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515B1 -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515B1
KR102414515B1 KR1020150066072A KR20150066072A KR102414515B1 KR 102414515 B1 KR102414515 B1 KR 102414515B1 KR 1020150066072 A KR1020150066072 A KR 1020150066072A KR 20150066072 A KR20150066072 A KR 20150066072A KR 102414515 B1 KR102414515 B1 KR 10241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ship
color
monitoring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248A (ko
Inventor
김태형
권순도
김상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51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저에 부착된 해양생물의 변화에 따라 반응하는 칼라센서를 통해 해양생물의 부착량을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안벽에 계류중인 선박의 선저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감지하는 영상처리시스템;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 전원 연결되어 선박 표면의 색깔 변화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알려주는 램프시스템; 상기 램프시스템에서 처리된 정보를 전달받아 선저 면에 부착된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호선별 도료 데이터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 영상처리시스템의 칼라센서로 선박 표면의 색깔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칼라센서에서 감지된 색깔과 회전식 카메라에서 촬영된 선박 최초의 표면 색깔을 영상처리모듈부에서 비교하여 처리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램프시스템의 제어부에서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선박 표면의 색깔에 따라 통신모듈부에 전달하여 알람경보기로 알려주는 단계; 상기 램프시스템에서 처리된 정보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회전식 카메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MARINE MONITORING ALARM SYSTEM AND METHOD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저에 부착된 해양생물의 변화에 따라 반응하는 칼라센서를 통해 해양생물의 부착량을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난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해수 온도가 상승하여 선박의 선저에 해초나 물이끼, 패각류, 또는 따개비 등의 해양생물이 많이 부착하게 되었다.
이러한 해양생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선박의 속력이 느려지고 연료의 소모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선의 경우 선박의 속도는 아주 중요한 계약 조건이며, 이는 선박의 선저부에 해양생물이 얼마나 많이 붙어 있는가가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마다 해양생물이 선박의 선저부에 붙어 있는지 검사하여 선저 상태를 분석하고 청소 스케줄을 결정한 후, 청소 스케줄에 따라 선저 청소 로봇을 이용하여 선저 청소 작업을 수행한다.
기존에는 잠수부가 수작업으로 선저 상태를 확인하거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ROV(Remotely Operated Vehicle)를 이동시키면서 선저 영상을 촬영하여 선저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잠수부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선저 검사를 수행할 경우, 작업자가 선저면의 결함을 놓칠 수 있으며, 조류가 빠른 조건하에서는 작업이 곤란하며,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작업자가 ROV를 조종하여 선저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ROV의 조작이 어려워 숙련된 작업자가 아닐 경우 선저 검사 속도가 느려지고 인력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8052호(2012.08.08.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해양생물과 선박의 도료 색깔은 통상 다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료의 색깔은 바뀌게 되어 이런 색깔의 변화에 따라 반응하는 칼라센서를 부착하고 칼라센서가 감지하여 알람이 표시되면 사무실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자가 원격으로 접속하여 카메라를 통해 해양생물 부착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은, 안벽에 계류중인 선박의 선저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 전원 연결되어 선박 표면의 색깔 변화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알려주는 램프시스템; 상기 램프시스템에서 처리된 정보를 전달받아 선저 면에 부착된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은, 선박의 선저에 부착되어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부와,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칼라센서와,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식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에 설치되어 야간이나 어두운 해저 상태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영상처리시스템을 선박에 탈착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와 자석 사이에는 자석이 영상처리모듈부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볼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은 선박의 선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램프시스템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서 감지되어 처리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된 정보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으로 알려주는 통신모듈부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과 램프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부의 상부에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원격으로 알려주기 위한 무선통신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부의 상부에는 제어부의 제어된 신호에 따라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알람경보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경보기는 해양생물의 부착량에 따라 변화된 선박 표면의 색깔에 따라서 경고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램프시스템과 영상처리시스템에는 영상처리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선저 면을 영상 촬영하고 램프시스템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부와, 상기 모니터부에 표시된 화면을 보고 선박의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는 영상처리시스템의 회전식 카메라로 촬영한 선박 최초의 선저 면을 표시하는 원본표시와, 영상처리시스템의 칼라센서로 확인한 페인트 색을 표시하는 가변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방법은, 선박의 호선별 도료 데이터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 영상처리시스템의 칼라센서로 선박 표면의 색깔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칼라센서에서 감지된 색깔과 회전식 카메라에서 촬영된 선박 최초의 표면 색깔을 영상처리모듈부에서 비교하여 처리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램프시스템의 제어부에서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선박 표면의 색깔에 따라 통신모듈부에 전달하여 알람경보기로 알려주는 단계; 상기 램프시스템에서 처리된 정보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회전식 카메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램프시스템의 제어부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칼라센서의 오작동이나 램프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램프시스템의 상태와 칼라센서의 상태를 제어하며 회전식 카메라를 통해 실제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서 감지된 선저 표면의 색깔을 램프시스템에서 처리 시 모니터링 관리시스템과 램프시스템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어 한 대의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으로 다수의 선박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선박을 진수할 때 도크에서 시스템을 한 번 부착하고 나면 인도시까지 계속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탈부착 가능한 자석식이기 때문에 인도 후에도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과 케이블로 연결되는 램프시스템이 모니터링 관리시스템과 원격 조정의 무선 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관리자는 사무실에서 다수의 상선을 동시에 모니터로 선저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의 영상처리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모니터 화면 중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으로 선체 상황을 관찰한 자료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의 영상처리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모니터 화면 중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으로 선체 상황을 관찰한 자료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으로서, 영상처리시스템(100)과, 램프시스템(200)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은 안벽(20)에 계류중인 선박(10)의 선저(11)에 설치되어 선박(10) 표면에 달라붙는 해양생물(30)의 부착상태를 촬영하고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은 선박(10)의 선저(11)에 부착되는 영상처리모듈부(110)와, 상기 영상처리모듈부(1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칼라센서(120)와, 상기 영상처리모듈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식 카메라(130)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은 선박(10)의 선저(11)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은 대형 선박의 경우 선수 좌,우에 하나씩, 선미 좌,우에 하나씩 하여 총 4개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선박의 해양생물의 부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영상처리모듈부(110)는 선박(10)의 선저(11) 표면에 부착 감지된 해초나 물이끼, 패각류, 또는 따개비 등의 해양생물(30)이 얼마만큼 부착되어 있는지 영상 처리하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부(110)의 하부에는 선저(11) 면에서 영상처리모듈부(110)를 탈착시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석(140)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모듈부(110)와 자석(140) 사이에는 자석(140)이 영상처리모듈부(1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볼트(15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선박(10)의 선저(11) 면에 영상처리모듈부(110)가 부착되되 상기 자석(140)에 의해 영상처리모듈부(110)를 선박(10)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해양 조건에 따라 언제든지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선박(10)의 인도 후에도 다른 선박(10)에 부착하여 영상처리시스템(100)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부(110)의 외측에는 야간이나 어두운 해저 상태의 선저 표면을 영상처리시스템(100)의 칼라센서(120)와 회전식 카메라(130)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라이트(16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칼라센서(120)는 선박(10) 표면의 색깔 변화를 감지하여 선저(11) 면에 해양생물(30)의 부착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라센서(120)에서 선박(10) 표면의 색깔 변화가 감지되면 영상처리모듈부(110)에서 처리하여 램프시스템(200)으로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해양생물(30)은 최초의 선박(10)의 도료 색깔과는 다르므로 상기 칼라센서(120)를 부착하여 칼라센서(120)의 감지에 의해 영상처리모듈부(110)에서 색깔 변화가 감지되면 램프시스템(200)에 알람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회전식 카메라(130)는 영상처리모듈부(110)의 상부에 돔형으로 설치되면서 촬영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좌,우로 회전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식 카메라(130)의 회전수단은 이미 널리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의 영상처리시스템(100)은 항상 해저 면에 잠겨 있게 됨으로써 기기 내부에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기능은 필수적이다.
상기 램프시스템(200)은 영상처리시스템(100)과 케이블(C)로 연결되어 선박(10) 상부에 설치되며, 제어부(210)와, 통신모듈부(220)와, 전원부(23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영상처리시스템(100)의 칼라센서(120)와 회전식 카메라(130)에서 감지되고 촬영된 선박(10) 표면 상태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정보는 통신모듈부(220)로 전달되어지게 된다.
상기 통신모듈부(220)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정보를 전달받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부(220)의 상부에는 영상처리시스템(100)의 칼라센서(120)와 회전식 카메라(130)를 통해 감지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선박(10) 표면 상태를 제어부(210)에서 처리하고 통신모듈부(220)에서 전달받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으로 원격으로 알려주기 위한 무선통신안테나(2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부(220)에는 영상처리시스템(100)에서 올라온 정보를 제어부(210)에서 제어된 신호에 따라 선박(10)에 해양생물(30)이 얼마만큼 부착되었는지 선박(10) 표면 상태를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알람경보기(2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알람경보기(250)는 해양생물(30)의 부착량에 따라 변화된 선박(10) 표면의 색깔에 따라서 경고색을 변화시키게 된다.
즉, 해양생물(30)의 부착량만큼 변화된 선박(10) 표면의 색깔에 따라서 알람경보기(250)의 램프의 경고색도 변하게 되는데, 일 예로 도 10에서와 같이 FR-10일때는 선박(10) 표면에 해양생물(30)이 부착되지 않은 최초의 선박(10) 표면이며, FR-20, FR-30,...,FR-100으로 갈수록 선박(10) 표면에 해양생물(30)이 증가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FR-100에 가까울수록 청소가 꼭 필요한 경우에 적색등을 켜고 청소시기를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 전원부(230)는 영상처리시스템(100)과 램프시스템(2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은 램프시스템(200)의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정보를 통신모듈부(22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전달받아 선저(11) 표면에 부착된 해양생물(30)의 부착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에서 선저(11) 표면의 색깔을 감지하고 영상 촬영한 다음 램프시스템(200)에서 영상처리시스템(100)으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전달받아 무선 통신으로 선박(10) 표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부(310)와, 상기 모니터부(310)에 표시된 화면을 보고 선박(10)의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관리부(320)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모니터부(310)는 영상처리시스템(100)의 회전식 카메라(130)로 촬영한 안벽(20)에 계류중인 선박(10) 최초의 선저(11) 표면을 표시하는 원본표시(311)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의 칼라센서(120)로 감지된 선박(10) 표면의 도료 페인트 색을 표시하는 가변표시(312)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모니터부(310)에는 칼라센서(120)로 확인한 도료 페인트 색과 함께 선저(11) 표면에 부착된 해양생물(30)의 분포도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첨부된 도면 도 10의 선체 상황을 관찰한 자료를 통해 선저(11) 표면의 변화를 영상 처리하여 선저(11)에 부착된 해양생물(30)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방법으로서, 선박(10)의 호선별 도료 데이터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에 입력하는 단계(S100)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의 칼라센서(120)를 이용하여 선박(10) 표면의 색깔을 감지하는 단계(S200)와, 상기 칼라센서(120)에서 감지된 색깔과 회전식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선박(10) 최초의 표면 색깔을 영상처리시스템(100)에서 비교 처리하는 단계(S300)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에서 처리된 정보를 램프시스템(200)에서 처리하는 단계(S400)와, 상기 램프시스템(200)의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선박(10) 표면의 색깔에 따라 알람경보기(250)로 알려주는 단계(S500)와, 상기 램프시스템(200)에서 처리된 정보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회전식 카메라(130)로 확인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에서 선박(10) 표면의 색깔을 비교하여 처리하는 단계(S300)는, 상기 선박(10) 표면의 색깔을 칼라센서(120)를 통해 감지하고 칼라센서(120)에서 감지된 선박(10) 표면의 색깔과 회전식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선박(10) 최초의 표면 색깔을 영상처리모듈부(110)에서 비교하여 처리한 다음 램프시스템(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의 정보를 램프시스템(200)에서 처리하는 단계(S400)는, 상기 칼라센서(120)를 통해 선박(10) 표면의 색깔을 영상처리모듈부(110)에서 처리하게 되면 상기 램프시스템(200)의 제어부(210)에서 전달받아 처리하게 된다.
상기 알람경보기(250)로 알려주는 단계(S500)는,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으로부터 제어부(210)로 전달된 정보를 제어부(210)에서 제어하게 되면 상기 통신모듈부(220)에서 처리하여 선박(10) 표면의 색깔 변화에 따라 알람경보기(250)가 작동되면서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S600)는, 상기 램프시스템(200)과 원격으로 무선 접속되어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정보를 무선통신안테나(240)를 통해 관리부(320)로 전달받아 선박(10) 표면 상태를 모니터부(310)에서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S600)는, 상기 램프시스템(20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램프시스템(200)의 상태와 칼라센서(12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에서 원격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게 됨으로써 칼라센서(120)의 오작동이나 램프시스템(2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식 카메라(130)를 통해 실제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S600)는,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에서 감지된 선저(11) 표면의 색깔을 램프시스템(200)에서 처리 시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과 램프시스템(200)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램프시스템(200)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이 무선으로 원격 접속되어 한 명의 관리자가 한 대의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으로 다수의 선박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안벽(20)에 계류중인 선박(10)의 선저(11) 면에 칼라센서(120)와 회전식 카메라(130)가 설치된 영상처리시스템(100)을 설치하게 되어 상기 칼라센서(120)와 회전식 카메라(130)를 통해 선저(11) 표면의 색깔을 감지하고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은 자석(140)으로 선박(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선박(10)의 인도 후에도 영상처리시스템(100)을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에서 올라온 정보를 램프시스템(200)의 제어부(210)에서 제어하고 통신모듈부(220)에서 처리하여 미리 짜여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알람경보기(250)를 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처리시스템(100)은 칼라센서(120)를 통해 선박(10) 표면의 색깔을 감지하여 인공지능적으로 관리자에게 알람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는 모니터링 관리시스템(300)이 설치된 사무실에서 선박(10)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청소가 필요한지에 대해 기술하여 선박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선박 11 : 선저
20 : 안벽 30 : 해양생물
100 : 영상처리시스템 110 : 영상처리모듈부
120 : 칼라센서 130 : 회전식 카메라
140 : 자석 150 : 결합볼트
160 : 라이트 200 : 램프시스템
210 : 제어부 220 : 통신모듈부
230 : 전원부 240 : 무선통신안테나
250 : 알람경보기 300 :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310 : 모니터부 311 : 원본표시
312 : 가변표시 320 : 관리부
C : 케이블

Claims (18)

  1. 안벽에 계류중인 선박의 선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및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처리된 정보를 전달받아 선저 면에 부착된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은,
    선박의 선저에 부착되어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부; 및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칼라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영상처리시스템을 선박에 탈착시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의 상부에 돔형으로 설치되어 선체 표면 상태를 촬영하는 회전식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 전원 연결되어 선박 표면의 색깔 변화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알려주는 램프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램프시스템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의 칼라센서와 회전식 카메라에서 감지하고 촬영된 선박 표면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된 정보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알려주는 통신모듈부; 및
    상기 영상처리시스템과 램프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부의 상부에는 제어부의 제어된 신호에 따라 해양생물의 부착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알람경보기가 설치되며,
    상기 알람경보기는 해양생물의 부착량에 따라 변화된 선박 표면의 색깔에 따라서 경고색을 변화시키고,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은,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선저 면을 영상 촬영하고 램프시스템에서 처리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부에 표시된 화면을 보고 선박의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관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부는 영상처리시스템의 회전식 카메라로 촬영한 선박 최초의 선저 면을 표시하는 원본표시와, 영상처리시스템의 칼라센서로 확인한 페인트 색을 표시하는 가변표시를 포함하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에 설치되어 야간이나 어두운 해저 상태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모듈부와 자석 사이에는 자석이 영상처리모듈부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은 선박의 선저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부의 상부에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원격으로 알려주기 위한 무선통신안테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시스템과 영상처리시스템에는 영상처리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선박의 호선별 도료 데이터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
    영상처리시스템의 칼라센서로 선박 표면의 색깔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칼라센서에서 감지된 색깔과 회전식 카메라에서 촬영된 선박 최초의 표면 색깔을 영상처리모듈부에서 비교하여 처리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의 영상처리모듈부에서 처리된 정보를 램프시스템의 제어부에서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선박 표면의 색깔에 따라 통신모듈부에 전달하여 알람경보기로 알려주는 단계;
    상기 램프시스템에서 처리된 정보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회전식 카메라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램프시스템의 제어부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칼라센서의 오작동이나 램프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램프시스템의 상태와 칼라센서의 상태를 제어하며 회전식 카메라를 통해 실제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시스템에서 감지된 선저 표면의 색깔을 램프시스템에서 처리 시 모니터링 관리시스템과 램프시스템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어 한 대의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으로 다수의 선박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066072A 2015-05-12 2015-05-12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KR10241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072A KR102414515B1 (ko) 2015-05-12 2015-05-12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072A KR102414515B1 (ko) 2015-05-12 2015-05-12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248A KR20160133248A (ko) 2016-11-22
KR102414515B1 true KR102414515B1 (ko) 2022-06-29

Family

ID=5754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072A KR102414515B1 (ko) 2015-05-12 2015-05-12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56877T3 (es) * 2016-12-21 2021-09-28 Ericsson Telefon Ab L M Dispositivos y métodos para indicar un factor externo en el casco de un barco
KR102119580B1 (ko) * 2019-05-17 2020-06-05 주식회사 우리선박테크 스마트 선박 상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684B1 (ko) * 2013-11-21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청소상태 측정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15B1 (ko) 2010-11-11 2013-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KR101202387B1 (ko) * 2010-12-31 2012-11-1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식센서를 이용한 선박의 부식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54855B1 (ko) * 2013-02-28 2014-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검사분석 시스템 및 선체 검사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684B1 (ko) * 2013-11-21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청소상태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248A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540B1 (ko) 선저 청소 및 검사용 수중로봇
AU2011205031B2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KR101469611B1 (ko) 무인선박을 이용한 수상 이동형 하천 퇴적물 채집 및 채수 멀티플 장치
CN107301689B (zh) 一种基于无人船的网箱巡检装置及其方法
JP2014504357A (ja) ソーナーデータ収集システム
CN103466045A (zh) 一种浅海潜标及其使用方法
KR102414515B1 (ko)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KR101177839B1 (ko) 수중로봇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9694A (ko) 어선 안전 조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269669A (ja) バージ船押航遠隔監視システム
US201402611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inspection of liquid filled structures
KR20160136656A (ko) 선박용 선저 청소시스템 및 방법
JP6406831B2 (ja) 水中係留物監視システム
CN203912082U (zh) 舰船锚泊自动化辅助装置
US20090128623A1 (en) Hull-mounted underwater camera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vessel running gear
JP4798346B2 (ja) 係船管理支援システム
US11554840B2 (en) Buoyant camera device and method
KR101897912B1 (ko) 앱을 활용한 해양시설물 사고방지 및 그 관리시스템
CN108657394B (zh) 航标船海上作业水下机器人自动化作业装置及使用方法
CN112230293A (zh) 一种船舶安检监管方法及系统
KR20120072516A (ko) 브릿지 윙이 없는 선박과 그 선박의 접안방법
CN207737445U (zh) 一种适用于水产养殖看护的无人艇
JP6915779B2 (ja) 水中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水中位置検出方法
Huvenne et al. RRS James Cook cruise JC166-167, 19 June–6 July 2018. CLASS–Climate-linked Atlantic System Science Haig Fras Marine Conservation Zone AUV habitat monitoring, Equipment trials and staff training
CN214399392U (zh) 一种用于rov的脐带缆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