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068B1 -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068B1
KR102519068B1 KR1020220190016A KR20220190016A KR102519068B1 KR 102519068 B1 KR102519068 B1 KR 102519068B1 KR 1020220190016 A KR1020220190016 A KR 1020220190016A KR 20220190016 A KR20220190016 A KR 20220190016A KR 102519068 B1 KR102519068 B1 KR 10251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ting
recommended
web page
attribute
changeabl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호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to KR102022019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편집 장치로부터 상기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편집 요청 정보 내에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이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UI를 통해 편집되도록, 상기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편집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EDITION OF WEB PAGE FOR AB TEST BASED ON DIGITAL SERVICE, METHOD AND PROGRAM}
본 개시는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편집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AB 테스트 관련하여 다양한 솔루션이 개시되어 있으나, 기존 제품의 경우에는 AB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 추적만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코드를 원하는 웹 페이지나 요소에 스크립트를 심어서 A페이지(A요소) 또는 B페이지(B요소)로 분기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추적하여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솔루션이 대부분이었다.
현재, 자체적인 UI 디자인 역량이나 개발능력이 있는 업체는, 테스트 하고자 하는 A페이지와 B페이지의 구성을 다르게 만드는 작업을 자체 진행하고, AB 테스트 툴만 적용하는 식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자체적인 UI 디자인이나 웹페이지 생성/수정 역량이 없는 중소 업체의 경우에는, AB 테스트를 위해 외부업체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AB 테스트의 특성상 페이지의 작은 부분을 빈번하게 변경하기 때문에, 외부업체와의 협업도 빠르게 진행되기 힘들고, AB 테스트 결과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애로사항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어떠한 웹 페이지와도 호환 가능한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자체적으로 실시간 편집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266호 (2016. 08. 30.)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어떠한 웹 페이지와도 호환 가능한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자체적으로 실시간 편집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는,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편집 장치로부터 상기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편집 요청 정보 내에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이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UI를 통해 편집되도록, 상기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편집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편집 UI에 마우스 커서가 놓여지는 경우, 상기 편집 UI를 통해,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편집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편집 UI가 상기 마우스 커서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UI를 통해,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편집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은,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은,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별 색상, 우선 순위별 크기, 우선 순위별 높이, 우선 순위별 폭, 우선 순위별 글자체, 우선 순위별 위치, 우선 순위별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편집 장치로부터 상기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수신된 편집 요청 정보 내에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이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UI를 통해 편집되도록, 상기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편집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편집 UI에 마우스 커서가 놓여지는 경우, 상기 편집 UI를 통해,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편집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편집 UI가 상기 마우스 커서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UI를 통해,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편집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은,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은,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별 색상, 우선 순위별 크기, 우선 순위별 높이, 우선 순위별 폭, 우선 순위별 글자체, 우선 순위별 위치, 우선 순위별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어떠한 웹 페이지와도 호환 가능한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자체적으로 실시간 편집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관리 서버가 편집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도 1의 편집 UI의 세부적인 편집 UI를 일 예들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5의 색상 선택 UI를 통해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을 편집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AB 테스트는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제품과 사용자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한다. 디지털 마케팅을 하다 보면 서비스나 마케팅 캠페인을 기획할 때, 버튼을 어디에 배치하면 좋을지, 어떤 사진을 쓰면 좋을지 등을 놓고 고민하는 경우가 무수히 많다. 과거 오프라인 마케팅이나 오프라인 리테일에서는 경험적 지식이나 시간대를 나눠 전후 비교, 설문 등 추정을 통해서만 성과를 비교할 수 있었지만, 디지털 시대에는 브라우저 쿠키 등을 통해 전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성과를 비교할 수 있다. 즉, AB 테스트는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용자를 임의로 여러 개 그룹으로 분리하고, 각 사용자 그룹에게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또는 알고리즘을 노출시킴으로써, 여러 안 중 가장 효과가 좋은 안을 찾아내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AB 테스트는 난수 생성과 같이 무작위로 또는 특정한 분류기준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하고, 분류된 사용자를 A 또는 B로 분기하여 사용자의 행동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동일 조건 하에서 A와 B를 유사 빈도로 노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분류기준을 다각화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어떠한 웹 페이지와도 호환 가능한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자체적으로 실시간 편집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관리 서버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관리 서버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는, 편집 장치로부터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편집 요청 정보 내에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이 편집 장치의 편집 UI를 통해 편집되도록,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편집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는, 어떠한 웹 페이지와도 호환 가능한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자체적으로 실시간 편집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를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관리 서버가 편집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집 장치(200)는 관리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장치(200)는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편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30)는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와 통신을 수행하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20)는 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편집 장치(200)로부터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편집 요청 정보 내에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추출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이 편집 장치(200)의 편집 UI(210)를 통해 편집되도록,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편집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편집 UI(210)에 마우스 커서가 놓여지는 경우, 편집 UI(210)를 통해,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편집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편집 UI(210)가 마우스 커서에 의해 선택된 경우, 편집 UI(210)를 통해,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편집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은,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은,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별 색상, 우선 순위별 크기, 우선 순위별 높이, 우선 순위별 폭, 우선 순위별 글자체, 우선 순위별 위치, 우선 순위별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은 256 색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글자체는 고딕체, 바탕체, 굴림체, 궁서체, 신명조체, 돋움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위치는 좌측 상단 영역의 위치, 중앙측 상단 영역의 위치, 우측 상단 영역의 위치, 좌측 중앙 영역의 위치, 정중앙 영역의 위치, 우측 중앙 영역의 위치, 좌측 하단 영역의 위치, 중앙측 하단 영역의 위치, 우측 하단 영역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모양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입체도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도 1의 편집 UI의 세부적인 편집 UI를 일 예들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 단계(S310), 추출 단계(S320), 전송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계는, 통신부(130)를 통해, 편집 장치(200)로부터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S310). 이때,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는,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을 설정하기 위해 관리 서버(100)로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추출 단계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수신된 편집 요청 정보 내에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20). 이때,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는,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은 256 색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글자체는 고딕체, 바탕체, 굴림체, 궁서체, 신명조체, 돋움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위치는 좌측 상단 영역의 위치, 중앙측 상단 영역의 위치, 우측 상단 영역의 위치, 좌측 중앙 영역의 위치, 정중앙 영역의 위치, 우측 중앙 영역의 위치, 좌측 하단 영역의 위치, 중앙측 하단 영역의 위치, 우측 하단 영역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모양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입체도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송 단계는, 추출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이 편집 장치(200)의 편집 UI(210)를 통해 편집되도록, 통신부(130)를 통해,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편집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편집 UI(210)의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에 마우스 커서(C)가 놓여지는 경우, 편집 UI(210)의 속성 별 설정 UI(210b)를 통해,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편집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편집 UI(210)가 마우스 커서(C)에 의해 선택된 경우, 편집 UI(210)의 속성 별 설정 UI(210b)를 통해,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편집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은,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은,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별 색상, 우선 순위별 크기, 우선 순위별 높이, 우선 순위별 폭, 우선 순위별 글자체, 우선 순위별 위치, 우선 순위별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은 256 색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글자체는 고딕체, 바탕체, 굴림체, 궁서체, 신명조체, 돋움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위치는 좌측 상단 영역의 위치, 중앙측 상단 영역의 위치, 우측 상단 영역의 위치, 좌측 중앙 영역의 위치, 정중앙 영역의 위치, 우측 중앙 영역의 위치, 좌측 하단 영역의 위치, 중앙측 하단 영역의 위치, 우측 하단 영역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모양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입체도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 별 설정 UI(210b)는 색상 UI(210b1), 크기 UI(210b2), 높이 UI(210b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색상 UI(210b1)는 마우스 커서(C)가 놓여지는 경우 또는 마우스 커서(C)에 의해 선택된 경우,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색상 선택 UI(210b11),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지정된 색상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별 색상 UI(210b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기 UI(210b2)는 마우스 커서(C)가 놓여지는 경우 또는 마우스 커서(C)에 의해 선택된 경우,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크기 선택 UI(210b21),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지정된 크기를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별 크기 UI(210b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높이 UI(210b3)는 마우스 커서(C)가 놓여지는 경우 또는 마우스 커서(C)에 의해 선택된 경우,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높이를 선택하기 위한 높이 선택 UI(210b31),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지정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별 크기 UI(210b3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별 색상 UI(210b12)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색상을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추천 색상 UI(210b12-1), 사용자에게 연령별 추천 색상을 제공하기 위한 연령별 색상 UI(210b12-2), 사용자에게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색상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연령대의 색상 UI(210b12-3), 사용자에게 남성별 또는 여성별 추천 색상을 제공하기 위한 성별 색상 UI(210b12-4), 사용자에게 국가 별 남성 또는 여성에 따른 추천 색상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성에 따른 색상 UI(210b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변경 가능한 요소 중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한 추천 결과에 상응하는 추천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별 크기 UI(210b22)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크기를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추천 크기 UI(210b22-1), 사용자에게 연령별 추천 크기를 제공하기 위한 연령별 크기 UI(210b22-2), 사용자에게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크기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연령대의 크기 UI(210b22-3), 사용자에게 남성별 또는 여성별 추천 크기를 제공하기 위한 성별 크기 UI(210b22-4), 사용자에게 국가 별 남성 또는 여성에 따른 추천 크기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성에 따른 크기 UI(210b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변경 가능한 요소 중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한 추천 결과에 상응하는 추천 크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별 높이 UI(210b32)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추천 높이 UI(210b32-1), 사용자에게 연령별 추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연령별 높이 UI(210b32-2), 사용자에게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연령대의 높이 UI(210b32-3), 사용자에게 남성별 또는 여성별 추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성별 높이 UI(210b32-4), 사용자에게 국가 별 남성 또는 여성에 따른 추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성에 따른 높이 UI(210b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변경 가능한 요소 중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한 추천 결과에 상응하는 추천 높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 별 설정 UI(210b)는 폭 UI(210b4), 글자체 UI(210b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폭 UI(210b4)는 마우스 커서(C)가 놓여지는 경우 또는 마우스 커서(C)에 의해 선택된 경우,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폭을 선택하기 위한 폭 선택 UI(210b41),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지정된 폭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별 폭 UI(210b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글자체 UI(210b5)는 마우스 커서(C)가 놓여지는 경우 또는 마우스 커서(C)에 의해 선택된 경우,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글자체를 선택하기 위한 글자체 선택 UI(210b51),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지정된 글자체를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별 글자체 UI(210b5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별 폭 UI(210b42)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폭을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추천 폭 UI(210b42-1), 사용자에게 연령별 추천 폭을 제공하기 위한 연령별 폭 UI(210b42-2), 사용자에게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폭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연령대의 폭 UI(210b42-3), 사용자에게 남성별 또는 여성별 추천 폭을 제공하기 위한 성별 폭 UI(210b42-4), 사용자에게 국가 별 남성 또는 여성에 따른 추천 폭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성에 따른 폭 UI(210b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변경 가능한 요소 중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한 추천 결과에 상응하는 추천 폭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별 글자체 UI(210b52)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글자체를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추천 글자체 UI(210b52-1), 사용자에게 연령별 추천 글자체를 제공하기 위한 연령별 글자체 UI(210b52-2), 사용자에게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글자체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연령대의 글자체 UI(210b52-3), 사용자에게 남성별 또는 여성별 추천 글자체를 제공하기 위한 성별 글자체 UI(210b52-4), 사용자에게 국가 별 남성 또는 여성에 따른 추천 글자체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성에 따른 글자체 UI(210b5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변경 가능한 요소 중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한 추천 결과에 상응하는 추천 글자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 별 설정 UI(210b)는 위치 UI(210b6), 모양 UI(210b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 UI(210b6)는 마우스 커서(C)가 놓여지는 경우 또는 마우스 커서(C)에 의해 선택된 경우,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 선택 UI(210b61),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지정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별 위치 UI(210b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양 UI(210b7)는 마우스 커서(C)가 놓여지는 경우 또는 마우스 커서(C)에 의해 선택된 경우,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모양을 선택하기 위한 모양 선택 UI(210b71),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지정된 모양을 제공하기 위한 우선 순위별 모양 UI(210b7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별 위치 UI(210b62)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추천 위치 UI(210b62-1), 사용자에게 연령별 추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연령별 위치 UI(210b62-2), 사용자에게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연령대의 위치 UI(210b62-3), 사용자에게 남성별 또는 여성별 추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성별 위치 UI(210b62-4), 사용자에게 국가 별 남성 또는 여성에 따른 추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성에 따른 위치 UI(210b6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변경 가능한 요소 중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한 추천 결과에 상응하는 추천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별 모양 UI(210b72)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모양을 제공하기 위한 추천 모양 UI(210b72-1), 사용자에게 연령별 추천 모양을 제공하기 위한 연령별 모양 UI(210b72-2), 사용자에게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모양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연령대의 모양 UI(210b72-3), 사용자에게 남성별 또는 여성별 추천 모양을 제공하기 위한 성별 모양 UI(210b72-4), 사용자에게 국가 별 남성 또는 여성에 따른 추천 모양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 별 성에 따른 모양 UI(210b7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변경 가능한 요소 중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한 추천 결과에 상응하는 추천 모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5의 색상 선택 UI를 통해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을 편집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편집 장치(200)의 변경 가능한 요소 UI(210a) 중 전자 메일의 속성 별 설정값을 편집하기 위해, 메일 주소 UI(210a1)에 해당 메일 주소를 직접 입력하거나, 연관 검색된 해당 메일 주소 UI(210a1-1)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편집 장치(200)의 편집 기능을 Parameter string을 사용하여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웹 사이트 내의 특정 페이지 주소 뒤에, channel_manager=scene_editor&test_id=1&group_code=B를 붙이면, 편집 장치(200)는 실시간 UI 편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편집 장치(200)는 특정 권한이 있는 관리자에게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이 후, 도 14를 참조하면, 편집 장치(200)는 메일 주소 UI(210a1)에 해당 메일 주소가 입력 완료될 경우, 속성 별 설정 UI(210b)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장치(200)는 제1 색상 선택 UI(210b11-1)에 마우스 커서가 놓여지는 경우 또는 마우스 커서에 의해 선택된 경우, 해당 메일 주소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색상 선택 UI(210b11-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메일 주소의 색상 선택을 완료하고, 편집 장치(200)의 제출 UI(210a2)를 선택할 경우, 편집 장치(200)는 관리 서버(100)로 변경된 해당 메일 주소의 색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어떠한 웹 페이지와도 호환 가능한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자체적으로 실시간 편집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개시의 관리 서버(100)는 출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는 관리 서버(100)에서 구현되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통신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 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키 및/또는 버튼들, 또는 물리적인 키 및/또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를 통한 사용 자 입력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복수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복수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관리 서버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통신부

Claims (10)

  1. 편집 장치로부터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편집 요청 정보 내에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속성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이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UI를 통해 편집되도록 상기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편집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편집 UI에 마우스 커서가 놓여지는 경우 상기 속성 별 설정값 중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별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및 모양에 해당하는 리스트가 상기 편집 UI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편집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순위별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및 모양은,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색상, 추천 크기, 추천 높이, 추천 폭, 추천 글자체, 추천 위치 및 추천 모양인,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편집 UI가 상기 마우스 커서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UI를 통해,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편집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4. 삭제
  5. 삭제
  6.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편집 장치로부터 상기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 요청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수신된 편집 요청 정보 내에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이 상기 편집 장치의 편집 UI를 통해 편집되도록 상기 속성 별 설정값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편집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편집 UI에 마우스 커서가 놓여지는 경우 상기 속성 별 설정값 중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별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및 모양에 해당하는 리스트가 상기 편집 UI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편집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순위별 색상, 크기, 높이, 폭, 글자체, 위치 및 모양은, 국가 별 연령대의 추천 색상, 추천 크기, 추천 높이, 추천 폭, 추천 글자체, 추천 위치 및 추천 모양인,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편집 UI가 상기 마우스 커서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UI를 통해, 상기 변경 가능한 요소의 속성 별 설정값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편집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90016A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1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016A KR102519068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016A KR102519068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068B1 true KR102519068B1 (ko) 2023-04-06

Family

ID=8591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0016A KR102519068B1 (ko) 2022-12-30 2022-12-30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0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727A (ko) * 2001-06-15 2004-01-24 소니 픽쳐스 엔터테인먼트, 인크. 미디어 콘텐츠 생성 및 공개 시스템 및 프로세스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190112591A (ko) *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테스트 그룹 분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서버
JP2020042317A (ja) * 2018-09-06 2020-03-19 Kddi株式会社 提示すべき制作物を選択可能な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並びに制作物生成プログラム
JP2021068328A (ja) * 2019-10-25 2021-04-30 ヤフ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727A (ko) * 2001-06-15 2004-01-24 소니 픽쳐스 엔터테인먼트, 인크. 미디어 콘텐츠 생성 및 공개 시스템 및 프로세스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190112591A (ko) * 2018-03-26 2019-10-07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테스트 그룹 분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서버
JP2020042317A (ja) * 2018-09-06 2020-03-19 Kddi株式会社 提示すべき制作物を選択可能な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並びに制作物生成プログラム
JP2021068328A (ja) * 2019-10-25 2021-04-30 ヤフ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7830B2 (en) Intelligent digital experience development platform (IDXDP)
EP30791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commendations
US20190012316A1 (en) Presentations and reports built with big data analytics
US20170169461A1 (en) Promotion system and promotion method
US10269033B2 (en) Expanded overlay state for campaign performance data snapshot cards
CN105426508A (zh) 网页生成方法和装置
US20150081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ynamic link tracking
US20140249912A1 (en) Organization of campaign performance data snapshot cards in card feeds and card boards
KR102519068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의 편집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US10755318B1 (en) Dynamic generation of content
KR102519066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ab 테스트용 웹 페이지를 변경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US1196695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r personalization center
CN113282863B (zh) 业务页面生成方法及装置
Alduaij An exploratory study of m-commerce key benefits and barriers among actual users, intentional users and non-intentional users
CN104714998A (zh) 用于基于上下文在数据分析中处理推荐的方法和系统
US109021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igration to centralized compliance content for integration with a plurality of digital applications
CN114117227A (zh) 一种运营维护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716403A (zh) 网站入口页面的自动生成
US201500814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consumer digital body language
KR102541694B1 (ko) 인공지능 기반 게임용 메신저의 챗헤드를 조정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US20240020593A1 (en) User interface presenting integrated enterprise services
KR20240050164A (ko) 인공 지능 기반의 의료기기 상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2755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팀 매칭을 위한 게임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US20220292143A1 (en) Dynamic Website Characterization For Search Optimization
CN113641933B (zh) 异常网页识别方法、异常站点识别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