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310B1 -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310B1
KR102630310B1 KR1020230133304A KR20230133304A KR102630310B1 KR 102630310 B1 KR102630310 B1 KR 102630310B1 KR 1020230133304 A KR1020230133304 A KR 1020230133304A KR 20230133304 A KR20230133304 A KR 20230133304A KR 102630310 B1 KR102630310 B1 KR 10263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enant
tenants
auxiliary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범
황창호
박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Priority to KR1020230133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04L41/0897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by horizontal or vertical scaling of resources, or by migrating entities, e.g. virtual resources or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Abstract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서버는 복수의 테넌트(tenant)의 유량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를 기초로 상기 유량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테넌트에 기본서버 및 제1보조서버를 세트로 배정하고, 상기 복수의 테넌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유량제어조건에 일치하는 제1테넌트가 발생된 경우 제1테넌트에 상기 제1보조서버를 할당하면서 동시에 제1테넌트의 제1전용서버 및 제2보조서버를 생성한 후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를 할당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SaaS-based multi-tenancy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flow control of digital services}
본 개시는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강신청, 콘서트 예약 및 구매 이벤트 등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의 동시 접속자가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측의 응답속도가 저하되거나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의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스템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WEB, WEB으로부터 전달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처리하는 WAS(Web Application Server) 및 쿼리문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동시 접속자가 폭주하는 경우, WEB은 네트워크 대역폭 부족으로 인해 응답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동시 접속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or, SI) 형태로 유량 제어 솔루션을 제공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266호 (2016. 08. 30.)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트래픽이 집중될 때, 복수의 테넌트를 위한 클라우드 환경의 서버를 효율적으로 할당하여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일 측면에 따른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테넌트(tenant)의 유량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를 기초로 상기 유량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테넌트에 기본서버 및 제1보조서버를 세트로 배정하고, 상기 복수의 테넌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유량제어조건에 일치하는 제1테넌트가 발생된 경우 제1테넌트에 상기 제1보조서버를 할당하면서 동시에 제1테넌트의 제1전용서버 및 제2보조서버를 생성한 후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를 할당하고, 제1보조서버는, 제1전용서버의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제1테넌트에 할당된 상태에서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가 할당된 경우,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제1테넌트가 아닌 제2테넌트에 할당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고, 제2보조서버는, 제1보조서버가 할당된 이후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제1테넌트와 다른 상기 유량제어조건과 일치하는 제3테넌트가 발생되면, 제3테넌트에 할당되기 위해 미리 생성된 예비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고객사가 증가할 때마다 상기 고객사에게 멀티 테넌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테넌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서버 할당 결과 및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서버, 제1보조서버 및 제2보조서버는, 상기 복수의 테넌트 모두에 할당할 수 있는 공유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제어조건은, 각 테넌트의 트래픽량이 기 설정된 트래픽량 이상인지의 여부 또는 각 테넌트의 상기 기본 서버에 대한 점유율이 기 설정된 점유율 이상인지의 여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1보조서버, 제2보조서버 및 전용서버에 대해서 작업 처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작업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서버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은, 복수의 테넌트(tenant)의 유량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를 기초로 상기 유량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테넌트에 기본서버 및 제1보조서버를 세트로 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테넌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유량제어조건에 일치하는 제1테넌트가 발생된 경우 제1테넌트에 상기 제1보조서버를 할당하면서 동시에 제1테넌트의 제1전용서버 및 제2보조서버를 생성한 후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보조서버는, 제1전용서버의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제1테넌트에 할당된 상태에서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가 할당된 경우,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제1테넌트가 아닌 제2테넌트에 할당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고, 제2보조서버는, 제1보조서버가 할당된 이후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제1테넌트와 다른 상기 유량제어조건과 일치하는 제3테넌트가 발생되면, 제3테넌트에 할당되기 위해 미리 생성된 예비 서버일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테넌트 중 유량제어가 요구되는 테넌트에 공유 서버 또는 전용 서버를 할당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유량 제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테넌트에 할당하기 위한 기본 서버 및 보조 서버를 세트로 사전에 생성 및 배정하기 때문에, 보조 서버를 이용하여 특정 테넌트의 갑작스러운 서버 점유율 증가 현상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와 테넌트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 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와 테넌트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SaaS(Software-as-a-Service)로 구현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고객사(미도시)가 증가할 때마다 고객사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테넌트(tenant)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고객사는 수강신청, 콘서트 예약 및 구매 이벤트 등을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다수의 유저가 동시에 접속하는 이벤트(예를 들어, 수강신청, 콘서트 예약, 구매 이벤트 등)를 제공하는 클라이언에서 트래픽 발생이 동시에 너무 많이 발생하여 서버가 다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특정 시점에서의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접속을 원하는 유저들에게 대기실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테넌트(200) 각각에 트래픽 변화에 따라 적절한 서버 리소스 스펙을 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AWS(Amazon Web Services) 등과 같은 클라우드 공급사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 공급사를 별도를 구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 및 모니터링부(130)를 포함하여 해당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테넌트(도 1의 Tenant 1 ~ Tenant 20)(200)에 할당할 기본 서버 및 제1 보조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수의 테넌트(도 1의 Tenant 1 ~ Tenant 20)(200)가 하나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과 같이, 특정 테넌트 그룹 Tenant 1 ~ Tenant 10 및 Tenant 11 ~ Tenant 20 각각에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가 별도로 연결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하나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 내부에서 서로 구분된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로 구현하거나, 또는 각각이 서로 독립된 형태로 구현된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형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테넌트(200)에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세트로 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서비스를 신청한 복수의 테넌트(200)들을 그룹핑하고 그룹 각각에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의 세트를 트래픽의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초기 배정하는 것이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테넌트(200) 중 유량제어 조건에 일치하는 제1 테넌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유량제어 조건과 일치하는 제1 테넌트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1 테넌트(Tenant 1)에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하고 동시에 제2 보조 서버(105)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역할이 완료된 상기 제1 보조 서버(103) 및 상기 제2 보조 서버(105)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하고 동시에 제1 테넌트용 제1 전용 서버(107)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테넌트(Tenant 1)에 제1 전용 서버(107)를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역할이 완료된 제1 전용 서버(107)를 삭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0)는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하고 동시에 제1 테넌트용 제1 전용 서버(107) 및 제2 보조 서버(105)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테넌트(Tenant 1)에 제1 전용 서버(107)를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역할이 완료된 제1 전용 서버(107)를 삭제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110)에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은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6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모리(140)는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판독되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통신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있고,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는 출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는 멀티 테넌트로의 서버 할당 결과, 모니터링 결과 등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통신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키 및/또는 버튼들, 또는 물리적인 키 및/또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를 통한 사용 자 입력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도 7의 Tenant 1 ~ Tenant 10)(200)에 할당할 기본 서버(도 7의 제1 기본 서버, 제N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생성할 수 있다(1100).
이때, 도 7과 같이, 특정 테넌트 그룹 Tenant 1 ~ Tenant 10 및 Tenant 11 ~ Tenant 20 각각에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가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에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세트로 배정할 수 있다(1200).
도 8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10)는 모니터링부(13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 중 유량제어 조건에 일치하는 제1 테넌트(Tenant 2)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300).
이때, 프로세서(110)는 모니터링부(13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200) 중 트래픽량이 기 설정된 트래픽량 이상인 제1 테넌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기본 서버의 점유율이 기 설정된 점유율 이상인 제1 테넌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모니터링부(130)를 통해 특정 테넌트(200)의 트래픽량이 폭주하거나, 또는 특정 테넌트(200)의 제1 기본서버(101)의 점유율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를 체크하여 테넌트(200)에 할당된 제1 기본서버(101) 만으로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는지 감지하여 유량제어가 필요한지 파악하는 것이다.
확인 결과, 유량제어 조건과 일치하는 제1 테넌트(Tenant 2)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테넌트(Tenant 2)에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할 수 있다(1400).
즉, 본 개시의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서버 점유를 확장시키는 방법으로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스케일 아웃은 비슷한 사양의 보조 서버를 추가해서 기본 서버의 부하를 분담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되, 클라우드 서버를 기반으로 멀티 테넌트 기반의 서버 할당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동적인 스케일 아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역할이 완료된 서버를 삭제할 수 있다(1500).
상술한 1400 단계 및 1500 단계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멀티 테넌트에 서버를 할당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도 7의 Tenant 1 ~ Tenant 10, Tenant 11 ~ Tenant 20)(200)에 할당할 기본 서버(도 7의 제1 기본 서버, 제N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생성할 수 있다(1100).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에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세트로 배정할 수 있다(1200).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모니터링부(13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 중 유량제어 조건에 일치하는 제1 테넌트(Tenant 2)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300).
확인 결과, 유량제어 조건과 일치하는 제1 테넌트(Tenant 2)가 발생한 경우, 도 8과 같이,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테넌트(Tenant 2)에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할 수 있다(1400).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하고 동시에 제2 보조 서버(105)를 생성할 수 있다(1410).
신규 서버를 생성하고 준비(ready)하기 위해서는 기 설정된 시간(도 8의 아이들 시간(idle time)(예를 들어, 최소 30초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 중 어느 하나의 테넌트(예를 들어, Tenant 2)에 추가 서버 할당이 요구되어, 스케일 아웃(scale out) 명령이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110)가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새로운 서버를 생성하고 준비(ready)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 30초 이상 발생할 수 있다. 만약, Tenant 2에 갑작스럽게 트래픽이 몰렸을 상황인 경우, 스케일 아웃을 늦게 실행하면 추가 서버 할당이 활성화되기 전에 기본서버가 과부하 상태로 전환될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본서버(예를 들어, 제1 기본서버)를 공유하는 복수의 테넌트(20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개시의 서버 할당부(120)는 신규 서버를 생성하는데 기 설정된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여, 기본 서버(101) 이외에 예비로 생성해 둔 서버(예를 들어, 제1 보조 서버(103))를 특정 제1 테넌트에 할당한 경우, 이와 동시에 예비 서버(예를 들어, 제2 보조 서버(105))를 추가로 생성하여 복수의 테넌트(200) 중 다른 테넌트의 유량 제어 상황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개시는 매번 예비적인 보조 서버(예를 들어, 제2 보조 서버(105))를 클라우드 상에 생성하여 유지하기 때문에, 서버를 추가하는 스케일 아웃 처리 시 아이들 타임(idle time)이 소요되는 동안에도 테넌트에 서버 할당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아이들 타임의 대기 없이 즉시 서버 할당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역할이 완료된 제1 보조 서버(103) 및 제2 보조 서버(105)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1500).
본 개시는 불필요한 서버 생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리소스 낭비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불필요한 보조 서버를 삭제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본 서버(101), 제1 보조 서버(103) 및 제2 보조 서버(105)는 복수의 테넌트(200) 모두에 할당할 수 있는 공유 서버일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멀티 테넌트에 서버를 할당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도 7의 Tenant 1 ~ Tenant 10, Tenant 11 ~ Tenant 20)(200)에 할당할 기본 서버(도 7의 제1 기본 서버, 제N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생성할 수 있다(1100).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에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세트로 배정할 수 있다(1200).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모니터링부(13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 중 유량제어 조건에 일치하는 제1 테넌트(Tenant 2)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300).
확인 결과, 유량제어 조건과 일치하는 제1 테넌트(Tenant 2)가 발생한 경우, 도 9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테넌트(Tenant 2)에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할 수 있다(1400).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하고 동시에 제1 테넌트용 제1 전용 서버(107)를 생성할 수 있다(1420).
도 9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테넌트(Tenant 2)에 제1 전용 서버(107)를 할당할 수 있다(1430).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전용 서버(107)를 할당한 이후, 제1 보조 서버(103)를 복수의 테넌트(200)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할 수 있는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1 보조 서버(103)는 유휴 상태의 공유 서버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역할이 완료된 제1 전용 서버(107)를 삭제할 수 있다(1500).
본 개시는 불필요한 서버 생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리소스 낭비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불필요한 보조 서버를 삭제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본 서버(101), 제1 보조 서버(103) 및 제2 보조 서버(105)는 복수의 테넌트(200) 모두에 할당할 수 있는 공유 서버일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멀티 테넌트에 서버를 할당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100)의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도 7의 Tenant 1 ~ Tenant 10, Tenant 11 ~ Tenant 20)(200)에 할당할 기본 서버(도 7의 제1 기본 서버, 제N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생성할 수 있다(1100).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에 기본 서버(101) 및 제1 보조 서버(103)를 세트로 배정할 수 있다(1200).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모니터링부(130)를 통해 복수의 테넌트(Tenant 1 ~ Tenant 10)(200) 중 유량제어 조건에 일치하는 제1 테넌트(Tenant 2)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300).
확인 결과, 유량제어 조건과 일치하는 제1 테넌트(Tenant 2)가 발생한 경우, 도 10과 같이,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테넌트(Tenant 2)에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할 수 있다(1400).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보조 서버(103)를 할당하고 동시에 제1 테넌트용 제1 전용 서버(107) 및 제2 보조 서버(105)를 생성할 수 있다(1440).
도 10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테넌트(Tenant 2)에 제1 전용 서버(107)를 할당할 수 있다(1450).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제1 전용 서버(107)를 할당한 이후, 제1 보조 서버(103)를 복수의 테넌트(200)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할 수 있는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1 보조 서버(103)는 유휴 상태의 공유 서버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서버 할당부(120)를 통해 역할이 완료된 제1 전용 서버(107)를 삭제할 수 있다(1500).
한편, 전술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110: 프로세서
120: 서버 할당부
130: 모니터링부
140: 메모리
150: 통신부
200: 복수의 테넌트

Claims (8)

  1. 복수의 테넌트(tenant)의 유량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를 기초로 상기 유량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테넌트에 기본서버 및 제1보조서버를 세트로 배정하고,
    상기 복수의 테넌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유량제어조건에 일치하는 제1테넌트가 발생된 경우 제1테넌트에 상기 제1보조서버를 할당하면서 동시에 제1테넌트의 제1전용서버 및 제2보조서버를 생성한 후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를 할당하고,
    제1보조서버는, 제1전용서버의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제1테넌트에 할당된 상태에서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가 할당된 경우,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고,
    제2보조서버는, 제1보조서버가 할당된 이후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상기 유량제어조건과 일치하는 다른 테넌트가 발생되면, 상기 다른 테넌트에 할당되기 위해 미리 생성된 예비 서버인,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고객사가 증가할 때마다 상기 고객사에게 멀티 테넌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테넌트를 증가시키는,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서버 할당 결과 및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서버, 제1보조서버 및 제2보조서버는, 상기 복수의 테넌트 모두에 할당할 수 있는 공유서버인,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조건은, 각 테넌트의 트래픽량이 기 설정된 트래픽량 이상인지의 여부 또는 각 테넌트의 상기 기본 서버에 대한 점유율이 기 설정된 점유율 이상인지의 여부인,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보조서버, 제2보조서버 및 전용서버에 대해서 작업 처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작업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서버를 삭제하는,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7. 복수의 테넌트(tenant)의 유량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스를 기초로 상기 유량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테넌트에 기본서버 및 제1보조서버를 세트로 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테넌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유량제어조건에 일치하는 제1테넌트가 발생된 경우 제1테넌트에 상기 제1보조서버를 할당하면서 동시에 제1테넌트의 제1전용서버 및 제2보조서버를 생성한 후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보조서버는, 제1전용서버의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제1테넌트에 할당된 상태에서 제1테넌트에 제1전용서버가 할당된 경우,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고,
    제2보조서버는, 제1보조서버가 할당된 이후 상기 복수의 테넌트 중 상기 유량제어조건과 일치하는 다른 테넌트가 발생되면, 상기 다른 테넌트에 할당되기 위해 미리 생성된 예비 서버인, 멀티 테넌시 서비스 방법.
  8.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7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30133304A 2022-12-26 2023-10-06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KR10263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3304A KR102630310B1 (ko) 2022-12-26 2023-10-06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905A KR102607221B1 (ko) 2022-12-26 2022-12-26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KR1020230133304A KR102630310B1 (ko) 2022-12-26 2023-10-06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905A Division KR102607221B1 (ko) 2022-12-26 2022-12-26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310B1 true KR102630310B1 (ko) 2024-01-29

Family

ID=889691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905A KR102607221B1 (ko) 2022-12-26 2022-12-26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KR1020230133304A KR102630310B1 (ko) 2022-12-26 2023-10-06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905A KR102607221B1 (ko) 2022-12-26 2022-12-26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72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594A (ko) * 2013-01-28 2015-07-09 인텔 코포레이션 트래픽 및/또는 작업부하 처리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200078426A (ko) * 2020-02-20 2020-07-01 주식회사 티맥스티베로 복구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28896A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케이티 클라우드 서버 스케일링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594A (ko) * 2013-01-28 2015-07-09 인텔 코포레이션 트래픽 및/또는 작업부하 처리
KR101654266B1 (ko) 2014-12-18 2016-09-05 (주)에임투지 웹 접속 관리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KR20200078426A (ko) * 2020-02-20 2020-07-01 주식회사 티맥스티베로 복구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28896A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케이티 클라우드 서버 스케일링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221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7335A1 (en) Delivery of instructions in host applications
US11016808B2 (en) Multi-tenant license enforcement across job requests
US9495214B2 (en) Dynamic resource allocations method, systems, and program
CN109408205B (zh) 基于hadoop集群的任务调度方法和装置
US11418603B2 (en) Dynamic backoff and retry attempts based on incoming request
US20210089351A1 (en) Activation policies for workflows
US9372725B2 (en) Dynamically adjusting wait periods according to system performance
CN110795479A (zh) 基于数据的分布式etl调度的方法和装置
US10924570B2 (en) Notification updates for saved sites
CN114357029B (zh) 业务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531621B1 (ko) 클라우드 기반 유량제어 비용 최적화를 위한 리소스 최적화 서버, 시스템 및 방법
US9710302B2 (en) Dynamic timeout period adjustment of service requests
KR102630310B1 (ko) 디지털 서비스의 유량 제어를 위한 SaaS 기반 멀티 테넌시 서비스 서버 및 방법
US10255057B2 (en) Locale object management
CN113076224A (zh) 数据备份方法、数据备份系统、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7657155B (zh) 用于鉴定用户操作权限的方法和装置
CN113132400B (zh) 业务处理方法、装置、计算机系统及存储介质
US20220276901A1 (en) Batch processing management
CN112152988B (zh) 用于异步nbmp请求处理的方法、系统以及计算机设备和介质
KR102521744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유량 제어 서버, 방법 및 api 유량 제어 시스템
KR102559351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스파이크 평탄화 기술을 이용한 리소스 최적화 시스템 및 진입 관리 서버
CN114237765A (zh) 功能组件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102519073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진입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2569833B1 (ko)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모니터링을 이용한 유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N113778659A (zh) 多线程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