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622A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622A
KR20130037622A KR1020110126803A KR20110126803A KR20130037622A KR 20130037622 A KR20130037622 A KR 20130037622A KR 1020110126803 A KR1020110126803 A KR 1020110126803A KR 20110126803 A KR20110126803 A KR 20110126803A KR 20130037622 A KR20130037622 A KR 2013003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urn
user
waiting
w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543B1 (ko
Inventor
노정호
Original Assignee
노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호 filed Critical 노정호
Priority to PCT/KR2011/0092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51757A1/ko
Publication of KR2013003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상으로 줄서기를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순번대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관리자 모드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이용자 모드로 구분되어 구동되며,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설정받아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자가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하고, 상기 이용자 모드에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받아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이용자가 제공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aiting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서트 현장이나, 놀이공원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줄서기를 통해 순번을 기다리는 장소에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서트 현장이나, 놀이공원과 같이 이용자가 많은 장소에서는 대체로 이용자에게 일정 시간의 대기시간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이용자가 직접 줄서기를 통해 순번을 기다리게 된다. 이러한 줄서기를 하고 있는 이용자는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며, 그 시간이 매우 지루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장소의 관리자들이 방문 순서에 따라 고객대기번호가 기재된 순번대기표를 발행하여 고객대기번호의 순서대로 입장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의 경우 순번대기표가 인쇄된 종이이므로 사용후 폐기되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대기중인 이용자는 현재 처리중인 대기순서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러한 확인을 위해서 적어도 번호표시부가 보이는 장소 내에 있어야 하므로, 다른 장소에서 별도의 업무나 여가 등을 즐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줄서기를 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상으로 줄서기를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순번대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관리자 모드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이용자 모드로 구분되어 구동되며,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설정받아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자가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하고, 상기 이용자 모드에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받아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이용자가 제공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자 모드 또는 이용자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된 모드로 프로세스를 구동시키는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에서 관리자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관리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받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정 등록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을 통해 설정된 순번대기 서비스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되면,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되어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관리 모듈; 및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이용자들의 인원 체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인원 체크 현황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자 관리 모듈이 구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에서 이용자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모듈;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모듈에서 탐색된 순번대기 서비스 중에서 특정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받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이용 등록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선택 모듈; 및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하여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이 구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에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의 세부 내용 설정은 순번대기 제목, 순번대기 설명, 순번대기 시간, 순번대기 대기인원, 순번대기 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현황 확인 기능과, 순번대기 서비스의 공지사항을 발송하는 기능과, 순번대기 서비스의 변동 사항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자 관리 모듈은 별도로 구성된 외부 수단을 통해 이용자의 도착을 자동적으로 카운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수단은 바코드 리드기, 적외선 카운팅 장비와 같은 외부 장비를 이용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의 무선 인터넷,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은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알릴 수 있도록 푸시 메시지 기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에서 푸시 메시지의 제공은 순번대기 서비스의 공지사항이 도달하면 제공하거나, 순번대기 서비스의 대기시간이 특정 시간에 도달하면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 정보를 GPS를 통해 지도에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를 통해 관리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하면, 해당 설정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생성 수단;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들의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목록 관리 수단;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에 이용 등록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관리 수단; 및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관리 수단에서 이용 등록된 순번대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를 통해 변동되는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지속적으로 산출하여 상기 이용 현황에 반영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에서 이용자의 대기시간 산출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일정 수로 나누어 대기인원 그룹을 생성하고, 각 대기인원 그룹별로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대기인원 그룹별 대기시간 산출은 이전 그룹의 대기인원 감소 패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다음 그룹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팩터로 이용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상으로 줄서기를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순번대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관리자 모드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이용자 모드로 구분되어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a)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를 통해 관리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하면, 해당 설정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들의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에 이용 등록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용 등록된 순번대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를 통해 변동되는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이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기시간이 필요한 서비스 장소에서 이용자가 직접 줄서기를 하지 않더라도 대기시간을 알려주어 이용자가 편리하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비스 장소에 이용자가 가지 않더라도 미리 대기순번을 원거리에서 부여받거나, 필요한 시간에 맞게 예약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일련의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시스템 구성>
1.1 시스템 개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은, 콘서트 현장이나, 놀이공원과 같이 이용자가 직접 줄서기를 통해 순번을 기다렸다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서비스들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줄서기를 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상으로 줄서기를 할 수 있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400)을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순번대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 측에서 이용되는 관리자 단말(200)과,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측에서 이용되는 이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은 유무선 네트워크 망(1)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망(1)은 TCP/IP에 기반하는 유선 인터넷 망과, WAP, HSPDA, Wibro 등에 기반하는 무선 인터넷 망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와 같은 근접 무선 통신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과 연계하여 순번대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구축되고,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400)을 상기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400)의 제공은 해당 서버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최근의 어플리케이션 유통에 이용되고 있는 애플 스토어나, 안드로이드 마켓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은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이 설치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이나,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GPS(Global Position System) 신호의 수신 기능과 무선 인터넷 기능 등이 제공될 수 있는 단말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1.2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능한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 측에서 이용되는 관리자 단말(200)과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측에서 이용되는 이용자 단말(300)에 공통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가 관리자 및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은 별도의 구성을 갖는 단말기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자와 이용자의 이용 측면을 구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바일 단말을 의미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은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에 공통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관리자 모드(420)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이용자 모드(430)로 구분되어 구동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관리자 모드(420)와 이용자 모드(430)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410)이 포함되어 사용자로부터 관리자 모드(420) 또는 이용자 모드(430)를 선택받아 선택된 모드로 프로세스를 구동시킨다.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410)에서 관리자 모드(420)가 선택되면,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421), 순번대기 서비스 관리 모듈(422) 및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자 관리 모듈(423)이 구동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421)은 상기 관리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받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설정 등록한다.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421)은 상기 관리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화면을 제공하여 관리자로부터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 받는다. 여기서,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 설정은 상기 관리자에게 해당 관리자 주변의 장소 목록이나, 지도 화면이나, 주소 입력창 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순번대기 서비스의 세부 내용 설정은 상기 관리자로부터 순번대기 제목, 순번대기 설명, 순번대기 시간, 순번대기 대기인원, 순번대기 관련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관리 모듈(422)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421)을 통해 설정된 순번대기 서비스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되면,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되어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순번대기 서비스 관리 모듈(422)은 상기 관리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순번대기 서비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순번대기 서비스의 공지사항을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순번대기 서비스의 변동 사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자 관리 모듈(423)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이용자들의 인원 체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인원 체크 현황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한다.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자 관리 모듈(423)은 별도로 구성된 외부 수단을 통해 이용자의 도착을 자동적으로 카운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수단으로는 바코드 리더기, 적외선 카운팅 장비와 같은 외부 장비를 이용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기능인 무선 인터넷,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410)에서 이용자 모드(430)가 선택되면,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모듈(431),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선택 모듈(432) 및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433)이 구동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모듈(431)은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모듈(431)은 상기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화면을 제공한다. 이는 해당 이용자 주변에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거나, 순번대기 서비스가 표시되는 지도 화면을 제공하거나, 순번대기 서비스의 검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용자는 상기 탐색 화면에서 관심있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세부 내용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선택 모듈(432)은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모듈(431)에서 탐색된 순번대기 서비스 중에서 특정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받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이용 등록을 수행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433)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되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하여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433)은 상기 이용자에게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이용 화면을 제공한다. 이는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상세 내용의 확인이나, 현재 대기인원이나, 대기시간이나, 관리자가 공지하는 공지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433)은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알릴 수 있는 푸시 메시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433)에서 푸시 메시지의 제공은 순번대기 서비스의 공지사항이 도달하거나, 대기시간이 특정 시간에 도달하면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 정보를 GPS를 통해 지도에 표시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자신의 위치 확인과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1.3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과 연계하여 순번대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구축된 프로세서로서, 순번대기 서비스 생성 수단(110)과, 순번대기 서비스 목록 관리 수단(120)과,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관리 수단(130)과,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생성 수단(110)은 상기 관리자 단말(2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관리자 모드(420)를 통해 관리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하면, 해당 설정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목록 관리 수단(120)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생성 수단(110)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들의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이용자 모드(430)를 통해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관리 수단(130)은 상기 이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이용자 모드(430)를 통해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에 이용 등록을 수행한다.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140)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관리 수단(130)에서 이용 등록된 순번대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관리자 단말(2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관리자 모드(420)를 통해 변동되는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이용자 모드(430)를 통해 이용자에게 해당 이용자가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한다.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140)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지속적으로 산출하여 상기 이용 현황에 반영하며, 이러한 이용자의 대기시간 산출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일정 수로 나누어 대기인원 그룹을 생성하고, 각 대기인원 그룹별로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 대기인원 그룹별 대기시간 산출은 이전 그룹의 대기인원 감소 패턴을 이용하여 다음 그룹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팩터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 현황 즉, 대기시간을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구성하는 개별 구성 요소들과 이와 연계되는 어플리케이션(400)의 기능과 동작은 후술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을 통하여 설명한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모바일 단말(200, 3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일련의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은, 먼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로 가상으로 줄서기를 할 수 있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400)을 제공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400)을 설치하는 과정과 사용자 인증 과정이 선행적으로 수반되게 된다. 즉, 상기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이 실행되게 되면, 초기화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화면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관리자 및 이용자가 순번대기 서비스의 회원이 아닌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입을 위한 가입 화면을 제공하여 관리자 및 이용자로부터 회원 가입을 받게 되고, 상기 관리자 및 이용자가 순번대기 서비스의 회원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여 관리자 및 이용자의 회원 인증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선행 과정이 완료하게 되면,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이 상호 연계되어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가 어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한 뒤, 관리자 모드(420)를 선택한 모바일 단말을 의미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300)은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어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한 뒤, 이용자 모드(430)를 선택한 모바일 단말을 의미한다.
먼저, 순번대기 서비스의 생성 과정은, 단계(S210)에서 관리자 단말(2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관리자 모드(420)를 통해 관리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자가 순번대기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화면을 제공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해당 관리자의 주변에서 의미 있는 장소 목록을 제공하고, 관리자가 상기 장소 목록에서 순번대기 서비스 장소에 해당되는 셀을 선택하면, 해당 장소가 지도 화면에 표시됨으로써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가 설정된다. 이때, 관리자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가 지도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화면에서 순번대기 서비스가 진행될 지점이 표시되고, 이렇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진행이 해당 지점으로 결정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번대기 서비스의 세부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 셀이 제공되고, 관리자는 입력 셀을 통해 순번대기 서비스의 세부 내용으로 순번대기 서비스의 제목, 순번대기 서비스의 설명, 순번대기 시간, 순번대기 대기인원, 순번대기 관련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순번대기 서비스의 설정을 완료한다.
단계(S110)에서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단계(S210)을 통해 순번대기 서비스가 설정되면, 해당 설정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도 화면에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간략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순번대기 서비스가 시작되게 된다. 이러한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한 지도 화면상의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 표시를 클릭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순번대기 서비스의 생성 과정이 완료되면, 단계(S120)에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들의 목록을 저장 관리하여 이용자 단말(300)에서 순번대기 서비스 목록을 요청하게 되면 해당 목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그러면, 단계(S310)에서, 이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이용자 모드(430)를 통해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탐색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용자 주변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화면을 제공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해당 이용자의 주변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가 제공된다. 그런 다음, 단계(S320)에서, 이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이용자 모드(430)를 통해 상기 이용자가 탐색된 순번대기 서비스 중에서 특정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12에 도시된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에서 이용자가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셀을 선택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간략 정보가 표시된 지도 화면이 제공되고, 다시 지도 화면에서 이용자가 해당 표시를 클릭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록 화면이 제공된다. 이러한 등록 화면에서는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제목, 순번대기 서비스의 설명, 순번대기 시간, 순번대기 대기인원, 순번대기 관련 이미지 등의 세부 내용이 표시되고, 이용자가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세부 내용을 열람한 뒤,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게 된다.
단계(S130)에서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단계(S320)을 통해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하여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에 이용 등록을 수행한다. 이렇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 등록이 완료되면, 단계(S330)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이용자 모들(430)을 통해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이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용 화면이 제공된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 등록이 완료되면, 곧바로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되며,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용 화면을 불러드리거나, 닫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순번대기 서비스가 생성되고, 이용자가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에 이용 등록을 수행한 뒤, 각각의 관리자와 이용자가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하고, 이용하는 과정은, 먼저, 관리자 측면에서는, 단계(S220)에서 관리자 단말(2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관리자 모드(420)는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되어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S230)에서 관리자 단말(2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관리자 모드(420)는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이용자들의 인원 체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인원 체크 현황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에게 메시지 발송 화면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순번대기 서비스의 운용에 있어 공지사항이 발생하면,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에 이용 등록된 모든 이용자에게 공지사항을 발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메시지 발송은 이미 도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와 아직 이용하고 있지 못하는 이용자를 분리하여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가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가 종료되면, 이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삭제 탭이 제공된다. 이때, 삭제 탭을 통해 순번대기 서비스가 삭제되면, 이 서비스에 등록된 모든 이용자들에게 해당 서비스가 종료된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가 자동으로 발송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자를 관리하는 과정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이용자가 도착하여 체크인을 하게 되면, 해당 이용자의 도착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화면을 제공하여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인원 체크하게 된다. 이때,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인원 체크는 별도로 구성된 외부 수단을 통해 이용자의 도착을 자동적으로 카운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수단으로는 바코드 리더기, 적외선 카운팅 장비와 같은 외부 장비를 이용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기능인 무선 인터넷,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 측면에서는, 단계(S140)에서,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단계(S220)을 통해 변동되는 관리 현황과 상기 단계(S230)을 통해 변동되는 이용 현황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이용자 모드(430)를 통해 이용자가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한다. 이때, 단계(S140)에서는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지속적으로 산출하여 상기 이용 현황에 반영하며, 이러한 이용자의 대기시간 산출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일정 수로 나누어 대기인원 그룹을 생성하고, 각 대기인원 그룹별로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 대기인원 그룹별 대기시간 산출은 이전 그룹의 대기인원 감소 패턴을 이용하여 다음 그룹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팩터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이용 현황 즉, 대기시간을 보다 정확히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용자 측면에서는, 단계(S330)에서 이용자 단말(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400)의 이용자 모드(430)는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되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에게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이용 화면을 제공한다. 이는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의 상세 내용의 확인이나, 현재 대기인원이나, 대기시간이나, 관리자가 공지하는 공지사항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단계(S330)에서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알릴 수 있는 푸시 메시지 기능이 제공될 수 있으며, 푸시 메시지의 제공은 순번대기 서비스의 공지사항이 도달하거나, 대기시간이 특정 시간에 도달하면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생성한 순번대기 서비스가 없거나, 이용자가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가 없을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관리자와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순번대기 서비스 서버 200 : 관리자 단말
300 : 이용자 단말 400 : 어플리케이션

Claims (16)

  1.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상으로 줄서기를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순번대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관리자 모드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이용자 모드로 구분되어 구동되며,
    상기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설정받아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자가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하고,
    상기 이용자 모드에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받아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이용자가 제공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자 모드 또는 이용자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된 모드로 프로세스를 구동시키는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에서 관리자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관리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받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정 등록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을 통해 설정된 순번대기 서비스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되면,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되어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관리 모듈; 및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이용자들의 인원 체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인원 체크 현황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자 관리 모듈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모드 선택 모듈에서 이용자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모듈;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탐색 모듈에서 탐색된 순번대기 서비스 중에서 특정 순번대기 서비스를 선택받아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이용 등록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선택 모듈; 및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하여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설정 모듈에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의 세부 내용 설정은 순번대기 제목, 순번대기 설명, 순번대기 시간, 순번대기 대기인원, 순번대기 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현황 확인 기능과, 순번대기 서비스의 공지사항을 발송하는 기능과, 순번대기 서비스의 변동 사항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자 관리 모듈은 별도로 구성된 외부 수단을 통해 이용자의 도착을 자동적으로 카운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단은 바코드 리드기, 적외선 카운팅 장비와 같은 외부 장비를 이용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의 무선 인터넷,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은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알릴 수 있도록 푸시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모듈에서 푸시 메시지의 제공은 순번대기 서비스의 공지사항이 도달하면 제공하거나, 순번대기 서비스의 대기시간이 특정 시간에 도달하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 정보를 GPS를 통해 지도에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를 통해 관리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하면, 해당 설정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생성 수단;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들의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목록 관리 수단;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에 이용 등록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관리 수단; 및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이용 관리 수단에서 이용 등록된 순번대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를 통해 변동되는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대기시간을 지속적으로 산출하여 상기 이용 현황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현황 관리 수단에서 이용자의 대기시간 산출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일정 수로 나누어 대기인원 그룹을 생성하고, 각 대기인원 그룹별로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기인원 그룹별 대기시간 산출은 이전 그룹의 대기인원 감소 패턴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다음 그룹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팩터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16.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상으로 줄서기를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순번대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관리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관리자 모드와,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측면에서 기능하는 이용자 모드로 구분되어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순번대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a)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를 통해 관리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의 장소와 세부 내용을 설정하면, 해당 설정에 따른 순번대기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순번대기 서비스들의 목록을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순번대기 서비스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순번대기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순번대기 서비스에 이용 등록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용 등록된 순번대기 서비스에 대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자 모드를 통해 변동되는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모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이용중인 순번대기 서비스의 관리 현황과 이용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KR1020110126803A 2011-10-06 2011-11-30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7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9225 WO2013051757A1 (ko) 2011-10-06 2011-11-30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2035 2011-10-06
KR1020110102035 2011-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622A true KR20130037622A (ko) 2013-04-16
KR101370543B1 KR101370543B1 (ko) 2014-03-07

Family

ID=4843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803A KR101370543B1 (ko) 2011-10-06 2011-11-30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5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45B1 (ko) * 2013-05-22 2014-11-25 김경애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대기번호 처리 방법
WO2017002988A1 (ko) * 2015-06-30 2017-01-05 신은종 예약대기 및 호출 시스템
KR20200089049A (ko) * 2019-01-16 2020-07-24 주식회사 별난사람들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734B1 (ko) 2020-02-17 2021-02-25 정규열 온오프라인 대기 순번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25431B1 (ko) * 2022-12-30 2023-04-25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85B1 (ko) * 2010-08-17 2011-01-13 윤혜성 순번대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스마트폰
KR20120129559A (ko) * 2011-05-20 2012-11-28 주식회사 위즈게이트 창구 예약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45B1 (ko) * 2013-05-22 2014-11-25 김경애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대기번호 처리 방법
WO2017002988A1 (ko) * 2015-06-30 2017-01-05 신은종 예약대기 및 호출 시스템
KR20200089049A (ko) * 2019-01-16 2020-07-24 주식회사 별난사람들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543B1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939B1 (ko) 알림을 푸시하는 방법 및 장치, 이동 단말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40026065A1 (en) Transportation service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W201833845A (zh) 資訊獲取方法、提供方法、裝置及系統、儲存介質
JP6302602B2 (ja) チケット情報ディスプレイ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5847114B (zh) 动态信息展示系统、方法及装置
KR101370543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2461130A (zh) 基于推送的地点更新
CN102956052A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的排队叫号方法及系统
JP5885334B2 (ja) 宣伝配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9657164A (zh) 发布消息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6354798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533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13297507A (zh) 信息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966192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1928294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예약 관리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20137617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5348432B2 (ja) 宣伝配信システム及び店舗側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602397B1 (ko) 라우터 액세스 제어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120123870A (ko) 푸시 알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7112A (ko) 위치 기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4160480A (ja) 宣伝配信システム及び店舗側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9922297B2 (en) Queue techniques
KR102045934B1 (ko) 공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3051757A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ong et al.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intelligent terminal guide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