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126B1 -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126B1
KR102237126B1 KR1020130141353A KR20130141353A KR102237126B1 KR 102237126 B1 KR102237126 B1 KR 102237126B1 KR 1020130141353 A KR1020130141353 A KR 1020130141353A KR 20130141353 A KR20130141353 A KR 20130141353A KR 102237126 B1 KR102237126 B1 KR 102237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quay wall
hull
rod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683A (ko
Inventor
정재민
이용석
황윤식
황상욱
김민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1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2Magnetic mooring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는, 로드가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로드가 안벽 및 선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실린더유닛; 및 실린더유닛의 로드에 결합되되, 로드의 축선에 교차하는 복수의 라인에 대한 각각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로드에 결합되는 조인트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QUAY MOORING AUXILIARY DEVICE FOR SHIP, AND MO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안벽에 안전하게 접안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 운송에 사용되는 선박은 여객의 승강이나 화물의 적하를 위해 항구에 마련된 부두 안벽에 접안된다. 또한 선박은 건조 시에 조선소에 마련된 안벽에 접안된다.
이와 같이 안벽의 접안 벽에 접안되는 기존의 선박은 계류 장치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계류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선박의 계류 장치로서 다수의 계류 라인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다수의 계류 라인을 갖는 안벽에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선박의 계류장치로는, 계선주(bitt) 및 페어 리더(fair leader), 계류 윈치(mooring winch)가 사용된다.
이들 중 페어 리더는 계류 로프가 선박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여 계류 로프를 지지한다. 또한, 계류 윈치는 계류 로프를 자동으로 감아 들이거나 풀어주어 계류 로프의 장력을 고르게 유지시킨다. 계류 로프는 선박의 안벽 계류 시 항구에 설치된 고정식 계선주에 고정되어 선박을 계류시킨다.
계선주 및 페어 리더는 선박의 건조 시 폭로 갑판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식으로 구비되며, 계류 윈치 역시 고정된 페어 리더 및 계선주와 소정 거리를 두고 고정식으로 설치된다.
안벽 계류 시 선박에서는, 항구 내의 안벽에 설치된 고정식 계선주에 의해 계류 가능한 위치를 확인하고, 안벽 상태에 따라 선박의 접안 및 계류 위치를 확정해 선박을 안벽 계류하게 된다.
일 예로 선박의 계류 능력은 건조가 완성되어 운항이 가능한 선체 상태를 기준으로 정해지므로, 일정 풍속 이상의 풍랑 또는 태풍 조건을 견딜 수 없다.
따라서 조선소 내에서는, 건조 과정 중인 특히 진수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선박의 경우, 의장 작업을 위한 안벽 접안 상태에서 태풍이 내습을 견딜 수 있도록 보조적인 계류장치 혹은 다른 개념의 계류방식이 적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의 적용 시에는, 넓은 범위에 걸쳐서 뻗어 있는 계류라인에 의해 안벽작업에 방해를 받았으며, 풍랑 또는 태풍 시 계류라인 부족에 의한 선박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계류라인은, 풍랑 또는 태풍 시 기존의 계류라인 외에 추가적으로 선박을 잡아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부재하였다. 이처럼, 종래에는 선박에 미리 설치된 계류장비를 사용해야 했으며, 부족한 경우 추가하기가 어려웠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02682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다수의 계류라인의 개수를 줄이어 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강력한 풍랑 또는 태풍 발생 시에 기존에 설치된 계류라인 외에 추가적으로 선박을 잡아 놓을 수 있으므로, 선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로드가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안벽에 마련되되, 상기 로드가 선체에 결합되는 실린더유닛; 및 상기 실린더유닛의 로드에 결합되되, 상기 로드의 축선에 교차하는 복수의 라인에 대한 각각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조인트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선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전술한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는, 상기 로드를 상기 선체에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자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는, 상기 실린더유닛이 상기 안벽 위에 결합되되, 상기 실린더유닛을 상기 안벽에 결합시키는 조인트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유닛은, 상기 자석모듈이 배치되는 제1 조인트모듈; 상기 실린더유닛에 결합되는 제2 조인트모듈; 및 상기 제1 조인트모듈과 상기 제2 조인트모듈을 상호 결합시키는 유니버셜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실린더유닛의 양쪽으로 각각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양쪽의 로드 중 어느 한쪽의 로드는 상기 조인트유닛에 의해 선체에 결합되며, 다른 한쪽의 로드는 상기 조인트유닛에 의해 안벽 위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는,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로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유닛에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에 의해 상기 로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수집하되, 상기 하중이 미리 설정된 하중 이상인 경우, 알람을 작동시키는 알람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벽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술한 상기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선체에 권선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계류라인; 상기 계류라인이 고정되도록 상기 안벽 위에 설치되는 안벽 계선주; 상기 계류라인이 상기 선체의 외부로 쉽게 이동되도록 상기 선체 상에 마련되는 선상 계선주; 상기 계류라인이 자동으로 감기고 혹은 풀리도록 상기 선체 상에 마련되는 계류윈치; 및 상기 안벽과 상기 선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접안 시 혹은 접안 후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방현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계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계류를 위해 항만의 안벽으로 상기 선박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된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유입 혹은 반대로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물을 배출시켜 접안이 가능하도록 상기 안벽에 대해 상기 선박의 흘수를 조절하는 단계; 선체에 있는 다수의 계류라인을 풀어 상기 안벽 위에 있는 안벽 계선주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안벽과 상기 선체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방현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안벽 위에 있으며 로드가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로드가 안벽 및 선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실린더유닛과, 상기 실린더유닛의 로드에 결합되되, 상기 로드의 축선에 교차하는 복수의 라인에 대한 각각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조인트유닛을 이용하되, 상기 조인트유닛에 결합되어 있는 자석모듈을 상기 선체에 부착하여 상기 로드를 상기 선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계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석모듈은, 상기 선체의 격벽이 있거나 별도 보강이 이루어진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계류라인의 개수를 줄이어 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강력한 풍랑 또는 태풍 발생 시에 기존에 설치된 계류라인 외에 추가적으로 선박을 잡아 놓을 수 있으므로, 선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계류장치에 의한 선박의 접안배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벽계류 보조장치와 선박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110)는, 로드(122)가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안벽(100) 위에 설치되어 선체(102)에 로드(122)가 연결되는 실린더유닛(120)과, 실린더유닛(120)의 로드(122)에 결합되며 로드(122)의 축선에 교차하는 복수의 라인에 대한 각각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로드(122)에 결합되는 조인트유닛(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110)는, 안벽(100)에 인접한 선박(101)을 안벽(100)에 인접한 영역으로 잡아두는 데 사용된다.
즉 선박(101)은, 접안 시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선체(102) 상에 있는 계류라인(105)이 안벽(100) 위에 있는 안벽 계선주(106)에 연결되어 접안이 완료된다.
이때, 다수의 계류라인(105)은, 주로 선수와 선미 상에 있는 계류라인(105)만 사용하며, 선수와 선미 사이의 선체(102)에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122)가 연결된다.
또한 로드(122)와 선체(102) 사이에는, 조인트유닛(130)이 배치되므로, 조인트유닛(130)에 의한 선체(102)의 일정 유동이 허용되면서 선박(101)이 계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안벽계류 보조장치(110)는, 선수와 선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다수의 계류라인(105)의 개수를 줄이어 계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강력한 풍랑 또는 태풍 발생 시에 기존에 설치된 계류라인(105) 외에 실린더유닛(120)에 의해 추가적으로 선박(101)을 잡아 놓을 수 있으므로, 선박(101)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벽계류 보조장치(110)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안벽계류 보조장치(110)는, 실린더유닛(120)의 로드(122)가 유압에 의해 실린더본체(121)로부터 이동되어 선체(102) 상에 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로드(122)에는 자석모듈(135)이 결합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110)는, 로드(122)가 선체(102)에 결합될 때 로드(122)를 선체(102)에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자석모듈(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석모듈(135)은, 선체(102)의 격벽이 있거나 별도 보강이 이루어진 부분에 부착된다. 이러한 자석모듈(135)은, 원격으로 자력이 ON/OFF 가능한 전자석 또는 스위치 절환형 영구자석일 수 있다.
선박(101)은, 로드(122)에 결합되어 있는 자석모듈(135)이 선체(102)에 부착됨으로써 실린더유닛(120)에 의해 안벽(1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실린더유닛(120) 4개가 안벽(100) 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선체(102)는 선수와 선미의 계류라인(105)뿐만 아니라, 4 개의 실린더유닛(120)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110)는, 실린더유닛(120)이 안벽(100) 위에 결합되되, 실린더유닛(120)을 안벽(100)에 결합시키는 조인트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모듈(135)의 반대 측에도 조인트유닛(130)이 배치된다. 이러한 조인트유닛(130)은 실린더본체(121)의 단부에 결합되며, 실린더본체(121)는 조인트유닛(130)에 의해 안벽(100)에 대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처럼 실린더본체(121)에 결합되는 조인트유닛(130)은, 실린더본체(121)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로드(122)로부터 전달되는 선체(102)의 유동을 수용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유닛(130)들 중 로드(122)에 결합되는 조인트유닛(130)은, 자석모듈(135)이 배치되는 제1 조인트모듈(131)과, 실린더유닛(120)에 결합되는 제2 조인트모듈(132)과, 제1 조인트모듈(131)과 제2 조인트모듈(132)을 상호 결합시키는 유니버셜조인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유닛(130)은, 유니버셜조인트(133)를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제2 조인트모듈(132)에 대한 제1 조인트모듈(131)의 움직임을 허용하므로, 제1 조인트모듈(131)과 자석모듈(135)에 의해 연결되는 선체(102)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따른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유닛(130)은, 제1 조인트모듈(131)과 제2 조인트모듈(132)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십자구조의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이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해 수평 및 수직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는 조인트구조이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유니버셜조인트(133)에 의해 한정되진 않으며, 다른 방식인 스핀조인트로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110)는, 선체(102)로부터 로드(12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 가능하도록 실린더유닛(120)에 마련되는 센서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센서유닛(150)에 의해 로드(122)에 가해지는 하중은 알람유닛(160)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알람유닛(160)은, 센서유닛(150)으로부터 수집되는 하중이 미리 설정된 하중 이상인 경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소리, 진동, 시각적 표시의 알람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강력한 풍랑 혹은 태풍에 의해 선박(101)이 유동되는 경우, 선박(101)으로부터 로드(122)로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될 수 있으며, 자석모듈(135) 또는 로드(122)는 선박(101)에 가해지는 일정 수준의 부하를 견뎌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수준보다 낮은 단계의 미리 설정된 하중이 로드(122)에 가해질 때, 선박(101)의 계류라인(105)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알람이 설정된다.
알람유닛(160)에 의한 알람이 전달되는 경우, 선박(101)에 계류라인(105)을 추가하여 선박(101)의 안벽(100)에 대한 고정상태를 강화시키며, 혹은 자석모듈(135)에 대한 자력의 세기를 강화시킨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달리 실린더유닛(220)의 실린더본체(221)의 양쪽에 로드(2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222)는, 실린더유닛(220)의 양쪽으로 각각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양쪽의 로드(222) 중 한쪽의 로드(222)는 조인트유닛(230)에 의해 선체(102)에 결합되며, 다른 한쪽의 로드(222)는 조인트유닛(230)에 의해 안벽(100) 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로드(222)는, 실린더본체(22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로 실린더본체(22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박(101)을 안벽(100)에 접안 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자석모듈(235)이 결합되는 로드(222)가 선체(102)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벽(100) 측의 로드(222)가 실린더본체(221)로 들어가도록 유압라인(241)에 의한 유압이 가해질 수 있으며, 다시 선체(102)에 연결된 로드(222)가 실린더본체(221)로 들어가도록 다른 유압라인(242)에 의한 유압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101)은, 안벽(100)에 인접한 영역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계류라인(105)과 함께 실린더유닛(120)에 의해 안벽(100)에 접안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실린더유닛(220)은, 양쪽에 배치된 로드(222)의 이동에 의해 2단으로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선박(101)은 안벽(100)에 대한 인접 위치에 따라 1 단계 혹은 2 단계로 안벽(100)에 대한 접안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치는, 전술한 안벽계류 보조장치(110)의 계류라인(105)에 연관되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치는, 안벽(100)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110)와, 선체(102)에 권선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계류라인(105)과, 계류라인(105)이 고정되도록 안벽(100) 위에 설치되는 안벽 계선주(106)와, 계류라인(105)이 선체(102)의 외부로 쉽게 이동되도록 선체(102) 상에 마련되는 선상 계선주(107)와, 계류라인(105)이 자동으로 감기고 혹은 풀리도록 선체(102) 상에 마련되는 계류윈치(1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치는, 안벽(100)과 선체(102) 사이에 배치되되 접안 시 혹은 접안 후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방현재(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박(1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수와 선미의 계류라인(105)이 계류윈치(108)로부터 풀리어 선상 계선주(107)에 의해 안벽(100) 위로 이동된 후 안벽 계선주(106)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시 계류윈치(108)가 감기어 계류라인(105)의 길이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선체(102)는, 안벽(100)에 설치된 방현재(109)에 접촉되어 접안 시에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안벽(100) 위의 실린더유닛(120)으로부터 돌출되는 로드(122)가 자석모듈(135)에 의해 선체(102)에 연결되어 선박(101)은 복수의 실린더유닛(120)에 의해서도 안벽(100)에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선박의 계류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방법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방법은, 선박(101)의 계류를 위해 항만의 안벽(100)으로 선박(101)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이동된 선박(101)의 밸러스트 탱크(미도시)에 물을 유입 혹은 반대로 밸러스트 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을 배출시켜 접안이 가능하도록 안벽(100)에 대해 선박(101)의 흘수를 조절하는 단계와, 선체(102)에 있는 다수의 계류라인(105)을 풀어 안벽(100) 위에 있는 안벽 계선주(106)에 결합하는 단계와, 안벽(100)과 선체(102)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방현재(109)를 배치하는 단계와, 안벽(100) 위에 있으며 로드(122)가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로드(122)가 선체(102)에 결합되는 실린더유닛(120)과 실린더유닛(120)의 로드(122)에 결합되되 로드(122)의 축선에 교차하는 복수의 라인에 대한 각각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로드(122)에 결합되는 조인트유닛(130)을 이용하여 선체(102)를 위치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101)의 계류방법에 의하면, 조인트유닛(130)에 결합되어 있는 자석모듈(135)을 선체(102)에 부착하여 로드(122)를 선체(102)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101)은, 계류라인(105)에 의해 안벽(100)에 계류된 상태에서, 실린더유닛(120)과 조인트유닛(130)이 결합된 로드(122)에 의해 안벽(100)에 더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선박(101)은, 안벽(100)에 인접한 상태에서 자석모듈(135)이 부착되어 실린더유닛(120)에 의해 안벽(100)에 먼저 계류된 상태에서, 계류라인(105)이 안벽 계선주(106)에 연결되어 계류될 수 있다.
전술한 자석모듈(135)은, 선체(102)의 격벽이 있거나 별도 보강이 이루어진 영역에 부착된다.
즉 자석모듈(135)이 강성이 약한 영역에 결합되면 선체(102)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자석모듈(135)이 부착될 수 있도록 격벽이 있거나 보강된 영역을 미리 선체에 표시한다. 그리고 접안 시에 선박의 위치를 조종하여 미리 표시된 영역에 자석모듈(135)이 대응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안벽 101: 선박 102: 선체
105: 계류라인 106: 안벽 계선주 107: 선상 계선주
108: 계류윈치 109: 방현재
110: 안벽계류 보조장치
120: 실린더유닛 121: 실린더본체 122: 로드
130: 조인트유닛 131: 제1 조인트모듈
132: 제2 조인트모듈 133: 유니버셜 조인트
135: 자석모듈 150: 센서유닛
160: 알람유닛

Claims (10)

  1. 로드가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안벽에 마련되되, 상기 로드가 선체에 결합되는 실린더유닛; 및
    상기 실린더유닛의 로드에 결합되되, 상기 로드의 축선에 교차하는 복수의 라인에 대한 각각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조인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상기 선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로드를 상기 선체에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자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유닛이 상기 안벽 위에 결합되되, 상기 실린더유닛을 상기 안벽에 결합시키는 조인트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상기 실린더유닛의 양쪽으로 각각 선형이동(linear motion)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양쪽의 로드 중 어느 한쪽의 로드는 상기 조인트유닛에 의해 선체에 결합되며, 다른 한쪽의 로드는 상기 조인트유닛에 의해 안벽 위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모듈은, 상기 선체의 격벽이 있거나 별도 보강이 이루어진 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실린더유닛은, 양쪽으로 각각 선형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로드의 이동에 의해 2단으로 전체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선체는 상기 안벽에 대한 인접 위치에 따라 1 단계 또는 2 단계로 상기 안벽에 대한 접안 위치가 정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유닛은,
    상기 자석모듈이 배치되는 제1 조인트모듈;
    상기 실린더유닛에 결합되는 제2 조인트모듈; 및
    상기 제1 조인트모듈과 상기 제2 조인트모듈을 상호 결합시키는 유니버셜조인트를 포함하는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로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유닛에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에 의해 상기 로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수집하되, 상기 하중이 미리 설정된 하중 이상인 경우, 알람을 작동시키는 알람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8. 안벽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항, 제4 항, 제6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선체에 권선 가능하게 탑재되는 다수의 계류라인;
    상기 계류라인이 고정되도록 상기 안벽 위에 설치되는 안벽 계선주;
    상기 계류라인이 상기 선체의 외부로 쉽게 이동되도록 상기 선체 상에 마련되는 선상 계선주;
    상기 계류라인이 자동으로 감기고 혹은 풀리도록 상기 선체 상에 마련되는 계류윈치; 및
    상기 안벽과 상기 선체 사이에 배치되되, 접안 시 혹은 접안 후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마련되는 방현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계류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30141353A 2013-11-20 2013-11-20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102237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353A KR102237126B1 (ko) 2013-11-20 2013-11-20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353A KR102237126B1 (ko) 2013-11-20 2013-11-20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683A KR20150057683A (ko) 2015-05-28
KR102237126B1 true KR102237126B1 (ko) 2021-04-08

Family

ID=5339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353A KR102237126B1 (ko) 2013-11-20 2013-11-20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268A (ko) 2015-09-24 2017-04-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극한환경에서의 안벽 계류 능력이 우수한 해상 부유체
KR102525474B1 (ko) * 2022-04-25 2023-04-26 한국기계연구원 복합 제어 기반 계류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6086A (ja) * 2010-07-20 2012-02-09 Japan Workvessel Association 係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712B1 (ko) * 2008-12-09 2011-08-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접안시설용 선박 고정장치
KR20100131908A (ko) * 2009-06-08 2010-12-16 (주) 하영 선박 접안유도시스템
KR20110065878A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포인트 원격 계류 관제 장치
KR20120002682A (ko) 2010-07-01 2012-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의 외판 내측에 계류윈치가 설치된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6086A (ja) * 2010-07-20 2012-02-09 Japan Workvessel Association 係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683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1516B1 (en) Marine barrier gate
KR101380649B1 (ko) 해상 타워 접안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타워
CN110877666A (zh) 自航式水下隧道沉管运载安装一体船及施工工艺
US20190263483A1 (en) Self-propelled integrated ship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immersed tubes of underwater tunnel and construction process
CN203268291U (zh) 一种新型船舶液舱制荡装置
CN101519112B (zh) 高速高海况工作、救助两用艇
CN112823118A (zh) 用于船只的自动系泊装置
KR102237126B1 (ko)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CN104619583B (zh) 半潜水式平台
KR102076497B1 (ko)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EP3003846B1 (en) Cradle assembly for boats
JP2006515250A (ja) 遭難船用の救助船、船の救助方法、および救助船の応用
KR102403659B1 (ko) 대형 수상부유식 구조 및 초대형 해상부유식 구조물의 기본모듈
CN110949611A (zh) 一种系泊装置、船舶及该系泊装置的布置方法
KR101481329B1 (ko)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CN102963509B (zh) 30万干船坞并联建造船只出坞的牵引方法
KR100827462B1 (ko) 이동식 플로팅 안벽
KR200468323Y1 (ko) 선박 계류용 펜더
KR20110136395A (ko) 반목 유격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CN104097748A (zh) 钢圆筒振沉施工的驻位吊运方法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CN211943655U (zh) 一种系泊装置及船舶
KR101606693B1 (ko)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US4246860A (en) Method for anchor retrieval
KR20220033209A (ko) 유동 구조를 갖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선박과 부두 안벽의 접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