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004B1 -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004B1
KR101620004B1 KR1020150184940A KR20150184940A KR101620004B1 KR 101620004 B1 KR101620004 B1 KR 101620004B1 KR 1020150184940 A KR1020150184940 A KR 1020150184940A KR 20150184940 A KR20150184940 A KR 20150184940A KR 101620004 B1 KR101620004 B1 KR 10162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osite film
film
polyethylen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Priority to KR102015018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1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 40 내지 70 중량%, 점착성 수지 5 내지 45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25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제1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제조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Composite film for automobile headliner}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의 적층 소재 중 액상 폴리우레탄 접착제, 유리섬유 및 부직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배리어성, 가스차단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장재 중 내부 천정에 사용되는 천정재는 자동차 내부 천정재 조립시 사용자에 의해서 관찰 가능한 표면에 해당하는 표피재와 자동차 내부 천정재 조립시 금속과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기재로 구분된다. 상기 표피재와 기재는 여러가지 소재들을 적층하여 프레스로 가열 및 가압하여 형상을 제조한다. 이 때, 상기 기재는 폴리우레탄 폼 상하부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 후 물을 스프레이하여 반응시키고, 상기 반응면에 유리섬유와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방식으로 성형 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성형 공정에서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성형시 외부로 새어나오지 아니하여야 하고, 유리섬유에 스며든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부직포와 접착되어야 한다. 즉, 성형시 물을 스프레이시켜 반응하여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외부로 새어나오게 되면 상부 또는 하부로 새어나온 물질은 성형 프레스에 부착되어 천정재 성형품의 탈형에 어려움이 있고, 꺾임, 파손, 오염 등의 제품 불량을 초래한다.
상기 여러가지 소재들 중 부직포는 물을 스프레이시켜 반응하여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스며든 유리섬유와 상호 접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와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유리섬유의 사이에 개재되는 필름이 요구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하부 또는 상부에 도포되는 양과 온도 차이에 따라 기재용 필름이 재질별 또는 기능별로 구분되는데 우레탄 접착제가 60g/㎡ 미만이거나 프레스 온도가 140℃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 올레핀 복합접착필름이 사용되고, 우레탄 접착제가 60g/㎡ 이상이거나 프레스 온도가 140℃ 이상일 경우에는 나일론 복합접착필름이 사용된다.
본 출원인은 상기 나일론 복합접착필름과 관련하여 자동차 내장재용 필름 및 제조방법에 대한 다수의 발명을 제안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87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 내장재용 다층 공압출 필름은 공압출 필름을 이용한 프레스 성형시 폴리우레탄계 발포시트 및 내장재용 기재와의 충분한 접착 성능을 가진다는 이점은 있으나, 폴리우레탄 접착제 물 혼합품이 외부로 새어나오는 현상과 관련된 배리어성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768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압출 방식을 이용한 상향식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방법은 중층에 나일론을 포함하는 복합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나,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 유리섬유 및 부직포를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으로 구성할 때 상호 접착성 및 기능성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83877 B KR 10-1527687 B
본 발명의 목적은 배리어성, 가스차단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상 폴리우레탄 접착제, 유리섬유 및 부직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폴리올레핀 1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 40 내지 70 중량%, 점착성 수지 5 내지 45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25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제1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부텐-1, 폴리-펜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헥센,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펜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는 코로나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 표면 전압 220V 및 로드 전류 18A의 조건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6/66 공중합체, 나일론 6/66/12 공중합체, 나일론 6/12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46 및 메톡시메틸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성 수지는 에틸렌아크릴산(EAA),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에틸렌 옥텐/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석유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층은 제1층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블로킹 방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층은 제3층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블로킹 방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슬립제, 탈크, 탄산칼슘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66 공중합체, 나일론 6/66/12 공중합체 및 나일론 6/12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선택되고, 멜트인덱스(MI) 1 내지 10 g/10min 및 상대점도 3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층 및 제3층의 두께는 10 내지 30㎛이고, 제2층의 두께는 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저면에 접착되는 제1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부직포는 20 내지 100 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제3층과 제1 부직포는 온도 90 내지 150℃, 압력 1kgf 내지 20kgf 및 가압시간 20 내지 180초의 조건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배리어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유리섬유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리섬유층은 40 내지 150 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고, 상기 제1 유리섬유층의 유리섬유의 직경은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1 유리섬유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제1층, 제1 유리섬유층 및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은 온도 90 내지 150℃, 압력 1kgf 내지 20kgf 및 가압시간 20 내지 180초의 조건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은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물을 스프레이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유리섬유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2 유리섬유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필름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부텐-1, 폴리-펜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헥센,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펜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접착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2 부직포의 상면에 형성되는 표피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피재층은 열가소성수지 필름; 및 상기 열가소성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3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리어성, 가스차단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액상 폴리우레탄 접착제, 유리섬유 및 부직포에 대한 접착성이 얇은 두께를 가지는 필름으로도 기능성이 부여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배리어 필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배리어 필름, 제1 부직포, 제1 유리섬유층,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및 경질 폴리우레탄 폼이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배리어 필름, 제1 부직포, 제1 유리섬유층,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제2 유리섬유층, 접착필름 및 제2 부직포가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기재층 및 표피재층이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기술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하, 도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배리어 필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리어 필름(100)은 폴리올레핀 1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110); 상기 제1층(110)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2층(120); 및 상기 제2층(120)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 40 내지 70 중량%, 점착성 수지 5 내지 45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25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리어 필름(100)의 제1층(110)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방전처리는 코로나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 표면 전압 220V 및 로드 전류 18A의 조건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층(110) 및 제3층(130)의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부텐-1, 폴리-펜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헥센,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펜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층(120)의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66 공중합체, 나일론 6/66/12 공중합체, 나일론 6/12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46 및 메톡시메틸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66 공중합체, 나일론 6/66/12 공중합체 및 나일론 6/12 공중합체 각각을 사용하거나,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66 공중합체, 나일론 6/66/12 공중합체 및 나일론 6/12 공중합체를 혼합 사용 가능하고, 멜트인덱스(MI, 규격: ASTM D1238, 측정온도: 230℃) 1 내지 10 g/10min 및 상대 점도(Relative viscosity, 규격: JIS K6810) 3 내지 4.5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제3층(130)의 점착성 수지는 에틸렌아크릴산(EAA),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에틸렌 옥텐/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석유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층(110) 및 제3층(130)은 기능성 강화를 위해 각각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블로킹 방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슬립제, 탈크, 탄산칼슘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층(110) 및 제3층(130)의 두께는 10 내지 30㎛이고, 제2층(120)의 두께는 3 내지 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착성이 얇은 두께를 가지는 필름으로도 기능성이 부여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을 제공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배리어 필름, 제1 부직포, 제1 유리섬유층,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및 경질 폴리우레탄 폼이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배리어 필름(100), 상기 배리어 필름(100)의 저면에 접착되는 제1 부직포(210), 상기 배리어 필름(10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유리섬유층(220),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230) 및 경질 폴리우레탄 폼(240)으로 이루어진 기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직포(210)는 20 내지 100 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리어 필름(110)의 제3층(130)과 제1 부직포(210)는 온도 90 내지 150℃, 압력 1kgf 내지 20kgf 및 가압시간 20 내지 180초의 조건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리섬유층(220)은 40 내지 150 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고, 상기 제1 유리섬유층의 유리섬유의 직경은 10 내지 3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리어 필름(100)의 제1층(110), 제1 유리섬유층(220) 및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230)은 온도 90 내지 150℃, 압력 1kgf 내지 20kgf 및 가압시간 20 내지 180초의 조건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230)은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물을 스프레이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배리어 필름, 제1 부직포, 제1 유리섬유층,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제2 유리섬유층, 접착필름 및 제2 부직포가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기재층은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으나, 경질 폴리우레탄 폼(240)의 상면에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250), 제2 유리섬유층(260), 접착필름(270) 및 제2 부직포(280)를 추가적으로 적층하여 기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필름(270)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부텐-1, 폴리-펜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헥센,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펜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필름(270)을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구성할 경우 가스 차단성도 우수한 배리어 필름(100)에 의해 차단된 가스가 접착필름(27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기재층 및 표피재층이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리어 필름(100), 제1 부직포(210), 제1 유리섬유층(220),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230), 경질 폴리우레탄 폼(240),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250), 제2 유리섬유층(260), 접착필름(270) 및 제2 부직포(280)로 이루어진 기재층의 상면에 표피재층(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피재층(300)은 자동차 헤드라이너의 외부 표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열가소성수지 필름(310) 및 상기 열가소성 필름(3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3 부직포(32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접착성 및 배리어성의 실험 결과를 상세히 기술한다.
1.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제1층용 조성물은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9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10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2층용 조성물은 나일론 6(밀도: 1.14g/㎤, MI: 7.5g/10min; 상대점도: 3.5) 100g을 사용하였으며, 제3층용 조성물은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7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5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25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제1층용 조성물, 제2층용 조성물 및 제3층용 조성물을 3층의 상향 인플레이션 필름성형기를 이용하여 다층 공압출 필름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층용 조성물, 제2층용 조성물 및 제3층용 조성물을 240℃의 조건에서 3대의 일축압출기(직경 60㎜)에 각각 공급한 후 230℃의 온도로 압출하고, 230℃의 조건에서 다이스(Dies)를 통과시켜 제1층, 제2층 및 제3층으로 구성된 3층 공압출 필름을 제조한 후 상기 제1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기(송원전기제조, Corona surface voltage 220V, Load-adj 0~10, Load-current 0~25A, 처리바 2.0m)를 이용하여 Load-adj 9, Load-Current 18A 및 처리바 2.0m의 조건에서 방전 처리하였다.
실시예 2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7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30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6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2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20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5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50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5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3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20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4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3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70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4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4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20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5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1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90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4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45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15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92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8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3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45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25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94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6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8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5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15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8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92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65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3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5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6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94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42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17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8g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5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9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10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1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8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10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제1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6
제1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1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90g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제3층용 조성물로 폴리에틸렌(밀도: 0.92g/㎤, MI: 1g/10min) 30g, 에틸비닐아세테이트(밀도: 0.95g/㎤, MI: 6g/10min) 60g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밀도: 0.92g/㎤, MI: 10g/10min) 10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제1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6의 조성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1
Figure 112015126374430-pat00001
2. 접착성(박리 강도) 실험 결과
가.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와 제1층의 접착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필름을 15cm×15cm의 시편으로 각각 제작하고,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상부면에 수용성 폴리우레탄 50g과 물 50g을 혼입한 후 상기 혼입된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상부면에 상기 시편의 제1층을 소형 열프레스(110℃; 2kgf 압력)로 부착하였다. 수용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제1층의 박리강도는 MS 361-16 규격에 의해 실시하였고, 측정기기는 만능재료시험기(Promate TMM2D, 50kgf, (주)기베이엔티)를 사용하였다.
나. 부직포와 제3층의 접착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필름을 15cm×15cm의 시편으로 각각 제작하고,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상부면에 형성된 부직포의 상부면에 상기 시편의 제3층을 소형 열프레스(110℃; 2kgf 압력)로 부착하였다. 부직포에 대한 제3층의 박리강도는 MS 361-16 규격에 의해 실시하였고, 측정기기는 만능재료시험기(Promate TMM2D, 50kgf, (주)기베이엔티)를 사용하였다.
다. 제1층과 제3층의 접착성 실험 결과
상기 수용성 폴리우레탄과 제1층의 박리강도; 및 부직포와 제3층의 박리강도의 실험 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2
Figure 112015126374430-pat00002
N/D: 소재파괴 측정불가(박리강도 매우 우수)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수용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제1층의 박리강도는 N/D(소재파괴로 인한 측정불가)로 박리강도가 매우 우수하였고, 실시예 1 내지 5의 부직포에 대한 제3층의 박리강도도 N/D(소재파괴로 인한 측정불가)로 박리강도가 매우 우수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2의 수용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제1층의 박리강도는 각각 2.8 N/2.5cm 및 1.6 N/2.5cm로 매우 불량하였고, 비교예 1의 부직포에 대한 제3층의 박리강도는 매우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2의 부직포에 대한 제3층의 박리강도는 3.6 N/2.5cm로 불량하였다. 비교예 3 및 4의 수용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제1층의 박리강도는 매우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3 및 4의 부직포에 대한 제3층의 박리강도는 각각 2.1 N/2.5cm 및 1.8 N/2.5cm로 매우 불량하였다. 또한, 비교예 5 및 6은 제1층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지 아니한 것으로, 부직포에 대한 제3층의 박리강도는 매우 우수하였으나, 수용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제1층의 박리강도가 각각 0.9 N/2.5cm 및 0.3 N/2.5cm로 매우 불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범위에 따른 제1층 및 제3층은 각각 수용성 폴리우레탄 및 부직포에 대하여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나,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른 제1층 및 제3층은 각각 수용성 폴리우레탄 또는 부직포 중 하나에 대해서만 접착성이 우수하거나 모두 접착성이 불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배리어성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필름을 15cm×15cm의 시편으로 각각 제작하고,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상부면에 수용성 폴리우레탄 50g과 물 50g을 혼입한 후 상기 혼입된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상부면에 상기 시편의 제1층을 소형 열프레스(상부 및 하부 프레스 온도 140℃; 2kgf 압력; 가압시간 40초)로 가압하여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외부로 새어나오는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5의 복합필름 시편은 외부로 글루가 새어나오지 아니하여 탈형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배리어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1 내지 6은 내열 사이클 테스트에서 박리 발생되어 불량이 발생하였다.
4. 내열성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6의 복합필름을 15cm×15cm의 시편으로 각각 제작하고,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상부면에 수용성 폴리우레탄 50g과 물 50g을 혼입한 후 상기 혼입된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상부면에 상기 시편의 제1층을 부착하고, 상기 복합필름의 제3층의 표면에는 부직포를 부착한 후 소형 열프레스(110℃; 2kgf 압력)로 가압하여 복합필름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시편을 천정재 성형품으로 제작하여 자동차 Spec (MS 201 05) 기준으로 90℃ 조건에서 3일 동안 상기 천정재 성형품을 방치한 후 박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5는 표면 박리가 발생하지 아니하여 내열성이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1 내지 6은 표면 박리가 발생하여 내열성이 우수하지 아니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폴리올레핀 1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폴리올레핀 40 내지 70 중량%, 점착성 수지 5 내지 45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25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제조되는 경우 수용성 폴리우레탄과 부직포 모두에 대한 접착성, 배리어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배리어 필름
110: 제1층
120: 제2층
130: 제3층
210: 제1 부직포
220: 제1 유리섬유층
230: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240: 경질 폴리우레탄 폼
250: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260: 제2 유리섬유층
270: 접착필름
280: 제2 부직포
300: 표피재층
310: 열가소성수지 필름
320: 제3 부직포

Claims (27)

  1. 폴리올레핀 1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 40 내지 70 중량%, 점착성 수지 5 내지 45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25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제1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제조되며, 상기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66 공중합체, 나일론 6/66/12 공중합체 및 나일론 6/12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단독 또는 혼합하여 선택되고 멜트인덱스(MI) 1 내지 10 g/10min 및 상대점도 3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부텐-1, 폴리-펜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헥센,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펜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는 코로나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 표면 전압 220V 및 로드 전류 18A의 조건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수지는 에틸렌아크릴산(EAA),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에틸렌 옥텐/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석유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제1층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블로킹 방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은 제3층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블로킹 방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슬립제, 탈크, 탄산칼슘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3층의 두께는 10 내지 30㎛이고, 제2층의 두께는 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저면에 접착되는 제1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직포는 20 내지 100 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제3층과 제1 부직포는 온도 90 내지 150℃, 압력 1kgf 내지 20kgf 및 가압시간 20 내지 180초의 조건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배리어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유리섬유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섬유층은 40 내지 150 g/㎡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고, 상기 제1 유리섬유층의 유리섬유의 직경은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1 유리섬유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제1층, 제1 유리섬유층 및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은 온도 90 내지 150℃, 압력 1kgf 내지 20kgf 및 가압시간 20 내지 180초의 조건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은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물을 스프레이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1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2 수용화된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유리섬유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2 유리섬유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부텐-1, 폴리-펜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헥센,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부텐 코폴리머, 에틸렌-펜텐 코폴리머,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접착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은 상기 제2 부직포의 상면에 형성되는 표피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재층은 열가소성수지 필름; 및
    상기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3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KR1020150184940A 2015-12-23 2015-12-23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KR10162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40A KR101620004B1 (ko) 2015-12-23 2015-12-23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40A KR101620004B1 (ko) 2015-12-23 2015-12-23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004B1 true KR101620004B1 (ko) 2016-05-11

Family

ID=5602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940A KR101620004B1 (ko) 2015-12-23 2015-12-23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0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763B1 (ko) * 2016-05-30 2017-06-16 유기현 자동차 내장재용 우레탄 발포에 적용하는 보호필름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CN109294455A (zh) * 2018-09-04 2019-02-01 江苏鹿山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封装材料用复合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
KR20190086158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CN110483990A (zh) * 2019-08-10 2019-11-22 厦门金沐实业有限公司 一种超高频有源rfid物联网扎带电子标签用超韧尼龙66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073524A (zh) * 2019-12-27 2020-04-28 上海邦中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pu泡棉用粘接树脂及其制备方法
CN112812707A (zh) * 2021-01-25 2021-05-18 黄山贝诺科技有限公司 一种铝塑板用高粘接性热熔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77B1 (ko) 2013-08-30 2015-01-16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자동차 내장재용 다층 공압출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77B1 (ko) 2013-08-30 2015-01-16 주식회사 삼성그라테크 자동차 내장재용 다층 공압출 필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763B1 (ko) * 2016-05-30 2017-06-16 유기현 자동차 내장재용 우레탄 발포에 적용하는 보호필름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KR20190086158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KR102127554B1 (ko) * 2018-01-12 2020-06-29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CN109294455A (zh) * 2018-09-04 2019-02-01 江苏鹿山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封装材料用复合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
CN109294455B (zh) * 2018-09-04 2021-11-23 江苏鹿山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太阳能封装材料用复合封装胶膜及其制备方法
CN110483990A (zh) * 2019-08-10 2019-11-22 厦门金沐实业有限公司 一种超高频有源rfid物联网扎带电子标签用超韧尼龙66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073524A (zh) * 2019-12-27 2020-04-28 上海邦中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pu泡棉用粘接树脂及其制备方法
CN112812707A (zh) * 2021-01-25 2021-05-18 黄山贝诺科技有限公司 一种铝塑板用高粘接性热熔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004B1 (ko)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US11577488B2 (en) Composite structure for an airbag cover, and sewn product of the composite structure
CN101939230A (zh) 用于热封用袋体构成构件的多孔膜、热封用袋体构成构件及一次性怀炉
EP0434411B1 (en) Laminates of soft polymeric layers and their production
JP2016155344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発泡体を用いてなる積層体及び、自動車内装材
EP3431562B1 (en) Thermoplastic adhesive film
US20230114773A1 (en) Composite structure for an airbag cover, and sewn product of the composite structure
CN102639319B (zh) 多层不透明膜、包括这样的膜的制品和它们的用途
EP3287276A1 (en) Reactive polyolefin hot-melt adhesive with lower reactivation temperature and use thereof in deep draw vacuum lamination
KR20170095917A (ko) 장벽 층을 갖는 접착제 용품
JP6882617B1 (ja)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当該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6773798B2 (en) Polyolefin foam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002940B1 (ko)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US20120318253A1 (en) Porous film for bag-constituting member and bag-constituting member for disposable body warmer
JP6141648B2 (ja) 表皮用積層フィルム
KR101911538B1 (ko) 친환경 핫멜트 접착필름
JPH05147175A (ja) 自動車内装用材料
WO1999064533A1 (en) Multilayer adhesive film
JP3095278B2 (ja) 積層材料
EP4023728A1 (en) Hot-melt adhesive sheet
JP6681824B2 (ja)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RU2810676C1 (ru) Переводная пленка для переноса покровны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детали
JP3225359U (ja) 熱接着フィルム
JP3086327B2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60567A (ja) 樹脂成形品用補強シート、樹脂成形品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