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31B1 -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31B1
KR102525431B1 KR1020220190166A KR20220190166A KR102525431B1 KR 102525431 B1 KR102525431 B1 KR 102525431B1 KR 1020220190166 A KR1020220190166 A KR 1020220190166A KR 20220190166 A KR20220190166 A KR 20220190166A KR 102525431 B1 KR102525431 B1 KR 10252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server
terminals
entr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to KR102022019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는, 통신부; 및 통신부와 연결되어 특정 이벤트 참여를 위한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을 관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개시시점이 설정된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사전 대기실을 생성 및 개방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사전 대기실용 대기표를 발행하고,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체크하고,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하고, 및 이벤트가 개시됨에 따라, 진입 순서에 따라 사전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METHOD FOR OPERATING OF PRE-QUEUE ROOM BASED ON DIGITAL SERVICE, AND ENTRY MANAGEMENT SERVER}
본 개시는 특정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수강신청, 콘서트 예약 및 구매 이벤트 등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시 접속자가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측의 응답속도가 저하되거나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의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스템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WEB, WEB으로부터 전달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처리하는 WAS(web application server) 및 쿼리문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수창신청 및 콘서트 예약과 같이 개시시점이 정해진 이벤트의 동시 접속자가 폭주하는 경우, WEB은 네트워크 대역폭 부족으로 인해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266호 (2016. 08. 30.)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특정 이벤트 참여를 위해 사전 대기실에 위치하는 사전 대기자들에게 서비스 서버로의 공정한 접속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일 측면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특정 이벤트 참여를 위한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을 관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개시시점이 설정된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사전 대기실을 생성 및 개방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사전 대기실용 대기표를 발행하고, 상기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하고, 및 상기 이벤트가 개시됨에 따라, 상기 진입 순서에 따라 상기 사전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 순서를 결정할 때, 상기 대기시간이 서로 단절된 복수의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누적한 총합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 순서를 결정할 때, 상기 대기시간이 서로 단절된 복수의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 중 가장 마지막의 대기시간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 순서를 결정할 때, 상기 사전 대기실 내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 사전 이벤트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전 이벤트에 대한 답변을 회신받고, 상기 답변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및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 순서를 결정할 때,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 및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누적한 총합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복수의 대기시간 중 가장 마지막의 대기시간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도록 할 때, 상기 이벤트가 개시되면, 일반 대기자를 포함하는 신규 대기열을 형성하고, 상기 사전 대기실 내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을 상기 진입 순서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로 모두 접속시키고, 및 상기 사전 대기자의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신규 대기열 내 상기 일반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규 대기열 내 상기 일반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로 입장 예상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전 대기실 내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수를 파악하고, 및 상기 사전 대기실 내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수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수를 획득하는 주기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전 대기실을 생성 및 개방할 때, 상기 이벤트에 대한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수 이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 요청자의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대기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은, 진입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개시시점이 설정된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사전 대기실을 생성 및 개방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사전 대기실용 대기표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개시됨에 따라, 상기 진입 순서에 따라 사전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특정 이벤트 참여를 위해 사전 대기실에 위치하는 사전 대기자들의 누적 대기시간을 기초로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하기 때문에, 사전 대기자들에게 서비스 서버로의 공정한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전 대기실에 사전 대기자들을 대상으로 이벤트와 관련된 퀴즈, 설문조사를 비롯한 각종 사전 이벤트를 제공하고, 이를 기초로 진입 순서를 결정하기 때문에, 사전 대기자들 입장에서는 대기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고, 이벤트 주최측 입장에서는 이벤트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사전 대기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개시의 진입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사전 대기실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사전 대기실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 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서비스 서버로의 진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사전 대기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진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End-User(Browser))(200)와 서비스 서버(300)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관리할 수 있다.
진입 관리 서버(100)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대해 차단, 우회 및 진입 허용 관리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단은 초당 접근 수가 매크로 수준인 경우, 차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특정 액션을 발생시키는 버튼(예를 들어, 제출 및 확인 등)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우회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대기하기 위한 대기열이 발생한 상태여도 특정한 정책이나 주요 클라이언트인 경우, 대기하지 않고 서비스 서버(300)로 바로 진입하도록 우회시키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진입 허용 관리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위한 정상적인 대기 관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진입 허용 수를 기초로 진입을 제어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200)의 리소스 또는 상태를 관리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진입 허용 수는 진입 관리 서버(100)의 키(key)를 발급받아 해당 시간에 서비스 서버(300)의 특정 트랜잭션(예를 들어, 로그인 버튼, 수강 신청 버튼 등)에 동시 진입이 가능한 사용자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수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 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진입 관리 서버(100)는 개시시점이 이미 결정된 특정 이벤트에 대한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개시시점(예를 들어, 이벤트 참여를 위한 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 시작시각)이 결정된 이벤트로, 예를 들어, 콘서트 티켓 예매, 수강신청 등과 같은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는 몇일 몇시에 해당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그 이전에는 입장이 불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이벤트 개시시점 이전에 특정 이벤트 참여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입 요청이 발생하면, 진입 관리 서버(100)는 사전 대기실(R1)에 사전 대기자가 대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전 대기실은 특정 서비스 서버(300)의 동시 접속자를 관리하기 위한 일반 대기열과 달리 이벤트 개시시점 이전에 사전 대기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전 대기자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요청을 발생시킨 사전 대기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200)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웹(web)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이하, WAS라고 하기로 함) 및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웹 서버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웹 브라우저 또는 웹 크롤러와 같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주로 처리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HTTP 요청(request)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HTTP 응답(response)을 회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는 파일 경로 이름을 수신하여 경로와 일치하는 정적(static)인 형태의 파일 콘텐츠(html, jpeg, css 등)를 반환할 수 있다.
웹 서버는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을 WAS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WAS로부터 수신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수 있다.
WAS는 HTTP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적인 HTTP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웹 서버에 동적인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cont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WAS는 데이터베이스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상기, WAS는 HTTP를 통해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일 수 있다. WAS는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 또는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라고 명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컨테이너는 JSP 및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WAS는 분산 트랜잭션, 보안, 메시징, 스레드 처리 등의 기능을 처리하는 분산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AS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기능 및 다수의 트랜잭션 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은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WAS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즈니스 로직에 맞게 실시간으로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WAS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서버(300)마다 적용하는 WAS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WAS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회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진입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진입 관리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개시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진입 관리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50)와 연결되어 특정 이벤트 참여를 위한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개시시점이 설정된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을 위한 사전 대기실을 생성 및 개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사전 대기실용 대기표를 발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벤트가 개시됨에 따라, 진입 순서에 따라 사전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200)을 서비스 서버(300)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에서의 사전 대기실을 관리하는 상세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메모리(130)는 사전 대기실에서의 사전 대기자를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판독되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통신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진입 관리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있고, 진입 관리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진입 관리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개시의 진입 관리 서버(100)는 출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는 사전 대기실의 현황을 비롯하여 진입 관리 서버(100)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통신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 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키 및/또는 버튼들, 또는 물리적인 키 및/또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를 통한 사용 자 입력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사전 대기실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사전 대기실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진입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개시시점이 설정된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을 위한 사전 대기실을 생성 및 개방할 수 있다(110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이벤트에 대한 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존재하거나, 또는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수 이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이벤트에 대한 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 요청자의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사전 대기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사전 대기실을 생성할 수 있는 조건에 사전 대기실을 생성할 수 있는 생성시점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즉,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존재하거나, 또는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수 이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이벤트에 대한 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 요청자의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이더라도 사전 대기실의 생성시점이 경과한 이후여야 사전 대기실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수 AAA의 콘서트 티켓 예매 이벤트의 개시시점이 2022년 12월 1일 오전 9시이고, 사전 대기실의 생성시점이 2022년 12월 1일 오전 7시인 경우, 상기 이벤트 참여를 위한 접속 시도가 2022년 11월 30일에 발생하거나, 해당 시간에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수 이상으로 발생하거나, 해당 시간에 접속 요청자의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이더라도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로세서(110)는 진입 관리 서버(100)의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서비스 서버(300)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사전 대기실용 대기표를 발행할 수 있다(1200).
도 2를 참조하면, 사전 대기실(R1)에서 대기하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에 사전 대기실용 대기표를 발행하는 것이다. 이때, 사전 대기실용 대기표는 단순히 사전 대기실의 입장 순서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더해, 사전 대기자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사전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1300).
다음,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1400).
일 예로, 도 5를 참고하면, 대기시간이 서로 단절된 복수의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누적한 총합을 기초로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1410).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사전 대기실 내 사전 대기자 1 및 2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대기시간(t1, t2)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30초)마다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확인정보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허용 요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확인정보의 수신은 통신 프로토콜 상의 keepalive 기능을 활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keepalive 기능은 지정된 시간 동안 연결이 유휴 상태인 경우 keepalive 탐색 패킷을 전송하여 두 지점(사용자 단말(200) 및 진입 관리 서버(100)) 간에 사용자 단말(200)의 상태를 문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keepalive 탐색 패킷은 지정된 시간동안 서로 간의 패킷 교환이 없을 때, 페이로드(payload)가 없는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프로세서(110)는 일반 대기자를 위한 일반 대기열 관리와 달리 접속을 끊고 타임아웃(timeout) 시간 이후에 다시 접속해도 동일 사전 대기자를 식별하여 사전 대기실의 사전 대기자별 누적 대기시간을 합산해서 관리하도록 사전 대기실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자 1 및 2 각각의 t1과 t2를 합산하여 누적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누적 대기시간을
Figure 112022142276943-pat00001
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별로 확인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30초씩 더해서 누적 대기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은 확인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로, 사용자 단말(200) 및 진입 관리 서버(100)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된 확인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를 기초로 확인정보를 진입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기시간이 서로 단절된 복수의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 중 가장 마지막의 대기시간을 기초로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1420).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사전 대기실 내 사전 대기자 1 및 2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대기시간(t1, t2)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30초)마다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확인정보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허용 요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자 1 및 2 각각의 t1과 t2 중 가장 마지막의 대기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자 1 및 2 각각에 복수의 시간 t1 및 t2이 있는 경우, T(t1, t2) = t2를 통해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시간 중 가장 대기시간이 긴 대기시간을 기초로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시간은 대기시간이 체크되는 시간 범위 내에서 체크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에서의 사전 이벤트 결과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143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로 사전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전 이벤트는 퀴즈, 게임, 서베이(surve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고하면, 가수 AAA에 대한 이벤트인 경우, 가수 AAA에 대한 퀴즈를 사전 이벤트로 생성하여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전 이벤트에 대한 답변을 회신받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치트 방지를 위해 답변을 회신 받는 시간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사전 이벤트를 발송한 이후 기 설정된 답변 대기 시간이 경과하여 수신한 답변에 대해서는 점수 또는 등급 산출 시 최하점 또는 최하 등급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프로세서(110)는 답변을 기초로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전 이벤트 답변을 기초로 점수 또는 등급을 결정하고, 이를 진입 순서 결정 시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90점 이상은 A그룹, 80점 이상은 B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A그룹의 사전 대기자들의 진입 순서를 B그룹의 사전 대기자들의 진입 순서 보다 우선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전 이벤트 답변을 기초로 그룹이 아닌 사전 대기자별 점수로 부여하여, 부여된 점수에 따라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 및 상술한 가중치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은,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누적한 총합이거나, 또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복수의 대기시간 중 가장 마지막의 대기시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대기시간이 연속적인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사전 대기자 각각의 대기시간을 누적한 총합을 기초로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에서의 사전 이벤트 제공을 통해 거짓 사전 대기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짓 사전 대기자를 사전 대기자로부터 제외한 후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거짓 사전 대기자는 매크로(자동입력반복) 프로그램 또는 휴대폰의 비행기 모드를 이용한 백도어를 통해 티겟 예매를 시도하는 암표상들을 의미할 수 있다.
첫 번째로,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 튜링 테스트(turing test)용 사전 이벤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한 진입 요청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튜링 테스트는 인간과 기계를 구분하기 위한 테스트로, 본 개시에서는 상술한 이벤트와 관련되어 난이도가 적용된 사전 이벤트를 생성하여 사전 대기자가 참 사전 대기자인지 또는 거짓 사전 대기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링 테스트용 사전 이벤트가 퀴즈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이벤트 주최인 가수 AAA에 대해 단답형으로 질문할 수 있는 퀴즈가 아닌 난이도를 적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문을 이용하여 사전 이벤트를 생성 및 제공하는 것이다.
두번 째로,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0) 각각의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백도어를 이용한 진입 요청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진입 요청을 수신할 때 로그 데이터를 함께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별도의 로그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로부터 감지된 거짓 대기자를 제외한 후, 나머지 사전 대기자들을 기초로 진입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벤트가 개시됨에 따라, 진입 순서에 따라 사전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200)을 서비스 서버(300)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1500, 160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이벤트가 개시되면, 일반 대기자를 포함하는 신규 대기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신규 대기열 내 일반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입장 예상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일반 대기자의 입장 예상시간을 산출할 때, 사전 대기실의 사전 대기자 모두가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한 시간과 일반 대기자의 진입 순서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을 없애고 신규 대기열을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 사전 대기실을 신규 대기열로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200)을 진입 순서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로 모두 접속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R1의 복수의 사전 대기자들을 서비스 서버(300)로 우선 입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자의 접속이 완료된 후, 신규 대기열 내 일반 대기자의 해당 사용자 단말(200)을 서비스 서버(300)로 접속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R1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들의 입장이 완료되면, 일반 대기실 R2 내 일반 대기자들을 서비스 서버(300)로 입장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사용자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확인정보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 허용 요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0)는 확인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200)을 파악하여 특정 사전 대기실 내 사전 대기자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실 내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수의 변화량을 기초로 복수의 사전 대기자의 수를 획득하는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자의 수의 변화량인 미분값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복수의 사전 대기자로부터 확인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를 현재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자의 수의 변화량인 미분값이 미리 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 복수의 사전 대기자로부터 확인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를 현재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전 대기자의 수의 변화량인 미분값이 미리 결정된 값인 경우, 복수의 사전 대기자로부터 확인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를 현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미리 결정된 값은 어느 하나의 값이거나, 또는 상하한치를 포함하는 범위일 수 있다.
상술한 확인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는 사용자 단말(200) 및 진입 관리 서버(100) 간에 공유되어,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된 확인정보를 획득하는 주기를 기초로 확인정보를 진입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진입 관리 서버
11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통신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비스 서버

Claims (10)

  1. 통신부; 및 이벤트 참여를 위한 서버로의 진입을 관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접속을 위해 생성된 대기실내 대기자들의 단말들로부터 상기 서버로의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들로 대기표를 송신하고, 상기 대기표를 수신한 단말들의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 대한 상기 단말들의 진입순서를 1차 결정하고, 상기 단말들로 상기 이벤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답변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단말들의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순서를 2차 결정하고, 상기 단말들 중 거짓대기자의 단말을 제외하여 상기 진입순서를 3차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개시되면 상기 대기자들보다 후순위 대기자의 단말을 포함한 제1대기열 및 상기 대기자들의 마지막 대기자의 대기시간을 기초로 한 제2 대기열을 형성하고, 상기 3차 결정된 진입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들이 상기 서버에 접속이 완료된 후에 상기 후순위 대기자의 단말을 상기 서버로 접속시키고, 상기 거짓대기자는 매크로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입력반복으로 티겟예매를 시도하는 암표상들인, 진입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순서를 결정할 때, 상기 대기시간이 서로 단절된 복수의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기자들의 대기시간을 누적한 총합을 기초로 상기 서버로의 진입순서를 결정하는, 진입 관리 서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순위 대기자의 단말로 입장 예상시간을 전송하는, 진입 관리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실 내 상기 대기자들의 단말들의 수를 파악하고,
    상기 대기실 내 상기 대기자들의 단말들의 수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대기자들의 단말들의 수를 획득하는 주기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진입 관리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실을 생성 및 개방할 때, 상기 이벤트에 대한 상기 서버로의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존재하거나, 상기 접속 시도가 기 설정된 수 이상으로 발생하거나, 상기 이벤트에 대한 상기 서버로의 접속 요청자의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대기실을 생성하는, 진입 관리 서버.
  10. 진입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 참여를 위한 서버로의 접속을 위해 생성된 대기실내 대기자들의 단말들로부터 상기 서버로의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들로 대기표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대기표를 수신한 단말들의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 대한 상기 단말들의 진입순서를 1차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로 상기 이벤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답변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단말들의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순서를 2차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 중 거짓대기자의 단말을 제외하여 상기 진입순서를 3차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개시되면 상기 대기자들보다 후순위 대기자의 단말을 포함한 제1대기열 및 상기 대기자들의 마지막 대기자의 대기시간을 기초로 한 제2 대기열을 형성하고, 상기 3차 결정된 진입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들이 상기 서버에 접속이 완료된 후에 상기 후순위 대기자의 단말을 상기 서버로 접속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거짓대기자는 매크로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입력반복으로 티겟예매를 시도하는 암표상들인,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KR1020220190166A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KR10252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166A KR102525431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166A KR102525431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431B1 true KR102525431B1 (ko) 2023-04-25

Family

ID=8610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0166A KR102525431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4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532A (ko) * 2008-04-24 2009-10-28 (주)에임투지 대기표 관리 방법, 리소스 관리 방법 및 트랜잭션 서버
KR101370543B1 (ko) * 2011-10-06 2014-03-07 노정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532A (ko) * 2008-04-24 2009-10-28 (주)에임투지 대기표 관리 방법, 리소스 관리 방법 및 트랜잭션 서버
KR101370543B1 (ko) * 2011-10-06 2014-03-07 노정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387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earching and communication
US20060059130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modifying an online dating service search using compatibility feedback
JP2021527277A (ja) グループベース通信システムの自動生成データを利用して処理アクションを開始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019559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ggregating data to provide a display in a user interface
US20120259826A1 (en) Customizable Interfacing Agents, Systems, And Methods
US20220230126A1 (en) Automated scheduling assistant for a workforce management system
US20160381160A1 (en) System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 of Personal Monitoring
US8965874B1 (en) Dynamic aggregation of users
US20060242053A1 (en) Interactive auction style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user activities
KR102525431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KR102531621B1 (ko) 클라우드 기반 유량제어 비용 최적화를 위한 리소스 최적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519051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로드 밸런싱을 위한 대기열 관리 방법, 로드 밸런서 및 대기열 관리 시스템
KR102569833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모니터링을 이용한 유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519009B1 (ko)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19073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진입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582086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521744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유량 제어 서버, 방법 및 api 유량 제어 시스템
KR102543972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진입 관리 대상의 자동 조정을 위한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519008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대기열 사용자의 ab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KR102519005B1 (ko)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이용한 디지털 기반 데이터 송수신 제어 서버,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857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access to restricted resources
KR102522910B1 (ko) 프록시 방식의 서비스 지속성 보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519061B1 (ko) 구간 제어 방식 기반의 유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299781A1 (en) Optimizing a priority queue in a computer network
JP6752494B1 (ja) 組織とユーザのマッチングシステム、マッチ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