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209A -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 Google Patents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209A
KR20220033209A KR1020200115332A KR20200115332A KR20220033209A KR 20220033209 A KR20220033209 A KR 20220033209A KR 1020200115332 A KR1020200115332 A KR 1020200115332A KR 20200115332 A KR20200115332 A KR 20200115332A KR 20220033209 A KR20220033209 A KR 20220033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quay wall
ship
uni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기
Original Assignee
정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기 filed Critical 정석기
Priority to KR102020011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209A/ko
Publication of KR2022003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2Magnetic moor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 항행력이 없는 선박(100)의 일측에 자석부(110)를 구성하고, 상기 선박(100)이 안벽부(200)에 접안 또는 밀림될 수 있도록 자력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안벽부(200)에 구성되되 상기 자석부(110)와 부착되는 전자석부(300)를 구성하고, 상기 전자석부(300)에 구성된 전자석(350)이 선박(100)의 외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원활한 부착이 가능한 한편, 상기 선박(100)을 안벽부(200)에 접안할 시, 충격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그 충격을 흡수 및 파손을 방지토록 하여 선박(100)의 안정적인 접안이 가능한 한편, 상기 전자석부(300)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토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Docking device of ship and pier quay wall including electromagnet with flow structure}
본 발명은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 항행력이 없는 선박을 부두의 안벽에 접안할 수 있도록 부두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서 전자석부가 구성되고, 상기 선박과 실질적으로 접착이 이루어지는 전자석을 분할된 형태로 구성하여 선박의 외형과 원만하게 맞닿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전자석부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가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해상 운송에 사용되는 선박은 여객의 승강이나 화물의 적하를 위해 항구에 마련된 부두 안벽에 접안되거나 혹은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 계류용 부표 측에 접안된다. 또한 선박의 건조시에도 조선소 측에 마련된 안벽에 접안된다. 이렇듯 안벽의 접안면에 접안된 선박은 계류 장치 또는 예인 장치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계류된다.
통상적으로, 완성된 선박의 진수나 비상시 다른 선박을 예인하기 위해 선미의 상부 갑판 저부에 예인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예인장치가 장착된 배를 예인선이라고 하는데, 예인선은 자체 항행력이 없는 부선이나 항행력은 있어도 일시 사용하지 않는 선박 또는 부두에 이안 또는 접안하는 선박을 지정된 장소까지 끌어당기거나이동시키는 선박으로서, 규모는 작아도 강력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이러한 선박을 사용하지 않으면 부두에 이안 또는 접안하게 되는데 이때, 예인선으로 부두의 안벽 가까이 인접하여 안벽에 구성된 전자석에 의해 접안되도록 하여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선박이 전자석에 근접하게 되면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접안되게 되지만, 자칫 예인선 또는 기타 외부 요인으로 선박과 전자석이 강하게 부딪힐 수가 있는데 이럴 경우 상기 전자석의 훼손 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선박의 자체적인 항행력이 없게 되어 온전히 예인선에 의해 부두의 안벽까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예인선의 조작하는 조작자의 노하우에 등에 따라서 전자석과 접안이 용이하게 이루어기 마련이지만, 이 또한, 전자석이 항상 고정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서 문제점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한편, 공개번호 10-2006-0116646호(특)는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계류중인 선박이 안벽에 접근시 일차로 에어 펜더가 선박의 하중 및 관성력을 지지하고, 이후 에어 펜더가 선박의 하중 및 관성력에 의해 폭이 수축하여 스틸 펜더의 폭과 같아지게 되면 에어 펜더와 스틸 펜더가 하중 및 관성력을 분배하여 지지케 하고, 그 이후의 지지력은 스틸 펜더가 지지하여 선박을 계류 시키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펜더를 이용한 선박의 안벽 계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박의 안벽 계류방법에서는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같은 전자석 등이 고정된 형태를 이룸에 따라 선박이 강하게 부딪힘 또는 외부요인으로 충격이 발생할 시 전자석의 파손 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심지어 선박의 외측과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자체항행력이 없는 선박의 내부에 자력부를 포함하고, 부두의 안벽에 전자석부를 구성하여, 선박이 안벽에 근접할 경우, 전자석의 전류 흐름에 따라 상기 선박을 접안하여 고정시키거나 밀림하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석을 분할된 형태로 다수개 형성하여 접안력을 유지하면서도 선박의 외형 등 접안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에서 훼손 및 파손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선박의 외형에 전혀 상관없이 접안이 가능하며,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의 문제들을 더욱 보완할 수 있게 탄성구조를 적용토록 함은 물론, 별도의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자체 항행력이 없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자력부(110)를 포함하는 선박(100); 부두의 배치 구성되는 안벽부(200);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일측에 위치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중앙부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부(330)와,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 구성되되 제어부(370)에 의해 상기 선박(100)의 자력부(110)와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접착되는 전자석(350)과,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유동부(330)를 밀림 또는 당김하며, 상기 전자석(350)으로 전류를 흘려보내 전자석(350)이 상기 자력부(110)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극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는 전자석부(300); 로 구성되는 선박과 부두의 접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다수의 홈부(332)가 형성되는 플레이트(331)가 구성되고, 밀림성질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홈부(33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부재(340)가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350)은 분할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되, 하측 중앙부가 상기 탄성부재(340)와 연결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51)에는 전자석(3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음부재(360)가 삽입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350)이 선박(100)의 외측에 밀착되어 유동하면서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자체 항행력이 없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자력부(110)를 포함하는 선박(100); 부두의 일측에 위치되는 안벽부(200);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일측에 위치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중앙부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부(330)와,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 구성되되 제어부(370)에 의해 상기 선박(100)의 자력부(110)와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접착되는 전자석(350)과,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유동부(330)를 밀림 또는 당김하며, 상기 전자석(350)으로 전류를 흘려보내 전자석(350)이 상기 자력부(110)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극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는 전자석부(300); 로 구성되는 선박과 부두의 접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일측에 다수의 끼움돌출부(333)가 형성되는 플레이트(331)가 구성되고,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외주에 끼워지는 밀림성질을 갖는 탄성부재(340)가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350)은 분할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되, 각각의 전자석(350) 하부에는 끼움홈(353)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끼움 구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351)는 전자석(3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음부재(360)가 삽입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350)이 선박(100)의 외측에 밀착되어 유동하면서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음부재(360)은, 상기 관통홀(351)에 삽입되는 강성을 가지지 않은 재질을 하며, 일측 끝단에 금속재질로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362)가 구성되는 이음부(361)와, 상기 결합부(362)가 형성되지 않은 이음부(361)의 끝단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1고정뭉치(365)와, 상기 결합부(36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고정뭉치(367)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벽부(200)의 외측 또는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홀(210)에 배치되며,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310)를 슬라이드홀(210)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20)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홀(210)은 안벽의(200)의 상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안벽부(200)의 측면에 수직 및 수평방향이 조합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331)에는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끝단이 위치되는 공간부(334)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334)에 위치되되,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끝단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335)가 구성되어,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힌지부(335)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331)의 공간부(334)는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힌지부(335)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일정부분 유동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33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력부(110)와 전자석(350)이 상호 맞닿아 붙어있을 시, 선박(100)과 전자석(35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그 끝단이 상기 선박(100)과 근접 또는 맞닿는 보조탄성부재(38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벽부(200)에는, 상기 제어부(370)와 연결되고 스마트폰(400)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371)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371)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370)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APP을 포함하는 스마트폰(4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370)에는, 전자석(350)으로 전류를 흘려보낼 시, 분할된 각각의 전자석(350)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350)에 전류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373)가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400)의 APP에는 상기 감지부(373)로부터 감지된 어느 하나의 전자석(350)의 상태를 전달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에 의하면, 전자석시스템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하여 선박을 접안하기 위한 당김 또는 밀림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자석이 분할된 형태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함에 따라 밀착력 및 선박의 외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내구성이 높고, 보조 탄성부재를 통해 선박 또는 두부 안벽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상호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스마트폰을 통해 전자석시스템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석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석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석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석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석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음부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자석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과 전자석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자석부와 스마트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자체 항행력이 없는 선박을 부두의 안벽에 접안할 수 있도록 부두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서 전자석부가 구성되고, 상기 선박과 실질적으로 접착이 이루어지는 전자석을 분할된 형태로 구성하여 선박의 외형과 원만하게 맞닿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전자석부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가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항행력이 없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자력부(110)를 포함하는 선박(100); 부두에 배치 구성되는 안벽부(200);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일측에 위치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중앙부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부(330)와,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 구성되되 제어부(370)에 의해 상기 선박(100)의 자력부(110)와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접착되는 전자석(350)과,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유동부(330)를 밀림 또는 당김하며, 상기 전자석(350)으로 전류를 흘려보내 전자석(350)이 상기 자력부(110)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극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는 전자석부(300); 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부(300)의 제어부(370)와 전자석(350)은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배선 등 통상의 구성을 적용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다.
상기 선박(100)은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항행력을 가지지 않거나 항행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시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벽부(2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선박(100)을 접안하기 위한 부두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0)의 일측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단 또는 후단이 밀착된다.
상기 안벽부(200)는 통상적으로 연안부두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외측 또는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홀(210)에 배치되며,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310)를 슬라이드홀(210)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20)이 구성된다.
즉,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는 이동수단(220)이 구성되고, 상기 이동수단(220)의 끝단에 하기될 전자석부(300)의 유동부(330)와 연결 구성되어 상기 유동부(330)을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220)의 끝단과 유동부(330)의 연결은 상기 이동수단(220)의 끝부분에 상기 유동부(330)의 외주가 끼워질 수 있도록 그와 대응하는 형상의 홀(221)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수단(220)은 실린더와 같이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될 수가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홀(210)은 안벽부(200)의 상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안벽부(200)의 측면에 수직 및 수평방향이 조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홀(210)의 변형되는 구조는 접안하려는 선박(100)의 크기 또는 선박(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자력부(110)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가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측에 슬라이드홀(210)이 형성될 시, 전자석부(300)의 몸체부(310)를 좌, 우로 이동시켜서 편리하게 선박(100)에 구성된 자력부(110)와 부착시킬 수가 있고, 상기 슬라이드홀(210)이 안벽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시, 상하, 좌우, 어느 방향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홀(210)이 측면에 형성될 시, 전자석부(300)의 몸체부(310)의 끝단과 연결된 이동수단(220) 또한 이동 가능한 구조 또는 접안하려는 선박(100)에 맞춰서 이동수단(220)의 위치 변경 후 고정시키는 등의 위치 변경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벽부(200)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될 수가 있으며, 일반적인 콘크리트재질로 이루어진 통상의 안벽에 별도의 본 발명의 안벽부(200)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상기 전자석부(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상기 이동수단(220)에 연결 구성되는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의 내부로 삽입 구성되어 유동부(330)로 구성되되,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다수의 홈부(332)를 형성되는 플레이트(331)가 구성되고, 밀림성질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홈부(33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부재(340)가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350)은 분할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되, 하측 중앙부가 상기 탄성부재(340)와 연결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51)에는 전자석(3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음부재(360)가 삽입 구성되어, 전자석(350)이 선박(100)의 외측에 밀착되어 유동하면서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자석부(300)의 전자석(350)은 선박(100)의 자력부(110)과 실질적으로 부착되되, 선박(100)의 외형에 맞춰서 유연하게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선박(100)의 외형이 변형된다고 하더라도 용이하게 부착될 수가 있다.
상기 전자석부(300)는 실질적으로 안벽부(200)의 슬라이드홀(210)에 안착되어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몸체부(310)가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홀(210)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가 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벽부(200)의 슬라이드홀(210)이 안벽부(200)의 상측에 구성될 경우, 상기 몸체부(310)의 하부에 상기 슬라이드홀(2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홀(210)이 안벽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경우, 상기 몸체부(310)의 외측에 상기 슬라이드홀(210)이 위치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중앙부에는 관통되는 유동홀(311)이 형성되어 하기될 유동부(330)에 끼움 구성된다.
상기 유동부(33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가 상기 몸체부(310)의 유동홀(311)에 끼움 구성되어, 상기 유동홀(311) 상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 끝단에는 상기 유동부(330)의 길이방향과 다른 길이방향으로 플레이트(331)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331)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홈부(332)가 형성되어, 탄성부재(340)가 삽입되고, 상기 전자석(350)은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홈부(332)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40)가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340)의 일측이 상기 홈부(332)에 삽입되어 연결 구성되고, 타측은 상기 전자석(350)의 하단부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350)이 선박(100)의 자력부(110)와 부착 또는 충격 등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부(330)는 슬라이드홀(210)상에 안착 또는 끼워져 일측 또는 슬라이드홀(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유동부(3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가변시킬 수가 있다.
즉, 도시하진 않았지만, 안벽부(200)의 이동수단(220)과 유사한 실린더와 같은 구조를 구성하여서, 상기 그 실린더의 끝단을 유동부(330)의 끝단과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310)는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유동부(330)만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유동부(33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경우, 상기 유동부(330)와 연결된 이동수단(220)도 함께 이동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이동수단(220)이 고정된 상태로, 유동부(3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석(350)은,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자력부(110)와의 부착 시, 유연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유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데, 하부는 탄성부재(340)와 연결되고, 각각의 전자석(35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51)에는 각각의 전자석(3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음부재(360)가 끼움 구성되며, 각각의 전자석(350)과 전자석(350)이 사이에는 미세한 공간들이 형성되어, 전자석(350)이 일정부분이 유동할 수가 있게 되고, 상기 전자석(3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음부재(360)가 끼움 구성된다.
또한,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31)와 전자석(350)의 연결 구조를 가변시킬 수가 있는데,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일측에 다수의 끼움돌출부(333)가 형성되는 플레이트(331)가 구성되고,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외주에 끼워지는 밀림성질을 갖는 탄성부재(340)가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350)은 분할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되, 각각의 전자석(350) 하부에는 끼움홈(353)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끼움 구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351)는 전자석(3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음부재(360)가 삽입 구성된다.
즉, 끼움돌출부(333)가 전자석(350)의 끼움홈(353)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외주에 탄성부재(340)가 구성되어, 일정한 탄성력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31)에는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끝단이 위치되는 공간부(334)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334)에 위치되되,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끝단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335)가 구성되어,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힌지부(335)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전자석(350)의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31)의 공간부(334)는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힌지부(335)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일정부분 유동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더욱 자연스러운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3 또는 도 4의 유동부(330)와 전자석(350)의 연결구조와, 도 5 또는 도 6의 유동부(330)와 전자석(350)의 연결구조의 공통적인 목적은 상기 전자석(350)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석부(300)는 종래의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전자석 등에 의해 선박과 부착 할 시, 선박의 외형에 전혀 대응하지 못하였고, 선박과의 부착 시, 충격 등이 발생하여 전자석부의 파손 또는 훼손이 발생하였던 문제점들을 완벽하게 극복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이음부재(3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351)에 삽입되는 강성을 가지지 않은 재질을 하며, 일측 끝단에 금속재질로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362)가 구성되는 이음부(361)와, 상기 결합부(362)가 형성되지 않은 이음부(361)의 끝단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1고정뭉치(365)와, 상기 결합부(36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고정뭉치(367)로 구성되어, 이음부(361)가 강성을 가지지 않음으로써, 전자석(350)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1,2고정뭉치(365, 367)에 의해 이음부재(360)가 하나의 형태로 결합될 수가 있게 되며, 상기 결합부(362)와 제2고정뭉치(367)의 결합구조는 볼트-너트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31)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되, 상기 자력부(110)와 전자석(350)이 상호 맞닿아 붙어있을 때, 선박(100)이 안벽부(200)에 근접하여 접안될 시, 자칫 발생할 수 있는 부딪힘 등으로부터 안정성을 확보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끝단이 상기 선박(100)과 근접 또는 맞닿는 보조탄성부재(380)가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350)의 자체적인 탄성력과 더불어, 선박(100)과 안벽부(200)의 혹시 모를 부딪힘으로부터 선박(100) 또는 안벽부(200)의 훼손 및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고, 상기 보조탄성부재(380)는 일측은 상기 안벽부(200)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고, 타측은 선박(100)과 고정된 것이 아닌, 선박(100)이 안벽부(200)에 밀착될 시, 단순히 맞닿아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선박(100)이 안벽부(200)와 떨어질 경우, 보조탄성부재(380) 또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벽부(200)에는, 상기 제어부(370)와 연결되고 스마트폰(400)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371)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371)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370)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APP을 포함하는 스마트폰(400)이 더 포함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70)에는, 전자석(350)으로 전류를 흘려보낼 시, 분할된 각각의 전자석(350)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350)에 전류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373)가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400)의 APP에는 상기 감지부(373)로부터 감지된 어느 하나의 전자석(350)의 상태를 전달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자석(350)이 고장유무를 스마트폰(400)을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되고, 스마트폰(400)을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안벽부(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어부(370)가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부두의 임의적인 위치에 제어부(370)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370)와 전자석(350) 및 이동수단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배선 등과 같이 연결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에 의하면, 전자석시스템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하여 선박을 접안하기 위한 당김 또는 밀림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자석이 분할된 형태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함에 따라 밀착력 및 선박의 외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자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내구성이 높고, 보조 탄성부재를 통해 선박 또는 두부 안벽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상호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스마트폰을 통해 전자석시스템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 선박 110 : 자력부
200 : 안벽부 210 : 슬라이드홀
220 : 이동수단 221 : 홀
300 : 전자석부
310 : 몸체부 311 : 유동홀
330: 유동부 331 : 플레이트 332 : 홈부
333 : 끼움돌출부 334 : 공간부 335 : 힌지부
340 : 탄성부재
350 : 전자석 351 : 관통홀 353 : 끼움홈
360 : 이음부재 361 : 이음부 362 : 결합부
365 : 제1고정뭉치 367 : 제2고정뭉치
370 : 제어부 371 : 통신모듈 373 : 감지부
380 : 보조탄성부재
400 : 스마트폰

Claims (10)

  1. 자체 항행력이 없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자력부(110)를 포함하는 선박(100); 부두의 일측에 위치되는 안벽부(200);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일측에 위치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중앙부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부(330)와,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 구성되되 제어부(370)에 의해 상기 선박(100)의 자력부(110)와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접착되는 전자석(350)과,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유동부(330)를 밀림 또는 당김하며, 상기 전자석(350)으로 전류를 흘려보내 전자석(350)이 상기 자력부(110)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극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는 전자석부(300); 로 구성되는 선박과 부두의 접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다수의 홈부(332)가 형성되는 플레이트(331)가 구성되고,
    밀림성질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홈부(33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부재(340)가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350)은 분할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되, 하측 중앙부가 상기 탄성부재(340)와 연결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51)에는 전자석(3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음부재(360)가 삽입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350)이 선박(100)의 외측에 밀착되어 유동하면서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2. 자체 항행력이 없도록 구성되되 내부에 자력부(110)를 포함하는 선박(100); 부두의 일측에 위치되는 안벽부(200);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일측에 위치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중앙부에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부(330)와,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 구성되되 제어부(370)에 의해 상기 선박(100)의 자력부(110)와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접착되는 전자석(350)과,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유동부(330)를 밀림 또는 당김하며, 상기 전자석(350)으로 전류를 흘려보내 전자석(350)이 상기 자력부(110)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극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는 전자석부(300); 로 구성되는 선박과 부두의 접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330)의 끝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일측에 다수의 끼움돌출부(333)가 형성되는 플레이트(331)가 구성되고,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외주에 끼워지는 밀림성질을 갖는 탄성부재(340)가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350)은 분할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되, 각각의 전자석(350) 하부에는 끼움홈(353)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끼움 구성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351)는 전자석(3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음부재(360)가 삽입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350)이 선박(100)의 외측에 밀착되어 유동하면서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360)은,
    상기 관통홀(351)에 삽입되는 강성을 가지지 않은 재질을 하며, 일측 끝단에 금속재질로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362)가 구성되는 이음부(361)와,
    상기 결합부(362)가 형성되지 않은 이음부(361)의 끝단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1고정뭉치(365)와,
    상기 결합부(36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고정뭉치(36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부(200)의 외측 또는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홀(210)에 배치되며,
    상기 안벽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310)를 슬라이드홀(210)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2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홀(210)은 안벽의(200)의 상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안벽부(200)의 측면에 수직 및 수평방향이 조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31)에는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끝단이 위치되는 공간부(334)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334)에 위치되되, 상기 끼움돌출부(333)의 끝단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335)가 구성되어,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힌지부(335)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31)의 공간부(334)는 상기 끼움돌출부(333)가 힌지부(335)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일정부분 유동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3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자력부(110)와 전자석(350)이 상호 맞닿아 붙어있을 시, 선박(100)과 전자석(35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그 끝단이 상기 선박(100)과 근접 또는 맞닿는 보조탄성부재(38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부(200)에는,
    상기 제어부(370)와 연결되고 스마트폰(400)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371)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371)과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370)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APP을 포함하는 스마트폰(4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70)에는,
    전자석(350)으로 전류를 흘려보낼 시, 분할된 각각의 전자석(350)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350)에 전류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373)가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폰(400)의 APP에는 상기 감지부(373)로부터 감지된 어느 하나의 전자석(350)의 상태를 전달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KR1020200115332A 2020-09-09 2020-09-09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KR20220033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32A KR20220033209A (ko) 2020-09-09 2020-09-09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32A KR20220033209A (ko) 2020-09-09 2020-09-09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09A true KR20220033209A (ko) 2022-03-16

Family

ID=8093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332A KR20220033209A (ko) 2020-09-09 2020-09-09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2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4359A (zh) * 2022-04-18 2022-06-10 山东交通学院 一种基于视觉识别的船舶自动靠岸停靠系统及停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4359A (zh) * 2022-04-18 2022-06-10 山东交通学院 一种基于视觉识别的船舶自动靠岸停靠系统及停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65195T3 (es) Un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operar uno o más remolcadores
CN102464213B (zh)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US3508510A (en) Lighter hydrolift device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KR20100067391A (ko) 선박의 계류 장치
AU2017341337B2 (en) Ship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vehicles
NO20191097A1 (en) Intermediate docking station for underwater vehicles
US9758218B2 (en) Method for reducing the swinging of ships, anchored or moored to a buoy, and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KR20220033209A (ko)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KR102352694B1 (ko)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예인선
KR20110062487A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접안 방법
CN110352159A (zh) 用于联接两艘船的装置
Kim et al. A ship-to-ship automatic docking system for ocean cargo transfer
CN110949611A (zh) 一种系泊装置、船舶及该系泊装置的布置方法
KR102466590B1 (ko) 톱니형 부두
KR20160063056A (ko) 계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KR102584497B1 (ko) 무인 예인장치
KR102237126B1 (ko)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20200095289A (ko) 선박의 접안이 용이한 계류 부두
CN102963509A (zh) 30万干船坞并联建造船只出坞的牵引方法
EP2907738A1 (en) Cargo loading ship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JPS6136475Y2 (ko)
KR20160000160U (ko) 전자석 예인장치를 장착한 예인선
AU2011320016A1 (en) A marine vessel f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RORO cargo between vessels at s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