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969A -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969A
KR20190082969A KR1020197018416A KR20197018416A KR20190082969A KR 20190082969 A KR20190082969 A KR 20190082969A KR 1020197018416 A KR1020197018416 A KR 1020197018416A KR 20197018416 A KR20197018416 A KR 20197018416A KR 20190082969 A KR20190082969 A KR 20190082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ship
sequentially
control unit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619B1 (ko
Inventor
강 허우
마사히코 미야모토
타로 타카하시
마사하루 마니시
코코 츠치야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04N5/2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63B2059/025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pneumatic, e.g. infla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공기식 방현재가 압축될 때의 외형 상태를 순차 파악하면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선박(11a)과 선박(11b)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공기식 방현재(9)의 정면시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정면시 촬영 장치(2a) 또는 측면시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측면시 촬영 장치(2b)의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3)에 순차 입력하는 동시에 모니터(4)에 순차 표시하고,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3)가 공기식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이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 또는 허용 범위 외의 어디인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본 발명은 공기식 방현재(防舷材)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식 방현재가 압축될 때의 외형 상태를 순차 파악하면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식 방현재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방현재의 내부에 압력계 등의 계기를 배치하고, 이 계기에 의한 검지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여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접안하는 선박과 안벽(岸壁) 사이나, 선박과 선박 사이에 협지되어 압축 변형되어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외형 상태는 전혀 파악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공기식 방현재가 상정 외의 상태로 협지되어 있는지 아닌지, 이상 변형되어 손상되어 있는지 아닌지 등을 판단할 수 없다. 공기식 방현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 현장에서의 공기식 방현재의 외형 상태를 파악한 후에 대처하는 것이 유익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752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653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식 방현재가 압축될 때의 외형 상태를 순차 파악하면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박과 대상물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정면시(正面視)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정면시 촬영 장치 또는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측면시(側面視)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측면시 촬영 장치의 적어도 한쪽을 갖고, 상기 정면시 촬영 장치 또는 상기 측면시 촬영 장치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순차 입력되는 제어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가 순차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외형 변형량이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중인 공기식 방현재의 정면시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정면시 촬영 장치 또는 공기식 방현재의 측면시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측면시 촬영 장치의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에 표시한다. 그 때문에, 공기식 방현재가 압축될 때의 외형 상태를 모니터에 표시된 화상 데이터에 의해 안전하게 순차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공기식 방현재의 외형 변형량이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이 판단에 기초하여 적절한 대처를 함으로써 공기식 방현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적용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화살시(矢視) 도면이다.
도 4는 방현재의 기준 데이터를 방현재의 정면시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방현재의 기준 데이터를 방현재의 측면시로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정면시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방현재의 화상 데이터(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외의 경우)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측면시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방현재의 화상 데이터(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외의 경우)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정면시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방현재의 화상 데이터(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내의 경우)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측면시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방현재의 화상 데이터(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내의 경우)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1)이하, 시스템1)이라고 한다)은, 해상 등에서 사용되는 공기식 방현재9)이하, 방현재9)라고 한다)에 대하여 적용된다. 방현재9)는 원통부9a)의 양단에 반구상半球狀) 거울부9b)가 연접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선박11a)과 대상물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한쪽 선박11a)과 대상물이 되는 다른 선박11b) 사이에 방현재9)가 배치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큰 선박11a)에 상대적으로 작은 선박11b)이 접근할 때에, 선박11a)에 장비되어 있었던 복수의 방현재9)가 종렬(縱列)하여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된다. 선박(11a)과 각각의 방현재(9)는 가이 로프(guy rope)(1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시스템(1)은, 이 방현재(9)의 정면시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정면시 촬영 장치(2a) 및 방현재(9)의 측면시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측면시 촬영 장치(2b)와, 제어부(3)와, 모니터(4)를 구비하고 있다. 방현재(9)의 정면시란, 원통부(9a)의 통축(筒軸) 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시야이다. 방현재(9)의 측면시란, 원통부(9a)의 통축 방향과 거의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시야이다. 제어부(3)로서는 컴퓨터 등을 이용한다.
이 실시형태의 시스템(1)은 추가로 경고 장치(5)와, 선박(11a)과 선박(11b)과의 이격 거리(X)를 순차 검지하는 거리 센서(6)와, 방현재(9)의 내압(P)을 순차 검지하는 압력 센서(7)와, 방현재(9)의 내부 온도(T)를 순차 검지하는 온도 센서(8)를 갖고 있다. 경고 장치(5)로서는 경고등이나 경보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시스템(1)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한쪽 선박(11a)에 장비되어 있다. 제어부(3)나 모니터(4)는 조종실 등의 실내에 배치된다. 시스템(1)의 구성 요소의 대부분 또는 일부를 다른 쪽 선박(11b)에 장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시스템(1)의 구성 요소를 과장하여 실제보다도 크게 기재하고 있다.
정면시 촬영 장치(2a) 및 측면시 촬영 장치(2b)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제어부(3)에 순차 입력된다. 거리 센서(6), 압력 센서(7) 및 온도 센서(8)에 의한 검지 데이터도 각각 무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제어부(3)에 순차 입력된다. 모니터(4) 및 경고 장치(5)는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제어부(3)와 접속되어 있다.
정면시 촬영 장치(2a) 및 측면시 촬영 장치(2b)로서는,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을 이용한다. 하나의 방현재(9)에 대하여 정면시 촬영 장치(2a) 및 측면시 촬영 장치(2b)는 적어도 한쪽이 구비되어 있으면 좋다. 하나의 방현재(9)에 대하여 정면시 촬영 장치(2a), 측면시 촬영 장치(2b)는 각각 1대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대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현재(9)의 각각의 거울부(9b)를 촬영하기 위해 2대의 측면시 촬영 장치(2b)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정면시 촬영 장치(2a) 및 측면시 촬영 장치(2b)는 선박(11a)으로부터 돌출하는 아암부(12)에 부착되어 있다. 아암부(12)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정면시 촬영 장치(2a) 및 측면시 촬영 장치(2b)는 소망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아암부(12)는 선박에 대하여 탈착 자유자재 또는 절첩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로 함으로써, 이 시스템(1)을 가동시키지 않을 때는 아암부(12)를 선박에서 떼어 내거나, 또는 접어서 수납해 둘 수 있다.
모니터(4)에는 제어부(3)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순차 표시된다. 정면시 촬영 장치(2a) 및 측면시 촬영 장치(2b)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모니터(4)가 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어부(3)에 입력된 각각의 검지 데이터(이격 거리 데이터, 내압 데이터, 내부 온도 데이터)를 모니터(4)에 순차 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어부(3)에는, 규정내압으로 팽창하고 있어서 특별한 외력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중립 상태)의 방현재(9)의 외형 데이터(정면시 및 측면시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또한, 이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에 대하여, 허용 범위 내와 허용 범위 외의 경계가 되는 기준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기준 데이터로서는, 도 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9a)의 전장(全長)이 양측으로부터 협지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었던 상한의 외력으로 압압(押壓)된 경우의 정면시에서의 방현재(9)의 통축 방향의 길이(L)나 통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W)를 이용한다. 이 기준 데이터로 바꾸거나, 또는 이 기준 데이터에 더하여,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9a)의 전장이 양측으로부터 협지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었던 상한의 외력으로 압압된 경우의 측면시에서의 거울부(9b)의 장경(長徑)(Dx) 또는 단경(短徑)(Dm) 등을 이용한다.
다음에 이 시스템(1)에 의해 사용 중인 방현재(9)의 외형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해상의 소정 위치에 정박하고 있는 선박(11a)에 대하여 다른 선박(11b)이 근접하고, 더욱더 근접하면 방현재(9)는 선박(11a)과 선박(11b) 사이에 협지되어 압축 변형된다. 선박(11a)과 선박(11b)은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선박(11a)으로부터 다른 쪽 선박(11b)에, 예를 들어 원유 등의 화물(積荷)을 이재(移載)한다.
이 작업 공정에 있어서, 방현재(9)의 정면시 및 측면시의 외형을 각각 정면시 촬영 장치(2a), 측면시 촬영 장치(2b)에 의해 순차 촬영한다.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제어부(3)에 순차 입력되는 동시에 모니터(4)에 실시간으로 순차 표시된다.
제어부(3)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정면시에서의 방현재(9)의 통축 방향의 최대 길이(L1)나 통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 길이(W1), 측면시에서의 타원형으로 변형된 거울부(9b)의 장경(D1) 또는 단경(D2)을 순차 특정한다.
방현재(9)가 압축된 경우의 방현재(9)의 외형 변화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된다. 통축 방향 길이는 작아지고, 통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작아진다. 거울부(9b)의 바깥지름은, 거울부(9b)의 측면시가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커지는 부분(장경)과 작아지는 부분(단경)이 존재한다.
그래서 제어부(3)는, 화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방현재(9)의 외형 변화량이 허용 범위 내인지 허용 범위 외인지의 판단을 행한다. 도 6, 도 7에 예시하는 화상 데이터에서는, 통축 방향 길이(L1)가 기준 데이터의 길이(L)보다도 작고, 통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W1)가 기준 데이터의 길이(W)보다도 작고, 장경(D1)이 기준 데이터의 장경(Dx)보다도 크고, 단경(D2)이 기준 데이터의 단경(Dm)보다도 작아져 있다. 그 때문에,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된다.
방현재(9)의 외형 변화량이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는, 방현재(9)의 외형 변화량은 허용 범위 내라고 판단되게 된다. 도 8, 도 9에 예시하는 화상 데이터에서는, 통축 방향 길이(L1)가 기준 데이터의 길이(L)보다도 크고, 통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W1)가 기준 데이터의 길이(W)보다도 크고, 장경(D1)이 기준 데이터의 장경(Dx)보다도 작고, 단경(D2)이 기준 데이터의 단경(Dm)보다도 커지고 있다. 그 때문에,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내라고 판단된다.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통축 방향 길이(L1)가 기준 데이터의 길이(L)보다도 작은 경우, 통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W1)가 기준 데이터의 길이(W)보다도 작은 경우, 장경(D1)이 기준 데이터의 장경(Dx)보다도 큰 경우, 단경(D2)이 기준 데이터의 단경(Dm)보다도 작은 경우 모두가 적합할 때에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되는 설정으로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 가지 경우의 어느 한 가지 경우가 적합할 때에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되는 설정으로 할 수도, 어느 두 가지 경우가 적합할 때, 또는 어느 세 가지 경우가 적합할 때에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되는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에 의하면, 방현재(9)가 압축될 때의 외형 상태를 모니터(4)에 표시된 화상 데이터에 의해 안전하게 순차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화상 데이터를 봄으로써, 방현재(9)가 정상적으로 협지되어 압축 변형되어 있는지 아닌지, 국부적으로 압압되어 이상 변형되어 있는지 아닌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된 경우에, 선박(11a, 11b)끼리의 간격을 넓히는 등의 적절한 대처를 함으로써 방현재(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정면시 촬영 장치(2a)와 측면시 촬영 장치(2b)를 모두 구비하고 있다면, 한층 더 정밀도 좋게 방현재(9)가 압축될 때의 외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손상을 방지하는 데도 유리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방현재(9)의 표면에 원통부(9a)의 통축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재하는 육안 가능한 식별 라인(9L)이 부착되어 있다. 이 식별 라인(9L)을 지표로 함으로써, 압축 변형되어 있는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식별 라인(9L)은 형광색으로 하거나, 반사 재료를 함유시키는 등에 의해 시인성을 향상시키면 좋다. 통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식별 라인(9L) 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재하는 식별 라인(9L)의 적어도 한쪽을 갖고 있는 사양이라도 좋지만, 양쪽 식별 라인(9L)을 갖고 있으면,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방현재(9)의 외형 변화량(외형 상태)과, 선박(11a)과 선박(11b)과의 이격 거리(X)와, 방현재(9)의 내압(P)과, 방현재(9)의 내부 온도(T)에 대해서, 이들 파라미터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복수의 파라미터끼리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방현재(9)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내부 온도(T)와 방현재(9)의 외형 변화량과의 상관관계로부터 방현재(9)의 외형 변화량의 온도 의존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파악한 온도 의존성에 기초하여, 방현재(9)의 사용 환경 온도에 따라 상술한 기준 데이터를 변화시킴으로써, 방현재(9)의 사용 환경 온도마다 방현재(9)의 외형 변화량이 허용 범위 내인지 아닌지를 보다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격 거리(X)의 경시 변화에 기초하여 선박(11a, 11b)끼리의 근접 속도를 산출하고, 이 근접 속도와 방현재(9)의 외형 변화량과의 상관관계로부터 방현재(9)의 변형 속도(변형의 속도 의존성)를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파악한 변형 속도로부터 선박(11a, 11b)끼리의 적절한 근접 속도를 산출한다. 이 적절한 근접 속도를 준수함으로써, 방현재(9)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방현재(9)의 외형 변형량이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경고 장치(5)는 제어부(3)의 지시에 의해 경고를 발한다. 구체적으로는, 경고 장치(5)의 경고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또는, 사이렌 등의 경고음을 발한다. 이 경고에 의해, 현장의 작업자나 관리자 등에 대하여 방현재(9)가 과잉으로 압축 변형되어 있는 것을 알려서 주의를 환기시킨다.
변형량이 소정 시간 계속해서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경고 장치(5)가 선박(11a)과 선박(11b)과의 이격 거리(X)를 크게 하도록 경고를 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고에 따라 선박(11b)을 선박(11a)으로부터 약간 이격시키면, 방현재(9)의 압축 변형을 작게 하거나, 또는 압축 변형을 없앨 수 있다.
방현재(9)는 선박(11a)과 선박(11b) 사이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선박(11a)과 안벽 등의 대상물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시스템(1)의 구성 요소는 안벽 등에 설치하면 좋다.
1: 모니터링 시스템
2a: 정면시 촬영 장치
2b: 측면시 촬영 장치
3: 제어부
4: 모니터
5: 경고 장치
6: 거리 센서
7: 압력 센서
8: 온도 센서
9: 공기식 방현재
9a: 원통부
9b: 거울부
9L: 식별 라인
10: 가이 로프
11a, 11b: 선박
12: 아암부

Claims (7)

  1. 선박과 대상물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정면시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정면시 촬영 장치 또는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측면시의 외형을 순차 촬영하는 측면시 촬영 장치의 적어도 한쪽을 갖고, 상기 정면시 촬영 장치 또는 상기 측면시 촬영 장치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순차 입력되는 제어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가 순차 표시되는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외형 변형량이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과 상기 대상물과의 이격 거리를 순차 검지하는 거리 센서를 갖고, 이 거리 센서에 의한 검지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에 순차 입력되는 구성으로 한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량이 상기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의해 경고를 발하는 경고 장치를 구비한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량이 소정 시간 계속해서 상기 허용 범위 외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경고 장치에 의해 상기 선박과 상기 대상물과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하도록 경고를 발하는 구성으로 한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표면에 적어도 이 방현재의 통축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재하는 육안 가능한 식별 라인이 구비되어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내압을 순차 검지하는 압력 센서를 갖고, 이 압력 센서에 의한 검지 데이터가 순차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구성으로 한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식 방현재의 내부 온도를 순차 검지하는 온도 센서를 갖고, 이 온도 센서에 의한 검지 데이터가 순차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구성으로 한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7018416A 2017-02-07 2017-11-24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88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0301A JP7031122B2 (ja) 2017-02-07 2017-02-07 空気式防舷材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JP-P-2017-020301 2017-02-07
PCT/JP2017/042168 WO2018146907A1 (ja) 2017-02-07 2017-11-24 空気式防舷材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969A true KR20190082969A (ko) 2019-07-10
KR102188619B1 KR102188619B1 (ko) 2020-12-08

Family

ID=6310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416A KR102188619B1 (ko) 2017-02-07 2017-11-24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3648B2 (ko)
EP (1) EP3581480A4 (ko)
JP (1) JP7031122B2 (ko)
KR (1) KR102188619B1 (ko)
CN (1) CN110114267B (ko)
WO (1) WO20181469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982B1 (ko) * 2020-04-14 2021-02-10 김상오 선박충돌 완충장치
KR102464734B1 (ko) * 2022-04-12 2022-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박 접안용 펜더의 실시간 건전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9303B2 (ja) * 2017-04-19 2021-08-1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外観形状検査システム
WO2021132774A1 (ko) * 2019-12-27 2021-07-01 (주)화승엑스윌 인공지능형 공압식 방충재의 관리 시스템
JP2024062051A (ja) * 2022-10-24 2024-05-0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1054B2 (ja) * 2006-10-31 2009-02-12 横浜ゴム株式会社 操船および船舶係留支援方法並びにそのシステム
JP2010175298A (ja) 2009-01-27 2010-08-1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の空気圧監視装置及びその集中管理システム
JP2013065352A (ja) 2012-12-17 2013-04-1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の空気圧監視装置の集中管理システム
KR20160034997A (ko) * 2013-09-30 2016-03-3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세로형 공기식 방현재 및 그 감시 방법
JP5983922B2 (ja) * 2012-07-23 2016-09-06 横浜ゴム株式会社 船舶監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677A (ja) 2002-03-27 2003-10-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の離着桟支援装置
CN1285484C (zh) * 2004-01-19 2006-11-22 孙菊香 船用充气橡胶靠球及其生产工艺
JP2007022349A (ja) 2005-07-19 2007-02-01 Shipbuilding Research Centre Of Japan 船舶前方監視システム
JP4350797B1 (ja) 2009-05-20 2009-10-21 株式会社白海 バージ船押航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1123853A (ja) 2009-12-09 2011-06-23 Toshiaki Ono レーザー距離計とレーザーカメラを使用した艦船の海上衝突予防用補助監視装置
KR101271415B1 (ko) 2010-06-11 2013-06-05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식 방현재의 관리 시스템
EP2876032B1 (en) * 2012-07-23 2016-12-07 The Yokohama Rubber Co., Ltd. Ship monitoring device
JP5800151B2 (ja) * 2012-07-23 2015-10-28 横浜ゴム株式会社 船舶監視装置
JP5884719B2 (ja) * 2012-12-20 2016-03-1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ガイロープの張力検知システムおよび空気式防舷材
KR20150077278A (ko) * 2013-12-27 2015-07-07 니혼카이요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압 검출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압 감시장치
KR20150003058U (ko) * 2014-02-04 2015-08-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펜더장치
KR101703906B1 (ko) * 2015-01-22 2017-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관제 시스템 및 그것의 선박 관제 방법
US9598157B2 (en) * 2015-04-16 2017-03-21 Shmuel Sam Arditi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detangling and protection of automatic fender positioning systems
JP6531480B2 (ja) 2015-04-20 2019-06-19 横浜ゴム株式会社 横型空気式防舷材用の保護カバーおよび横型空気式防舷材並びに横型空気式防舷材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1054B2 (ja) * 2006-10-31 2009-02-12 横浜ゴム株式会社 操船および船舶係留支援方法並びにそのシステム
JP2010175298A (ja) 2009-01-27 2010-08-1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の空気圧監視装置及びその集中管理システム
JP5983922B2 (ja) * 2012-07-23 2016-09-06 横浜ゴム株式会社 船舶監視装置
JP2013065352A (ja) 2012-12-17 2013-04-1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の空気圧監視装置の集中管理システム
KR20160034997A (ko) * 2013-09-30 2016-03-3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세로형 공기식 방현재 및 그 감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982B1 (ko) * 2020-04-14 2021-02-10 김상오 선박충돌 완충장치
KR102464734B1 (ko) * 2022-04-12 2022-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박 접안용 펜더의 실시간 건전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1480A4 (en) 2020-12-09
WO2018146907A1 (ja) 2018-08-16
JP7031122B2 (ja) 2022-03-08
EP3581480A1 (en) 2019-12-18
CN110114267B (zh) 2022-04-19
CN110114267A (zh) 2019-08-09
KR102188619B1 (ko) 2020-12-08
JP2018127044A (ja) 2018-08-16
US20190352871A1 (en) 2019-11-21
US11053648B2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2969A (ko) 공기식 방현재의 모니터링 시스템
EP3553017B1 (en) Crane
CN108958097B (zh) 对分割监视区域得到的空间区域进行监视的监视装置
EP3297278B1 (en) Vehicular visual recognition device
WO2020049702A1 (ja) 喫水推定システム、喫水推定装置、情報送信装置、及び荷役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ITGE970013A1 (it) Dispositivo di segnalazione di condizioni di pericolo e/o di emergenza per immersioni subacquee.
KR20120033853A (ko) 선박 충돌 방지 및 인지 시스템
KR20150129427A (ko)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US20170106797A1 (en) Elctronic mirro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90263480A1 (en) Bow-mounted detecting system
CN111113374A (zh) 机器人系统
KR101358958B1 (ko) 실험대 안전 장치 및 실험대 감시 방법
JP4798346B2 (ja) 係船管理支援システム
JP6919303B2 (ja) 空気式防舷材の外観形状検査システム
JP6562722B2 (ja) 侵入監視装置及び侵入監視システム
KR102414515B1 (ko)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2516A (ko) 브릿지 윙이 없는 선박과 그 선박의 접안방법
WO2020179656A1 (ja) 運転者監視装置
KR20180012580A (ko)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운전자 상태 확인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90556A (ko) 차량의 시트 벨트 검출 방법 및 그 검출 장치
WO2021241386A1 (ja) 設備温度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68528A (ko) 자동 안전 제어 기능을 가지는 구난 장갑차
WO2024094885A1 (en) Anchor deployment and retrieval system for catamarans
US20190337477A1 (en) Airbag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089915A1 (ja) 空気式防舷材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