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058U - 선박용 펜더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펜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058U
KR20150003058U KR2020140000779U KR20140000779U KR20150003058U KR 20150003058 U KR20150003058 U KR 20150003058U KR 2020140000779 U KR2020140000779 U KR 2020140000779U KR 20140000779 U KR20140000779 U KR 20140000779U KR 20150003058 U KR20150003058 U KR 20150003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unit
ship
compressed ai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나래
이효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0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058U/ko
Publication of KR20150003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용 펜더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선박용 펜더장치는 선체의 외측 길이 방향에 설치된 펜더부와, 상기 펜더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부; 및 상기 펜더부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펜더장치{Fender apparatus for ship}
본 고안은 펜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이 항만하기 위한 제반 시설이 부족한 항만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선박용 펜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부두에 접안할 때 선박과 부두의 충돌을 방지하여 선박 및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는 충격 완충재로써의 선박 접안용 펜더(Fender) 장치는 부두의 안벽에 설치된다. 즉, 항만의 부두에는 화물의 하역과 여객의 승하선을 위한 안벽이나 잔교 및 부잔교 등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펜더는 부두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선박의 충격으로부터 부두 구조물과 선체를 보호한다. 이를 위해 펜더는 선박의 접안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항만의 부두에서 선박 하역작업을 하기 위하여는 선박을 부두에 접안시키어야 하는데, 부두에 접안되는 선박은 다량의 수송물을 선적하고 있기 때문에 부두에 안전하게 접안하더라도 해수면의 이동에 따라 접압된 선박은 부두와 지속적으로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과 부두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선박 접안용 펜더를 부두에 설치하는데 이러한 선박접안용 펜더의 일반적인 구조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부두의 안벽에 설치된 앵커볼트를 통해 설치된다. 이러한 선박 접안용 펜더는 선박의 접안시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선박과 부두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여 선박과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21300 (등록일: 2013년10월16일)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항구 접안 또는 선박대 선박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경우에 팽창식으로 부피가 변화되는 펜더를 이용하여 선박을 운용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선체의 외측 길이 방향에 설치된 펜더부; 상기 펜더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부; 및 상기 펜더부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펜더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된 단위 펜더를 포함한다.
상기 펜더부는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펜더부가 항만에 설치된 구조물과 마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패드는 외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펜더부는 선체의 중앙평행부의 수선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펜더장치는 상기 펜더부의 팽창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펜더부의 팽창 상태를 감지하는 카메라 유닛과, 펜더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항만과 펜더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펜더부는 선체의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곳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된다.
상기 팬더장치는 상기 펜더부에 공급된 다량의 압축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suction pump)를 포함한다.
상기 펜더장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는 선체 외측의 선수와 선미 및 중앙평행부에 서로 다르게 팽창 가능하게 설치된 펜더부; 상기 펜더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부; 및 상기 펜더부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펜더부는 상기 중앙평행부에 위치된 제1 펜더; 상기 선수에 위치된 제2 펜더; 상기 선미에 위치된 제3 펜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2,3 펜더는 상기 제1 펜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펜더가 구비되지 않은 항만 또는 선박에 적합한 형태의 펜더가 미 설치된 경우에도 선박의 접안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용 범위가 넓어지고, 다량의 화물을 하역하는데 소요되는 하역 시간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보다 신속한 접안과 하역을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부유식 펜더가 아닌 팽창식 펜더 방식으로 접안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펜더를 설치하기 위해 소요되는 작업자의 수와 시간이 감소되고, 상기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감소시키며 선체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의 측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의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펜더장치(1)는 선체(2)의 외측 길이 방향에 설치된 펜더부(100)와, 상기 펜더부(10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부(200); 및 상기 펜더부(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펜더부(100)는 상기 선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된 단위 펜더(102)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펜더(102)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선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단위 펜더(102)는 가로방향으로 m개가 배치되고 세로 방향으로 n개가 배치되며, 선체(2) 중앙평행부의 수선(1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중앙평행부의 수선(10)은 선체(2)가 해수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잠기는 경우 바닷물이 위치되는 높이에 해당되고, 상기 수선(10)의 상측에 펜더부(100)가 위치되어 바닷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항만에서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펜더부(100)는 선체(2)의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곳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되며 본 실시 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펜더부(100)의 위치를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펜더부(100)는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펜더부(100)가 항만에 설치된 구조물과 마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패드(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패드(110)는 탄성력이 유지되는 고무가 사용되나 상기 고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른 재질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보호패드(110)는 선체(2)가 항만으로 근접되게 이동하면서 상기 펜더부(100)가 콘크리트 구조물과 직접적인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고, 다수개의 단위 펜더(102)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상기 보호패드(110)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112)는 보호패드(110)에 구조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보호패드(11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장기간 사용시에도 변형되거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압축부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압축부(200)는 고압의 압축 공기를 펜더부(100)에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단위 압축기(미도시)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 압축기는 단위 펜더(102)에 각각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공기 압축부(2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공기 압축부(200)에서 배출된 고압의 압축 공기는 레귤레이터(미도시)에 의해 압력이 일정하게 조절되어 펜더부(100)로 공급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는 펜더부(100)의 팽창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감지부(400)는 상기 펜더부(100)의 팽창 상태를 감지하는 카메라 유닛(410)과, 상기 펜더부(1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420)를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410)은 선체(2)의 선수와 선미 및 상기 선수와 선미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410)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며 주간 및 야간에 상관없이 펜더부(100)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300)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다.
카메라 유닛(410)은 회전을 위해 별도의 틸팅 유닛이 탑재되어 특정 각도로 촬영이 가능하며, 별도의 지지부재(미도시)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압력 감지부(420)는 단위 펜더(102)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기 설정된 규정 압력 이내로 단위 펜더(102)가 팽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0)는 단위 펜더(102)의 압력 상태를 압력 감지부(420)를 통해 입력 받아 기 설정된 규정 압력이 유지되는지 판단하고, 단위 펜더(102)의 압력 상태가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이를 규정 압력 이내로 유지되도록 단위 압축기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는 안벽(20)과 선체(2)와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는 거리 감지부(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감지부(430)는 선체의 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되어 특정 위치에서 안벽(20)과의 이격 거리를 정확하게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접안에 따른 위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펜더장치(1)는 전술한 카메라 유닛(41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600)를 통해 현재 펜더부(100)의 팽창 상태와 접안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펜더장치(1)는 야간의 경우 상기 펜더부(100)의 접압 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조명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을 통해 안벽과 접촉되는 단위 펜더(102)의 접촉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팬더장치(1)는 상기 펜더부에 공급된 다량의 압축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suction pump)(5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펌프(500)는 다수개가 탑재되어 신속하게 단위 펜더(102)에 주입된 압축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펌프(500)는 선박의 접안이 이루어지지 않는 평상시 항해 상태일 때는 오프 상태로 제어부(300)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선박이 접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물이 모두 하역된 이후에 온 상태로 작동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펜저장치는 선체(2) 외측의 선수와 선미 및 중앙평행부에 서로 다르게 팽창 가능하게 설치된 펜더부(100)와, 상기 펜더부(10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부(200)(도 1 참조); 및 상기 펜더부(10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도 1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펜더부(100)는 상기 중앙평행부(10)에 위치된 제1 펜더(101)와, 상기 선수에 위치된 제2 펜더(102)와, 상기 선미에 위치된 제3 펜더(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3 펜더(102,103)는 상기 제1 펜더(101)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펜더부(10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선박을 상부에서 바라볼 때 모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거나, 선박이 항만의 안벽(20)에 접안을 실시할 때 통상적으로 선체(2)의 중앙평행부가 안벽(20)과 평행한 상태로 접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 선수 또는 선미가 안벽(20)과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수에 위치된 제2 펜더(102)와 선미에 위치된 제3 펜더(103)의 돌출 상태를 조절하여 선체(2)의 안정적인 접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기 제2,3 펜더(102,103)는 제1 펜더(101)에 비해 외측을 향해 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선박이 수평하게 안벽(20)을 향해 이동하기 어려운 조건일 경우 안정적으로 접안을 실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선박이 항해 중일 경우 공기 압축부(20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선박의 안정적인 항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박이 항만에 접안하기 위해 안벽으로 접근될 경우 거리 감지부(430)를 통해 입력된 안벽(20)과 선박과의 거리가 규정 거리 이내로 위치될 경우 공기 압축부(2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다수개의 단위 압축기를 가동시킨다.
다수개의 단위 압축기는 제어부(300)에서 전송된 제어 명령에 의해 소정의 알피엠으로 작동되고, 상기 단위 압축기에서 발생된 고압의 압축 공기는 다수개의 단위 펜더(10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300)는 압력 감지부(420)에서 감지된 단위 펜더(102) 내부의 압력 상태를 입력 받아 현재 펜더부(100)의 압력 상태가 규정 압력 상태로 팽창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규정 압력 상태로 정상적으로 팽창될 경우 계속해서 단위 압축기의 작동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제어부(300)는 현재 펜더부(100)로 공급되는 압력이 규정 압력 이상일 경우 상기 단위 펜더(102)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레귤레이터 또는 단위 압축기의 알피엠을 규정 압력 상태로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카메라 유닛(410)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선박이 안벽(20)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부(6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현재 안벽(2)과 펜더부(1100)의 접안 상태가 표시되므로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고 안정적으로 접안이 이루어지는 지 확인할 수 있다.
펜더부(100)는 정상적으로 모두 팽창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안벽(20)에 안정적으로 접안된 상태가 유지되고, 작업자는 선박에 적재된 다량의 화물에 대한 하역을 실시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안벽(20)에서 선박이 이격되어 다른 목적지로 항해가 이루어질 경우 흡입펌프(5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팽창 상태로 작동된 펜더부(100)를 원 위치시킨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펜더장치(1)는 선박 대 선박으로 해상에서 서로 간에 화물을 이송하거나, 운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더부(100)를 서로 간에 맞댄 상태로 사용할 경우 선박과 선박 사이의 완충 효과와 함께 장시간 유지가 가능하여 선박이 항만으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해상에서 화물 이송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선체
100 : 펜더부
102 : 단위 펜더
110 : 보호 패드
112 : 돌기
200 : 공기 압축부
300 : 제어부
400 : 상태 감지부
410 : 카메라 유닛
420 : 압력 감지부
430 : 거리 감지부
500 : 흡입펌프

Claims (14)

  1. 선체의 외측 길이 방향에 설치된 펜더부;
    상기 펜더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부; 및
    상기 펜더부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된 단위 펜더를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는,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펜더부가 항만에 설치된 구조물과 마찰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는,
    외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는,
    선체의 중앙평행부의 수선 상측에 위치된 선박용 펜더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장치는,
    상기 펜더부의 팽창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펜더부의 팽창 상태를 감지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펜더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8. 제3 항 및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항만과 펜더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는,
    선체의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곳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되는 선박용 펜더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더장치는,
    상기 펜더부에 공급된 다량의 압축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suction pump)를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11. 제1 항 및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장치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12. 선체 외측의 선수와 선미 및 중앙평행부에 서로 다르게 팽창 가능하게 설치된 펜더부;
    상기 펜더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부; 및
    상기 펜더부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부는,
    상기 중앙평행부에 위치된 제1 펜더;
    상기 선수에 위치된 제2 펜더;
    상기 선미에 위치된 제3 펜더를 포함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3 펜더는,
    상기 제1 펜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펜더장치.

KR2020140000779U 2014-02-04 2014-02-04 선박용 펜더장치 KR20150003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79U KR20150003058U (ko) 2014-02-04 2014-02-04 선박용 펜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79U KR20150003058U (ko) 2014-02-04 2014-02-04 선박용 펜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58U true KR20150003058U (ko) 2015-08-12

Family

ID=5401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779U KR20150003058U (ko) 2014-02-04 2014-02-04 선박용 펜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0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7044A (ja) * 2017-02-07 2018-08-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107A (ko) * 2001-08-02 2004-07-30 에스지지 페이턴츠 엘엘씨 내장형 팽창장치
KR20120026693A (ko) * 2010-09-10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팽창식 펜더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KR20120064007A (ko) * 2011-06-02 2012-06-1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선박용 충격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안 방법
KR20120072516A (ko) * 2010-12-24 2012-07-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브릿지 윙이 없는 선박과 그 선박의 접안방법
KR101356563B1 (ko) * 2013-07-31 2014-01-28 주식회사 씨앤텍 펜더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107A (ko) * 2001-08-02 2004-07-30 에스지지 페이턴츠 엘엘씨 내장형 팽창장치
KR20120026693A (ko) * 2010-09-10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팽창식 펜더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KR20120072516A (ko) * 2010-12-24 2012-07-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브릿지 윙이 없는 선박과 그 선박의 접안방법
KR20120064007A (ko) * 2011-06-02 2012-06-1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선박용 충격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안 방법
KR101356563B1 (ko) * 2013-07-31 2014-01-28 주식회사 씨앤텍 펜더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7044A (ja) * 2017-02-07 2018-08-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10114267A (zh) * 2017-02-07 2019-08-09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式护舷材的监控系统
EP3581480A4 (en) * 2017-02-07 2020-12-09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DEFENSE SURVEILLANCE SYSTEM
US11053648B2 (en) 2017-02-07 2021-07-06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fender monit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US20120114422A1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KR101694864B1 (ko) 선박 침몰 예방장치
KR101368674B1 (ko) 선박용 밸러스트 탱크의 자유표면 조절장치
US8408153B2 (en) Automated mooring method and mooring system
JP2021501724A (ja) ボートを操縦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150003058U (ko) 선박용 펜더장치
KR101408346B1 (ko) 선박의 안티롤링시스템
KR101616437B1 (ko) 해양 설비와 셔틀 간의 접안 장치
KR101903683B1 (ko) 선박 계류 장치
KR101903670B1 (ko) 선박용 펜더 장치
KR102584497B1 (ko) 무인 예인장치
KR101566521B1 (ko) 선박 충격 완화 시스템
KR20140031511A (ko) 선박의 평형감지가 가능한 반목 및 이를 이용한 진수선박 자세 모니터링 장치
KR10264005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이동 장치
KR101903757B1 (ko) 해상 벙커링 터미널 및 벙커링 선박의 계류 방법
KR20110062489A (ko) 선박 접안 유닛
KR20220034400A (ko) 펜더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KR101466314B1 (ko) 가변형 래싱 브리지 지지구조 및 그 구동 방법
KR20220033209A (ko)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KR101995100B1 (ko) 선체 탄착 파손 지점 복구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21373A (ko) 선박의 안티 롤링 기능을 가지는 안티 힐링 시스템
KR20200095289A (ko) 선박의 접안이 용이한 계류 부두
KR101984847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