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266B1 -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266B1
KR101654266B1 KR1020150116835A KR20150116835A KR101654266B1 KR 101654266 B1 KR101654266 B1 KR 101654266B1 KR 1020150116835 A KR1020150116835 A KR 1020150116835A KR 20150116835 A KR20150116835 A KR 20150116835A KR 101654266 B1 KR101654266 B1 KR 101654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data
action
wid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379A (ko
Inventor
이호경
장재만
정훈호
Original Assignee
(주)에임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임투지 filed Critical (주)에임투지
Publication of KR2016007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1Service on demand, e.g. definition and deployment of services in real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개의 모듈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모듈에 반응하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제어하는 액션(action)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processor), 사용자 단말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웹 접속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통신 수단, 그리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UI(user interface)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UI 표시 수단은 미리 정해진 제1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발급량 데이터, 또는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대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영역 표시 수단, 제1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의 진입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영역 표시 수단, 제2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2 폭보다 큰 제3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진입 허용량 데이터, 또는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 영역 표시 수단, 제3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3 폭보다 작은 제4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완료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4 영역 표시 수단, 그리고 제4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4 폭보다 큰 제5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5 영역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USING WEB CONNECTION MANAGING SYSTEM}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웹(web) 서버나 왑(wap) 서버 등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접속이 짧은 시간 내에 폭주하면 접속 처리가 지연되거나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고 다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한정된 리소스(resource)를 이용하여 많은 사용자들의 접속을 처리하기 때문이며, 특히 네트워크 시스템이 모든 사용자들과의 접속을 유지한 채 접속 처리를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0993341은 웹에 접속하여 리소스 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접속 순서에 따라 대기표를 발급하여 일부 사용자들만 웹 서버에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내용을 제시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0993341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의 관리자가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웹 서버의 관리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편리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개의 모듈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모듈에 반응하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제어하는 액션(action)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processor), 사용자 단말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웹 접속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통신 수단, 그리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UI(user interface)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UI 표시 수단은 미리 정해진 제1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발급량 데이터, 또는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대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영역 표시 수단, 제1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의 진입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영역 표시 수단, 제2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2 폭보다 큰 제3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진입 허용량 데이터, 또는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 영역 표시 수단, 제3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3 폭보다 작은 제4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완료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4 영역 표시 수단, 그리고 제4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4 폭보다 큰 제5 폭을 갖고,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5 영역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발급량 데이터를 물방울(water bubble)의 개수 및 크기로 나타내며, 대기 데이터를 물이 채워지는 형상으로 나타내고, 제2 영역 표시 수단은 진입량 데이터를 물방울의 개수 및 크기로 나타내고, 제3 영역 표시 수단은 진입 허용량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제1 색상으로 나타내며,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제2 색상으로 나타내고, 제4 영역 표시 수단은 완료량 데이터를 물방울의 개수로 나타내고, 제5 영역 표시 수단은 처리시간 데이터를 버블(bubble)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발급량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미만인 경우, 발급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물방울의 개수를 증가시키며, 발급량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미만인 경우, 발급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물방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제2 영역 표시 수단은 진입량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미만인 경우, 진입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물방울의 개수를 증가시키며, 진입량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미만인 경우, 진입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물방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대기가 발생하는 경우, 물이 채워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대기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물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5 영역 표시 수단은 처리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버블의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폭이 감소되는 영역을 갖고, 제2 영역 표시 수단은 제2 폭이 감소되는 영역을 갖고, 제4 영역 표시 수단은 제4 폭이 증가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은 서비스 UI 표시 수단 및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서비스 UI 표시 수단 및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은 제1 영역 표시 수단 내지 제5 영역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서비스 UI 표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터는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터의 합일 수 있다.
또한, 액션 UI 표시 수단의 제5 영역 표시 수단은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에 대한 추이 데이터를 출력하고, 추이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처리시간에 기초하여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은 서비스 정보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막대 그래프 또는 막대 그래프를 둘러싸는 제1 원형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고, 서비스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꺾은선 그래프 또는 꺾은선 그래프를 둘러싸는 제2 원형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은 서비스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꺾은선 그래프의 우측 끝 부분을 빨간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은 웹의 동시 접속자수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수의 최대값을 초과한 경우, 빨간색 경고등을 점등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은 액션 정보의 종류에 따른 미리 정해진 색상을 이용하여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원형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은 미리 정해진 색상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액션에 대한 진입 허용량 데이터를 한 개의 원형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웹 서버의 관리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대기창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I 표시 수단이 출력하는 메인 UI 화면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UI 화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서비스 정보에 대한 UI 표시 수단이 출력하는 차트의 예시이다.
도 9는 도 8의 ③ 부분에 대한 차트의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서비스 정보에 대한 UI 표시 수단이 출력하는 차트의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I 표시 수단(440)이 제공하는 덤벨 형상 UI가 포함된 화면의 예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덤벨 형상 UI의 예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UI 표시 수단의 예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의 예시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액션 처리시간 데이터의 변화를 출력하는 덤벨 형상 UI의 예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출력하는 덤벨 형상 UI의 예시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완료율이 저하되는 상황을 출력하는 덤벨 형상 UI의 예시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넷, 인트라넷 등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의 관리자는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웹 서버와 통신을 함으로써 관리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웹 서버에서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리소스를 할당하여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웹 서버는 한정된 리소스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웹 페이지에 사용자의 접속이 폭주하게 되는 경우 접속 처리가 지연되거나 웹 서버가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 티켓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에 사용자의 접속이 폭주하게 되는 경우 웹 서버가 다운될 수 있고, 대학교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에 학생들의 접속이 폭주하게 되는 경우 웹 서버가 다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은 짧은 시간 동안 웹 서버에 사용자의 접속이 폭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기표를 주어 웹 서버가 다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서버를 운영하는 관리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웹 서버를 증설하지 않고 기존의 웹 서버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한 웹 서버(1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대기창의 예시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제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웹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웹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이 사용자 단말(200)의 웹 서버(100)에 대한 접속을 통제한다.
도 2의 흐름도를 참고로 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웹 서버(100)에 대한 접속 절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 단말(200)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으로 웹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진입 요청을 한다(S201).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은 웹 서버(100)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대기 또는 진입 명령을 내린다(S301, S302). 웹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많은 경우,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200)에 대기 명령을 내릴 수 있고(S301), 사용자 단말(200)에는 대기창이 표시된다(S202).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대기창에는 도 3과 같이 대기자수, 대기시간, 진행률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대기창에 표시되는 사항인 대기자수, 대기시간, 진행률 등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의해 산출되고, 실시간으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은 웹 서버(100)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대기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이 계속하여 웹 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다시 진입요청을 하고(S203),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200)에 진입 명령을 내린다(S302). 사용자 단말(200)은 웹 서버(100)에 진입하여(S204) 웹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101).
사용자 단말(200)이 서비스 이용을 종료하는 경우(S205), 사용자 단말(200)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사용완료 정보를 전송하고(S206),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은 웹 서버(1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을 관리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400)는 웹 서버(100)를 기반으로 한 웹 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해당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 폭주를 관리한다. 관리자는 모니터링 장치(400)를 통해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설정 값을 지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접속 관리에 대한 실시간 상황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400)는 웹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고, 웹 서버(100)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관리자는 모니터링 장치(400)를 통해 웹 페이지 또는 웹 페이지 중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에 대해 사용자의 접속 폭주를 예상하고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해당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관리자는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해당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웹 페이지에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트래픽이 많이 몰리는 부분, 정해진 시간 내에 열리는 이벤트성 서비스 부분, 처리되는 로직이 많아 동시에 적당량만 요청 및 처리해야 하는 부분,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유입량 및 서비스 처리시간을 체크하고 싶은 부분 등에 대해서 API를 적용하여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자는 기존 웹 페이지 코드에 API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추가함으로써 웹 페이지의 특정 부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관리할 수 있다.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속을 관리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400)는 사용자에게 대기표를 발급하여 사용자의 접속을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데이터는 처리시간, 진입 허용수, 리소스 사용량, 리소스 사용율, 대기시간, 대기자수, 발급량, 진입량, 완료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시간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또는 액션(action)이 처리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서, 액션은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최소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웹 페이지를 통하여 '수강신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수강신청' 서비스에 대한 액션은 '신청', '조회', '삭제', '메인페이지', '로그인'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수강신청' 서비스에 대한 처리시간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수강신청을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신청' 액션에 대한 처리시간은 사용자가 특정 과목에 대한 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과목에 대한 수강 신청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고, '로그인' 액션에 대한 처리시간은 사용자가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웹 페이지가 제공될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400)는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해당 서비스에 포함되는 각각의 액션에 대해서도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속을 관리할 수 있다.
진입 허용수는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통해 동시에 웹 서버(100)로 접속을 허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숫자이고, 리소스 사용량은 진입 허용수 중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숫자이며, 리소스 사용율은 진입 허용수에 대한 리소스 사용량의 비율을 퍼센트로 나타낸 값이다. 대기시간은 대기창이 표시된 사용자가 대기하는 평균시간이고, 대기자수는 현재 대기창이 표시되어 대기하고 있는 사용자 숫자이다. 발급량은 웹 페이지 중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이 적용된 부분을 사용자가 처음 요청한 양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발급량은 사용자가 1초 동안 웹 페이지의 특정 부분을 클릭한 횟수일 수 있다. 진입량은 사용자가 대기시간이 지난 후 웹 서버(100)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을 보내는 양을 나타낸다. 완료량은 사용자의 진입 요청이 웹 서버(100)에 보내진 이후 웹 서버(100)로부터 응답을 받은 양을 나타낸다.
모니터링 장치(400)는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웹 페이지의 접속 관리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400)는 제공하는 서비스와 액션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관리자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UI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모니터링 장치(400)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UI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I 표시 수단이 출력하는 메인 UI 화면의 예시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UI 화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400)는 복수개의 모듈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410), 그리고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모듈에 반응하며,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제어하는 액션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processor)(420), 통신 수단(430), 그리고 UI 표시 수단(440)을 포함한다.
모듈은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연산, 처리 등이 되는 것으로, 컴퓨터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일부분을 뜻하며,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41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기타 비휘발성 고체 상태 메모리 장치(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수단(430)은 사용자 단말(200)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UI 표시 수단(440)은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UI 표시 수단(440)은 UI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출력하거나 표시하는 독립된 장치일 수도 있으며, 또는 장치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UI 표시 수단(440)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등록된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UI를 제공하기 위해 도 6과 같은 메인 UI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관리자는 모니터링 장치(400)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서비스를 6개까지 등록할 수 있고, 서비스를 등록하는 경우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가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관리자가 UI 표시 수단(440)이 출력하는 UI(12)를 클릭하는 경우, UI 표시 수단(440)은 복수개의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차트로 제공한다. 한 명의 관리자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비스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자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경우, UI 표시 수단(440)은 한 화면에서 복수개의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차트를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가 UI 표시 수단(440)이 제공하는 UI(13)를 클릭하는 경우, UI 표시 수단(44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차트로 출력하고, 관리자가 UI 표시 수단(440)이 제공하는 UI(14)를 클릭하는 경우, UI 표시 수단(44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덤벨(dumbbell) 형상 UI로 출력할 수 있다.
UI 표시 수단(440)은 서비스 정보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메인 UI 화면에 출력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UI 표시 수단(440)은 그래프 형태로 서비스 정보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표시 수단(440)은 서비스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도 7의 ① 부분과 같이 막대 그래프 또는 막대 그래프를 둘러싸는 원형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막대 그래프를 둘러싸는 바깥쪽 원형 그래프가 미리 정해진 색상으로 더 채워지는 경우, 관리자는 해당 서비스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440)은 서비스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도 7의 ② 부분과 같이 꺾은선 그래프 또는 꺾은선 그래프를 둘러싸는 원형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440)은 처리시간에 부하가 있는 경우, 도 7의 ③ 부분과 같이 꺾은선 그래프의 우측 끝 부분을 빨간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400)는 서비스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에 처리시간에 부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440)은 웹의 동시 접속자수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연결되는 사용자수의 최대값을 초과한 경우, 도 7의 ④ 부분과 같이 빨간색 경고등을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표시 수단(440)은 하루를 기준으로 웹의 동시 접속자수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연결되는 사용자수의 최대값을 1회 초과한 경우 빨간색 경고등을 한 개 점등하고, 3회 초과시 빨간색 경고등을 세 개 점등할 수 있다. 3회 초과한 경우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이 최대값을 초과한 접속자에 대한 제어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는 모니터링 장치(400)에서 UI 표시 수단(440)이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메인 UI 화면을 통해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등록된 복수개의 서비스에 대한 상황 정보를 한 번에 파악할 수 있고, 그래프와 같은 시각적 데이터를 통해 주요 사항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서비스 정보에 대한 UI 표시 수단이 출력하는 차트의 예시이다.
도 8과 같이 UI 표시 수단(440)은 복수개의 서비스 정보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차트로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메인 UI 화면에서 UI(12)를 클릭하여 UI 표시 수단(440)이 출력하는 차트를 확인할 수 있다.
UI 표시 수단(440)은 복수개의 서비스 정보의 실시간 데이터를 차트를 통해 출력하며, 관리자는 복수개의 서비스 정보에 대한 실시간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도 8의 ① 부분을 클릭하는 경우, 메인 UI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② 부분을 통해 복수개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UI 표시 수단(440)은 ③ 부분과 같이 복수개의 서비스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포함된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 리소스 사용량 등을 그래프 형태의 차트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③ 부분에 대한 차트의 예시이다.
UI 표시 수단(440)은 도 9의 ① 부분과 같이 불안정한 데이터를 확대해서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가 불안정한 데이터인 도 9의 ② 부분을 클릭하는 경우, UI 표시 수단(440)은 도 9의 ③ 부분과 같이 관련된 액션 목록과 처리시간을 팝업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도 9의 ④ 부분을 클릭하는 경우, UI 표시 수단(440)은 처리시간에 부하가 있는 상위 부분을 확대해서 처리시간 Xview 차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440)은 서비스에 포함된 액션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인 리소스 사용량, 대기시간, 대기자수를 차트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한 개의 서비스 정보에 대한 UI 표시 수단이 출력하는 차트의 예시이다.
UI 표시 수단(440)은 서비스에 포함된 액션 정보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차트로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메인 UI 화면에서 UI(13)를 클릭하여 UI 표시 수단(440)이 출력하는 차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UI 표시 수단(440)은 한 개의 서비스 안에 포함되는 모든 액션의 상태 정보를 차트에 출력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액션은 미리 정해진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관리자가 도 10의 ① 부분을 클릭하는 경우, 메인 UI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UI 표시 수단(440)은 도 10의 ② 부분과 같이 미리 정해진 색상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액션 정보에 대한 진입 허용수 및 처리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표시 수단(440)은 도 10의 ②의 위 부분과 같이 미리 정해진 색상을 이용하여 쇼핑 서비스의 복수개의 액션 정보에 대한 진입 허용수를 한 개의 원형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440)은 도 10의 ②의 아래 부분과 같이 액션 정보의 종류에 따른 미리 정해진 색상을 이용하여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원형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UI 표시 수단(440)은 도 10의 ③ 부분과 같이 각각의 액션 정보에 대한 처리시간, 리소스 사용량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그래프 형태의 차트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I 표시 수단(440)이 제공하는 덤벨 형상 UI가 포함된 화면의 예시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덤벨 형상 UI의 예시이다.
UI 표시 수단(440)은 서비스 정보 또는 서비스에 포함된 액션 정보의 실시간 데이터를 덤벨 형상의 UI로 출력한다. 관리자는 메인 UI 화면에서 UI(14)를 클릭하여 UI 표시 수단(440)이 출력하는 UI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표시 수단(440)은 도 11의 ① 부분과 같이 서비스 정보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덤벨 형상 UI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표시 수단(440)은 도 11의 ② 부분과 같이 서비스에 포함된 복수개의 액션 정보를 덤벨 형상 UI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가 지능 제어(intelligent control) 규칙을 추가하는 경우, UI 표시 수단(440)은 도 11의 ③ 부분과 같이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에 대한 정보를 차트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지능 제어 기능은 관리자가 모니터링 장치(400)에서 사용자의 접속에 관한 규칙을 미리 설정할 수 있게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관리자는 지능 제어 규칙을 추가함으로써 특정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서비스 및 액션의 진입 허용수 등이 달라지게 설정할 수 있다. APM은 실제 서비스 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코드 및 운영 레벨에 대한 성능적 관점에서의 부하량 모니터링 및 장애 원인 분석 등 성능 장애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성능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차트로 제공되는 APM에 대한 정보는 초당 처리되는 처리량인 TPS(transaction per sec), 동시 접속 단말 사용자수, JVM(java virtual machine)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율 등을 포함한다.
UI 표시 수단(440)이 제공하는 덤벨 형상 UI를 도 12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덤벨 형상 UI는 미리 정해진 제1 폭을 유지하다가 폭이 감소하는 제1 영역 표시 수단(21), 제1 영역 표시 수단(21) 하단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제2 폭을 유지하다가 폭이 감소하는 제2 영역 표시 수단(22), 제2 영역 표시 수단(22) 하단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제3 폭을 유지하는 제3 영역 표시 수단(23), 제3 영역 표시 수단(23) 하단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제4 폭을 유지하다가 폭이 증가하는 제4 영역 표시 수단(24), 그리고 제4 영역 표시 수단(24) 하단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제5 폭을 유지하는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폭은 제2 폭보다 크고, 제2 폭은 제3 폭보다 작고, 제3 폭은 제4 폭보다 크고, 제4 폭은 제5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영역 표시 수단(21), 제2 영역 표시 수단(22), 그리고 제4 영역 표시 수단(24)이 폭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영역을 갖는 경우, 각 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더욱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서비스 또는 액션의 상태를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1 영역 표시 수단(21)은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발급량 데이터 또는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대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영역 표시 수단(22)은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진입량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 표시 수단(23)은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진입 허용량 데이터 또는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제4 영역 표시 수단(24)은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완료량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은 서비스 정보 또는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제1 영역 표시 수단(21)은 물방울의 개수 및 크기로 발급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물이 채워지는 형상으로 대기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 표시 수단(22)은 물방울의 개수 및 크기로 진입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 표시 수단(23)은 서로 다른 미리 정해진 색상으로 진입 허용량 데이터 및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영역 표시 수단(23)은 녹색으로 모든 액션의 진입 허용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고, 파란색으로 모든 액션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4 영역 표시 수단(24)은 물방울의 개수로 완료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고,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은 버블(bubble)로 처리시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영역 표시 수단(21) 및 제2 영역 표시 수단(22)은 발급량 데이터 및 진입량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미만인 경우, 발급량 데이터 및 진입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물방울(water bubble)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발급량 데이터 및 진입량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상이고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미만인 경우, 발급량 데이터 및 진입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물방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급량 데이터가 50tps 미만인 경우, 물방울의 개수를 증가시켜 발급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고, 발급량 데이터가 50tps 이상이고 300tps 미만인 경우, 물방울의 크기를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발급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진입량 데이터가 50tps 미만인 경우, 물방울의 개수를 증가시켜 진입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고, 진입량 데이터가 50tps 이상이고 300tps 미만인 경우, 물방울의 크기를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진입량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영역 표시 수단(21)은 사용자의 대기가 발생하는 경우, 물이 채워지게 할 수 있으며, 대기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물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 표시 수단(21)은 대기시간이 120초 이상인 경우, 채워지는 물의 색상을 짙은 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은 처리시간에 기초하여 버블의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또는 액션의 처리시간 데이터가 1초에 근접하는 경우, 파란색 버블로 나타낼 수 있으며, 처리시간 데이터가 10초에 근접하는 경우, 보라색 버블로 나타낼 수 있다.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의 버블은 제4 영역 표시 수단(24)의 일정한 개수의 물방울이 합쳐져서 생성될 수 있으며,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의 버블의 최대 크기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영역 표시 수단(21) 내지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은 실시간 데이터를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 표시 수단(21)은 서비스에 대한 발급량 데이터에 해당하는 수치를 240.3tps으로 나타낼 수 있다. 240.3tps는 1초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요청되는 량이며, 1초 동안 해당 서비스를 클릭하는 숫자이다. 또한, 제1 영역 표시 수단(21)은 서비스에 대한 대기 데이터를 470명, 13.0s로 나타낼 수 있다. 470명은 대기자수이고, 13.0s는 대기시간이다. 또한, 제3 영역 표시 수단(23)은 서비스에 대한 진입 허용량 데이터 및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각각 489 및 252(51%)로 나타낼 수 있다. 489는 진입 허용수이고, 252는 리소스 사용량, 그리고 51%는 리소스 사용율이다.
UI 표시 수단(440)은 도 11의 ① 부분과 같이 서비스 UI 표시 수단 및 도 11의 ② 부분과 같이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UI 표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터는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터의 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의 ① 부분의 서비스 UI 표시 수단과 도 11의 ② 부분의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도 12의 덤벨 형상 UI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UI 표시 수단의 예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의 예시이다.
도 13의 ① 부분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의 상태 정보 및 종류를 나타낸다. 도 13의 ② 부분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의 정보를 나타내고, 도 13의 ③ 부분은 도 7의 ④ 부분과 같이 웹의 동시 접속자수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연결되는 사용자수의 최대값을 초과한 경우 빨간색 경고등을 점등한다. 관리자가 붉은색 경고등에 마우스 커서를 오버하는 경우, 웹의 동시 접속자수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 연결되는 사용자수의 최대값을 초과한 날짜를 보여준다. 도 13의 ④ 부분은 관리자가 지능 제어 기능을 켜고 끌수 있게 하는 버튼이다. 도 13의 ⑤ 부분은 스마트 제어 기능의 기준값이 되는 처리시간의 기준 구간 값을 표시한다. 여기서, 스마트 제어 기능은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의 처리시간 기준값에 기초하여 주의상태 기준 처리시간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따라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에서 자동으로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는 기능이다. 주의상태 기준 처리시간은 처리시간이 길어져 모니터링 장치(400)에 경고를 주어 위험을 알리는 기준이 되는 시간이다. 도 13의 ⑥ 부분은 액션 별 사용량을 원형 그래프로 나타내고, 웹 접속 관리 시스템(300)의 액션 별 사용량의 총합을 숫자 값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액션 별 사용량은 완료량과 처리시간을 곱한 값이다. 도 13의 ⑦ 내지 ⑪ 부분은 도 12의 덤벨 형상 UI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자는 도 14의 ① 부분을 클릭하여 해당 액션의 진입 요청량, 대기자수, 대기시간, 처리시간 등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액션의 진입 요청량은 사용자가 해당 액션을 수행하기 위해 액션과 관련된 버튼을 누른 횟수이다. 도 14의 ② 내지 ⑥ 부분은 도 12의 덤벨 형상 UI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은 도 14의 ⑦ 부분에서 액션의 처리시간에 대한 추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액션의 처리시간에 대한 추이는 주의상태 기준 처리시간에 기초하여 색상을 다르게 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상태 기준 처리시간의 최소값보다 처리시간이 작은 경우, 녹색으로 출력될 수 있고, 주의상태 기준 처리시간의 최소값보다 처리시간이 크고 최대값보다 처리시간이 작은 경우, 파란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주의상태 기준 처리시간의 최대값보다 처리시간이 큰 경우, 빨간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4의 ⑧ 부분은 지능 제어에 의해 변경된 해당 액션의 작업 내역을 나타낸다. 관리자가 ⑧ 부분을 클릭하는 경우, 경과 시간에 따른 작업 내역, 지능 제어 규칙 세트 적용 정보 등이 새 창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4의 ⑨ 부분은 액션의 이름 및 액션의 구분색상 정보를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관리자가 모니터링 장치(400)이 출력하는 UI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하는 예시를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액션 처리시간 데이터의 변화를 출력하는 덤벨 형상 UI의 예시이다.
도 15의 "조회" 액션에 대한 덤벨 형상 UI에서,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은 버블 색상을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화시킨다. 이 경우, 관리자는 덤벨 형상 UI를 모니터링하여 처리시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도 16과 같이 UI 표시 수단(440)이 메인 UI 화면에서 출력하는 원형 그래프의 그래프 길이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처리시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출력하는 덤벨 형상 UI의 예시이다.
도 17의 "조회" 액션에 대한 덤벨 형상 UI에서, 제1 영역 표시 수단(21)은 물이 차오르게 출력하고,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은 버블의 색상을 파란색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5 영역 표시 수단(25)은 액션의 처리시간에 대한 추이를 파란색으로 유지시킨다. 이 경우, 관리자는 해당 액션에 대한 처리시간이 1-2초로 안정적인 상태인데 불필요하게 대기시간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켜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8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완료율이 저하되는 상황을 출력하는 덤벨 형상 UI의 예시이다.
도 18의 "조회" 액션에 대한 덤벨 형상 UI에서, 제1 영역 표시 수단(21) 및 제2 영역 표시 수단(22)은 많은 수의 물방울을 출력하고, 제4 영역 표시 수단(24)은 적은 수의 물방울을 출력한다. 이 경우, 관리자는 발급량 대비 완료량인 완료율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는 모니터링 장치(400)의 UI 표시 수단(440)이 제공하는 덤벨 형상 UI를 통해 관리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액션의 실시간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덤벨 형상 UI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복수개의 영역을 구비하기 때문에 영역 별로 동일한 모양의 데이터를 제공하여도 관리자가 각각의 데이터를 구분하기 쉬우며, 시간 흐름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를 덤벨 형상 UI의 위 영역부터 제공하여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쉽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모니터링 장치(400)를 통해 해당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웹 서버(100)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대기시간, 처리시간 등을 참조하여 진입 허용수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한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웹 서버(100)의 증설 여부를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웹 서버 200 : 사용자 단말
300 : 웹 접속 관리 시스템 400 : 모니터링 장치
410 : 메모리 420 : 프로세서
430 : 통신 수단 440 : UI 표시 수단

Claims (13)

  1. 복수개의 모듈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모듈에 반응하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제어하는 액션(action)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사용자 단말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웹 접속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통신 수단,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UI(user interface) 표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UI 표시 수단은,
    미리 정해진 제1 폭을 갖고,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 정보의 발급량 데이터,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 정보의 대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영역 표시 수단,
    상기 제1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고,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의 진입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영역 표시 수단,
    상기 제2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폭보다 큰 제3 폭을 갖고,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 정보의 진입 허용량 데이터, 또는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 정보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 영역 표시 수단,
    상기 제3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 폭보다 작은 제4 폭을 갖고,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 정보의 완료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4 영역 표시 수단, 그리고
    상기 제4 영역 표시 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4 폭보다 큰 제5 폭을 갖고, 상기 서비스 정보 또는 상기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5 영역 표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발급량 데이터를 물방울(water bubble)의 개수 및 크기로 나타내며, 상기 발급량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발급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물방울의 개수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진입량 데이터를 물방울의 개수 및 크기로 나타내며, 상기 진입량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진입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물방울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대기 데이터를 물이 채워지는 형상으로 나타내고,
    상기 제3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진입 허용량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제1 색상으로 나타내며, 상기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제2 색상으로 나타내고,
    상기 제4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완료량 데이터를 물방울의 개수로 나타내고,
    상기 제5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처리시간 데이터를 버블(bubble)로 나타내는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발급량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크기 이상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발급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물방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진입량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크기 이상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진입량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물방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모니터링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대기가 발생하는 경우, 물이 채워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대기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물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모니터링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제5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처리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버블의 색상을 다르게 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폭이 감소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제2 폭이 감소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제4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제4 폭이 증가되는 영역을 갖는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UI 표시 수단은 서비스 UI 표시 수단 및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UI 표시 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영역 표시 수단 내지 상기 제5 영역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UI 표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터는 상기 복수개의 액션 UI 표시 수단에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터의 합인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액션 UI 표시 수단의 제5 영역 표시 수단은 상기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에 대한 추이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추이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처리시간에 기초하여 색상을 다르게 하는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UI 표시 수단은,
    상기 서비스 정보의 리소스 사용량 데이터를 막대 그래프 또는 상기 막대 그래프를 둘러싸는 제1 원형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꺾은선 그래프 또는 상기 꺾은선 그래프를 둘러싸는 제2 원형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UI 표시 수단은 상기 서비스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꺾은선 그래프의 우측 끝 부분을 빨간색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UI 표시 수단은 웹의 동시 접속자수가 상기 웹 접속 관리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수의 최대값을 초과한 경우, 빨간색 경고등을 점등하는 모니터링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UI 표시 수단은 상기 액션 정보의 종류에 따른 미리 정해진 색상을 이용하여 상기 액션 정보의 처리시간 데이터를 원형 그래프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UI 표시 수단은 미리 정해진 색상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액션에 대한 진입 허용량 데이터를 한 개의 원형 그래프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20150116835A 2014-12-18 2015-08-19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1654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606 2014-12-18
KR20140183606 2014-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379A KR20160074379A (ko) 2016-06-28
KR101654266B1 true KR101654266B1 (ko) 2016-09-05

Family

ID=5636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835A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5-08-19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266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655A (ko) * 2019-11-20 2021-05-28 (주) 와이즈스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관리솔루션 시스템
KR102519007B1 (ko) *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리소스 상태 기반 트래픽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19008B1 (ko) 2022-12-27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대기열 사용자의 ab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KR102519066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변경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9051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로드 밸런싱을 위한 대기열 관리 방법, 로드 밸런서 및 대기열 관리 시스템
KR102519010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9068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9061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구간 제어 방식 기반의 유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19073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진입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519009B1 (ko) 2022-12-29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21744B1 (ko) 2022-12-30 2023-04-14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유량 제어 서버, 방법 및 api 유량 제어 시스템
KR102522910B1 (ko) 2022-12-29 2023-04-18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프록시 방식의 서비스 지속성 보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525431B1 (ko) 2022-12-30 2023-04-25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KR102531620B1 (ko) 2022-12-30 2023-05-11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기반 에이전트 소스코드 삽입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에이전트 서버
KR102531621B1 (ko) 2022-12-30 2023-05-11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클라우드 기반 유량제어 비용 최적화를 위한 리소스 최적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543972B1 (ko) 2022-12-30 2023-06-20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진입 관리 대상의 자동 조정을 위한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559351B1 (ko) 2022-12-30 2023-07-25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스파이크 평탄화 기술을 이용한 리소스 최적화 시스템 및 진입 관리 서버
KR102569833B1 (ko) 2022-12-30 2023-08-23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모니터링을 이용한 유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582086B1 (ko) 2022-12-30 2023-09-22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607221B1 (ko) 2022-12-26 2023-11-29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2981A1 (en) * 2011-05-06 2012-11-15 Kyrol Inc Arrangement and method for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ing
JP2013145597A (ja) * 1999-08-06 2013-07-25 Comscore Inc 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のモニタリングおよび測定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073A (ko) * 2013-02-05 2014-08-14 (주)큐앤피플 통합 리소스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5597A (ja) * 1999-08-06 2013-07-25 Comscore Inc 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のモニタリングおよび測定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2152981A1 (en) * 2011-05-06 2012-11-15 Kyrol Inc Arrangement and method for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ing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547B1 (ko) * 2019-11-20 2021-10-21 (주) 와이즈스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관리솔루션 시스템
KR20210061655A (ko) * 2019-11-20 2021-05-28 (주) 와이즈스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관리솔루션 시스템
KR102630310B1 (ko) 2022-12-26 2024-01-29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KR102607221B1 (ko) 2022-12-26 2023-11-29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KR102519008B1 (ko) 2022-12-27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대기열 사용자의 ab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KR102519009B1 (ko) 2022-12-29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접속 대기 화면의 정보 제공을 위한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22910B1 (ko) 2022-12-29 2023-04-18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프록시 방식의 서비스 지속성 보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519010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43972B1 (ko) 2022-12-30 2023-06-20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진입 관리 대상의 자동 조정을 위한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519073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진입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519068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21744B1 (ko) 2022-12-30 2023-04-14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유량 제어 서버, 방법 및 api 유량 제어 시스템
KR102519051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로드 밸런싱을 위한 대기열 관리 방법, 로드 밸런서 및 대기열 관리 시스템
KR102525431B1 (ko) 2022-12-30 2023-04-25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사전 대기실 운영 방법 및 진입 관리 서버
KR102531620B1 (ko) 2022-12-30 2023-05-11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기반 에이전트 소스코드 삽입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및 에이전트 서버
KR102531621B1 (ko) 2022-12-30 2023-05-11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클라우드 기반 유량제어 비용 최적화를 위한 리소스 최적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519061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구간 제어 방식 기반의 유량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59351B1 (ko) 2022-12-30 2023-07-25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스파이크 평탄화 기술을 이용한 리소스 최적화 시스템 및 진입 관리 서버
KR102569833B1 (ko) 2022-12-30 2023-08-23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모니터링을 이용한 유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582086B1 (ko) 2022-12-30 2023-09-22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KR102519066B1 (ko)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변경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9007B1 (ko) *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리소스 상태 기반 트래픽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33182B1 (ko) 2022-12-30 2024-02-02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발급된 키를 활용한 진입 관리 서버 및 방법
KR102634229B1 (ko) 2022-12-30 2024-02-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쿼리신호와 리소스데이터를 이용한유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379A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266B1 (ko)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CN108234168B (zh) 一种基于业务拓扑的数据展示方法及系统
US9755990B2 (en) Automated reconfiguration of shared network resources
DE112012004747B4 (de) Verborgenes automatisiertes Spiegeln von Daten für native Schnittstellen in verteilten virtuellen Maschinen
CN106557369A (zh) 一种多线程的管理方法及系统
JP2008033852A (ja) 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5144110A (zh) 基于网络活动自动配置外部服务
CN103020752A (zh) 订单自动分配系统
CN107454004A (zh) 一种流量控制方法和装置
US10439957B1 (en) Tenant-bas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US11073970B2 (en) Dashboard generation based on user interaction
CN112988381B (zh) 为云资源生成优化信息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4461731B (zh) 一种动态资源扩展中虚拟机资源回收方法和装置
CN114661462A (zh) 资源分配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3944940A (zh) 动态配置代理服务器的设备及方法
CN110336888A (zh) 一种服务器分配方法、装置、系统及介质
US97294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of resources to support applications and their varying demands
CN111143024A (zh) 一种面向实时虚拟计算的资源管理的方法
US20150193150A1 (en) Storage system management computer and management method for storage system
CN113849367B (zh) 服务器及其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032814A (zh) 一种移动终端及其进程间通信的监控方法、存储介质
AU201024282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roduct using an array of configuration sets
TW200838215A (en) System device utilizing policy to manage network service
CN114020429A (zh) 任务处理方法以及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973092A (zh) 链路资源调度方法、装置、计算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