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010B1 -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010B1
KR102519010B1 KR1020220190062A KR20220190062A KR102519010B1 KR 102519010 B1 KR102519010 B1 KR 102519010B1 KR 1020220190062 A KR1020220190062 A KR 1020220190062A KR 20220190062 A KR20220190062 A KR 20220190062A KR 102519010 B1 KR102519010 B1 KR 10251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s
level
service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to KR102022019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6Grouping or aggregating service requests, e.g. for unifie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서비스 서버로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단말기들로부터 EUM(End User Monitoring) 정보를 수신받고, EUM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요청의 수준을 판단하며, 접속 요청의 수준이 기 설정된 수준보다 많을 경우, 기 설정된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여 분류하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의 분석 결과에 의해,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Preset)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ENTRY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ENTRY TARGETS FOR EACH BOTTLENECK SECTION BASED ON DIGITAL SERVICE, METHOD AND PROGRAM}
본 개시는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수강신청, 콘서트 예약 및 구매 이벤트 등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시 접속자가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측의 응답속도가 저하되거나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의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스템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WEB, WEB으로부터 전달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처리하는 WAS(web application server) 및 쿼리문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동시 접속자가 폭주하는 경우, WEB은 네트워크 대역폭 부족으로 인해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체 트랜잭션 흐름을 고려하여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266호 (2016. 08. 30.)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전체 트랜잭션 흐름을 고려하여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는, 서비스 서버로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EUM(End User Monitoring)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요청의 수준이 기 설정된 수준보다 많을 경우, 기 설정된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확인하고,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여 분류하며,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의 분석 결과에 의해, 상기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Preset)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는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들에 의해 요청된 웹 페이지 정보 내에 삽입된 분석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과 부하량의 수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더 그룹화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과 부하량의 수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더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 상기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병목 구간 내의 적용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는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는, 각각의 병목 구간에 대한 부하 발생 시점 별 해당 진입 허용수, 부하 발생 구간 별 해당 진입 허용수, 트래픽량 별 해당 진입 허용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들로부터 EUM(End User Monitoring)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EUM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요청의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의 수준이 기 설정된 수준보다 많을 경우, 기 설정된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여 분류하는 단계;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의 분석 결과에 의해, 상기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Preset)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는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들에 의해 요청된 웹 페이지 정보 내에 삽입된 분석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단계는,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과 부하량의 수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더 그룹화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과 부하량의 수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더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 상기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병목 구간 내의 적용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는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체 트랜잭션 흐름을 고려하여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가 사용자의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진입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2의 프로세서에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일 예들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서버 관리자는 전문성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므로,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병목 구간을 제대로 설정하지 못하면, 서비스 서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SaaS 형태로 전환되면, 전문가는 서버의 초기 설정에 관여하지 못하므로, 기존 누적된 서버의 운영데이터를 활용하여 초기 설정을 적절한 형태로 가이드할 필요가 있다.
즉, 현재 서버 관리자는 어느 지점 및 어느 시기에서 부하가 걸릴지를 경험에 의존하여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가 부족한 신규 고객사의 경우, 서버 관리자는 부하 발생 시점 및 부하 발생 구간을 판단하기가 어려웠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입 관리 서버는, 전체 트랜잭션 흐름을 고려하여 어떤 구간에 병목이 발생할 것인지 예측하여 적절한 위치에 분석 코드를 삽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의 상태를 확인한 후 프리셋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려는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EUM(End User Monitoring)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요청의 수준이 기 설정된 수준보다 많을 경우, 기 설정된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여 분류하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의 분석 결과에 의해,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Preset)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는, 전체 트랜잭션 흐름을 고려하여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를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진입 관리 서버가 사용자의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의 단말기(End-User(Browser))(200)와 서비스 서버(300)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복수개일 수 있고, 엔드 유저(end-user)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엔드 유저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진입 관리 서버(100)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대해 차단, 우회 및 진입 허용 관리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단은 초당 접근 수가 매크로 수준(예를 들어, 1초에 NN번 클릭 등)인 경우, 차단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특정 액션을 발생시키는 버튼(예를 들어, 제출 및 확인 등)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우회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대기하기 위한 대기열이 발생한 상태여도 특정한 정책이나 주요 클라이언트인 경우, 대기열에 대기하지 않고 서비스 서버(300)로 바로 진입하도록 우회시키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진입 허용 관리는 서비스 서버(300)로의 진입을 위한 정상적인 대기 관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진입 허용 수를 기초로 진입을 제어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300)의 리소스 또는 상태를 관리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진입 허용 수는 진입 관리 서버(100)의 키(key)를 발급받아 해당 시간에 서비스 서버(300)의 특정 트랜잭션(예를 들어, 로그인 버튼, 수강 신청 버튼 등)에 동시 진입이 가능한 사용자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수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200)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웹(web)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이하, WAS라고 하기로 함) 및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서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 정보는 서비스 서버(300)의 WAS(web application server)를 모니터링하는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으로부터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 정보는 CPU 정보, 메모리정보, 디스크 정보, 네트워크 정보, 처리량, 쓰레드 수, 응답시간, 동시단말 사용자, 액티스 서비스, 액티브 사용자, 에러율, 거부율, 시간당 히트(hit) 수, 시간당 방문자수, 일별 히트(hit) 수, 일별 방문자 수, 사용자사 WAS 현황,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유휴, JDBC 할당, JDBC 활성, 총 JVM(java virtual machine) 메모리 및 JVM 메모리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웹 브라우저 또는 웹 크롤러와 같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주로 처리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HTTP 요청(request)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HTTP 응답(response)을 회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는 파일 경로 이름을 수신하여 경로와 일치하는 정적(static)인 형태의 파일 콘텐츠(html, jpeg, css 등)를 반환할 수 있다.
웹 서버는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을 WAS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WAS로부터 수신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수 있다.
WAS는 HTTP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적인 HTTP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웹 서버에 동적인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cont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WAS는 데이터베이스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상기, WAS는 HTTP를 통해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일 수 있다. WAS는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 또는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라고 명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컨테이너는 JSP 및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WAS는 분산 트랜잭션, 보안, 메시징, 스레드 처리 등의 기능을 처리하는 분산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AS는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기능 및 다수의 트랜잭션 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은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WAS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즈니스 로직에 맞게 실시간으로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WAS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서버(300)마다 적용하는 WAS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WAS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회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진입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입 관리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30)는 사용자의 단말기들(200) 및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130)는 서비스 서버(300) 및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들(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들(200)로부터 EUM(End User Monitoring)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EUM 정보는 사용자 환경의 분석 정보로써, 접속 대기열 시간, ApDex, 웹 페이지 호출 건수, 웹 페이지 응답 시간, 에러, 유입 채널(어느 사이트를 통해서 들어왔는지), OS정보(Window/IOS, 각OS의 버전), 브라우저 정보(safari, android, edge, chrome, explorer), IP 주소(접속한 국가, 도시), 기기 정보(아이폰, 모바일, 피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UM 정보는 실제 사용자 수 기반의 서비스 현황 정보, 사용자 환경 분석 정보 및 사용자 체감 성능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제 사용자 수 기반의 서비스 현황 정보는 진입 관리 서버(100) 자체에서 획득 가능하거나, 또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진입 관리 서버(100)에서의 상태 정보 수집을 위한 모니터링은 프로세서(110)가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직관적인 웹 기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모니터링 툴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제 사용자 수 기반의 서비스 현황 정보는, 서비스 서버(300) 내 사용자 트래픽의 증감 경향 및 이벤트 발생 시 동시접속 사용자, 및 진입 관리 서버(100) 내 대기열 사용자 수, 사용자 체감속도 및 응답속도를 포함하는 처리속도, 서비스 요청량, 대기자수, 대기시간, 시스템 진입량, 자원 사용량, 완료량, 처리시간, 평상 시 사용자 이용수(monthly active user), 이벤트 발생 예정 시각, 이벤트 발생 시 접속 예상 사용자 수 및 이벤트에 할당된 유저 허용 수, 웹 페이지에 대한 트래픽량, 웹 페이지에 대한 부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처리시간은 사용자 체감시간일 수 있고, 자원 사용량은 진입 관리 서버(100)에서의 자원 사용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는 선착순 드로우, 수강신청, 티켓예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벤트에 할당된 유저 허용 수는 드로우 대상 5000명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환경 분석 정보는 사용자 접속 환경 관련 정보로서, 위치정보(location), OS정보, 디바이스 정보, 브라우저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접속 환경 관련 정보(access 정보), 및 최종 사용자의 서비스 유입 경로 정보(inflow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는 국가, 시, 도, 위도, 경도 및 IP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속 위치가 한국이고, 서비스 서버(300)의 위치가 미국인 경우,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원거리이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 전송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어 인터넷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프로세서(110)는 진입 관리 기능을 제어할 때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 접속 환경 관련 정보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OS 정보는 이름, 버전 및 아키텍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정보는 이름, 버전, 통신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브라우저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각각 이름 및 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최종 사용자의 서비스 유입 경로 정보는 유입 이전 사이트의 URL로 확인이 가능하며, 서비스 사용자의 유입 동기 등을 수집하여 마케팅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최종 사용자의 서비스 유입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경로로의 마케팅 투자 대비 사용자 유입 비율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마케팅 적절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체감 성능 분석 정보는, 작업 단계별 사용자 체감 응답시간(load performance) 및 애플리케이션 성능 지표(application performance index, ApD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와 통신을 수행하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대기열 사용자의 AB 테스트의 진행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20)는 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들(200)로부터 EUM(End User Monitoring)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EUM(End User Monitoring)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요청의 수준이 기 설정된 수준보다 많을 경우, 기 설정된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에 의해 요청된 웹 페이지 정보 내에 삽입된 분석 코드를 기반으로,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과 부하량의 수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더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의 분석 결과에 의해,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Preset)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과 부하량의 수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더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는, 각각의 병목 구간에 대한 부하 발생 시점 별 해당 진입 허용수, 부하 발생 구간 별 해당 진입 허용수, 트래픽량 별 해당 진입 허용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병목 구간 내의 적용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더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트랜잭션 단위(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들(200)을 통한 로그인, 조회, 수강 신청 등의 각 단위) 진입 요청을 제한하고자 하고, 이를 위해 초당 로그인 개수를 한정하여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특정 대상에 대한 진입 관리 기능을 동적으로 연동 또는 해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대상은 페이지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대상은 예매 이벤트 선택을 위한 버튼 또는 로그인 페이지일 수 있다. 또한, 진입 관리 기능은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의 진입 허용수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10)는 Saas와 같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URI 패스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진입 관리 기능을 연동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전체 웹 페이지 내에서 진입 관리 기능의 연동 또는 해제가 필요한 웹 페이지 또는 버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의 진입 허용수를 설정하되, 초기 진입 허용 수를 설정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진입 허용 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설정된 진입 허용 수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비스 서버(300)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웹 페이지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수집하는 상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엔드 유저인 사용자 단말기들(200), 서비스 서버(300) 또는 자체적으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 정보는 실제 사용자 수 기반의 서비스 현황 정보, 고객 환경 분석 정보 및 고객 체감 성능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EUM(end-user monitoring) 정보 및 서비스 서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정보는 진입 관리 서버(100) 자체에서 획득 가능하거나, 또는 서비스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체 웹 페이지는 진입 관리 기능이 연동되지 않은 영역도 포함한 전체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전체 웹 페이지는 진입 관리 기능이 연동된 영역 및 진입 관리 기능이 연동되지 않은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이때, 진입 관리 기능이 연동되었다는 것은 진입 관리가 요구되는 특정 버튼 및 웹 페이지에 진입 관리를 위한 소스코드를 적용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입 관리 기능은 수강신청, 드로우(draw), 예매 버튼 등 특정 웹 페이지에서 각각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연동되거나, 또는 하나의 웹 페이지에 연동될 수 있다. 상술한 드로우는 특정 제품(예를 들어, 한정판 신발 또는 신규 출시된 신발)에 응모하여 당첨자에 한해서만 구매하는 행위일 수 있다. 또한, 발생 이벤트는 서버 다운, 트래픽 과다, 페이지 로드 오류, 처리시간 과다 초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의 수가 많을수록 응답이 느려지므로, 처리시간도 늘어날 수 있다. 진입 관리 서버(100)는 진입한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이 계속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트랜잭션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은 로그인, 조회, 각각의 버튼 별로 진입 시 진입 관리 서버(100)로 진입 가부를 문의 후 진입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각 웹 페이지마다 진입 관리가 적용되어 있는 경우, 초당 클릭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당 클릭 허용 수가 100인 경우, 프로세서(100)는 100개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에 대해 동시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비스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진입 허용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 서버 정보는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PM은 서비스 서버(300)의 WAS(Web application Server)를 모니터링하여, 서비스 서버(3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서비스 서버 정보로 수집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비스 서버(300)의 오픈 API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 정보는 CPU 정보, 메모리정보, 디스크 정보, 네트워크 정보, 처리량, 쓰레드 수, 응답시간, 동시단말 사용자, 액티스 서비스, 액티브 사용자, 에러율, 거부율, 시간당 히트(hit) 수, 시간당 방문자수, 일별 히트(hit) 수, 일별 방문자 수, 사용자사 WAS 현황,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유휴, JDBC 할당, JDBC 활성, 총 JVM(java virtual machine) 메모리 및 JVM 메모리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 정보는 서비스 서버(300)에서 수집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백엔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집된 서비스 현황 정보 및 수집된 서비스 서버 정보(예를 들어, APM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입 관리가 적용된 트랜잭션에 적절한 진입 허용 수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설정된 룰(rule)에 따라 진입 허용 수를 증감시키도록 진입 관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룰은 처리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아지는 경우, 진입 허용 수를 100 개에서 50 개로 하향 조절하여, 서비스 서버(300)의 부하를 낮추고 처리속도를 회복하도록 하는 등의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태 정보를 진입 관리 기준과 비교하여 특정 대상에 대한 진입 관리 기능의 연동 또는 해제를 포함하는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특정 대상은 웹 페이지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입 관리 기준은 수집된 상태 정보를 검토한 결과, 특정 대상에 진입 관리 기능의 적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예를 들어, 상태 정보내 각 항목별 기준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진입 관리 기준은 진입 관리 기능을 연동 또는 해제하기 위한 기준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연동 기준과 해제 기준으로 구분하여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이벤트에 할당된 유저 허용 수의 기준이 드로우 대상 6000명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이벤트에 접속하길 요청하는 엔드 유저(사용자 단말기)의 수가 6000명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또는 버튼에 진입 관리 기능을 연동할 수 있다. 이때, 진입 관리 기준 중 연동 기준은 드로우 이벤트에 접속한 엔드 유저의 수가 6000명 초과인 조건일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10)는 이벤트에 접속하길 요청하는 엔드 유저(사용자 단말기)의 수가 6000명 이하인 경우, 이벤트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또는 버튼에 연동된 진입 관리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진입 관리 기준 중 해제 기준은 드로우 이벤트에 접속한 엔드 유저의 수가 6000명 이하인 조건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2의 프로세서에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일 예들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 방법은, 수신 단계(S310), 판단 단계(S320), 확인 단계(S330), 분류 단계(S340), 추출 단계(S350), 제어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계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들(200)로부터 EUM(End User Monitoring)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S310). 판단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EUM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요청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EUM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각각의 국가별 접속 위치 정보, 해당 국가의 도시별 접속 위치 정보, 각각의 웹 브라우저 별 웹 페이지 호출 정보, 각각의 웹 브라우저 별 웹 페이지 응답 시간 정보, 각각의 웹 브라우저 별 APDEX(Application Performance Index, 애플리케이션 성능 지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에 대한 각각의 국가별 접속 위치 정보, 해당 국가의 도시별 접속 위치 정보, 각각의 웹 브라우저 별 웹 페이지 호출 정보, 각각의 웹 브라우저 별 웹 페이지 응답 시간 정보, 각각의 웹 브라우저 별 APDEX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접속 요청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APDEX는 제공되는 웹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만족도를 측정하는 표준 지표일 수 있다.
또한, EUM 정보는, 서비스 서버(300) 내 사용자 트래픽의 증감 경향 및 이벤트 발생 시 동시접속 사용자, 및 진입 관리 서버(100) 내 대기열 사용자 수, 사용자 체감속도 및 응답속도를 포함하는 처리속도, 서비스 요청량, 대기자수, 대기시간, 시스템 진입량, 자원 사용량, 완료량, 처리시간, 평상 시 사용자 이용수(monthly active user), 이벤트 발생 예정 시각, 이벤트 발생 시 접속 예상 사용자 수 및 이벤트에 할당된 유저 허용 수, 웹 페이지에 대한 트래픽량, 웹 페이지에 대한 부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처리시간은 사용자 체감시간일 수 있고, 자원 사용량은 진입 관리 서버(100)에서의 자원 사용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는 선착순 드로우, 수강신청, 티켓예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접속 수준이 기 설정된 수준보다 많을 경우, 기 설정된 병목 구간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확인할 수 있다(S33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에 의해 요청된 웹 페이지 정보(P1, P2, P3, …) 내에 삽입된 분석 코드(C1, C2, C3, …)를 기반으로, 병목 구간(S)에 있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확인할 수 있다.
분류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S340).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1, 202, 203)을 제1 내지 제3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유형은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일 수 있고, 제2 서비스 유형은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일 수 있으며, 제3 서비스 유형은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일 수 있다.
또한, 분류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더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S340).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4, 205, 206)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제4 그룹, 제5 그룹, 제6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2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1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분류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더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S340).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7, 208, 209)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제7 그룹, 제8 그룹, 제9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하량의 수준은 제2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부하량의 수준은 제1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분류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유사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더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S340).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10, 211, 212)을 제1 내지 제3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제10 그룹, 제11 그룹, 제1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은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으로,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2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1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은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으로,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2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1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3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은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으로,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2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1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분류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유사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더 그룹화하여 분류할 수 있다(S340).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13, 214, 215)을 제1 내지 제3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제13 그룹, 제14 그룹, 제15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은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으로,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부하량의 수준은 제2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부하량의 수준은 제1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은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으로,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부하량의 수준은 제2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부하량의 수준은 제1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3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은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으로,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부하량의 수준은 제2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부하량의 수준은 제1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추출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분석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의 분석 결과에 의해,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Preset)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 및 부하량의 수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더 추출할 수 있다(S350).
또한, 추출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분석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의 분석 결과에 의해, 유사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 및 유사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더 추출할 수도 있다(S350).
여기에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는, 각각의 병목 구간(S)에 대한 부하 발생 시점 별 해당 진입 허용수, 부하 발생 구간 별 해당 진입 허용수, 트래픽량 별 해당 진입 허용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제1 내지 제3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1, 202, 203)의 분석 결과에 의해, 제1 내지 제3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유형은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일 수 있고, 제2 서비스 유형은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일 수 있으며, 제3 서비스 유형은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일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10)는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에 따라 기 설정된 제1 병목 구간(S1)에 해당하는 제1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병목 구간(S2)에 해당하는 제2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에 따라 기 설정된 제3 병목 구간(S3)에 해당하는 제3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제4 내지 제6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4, 205, 206)의 분석 결과에 의해,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1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제4 병목 구간(S4)에 해당하는 제4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1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은 제2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제5 병목 구간(S5)에 해당하는 제5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2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제6 병목 구간(S6)에 해당하는 제6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제7 내지 제9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7, 208, 209)의 분석 결과에 의해,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1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제7 병목 구간(S7)에 해당하는 제7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1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은 제2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제8 병목 구간(S8)에 해당하는 제8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2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은 제3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제9 병목 구간(S9)에 해당하는 제9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제10 내지 제12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0, 211, 212)의 분석 결과에 의해, 제1 내지 제3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은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일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제10 병목 구간(S10)에 해당하는 제10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2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1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은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일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제11 병목 구간(S11)에 해당하는 제11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2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1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3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은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일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제12 병목 구간(S12)에 해당하는 제12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2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트래픽량의 수준은 제1 트래픽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제13 내지 제15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3, 214, 215)의 분석 결과에 의해, 제1 내지 제3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은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일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제13 병목 구간(S13)에 해당하는 제13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부하량의 수준은 제2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부하량의 수준은 제1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서비스 유형 별 부하량의 수준은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일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제14 병목 구간(S14)에 해당하는 제14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부하량의 수준은 제2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부하량의 수준은 제1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3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량의 수준은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일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제1 내지 제3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제15 병목 구간(S15)에 해당하는 제15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부하량의 수준은 제2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고, 제2 부하량의 수준은 제1 부하량의 수준보다 적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제1 내지 제15 병목 구간(S1 내지 S15)에 대한 각각의 부하 발생 시점 별 해당 진입 허용수, 각각의 부하 발생 구간 별 해당 진입 허용수, 각각의 부하량 별 해당 진입 허용수, 각각의 트래픽량 별 해당 진입 허용수, 각각의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른 부하량 별 해당 진입 허용수, 각각의 유사 서비스 유형에 따른 트래픽량 별 해당 진입 허용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15 프리셋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제어할 수 있다(S360). 또한, 제어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 추출된 병목 구간 별 해당 프리셋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병목 구간 내의 적용 구간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들(200)을 더 제어할 수 있다(S36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1 내지 제3 병목 구간(S1 내지 S3)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1 내지 제3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1, 202, 20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1 내지 제3 병목 구간(S1 내지 S3)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내지 제3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저장된 제1 내지 제3 병목 구간(S1 내지 S3) 내의 적용 구간 정보(AS1 내지 AS3)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1 내지 제3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1, 202, 203)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정된 제1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1)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정된 제2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2)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정된 제3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3)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제1 내지 제3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1, 202, 203)의 진입 허용수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3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1, 202, 203)을 시간대 별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시키도록, 제1 내지 제3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1, 202, 20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4 내지 제6 병목 구간(S4 내지 S6)에 해당하는 제4 내지 제6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4 내지 제6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4, 205, 206)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4 내지 제6 병목 구간(S4 내지 S6)에 해당하는 제4 내지 제6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제4 내지 제6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저장된 제4 내지 제6 병목 구간(S4 내지 S6) 내의 적용 구간 정보(AS4 내지 AS6)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4 내지 제6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4, 205, 206)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4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제1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4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4)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제2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5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5)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6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제3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6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6)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제4 내지 제6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4, 205, 206)의 진입 허용수를 기반으로, 제4 내지 제6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4, 205, 206)을 시간대 별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시키도록, 제4 내지 제6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4, 205, 206)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7 내지 제9 병목 구간(S7 내지 S9)에 해당하는 제7 내지 제9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7 내지 제9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7, 208, 209)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7 내지 제9 병목 구간(S7 내지 S9)에 해당하는 제7 내지 제9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제7 내지 제9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저장된 제7 내지 제9 병목 구간(S7 내지 S9) 내의 적용 구간 정보(AS7 내지 AS9)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7 내지 제9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7, 208, 209)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7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7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7)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8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제2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8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8)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9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웹 페이지 정보에 상응하는 제3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9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9)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제7 내지 제9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7, 208, 209)의 진입 허용수를 기반으로, 제7 내지 제9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7, 208, 209)을 시간대 별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시키도록, 제7 내지 제9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7, 208, 209)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10 내지 제12 병목 구간(S10 내지 S12)에 해당하는 제10 내지 제12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10 내지 제12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0, 211, 212)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10 내지 제12 병목 구간(S10 내지 S12)에 해당하는 제10 내지 제12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제10 내지 제12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저장된 제10 내지 제12 병목 구간(S10 내지 S12) 내의 적용 구간 정보(AS10 내지 AS12)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10 내지 제12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07, 208, 209)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0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10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0)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1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11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1)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2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트래픽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12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2)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제10 내지 제12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0, 211, 212)의 진입 허용수를 기반으로, 제10 내지 제12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0, 211, 212)을 시간대 별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시키도록, 제10 내지 제12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0, 211, 212)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13 내지 제15 병목 구간(S13 내지 S15)에 해당하는 제13 내지 제15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13 내지 제15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3, 214, 215)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제13 내지 제15 병목 구간(S13 내지 S15)에 해당하는 제13 내지 제15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제13 내지 제15 프리셋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저장된 제13 내지 제15 병목 구간(S13 내지 S15) 내의 적용 구간 정보(AS13 내지 AS15)를 기반으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하는 제13 내지 제15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3, 214, 215)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3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수강 신청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13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3)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4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콘서트 예약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14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4)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5 프리셋 정보는 시간대 별로 구매 이벤트 관련 콘텐츠 서비스 별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제15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5)의 진입 허용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제13 내지 제15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3, 214, 215)의 진입 허용수를 기반으로, 제13 내지 제15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3, 214, 215)을 시간대 별로 서비스 서버(300)로 진입시키도록, 제13 내지 제15 그룹의 사용자의 단말기들(213, 214, 215)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개시의 진입 관리 서버(100)는 출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는 진입 관리 서버(100)에서 구현되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통신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 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키 및/또는 버튼들, 또는 물리적인 키 및/또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를 통한 사용 자 입력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는, 쇼핑 관련 서비스 서버에서 이벤트 페이지 및 장바구니 페이지가 상호 영향을 미칠 경우, 이벤트 페이지 및 장바구니 페이지를 묶어 총 진입 허용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페이지 및 장바구니 페이지가 상호 영향을 미칠 경우는, 이벤트 페이지에서 구매 후 장바구니 페이지로 넘어갔을 때, 장바구니 페이지에서 트래픽이 과도하여 이벤트 페이지의 로딩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일 수 있고, 각각의 페이지 별 진입 수는 양호하나 한쪽 페이지의 진입 수가 다른 페이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는, 다른 유사 서비스 및 해당 고객사의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템플릿의 생성은,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고, 기존의 유사 업종 데이터를 가져온 다음, 유사 업종의 Case를 기준으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신규 서비스 서버의 경우, 기존의 과거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특정 이벤트 또는 특정 시간대에 발생하는 부하량과 트래픽량을 예측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해당 템플릿을 기반으로, 어떤 URI와 버튼에 진입 관리 기능을 연동시킬지 또는 연동 후 진입 허용수 및 연동 시간 등에 관하여, 프리셋 정보를 사전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진입 관리 서버(100)는, 사전 설정된 프리셋 정보를 기반으로 우선적으로 동작한 다음, 진입 관리 기능을 통해 진입 허용수를 보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대상 고객사의 서비스 서버의 아키텍쳐, WAS, CPU 사양, 진입 관리 기능의 적용 구조(ex. 진입 관리 기능에 대한 적용 버튼의 배치, 개수 등)와 유사한 서비스 서버들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같은 수강 신청 사이트여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설계에 따라 서버 구조는 완전히 다를 수 있으므로, 사이트/서버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서비스 서버의 아키텍쳐, WAS, CPU 사양, 진입 관리 기능의 적용 구조 등의 모든 인자를 고려하여 유사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대상 고객사의 서비스 서버 내 진입 허용수 증감이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유사 서비스 서버의 목록을 호출해올 수 있고, 이때 상기 구조 유사도 factor의 비교를 기반으로 유사도를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본 개시는, 서비스 서버 내 사용자 트래픽의 증감 경향, 이벤트(ex. 선착순 드로우, 수강신청 등) 발생 시 동시접속 사용자 및 대기열 사용자 수, 이벤트가 없는 평상 시 사용자 이용수(Monthly Active User) 등을 factor로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의 상태 유사도를 산출하고, 이를 진입 허용수 증감의 적절도 판단에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구조 유사도, 상태 유사도, 이외 추가 다른 기준의 유사도를 추출하고, 각 유사도 factor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최종 유사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비율은 서버 관리자의 관리 용도, 진입 허용 제어가 필요한 이벤트 종류 등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고객사 서비스 시나리오의 각각의 URI주소에 분석 코드를 삽입할 수도 있고, 고객사 웹 서비스의 헤드에 분석 코드를 삽입할 수도 있으며, 웹 페이지를 열어서 개발자 로그를 열고 헤드의 시작 구문에 분석 코드를 삽입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삽입된 분석 코드는, 각각의 URI주소가 어떤 DB 및 WAS와 연결되어 있는지 토폴로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토폴로지(topology)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요소들(링크, 노드 등)을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 또는 그 연결 방식일 수 있다.
여기에서, 분석 코드를 삽입하지 않으면 트래픽량까지 알 수 없고, 분석 코드를 삽입하면 특정 요청이 발생할 경우에 부하가 걸리게 될 DB/WAS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분석 코드를 삽입하면 트래픽이 있는 경우에도 알 수 있고, 트래픽이 전혀 없는 경우에도 요청 별 부하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DB/WAS, 즉 경로를 알 수 있다. 즉, 분석 코드를 통해, URI가 어떤 패스를 거쳐왔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분석 코드로부터 얻는 경로는 특정 요청이 발생할 경우 어떤 WAS 및 어떤 DB를 거쳐 부하가 발생하는지의 경로를 알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알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경로를 알 수 있는 경우라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경로를 알 수 없는 경우라면 임의의 부하를 걸고 난 후에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분석 코드를 통해 사전 진단 Agent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송 데이터는 URI와 DB/WAS간의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경로 정보일 수 있고, 트래픽 대비 응답 시간 데이터에 해당하는 처리 시간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웹 트랜잭션 데이터에서는, 부하량을 알 수 없고, DB/WAS에 Agent를 심어서 얻어야 한다. 여기에서, 사전 진단 agent는, 고객사 서버 측에 있는 구성은 아니고, 진입 관리 서버 내에 마련된 클라우드 서버 중 해당 고객사의 tenant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환경 내 고객 별 tenant 안에 진입 관리 기능을 위한 엔진, DB, Agent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고객사 URI, path, 응답시간등을 Agent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는, Agent가 수신한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이때, 본 개시는, 사전 진단 Agent에서 일정 기간 동안 병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본 개시는,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CPU 패턴분석을 통해 어떤 CPU job이 비 효율적으로 일어나는지 파악 및 예측하고 최적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설정 기간 동안 러닝시키고, Agent를 이용해 설정 기간 동안의 패턴을 학습시킬 수도 있다. 이때, 본 개시는,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Agent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의 경로 정보(각 요청 별 부하가 걸리는 DB/WAS 경로 정보)를 라벨링 및 학습시킬 수 있고, 고객사 서비스에 따른 시간/패턴 별 트래픽량을 라벨링 및 학습시킬 수 있다. 이때, 고객사 서버 별로 패턴 및 경로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학습된 경로 및 패턴정보(ex. 오후 2시가 되면 로그인 페이지 트래픽이 많아지며, 로그인 요청 시 로그인 페이지 및 메인 페이지 관련 DB/WAS에 부하가 발생)를 기반으로, 해당 패턴에 따라 Agent의 진입 관리 기능에 해당하는 적용구간 및 진입허용수를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분석 결과에 따라 진입 관리 기능에 해당하는 적용 구간 및 진입허용수를 자동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적용 구간은 해당 페이지와 해당 URI 및 해당 버튼에 진입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간일 수 있다. 이때, 진입 허용수의 관리는, 진입 허용수(한 번에 진입을 허용할 요청 수)를 제어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입 관리 서버의 리소스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입 관리 기능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가장 중요한 설정값은 진입 허용수이고, 진입 허용수가 높으면 많은 대기자가 한꺼번에 서비스 서버로 진입할 수 있으나, 서비스 서버가 불안정해지고, 진입 허용수가 낮으면 안정적으로 소수의 대기자가 서비스 서버로 진입하게 되나, 서비스 서버의 리소스를 낭비하고 기회비용을 날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고객사 별 AI 모델의 진단에 따라 진입 관리 기능이 적용된 구간 안에서 과부하가 기준치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진입 허용수의 증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진입 관리 기능에 연동할 웹 페이지들의 그룹화를 결정 및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웹 페이지의 경우 /main or /index 등의 URI로 접속할 수 있다. 그런데, 최초 접속 페이지만 진입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로 하였는데, 부하는 main, index 외에 /login, /mypage 등의 다른 URI에도 걸릴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페이지 or 전혀 연결되어 있지 않은 페이지일지라도, 부하를 주는 DB나 WAS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페이지는 진입 관리 기능을 제한하였으나, 로그인 페이지에서 부하를 줘버리면, 로그인 측의 사용자 때문에 메인 페이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이를 전부 묶어서 일괄적으로 진입 관리 기능에 연동시킴으로써, 그룹화된 여러 페이지의 전체 진입 허용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퍼 사전 예약 당시, 첫 진입 기점은 진입 관리 기능을 제한하여 진입 허용수를 제어했으나, 내부에 입장하여 캐스퍼 차량 구매 시 각각 개별 옵션 설정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고, mycar 페이지로 진입하는 진입 허용수는 제어되고 있지 않았다. 결국 앞단에서는, 진입 관리 기능을 제한하여 진입 허용수를 제어했으나, 뒷단의 마이페이지에서 저장하는 과정에서 서버의 부하를 감당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로그인, 메인, 마이카 이런식으로 모든 페이지를 묶어서 관리하게 되면, 특정 페이지가 다른 페이지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본 개시는, 진입 관리 기능에 연동할 웹 페이지들의 그룹화를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그룹화를 위한 정보의 수집을 위해, 분석 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URI의 호출 건수 등 각각의 URI가 발생시킨 Trace 로그와 응답 시간 data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고, EUM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Trace 로그는 경로의 흔적에 대한 로그일 수도 있고, 해당 Trace 로그를 이용하여 1대 다수의 연결에서 어느 DB/WAS에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다.
본 개시는, 진입 관리 기능에 연동할 웹 페이지들의 그룹화를 새롭게 보정할 수도 있다. 즉, 분석 코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화시, 그룹핑 기준이 잘못될 수도 있다. 이는, 하나의 URI가 하나의 DB/WAS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고, 1대 다수의 대응이기 때문이다. 또한, 신규 서비스의 출시 및 수정으로 인해 환경이 계속 바뀔 수 있으므로, 초기엔 없었던 연관 관계로 인하여, 관계없다고 생각되었던 URI가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그룹화를 새롭게 보정하기 위해, 각 URI마다 트래픽의 통계를 수집하고, 수집한 트래픽의 통계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이를 기반으로, 모든 그룹핑 경우의 수에서 가장 최적의 그룹화 방안을 재설계 및 보정할 수도 있다. 즉, 경우의 수 중 가장 부하 합계가 낮은 그룹화로 새롭게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롭게 보정할 그룹이 제1 그룹(ABC)과 제2 그룹(DE)이고, A, B, C 페이지에서의 트래픽이 동시에 높을 때 보다 A, B, E 페이지에서의 트래픽이 동시에 높을 때 DB에 부하가 많은 경우, A, B, E를 새롭게 그룹화하는 방식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복수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복수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진입 관리 서버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통신부

Claims (12)

  1.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접속요청하는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EUM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요청이 기설정된 수준보다 많은 경우, 상기 단말기들중 상기 웹페이지정보내의 분석코드와 AI모델 기반의 CPU패턴분석을 통해 병목구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제1단말기들을 유사서비스유형과 상기 웹페이지정보에 상응하는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그룹화하여 분류하고, 상기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병목구간에 대한 부하발생시점과 부하발생구간별 해당진입허용수를 포함한 병목구간별 프리셋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들을 제어하되, 진입관리기능이 적용된 병목구간내에서 상기 제1단말기들의 로그인 요청시 로그인페이지, 메인페이지 관련 DB 및 WAS의 과부하가 기준치이상 발생되지않도록 상기 해당진입허용수의 증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셋정보는 상기 유사서비스유형의 시간대별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해당진입허용수를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셋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병목구간내의 적용구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들을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6. 삭제
  7. 진입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접속요청하는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EUM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요청이 기설정된 수준보다 많은 경우, 상기 단말기들중 상기 웹페이지정보내의 분석코드와 AI모델 기반의 CPU패턴분석을 통해 병목구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제1단말기들을 유사서비스유형과 상기 웹페이지정보에 상응하는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그룹화하여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병목구간에 대한 부하발생시점과 부하발생구간별 해당진입허용수를 포함한 병목구간별 프리셋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들을 제어하되, 진입관리기능이 적용된 병목구간내에서 상기 제1단말기들의 로그인 요청시 로그인페이지, 메인페이지 관련 DB 및 WAS의 과부하가 기준치이상 발생되지않도록 상기 해당진입허용수의 증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셋정보는 상기 유사서비스유형의 시간대별 부하량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 해당진입허용수를 포함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프리셋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병목구간내의 적용구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들을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7항 또는 제11항의 진입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190062A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062A KR102519010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062A KR102519010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010B1 true KR102519010B1 (ko) 2023-04-06

Family

ID=8591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0062A KR102519010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0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662A (ko) * 2010-12-08 2012-06-18 텔코웨어 주식회사 로드 밸런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분산 관리 방법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170012540A (ko) * 2014-12-17 2017-02-02 (주)에임투지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32287A (ko) * 2017-06-02 2018-12-12 그린아일 주식회사 엔드-투-엔드 엔드 유저 성능 자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662A (ko) * 2010-12-08 2012-06-18 텔코웨어 주식회사 로드 밸런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분산 관리 방법
KR20170012540A (ko) * 2014-12-17 2017-02-02 (주)에임투지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180132287A (ko) * 2017-06-02 2018-12-12 그린아일 주식회사 엔드-투-엔드 엔드 유저 성능 자동 모니터링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3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access to developed applications via a multi-tenant on-demand database service
US9647922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ials onboarding
US10534658B2 (en) Real-time monitoring alert chaining, root cause analysis, and optimization
US20170207984A1 (en) Guaranteed response pattern
US20140278724A1 (en) Business process compliance via security validation service on the cloud
EP3815342B1 (en) Adaptive user-interface assembling and rendering
US10831632B2 (en) Cognitive in-memory API logging
US11029923B2 (en) Technical building block
KR102519010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90332393A1 (en) Mainframe system structuring
KR102519008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대기열 사용자의 ab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KR102543972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진입 관리 대상의 자동 조정을 위한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CN114782013A (zh) 用于流程建模的请求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138538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102569833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모니터링을 이용한 유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20140324554A1 (en) Analysis and annotation of interactions obtained from network traffic
KR102633182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발급된 키를 활용한 진입 관리 서버 및 방법
KR102519061B1 (ko) 구간 제어 방식 기반의 유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860862B (zh) 低代码平台的前端缓存方法及相关设备
KR102522910B1 (ko) 프록시 방식의 서비스 지속성 보장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28996A1 (en) Root cause analysis in process mining
KR102559351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스파이크 평탄화 기술을 이용한 리소스 최적화 시스템 및 진입 관리 서버
US11695825B1 (en) SaaS application recommendation, approval, and fulfillment in a SaaS management platform
US20230195924A1 (en) Database Management Tool
CN113419922A (zh) 主机批量作业运行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