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590B1 - 톱니형 부두 - Google Patents

톱니형 부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590B1
KR102466590B1 KR1020200085026A KR20200085026A KR102466590B1 KR 102466590 B1 KR102466590 B1 KR 102466590B1 KR 1020200085026 A KR1020200085026 A KR 1020200085026A KR 20200085026 A KR20200085026 A KR 20200085026A KR 102466590 B1 KR102466590 B1 KR 10246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pier
ship
sawtooth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969A (ko
Inventor
정창현
남택근
김진만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5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5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8Load moni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니 형상의 부두 구조물(110)을 형성하고, 톱니 형상의 사이사이에 선박(S)이 진입하여 계류할 수 있도록 하고, 부두 구조물(110)의 측면에는 조석(潮汐)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부유체로 형성된 롤러형 펜더가 구비된 펜더모듈(200)을 설치하여 조석에 무관하게 선박(S)이 부두 구조물의 측면에 주는 충격력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접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톱니형 부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톱니형 부두{Saw-Toothed Wharf}
본 발명은 톱니형 부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 구조물의 형태를 톱니 형상으로 구성하고 톱니 형상의 사이사이에 선박이 진입하여 계류할 수 있도록 하고, 부두 구조물의 측면에는 조석(潮汐)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부유체로 형성된 롤러형 펜더가 구비된 펜더모듈을 설치하여 조석에 무관하게 선박이 부두 구조물의 측면에 주는 충격력을 줄이면서 접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톱니형 부두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대형 선박 부두에서는 선박이 부두에 근접하면 계류삭을 이용하여 선박을 접안하는데, 안전한 접안을 위하여 다수의 선원이 선수와 선미에 배치되고, 선박을 접안하는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기존 부두에서는 선박의 접안 또는 이안 시에 많은 예선도 필요하므로, 그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최근들어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관성이 큰 선박에 있어서 자율운항선박이 도입되려면, 선박을 부두에 안전하게 접안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소형 선박 부두에서는 어선 등의 작은 선박을 계류할 때 선박들이 접촉되는 형태로 나란히 계류하거나, 선미에 닻을 투하하고 선수를 계류삭으로 잡아 계류하는 형태이므로, 선박간 충돌 발생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하여 선주들 사이의 분쟁의 여지가 있을 뿐 아니라, 긴급하게 출항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다른 선박들과 묶여 있어 출항이 지연되거나 닻의 회수로 인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킬 수 있는 접안장치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있었고, 그 한 예로 공개특허공보 KR 10-2011-007441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선박의 접안장치(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가 있다.
종래기술 1은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제공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진공의 공급에 의하여 선체에 흡착되는 흡착판(20)이 구비된 진공흡착부와, 상기 베이스(10)에 제공되고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력에 의하여 선체에 부착되는 전자석(30)이 구비된 자력부착부를 포함하는 선박 접안 유닛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 1에 나타난 접안장치는 접안하는 진공흡착판을 선체에 흡착하여 선박들이 안정적으로 접안되도록 하는 효과는 있지만, 흡착판은 매끄러운 선체 표면에서만 효과가 있고, 흡착판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진공 흡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조석(潮汐)에 따라 해수면이 변하는 것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KR 10-1756279호에 나타난 계류로프의 유압식 장력조절장치(이하 '종래기술 2'라 함)가 나타나 있다.
종래기술 2는 계류용 로프(12)의 장력을 유압식으로 조절하는 장치는, 상기 로프(12)를 수용하고, 유압모터(15)로 구동되는 윈치(10); 상기 윈치(10)에 설치되고, 유압실린더(25)로 구동되는 제동기(20); 상기 유압모터(15)와 유압실린더(25)에 유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메인펌프(31)와 서브펌프(32)를 병렬회로 상에 구비하는 유압구동수단(30); 및 상기 로프(12)의 장력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유압구동수단(3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기술 2는 계류용 로프(12)의 장력을 유압식으로 조절할 수 있어, 계류되어 있는 선박에는 적용하여 선박의 거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선박이 접안부로 접안되어 올 때에서는 계류삭을 연결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효과적인 접안을 하는데에는 여전히 큰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KR 10-2011-0074414호 등록특허공보 KR 10-17562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부두의 형태를 톱니 형태로 구성하고, 톱니 형상에 형성된 접안부에 부유체로 구성된 롤러형 펜더를 형성하여 향후 자율운항선박을 도입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선박의 안정적인 접안을 구현할 수 있는 톱니형 부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톱니형 부두에 관한 것으로, 선박(S) 접안이 용이하도록 톱니 형태의 접안부(120)가 구비된 부두 구조물(110); 및 상기 접안부(120)의 양측에 다수의 펜더모듈(200, 20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펜더모듈(200, 200a)은 선박과 접촉할 때 회전가능한 롤러형 펜더(210)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롤러형 펜더(210)는 조석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부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펜더모듈(200a)을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펜더모듈 구동모터(27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펜더모듈(200, 200a)은 상기 롤러형 팬더(210)가 일측에 결합되는 펜더 장착부재(220); 펜더 장착부재(220)의 타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축(230) 및 상기 각 지지축(230)에 연결된 다수의 엑추에이터(24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펜더 장착부재(220)는 베이스 부재(221); 상기 베이스 부재(221)의 일측에 결합된 롤러형 펜더 설치부재(222); 상기 베이스 부재(221)의 타측에 형성된 다수의 회전용 힌지(22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롤러형 펜더(210)은 상기 롤러형 펜더 설치부재(222)에 회전 및 조석에 따라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축(240)은 상기 각 회전용 힌지(223)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230)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221)가 회전용 힌지(223)의 힌지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부두.하부 부유체 롤러(211, 212)의 사이에 구비된 스페이서(213)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형 펜더(210)는 상부 부유체 롤러(211); 하부 부유체 롤러(212) 및 상기 상, 하부 부유체 롤러(211, 212)의 사이에 구비된 스페이서(213)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안부(120)의 입구에는 수문(13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두 구조물(110)에 상기 선박(S)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션검출시스템(30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선박(S)의 선수, 선미 및 양현 중의 적어도 2곳과 연결되는 계류삭(410)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계류삭(410)의 장력을 측정하여 선박(S)을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50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톱니형 부두는 접안부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박을 독립적으로 계류할 수 있으므로, 선박 간의 충돌 등으로 인한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선박의 접안 소요시간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톱니형 부두는,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선박이 자동으로 접안되는 톱니 형상의 접안부가 형성되어 있어 기존의 부두에서 접안에 필요한 예선의 지원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톱니형 부두는 접안된 선박의 양측으로 톱니 형상의 부두 구조물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하역 작업이 선박의 양측에서 가능하고 더 많은 선박의 접안이 가능하여 항만의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톱니형 부두에서는 부유체로 형성된 롤러형 펜더가 구비되어 있어 부두 충격력을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석간만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톱니형 부두에는 모션검출시스템 및 자동장력 계류용 윈치가 구비되어 있어, 선박의 6자유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선체의 운동을 줄여 안정적인 선체 제어 및 선박의 계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선박을 지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나타난 선박 접안유닛.
도 2는 종래기술 2에 나타난 계류로프 유압식 장력조절장치의 배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톱니형 부두의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톱니형 부두의 출입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팬더모듈의 제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롤러형 팬더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톱니형 부두의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팬더모듈의 제2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톱니형 부두의 제1 실시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톱니형 부두의 제2 실시예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톱니형 부두는, 부두 구조물(110); 다수의 접안유닛(200, 200a); 모션 검출시스템(300); 다수의 윈치(400); 및 선박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500)을 포함하고 있다.
부두 구조물(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조물(110)로 형성되어 있고, 톱니 형상 구조물의 사이사이에 생성되는 톱니 형상의 오목부에는 선박(S)을 접안하는 접안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접안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부두 구조물(110)에 의하여 양 측면이 경사면(111)으로 구성되므로, 접안부(120)의 입구는 폭이 넓고, 양 측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선박(S)은 접안부(120)에 진입하면서 자연스럽게 접안하게 되므로 기존의 부두에서와 달리 선박(S)을 쉽게 접안할 수 있다.
상기 접안부(120)에 선박(S)을 접안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의 양측으로 부두 구조물(110)이 존재하게 되므로, 선박(S)의 좌, 우현측에서 모두 하역작업이 가능하므로, 하역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톱니형 부두 구조물(100)의 전방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문(13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문(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3)에 닿지는 않고, 해수면(2) 아래에 까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문(130)은 접안부(120)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도가 센 경우에는 수문을 닫아서 접안부(120)를 파도의 영향으로부터 최소화하고 선박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적인 접안 뿐 아니라, 선박으로부터의 하역작업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두 구조물(100)의 톱니 형상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11)에는 다수의 접안유닛(2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접안유닛(200)은 접안부(120)에 진입한 선박(S)의 좌, 우현에 접촉하여 선박(S)이 안정적으로 접안될 수 있도록 선박(S)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선박(S)과 부두 구조물(110) 사이의 충격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구성요소이다.
상기 각 접안유닛(200)은 롤러형 펜더(210)와, 상기 롤러형 팬더(210)가 결합되는 펜더 장착부재(220) 및 상기 펜더 장착부재(220)를 지지하는 지지축(230)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지지축(230)에 연결되어 롤러형 펜더(210)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엑추에이터(24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펜더 장착부재(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21)와, 상기 베이스 부재(221)의 일측에 결합된 롤러형 펜더 설치부재(222) 및 상기 베이스 부재(221)의 타측에 형성된 다수의 회전용 힌지(2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221)는 상기 다수의 회전용 힌지(223)에 상기 지지축(230)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힌지(223)의 힌지축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할 정도의 폭을 갖는 평판이면 충분하고 선박을 지지하면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롤러형 펜더 설치부재(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2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봉(222a) 및 상기 가이드봉(222a)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222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절곡부(222b)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221)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상하 방향의 가이드봉(222a)은 상기 베이스 부재(221)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형 펜더(210)는 접안부(120)에 진입한 선박(S)의 좌, 우현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선박(S)이 부두 구조물(11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선박(S)의 좌, 우현에 접촉한 후, 선박(S)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형 펜더(210)는 조석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선박(S)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부유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를 위하여 상기 롤러형 펜더(21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봉(222a)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롤러형 펜더(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봉(222a)이 연결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 상부 부유체 롤러(211)와 하부 부유체 롤러(212) 및 상기 상부, 하부 부유체 롤러(211, 212)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213)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13)도 부유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213)의 외경은 상기 상부, 하부 부유체 롤러(211, 21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스페이서(213)는 상부, 하부 부유체(211, 212)의 간격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선박(S)과 접촉을 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스페이서(213)는 상하 방향의 이동만 고려하면 되고, 회전 운동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페이서(213)의 중공부는 상부, 하부 부유체 롤러(211, 212)의 중공부보다 크게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롤러형 펜더(210)는, 선박(S)을 접안시킬 때, 상부와 하부 부유체 롤러(211, 212)가 선박의 좌현 또는 우현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선박(S)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선체 표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접촉 간격이 보다 넓은 상태에서 선체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부, 하부 부유체 롤러(211, 212)를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높이의 하나의 부유체로 형성되어 있는 롤러보다, 상하 방향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부와 하부 부유체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선박(S)과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길이가 긴 롤러가 접하고 있는 경우보다 변형이 보다 자유로울 수 있어 지지하는 힘의 분포가 보다 안정적으로 분포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선박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221)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용 힌지(223)에는 각각 지지축(23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용 힌지(2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힌지축이 상기 가이드봉(222a)의 방향과 수직, 즉, 도면상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회전용 힌지(223)는 저널 베이링 형태로 구성되어 힌지축 이외의 방향으로는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펜더 장착부재(220)는 상기 부두 구조물(110)에 지지된 지지축(230)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크기에 맞게 대응할 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240)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240)는 설계된 강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 기구와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감쇠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도 5에는 그 한 예로 스프링과 유압실린더 타입으로 구성된 엑츄에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엑츄에이터(240)는 부두 구조물에 지지된 유압 실린더(241)와 상기 유압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230)과 연결되는 피스톤(242) 및 상기 실린더(241)와 베이스 부재(221) 사이에서 구비된 스프링(24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241)에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하는 피스톤 조절용 펌프(26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엑츄에이터(240)는 하나의 실시예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성부와 감쇠부를 가지면서 펜더 장착부재(22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할 것이다.
이러한 엑츄에이터(240)가 구비된 펜더모듈(200)에서는 실린더(241)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실린더(241)에 구비된 피스톤의 거동을 조절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더 장착부재(220)를 수평축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형상의 선체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상부, 하부 펜더 롤러(211, 212)가 안정적으로 선박(S)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펜더모듈(200)은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석과 무관하게 선체의 형상과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선박을 지지하면서 안전한 접안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부(120)에 계류된 선박(S)에서도 지지하면서, 계류된 선박(S)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하역 등의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펜더모듈은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엑츄에이터(240)가 수직축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펜더 모듈(200a)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보다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 구조물(11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펜더모듈 회전축부(280) 및 이를 구동시킬 수 있는 펜더모듈 구동모터(27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펜더모듈 회전축부(280)에는 다수의 실린더 지지부(282)가 구비된 회전축부 몸체(28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241)는 상기 실린더 지지부(282)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펜더모듈 구동모터(27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24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펜더 장착부재(220) 및 롤러형 펜더(210)도 함께 상기 펜더모듈 회전축부(28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선박(S)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펜더 모듈(200a)은 제1 실시예에 나타난 펜더 모듈(200)과 마찬가지로 부유체로 형성된 롤러(210)가 조석과 무관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선박(S)에 접촉하여 선박(S)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지지축(230)의 방향을 회전시키며 보다 더 안정적으로 선박의 전후 방향 움직임도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두 구조물(110)에는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되는 선박(S)의 모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션검출시스템(30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모션검출시스템(300)은 설치된 비젼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선체 운동을 측정하거나, 선박(S)에 구비되어 있는 6자유도 모션 센서(310)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선박(S)의 모션을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모션검출시스템(300)에 상기 비젼 카메라(미도시)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하여 선박(S)의 6자유도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접안부(120)에 계류된 선박(S)에서 하역작업을 하는 중에도 모니터링을 계속하면서, 선박(S)이 안정적으로 접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계류삭(410)을 통한 선체 제어 및 선박의 계류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선박(S)의 안정적인 하역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부두 구조물(110)에는 계류 선박(S)의 선수와 선미측에 계류삭(410)을 연결할 수 있는 윈치(40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윈치(400)는 종래기술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계류로프 장력조절이 가능한 윈치(400)를 구성하고, 상기 계류삭(410)의 장력을 자동으로 측정하며 상기 모션검출시스템(300)과 연동하여 선박(S)을 지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선박(S)의 선수, 선미 및 양현 중의 적어도 2곳과 연결되는 계류삭(410)의 장력을 측정하여 선박(S)을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자동제어시스템(500)이 함께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를 이용하여 선박(S)의 다양한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펜더모듈(200, 200a)의 엑츄에이터(230, 230a)와 윈치(400)에 연결된 계류삭(410)을 함께 조절하면서 선박(S)을 지정된 위치에 정확히 놓이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해수 2: 해수면 3: 해저면
100, 100a: 톱니형 부두 110: 부두 구조물
111: 경사면 120: 접안부 130: 수문
200, 200a: 펜더모듈 210: 롤러형 펜더
211: 상부 부유체 롤러 212: 하부 부유체 롤러
213: 스페이서 220: 롤러형 펜더 장착부재
221: 베이스 부재 222: 롤러형 펜더 설치부재
222a: 가이드봉 222b: 절곡부
223: 회전용 힌지 230: 지지축
240, 240a: 엑츄에이터 241: 유압 실린더
242: 피스톤 243: 스프링 260: 피스톤 조절용 펌프
270: 펜더모듈 구동모터 280: 펜더모듈 회전축부
281: 회전축부 몸체 282: 실린더 지지부
300: 모션 검출시스템 310: 6자유도 모션 감지 센서 400: 윈치
410: 계류삭 500: 자동제어시스템 S: 선박

Claims (6)

  1. 선박(S) 접안이 용이하도록 톱니 형태의 접안부(120)가 구비된 부두 구조물(110); 및 상기 접안부(120)의 양측에 다수의 펜더모듈(200, 20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펜더모듈(200, 200a)은 선박과 접촉할 때 회전가능한 롤러형 펜더(210)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롤러형 펜더(210)는 조석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부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부두에 있어서,
    상기 각 펜더모듈(200, 200a)은,
    상기 롤러형 펜더(210)가 일측에 결합되는 펜더 장착부재(220); 펜더 장착부재(220)의 타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축(230) 및 상기 각 지지축(230)에 연결된 다수의 엑추에이터(240)를 포함하고,
    상기 펜더 장착부재(220)는,
    상기 다수의 지지축(230)과 힌지결합되는 베이스 부재(221); 및
    상기 베이스 부재(221)의 일측에 결합되는 롤러형 펜더 설치부재(222)를 포함하되,
    상기 롤러형 펜더 설치부재(222)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봉(222a)과 상기 가이드봉(222a)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222b)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형 펜더(210)는,
    상기 가이드봉(222a)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부, 하부 부유체 롤러(211, 21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부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모듈(200a)의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펜더모듈(200a)을 회전시킬 수 있는 펜더모듈 구동모터(27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부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120)의 입구에는 수문(1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부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두 구조물(110)에 상기 선박(S)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션검출시스템(30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부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S)의 선수, 선미 및 양현 중의 적어도 2곳과 연결되는 계류삭(410)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계류삭(410)의 장력을 측정하여 선박(S)을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50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부두.
KR1020200085026A 2020-07-09 2020-07-09 톱니형 부두 KR102466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026A KR102466590B1 (ko) 2020-07-09 2020-07-09 톱니형 부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026A KR102466590B1 (ko) 2020-07-09 2020-07-09 톱니형 부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69A KR20220006969A (ko) 2022-01-18
KR102466590B1 true KR102466590B1 (ko) 2022-11-11

Family

ID=8005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026A KR102466590B1 (ko) 2020-07-09 2020-07-09 톱니형 부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5134B (zh) * 2022-04-12 2023-05-05 江苏大学 一种无人船的泊岸自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328Y1 (ko) * 2004-08-10 2004-11-11 원 회 양 선박의 접안 부두시설
KR101973075B1 (ko) * 2017-10-27 2019-04-26 삼성중공업(주) 벙커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2448B2 (ja) * 1993-02-15 2002-10-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引込み押出し装置
KR20110074414A (ko)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선박 접안 장치 및 방법
KR20150027914A (ko) * 2013-09-04 2015-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계류 제어 시스템
KR101756279B1 (ko) 2016-02-22 2017-07-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류로프의 유압식 장력조절 장치
KR102189797B1 (ko) * 2018-05-17 2020-12-11 삼성중공업(주) 방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328Y1 (ko) * 2004-08-10 2004-11-11 원 회 양 선박의 접안 부두시설
KR101973075B1 (ko) * 2017-10-27 2019-04-26 삼성중공업(주) 벙커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69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709B2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WO2019071665A1 (zh) 五自由度变胞式多用途船舶靠泊装置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US20180178885A1 (en) Automated mooring device
US5501625A (en) Floating terminal
KR102466590B1 (ko) 톱니형 부두
KR100280022B1 (ko) 잠수된 적재 또는 하역용부이를 수용공간에 안내하는 장치
AU2010248209A1 (en) Step CAM mooring system
KR101282772B1 (ko) 선박의 선형을 고려한 능동형 롤링 펜더
CN110949611A (zh) 一种系泊装置、船舶及该系泊装置的布置方法
US109609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watercraft
KR101145253B1 (ko) 피칭 텐셔너 장치
KR102584497B1 (ko) 무인 예인장치
AU2001236248B2 (en) Mooring device
KR20220033209A (ko)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EP3763616A1 (en) A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ally driven ship
JP2022540094A (ja) 洋上発電システム
US10112689B2 (en) Watercraft positioning system
JPH07101379A (ja) 浮揚構造物の係留構造
RU215135U1 (ru) Поворотный буксирный швартовный механизм
CN220054099U (zh) 一种包含下水工作船的下水系统
KR20220034400A (ko) 펜더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CN103118932A (zh) 可缩回链连接器
KR101149500B1 (ko) 선박 이접안 시스템
KR20220009619A (ko) 임시 접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