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049A -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049A
KR20200089049A KR1020190005638A KR20190005638A KR20200089049A KR 20200089049 A KR20200089049 A KR 20200089049A KR 1020190005638 A KR1020190005638 A KR 1020190005638A KR 20190005638 A KR20190005638 A KR 20190005638A KR 20200089049 A KR20200089049 A KR 20200089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e
terminal
waiting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869B1 (ko
Inventor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별난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별난사람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별난사람들
Priority to KR102019000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8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버가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체크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매장의 제1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대기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이 대기 인원을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도 소비자가 실시간 대기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WAI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대기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거나 한정판 제품이 판매되는 경우, 적게는 몇 시간, 길게는 몇 일 동안 매장 앞에 길게 늘어선 사람들의 행렬이 종종 목격된다. 줄서기는 일종의 문화처럼 자리 잡게 되었으며,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사람들은 이를 ‘캠핑’이라 부르기도 한다.
줄을 서는 가장 큰 이유는 수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줄서기가 반드시 이루어지는 장소가 있다. 바로 한정판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인데, 한정판 제품은 공급이 제한적인 반면 제품의 희소성으로 인해 높은 가치를 형성하기 때문에 많은 수요자들이 매장 개시 전부터 길게 줄을 서게 된다.
이러한 한정판 제품은 리셀링 시장을 통해 원래의 판매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재판매되기도 하는데, 리셀링 시장이 확대되면서 제품 구입을 위한 경쟁도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선착순으로 판매되는 제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제품 구매가 가능한 매장을 검색하는데, 매장에서는 별도로 대기 줄의 길이나 대기 인원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매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선착순이 종료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644683호(발명의 명칭: 대기 순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공고일: 2016.07.26.)은 대기 순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08456호(발명의 명칭: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공개일: 2014.09.11.)은 가맹점으로부터 대기자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대기시간과 대기 정보를 제공받는 서비스 관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기술들은 매장이 대기 인원을 관리할 수 있는 경우, 즉 영업시간 중 대기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 즉, 위와 같은 기술은‘캠핑’과 같이 판매시각(또는 영업시간) 훨씬 이전부터 대기하고 있는 경우나, 한정판 제품 판매와 같이 한시적으로만 대기가 발생하는 경우 적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다수의 매장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요 한정적 제품을 선착순 내로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불필요한 매장 방문이 생기지 않도록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장이 대기 인원을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도 소비자가 실시간 대기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매장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제품이 판매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서 제품 구매 가능성이 가장 높은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버가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체크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매장의 제1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대기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체크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매장의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대기줄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매장의 위치까지의 도보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도보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대기줄의 이미지, 상기 대기줄의 길이, 상기 대기줄의 길이를 이용하여 산출된 예측 대기인 수 또는 상기 제1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이 대기 인원을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도 소비자가 실시간 대기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매장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제품이 판매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제품 구매 가능성이 가장 높은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 제공 시스템은 대기 정보 제공 장치(100) 및 단말(200,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대기 정보 제공 장치(100)(이하, 정보 제공 장치)는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한 단말(200,3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 또는 응용 프로그램 운영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판매되는 제품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매장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착순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에 있어서 오랜 시간 야외에서 대기(캠핑)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일 실시 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수신부(130), 정보 생성부(150), 정보 제공부(170), 추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임의의 단말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매장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의 위치 정보는 GPS, WIFI, BLE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위치 측정 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아니한다.
매장 식별 정보는 단말(200, 300) 사용자가 대기하고 있는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 매장의 위치, 매장에서 발송되는 비콘 신호, 매장의 고유 코드, 매장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또는 단말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선택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체크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부(130)는 단말(200)로부터 체크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장 리스트(1) 또는 특정 매장 정보 제공 페이지(2)에 표시된 체크인 신호 입력 아이콘(3)를 선택하면, 단말(200)에서 단말 위치 정보와 특정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체크인 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부(130)로 전송되므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체크인 신호를 수신하여 대기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크인 신호는 특정 단말이 대기줄의 마지막에 위치하였을 때 자신의 위치를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대기줄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호이다.
수신부(130)는 언제 체크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을 체크인 신호와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은 대기줄 정보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생성부(150)는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매장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체크인 신호에 대응되는 매장의 대기줄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자세하게, 정보 생성부(150)는 체크인 신호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15)에서 매장의 위치(13)까지의 도보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도보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생성된 대기줄의 이미지, 대기줄의 길이, 대기줄의 길이를 이용하여 산출된 예측 대기인 수, 또는 제1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기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보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생성된 대기줄의 이미지는 지도 이미지 상에 도 4의 (1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대기줄의 길이는 도보 이동 경로의 길이를 산출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측 대기인 수는 대기줄의 길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는데, 한 사람이 대기줄에서 차지하는 대기줄 방향의 길이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일인당 길이로 대기줄 전체 길이를 나누는 방법으로 대기인 수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생성부(150)가 저장한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17)을 대기줄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만약 수신부(130)가 임의의 단말로부터 새롭게 체크인 신호를 수신하면, 정보 생성부(150)는 새로운 체크인 신호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매장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대기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다수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체크인 신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대기줄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대기줄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은 특정 시간에 대기줄이 얼마나 길게 형성되었는지 실시간에 가깝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매장에서 대기인원을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관리하는 경우에만 대기 인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던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매장에서 대기 인원을 관리하지 않는 경우에도 다수의 사용자가 제공하는 체크인 신호를 이용하여 대기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 대비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정보 제공부(170)는 정보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대기줄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대기줄 정보의 제공은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의 일반 정보(매장 명칭, 매장 위치, 판매 제품 정보, 이벤트 정보 등)과 함께 대기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70)는 대기줄 정보로 도 4의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매장의 대기줄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지도 상에 표시된 대기줄 이미지나 대기줄의 길이,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 뿐 아니라, 다수의 대기자들이 제공하는 텍스트 정보를 참고하여 실시간으로 대기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70)는 시간 별 대기줄 정보 및 매장의 제품 수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매장의 선착순 종료 시각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A가 100켤레의 한정판 신발을 판매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h1시에 n1명, h2시에 n2명, h3시에 n3명이 대기 중이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과 대기 인원 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시간 별 대기 인원을 예측할 수 있다. 시각-대기인원 그래프는 판매 시각이 다가올수록 대기인원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형태로 나타날 것이며, 그래프와 판매 제품 수량 정보를 이용하면 선착순 종료 시각을 예측할 수 있다.
추천부(190)는 임의의 단말로부터 매장 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제품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을 탐색하고, 단말의 위치에서 탐색된 매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매장 추천 요청 신호는 단말(300)이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구매 가능성이 높은 매장을 추천받고자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하는 신호이다. 추천부(190)는 매장 추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품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탐색한다.
예를 들어, 한정판 운동화 X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A)가 운동화 X 구입을 위함 매장 추천 요청 신호를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하는 경우, 추천부(190)는 운동화 X를 판매하는 지점 A, B, C, D를 탐색하고, 단말(A)의 위치에서 각 지점 A, B, C, D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동 시간의 산출은 두 지점 간 이동 시간을 계산하여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API나 지도 API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이동 시간은 차량 이동 시간 뿐 아니라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 시간도 포함될 수 있다. 이동 수단의 종류는 사용자 단말(A)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추천부(190)는 매장 별로 예측된 선착순 종료 시각을 이용하여 잔여 시간을 산출하고, 잔여 시간과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매장 별 구매 가능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점 A는 판매 수량이 100켤레이고 현재 대기 인원이 98명이며, 선착순 종료 시각은 5분 뒤로 예측되었다고 가정한다. 지점 A는 판매 수량이 50켤레이고 현재 대기 인원이 3명이어서, 선착순 종료 시각이 3시간 뒤로 예측되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A)의 위치에서 지점 A까지의 이동 시간은 10분이고, 사용자 단말(A)의 위치에서 지점 B까지의 이동시간은 50분인 경우, 추천부(190)는 지점 A의 구매 가능 점수는 x점, 지점 B의 구매 가능 점수를 y로 산출할 수 있다(x<y).
추천부(190)는 구매 가능 점수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지점을 정렬할 수 있고, 구매 가능 점수에 기초하여 지점 B > 지점 A 순으로 단말에 매장을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점 A가 자신과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실제 구매 가능성이 더 높은 지점 B로 이동하여 운동화를 구매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체크인 단말 1이 체크인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면(S100), 서버는 수신한 체크인 신호를 이용하여 대기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0). 체크인 신호에는 단말 1의 위치 정보와 단말 1이 대기하고 있는 매장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200에서 서버는 단말 1의 위치에서 매장 위치까지의 도보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도보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생성된 대기줄의 이미지, 대기줄의 길이, 대기줄의 길이를 이용하여 산출된 예측 대기인 수,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기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대기줄 정보 생성 이후에 다른 단말(단말 2)로부터 체크인 신호가 수신되면(S400), 서버는 단말 2의 체크인 신호를 이용하여 대기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단말 2의 위치를 이용하여 산출한 대기줄 길이가 단말 1의 위치를 이용하여 산출한 대기줄 길이보다 짧으면, 서버는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단말 1의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한 대기줄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단말 2의 위치를 이용하여 산출한 대기줄 길이가 단말 1의 위치를 이용하여 산출한 대기줄 길이보다 길면, 서버는 대기줄 정보를 대기줄이 더 긴 것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대기줄 정보가 생성되면, 서버는 대기줄 정보를 서버에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단말 1, 2)에 제공할 수 있으며(S300), 대기줄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대기줄 정보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550).
서버는 시간 별 대기줄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제품 수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매장의 선착순 종료 시각을 예측할 수 있으며(S600), 임의의 단말 1로부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매장 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700), 제품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을 탐색하고, 단말 1의 위치에서 탐색된 하나 이상의 매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매장 별로 각각 산출할 수 있다(S730). 서버는 매장 별로 예측된 선착순 종료 시각을 이용하여 잔여 시간을 산출하고, 잔여 시간과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매장 별 구매 가능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750). 그리고 구매 가능 점수에 기초하여 단말 1에 추천 매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770).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 일부 실시 예는 그 실시 주체가 동일한 경우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50: 매장
100: 대기 정보 제공 장치(서버)
200, 300: 단말

Claims (7)

  1. 서버가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체크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매장의 제1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대기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기줄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매장의 위치까지의 도보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도보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대기줄의 이미지, 상기 제1 대기줄의 길이, 상기 제1 대기줄의 길이를 이용하여 산출된 예측 대기인 수, 또는 상기 제1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체크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대기줄 정보에 포함된 대기줄의 길이가 상기 제1 대기줄 정보에 포함된 대기줄의 길이보다 길면 상기 제2 대기줄 정보로 상기 제1 대기줄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기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시간 별 대기줄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제품 수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매장의 선착순 종료 시각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기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임의의 제3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매장 추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품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을 탐색하고, 상기 제3 단말의 위치에서 탐색된 매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매장 별로 예측된 선착순 종료 시각을 이용하여 잔여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잔여 시간과 상기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매장 별 구매 가능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구매 가능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단말에 추천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기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대기 정보 제공 응용 프로그램.
  7. 대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체크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매장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매장의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대기줄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에서 상기 제1 매장의 위치까지의 도보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도보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대기줄의 이미지, 상기 대기줄의 길이, 상기 대기줄의 길이를 이용하여 산출된 예측 대기인 수 또는 상기 제1 체크인 신호 수신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기줄 정보를 생성하는 대기 정보 제공 장치.
KR1020190005638A 2019-01-16 2019-01-16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04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38A KR102204869B1 (ko) 2019-01-16 2019-01-16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38A KR102204869B1 (ko) 2019-01-16 2019-01-16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59A Division KR20210006313A (ko) 2020-12-01 2020-12-01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049A true KR20200089049A (ko) 2020-07-24
KR102204869B1 KR102204869B1 (ko) 2021-01-19

Family

ID=7189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638A KR102204869B1 (ko) 2019-01-16 2019-01-16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5043A (zh) * 2020-09-21 2020-11-1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服务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702A (ja) * 2002-03-01 2003-09-12 Hitachi Ltd 在庫情報照会方法
KR20130037622A (ko) * 2011-10-06 2013-04-16 노정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1238A (ko) * 2013-10-07 2015-04-16 중소기업은행 대기현황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702A (ja) * 2002-03-01 2003-09-12 Hitachi Ltd 在庫情報照会方法
KR20130037622A (ko) * 2011-10-06 2013-04-16 노정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순번대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1238A (ko) * 2013-10-07 2015-04-16 중소기업은행 대기현황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5043A (zh) * 2020-09-21 2020-11-1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服务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869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8777A1 (en) Identifying items in images
JP6789260B2 (ja) 店舗支援システム、店舗支援方法、および店舗支援プログラム
JP6206760B2 (ja) 顧客要求管理システム、顧客要求管理方法、プログラム
US114933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109617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端末、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180174217A1 (en) Intermediate support system, intermediate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10087524A1 (en) Determining travel routes by using fee-based location preferences
US113415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7078357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KR101585119B1 (ko) 경로정보를 이용한 소셜 커머스 딜 노출방법,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44498B1 (ko) 맞춤형 영업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업활동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7223B1 (ko) 사용자의 요구정보와 이동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매장을 중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70124194A (ko) 여행정보 제공서비스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04869B1 (ko)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05470A (ko) 노쇼 상품 특가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85276A (ko) 실시간 숙박 시설 예약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JP6811160B2 (ja) 仲介支援システム、仲介支援方法、および仲介支援プログラム
US20220172140A1 (en) Server device for collection and delivery systems and collection and delivery control method thereof
JP745902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1034292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geo-location based data analysis
JP202401047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10006313A (ko) 대기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41233A (ko) 주류 유통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978230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算出装置
KR101745322B1 (ko) 렌터카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관광 컨텐츠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