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158A -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 Google Patents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158A
KR20190086158A KR1020180004358A KR20180004358A KR20190086158A KR 20190086158 A KR20190086158 A KR 20190086158A KR 1020180004358 A KR1020180004358 A KR 1020180004358A KR 20180004358 A KR20180004358 A KR 20180004358A KR 20190086158 A KR20190086158 A KR 20190086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nsity polyethylene
headliner
ho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554B1 (ko
Inventor
박동일
박세민
국윤봉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Priority to KR102018000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5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층, 중층 및 내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외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를 포함하고, 부직포 층과 접착되고, 상기 중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과 접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을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HOT-MELT FILM FOR HEADLINER}
본 발명은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장재 중 헤드라이너는 자동차 내부의 천장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동차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소음의 흡음 및 차음 기능, 차량의 내외부의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보온 기능 등의 실용적인 기능과 차량 내부의 심미적 기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는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하는 물질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이다.
따라서, 헤드라이너는 이와 같은 다양한 층을 적층하기 위하여 액상의 접착제, 접착 파우더 또는 접착 필름 등 다양한 형태의 접착 성분을 포함한다. 특히, 다양한 층을 적층할 때 열 접착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접착 성분에 있는 유해한 물질들의 방출 등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1331호는 자동차 헤드라이너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표피재부, 접착층 및 기재부로 이루어지고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에 말레산 무수물을 그라프팅시킨 그라프토머 11 - 51 중량%, 접착 수지 조성물 45 - 82 중량%, 산화 방지제 0.1 - 5 중량% 및 열 안정제 0.1 - 3 중량%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접착 수지를 분말화한 접착 파우더를 가열 용융시켜 형성하는 것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0004호는 폴리올레핀 1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 40 내지 70 중량%, 점착성 수지 5 내지 45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25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용 복합 필름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너를 제조시 열접착 공정에서 문제되는 유해한 가스를 배출하지 못하고 접착제를 차단하지 못하는 종래 필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알려지지 않은 구성을 가지면서 효과가 우수한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층, 중층 및 내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외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를 포함하고, 부직포 층과 접착되고, 상기 중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과 접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층 및 내층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는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5 내지 15 g/10분이고, 상기 중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0.5 내지 3 g/10분이고, 상기 내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3 내지 10 g/10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층은 중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의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은 내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75 중량%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 및 25 내지 50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층의 접착력은 0.5 kgf 이상이고, 상기 내층의 접착력은 0.5 kgf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층, 경질 폼층 및 후면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헤드라이너로서, 상기 전면층 및 후면층은 부직포층,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필름은 핫멜트 필름과 부직포층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과의 롤투롤 열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을 포함하여 헤드라이너를 제조시 프레스 열접착 공정에서 우수한 가스 배기 특성 및 접착제 차단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층, 중층 및 내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10)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외층(11), 중층(12) 및 내층(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층(11)은 헤드라이너의 전면층 또는 후면층의 부직포층에 부착되는 층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층에 사용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는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5 내지 15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5 g/10분 미만의 경우에는 열 접착시 용융 정도가 낮아 접착력이 낮을 수 있으며,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15 g/10분 초과의 경우에는 용융지수가 너무 높아 용융된 필름 형태가 안정하지 못하고 흔들려 두께편차가 크게 생겨 접착력이 고르게 나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중층(12)은 내층(13)과 외층(11) 사이에 위치하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75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25 내지 75 중량%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층은 중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의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층에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중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65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25 내지 65 중량%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헤드라이너의 후면에 포함되는 필름의 경우에 중층에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라이너를 제조시 전면층, 경질폼층 및 후면층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약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상부, 하부 부품으로 준비된 열프레스 설비에서 열 성형, 접착시키는데 이때 열 접착, 성형 공정에서 내열성이 부족하므로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중밀도 폴리에틸렌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내열성이 부족하여 열 성형시 핫멜트 필름이 쉽게 열산화되어 완제품 품질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은 좋아지나 밀도가 높은 수지의 함량이 많아지므로 압출 가공성이 불안정하여 두께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품질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접착제에 열이 가해지면서 유해한 가스가 방출된다. 이때 상부는 핫멜트 필름이 열에 의해 녹으면서 접착이 된 후 접착제에 의한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며 이 가스는 상부로 적절하게 방출되어야 성형 후 외관 기포 불량이 없다. 또한, 하부층에 포함되는 핫멜트 필름은 적절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성형시 열에 의해 완전히 녹지 않아야만, 접착제 성분이 차단이 되어 열 프레스 성형 설비에 성형 후 탈형이 용이하게 된다. 즉,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중층에 포함하는 필름을 헤드라이너의 후면층에 포함시키는 경우에 접착제의 유해 성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중층에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0.5 내지 3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0.5 g/10분 미만의 경우에는 융용지수가 너무 낮아 압출시 부하가 많이 걸려 가공성이 문제될 수 있으며,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3 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지수가 너무 높아 용융된 필름이 압출될 때 안정성이 떨어져서 핫멜트 필름의 두께편차 및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내층(13)은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과 접착되는 부분이다. 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내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75 중량%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 및 25 내지 50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층에 사용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는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5 내지 15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층에 사용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의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5 g/10분 미만의 경우에는 열 접착시 용융 정도가 낮아 접착력이 낮을 수 있으며,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15 g/10분 초과의 경우에는 용융지수가 너무 높아 용융된 필름 형태가 안정하지 못하고 흔들려 두께편차가 크게 생겨 접착력이 고르게 나오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내층에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3 내지 1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층에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3 g/10분 미만의 경우에는 용융지수가 낮아 내층과 유리조각과 고밀도폴리에틸렌 분말이 포함된 층과의 접착력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10 g/10분 초과의 경우에는 용융지수가 높아 압출 안정성이 낮아 필름의 두께편차 및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의 전체 두께는 20 내지 12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일 수 있다. 또한, 외층, 중층 및 내층의 층 비율은 전체 100%를 기준으로 각각 10~33% : 34~80% : 10~33%의 두께비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 40% : 30%의 두께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외층과 내층의 경우 블로운 압출 작업 후 필름 권취시 표면 텍기(tacky)성으로 인한 블로킹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블로킹 방지제(AB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AB제 첨가는 표면 열접착 특성을 저하 시킬 수 있으므로 각각의 외층 및 내층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0.5 중량%의 AB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탈크, 탄산칼슘,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산칼슘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은 3층 블로운 공압출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법으로 제조시 MD 및 TD 방향으로 버블이 팽창에 따른 버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일반적인 블로운 가공 온도보다 낮게 설정하여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 온도는 150℃ 내지 170℃의 온도에서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필름을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는 전면층, 경질 폼층 및 후면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전면층 및 후면층은 부직포층,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필름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는 전면층(23), 경질 폼층(24), 후면층(25)로 구성되며 전면층 최외곽에서 내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부직포층(21'), 핫멜트 필름층(10')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22')으로 이루어진 전면층(23)과 내면 방향에서 후면층 최외곽까지 순차적으로 경질 폼층(24)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22"), 핫멜트 필름층(10") 및 부직포층(21")으로 이루어진 후면층(2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의 전면층(23)은 한 층으로 열 프레스 성형 설비에 상부에 위치하는 층으로 부직포층(21'), 핫멜트 필름층(10')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22')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층을 포함하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경질 폼층(24)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중합, 경화반응으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의 후면층(25)은 열 프레스 성형 설비에 하부에 위치하는 층으로 부직포층(21"), 핫멜트 필름층(10")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22")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층을 포함하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부직포층, 핫멜트 필름 층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을 준비하여 열접착하여 전면층과 후면층을 각각 제조한다. 이때 공정은 롤투롤로 수행되며, 직접적 또는 간접적 열 라미네이션 공정으로 생산되고, 열 접착 가공 온도는 140 내지 180℃일 수 있다. 이어서, 전면층, 경질 폼층 및 후면층을 준비한 후 각 층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프레스 열접착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가능한 모든 접착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EVA-MAH)는 듀폰사 Fusabond C190(MI 16, d 0.95)를 사용하였고,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LG화학 BF415(MI 2, d 0.92)이고,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는 LG화학 SP310(MI 1, d 0.918) 제품이다. 이와 같은 수지들을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3층 블로운 공압출법으로 제조하였으며, 각 층은 30 : 40 : 30의 두께비로, 전체 두께는 30㎛로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외층 EVA-MAH 100% EVA-MAH 100% EVA-MAH 100% EVA-MAH 100% EVA-MAH 100% EVA-MAH 50%
LDPE 50%
중층 LDPE 25%
LLDPE 75%
LDPE 25%
LLDPE 50%
MDPE 25%
LDPE 100% LLDPE 100% LDPE 25%
LLDPE 75%
LDPE 25%
LLDPE 75%
내층 EVA-MAH 75%
LDPE 25%
EVA-MAH 75%
LDPE 25%
EVA-MAH 75%
LDPE 25%
EVA-MAH 75%
LDPE 25%
EVA-MAH 100% EVA-MAH 50%
LDPE 50%
실시예 비교예의 핫멜트 필름의 물성 비교
상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핫멜트 필름의 물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비교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 인장강도 : ASTM D 882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kgf/cm2이다.
- 외층접착력 : 외층 접착력은 두께 0.5T 폴리에스터텔레프탈레이트계 부직포와 상기 표 1의 필름을 25mm X 100mm로 재단 후 180도, 3초, 1kgf 압력으로 열 접착 후 인장시험기(테스트원, 2012년 제조)를 이용 300mm/min 속도로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은 외층접착력이 0.5kgf 이상인 경우가 폼과 핫멜트 필름 접착력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므로 0.5kgf 이상인 경우를 양호로 나타내었고, 0.5kgf 미만인 경우를 불량으로 나타내었다.
- 내층접착력 : 내층접착력은 두께 30마이크론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표 1의 필름을 외층접착력과 같은 규격과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은 내층접착력이 0.5kgf 이상인 경우가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과 핫멜트 필름 접착력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므로 0.5kgf 이상인 경우를 양호로 나타내었고, 0.5kgf 미만인 경우를 불량으로 나타내었다.
- 열화 특성 : 핫멜트 필름을 100mm X 100mm 직사각형으로 자른 후 SUS304 표면 상부에 핫멜트 필름을 100mm X 100mm의 사각형으로 자른 후 필름과 SUS304가 접촉된 상태에서 90℃ 열풍 건조기((주)테스트원, 2012년 제조)에 5분간 방치 후 육안상 필름의 변형이 없으면 양호로 표기하였고 필름의 주름이나 수축,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에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 접착제 차단성 : 부직포와 핫멜트 필름을 각각 폭 200mm 길이 5M로 준비 후 롤투롤 열합지 설비((주)HY산업, 열합지기기, 2015년 제조)를 이용하여 3M/min 속도로 140℃에서 3kgf 압력으로 열 접착한 제품을 이용하여 핫멜트 상부에 폴리 우레탄 접착제(성도케미칼 D815K)를 10g 떨어뜨린 후 120℃ 열풍 건조기에 10min간 방치 후 육안상으로 부직포로 접착제가 스며들지 않을 경우 양호로 표기하고, 접착제가 스며든 경우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비교예 4
인장강도 120kgf 135kgf 90kgf 115kgf 110kgf 105kgf
외층접착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내층접착력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열화특성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양호
접착제 차단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양호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경우가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으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층에 저밀도폴리에틸렌만 포함하고 다른 구성이 동일한 필름의 경우인 비교예 1 및 2, 내층의 구성이 상이한 비교예 3, 외층과 내층의 구성이 상이한 비교예 4의 경우와 비교하면, 외층, 중층 및 내층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서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외층, 중층 및 내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를 포함하고, 부직포 층과 접착되고,
    상기 중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과 접착되는,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및 내층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는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5 내지 15 g/10분이고,
    상기 중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0.5 내지 3 g/10분이고,
    상기 내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3 내지 10 g/10분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은 중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의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내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75 중량%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말레인산 무수물 수지 및 25 내지 50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접착력은 0.5 kgf 이상이고,
    상기 내층의 접착력은 0.5 kgf 이상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6. 전면층, 경질 폼층 및 후면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헤드라이너로서,
    상기 전면층 및 후면층은 부직포층,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및 유리조각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말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KR1020180004358A 2018-01-12 2018-01-12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KR102127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58A KR102127554B1 (ko) 2018-01-12 2018-01-12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58A KR102127554B1 (ko) 2018-01-12 2018-01-12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58A true KR20190086158A (ko) 2019-07-22
KR102127554B1 KR102127554B1 (ko) 2020-06-29

Family

ID=6746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358A KR102127554B1 (ko) 2018-01-12 2018-01-12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040A (ko) 2020-09-23 2022-03-30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부직포 제조방법 및 그 부직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418A (ja) * 1996-11-07 1998-05-26 Kurabo Ind Ltd 多層ホットメルト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KR20010055733A (ko) * 1999-12-13 2001-07-04 유현식 저온 열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2004322343A (ja) * 2003-04-22 2004-11-18 Enshuu Kasei Kogyo Kk 乗り物内装材用フイルム及び該フイルムを用た乗り物内装材
KR101620004B1 (ko) * 2015-12-23 2016-05-11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418A (ja) * 1996-11-07 1998-05-26 Kurabo Ind Ltd 多層ホットメルト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KR20010055733A (ko) * 1999-12-13 2001-07-04 유현식 저온 열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2004322343A (ja) * 2003-04-22 2004-11-18 Enshuu Kasei Kogyo Kk 乗り物内装材用フイルム及び該フイルムを用た乗り物内装材
KR101620004B1 (ko) * 2015-12-23 2016-05-11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554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7578B1 (en) Cover material for packaging container for retortion
KR101483877B1 (ko) 자동차 내장재용 다층 공압출 필름
KR100851599B1 (ko) 알루미늄 하니컴 판넬용 접착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8557A (ko) 저융점 접착필름
KR102565683B1 (ko) 저온 열 적층을 사용하여 타일을 형성하는 방법
JP5611501B2 (ja) 自己粘着性積層体
JP2002526298A (ja) 高遮断性多層フィルム
KR102553410B1 (ko) 적층체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KR20190086158A (ko)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EP0570222A1 (en) Polypropylene foam trays having a barrier layer
JP7283033B2 (ja) 積層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922803B1 (ko) 자동차 내장재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PL174131B1 (pl) Folia głębokotłoczna, zgrzewalna, wielowarstwowa z procesu recyklingu
KR102127555B1 (ko)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JP6206552B2 (ja) 発泡性積層体及び発泡加工紙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断熱容器
KR101154590B1 (ko)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1999064533A1 (en) Multilayer adhesive film
KR200166707Y1 (ko) 자동차 천정재
KR102479933B1 (ko) 친환경 핫멜트 저융점 필름
KR101624334B1 (ko) 단열재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82860B1 (ko) 9층 구조를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 필름
KR101887233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KR10231632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시트들 사이에 개재된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5434B1 (ko) 시간-온도 이력지시계 포장용 다층 복합필름
JP5966478B2 (ja) 発泡性積層体及び発泡加工紙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断熱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