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940B1 -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 Google Patents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940B1
KR102002940B1 KR1020180010091A KR20180010091A KR102002940B1 KR 102002940 B1 KR102002940 B1 KR 102002940B1 KR 1020180010091 A KR1020180010091 A KR 1020180010091A KR 20180010091 A KR20180010091 A KR 20180010091A KR 102002940 B1 KR102002940 B1 KR 10200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eco
adhesive layer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점순
류승우
함진수
최재민
선우예림
차동환
윤광중
Original Assignee
(주)두올
(주)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올, (주)휴비스 filed Critical (주)두올
Priority to KR102018001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C09J2201/36
    • C09J2201/61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융점 100∼120℃인 올레핀 블렌드 수지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1접착층, 융점 60∼70℃인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2접착층 및 카본블랙이 첨가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로 상기 보호필름층에 의해 제2접착층과의 층간 박리가 우수하고, 70℃ 이하의 저온에서 접착이 가능하므로, 기재층의 제조 후 남은 잠열로도 접착이 가능한 접착필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이 적용된 자동차 내장재용도의 각종 접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ECO-FRIENDLY HOT MELT TYPE HEAT ADHESIVE FILM AND ADHESIVE MOLDING ARTICLES FOR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융점 100∼120℃인 올레핀 블렌드 수지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1접착층, 융점 60∼70℃인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2접착층 및 카본블랙이 첨가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이며 70℃ 이하의 저온에서 접착이 가능하여, 기재층의 제조 후 남은 잠열로도 접착이 가능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70℃ 이하의 저온에서 층간 접착에 유용한 저온접착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자동차 대두에 따라, 자동차 소재 또한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그 일환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소재는 연소 시 시안화가스 등의 유해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환경 소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폴리에스테르 강성펠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소재 등 소재의 다양화로 다양한 소재와의 접착력이 필요하다.
그 일례로 자동차의 내장재는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카페트, 트렁크, 패키지 트레이 등의 흡차음재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때 흡음 소재인 폴리우레탄 폼을 자동차 내장재 소재에 적층시켜 제조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접착 성분이 필요한데 기존에는 주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가 사용되어 왔다.
대한민국특허 제193692호에는 제1고분자수지층과 제2고분자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기 제1고분자수지층이 반복단위 중의 산성분이 80 내지 90중량%의 테레프탈산과 10 내지 20중량%의 이소프탈산으로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되어 있고, 상기 제2고분자수지층이 반복단위 중의 산성분이 테레프탈산인 폴리에스테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고분자수지층에 대한 상기 제1고분자수지층의 복굴절률비(제1고분자수지층의 복굴절율/제2고분자수지층의 복굴절율)가 10% 이하인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 소개되어 있다.
기존의 자동차 내장재 흡음 소재는 폴리우레탄 폼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합지된 원단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원단과 흡음 소재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180℃ 이상의 오븐에서 부직포 원단을 가열시켜 접착한 후, 이를 냉각 금형을 통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흡차음 복합형 카페트를 제작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등의 올레핀계 접착필름은 소재의 융점이 100℃ 이상이기 때문에 성형 전 부직포 펠트 원단을 오븐에서 가열 후 꺼낸 부직포의 잠열에 의한 접착이 불가능한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저온에서의 접착이 가능한 저융점 접착필름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 제1620004호에는 폴리올레핀 1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90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제2층; 및 상기 제2층의 저면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 40 내지 70 중량%, 점착성 수지 5 내지 45 중량% 및 폴리에틸렌-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5 내지 25 중량%가 혼합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3층;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필름의 제1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여 제조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흡차음 복합형 카페트는 폴리에틸렌(PE)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코팅면에 접착필름이 접착되는 공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카페트는 코팅층으로 인해 기공이 모두 막혀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흡음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흡음성이 개선된 고강성 폴리에스테르 펠트에 대한 70℃ 이하에서의 저온접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고강성 폴리에스테르 펠트를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저온에서의 접착이 가능한 저융점 접착필름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결과, 융점 100∼120℃인 올레핀 블렌드 수지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1접착층, 융점 60∼70℃인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제2접착층 및 카본블랙이 첨가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제공하고,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이 보호필름층에 의해 제2접착층과의 층간 박리가 우수하고, 70℃ 이하에서도 일정한 접착력 및 자기소화성 수준의 난연성을 구현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자동차 내장재용도의 각종 접착부재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70℃ 이하에서도 일정한 접착력을 가지는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이 적용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융점 100∼120℃인 올레핀 블렌드 수지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유된 제1접착층, 융점이 60∼70℃인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유된 제2접착층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카본블랙이 첨가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층이 순차 적층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접착층과 보호필름층간의 박리강도가 0.02kgf/in 미만인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접착층이 70℃ 이하의 온도에서 2.0 내지 4.0kgf/in 접착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상기 제1접착층 및 제2접착층에 난연제 6 내지 8 중량%가 함유되어, 연소 시 자기소화성 내지 80mm/분 미만의 연소성이 구현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제1접착층, 제2접착층 및 보호필름층이 순차 적층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이 적용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제2접착층에, 폴리우레탄폼, 고강성(HS) 펠트,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및 신슐레이트(Thinsulate) 흡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재층이 적층되어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이 70℃ 이하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므로,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저온 접착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제2접착층과 기재층과의 접착력이 70℃ 이하의 온도에서 2.0 내지 4.0kgf/in을 유지하고, 상기 제2접착층과 기재층과의 풀림장력이 접착온도 70℃ 이하의 온도에서 0.5kgf 미만의 물성을 충족한다.
상기에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는 카페트부, 트렁크 트림부, 내장패널부 및 시트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70℃ 이하에서도 일정한 접착력을 가지는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제공함으로써, 기재층의 제조 후 남은 잠열로도 접착이 가능한 접착필름을 제공함에 따라 공정온도를 낮춰 공정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필름의 기재층과의 접착에 요구되는 온도를 낮춤으로써 제작공정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며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된 친환경적인 친환경 핫멜트 접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층간 박리가 우수하도록 보호필름층을 더 구비함으로써, 필름 풀림성을 개선하여 풀림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연제를 최적함량으로 함유하여 자기 소화성이 발현되는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는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카페트부, 트렁크 트림부, 내장패널부 및 시트부 등의 층간 접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연소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은 소재를 사용하고,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저온에서 접착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일례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이용한 흡차음 플로어카펫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융점 100∼120℃인 올레핀 블렌드 수지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유된 제1접착층(10),
융점이 60∼70℃인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유된 제2접착층(20)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카본블랙이 첨가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층(30)이 순차 적층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단면도로서, 제1접착층(10), 제2접착층(20) 및 보호필름층(30)이 순차 적층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모식적 단면도를 구조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일례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이용한 흡차음 플로어카펫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제2접착층(20)에, 폴리우레탄폼, 고강성(HS) 펠트,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및 신슐레이트(Thinsulate) 흡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재층(50)이 적층되어 결합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를 제공한다.
이때, 180℃ 이상의 오븐에서 기재층(50)을 가열시키고 남은 잠열로 상기 기재층(50)과 제2접착층(20)으로 구성된 접착필름을 용융시켜 열 접착시키는데, 실질적으로 오븐에서 가열 후 꺼낸 부직포의 잠열에 의해 접착필름에 전달되는 잠열 온도는 70℃ 이하로 매우 낮기 때문에 저온에서 접착필름의 접착력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층별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접착층(10)은 올레핀 블랜드 수지 또는 융점 100∼120℃ 수준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올레핀 블렌드 수지의 조성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5∼50중량%, 비닐아세테이트(VA) 18∼33중량%가 함유된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20∼40중량% 및 폴리에틸렌(PE) 30∼45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접착층(10)은 상기 폴리우레탄폼층(40)과 접착성이 좋고 상용성이 우수하며, 발포 접착 및 발포 온도와 압력으로 인한 누액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1접착층(10) 및 제2접착층(20)은 그 두께가 1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인 것이 필름 제조 및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에 있어서, 제2접착층(20)은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의 저온접착이 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에서 저온 접착이 가능한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접착층(20)의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인 디올(Diol)과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에 소프트 세그먼트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시켜 생성되되,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ylterephthalate, DMT),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및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MeTHPA)로 구성되며, 상기 디올은 1,4-부탄디올(Butane diol, BD)로 이루어진 디올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hylene glycol, PEG)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상기 제1접착층(10) 및 제2접착층(20)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난연제가 최적함량으로 함유됨으로써, 연소 시 자기소화성 내지 80mm/분 미만의 연소성을 구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접착층(10)은 융점 100∼120℃인 올레핀 블렌드 수지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제가 첨가된 수지이고, 상기 제2접착층(20)은 융점이 60∼70℃인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제가 첨가된 수지로 구성된다.
이때, 난연제는 난연성 및 냄새발생이 없는 인계 난연제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6 내지 8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다. 상기 난연제 함량이 6 중량% 미만이면, 난연성이 떨어지고, 반면에, 난연제 함량이 8중량%를 초과하면, 강성 부직포 펠트의 기재층(50)과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표 1].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상기 제1접착층(10) 및 제2접착층(20)에서 상기 제2접착층(20)에 보호필름층(30)을 순차 적층하여 완성한다.
즉, 상기 제2접착층(20)으로 융점이 60 내지 70℃ 수준이 저융점 올레핀 블렌드 수지를 사용할 경우, 강성 부직포 펠트의 기재층과의 저온 접착성이 불량하고, 특히 보호필름층(30)이 없을 경우, 필름 풀림성이 불량하여 풀림장력이 높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필름층(30)을 적용할 경우 저융점 올레핀 블렌드층과 보호필름층(30) 간 박리가 되지 않아 기재층(50)과의 저온 접착성이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필름층(30)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에 제2접착층(20)과 보호필름층(30)의 이형성을 높이기 위해 카본블랙(Carbon Black)을 첨가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카본블랙 함량은 보호필름층(30)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5중량%가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카본블랙 함유량으로 형성될 경우, 제2접착층(20)과 보호필름층(30)간의 박리강도가 0.02kgf/in 미만을 충족하므로 이형성이 우수하고, 반면에, 카본블랙을 첨가하지 않을 경우, 제2접착층(20)과의 이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표 1].
또한, 접착온도 70℃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제2접착층(20)의 접착력이 기재층(50)에 대하여, 2.0 내지 4.0kgf/in 접착력을 충족한다.
또한, 상기 제2접착층(20)의 접착력이 기재층(50)에 대하여, 풀림장력 0.5kgf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2kgf 이하를 충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T 다이 방식 또는 에어블로잉(Air blowing)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제1접착층(10), 제2접착층(20) 및 보호필름층(30)으로 구성된 3-Layer 필름은 T-Die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3-Layer를 동시에 제조하는 방식과, 제1접착층(10)과 제2접착층(20)을 제조한 그 위에 보호필름층(30)을 코팅형식으로 3-Layer로 제조하는 방식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1접착층(10), 제2접착층(20) 및 보호필름층(30)이 순차 적층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이 적용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70℃ 이하에서도 일정한 접착력을 가지는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이용하되,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제2접착층(20)에, 폴리우레탄폼, 고강성(HS) 펠트,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및 신슐레이트(Thinsulate) 흡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재층(50)이 적층되어 결합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이 70℃ 이하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므로,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저온 접착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의 제2접착층(20)과 기재층(50)과의 접착력이 70℃ 이하의 온도에서 2.0 내지 4.0kgf/in을 유지하고, 이때, 상기 제2접착층(20)의 접착력은 고강성 부직포 펠트 기재층(50)에 대해 접착온도가 70℃ 이하에서, 풀림장력이 0.5kgf 미만의 물성을 충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라 함은 플로우카펫, 플로우매트 및 바닥재를 포함하는 카페트부; 트렁크룸, 리어쉘프, 리어파셀, 리어팩케이지, 차량용 리드, 트렁크룸보드, 트렁크트림, 트렁크트림 대시보드, 패키지 트레이, 라기지보드를 포함하는 트렁크 트림부; 도어 패널, 내장트림, 내장패널, 인스트루먼트패널, 글로버박스, 필라트림, 이너라이닝, 루프라이닝, 도어라이닝, 인슐레이터 대시를 포함하는 내장패널부; 및 머리받침대, 헤드레스트, 시트백시트, 시트용프레임, 이너커버링를 포함하는 시트부;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일례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이용한 흡차음 플로어카펫의 모식적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접착층(10) 상에 폴리우레탄폼층(40)을 발포하고, 제2접착층(20) 아래에 기재층(50)인 고강성 부직포 펠트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와 함께 열가압 접착하는 공정으로 제조된다.
이때, 본 발명의 흡차음 플로어카펫의 성형은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상에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하여 흡음재를 제조하는 공정, 제조된 흡음재를 카페트용 부직포와 함께 성형하여 접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폼 몰드의 하부에 제1접착층(10), 제2접착층(20) 및 보호필름층(30)이 순차 적층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깔고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 후 경화시키면서 상기 접착필름과 폴리우레탄폼을 접착시켜 흡음재를 제조한다. 그 후, 18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시킨 고강성 부직포 펠트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기재층(50)을 준비한다. 저융점 필름 중 보호필름층(30)을 박리(제거)한 후, 제2접착층(20)이 위를 향하도록 바닥에 놓고 그 위에 가열시킨 상기 기재층(50)을 적층하고 프레스로 일정 압력으로 눌러서 흡차음 복합형 카펫 시트를 완성한다. 이때, 오븐에서 가열 후 꺼낸 기재층(50)의 잠열만으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기재층(50) 및 폴리우레탄폼층(40)이 열접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필름의 기재층(50)과 접착에 요구되는 온도를 낮춤으로써 제작공정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며, 필름 제조시 난연제를 첨가하여 자기소화성이 있는 흡차음 플로어카펫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하기 표 1과 같이 소재를 적용하여, 제1접착층(10), 제2접착층(20) 및 보호필름층(30)으로 구성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에어 블로잉(Air blowing)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하기 표 2와 같이 소재를 적용하여, 상기 실시예의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난연제 함량 및 제2 접착층 소재로 저융점 올레핀 블렌드를 사용하고, 보호필름 적용 유무에 차이가 있다.
<실험예 1> 물성측정
1. 접착력 측정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을 필름형상으로 시료를 제조하고, 보호필름을 박리한 후 강성부직포 펠트(기재)상에 필름을 적재 후 핫 프레스(Hot press)를 활용하여 압력 1kgf/㎠×10초의 조건으로 온도별 열 접착시킨 후 ASTM D 882(Tensile Testing of Thin Plastic Sheeting)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2. 필름 풀림성 측정
풀림장력으로 평가하되, 풀림장력 0.5kgf 미만이면, 풀림성 "양호", 풀림장력 0.5∼1.5kgf이면, "보통" 및 풀림장력 1.5kgf 이상이면, "불량"으로 분류하였다.
3. 연소성 측정
MS 300-08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38mm/분 미만이면, "자기소화성"으로 평가하고, 80mm/분 미만이면, "난연성 양호"로 분류하였다.
4. 보호필름 이형성 평가
박리강도로 평가하되, 박리강도 0.02kgf/in 미만이면, 이형성 "양호", 박리강도 0.02kgf/in 이상이면, 이형성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8009433530-pat00001
Figure 112018009433530-pat00002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난연제 함량이 6 내지 8중량%의 범위에서 벗어난 함량으로 층을 형성한 비교예 1(5중량%) 및 비교예 2(3중량%)의 접착필름의 경우, 연소 시 자기소화성이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보호필름층(30)에 카본블랙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3의 접착필름의 경우, 보호필름의 이형성이 저하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제2접착층(20)으로 저융점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되, 보호필름층(30) 적용하지 않았을 때는 에어 블로잉(Air blowing)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비교예 4의 접착필름의 경우, 필름 풀림성이 불량한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예 5에서는 비교예 4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즉, 필름 풀림성을 좋게 하기 위해 올레핀 수지를 보호필름층(30)으로 적용하는 경우 보호필름층(30)과 제2 접착층(20)이 동일 계열 조성물인 올레핀계로 구성되어 있어서, 보호필름층(30)의 박리강도가 커서 박리가 되지 않아 고강성 부직포 펠트인 기재층(50)과의 접착이 어렵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과 함량으로 최적화된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70℃ 이하에서도 일정한 접착력을 가짐에 따라, 고강성 부직포 펠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기재층(50)과 70℃ 이하의 저온에서 접착이 가능하므로, 기재층의 제조 후 남은 잠열로도 접착이 가능한 접착필름을 제공함에 따라 공정온도를 낮춰 공정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필름의 기재층과의 접착에 요구되는 온도를 낮춤으로써 제작공정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며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된 친환경적인 친환경 핫멜트 접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보호필름층(30)을 더 구비함으로써, 층간 박리가 우수하고, 필름 풀림성을 개선하여 풀림장력을 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은 난연제를 최적함량으로 함유하여 자기소화성이 발현되는 우수한 난연성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이 카페트부, 트렁크 트림부, 내장패널부 및 시트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자동차 내장재용도의 각종 접착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연소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은 소재를 사용하고, 별도의 접착제층 없이 저온에서 접착 가능한, 흡차음 플로우카펫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제1접착층 20: 제2접착층
30: 보호필름층 40: 폴리우레탄폼층
50: 기재층

Claims (9)

  1. 융점 100∼120℃인 올레핀 블렌드 수지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유된 제1접착층,
    융점이 60∼70℃인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함유된 제2접착층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카본블랙이 첨가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층이 순차 적층된, 70℃ 이하의 저온에서 접착이 가능한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과 보호필름층간의 박리강도가 0.02kgf/in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이 70℃ 이하의 온도에서 2.0 내지 4.0kgf/in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 및 제2접착층에 난연제 6 내지 8 중량%가 함유되어, 연소 시 자기소화성 내지 80mm/분 미만의 연소성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1접착층, 제2접착층 및 보호필름층이 순차 적층된, 70℃ 이하의 저온에서 접착이 가능한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이 적용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의 제2접착층에,
    폴리우레탄폼, 고강성(HS) 펠트,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및 신슐레이트(Thinsulate) 흡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재층이 적층되어 결합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의 제2접착층과 기재층과의 접착력이 70℃ 이하의 온도에서 2.0 내지 4.0kgf/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의 제2접착층과 기재층과의 풀림장력이 접착온도 70℃ 이하의 온도에서 0.5kgf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저융점 접착필름이 카페트부, 트렁크 트림부, 내장패널부 및 시트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KR1020180010091A 2018-01-26 2018-01-26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KR102002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91A KR102002940B1 (ko) 2018-01-26 2018-01-26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91A KR102002940B1 (ko) 2018-01-26 2018-01-26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940B1 true KR102002940B1 (ko) 2019-07-23

Family

ID=6743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091A KR102002940B1 (ko) 2018-01-26 2018-01-26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124B1 (ko) 2020-12-07 2021-03-04 (주)유니크라미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CN114222799A (zh) * 2019-08-15 2022-03-22 电化株式会社 粘着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908A (ja) * 1995-09-26 1997-03-31 Kurabo Ind Ltd 非通気性多層フィルム
JP2005532212A (ja) * 2002-07-01 2005-10-27 カーコースティクス テック センタ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遮音床敷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511082A (ja) * 2006-11-29 2010-04-08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ホットメルト接着剤からの成形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908A (ja) * 1995-09-26 1997-03-31 Kurabo Ind Ltd 非通気性多層フィルム
JP2005532212A (ja) * 2002-07-01 2005-10-27 カーコースティクス テック センタ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遮音床敷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511082A (ja) * 2006-11-29 2010-04-08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ホットメルト接着剤からの成形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2799A (zh) * 2019-08-15 2022-03-22 电化株式会社 粘着带
CN114222799B (zh) * 2019-08-15 2023-11-03 电化株式会社 粘着带
KR102223124B1 (ko) 2020-12-07 2021-03-04 (주)유니크라미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39373B2 (en)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films with a tie layer
ES2565218T3 (es) Artículo realizado en un material compuesto multicapa y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l mismo
TWI564333B (zh) 包括聚乙烯之熱塑性組成物及其製造與應用方法
KR102002940B1 (ko) 친환경 핫멜트 열 접착필름 및 그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접착부재
US20200215800A1 (en) Film laminate and Interior Trim Part for Motor Vehicles
KR101620004B1 (ko)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복합필름
US20170136732A1 (en) Film for Airbag Applications
US6552095B1 (en)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rmoplastic foam adhesive
CN113056367B (zh) 用于安全气囊盖的复合结构和复合结构的缝纫产品
JP5313914B2 (ja) 発泡カバーシートを備える熱可塑性フィルム
KR101911538B1 (ko) 친환경 핫멜트 접착필름
US20040259448A1 (en) Textile laminates
KR101849372B1 (ko) 높은 열 안정성을 지니는 패브릭 시트
KR102479933B1 (ko) 친환경 핫멜트 저융점 필름
KR101695187B1 (ko) 자동차 내장 트림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507100B1 (ko) 고접착성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JP7242689B2 (ja) 低融点ポリエステル樹脂を含むポリエステル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27554B1 (ko)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KR200166707Y1 (ko) 자동차 천정재
WO1999064533A1 (en) Multilayer adhesive film
KR102371056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0876A (ko) 자동차 트렁크 보드용 접착 필름
KR101992442B1 (ko) 누액방지 접착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KR101922803B1 (ko) 자동차 내장재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KR100658397B1 (ko) 자동차 내장용 기재의 보강 레이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의해 제조되는 자동차 내장용 기재의 보강 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