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009B1 -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009B1
KR102519009B1 KR1020220189411A KR20220189411A KR102519009B1 KR 102519009 B1 KR102519009 B1 KR 102519009B1 KR 1020220189411 A KR1020220189411 A KR 1020220189411A KR 20220189411 A KR20220189411 A KR 20220189411A KR 102519009 B1 KR102519009 B1 KR 10251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lient device
waiting
service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to KR102022018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 및 타겟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접속 대기 중인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화면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타겟 서버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기 수신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 화면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해 상기 타겟 서버로의 접속이 허용될 때까지 상기 대기 화면에 서비스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QUEU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WAITING SCREEN FOR CONNECTION}
본 개시는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강신청, 콘서트 예약 및 구매 이벤트 등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시 접속자가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측의 응답속도가 저하되거나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의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스템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WEB, WEB으로부터 전달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처리하는 WAS(Web Application Server) 및 쿼리문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동시 접속자가 폭주하는 경우, WEB은 네트워크 대역폭 부족으로 인해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266호 (2016. 08. 30.)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 및 타겟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접속 대기 중인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화면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타겟 서버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기 수신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 화면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해 상기 타겟 서버로의 접속이 허용될 때까지 상기 대기 화면에 서비스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열 관리 장치에 부여된 캐시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을 통해 상기 캐시 서버로부터 상기 추가 정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캐시 서버는, 상기 타겟 서버에 포함되며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가, 이벤트 상품 판매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이벤트 상품의 재고 수량, 재고 소진 속도 및 예상 재고 소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정보에 포함된 예상 대기 시간 및 상기 예상 재고 소진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상기 예상 재고 소진 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 화면에 경고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상기 예상 재고 소진 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 화면에 프로모션 코드를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모션 코드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대기열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접속 대기 중인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대기 화면에 대체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열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대기열을 이탈한 경우 대기열 이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상품 판매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매진된 상품의 리스트 및 상기 복수의 상품 별 판매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비인기 상품의 정보 및 구매 버튼을 상기 대기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비인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비인기 상품에 대한 결제 페이지로 바로 진입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타겟 서버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기 수신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화면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해 상기 타겟 서버로의 접속이 허용될 때까지 상기 대기 화면에 서비스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화면에 대기 정보 이외의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속 대기 중인 클라이언트 장치로 접속 요청한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 추후 재접속을 유도하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대기열 이탈을 유도함으로써, 대기열 관리 서버의 대기열 관리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정보 및 추가 정보가 표시된 접근 대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100)(이하, 대기열 관리 장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대기열 관리 장치(100)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접근” 및 “진입”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대기열 관리 서버(10)는 클라이언트 장치(20)와 타겟 서버(30) 사이에 위치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의 타겟 서버(300로의 진입을 관리할 수 있다.
대기열 관리 서버(10)는 타겟 서버(30)로의 진입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에 대해 차단, 우회 및 진입 허용 관리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단은 초당 접근 수가 매크로 수준인 경우, 차단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20)로 전송하여 특정 액션을 발생시키는 버튼(예를 들어, 구매 및 확인 등)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우회는 타겟 서버(30)로의 진입을 대기하기 위한 대기열이 발생한 상태여도 특정한 정책이나 주요 클라이언트 장치인 경우, 대기하지 않고 타겟 서버(30)로 바로 진입하도록 우회시키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진입 허용 관리는 타겟 서버(30)로의 진입을 위한 정상적인 대기 관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진입 허용 수를 기초로 진입을 제어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겟 서버(20)의 리소스 또는 상태를 관리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진입 허용 수는 대기열 관리 서버(10)의 키(key)를 발급받아 해당 시간에 타겟 서버(30)의 특정 트랜잭션(예를 들어, 로그인 버튼, 구매 버튼, 결제 버튼 등)에 동시 진입이 가능한 사용자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수는 실질적으로 타겟 서버(30)로 진입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20)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겟 서버(30)로의 진입 허용 수가 50명이고, 55명이 동일 시간에 동일 상품에 대한 구매 버튼을 선택한 경우, 대기열 관리 서버(10)는 50명에 대해서는 타겟 서버(30)로의 동시 입장이 가능하도록 하나, 5명에 대해서는 대기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50명의 타겟 서버(30)로의 진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발급된 키가 회수되면, 회수된 키는 대기열에 배치된 5명에게 다시 발급되어 순차 입장될 수 있다.
이때, 대기열에 배치된 사용자들(접속 대기 중인 사용자들)은 타겟 서버(30)로의 접근이 허용될 때까지, 멈춰 있는 대기 화면만 보고 있을 수 밖에 없다. 기존에는 대기 화면에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번호,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언제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개시에서는, 대기열 관리 서버(30)가 대기 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대기 화면에 더 표시하여 사용자가 대기를 유지할지 아니면 대기열을 이탈할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장치(20)는 타겟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특정 상품을 구매하거나, 수강 신청을 하거나, 특정 공연을 예매할 수 있다.
타겟 서버(30)는 접근 확인기(Order Checker, 31) 및 캐시 서버(Cache Server, 32)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 확인기(31)는 대기열 관리 서버(10)에 의해 진입이 허용된(순서가 되어 입장된) 클라이언트 장치(20)의 키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접근임을 검증할 수 있다. 캐시 서버(32)는 대기 중인 클라이언트 장치(20)로 서비스 관련 추가 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타겟 서버(30)는 웹(web)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이하, WAS라고 하기로 함) 및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웹 서버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웹 브라우저 또는 웹 크롤러와 같은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청을 주로 처리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HTTP 요청(request)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HTTP 응답(response)을 회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는 파일 경로 이름을 수신하여 경로와 일치하는 정적(static)인 형태의 파일 콘텐츠(html, jpeg, css 등)를 반환할 수 있다.
웹 서버는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을 WAS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WAS로부터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전달할 수 있다.
WAS는 HTTP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적인 HTTP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웹 서버에 동적인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cont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WAS는 데이터베이스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상기, WAS는 HTTP를 통해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일 수 있다. WAS는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 또는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라고 명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컨테이너는 JSP 및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WAS는 분산 트랜잭션, 보안, 메시징, 스레드 처리 등의 기능을 처리하는 분산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AS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기능 및 다수의 트랜잭션 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은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WAS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즈니스 로직에 맞게 실시간으로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WAS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대기열 관리 서버(30)마다 적용하는 WAS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WAS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회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100)(이하, 대기열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할 대기열 관리 장치(100)는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대기열 관리 서버(10)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대기열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큐 매니저(QUEUE MANAGER, 131) 및 암호화기(ENCRYPTOR, 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대기열 관리 장치(100) 및 프로세서(130)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상기 대기열 관리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장치(20) 사이, 상기 대기열 관리 장치(100)와 타겟 서버(30) 사이, 상기 대기열 관리 장치(100)와 통신망 사이, 상기 대기열 관리 장치(100)와 외부 서버(미도시)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접속 대기 중인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기 화면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대기열 관리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3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파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본 대기열 관리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대기열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본 대기열 관리 장치(100)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본 대기열 관리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130)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130)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의 큐 매니저(131)는 타겟 서버(30)로의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대해 차단, 우회 및 진입 허용 관리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큐 매니저(131)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동시에 수신되는 접속 요청 중에서, 타겟 서버(30)의 진입 허용 수에 해당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진입을 허용하고, 나머지 요청에 대해서는 대기열에 배치시켜 순서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타겟 서버(30)에 진입된 접속 요청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대기열에 있던 접속 요청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의 암호화기(132)는 키 발급 및 키 회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기(132)는 타겟 서버(30)의 진입 허용 수에 해당하는 접속 요청에 대해서만 키를 발급할 수 있다. 이후에, 키를 발급받은 클라이언트 장치(20)의 타겟 서버(30)로의 진입이 완료되면, 해당 접속 요청에 발급됐었던 키를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회수된 키는 대기열에 있는 접속 요청에 순차적으로 발급될 수 있다.
즉, 타겟 서버(30)로의 진입 가능 시, 프로세서(130)는 암호화기(132)를 통해 키 발급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타겟 서버(30)로의 진입 불가 시, 프로세서(130)는 큐 매니저(131)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대한 대기열 배치 및 대기 화면을 호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타겟 서버(30)로의 진입 여부와 관계없이,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진입 요청을 수신하면, 이를 타겟 서버(30)의 WAS로 전달하여 진입 요청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본 대기열 관리 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개시의 대기열 관리 장치(100)는 출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는 타겟 서버로의 진입 관리 절차 및 결과 등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는 프로세서(13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통신부(11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 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키 및/또는 버튼들, 또는 물리적인 키 및/또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를 통한 사용 자 입력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대기열 관리 장치(100)가 타겟 서버(30)로의 진입을 대기 중인(대기열에 배치된) 클라이언트 장치(20)에게 대기 정보와 함께 서비스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타겟 서버(30)가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장치(20)가 상품 구매를 위해 타겟 서버(30)에 접근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특정 이벤트(주기적인 이벤트, 상시적인 이벤트, 일회성의 이벤트 모두 포함)에 대한 신청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정보 및 추가 정보가 표시된 접근 대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의 방법은 도 2에 개시된 대기열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1에 개시된 대기열 관리 서버(1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타겟 서버(3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단계들을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각 단계는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큐 매니저(131) 및 암호화기(132)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는, 큐 매니저(131) 및 암호화기(132)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미도시)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대기열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타겟 서버(3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10).
대기열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기 수신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화면에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20).
여기서, 대기 정보는 대기 순서, 대기인수, 예상 대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순서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이 대기열에 배치된 순서에 대응될 수 있다. 대기인수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기 전에 이미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의 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상 대기 시간은 대기인수가 줄어드는 속도 및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순서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지만, 계산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현재 대기열의 가장 끝 순서에 해당 접속 요청을 배치할 수 있다. 즉, 대기열 관리 장치(100)는 해당 접속 요청이 대기열에 배치된 순서에 대응하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순서를 부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접속 요청이 대기열의 51번째에 배치되었다면, 클라리언트(20)의 대기 순서는 51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해당 접속 요청이 대기열에 배치되면, 배치된 위치(순서)를 기준으로 앞 순서의 접속 요청의 수 및 뒷 순서의 접속 요청의 수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 앞뒤에 몇 명의 사용자가 대기 중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접속 대기 화면(50)을 도시하고 있다. 접속 대기 화면(50)은 대기 정보(51)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형태로 대기 정보가 표시되며, 예상 대기 시간과, 대기인수, 대기 순서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대기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대기열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에 대해 타겟 서버(30)로의 접속이 허용될 때까지 상기 대기 화면에 서비스 관련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30).
프로세서(130)는 대기열에 배치된 클라이언트 장치(20)가 타겟 서버(30)로 진입될 때까지, 접속 대기 화면에 서비스 관련 추가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추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타겟 서버(30) 또는 타겟 서버(30)에 포함된 캐시 서버(32)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타겟 서버(30) 또는 캐시 서버(32)로부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접속자들의 개인 정보, 구매 정보, 서비스에서 판매 중인 상품들의 실시간 판매 현황 정보를 조회 및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대기열 관리 장치(100)에 부여된 타겟 서버(30) 또는 캐시 서버(32)에 대한 접근 권한을 통해 타겟 서버(30) 또는 캐시 서버(32)로부터 추가 정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대기열 관리 장치(100)는 타겟 서버(30) 또는 캐시 서버(32)의 정보를 조회 및 수집하기 위한 권한이 설정되어 있어야만, 필요할 때마다 타겟 서버(30) 또는 캐시 서버(32)로 접속하여 추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조회 및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캐시 서버(32)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갱신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마다 상기 필요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대기열 관리 장치(100)가 정확한 추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타겟 서버(30)로 직접 접속하지 않고 캐시 서버(32)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타겟 서버(30)에 부하를 주지 않고 최소한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대기 화면(50)은 서비스 관련 추가 정보(52)를 포함한다. 추가 정보(52)는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변경되는 상품 정보 및 사용자들의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변경되는 상품 정보는 상품의 예상 재고 소진 시간, 매진된 상품의 리스트, 상품의 판매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계 정보는 접속자의들 연령별, 성별, 구매성향별, 구매이력별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 정보(52)에는 상품의 재고 수량, 재고 소진 속도가 포함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겟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벤트 상품 판매(하나의 이벤트 상품)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추가 정보는 이벤트 상품의 재고 수량, 재고 소진 속도 및 예상 재고 소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타겟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벤트 상품 판매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접속 대기 화면에 인웹 정보(Inweb Info)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인웹 정보는 대기 정보 및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타겟 서버(30) 또는 캐시 서버(32)에 접근하여 추가 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조회 및 수집할 수 있다(S231).
프로세서(130)는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상품의 예상 재고 소진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S232).
프로세서(1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예상 대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S233). 이는, 단계 S220에서 설명한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프로세서(130)는 예상 대기 시간과 예상 재고 소진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S234).
예상 대기 시간이 예상 재고 소진 시간보다 긴 경우, 프로세서(1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화면에 프로모션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S235).
구체적으로, 예상 대기 시간이 예상 재고 소진 시간보다 긴 경우, 프로세서(130)는 대기 화면에 경고 알림 정보와 함께 프로모션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에게 이벤트 상품을 구매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경고 알림 정보를 제공하면서, 프로모션 코드(또는, 할인 쿠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모션 코드는 이벤트 상품 또는 서비스 내에서 판매 중이거나 판매 예정인 다른 상품에 대해 기 설정된 수준의 할인율이 적용된 코드이다. 프로모션 코드는 이벤트 기간 동안에는 사용할 수 없고, 이벤트가 종료된 후에 이벤트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구매할 때 사용되거나, 추후에 판매 중이거나 판매 예정인 다른 상품을 구매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 실패가 예상되는 사용자들에게 추후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이탈을 유도할 수 있다.
위에서는 예상 대기 시간이 예상 재고 소진 시간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이벤트 상품의 재고 수량과 대기인수를 비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재고 수량보다 대기인수가 더 많은 경우 프로세서(130)는 대기 화면에 경고 알림 정보와 함께 프로모션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상기 프로모션 코드에 대한 수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6).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상기 프로모션 코드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30)는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20)를 대기열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S237).
이와 같이, 프로모션 코드를 수락한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접속 요청을 종료 처리(대기열에서 이탈 처리)함으로써, 대기열 관리 장치(100)의 대기열 관리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상 대기 시간이 예상 재고 소진 시간보다 짧은 경우 및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상기 프로모션 코드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프로모션 코드에 대한 거부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S238).
프로세서(130)는 대기 중인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화면에 인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39). 즉,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정보와 함께, 이벤트 상품의 재고 수량, 재고 소진 속도 및 예상 재고 소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화면에 대체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한 후 프로세서(130)는 접속 대기 중인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열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 장치(20)가 대기열을 이탈한 경우 대기열 이탈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20)가 대체 서비스(즉, 프로모션 코드, 할인쿠폰)을 수락한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20)는 대기열에서 이탈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대체 서비스 수락으로 인해 이탈된 경우의 이탈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프로세서(130)는 어떤 유형의 대체 서비스를 제공했을 때 수락 비율이 높은지, 어떤 이벤트 상품일 때 수락 비율이 높은지, 성별 수락 비율, 나이별 수락 비율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집된 이탈 정보로부터 다양한 분석 결과가 추출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20)는 대체 서비스 즉, 프로모션 코드, 할인쿠폰)을 수락하지 않고, 대기를 유지하다가 자발적으로 대기열을 이탈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대체 서비스 수락하지 않고 자발적 이탈한 경우의 이탈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프로세서(130)는 어떤 유형의 대체 서비스를 제공했을 때 자발적 이탈 비율이 높은지, 어떤 이벤트 상품일 때 자발적 이탈 비율이 높은지, 대기 유지를 지속한 평균 시간, 성별 대기 유지를 지속한 시간, 나이별 대기 유지를 지속한 시간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집된 이탈 정보로부터 다양한 분석 결과가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타겟 서버(30)로 전달되어 이후 또다른 이벤트 상품을 기획하거나, 대체 서비스를 기획할 때, 또는 타겟 서버(30)의 진입 허용 수를 설정할 때, 또는 대기 화면에 대체 서비스를 표시하는 시점(즉, 클라이언트 장치가 어느 정도의 대기를 유지했을 때 대체 서비스를 제공할지에 대한 시점)을 결정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위에서는 대기 화면에 대체 서비스로 프로모션 코드 또는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프로세서(130)는 대체 서비스로 이벤트 상품 또는 판매 중이거나 판매 예정인 상품과 관련된 광고나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겟 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복수의 상품 판매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추가 정보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매진된 상품의 리스트, 복수의 상품 별 판매율, 복수의 상품 별 재고 수량, 복수의 상품 별 재고 소진 속도, 복수의 상품 별 예상 재고 소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추가 정보로서 상품의 예상 재고 소진 시간(521), 매진된 상품의 리스트(522), 상품의 판매율(523), 통계 정보(524)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예상 재고 소진 시간(521)은 복수의 상품 중에서 소진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인 상품에 대해서만 소진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상품에 대해서 예상 재고 소진 시간이 표시될 수도 있다.
매진된 상품의 리스트(522)는 복수의 상품 중에서 매진된 상품을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율(523)은 복수의 상품 중에서 실시간 판매율이 높은 상위 3개 상품에 대해서만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상품에 대해서 실시간 판매율이 표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상품 중 비인기 상품의 정보 및 구매 버튼을 클라이언트 장치(20)의 대기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비인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20)가 상기 비인기 상품에 대한 결제 페이지로 바로 진입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인기 상품은 복수의 상품 중 판매율이 가장 낮은 상품일 수 있다.
또는, 비인기 상품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들의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해 사용자들의 클릭 수, 각 상품의 페이지에 들어가서 나올때까지 걸린 시간, 상품의 페이지에 들어가서 구매 버튼을 누를때까지 걸린 시간을 포함하는 로그 정보에 따라 관심도가 낮은 비인기 상품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대기 중인 클라이언트 장치(20)에게 비인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기 화면에서 비인기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비인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가 비인기 상품에 대한 결제 페이지로 바로 진입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각 페이지 별로 식별키를 관리하여 비인기 상품에 대한 결제 페이지로 진입한 클라이언트 장치(20)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즉, 서비스의 각 페이지(메인 페이지, 각 상품 별 상품 페이지, 결제 페이지 등)에는 각각 상이한 식별키가 부여되어 있다. 프로세서(20)는 클라이언트 장치(20)가 비인기 상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하면, 해당 비인기 상품의 페이지에 대한 식별키를 클라이언트 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각 페이지마다 설정된 식별키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20)는 비인기 상품의 구매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가 없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단계들의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단계들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단계들은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대기열 관리 서버
20: 클라이언트 장치
30: 타겟 서버
31: 접근 확인기
32: 캐시 서버
100: 대기열 관리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31: 큐 매니저
132: 암호화기

Claims (10)

  1.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타겟서버에 대한 접속요청을 수신하면, 다른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기 수신된 접속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대기화면에 대기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이 허용될 때까지 상기 대기화면에 상품 판매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가 이벤트상품 판매와 관련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이벤트상품의 재고수량, 재고소진속도 및 예상재고소진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정보에 포함된 예상대기시간이 상기 예상재고소진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이벤트상품의 구매실패를 알리는 경고알림정보와 대기열의 이탈을 유도하는 프로모션코드를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상기 프로모션코드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를 상기 대기열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수락에 따라 수집된 이탈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대체서비스 유형별, 이벤트상품별, 성별 및 나이별 수락비율, 대기유지를 지속한 평균시간을 기초로 다른 대체서비스와 다른 이벤트상품를 기획하고 대체서비스의 표시시점을 결정하는,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기열 관리 장치에 부여된 캐시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을 통해 상기 캐시 서버로부터 상기 추가정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추가정보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구매정보, 상기 상품 판매 서비스에서 판매 중인 상품들의 판매현황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캐시 서버는, 상기 타겟서버에 포함되며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갱신되는,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가, 복수의 상품 판매와 관련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매진된 상품의 리스트 및 상기 복수의 상품별 판매율을 포함하는,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비인기 상품의 정보 및 구매 버튼을 상기 대기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상기 비인기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장치가 상기 비인기 상품에 대한 결제 페이지로 바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는,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9.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타겟서버에 대한 접속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다른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기 수신된 접속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장치의 대기화면에 대기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이 허용될 때까지 상기 대기화면에 상품 판매 서비스와 관련된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가 이벤트상품 판매와 관련된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가정보는 상기 이벤트상품의 재고수량, 재고소진속도 및 예상재고소진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대기정보에 포함된 예상대기시간이 상기 예상재고소진시간보다 길면 상기 대기화면에 상기 이벤트상품의 구매실패를 알리는 경고알림정보 및 대기열의 이탈을 유도하는 프로모션코드를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로부터 상기 프로모션코드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장치를 상기 대기열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수락에 따라 수집된 이탈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대체서비스 유형별, 이벤트상품별, 성별 및 나이별 수락비율, 대기유지를 지속한 평균시간을 기초로 다른 대체서비스와 다른 이벤트상품를 기획하고 대체서비스의 표시시점을 결정하는,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방법.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9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189411A 2022-12-29 2022-12-29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19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411A KR102519009B1 (ko) 2022-12-29 2022-12-29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411A KR102519009B1 (ko) 2022-12-29 2022-12-29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009B1 true KR102519009B1 (ko) 2023-04-06

Family

ID=8591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411A KR102519009B1 (ko) 2022-12-29 2022-12-29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00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612B1 (ko) * 2008-04-24 2011-10-11 (주)에임투지 대기표 관리 방법
WO2012023708A2 (ko) * 2010-08-16 2012-02-23 Choi Jae Sung 광고 기능을 구비한 페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1990A (ko) * 2012-01-10 2013-07-18 한국과학기술원 대기 예상 시간 계산 및 표시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 이를 이용하는 대기 시간 예측 시스템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170090147A (ko) * 2016-01-28 2017-08-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테마 파크에서의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62563B1 (ko) * 2017-05-17 2018-07-04 넷마블 주식회사 서비스 접속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98680B1 (ko) * 2018-07-26 2019-07-10 (주)유니온소프트 고객 관리 방법
KR20200111578A (ko) *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대기열 순위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01939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무인 편의점 결제 및 재고 관리 시스템
KR20220133824A (ko) * 2019-05-08 2022-10-05 아나나스엘엘씨 유한책임회사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612B1 (ko) * 2008-04-24 2011-10-11 (주)에임투지 대기표 관리 방법
WO2012023708A2 (ko) * 2010-08-16 2012-02-23 Choi Jae Sung 광고 기능을 구비한 페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1990A (ko) * 2012-01-10 2013-07-18 한국과학기술원 대기 예상 시간 계산 및 표시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 이를 이용하는 대기 시간 예측 시스템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170090147A (ko) * 2016-01-28 2017-08-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테마 파크에서의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62563B1 (ko) * 2017-05-17 2018-07-04 넷마블 주식회사 서비스 접속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98680B1 (ko) * 2018-07-26 2019-07-10 (주)유니온소프트 고객 관리 방법
KR20200111578A (ko) *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대기열 순위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133824A (ko) * 2019-05-08 2022-10-05 아나나스엘엘씨 유한책임회사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1939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무인 편의점 결제 및 재고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5375B2 (en) Modifying existing instruments without modification of unique identifier and immediate benefit availability
US201502062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optimized insurance quotes
CA3057961A1 (en) Modifying existing instruments without modification of unique indentifier and immediate benefit availability
US11049201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urrent and future data
KR101344498B1 (ko) 맞춤형 영업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업활동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541064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10661B2 (en) Server side preprocessing of web content
KR102519009B1 (ko)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10287279A1 (en) Using spending habits to optimize route in store
KR102531621B1 (ko) 클라우드 기반 유량제어 비용 최적화를 위한 리소스 최적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US10181103B2 (en) Routing preferred traffic within a reservation system
US20200408537A1 (en) Customizing user interface experiences for requesters of transportation services
US10496937B2 (en) Travel service information display system, travel ser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travel service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N115048561A (zh) 推荐信息确定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102519061B1 (ko) 구간 제어 방식 기반의 유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19008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대기열 사용자의 ab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KR102519073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진입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569833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모니터링을 이용한 유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11138538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102519010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9051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로드 밸런싱을 위한 대기열 관리 방법, 로드 밸런서 및 대기열 관리 시스템
KR102543972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진입 관리 대상의 자동 조정을 위한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US11900145B1 (en) System in the middle transaction processor
KR102525431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KR102559351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스파이크 평탄화 기술을 이용한 리소스 최적화 시스템 및 진입 관리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