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555B1 -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555B1
KR102127555B1 KR1020180004359A KR20180004359A KR102127555B1 KR 102127555 B1 KR102127555 B1 KR 102127555B1 KR 1020180004359 A KR1020180004359 A KR 1020180004359A KR 20180004359 A KR20180004359 A KR 20180004359A KR 102127555 B1 KR102127555 B1 KR 102127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film
maleic anhydride
present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159A (ko
Inventor
박동일
허나영
김은진
국윤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Priority to KR102018000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55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2201/36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Abstract

본 발명은 외층, 중층 및 내층을 포함하고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 접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외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50 내지 70 중량%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3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은 알루미늄 증착 필름 표면과의 열접착 강도가 우수하면서 인장강도, 신율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POLYPROPYLENE-BASED HOTMELT FILM HAVING EXCELLENT HEAT ADHESION WITH ALUMINUM METALLIZING FILM}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증착 필름이란, 10-4 내지 10-6 torr 정도의 진공 하에서 알루미늄을 1,5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알루미늄이 증발하여, 플라스틱필름이나 종이 등의 기재 위에 증착된 필름을 의미한다. 증착막의 두께는 400 내지 800Å이고 증착면은 금속 알루미늄박과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기재필름으로는 진공 중에 수분, 가소제, 분해가스 등의 발포가 없고 금속과 친화성이 좋은 폴리에스테르계열인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주로 쓰인다.
증착필름은 미려한 외관를 나타낼 수 있는 외장재에 적용되는데, 데코레이션 분야 및 금속 증착 막에 의한 우수한 가스차단성과 빛 차단성을 이용한 포장용 패키징 분야 등에 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금속 증착면의 광반사 효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분야의 반사 필름 및 농업용 반사 필름에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핫멜트 접착 필름이란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접착성 수지를 필름 형태로 고화시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핫멜트 접착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나일론계, 폴리올레핀계(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코폴리머계,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등이 있으며 형태별로는 액상(solution), 펠렛(pellet)상, 필로우(pillow), 스틱(stick) 형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접착시키고자 하는 기재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액상의 핫멜트 소재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를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코팅 도포 가공 방법으로 라미네이팅 공정을 거쳐 접착시킬 수 있고, 펠렛, 필로우 등의 핫멜트 소재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압출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 타 수지와의 블랜딩법, 공압출 방법 등을 적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는 핫멜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려한 금속 표면을 부여할 수 있는 외장재 분야에서 사용되는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사용되는 핫멜트 필름의 경우에는 금속 시트와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액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사용하였다. 이 경우의 접착제 층은 고분자 경화에 의해 가교된 열경화성 고분자 층이 도입된다. 고분자 층이 도입된 경우에는 접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나 신율이 매우 낮고 성형성이 낮아 완제품 외장재에 굴곡이나 성형 공정에서 크렉이나 깨짐, 박리가 발생되어 문제가 있으며, 또한 성형 굴곡 깊이, 굴곡 각도 등에 한계가 발생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6687호는 전해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증착 필름 표면과의 열접착 강도가 우수하면서 인장강도, 신율, 내열성 및 성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층, 중층 및 내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이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 접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층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은 15:42.5:42.5 내지 50:25:25의 혼합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은 내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 98 내지 99.5 중량% 및 탄산칼슘계 블로킹방지제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은 상기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접착 강도가 0.5 kgf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은 DSC상 녹는점이 140 내지 152℃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의 인장강도는 MD 방향에서 120 kgf/cm3 이상이고, TD 방향에서 70 kgf/cm3 이상이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의 신율은 MD 450% 이상 및 TD 600% 이상의 물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은 알루미늄 증착 필름 표면과의 열접착 강도가 우수하면서 인장강도, 신율, 내열성 및 성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필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필름이 적용된 완제품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핫멜트 필름과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1차 합지되는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라 제조된 반제품과 금속 시트가 접착되는 공정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별도의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 등의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외층(11), 중층(12) 및 내층(13)을 포함하고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 접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1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필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필름이 적용된 완제품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외층(11)은 SUS,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시트와 접착하는 층으로서,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로 이루어진다.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은 프로필렌 모노머에 에틸렌 모노머가 랜덤으로 중합이 된 수지에 말레인산 무수물이 그라프팅된 코폴리머이며 에틸렌의 비율은 2~10% 함량이며 말레인산 무수물 그라프팅 비율은 0.1~1%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상 녹는점이 140 내지 152℃이며, 용융지수(ASTM D1238, MI, 190℃)가 3.0 내지 8.0g/1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중층(12)은 외층(11)과 내층(13) 사이에 위치하며,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은 15:42.5:42.5 내지 50:25:25의 혼합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블록 폴리프로필렌은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호모 폴리프로필렌은 중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5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중층의 내열성이 낮아져 내열성(내열탕) 평가시 열에 의한 핫멜트 필름 기포 및 박리가 발생한다. 또한 호모 폴리프로필렌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율이 낮고 성형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내층(13)은 알루미늄 증착면(23)을 포함하는 증착 시트와 접착되는 층으로서,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과 블로킹 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 98 내지 99.5 중량% 및 탄산칼슘계 블로킹방지제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탄산칼슘계 블로킹방지제가 0.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핫멜트 필름 내,외면 블로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알루미늄 증착면 및 금속 시트와의 열접착성이 불량하다.
본 발명의 핫멜트 필름의 전체 두께는 15마이크론 내지 150마이크론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20마이크론 내지 80마이크론일 수 있다. 두께가 20마이크론 미만일 경우에는 핫멜트 필름의 박막으로 열접착 공정에서 열에 의해 펑크발생이 날 수 있으며 접착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80마이크론을 초과할 경우에는 핫멜트 필름이 너무 두꺼워 열접착 공정에서 충분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접착력이 낮아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T-다이 공압출로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공압출이란, 이종 또는 동종의 물질을 다수의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드블럭(feedbloc) 방식이나, 멀티 매니폴드(multi-manifold) 방식 등을 통하여 다층의 용융된 상태로 도출시킨 후, 연신공정, 블로잉(blowing) 공정 또는 캐스트(cast) 공정 등을 거쳐 다층의 필름을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공압출 장치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수지 등을 용융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압출기부(호퍼부와 스크류부)와, 상기 압출기부로부터 용융된 상태의 수지를 공급할 수 있는 공압출 다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당업계에 알려진 공압출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다이 공압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T-다이 공압출 방법에서 공압출 스크류부와 다이부 사이에 용융된 수지내 겔(gel)을 걸러줄 수 있는 폴리머 필터(Polymeric Filter System)가 장착된 압출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폴리머 필터가 장착된 압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핫멜트 필름의 외관 특성, 즉 겔(gel) 발생 빈도가 매우 낮으므로 완제품인 알루미늄 증착필름과 금속 시트와 열접착한 후 최종 겔(gel)에 의한 미려한 외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의 인장강도는 MD 방향에서 120 kgf/cm3 이상이고, TD 방향에서 70 kgf/cm3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의 신율은 MD 450% 이상 및 TD 600% 이상의 물성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포함하는 헤드라이너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핫멜트 필름과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1차 합지되는 공정의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라 제조된 반제품과 금속 시트가 접착되는 2차 합지 공정의 모식도이다.
폴리올레핀계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22)의 일면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킨(23) 증착 필름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내층(13)을 접착시킨다. 접착 방법은 증착 필름의 알루미늄이 증착된 층(23)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내층(13)이 접하도록 배치한 후 열 접착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예로서 알루미늄이 증착된 층(23)과 내층(13)을 열 드럼 합지 방식(heat drum lamination)으로 1차 합지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폴리올레핀 필름(22)과 알루미늄 증착층(23)을 포함하는 증착 필름과 본 발명에 따른 필름(10)을 열 드럼 롤러(31)를 통과시킨 후 가이드 롤러(32)를 통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열 드럼 롤러(31)의 온도는 1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분당 5미터 ~ 30미터 속도로 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합지된 반제품을 열 접착하여(2차 합지 공정) 최종 헤드라이너를 제조할 수 있다. 열 접착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모든 방법을 포함하며, 도 4는 일 예로서 상기 반제품과 금속 시트를 열 프레스(41, 42)를 이용하여 열 접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열 접착하는 경우에는 약 200℃ 온도에서 20초 내지 40초로 3kgf 내지 7kgf의 압력으로 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합지 공정 및 2차 합지 공정의 순서는 바뀔 수 있으며, 1차 합지 공정과 2차 합지 공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하나의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합지 공정을 진행한 후 2차 합지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최종 제품의 층들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필름의 다른 물성 특성도 우수하다.
상기의 조건에 의해 알루미늄 증착필름, 핫멜트 필름 및 금속 시트를 접착한 경우 각 층간의 바람직한 접착 강도는 0.5 kgf/cm2 이상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사용하여 30㎛ 두께이고, 외층, 중층 및 내층의 두께비가 1:3:1:인 3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의 외층 및 내층에 사용된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PP-MAH)은 롯데케미칼의 BP402이고, 중층에 사용된 프로필렌 수지는 각각,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R-PP)는 롯데케미칼의 SFC-550를 사용하였고,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B-PP)는 LG화학 M1400를 사용하였고, 그리고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H-PP)는 폴리미래의 HP5032을 사용하였다. 비교예의 외층과 내층에 사용된 랜덤 폴리에틸렌계 말레인산 무수물(PE-MAH)은 롯데케미칼사의 EM-400이다. 또한, 블로킹 방지제(A/B)는 엠앤씨사 MB-060(탄산칼슘 60% 마스터배치)을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외층 PP-MAH 100 100 0 0 100 100 100 100
PE-MAH 0 0 100 100 0 0 0 0
중층 H-PP 15 50 15 15 10 55 50 0
R-PP 42.5 25 42.5 42.5 45 22.5 50 50
B-PP 42.5 25 42.5 42.5 45 22.5 0 50
내층 PP-MAH 99.5 99.5 0 0 99.5 99.5 99.5 99.5
PE-MAH 0 0 99.5 99.5 0 0 0 0
A/B제 0.5 0.5 0.5 0.5 0.5 0.5 0.5 0.5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접착강도, 인장강도, 신율, 내열성 및 성형성을 실험하였다.
접착강도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 ASTM D903 기준에 따라 증착 필름과 본 발명의 필름을 25mm의 폭, 80mm의 길이로 자른 후 180도 온도에서 3kgf 압력으로 접착 씰링 폭은 5mm로 하여 제작한 후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율은 ASTM D882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내열성은 증착 필름과 본 발명의 필름을 150도 온도에서 3kgf 압력으로 롤투롤 열라미네이션(라미 속도 3M/min)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한 후 100mmX100mm 크기로 자르고 100도 증류수(pH 7)에 30분간 방치 후 육안 검수를 통해 필름이 외관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면 O로 나타내었고 기포가 발생한 경우에는 X로 나타내었다. 성형성의 경우 상기 내열성 측정을 위한 시편 제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한 후 ASTM 643-84 기준에 의거하여 erichsen cupping test를 수행하여 8mm 이상일 경우 O로 나타내었고 8mm 미만일 경우 X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접착강도
(kgf)
0.5 0.5 0.2 0.2 0.5 0.5 0.5 0.5
인장강도
(kgf/cm3)
MD 120 150 110 115 110 160 145 115
TD 70 85 60 65 60 95 98 60
신율
(%)
MD 500 450 600 450 550 350 360 550
TD 650 600 750 600 700 500 520 650
내열성 O O X X X O O X
성형성 O O O O O X X O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2는 접착강도, 인장강도, 신율, 내열성 및 성형성 모두에서 우수한 수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외층과 내층에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 대신에 랜덤 폴리에틸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접착성 및 내열성이 불량하여,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 접착에 사용하기 부적절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층의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의 혼합중량비를 벗어나는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3 및 4의 경우에는 인장강도와 내열성 또는 신율과 성형성이 불량하다. 또한, 중층에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 중 2종만 포함하는 비교예 5 및 6의 경우에도 필름의 물성이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외층, 중층 및 내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이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 접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층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은 15:42.5:42.5 내지 50:25:25의 혼합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내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은 상기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접착 강도가 0.5 kgf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MD 방향에서 120 kgf/cm3 이상이고, TD 방향에서 70 kgf/cm3 이상이고, 신율은 MD 450% 이상 및 TD 600% 이상의 물성을 갖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 접착용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것인, 알루미늄 증착 필름 접착용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내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 98 내지 99.5 중량% 및 탄산칼슘계 블로킹방지제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 접착용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말레인산 무수물은 DSC상 녹는점이 140 내지 152℃인, 알루미늄 증착 필름 접착용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6. 삭제
KR1020180004359A 2018-01-12 2018-01-12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KR10212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59A KR102127555B1 (ko) 2018-01-12 2018-01-12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59A KR102127555B1 (ko) 2018-01-12 2018-01-12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59A KR20190086159A (ko) 2019-07-22
KR102127555B1 true KR102127555B1 (ko) 2020-06-29

Family

ID=6746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359A KR102127555B1 (ko) 2018-01-12 2018-01-12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20A1 (ko) * 2021-01-29 2022-08-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튼형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667B1 (ko) * 2016-01-25 2018-09-12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이차전지 파우치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20A1 (ko) * 2021-01-29 2022-08-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튼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59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6829B1 (en) High moisture barrier films
US4939009A (en) Multilayered sheets having excellent adhesion
US20010008694A1 (en) Highly oriented fluoropolymer films
US20090053513A1 (en) High-strength polypropylene-base barrier film for packing purposes,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the use thereof
US5945221A (en) Biaxial orientation of fluoropolymer films
AU2001268665A1 (en) High moisture barrier films
JPH03138145A (ja) 延伸ラミネートフィルム
US4335175A (en) Thermoplastic film laminates
CN103946018B (zh) 金属化的聚乙烯层压体
AU3484397A (en) Multilayer polyamide film structures
KR102127555B1 (ko)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US6555242B2 (en) Longitudinally stretched, vacuum vapor coated packaging films
US11123964B2 (en) Film composition for paper thermal lamination application
EP1529634B1 (en) Cross laminated oriented plastic film with integral core
JP6331347B2 (ja) 発泡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発泡積層体
KR102127554B1 (ko)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JP2016190496A (ja) 発泡性積層体及び発泡加工紙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断熱容器
KR101159158B1 (ko) 친환경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960010450B1 (ko) 가스 및 수분 차단성이 향상된 포장용 다층필름
EP0622392A2 (en) Crystalline poly(alkylene carbonates)
EP1562746B1 (en) Heat shrinkable bioriented multilayer film with gas barrier properties
JP3650454B2 (ja) 多層延伸フィルムの製造法
IL297646A (en)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composite film, a multilayer composite film and its use
KR100500681B1 (ko) 고배향플루오로폴리머필름
EP0336024A1 (en) Heat sealable mutilayer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