하나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표시된 결제 요청 메뉴(M4-1, …, M4-4)에 대응되는 결제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NFC 결제 요청 메뉴(M4-1)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NFC 결제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QR코드 결제 요청 메뉴(M4-2)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QR코드 결제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NFC 결제 요청은 결제를 요청한 고객의 고객 단말(500)과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 간의 NFC 통신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고자 함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NFC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와 고객 단말(500) 간의 태깅을 유도하는 태깅 유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NFC 결제를 통해 획득된 결제 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하여 고객이 주문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QR코드 결제 요청은 표시부(130)에 표시된 QR코드를 고객 단말(500)이 인식하여 결제를 수행하고자 함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QR코드 결제 요청이 결제를 위한 QR코드를 생성하여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고, 고객 단말(500)이 QR코드를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QR코드 인식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고객 단말(500)은 QR코드 인식을 통해 접속한 결제 페이지에서 고객이 주문한 상품에 대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 메뉴(M5)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평가 메뉴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전에 입력된 서비스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M5-1) 및 이전에 입력된 주문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평가 요청 메뉴(M5-2)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입력된 서비스 요청이 호출 서비스 요청인 경우, 호출 서비스를 나타내는 요청 서비스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M5-1)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전에 입력된 주문 요청이 제1 상품 주문 요청인 경우, 이전에 주문 요청된 제1 상품을 나타내는 요청 주문 정보가 포함된 주문 평가 요청 메뉴(M5-2)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이전에 요청하여 평가 가능한 요청 서비스와 요청 주문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부(120)에 회전이 입력되면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M5-1) 및 주문 평가 요청 메뉴(M5-2)를 순서대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M5-1) 및 주문 평가 요청 메뉴(M5-2) 중 어느 하나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요청 평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평가 정보 입력 영역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정보 입력 영역은 고객으로부터 요청 평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정보 입력 영역은 활성화되면 요청 평가 정보를 나타내는 별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M5-1) 및 주문 평가 요청 메뉴(M5-2) 중 어느 하나의 평가 정보 입력 영역이 활설화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회전이 입력되면, 요청 평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평가 정보 입력 영역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정보 입력 영역에는 입력부(120)에 입력된 회전에 따라 별 이미지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평가 정보 입력 영역에 요청 평가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에 버튼 선택이 입력되면, 평가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평가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평가 정보 및 테이블 식별 정보가 평가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매장 단말(300)로 송신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자신은 요청하여 처리받은 서비스 및 주문에 대한 평가를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장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상태 정보는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의 배터리 상태 정보, 통신 상태 정보 및 구동 온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인증을 수행하는 고객 인증 페이지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코드(Q1)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코드(Q1)는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획득된 테이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500)은 인증 코드(Q1)를 인식하여 고객임을 인증할 수 있는 고객 인증 페이지에 접속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객 인증을 통해 고객에 최적화된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입력부(120)로부터 주문 요청이 입력되면, 주문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혜택 정보를 생성하고, 혜택 정보를 고객 정보에 매칭시켜 추가할 수 있는 혜택 코드(Q2)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혜택 코드는 요청 주문 정보에 따른 적립 혜택 크기 정보 및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획득된 테이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500)은 혜택 코드(Q2)를 인식하여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을 고객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매장에서 상품을 주문한 고객에게 주문한 상품에 대응되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매장 한계 주문 건 수 정보 대비 현재 매장 주문 건 수 정보의 비율을 나타내는 매장 혼잡도 정보를 매장 단말(300) 또는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출고되면, 혼잡도 정보가 기준 혼잡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혼잡도 정보가 기준 혼잡도를 초과하면 고객에게 상품의 수령을 요청하는 수령 요청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고객이 수령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품을 수령하면, 혜택 정보를 생성하고, 혜택 정보를 고객 정보에 매칭시켜 추가할 수 있는 혜택 코드(Q2)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문의 증가로 인해 직원이 부족한 경우, 고객에게 제품 수령을 요청하여 직원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제품을 직접 수령한 고객에게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및 저장부(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4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에는 프로세서(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RAM 및 ROM을 구비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프로세서(140)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4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100)는 진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직원 단말(200), 매장 단말(300) 및 서버(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통신부(110)에 수신된 고객 전달 정보 또는 고객 알림에 대응하여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부는 진동으로 고객에게 고객 알림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200: 직원 단말
300: 매장 단말
400: 서버
500: 고객 단말

Claims (6)

  1. 고객으로부터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고객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평가 메뉴 요청이 입력되면,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 및 주문 평가 요청 메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평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평가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평가 정보 및 상기 테이블 정보에 포함된 테이블 식별 정보가 평가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매장 단말로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으로부터 이전에 입력된 서비스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평가 요청 메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으로부터 이전에 입력된 주문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주문 평가 요청 메뉴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 인증을 수행하는 고객 인증 페이지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코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획득된 테이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 매장 내 직원이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고객 전달 정보 또는 고객 알림이 수신되면, 상기 고객 전달 정보 또는 상기 고객 알림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고객 전달 정보 또는 상기 고객 알림에 대응되는 알림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주문 요청이 입력되면, 주문 요청에 대응되는 요청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혜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혜택 정보를 고객 정보에 매칭시켜 추가할 수 있는 혜택 코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혜택 코드는
    상기 요청 주문 정보에 따른 적립 혜택 크기 정보 및 상기 테이블에 배치된 테이블 정보 태그로부터 획득된 테이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매장 한계 주문 건 수 정보 대비 현재 매장 주문 건 수 정보의 비율을 나타내는 매장 혼잡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출고되면, 상기 매장 혼잡도 정보가 기준 혼잡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매장 혼잡도 정보가 기준 혼잡도를 초과하면 고객에게 상품의 수령을 요청하는 수령 요청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고객이 상기 수령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품을 수령하면, 혜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혜택 정보를 고객 정보에 매칭시켜 추가할 수 있는 혜택 코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테이블 식별 정보에 매핑된 테이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테이블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테이블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송신 범위 내의 영역을 송신 영역으로 설정하고, 매장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직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직원 단말 위치 정보 각각이 나타내는 직원 단말 위치 중에서 상기 송신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직원 단말 위치에 대응되는 직원 단말로 고객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를 호출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테이블 식별 정보와 테이블 정원 정보가 매핑된 테이블-정원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테이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테이블 정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테이블 정원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매장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장 정보를 테이블 적합 매장 정보로 선택하고, 상기 확인된 테이블 정원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상품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품 정보를 테이블 적합 상품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97145A 2021-07-23 2021-07-23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KR102473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145A KR102473195B1 (ko) 2021-07-23 2021-07-23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PCT/KR2021/009620 WO2023003063A1 (ko) 2021-07-23 2021-07-26 매장 정보 제공 및 고객 정보 수집을 수행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US17/429,267 US20240037634A1 (en) 2021-07-23 2021-07-26 Store table device for providing store information and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145A KR102473195B1 (ko) 2021-07-23 2021-07-23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195B1 true KR102473195B1 (ko) 2022-12-01

Family

ID=8444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145A KR102473195B1 (ko) 2021-07-23 2021-07-23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1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404A (ko)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잉스랜드 매장의 고객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9681A (ko) * 2012-11-29 2014-06-10 리윤소프트 (주) 주문 관리 방법
KR20140077998A (ko) * 2012-12-13 2014-06-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단말을 이용한 주문 및 주문 관련 정보 송수신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734345B1 (ko) * 2016-01-06 2017-05-24 조충만 매장의 실시간 혼잡도 정보제공을 통한 고객 관리시스템
KR20170136844A (ko) * 2016-06-02 2017-12-12 박삼식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메뉴 관리 및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062888B1 (ko) * 2019-07-05 2020-01-06 주식회사 케이디아이덴 비대면 음식 주문 플랫폼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404A (ko)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잉스랜드 매장의 고객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9681A (ko) * 2012-11-29 2014-06-10 리윤소프트 (주) 주문 관리 방법
KR20140077998A (ko) * 2012-12-13 2014-06-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단말을 이용한 주문 및 주문 관련 정보 송수신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734345B1 (ko) * 2016-01-06 2017-05-24 조충만 매장의 실시간 혼잡도 정보제공을 통한 고객 관리시스템
KR20170136844A (ko) * 2016-06-02 2017-12-12 박삼식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메뉴 관리 및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062888B1 (ko) * 2019-07-05 2020-01-06 주식회사 케이디아이덴 비대면 음식 주문 플랫폼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974B1 (ko) 모바일로 상품 선택 및 결제가 가능한 키오스크 타입의 밴딩머신 플랫폼 시스템
KR101286183B1 (ko) 푸쉬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JP5667993B2 (ja) 待順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待順管理方法及び待順管理プログラム
US20180240205A1 (en) Order Management Server, Order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20160060185A (ko) 음식 주문 방법
KR102443207B1 (ko) 매장 정보를 매장 방문 고객에게 제공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KR102473195B1 (ko)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테이블 장치
KR20140107933A (ko) 스마트 메뉴판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480264B1 (ko)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
KR2012013853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KR20130037622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72658B1 (ko) Qr코드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주문 방법
KR20120077781A (ko) Qr 코드를 이용한 대리 운전 호출 시스템 및 방법
JP2017134531A (ja) 順番管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128156A (ko) 매장 내 고객을 위한 알림, 서비스 요청 및 서비스 처리 장치
KR20160087587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37634A1 (en) Store table device for providing store information and collecting customer information
KR100629595B1 (ko) 순번관리시스템
KR20180034912A (ko) 프로모션 알림 기능을 구비한 주문 전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090680A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20180040540A (ko) 주문 결재가 가능한 진동벨
KR2020000350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102280211B1 (ko) 개인 예약 관리 시스템
KR20210091071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099243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포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