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203A -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203A
KR20190082203A KR1020197011964A KR20197011964A KR20190082203A KR 20190082203 A KR20190082203 A KR 20190082203A KR 1020197011964 A KR1020197011964 A KR 1020197011964A KR 20197011964 A KR20197011964 A KR 20197011964A KR 20190082203 A KR20190082203 A KR 20190082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score
medical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나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유타카 나카바야시
나카바야시 미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타카 나카바야시, 나카바야시 미에코 filed Critical 유타카 나카바야시
Publication of KR2019008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06F17/2705
    • G06F17/28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쌍방이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용이,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개호와 의료를 적절하게 연계시킨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점수 산출부(12)는 건강 정보 취득부(11)에 의해 취득한 건강 정보 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평가 항목에 따라 수치화하여 채점하고,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한다. 공통 언어 변환부(13)는 점수 산출부(12)에 의해 산출한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개호 종사자와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날씨 예보의 표현인 공통 언어로 변환한다.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는 점수 산출부(12)에 의해 산출한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미리 설정한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기준값 이상일 때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한다.

Description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
본 발명은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계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사이에서, 지원이 필요한 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어, 고령자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자의 인구가 현저하게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앞으로 점점 개호나 의료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점에서, 고령자 등의 존엄의 유지와 자립 생활의 지원의 목적하에서, 가능한 한 익숙한 지역에서 자신다운 생활을 인생의 마지막까지 계속하게 할 수 있도록 지역의 포괄적인 지원 서비스 제공 체제(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를 구축하는 것이 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가 널리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개호 시설 등이 보유하는 개호 관련 정보와 의료 기관이 보유하는 의료 관련 정보를 정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공유할 수 있으면,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평상시로부터 병의 이환기, 또한 퇴원 후의 생활에 이르기까지 일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각 고령자 등에 따른 최적의 개호나 의료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의료와 개호와의 정보 공유를 도모하는 의료 시스템과 연계된 개호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의 시스템에서는 액세스 권한을 규정함으로써 비익성이 높은 정보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의료·개호 시스템간의 연계를 도모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고령자 정보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2의 시스템에서는 고령자의 건강 상태나 각종 요망이나 상담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 기관 등에 고령자의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일본 특개 2015-028773호 공보 일본 특개 2010-244091호 공보
그러나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서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가 주장된지도 오래되었고, 또 특허문헌 1, 2와 같은 각종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가 반드시 잘 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 현상황이다.
그 이유의 하나로 개호 종사자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자의 관계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사이에서 이용되는 표현이 상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개호의 현장에 있어서 개호 종사자 등은 「안색이 나쁘고 구역질이 나며 신체를 만지면 식은땀이 느껴진다」 등과 같이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표현하지만, 의료의 현장에 있어서 의료 종사자는 「혈압은 80/40, SpO2는 89%이며, JCS는 두자리」 등과 같이 표현한다.
이와 같이 표현이 상이한 상황에서는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가 잘 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의료측으로서는 개호 종사자 등도 의료에 대해서 공부하지 않으면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를 도모할 수 없다는 취지를 주장한다. 그러나 개호측에 있어서도 개호의 시점은 고령자 등의 생활을 지지하는 면이 중심이 되고 있어, 개호 종사자 등이 이용하는 표현은 고령자 등의 일상 생활에 밀착한 건강 상태를 알기 쉽게 나타내는 것이다. 그 때문에 개호의 현장에 있어서 갑자기 의료 용어를 사용하도록 변경했다고 해도 잘 된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반대로 일상적인 개호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생긴다.
또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가 잘 되고 있지 않은 것에 따른 폐해로서, 건강 상태가 지나치게 나빠지고나서 비로소 병원에 입원하게 되어, 퇴원해서 다시 자택이나 개호 시설로 되돌아갈 수 없는 고령자 등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는 실상이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개호측에 있어서도 입원의 적절한 타이밍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 건강의 저해·증악을 재빨리 알아차리기 위해서는 의료의 현장에 있어서 각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의사가 항상 머리 속에서 반복하는 진단 과정이나 치료에 결부되는 경험으로부터 생기는 감각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호측에 있어서도 그러한 감각을 공유하는 것은 하루아침에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현실적으로는 곤란하다.
한편, 고령자 등과 평상시에 접하고 있는 개호 종사자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자의 관계자가 직관적으로 느낀 일상적인 혼잣말 속에도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판단 재료가 될 중요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일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의사가 개호 종사자 등이 발하는 무수한 혼잣말 중에서 중요한 것만을 골라내어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개호 종사자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자의 관계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것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을 뿐만아니라, 매일 상이한 트러블과 조우하는 일도 있다. 그 때마다 방대한 업무량에 쫓기고 있는 개호 종사자 등에게 책임있는 판단을 상시 요구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개호 종사자 등 중에는 유자격자 등의 전문직은 아니지만 가족이나 친족의 보살핌이나 개호를 하고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그러한 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의 책무를 지게 하는 것은 가혹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쌍방이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용이,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개호와 의료를 적절하게 연계시킨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의료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사이에서, 지원이 필요한 자의 정보를 컴퓨터를 통하여 공유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는 건강 정보 취득부와, 미리 규정한 의료 기관의 평가 항목에 따라 상기 건강 정보를 수치화하여 채점하고,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와, 상기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상기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공통 언어로 변환하는 공통 언어 변환부와, 상기 점수가 소정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때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하는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와, 상기 점수 또는 상기 공통 언어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구비한 것에 의해 해결된다.
또 본 발명의 의료 지원 방법에 의하면, 컴퓨터에 의해,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사이에서, 지원이 필요한 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의료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는 건강 정보 취득 처리와, 상기 건강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취득한 건강 정보를 미리 규정한 의료 기관의 평가 항목에 따라 상기 건강 정보를 수치화하여 채점하고,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처리와, 상기 점수 산출 처리에 의해 산출한 상기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상기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공통 언어로 변환하는 공통 언어 변환 처리와, 상기 점수 산출 처리에 의해 산출한 상기 점수가 소정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때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하는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와, 상기 점수 산출 처리에 의해 산출한 상기 점수 또는 상기 공통 언어 변환 처리에 의해 변환한 상기 공통 언어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해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료 지원 시스템 또는 의료 지원 방법에서는 개호 종사자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로부터 얻어진 고령자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 정보에 대해서, 미리 규정한 의료 기관의 평가 항목에 따라 수치화하여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고, 그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공통 언어로 변환함과 아울러, 그 점수가 소정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때, 즉 점수가 높으면 건강 상태가 나쁘다는 조건하에서는 그 점수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또는 점수가 낮으면 건강 상태가 나쁘다는 조건하에서는 그 점수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점수 또는 점수로부터 변환한 공통 언어를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 및 의료 종사자의 쌍방이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개호의 현장에서 행해지는 개호적 판단과 의료의 현장에서 행해지는 의료적 판단의 쌍방의 전문적 판단을 중요시하여 점수화함과 아울러, 전문성이 상이한 개호 종사자 등과 의료 종사자를 결부시키는 공통 언어를 설정했다. 이것에 의해 개호 종사자 등과 의료 종사자의 쌍방이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용이,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입원의 필요 여부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호와 의료를 적절하게 연계시킨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점수화 및 공통 언어화함으로써, 누가 보아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되어, 입원 판정의 이유를 객관적이며 또한 논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가시화). 특히, 입원의 최적 타이밍을 잘못 보는 일이 없으므로, 고령자 등의 존엄의 유지와 자립 생활을 지원하면서 「거의 재택 때때로 입원」의 스타일을 확립하여, 고령자 등의 생활을 적절하게 지원할 수 있다. 한편, 개호 종사자 등 및 의료 종사자에게 있어서도 자신들이 실시한 업무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객관적이며 또한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고령자 등의 건강 관리에 직접 참가하고 있다는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또 개호 종사자 등에게 있어서는 일정한 룰에 따라 동일 동질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업무의 표준화), 자기 판단이라는 책무에 쫓기는 개호 종사자 등의 업무량 및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건강 정보 취득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키워드를 추출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고령자 등과 평상시에 접하고 있는 개호 종사자 등의 무심한 혼잣말 등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점수화함으로써, 개호 종사자 등이 일상 생활 속에서 느끼고 이해한 고령자 등의 약간의 변화 등도 빠짐없이 반영시킬 수 있어,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개호 종사자 등에게 있어서도 통상 행하고 있는 개호 종사자 등끼리의 회화를 중요시한 보고 방법으로 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고가 간소화된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건강 정보 취득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가 음성 입력한 음성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키워드를 추출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개호 종사자 등이 발하는 음성(언어)을 판독하고, 그 음성 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점수화함으로써, 개호 종사자 등이 단말에 입력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호 종사자 등이 일상 생활 속에서 느끼고 이해한 고령자 등의 약간의 변화 등도 빠짐없이 반영시킬 수 있어,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음성에 의해 시스템을 기동하도록 하면 조작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점수 산출부는 상기 평가 항목마다 비중을 바꾸어 점수를 산출하면 된다.
이와 같이 평가 항목마다 비중을 바꾸어 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예를 들면 생명에 직결되는 의식 상태, 호흡 상태, 순환기 상태 등의 이상을 크게 점수에 반영시킬 수 있어,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에 대한 다음의 행동을 지시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표시를 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판정 결과에 따라 긴급 입원이나 경과 관찰 등의 다음의 행동을 지시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표시를 행함으로써, 입원의 최적 타이밍을 잘못 보는 일이 없어, 고령자 등의 존엄의 유지와 자립 생활을 지원하면서 「거의 재택 때때로 입원」의 스타일을 확립하여, 고령자 등의 생활을 보다 적절하게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입원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고령자 등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점수 또는 상기 공통 언어를 입원의 필요 여부가 식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지도 상에 표시하면 된다.
이와 같이 지도 상에 고령자 등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어느 지역이나 어느 개호 시설 등에 어떠한 건강 상태의 고령자 등이 존재하는지 시각적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공통 언어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날씨에 비유한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그림이면 된다.
이와 같이 전문성이 상이한 개호와 의료의 쌍방을 결부시키는 공통 언어로서 날씨 예보의 수법을 사용함으로써, 개호 종사자 등 및 의료 종사자의 쌍방이 각각의 전문 용어에 의지하는 것을 막고, 맑음, 흐림, 비 등의 날씨 예보에서 사용되는 표현에 의해 고령자 등의 건강 상태의 좋고 나쁨을 누구나 보다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컴퓨터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속성 및 과거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이력 정보를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마다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는 상기 속성 및 상기 이력 정보를 판정 요소로 하여 입원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고령자 등의 연령이나 성별 등의 속성, 과거의 진단 결과나 병력 등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이력 정보를 유지하고, 입원 필요 여부 판정시에 그들 속성이나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과거의 건강 상태와의 변동량 등을 고려함으로써, 각 고령자 등에 따라 입원의 필요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이력 정보 기억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과거의 입원 일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원시의 상기 점수 또는 상기 공통 언어와 관련지어 기억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과거의 실제의 입원 일수를 입원 필요라고 판정되었을 때의 점수나 공통 언어 등과 관련지어 기억함으로써, 입원했을 때의 판정 점수 등과 실제의 입원 재원 일수의 장단의 패턴을 빅 데이터로서 파악하여 통계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이들을 해석함으로써 의료비의 적정화를 가시화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적절한 구성을 서술하면, 상기 컴퓨터는 도로의 정체 또는 규제를 나타내는 도로 교통 정보를 취득하는 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와,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도로 교통 정보를 연동시켜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을 예측하는 반송 시간 예측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상기 의료 기관으로의 반송 시간 또는 도착 시간을 표시하면 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취득한 도로의 정체나 규제 등을 나타내는 도로 교통 정보와, 입원 필요라고 판정된 고령자 등이 있는 개호 시설 등의 위치 정보를 연동시켜, 입원처가 되는 병원 등의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을 혼잡 상황 등도 고려하여 계산하여 표시함으로써, 고령자 등이 병원 등에 도착하는 보다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의료 기관측으로서도 입원 준비를 위한 시간의 기준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입원을 수용하는 측인 간호 직원 등의 의료 종사자의 업무를 효율화하여 잔업 시간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에 의하면,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쌍방이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용이,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개호와 의료를 적절하게 연계시킨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개호와 의료가 연계된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개호와 의료가 연계된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의료 지원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의료 지원 장치의 구성을 기능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평가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평가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공통 언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의료 지원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점수 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혼잣말 평가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합계 점수의 변화와 입원 패턴과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의료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개호 시설과 의료 기관의 업무의 흐름을 관련지어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날씨 예보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건강 정보 입력 전의 피개호자 일람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말풍선 설명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결과 표시 후의 피개호자 일람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날씨 예보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라고 부른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개호 종사자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이하, 개호 종사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사이에 있어서, 고령자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를 실현할 수 있는 의료 지원 시스템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개호는 고령자, 장애자, 환자 등을 간호하고 돌보는 것 등의 협의의 의미에서의 개호에 한정되지 않고, 지원이 필요한 자(이하, 피개호자)에 대하여 넓게 일반적인 보살핌 등 생활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지원을 하는 것을 말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에 대해>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시스템(S)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개호와 의료를 적절하게 연계시킨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개호와 의료가 연계된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령자 등의 피개호자는 자택에서 생활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고령자 시설이나 개호 시설 등에 입소해 있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양자를 재택이라고 표현하는데, 전자의 경우는 주로 가족이나 친족이 피개호자의 개호를 하고 있는 일이 많고, 후자의 경우는 주로 개호 복지사나 사회 복지사 등의 유자격자나 그 밖의 개호 직원 등 소위 개호의 전문 스탭이 피개호자의 개호를 하고 있다.
상기 환경에 있는 피개호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역의 개호 서비스, 방문 간호 스테이션, 재택 의료의 주치의 등에게 의지하여 생활하고 있다. 또 건강 상태가 악화되거나 했을 때는 입원 설비가 갖추어진 병원 등의 의료 기관에 입원함으로써 「거의 재택 때때로 입원」이라는 개인의 존엄을 유지하면서 자신다운 생활을 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택, 고령자 시설, 개호 시설 등에서 자신다운 생활을 보내면서, 몸상태 불량·증악에 따라 주치의 등에게 왕진·외래하거나, 병원 등의 의료 기관에 입원하여 치료, 건강도 평가를 행한다. 건강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의료 케어가 보다 잘 구비되어 있는 요양 병상으로 옮기는 경우도 있지만, 건강 상태가 개선된 경우는 퇴원하여 다시 자택, 고령자 시설, 개호 시설 등으로 되돌아가, 자신다운 생활을 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이클을 반복하여 안정기, 종말기(노쇠), 병구완과 인생의 최후까지 피개호자는 개인의 존엄을 유지하면서 자신다운 생활을 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의료 지원 시스템(S)은 상기 중 특히 몸상태 불량·증악에 따라 주치의 등에게 왕진·외래할 때 또는 의료 기관에 입원할 때의 판단에 있어서 관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호 종사자는 개호의 전문 스탭에 한정되지 않고, 피개호자의 보살핌 등의 어떠한 지원을 하고 있는 가족이나 친족 등 피개호자의 개호에 종사하는 모든 자를 포함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종사자는 의료 기관의 의사, 간호사, 주치의 등 의료 업무에 종사하고 의료에 관한 고도의 전문성을 가지는 자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시스템의 개략 구성>
이어서 의료 지원 시스템(S) 즉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를 실현하는 시스템(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시스템(S)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료 지원 장치(이하, 본 장치(1))를 비롯한 복수의 장치가 의료 지원, 즉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에 관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의료 지원 시스템(S)은 의료 기관측에 구비된 본 장치(1)와, 의료 기관측에 설치되어 본 장치(1)와 원내 LAN 등의 로컬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의료 종사자용 단말(2)과, 개호 시설 등에 설치되어 인터넷이나 3G, 4G 등의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개호 종사자용 단말(3)로 구성된다. 또 의료 종사자용 단말(2)과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는 각각 음성 입력 장치(4)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는 상기한 장치군이 시스템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장치(1)는 예를 들면 의료 기관이 관리하는 서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장치(1)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의료 종사자용 단말(2) 및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부 및 수신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본 장치(1)와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개호 종사자용 단말(3)은 개호 종사자가 피개호자의 건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음성 입력용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장치(4) 외에 키보드나 터치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의료 종사자용 단말(2)에도 의료 종사자가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음성 입력용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장치(4) 외에 키보드나 터치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의료 종사자용 단말(2) 및 개호 종사자용 단말(3)은 적어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 지원을 위한 전용 단말 외에 범용의 PC, 태블릿 단말, 스마트폰 및 휴대전화·PHS 등의 각종 디바이스가 이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장치의 상세 구성>
이어서 본 장치(1)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장치(1)는 의료 기관이 관리하고 있는 서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어나 데이터의 계산·가공을 행하는 연산부로서의 CPU, 읽어냄 전용의 기억 장치로서의 ROM, 메인 메모리(주기억 장치)로서의 RAM, 통신 네트워크(N) 등을 통하여 각종 정보 단말 등의 통신 가능한 기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용 인터페이스, 보조 기억 장치로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구성 요소로서 가진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기억부로서 기능하고, 각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억되어 있다. 또 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는 본 장치(1)를 동작시켜 의료 지원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미리 인스톨되어 있고, 이들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읽어내어져 실행됨으로써, 의료 지원 장치로서의 기능이 발휘된다.
도 4는 본 장치(1)의 구성을 기능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장치(1)의 구성을 기능면에서 다시 설명하면, 본 장치(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강 정보 취득부(11), 점수 산출부(12), 공통 언어 변환부(13),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 결과 표시부(15), 반송 시간 예측부(16), 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17) 및 이력 정보 기억부(18)를 주된 구성 요소로서 가지고 있다. 이들은 본 장치(1)가 실행하는 각종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것이며, 본 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서술한 하드웨어 구성 기기와 인스톨된 프로그램이 협동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기능부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건강 정보 취득부(11)는 본 장치(1)의 CPU, 메모리, 통신용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등이 각종 프로그램과 협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건강 정보 취득부(11)는 개호 종사자용 단말(3)로부터 송신된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는 건강 정보 취득 처리를 행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개호 종사자에 의해 개호 종사자용 단말(3)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취득한다.
여기서 건강 정보는 키보드나 음성 등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로서, 체온, 혈압, 혈당값, SpO2 등의 수치 데이터 외에 탈수와 같은 증상, 식사량,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포함하고,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내용이 종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정보이다. 또 건강 정보에는 개호 종사자의 관찰이나 알아차림에 의한 혼잣말 등의 텍스트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또는 그들 텍스트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키워드도 포함된다. 또한 체온, 혈압, 혈당값, SpO2 등의 수치 데이터는 피개호자에게 장착한 웨어러블 생체 계측기 등의 자동 계측기로부터 정시에 자동적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점수 산출부(12)는 본 장치(1)의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각종 프로그램과 협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점수 산출부(12)는 후술하는 공통 언어 변환부(13) 및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와 함께 본 장치(1)의 중핵적 기능을 이루고 있으며, 건강 정보 취득부(11)에 의해 취득한 건강 정보 데이터를 미리 설정한 평가 항목에 따라 수치화하여 채점하고,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기 위해서, 평가 항목으로서 대항목, 그 대항목을 세분화하는 소항목, 추가로 혼잣말 항목을 설정하고, 각각의 항목마다 자동적으로 점수화한다(제1 어세스먼트 로직). 이 때, 평가 항목마다 점수의 가중이 설정되어 있어, 예를 들면 의식 상태, 호흡 상태, 순환기 상태 등의 생명에 직결되는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점수의 비중이 크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의 일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평가 항목 중 대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6은 평가 항목 중 혼잣말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항목에서는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에 대해서 12항목이 설정되어 있고, 경증부터 중증을 고려하여 1.0점부터 5.1점까지의 점수가 붙어 있다. 즉, 증상이 가벼운 항목은 1.0점으로 되어 있고, 생명에 보다 관계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서서히 점수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또 각각의 항목은 의식 상태, 호흡 상태, 순환기 상태 등의 카테고리마다 분류되어 있다. 또한 각 항목에 대해서, 개호 종사자의 관찰이 가미되는 항목, 수치 기입 항목, 누구라도 인식할 수 있는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항목으로서 1. 탈수와 같은 증상(1.0점, 의식 상태), 2. 식사량 저하(1.0점, 의식 상태), 3. 소변량 감소(횟수)(1.0점, 순환기 상태), 4. 구토(1.0점, 의식 상태), 5. 설사(1.0점, 의식 상태), 6. 혈당 이상(2.1점, 의식 상태), 7. 발열 38도 이상(2.1점, 의식 상태), 8. SpO2 90% 이하(3.1점, 호흡기 상태), 9. 혈압 90 이하(3.1점, 순환기 상태), 10. 하혈·토혈(4.1점, 순환기 상태), 11. 의식 장애(5.1점, 의식 상태), 12. 구토 1회+SpO2 90% 이하(5.1점, 의식 상태+호흡기 상태)의 12항목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대항목에 부수하여 그 중증도에 따라 세세하게 점수를 붙인 소항목이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 탈수와 같은 증상에는 소항목으로서 a. 수분 섭취 저하와 b. 식사량 저하가 있고, 각각 상기 a. 또는 b.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는 0점, 동시에 둘다 해당하는 경우는 1.0점을 가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6. 혈당 이상에는 소항목으로서 a. 80 이하 : 1점, b. 70 이하 : 2점, c. 400 이상 : 2점, d. 500 이상 : 3점을 가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7. 발열 38도 이상에는 소항목으로서 a. 39도 이상 : 1점을 가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8. SpO2 90% 이하에는 소항목으로서 a. 85~89% : 0점, b. 80~84% : 1점을 가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9. 혈압 90 이하에 체크를 하면, 소항목인 a. 80~99 : 0점, b. 70~79 : 1점, c. 180 이상 : 0점, d. 200 이상 : 1점을 가미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2. 식사량 저하, 3. 소변량 감소(횟수), 4. 구토, 5. 설사, 10. 하혈·토혈, 12. 구토 1회+SpO2 90% 이하에는 소항목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소항목은 일례이며, 적절히 변경되거나 할 수도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키워드를 미리 설정해 두고, 개호 종사자의 혼잣말 등의 텍스트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중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골라내어 각각 1점을 가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키워드가 중복하여 등장하는 경우는 자동적으로 생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혼잣말 항목으로서는 「폐잡음이 약간 들림」, 「상태 악화」, 「콜시 발열」, 「야간 구토」, 「가래 끓음」, 「해열제로 야간 대응」, 「하지의 부종」, 「다량의 구토」, 「식잔 구토」, 「점적, 항생제의 지시」, 「오연성 폐렴 의심」, 「각성 불량」, 「수분 섭취량 적음」, 「활기가 없음」, 「복통」, 「요혼탁」, 「개호사의 불안」 등 그 밖에 의료에 필요한 말이 키워드로서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시스템을 계속해서 운용함으로써 키워드를 추가·축적해가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일률적인 점수가 아니라 키워드마다 세세하게 점수 설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통 언어 변환부(13)는 본 장치(1)의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각종 프로그램과 협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공통 언어 변환부(13)는 점수 산출부(12) 및 후술하는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와 함께 본 장치(1)의 중핵적 기능을 이루고 있으며, 점수 산출부(12)에 의해 산출한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개호 종사자와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공통 언어로 변환하는 공통 언어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도 7은 공통 언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호와 의료를 결부시키기 위한 수단인 공통 언어로서, 전문 용어에 의지하는 것을 막아 누구라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건강 상태를 날씨에 비유한 날씨 예보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날씨 예보의 표현을 사용하여 가능한 한 말을 듣는 것만으로 건강 상태를 직접 이해할 수 있도록 각각 점수의 폭을 가지게 하여 7개로 분류되어 있고, 점수 산출 처리에 의해 산출한 점수에 따라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가 그 7개의 분류의 어느 하나로 나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0점인 경우는 「맑음 건강」, 0.1~1.0점인 경우는 「맑음 후 흐림 건강」, 1.1~2.0점인 경우는 「흐림 건강」, 2.1~3.0점인 경우는 「흐림 후 비 건강」, 3.1~4.0점인 경우는 「가랑비 건강」, 4.1~5.0점인 경우는 「큰비 건강」, 5.1점 이상인 경우는 「호우천둥 건강」이라고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날씨 예보의 표현마다 대처 방법 등도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맑음 건강」, 「맑음 후 흐림 건강」의 경우는 경과 관찰, 또한 「맑음 후 흐림 건강」의 경우는 경과 판정 일수(3일) 계속되면 입원으로 한다. 「흐림 건강」의 경우는 경과 관찰 및 왕진 의뢰, 또한 경과 판정 일수(2일) 계속되면 입원으로 한다. 「흐림 후 비 건강」의 경우는 왕진 의뢰, 경구약 투여, 또한 경과 판정 일수(2일)에서 쾌차하지 않으면 입원으로 한다. 「가랑비 건강」의 경우는 엄중 관찰 및 익일 재보고, 또한 경과 판정 일수(1일)에서 쾌차하지 않으면 입원으로 한다. 「큰비 건강」의 경우는 당일 중에 입원, 그리고 개호 택시 등으로 입원하도록 한다. 「호우천둥 건강」의 경우는 긴급 입원, 그리고 구급차 이용으로 입원하도록 한다.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는 본 장치(1)의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각종 프로그램과 협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는 점수 산출부(12) 및 공통 언어 변환부(13)와 함께 본 장치(1)의 중핵적 기능을 이루고 있으며, 점수 산출부(12)에 의해 산출한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미리 설정한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기준값 이상일 때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하는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항목, 소항목 및 혼잣말 항목의 입력 내용으로부터 산출되는 점수의 합계 점수에 대해서, 미리 입원 필요의 기준값으로서 설정한 점수를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제2 어세스먼트 로직).
예를 들면 합계 점수가 2.1점인 경우는 상기 공통 언어에서는 「흐림 후 비 건강」이 되고, 입원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되어, 왕진 의뢰를 촉구하여 경구약 등으로 대처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도 파악하여 동일한 상태가 2일 경과해도 쾌차하지 않으면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된다. 한편, 합계 점수가 4.1점인 경우는 상기 공통 언어에서는 「큰비 건강」이 되고, 입원할 필요 있음이라고 판정되어, 당일 중에 입원하게 된다.
또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에 있어서는 단순히 점수만에 의해 판정할 뿐만아니라 후술하는 이력 정보 기억부(18)에 기억된 이력 정보 데이터(18a)에 포함되는 피개호자의 연령 등의 속성, 과거의 병력, 과거의 건강 상태와의 변동량 등도 판정 요소에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입원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80~89세이면 1점 가점 또는 90세 이상이면 2점 가점 등과 같이 연령에 따라서 가점한다. 또 점수 자체는 기준값을 넘고 있지만, 연령이 아직 젊은 경우나, 과거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부터의 변동량이 적은 경우, 즉 평소의 몸상태와 그다지 변화가 없는 것 같은 경우 등은 일률적으로 입원할 필요 있음이라고는 판정하지 않고, 피개호자마다 속성이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등의 개별의 사정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입원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고령자의 건강 관리를 함에 있어서, 발열·호흡 상태·식사 상태에 따라 급격하게 증상이 악화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도 재빨리 증상을 발견, 입원으로 결부시켜 건강 관리를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성인 시중 폐렴 진료 가이드 라인에서는 입원 기준을 ADROP로 판단하고 있고, 즉 Age(연령), Dehydration(탈수), Respiration(호흡), Orientation(의식), BloodPressure(혈압)가 그 판단 기준이 되고 있다. 또 요로 감염증 입원 기준에서는 38도 이상의 발열, 컨트롤 불량의 혈당 등이 판단 기준이 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원의 필요 여부 판정도 상기에 준하여 행한다.
결과 표시부(15)는 본 장치(1)의 CPU, 메모리, 통신용 인터페이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출력 장치 등이 각종 프로그램과 협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결과 표시부(15)는 점수 산출부(12)에 의해 산출한 점수, 공통 언어 변환부(13)에 의해 변환한 공통 언어,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에 의해 판정된 입원 필요 여부 판정 결과, 및 후술하는 반송 시간 예측부(16)에 의해 예측된 반송 시간이나 도착 시간 등을 의료 종사자용 단말(2) 및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 표시하는 결과 표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개호 종사자 및 의료 종사자의 쌍방이 시인할 수 있도록, 보고서나 일람표와 같은 형식으로 피개호자마다 성명, 연령, 성별 등의 속성 외에 각 항목의 점수 및 그들을 합계한 합계 점수(종합 점수), 공통 언어로서 건강 상태를 날씨에 비유한 날씨 예보의 표현, 이어서 그 피개호자가 취해야 할 행동, 즉 입원 필요 여부 등을 표시한다.
또 어느 지역이나 어느 개호 시설 등에 어떠한 건강 상태의 피개호자가 존재하는지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공통 언어인 날씨 예보의 표현을 사용하여,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날씨 예보도로서 지도 상에 맑음 마크나 비 마크 등을 표시한다. 또한 입원할 필요가 있는 피개호자에 대해서는 지도 상에 개호 시설 등의 현재 위치로부터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이나 의료 기관으로의 도착 시간을 표시한다. 이 때, 반송 루트를 표시해도 된다.
반송 시간 예측부(16)는 본 장치(1)의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각종 프로그램과 협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반송 시간 예측부(16)는 입원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피개호자에 대해서, 입원처인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을 예측하는 반송 시간 예측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개호자가 있는 개호 시설 등의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입원처인 의료 기관까지의 거리나 루트에 후술하는 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17)에 의해 취득한 도로 교통 정보로부터 얻어진 도로의 정체나 규제에 관한 정보를 가미하여 그 개호 시설 등으로부터 의료 기관까지 반송 시간을 계산한다. 또 이 때, 혼잡 상황 등을 고려한 다음, 아울러 시간적으로 최단의 반송 루트를 검색한다.
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17)는 본 장치(1)의 CPU, 메모리, 통신용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등이 각종 프로그램과 협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17)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로의 정체나 규제를 나타내는 도로 교통 정보를 취득하는 도로 정보 취득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 또는 그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장래의 정체 예측이나 현재의 정체 정보, 차선 규제, 통행 금지, 교통 규제 등의 실시간 도로 교통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하여 취득한다.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본 장치(1)의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각종 프로그램과 협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건강 정보 취득부(11)가 개호 종사자용 단말(3)로부터 취득한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이력 정보 데이터(18a)로서 기억하여 축적하는 것이다.
이력 정보 데이터(18a)에는 코드 번호 등의 피개호자를 식별하는 정보, 피개호자의 성명, 연령, 생년월일, 성별, 주소 등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 피개호자의 병력이나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보고 일시와 관련지어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 이력 정보 기억부(18)는 과거의 실적 사례로서, 피개호자마다 입원이 필요하다고 판정되었을 때의 점수와, 그 때 실제로 입원하고 있었던 일수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그들을 집적한 정보를 입원 판정시의 점수에 따른 실제의 입원 일수에 관련된 장단의 패턴을 통계적으로 나타내는 통계 데이터(18b)로서 기억하고 있다.
또한 본 장치(1)의 기능은 본 장치(1)를 관리 운영하는 의료 기관과, 개호 시설 등에 의해 향유하게 되는데, 당해 기능의 이용자에 대한 제공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비스나 ASP 등의 방식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또 본 장치(1)는 하나의 서버 장치에 의해 구축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대의 서버 장치를 사용하여 구축된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방법>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방법은 컴퓨터로서 기능하는 본 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되고, 바꾸어 말하면 본 장치(1)가 실행하는 의료 지원 처리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방법이 적용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방법의 설명으로서, 본 장치(1)에 의한 처리의 흐름과 당해 처리 중의 각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의료 지원 처리
도 8은 의료 지원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장치(1)를 구성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의료 지원 처리는 도 8의 흐름에 따라 진행된다.
우선, 건강 정보 취득부(11)에 의해 건강 정보 취득 처리가 실행된다(S101).
구체적으로는 건강 정보 취득부(11)에 의해, 개호 종사자용 단말(3)로부터 입력된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하여 수신하여 취득한다.
이어서 점수 산출부(12)에 의해, 건강 정보 취득 처리(S101)에 의해 취득한 건강 정보를 미리 설정한 평가 항목에 따라 수치화하여 채점하고,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처리가 실행된다(S102).
구체적으로는 제1 어세스먼트 로직에 기초하여, 취득한 건강 정보를 평가 항목으로서 미리 설정된 상기 서술한 대항목, 소항목, 혼잣말 항목마다 점수화하고, 항목마다의 점수 및 그들의 점수를 합계한 합계 점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제1 어세스먼트 로직에 기초하는 점수 산출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점수 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이 점수 산출 처리에서 참조되는 혼잣말 평가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서술한 건강 정보 취득 처리에서, 개호 종사자의 관찰이나 알아차림에 의한 혼잣말 등의 텍스트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점수 산출 처리에서는 상기 서술한 건강 정보 취득 처리에서 혼잣말 문자열 즉 개호 종사자의 관찰이나 알아차림에 의한 혼잣말 등의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면(S201), 도 10에 나타내는 혼잣말 평가 항목이 나열된 체크 항목 마스터인 혼잣말 평가 마스터로부터 그 데이터를 모두 읽어들인다(S202).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잣말 평가 항목은 상태 1~상태 n(예를 들면 n=15)까지 각각 규정되어 있고,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의 문자열이 전반 부분과 후반 부분으로 분할되어 규정되어 있어, 그들을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태 1에서는 앞 문자열에 「呼吸(호흡)」 「息(숨)」 「聲(목소리)」… 등으로 규정되어 있고, 뒷 문자열에 「音が(소리가)」 「雜音(잡음)」 「ガサガサ(거칠거칠)」 「いつもと違う(평소와 다름)」 「かれて(쉬어)」 「枯れて(쉬어)」…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또 상태 2에서는 앞 문자열에 「だんだん(점점)」 「段段(점점)」 「より(보다)」 「少し(조금)」 「少しづつ(조금씩)」 「少しずつ(조금씩)」 「顔色が(안색이)」… 등으로 규정되어 있고, 뒷 문자열에 「惡(나쁨)」 「わる(나쁨)」 「苦(고통)」 「くる(고통)」 「息苦し(숨막히다)」 「よくな(좋지 않다)」 「良くな(좋지 않다)」…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 때, 문자열의 키워드는 동일한 의미라도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오쿠리가나의 유무 등 개호 종사자의 다양한 혼잣말의 기입 방법이나 표현 방법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평가 마스터로부터 그 데이터를 모두 읽어들인 후, 본 실시형태에서는 n회(상태 1~상태 n)의 매칭 처리를 행한다.
우선, 앞 문자열의 검사를 행하기 위해서, 배열 내 앞 문자열의 문자가 공백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공백인 경우(S203 : YES), 매칭 처리를 n회 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4), 이미 n회 행하고 있는 경우는(S204 : YES), 루프 종료로서 처리를 종료한다. n회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S204 : NO), n회 종료까지 앞 문자열의 검사를 반복한다.
한편, 배열 내 앞 문자열의 문자가 공백이 아닌 경우(S203 : NO), 혼잣말 문자열 내에 앞 문자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5), 앞 문자열이 있는 경우(S205 : YES), 혼잣말 문자열의 처음부터 앞 문자열 앞까지를 하나의 문자열(A)로 하고, 앞 문자열 뒤로부터 혼잣말 문자열의 마지막까지를 문자열(B)로 하는 처리를 행한다(S206).
계속해서 뒷 문자열의 검사를 행하기 위해서, 배열 내 뒷 문자열의 문자가 공백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7). 공백인 경우(S207 : YES), 앞 문자열의 검사로 되돌아가는데, 배열 내 뒷 문자열의 문자가 공백이 아닌 경우(S207 : NO), AB문자열 내에 뒷 문자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8), 뒷 문자열이 있는 경우(S208 : YES), 계속해서 뒷 문자열의 위치는 앞 문자로부터 10문자 이내에 출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9). 10문자 이내에 출현하고 있는 경우(S209 : YES), 복귀값으로서 체크 항목 마스터의 상태 1로 상태 평가를 얻는다(S210). 그리고 열발과 구토는 이미 체크되어 있으면 제외하는 처리를 한 후(S211), 매칭 처리를 n회 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2), 이미 n회 행하고 있는 경우는(S212 : YES) 루프 종료로서 처리를 종료한다. n회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S212 : NO) n회 종료까지 앞 문자열의 검사로부터 반복한다.
도 8의 의료 지원 처리의 전체의 처리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이어서 공통 언어 변환부(13)에 의해, 점수 산출 처리(S102)에 의해 산출한 합계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개호 종사자와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공통 언어로 변환하는 공통 언어 변환 처리가 실행된다(S103).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강 상태를 날씨에 비유하여 7개로 분류한 날씨 예보의 표현을 공통 언어로 하고, 합계 점수에 따라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그 7개의 분류의 어느 하나로 나눔으로써 공통 언어로 변환한다.
이어서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에 의해, 점수 산출 처리(S102)에 의해 산출한 합계 점수를 미리 설정한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기준값 이상일 때 입원의 필요성 있음(입원 필요)이라고 판정하는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가 실행된다(S104).
구체적으로는 제2 어세스먼트 로직에 기초하여 합계 점수를 기준값인 점수와 비교한다. 또 여기서는 이력 정보 기억부(18)로부터 해당하는 피개호자에 관한 이력 정보를 읽어내고, 그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피개호자의 연령 등의 속성, 과거의 병력, 과거의 건강 상태와의 변동량 등도 판정 요소에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입원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도 11을 참조하여, 제2 어세스먼트 로직에 기초하는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합계 점수의 변화와 입원 패턴과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에서는 상기 서술한 점수 산출 처리에서 산출한 개인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최근 n일분(본 실시형태에서는 4일분)의 합계 점수 데이터를 취득한 후, 도 7에 나타내는 합계 점수와 공통 언어와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판정 마스터로부터 그 데이터를 모두 읽어들인다(S301).
그리고 날짜가 최신인 순으로 4회(4일)분의 합계 점수와 판정 마스터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처리를 행한다. 우선, 합계 점수가 4.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2), 합계 점수가 4.1 이상이면(S302 : YES), 메일 통지를 행하고(S303), 입원 판단 등의 란에 입원 필요를 나타내는 입원 코멘트를 출력하고(S304), 경고 표시의 란 등에 「○○해 주십시오」 등의 대처법 코멘트를 출력한다(S305).
또 합계 점수가 4.1 이상이 아니면(S302 : No), 이어서 오늘의 합계 점수가 3.1 이상이며 또한 어제의 합계 점수가 0.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6), 상기 조건에 해당하면(S306 : YES), 메일 통지를 행하고(S303), 입원 판단 등의 란에 입원 필요를 나타내는 입원 코멘트를 출력하고(S304), 경고 표시의 란 등에 「○○해 주십시오」 등의 대처법 코멘트를 출력한다(S305).
또 상기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S306 : No), 이어서 오늘, 전날, 전전날의 합계 점수가 1.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7), 상기 조건에 해당하면(S307 : YES), 메일 통지를 행하고(S303), 입원 판단 등의 란에 입원 필요를 나타내는 입원 코멘트를 출력하고(S304), 경고 표시의 란 등에 「○○해 주십시오」 등의 대처법 코멘트를 출력한다(S305).
또 상기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S307 : No), 이어서 4회 모든 합계 점수가 0.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8), 상기 조건에 해당하면(S308 : YES), 메일 통지를 행하고(S303), 입원 판단 등의 란에 입원 필요를 나타내는 입원 코멘트를 출력하고(S304), 경고 표시의 란 등에 「○○해 주십시오」 등의 대처법 코멘트를 출력한다(S305).
한편, 상기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S308 : No), 마지막으로 오늘의 합계 점수가 0.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9), 오늘의 합계 점수가 0.1 이상이면(S309 : YES), 입원 판단의 란 등에 「○○해 주십시오」 등의 대처법 코멘트를 출력한다(S310). 오늘의 합계 점수가 0.1 이상이 아니면(S309 :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회의 체크를 거침으로써, 예를 들면 하나의 합계 점수가 즉시 입원에 상당하는 레벨이 아닌 경우에도 수일간에 걸친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로부터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입원의 최적 타이밍을 잘못보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통 언어 변환 처리(S103) 후에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S104)를 실행하고 있는데,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S104)를 공통 언어 변환 처리(S103)보다 앞서 실행해도 상관없고, 동시에 처리해도 상관없다.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S104)의 결과, 입원 필요라고 판정된 경우(S105 : Yes), 반송 시간 예측부(16)에 의해, 피개호자가 있는 개호 시설 등의 현재 위치로부터 입원처인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을 예측하는 반송 시간 예측 처리가 실행된다(S106).
구체적으로는 그 개호 시설 등으로부터 의료 기관까지의 거리나 루트에 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17)에 의해 취득한 도로 교통 정보로부터 얻어진 도로의 정체나 규제 등에 관한 정보를 가미하여 그 개호 시설 등으로부터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을 계산한다. 이 때, 혼잡 상황 등을 고려한 다음, 아울러 시간적으로 최단의 반송 루트를 검색한다.
그리고 결과 표시부(15)에 의해, 점수 산출 처리(S102)에 의해 산출한 각 항목의 점수와 그들을 합계한 합계 점수, 공통 언어 변환 처리(S103)에 의해 변환한 공통 언어인 날씨 예보의 표현,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S104)에 의해 판정한 입원의 필요 여부, 및 반송 시간 예측 처리(S106)에 의해 예측한 반송 시간을 의료 종사자용 단말(2) 및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 표시하는 결과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S107), 처리를 종료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 관한 내용을 보고서나 일람표와 같은 형식 또는 개호 시설 등의 위치 정보와 함께 지도 상에 표시한다.
한편,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S104)의 결과, 입원이 필요없다고 판정된 경우(S105 : No), 결과 표시부(15)에 의해, 반송 시간 이외의 내용, 즉 점수 산출 처리(S102)에 의해 산출한 각 항목의 점수와 그들을 합계한 합계 점수, 공통 언어 변환 처리(S103)에 의해 변환한 공통 언어인 날씨 예보의 표현, 및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S104)에 의해 판정한 입원의 필요 여부를 의료 종사자용 단말(2) 및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 표시하는 결과 표시 처리가 실행되고(S107), 처리를 종료한다.
(2) 의료 지원 시스템의 이용 방법
이어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본 장치(1)를 포함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S)의 이용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구체적인 사례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의료 지원 시스템(S)을 이용한 개호 시설과 의료 기관의 업무의 흐름을 관련지어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여기서는 입원할 필요가 있는 피개호자가 있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날씨 예보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건강 정보 입력 전의 피개호자일람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말풍선 설명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결과 표시 후의 피개호자 일람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날씨 예보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의료 지원 시스템(S)의 기능은 개호 종사자에 의해 조작되는 개호 종사자용 단말(3)이 구비된 개호 시설 등과, 의료 종사자에 의해 조작되는 의료 종사자용 단말(2)이 구비된 의료 기관에 의해 향유된다.
또한 개호 시설 등의 개호 종사자 및 의료 기관의 의료 종사자, 특히 리더나 의사 등의 책임이 있는 입장에 있는 자는 휴대전화·PHS를 소지하여, 언제 어디서나 항상 연락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우선, 개호 종사자용 단말(3) 또는 의료 종사자용 단말(2)에서 의료 지원 시스템(S)을 기동하면, 의료 지원 시스템(S)은 개호 종사자용 단말(3) 및 의료 종사자용 단말(2)에 초기 화면으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정 범위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각 개호 시설 등과 의료 기관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의료 지원 시스템(S)은 음성 입력 장치(4)를 통하여 개호 종사자의 음성이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기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피개호자에 의한 너스 콜 등을 트리거로 하여 자동적으로 기동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표시되는 개호 시설 등과 의료 기관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의료 지원 시스템(S)을 도입하여 연계되어 있는 개호 시설 등 또는 의료 기관인데, 소정 범위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개호 시설 등이나 의료 기관이면 특별히 도입 제한을 두고 배타적으로 한정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또 자택 개호의 경우는 ○○님댁 등과 같이 그 자택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특히 자택 개호의 피개호자가 이 의료 지원 시스템(S)에 등록하여 의료 서비스를 요망할 때, 의료 기관측이 인지하지 못하여 그 해당하는 개인을 등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무국 등의 시스템 관리자가 의료 지원 시스템(S)으로부터 정보를 얻어 의료 기관측에 전달함으로써 특정의 개호 시설 등에 입소하고 있지 않은 피개호자여도 이 개호와 의료를 연계시킨 지역 포괄 시스템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호 시설 등의 개호 종사자는 자신이 소속되는 개호 시설 등을 지도 상에서 클릭 등으로 지정함으로써, 그 개호 시설 등에 소속되는 피개호자의 정보를 열람하여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피개호자의 정보가 게재된 일람표(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의 화면이 개호 종사자용 단말(3)의 화면 상에 표시되므로, 개호 종사자는 그 화면을 보는 것에 의해 확인한다.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에 표시되는 피개호자의 정보는 수치가 나쁜 순서, 즉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순서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때, 오늘의 수치 데이터가 없을 때는 전날의 수치 데이터가 나쁜 순서로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특별히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피개호자에 대해서는 경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수일전부터 오늘까지의 복수의 날에 걸친 수치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개호 종사자는 담당하는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매일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매일 아침 10시 등)에 그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의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의 증상란에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대항목에 대해서 그 항목마다 해당하는 것이 있는 경우는 클릭하거나 하여 적절히 선택한다. 이 대항목은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의료 종사자측이 필요로 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 대항목에는 필요에 따라 소항목이 설정되어 있어, 이쪽에 대해서도 해당하는 것이 있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 클릭하거나 하여 적절히 선택한다. 예를 들면 대항목의 아래의 란을 클릭하면 소항목을 나타내는 팝업 마크가 표시되고, 그 중에서 해당하는 소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비고란이나 도시하지 않는 혼잣말 항목란 등에 개호 종사자가 알아차린 점 등에 대해서 코멘트를 직접 입력한다.
여기서 입력 방법은 키보드로부터 입력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장치(4)를 통하여 음성 입력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 대항목의 일부, 예를 들면 SpO2, 혈압, 열, 혈당, 소변량 등에 대해서는 피개호자에게 장착한 웨어러블 생체 계측기 등의 자동 계측기로부터 정각이 되면 수치가 자동적으로 전송되어,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에 자동 입력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에서는 예를 들면 시설명, 보고자명, 직종 등의 란에는 팝업 기능이 부가되어 있어, 간단히 시설명, 보고자명, 직종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날짜란은 컴퓨터와 연동하여 당일의 날짜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화면 상에는 도 1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개호 종사자를 어시스트하도록 하는 메시지가 말풍선 안에 설명문으로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오른쪽의 항목을 선택하고나서 [실행]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와 같이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문이거나,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거나, 주변의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합니까?」 「싫어하는 음식물이 아닌데도 평소보다 먹지 않습니까?」 등과 같이 항목마다 주의할 점이나 중점적으로 확인할 점 등을 나타내는 설명문이 표시된다.
개호 종사자용 단말(3)로부터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가 입력되면, 의료 지원 시스템(S)은 상기 서술한 제1 어세스먼트 로직에 기초하여, 취득한 건강 정보를 평가 항목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상기 서술한 대항목, 소항목, 혼잣말 항목마다 점수화하고, 항목마다의 점수 및 그들의 점수를 합계한 합계 점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그 합계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개호 종사자와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공통 언어로 변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강 상태를 날씨에 비유하여 7개로 분류한 날씨 예보의 표현을 공통 언어로 하고, 합계 점수에 따라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그 7개의 분류의 어느 하나로 나누는 것에 의해 공통 언어로 변환한다.
의료 지원 시스템(S)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산출한 항목마다의 점수 및 그들을 합계한 합계 점수, 및 그 합계 점수를 변환한 날씨 예보의 표현을 개호 종사자용 단말(3) 및 의료 종사자용 단말(2)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점수나 날씨 예보를 반영한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을 작성하고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쿄 하나코씨(피개호자)이면, 탈수 증상, 발열 38.1도 이상, 식욕 부진, 구토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항목에 가산된 점수와 그들을 합계한 합계 점수인 「5.1」점이 표시된다. 또 공통 언어인 날씨 예보로서는 그 합계 점수에 대응한 「호우천둥 건강」을 표시시킨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범위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각 개호 시설 등과 의료 기관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지도 상에 있어서도 날씨 예보도로서 표시한다. 예를 들면 △△ 개호 센터의 도쿄 하나코씨가 「호우천둥 건강」에 상당하는 경우, 지도 상의 △△ 개호 센터의 위치에 「호우천둥 건강」을 나타내는 날씨 예보 마크와 도쿄 하나코씨의 정보를 표시시킨다. 이 날씨 예보 마크는 개호 종사자용 단말(3)이나 의료 종사자용 단말(2) 상에서 클릭하거나 하면, 구급차 출동의 필요 여부나 통원이나 입원 등의 판단도 포함된 의료 필요도를 확인할 수 있다.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는 상기와 같은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과 날씨 예보도가 표시되므로, 개호 종사자는 그 표시 내용을 확인한다. 이 때, 예를 들면 도쿄 하나코씨와 같이 확인이 필요한 피개호자가 있는 경우는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으므로, 개호 종사자에 의한 간과의 리스크가 경감된다.
또한 실제로는 금방 점수가 산출됨과 아울러 공통 언어로 변환되므로, 개호 종사자의 체감적으로는 입력하면 거의 동시에 점수가 표시되게 된다.
한편, 마찬가지의 정보가 의료 종사자용 단말(2)에도 송신되어,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과 날씨 예보도가 표시되므로, 의료 종사자는 그 표시 내용을 확인한다.
이 때, 연계되는 개호 시설 등마다 각각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을 확인해도 되지만, 건강 상태가 악화되고 있는 위독한 피개호자가 있는 개호 시설 등을 날씨 예보도 상에 있어서 한눈에 판별할 수 있으므로, 지도 상에서 해당하는 개호 시설 등을 클릭하거나 하여 선택하고 그 상세 내용을 확인하면 효율적이다. 예를 들면 도쿄 하나코씨가 있는 △△ 개호 센터의 위치에는 「호우천둥 건강」을 나타내는 날씨 예보 마크가 표시되어 점멸되거나 함으로써 눈에 띄게 표시되므로, 의료 종사자는 우선적으로 △△ 개호 센터를 클릭하거나 하여 선택하여 도쿄 하나코씨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정보에는 도쿄 하나코씨의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과거의 경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표시된 그래프나 표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도쿄 하나코씨와 같이 확인이 필요한 피개호자가 있는 경우는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으므로, 의료 종사자측에 있어서도 간과의 리스크가 경감된다.
또한 입원의 필요성이 높다고 예상되는 피개호자가 있는 경우는 의료 기관의 의료 종사자 중에서도 의사나 담당자 등의 책임이 있는 입장에 있는 자가 소지하는 휴대전화·PHS에 자동적으로 연락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항목마다 긴급도를 설정해 두고, 예를 들면 의식 장애 등의 경우는 긴급 연락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의료 지원 시스템(S)은 제2 어세스먼트 로직에 기초하여 합계 점수를 기준값인 점수와 비교하여, 피개호자의 연령 등의 속성, 과거의 병력, 과거의 건강 상태와의 변동량 등도 판정 요소에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입원의 필요 여부를 최종판정한다. 그리고 피개호자가 있는 개호 시설 등의 현재 위치로부터 입원처인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을 예측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4.1점 이상이 당일 중에 입원, 5.1 이상이 긴급 입원으로 기준값의 점수를 설정하고 있어, 예를 들면 도쿄 하나코씨의 경우이면, 과거의 건강 상태 등도 고려하면서 합계 점수 「5.1」점과 그 기준값을 비교하여 긴급 입원에 해당한다고 판정한다. 또 도로 교통 정보로부터 얻어진 도로의 정체나 규제 등에 관한 정보를 가미하여, 도쿄 하나코씨가 있는 △△ 개호 센터로부터 □□ 병원까지의 반송 시간을 계산한다. 이 때, 복수의 의료 기관이 있는 경우는 최단 시간으로 반송할 수 있는 의료 기관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의료 지원 시스템(S)은 상기 최종 판정의 결과를 개호 종사자용 단말(3) 및 의료 종사자용 단말(2)에 표시한다. 이 때, 입원 기준을 만족하는 피개호자에 대해서는 입거자 상태 보고 일람과 날씨 예보도의 쌍방에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또 개호 시설 등으로부터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도 아울러 표시한다.
또한 앞서 표시한 공통 언어인 날씨 예보와, 이 최종 판정 결과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의료 기관측으로서는 의료 종사자용 단말(2)에 표시된 날씨 예보도에 표시된 날씨 예보 마크에 의해, 연계되는 전 개호 시설 등의 오늘의 피개호자의 건강 상황을 한눈에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또 입원이 필요한 피개호자가 존재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도쿄 하나코 : 날씨 예보 점수 5.1점, □□ 병원까지 15분 등의 정보가 「호우천둥 건강」을 나타내는 날씨 예보 마크와 함께 날씨 예보도 상에 표시된다. 그 때문에 병상 확보 등의 입원 수용 준비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이 때, 의료 종사자의 휴대전화·PHS에 연락이 들어가, 신속하게 입원 수용 준비에 착수할 수 있다.
또한 병구완이 결정되어 있는 환자에 관해서는 그 취지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적절히 대응한다.
한편, 개호 시설측 등으로서는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 표시된 날씨 예보도에 의해 피개호자의 판정 결과와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입원의 결정 사항이 추가되면, 개호 종사자가 소지하는 휴대전화·PHS 등에 연락되어, 입원 준비를 개시하는 취지의 지시가 나간다. 또 개호 종사자와 의료 종사자, 예를 들면 개호 시설측 등과 의료 기관측과의 상호의 메디컬 소셜 워커가 서로 연락을 취하여 최종 도착 시간 등을 결정한다. 그리고 개호 시설측에서는 개호 종사자가 피개호자의 가족에게 연락한다.
또 개호 종사자용 단말(3)에서는 진료 정보 제공서 작성 화면이 표시되므로, 개호 종사자는 그 진료 정보 제공서를 작성하여 의료 기관에 송신한다. 이 때, 의료 지원 시스템(S)에 의해, 입원이 필요한 피개호자의 이름을 클릭하거나 하여 지정함으로써 진료 정보 제공서도 자동적으로 작성되어 의료 기관에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의료 기관측은 의료 종사자용 단말(2)로 수신한 진료 정보 제공서를 열람하여 확인하고, 입원 카르테를 작성한다.
그 후, 개호 시설측 등에서는 택시나 구급차 등에 의한 반송 수배를 행하고, 의료 기관측에서는 반송된 피개호자가 도착하는대로 입원 수속을 행한다. 그리고 모든 업무가 종료되면, 의료 종사자용 단말(2) 및 개호 종사자용 단말(3)의 쌍방의 화면은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정 범위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각 개호 시설 등과 의료 기관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일 중 입원은 개호 택시 등의 이용에 의한 입원이며, 긴급 입원은 구급차 이용에 의한 입원으로 하여 구별한다.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문성이 다른 의료와 개호의 쌍방을 결부시키는 공통 언어로서 날씨 예보의 수법을 사용하고, 대항목·소항목·혼잣말 항목을 입력한다는 일정한 룰에 의해 점수화한 결과(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7개로 분류하여 날씨 예보의 표현으로 자동적으로 나누어, 입원의 필요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전문 용어에 의존하는 것을 막아, 어느 개호 시설 등(지역)에 비가 내리고 있는 등,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누구라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어,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개호 종사자 및 의료 종사자의 쌍방이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입원의 필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를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어, 개호와 의료를 연계시킨 지역 포괄 시스템을 적절하게 추진할 수 있다. 또 피개호자의 입장으로서도 「거의 재택 때때로 입원」의 스타일을 확립할 수 있어, 피개호자가 자신다운 생활을 안심하고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 통상의 개호 업무에서 행하고 있는 개호자끼리의 회화를 중요시한 보고 방법으로 하고 또한 개호 종사자로부터의 보고를 될 수 있는 한 간소화하여 각 항목에 체크한다는 일정한 룰에 따라 모두가 동일 동질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업무의 표준화가 도모되어, 자기판단이라는 책무에 쫓기는 개호 종사자의 업무량 및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 건강 상태(증상)를 항목마다 점수화하고,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점수화하여, 날씨 예보의 표현에 의해 객관적이며 또한 논리적으로 나타냄으로써,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각 항목의 점수나, 그 합계점을 나타내는 날씨 예보의 표현은 누가 보아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되고, 입원에 이르는 전 과정이 가시화되어, 입원 판정의 이유를 누구라도 객관적이며 또한 논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점수화함으로써, 의사가 항상 머리 속에서 반복하는 진단 과정이나 치료에 결부되는 경험으로부터 생기는 감각을 개호 종사자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개호 종사자의 혼잣말 등도 점수화함으로써, 개호 종사자가 일상 생활 속에서 느끼고 이해한 약간의 변화 등의 감각을 의료 종사자의 측에서도 공유할 수 있다.
또 직원 만족도의 향상이라는 면으로부터도 개호 종사자 및 의료 종사자는 자신들이 행한 업무를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피개호자의 건강 관리에 참가하고 있다는 실감을 개호 종사자 및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부여할 수 있다.
또 도로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개호 시설 등으로부터 입원처인 의료 기관까지 반송 시간을 산출하여 나타냄으로써, 입원 준비에 소비하는 시간을 단축화하고, 간호사의 잔업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호 종사자와 의료 종사자 사이에 있어서 피개호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개호와 의료와의 연계를 실현할 수 있는 의료 지원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협의의 개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 자의 관계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사이에서 그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 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개호 시설 등에 있는 피개호자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피개호자가 있는 각 가정에 있어서도 당연히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호 시설이나 고령자 시설용의 화면, 재택 환자용의 화면, 시설 관리자용의 화면, 의료 기관용의 화면, 수퍼유저용의 화면 등의 전용의 초기 화면이나 정보 입력 화면을 각각 준비함으로써, 각종 시설 뿐만아니라 재택 환자까지 건강 관리를 할 수 있고, 원격 치료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때 가점 방식으로 했지만, 감점 방식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1대의 컴퓨터가 의료 지원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시스템 전체로서 실현할 수 있으면 되고, 각 기능을 분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건강 정보 취득부(11), 점수 산출부(12), 공통 언어 변환부(13),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14), 결과 표시부(15), 반송 시간 예측부(16), 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17) 및 이력 정보 기억부(18)가 1대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했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대의 컴퓨터에 의해 의료 지원 장치가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점수 산출부(12) 등을 개호 종사자용 단말측에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의료 지원 시스템은 모든 개호 시설 등이나 모든 의료 기관에 필요하며,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 추진의 기간 소프트웨어가 되는 것이다. 즉, 의료와 개호의 연계를 촉진시켜 지역의 의료 기관이 개호 시설 등에 입거하고 있는 고령자 등의 피개호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에 의해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의 추진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의료 지원 시스템에 의해, 각 개호 시설 등에 입거하고 있는 고령자 등의 피개호자의 철저한 건강 관리와, 소정 범위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각 개호 시설 등과 의료 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 포괄 케어 시스템을 실현하는 그룹 내의 통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일본의 재정에 있어서, 만약 2025년도까지 기초적 재정 수지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만일 2%대의 경제 성장이 계속되었다고 해도 연간 수지를 약30조엔 개선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소비 증세만으로 대응한다면 세율 25%의 환산). 그 때문에 고령화에 따른 의료나 개호를 위한 재정 지출은 재정 건전화의 열쇠가 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의료 지원 시스템은 의료와 개호의 노동 현장을 효율화하여, 인재 부족을 보충하고, 높은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면서, 일본 정부의 재정 건전화에 이바지하는 점에서, 사회에 있어서 필요 불가결한 시스템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본 발명의 의료 지원 시스템은 전세계의 고령화 사회를 응시하면 일본 뿐만아니라 중국, 한국 등을 비롯하여 고령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각국에 있어서도 당연히 이용 가능하다.
1…본 장치(의료 지원 장치)
2…의료 종사자용 단말
3…개호 종사자용 단말
4…음성 입력 장치
11…건강 정보 취득부
12…점수 산출부
13…공통 언어 변환부
14…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
15…결과 표시부
16…반송 시간 예측부
17…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
18…이력 정보 기억부
18a…이력 정보 데이터
18b…통계 데이터
S…의료 지원 시스템
N…통신 네트워크

Claims (11)

  1.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사이에서, 지원이 필요한 자의 정보를 컴퓨터를 통하여 공유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는 건강 정보 취득부와,
    미리 규정한 의료 기관의 평가 항목에 따라 상기 건강 정보를 수치화하여 채점하고,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와,
    상기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상기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공통 언어로 변환하는 공통 언어 변환부와,
    상기 점수가 소정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때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하는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와,
    상기 점수 또는 상기 공통 언어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정보 취득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정보 취득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가 음성 입력한 음성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 산출부는 상기 평가 항목마다 비중을 바꾸어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에 대한 다음의 행동을 지시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점수 또는 상기 공통 언어를 입원의 필요 여부가 식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언어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날씨에 비유한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속성 및 과거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이력 정보를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마다 기억하는 이력 정보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입원 필요 여부 판정부는 상기 속성 및 상기 이력 정보를 판정 요소로 하여 입원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 기억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과거의 입원 일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원시의 상기 점수 또는 상기 공통 언어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도로의 정체 또는 규제를 나타내는 도로 교통 정보를 취득하는 도로 교통 정보 취득부와,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도로 교통 정보를 연동시켜 의료 기관까지의 반송 시간을 예측하는 반송 시간 예측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상기 의료 기관으로의 반송 시간 또는 도착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시스템.
  11. 컴퓨터에 의해,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의료 종사자와의 사이에서, 지원이 필요한 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의료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는 건강 정보 취득 처리와,
    상기 건강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취득한 건강 정보를 미리 규정한 의료 기관의 평가 항목에 따라 상기 건강 정보를 수치화하여 채점하고,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처리와,
    상기 점수 산출 처리에 의해 산출한 상기 점수를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기 지원이 필요한 자와 관련이 있는 자와 상기 의료 종사자의 쌍방에 있어서 공통의 인식이 가능한 공통 언어로 변환하는 공통 언어 변환 처리와,
    상기 점수 산출 처리에 의해 산출한 상기 점수가 소정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을 때 입원의 필요성 있음이라고 판정하는 입원 필요 여부 판정 처리와,
    상기 점수 산출 처리에 의해 산출한 상기 점수 또는 상기 공통 언어 변환 처리에 의해 변환한 상기 공통 언어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 처리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지원 방법.
KR1020197011964A 2016-11-01 2017-10-31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 KR20190082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4638 2016-11-01
JPJP-P-2016-214638 2016-11-01
PCT/JP2017/039289 WO2018084139A1 (ja) 2016-11-01 2017-10-31 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支援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203A true KR20190082203A (ko) 2019-07-09

Family

ID=6207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964A KR20190082203A (ko) 2016-11-01 2017-10-31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의료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375080B1 (ko)
KR (1) KR20190082203A (ko)
CN (1) CN109844866B (ko)
WO (1) WO201808413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094A (ko) 2020-03-17 2021-09-27 (주)봄소프트 생활중심형 고령자 통합 케어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023315A (ja) * 2020-07-27 2022-02-08 株式会社ロジック 統括的介護管理プログラム、統括的介護管理方法、及び統括的介護管理システム
KR102414191B1 (ko) * 2021-12-01 2022-06-28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모빌리티 클리닉 차량을 구비하는 감염병 진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3646B1 (ja) * 2020-12-25 2022-03-10 三菱電機It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評価装置、評価方法、および、評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4091A (ja) 2009-03-31 2010-10-28 Mothers Heart:Kk 高齢者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5028773A (ja) 2013-06-25 2015-02-12 肇 高橋 医療システムと連携した介護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663A (ja) * 2000-07-28 2002-02-08 Tmc Kk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40036983A (ko) *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554355B1 (ko) * 2003-11-26 2006-02-24 주식회사 에버케어 개인별 맞춤 건강증진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US7739126B1 (en) * 2004-03-02 2010-06-15 Cave Consulting Group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hysician efficiency measurement and patient health risk stratification
JP2005267208A (ja) * 2004-03-18 2005-09-29 Nec Corp ホームヘルパー支援システム
US10796801B2 (en) * 2006-02-13 2020-10-06 David G. Silverma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quantifying, coding and communiicating patient's health and perioperative risk
JP2009187100A (ja) * 2008-02-04 2009-08-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保健指導支援装置、保健指導支援システム、保健指導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0027486A1 (de) * 2010-07-16 2012-04-12 Löser Medizintechnik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medizinischen Zustandes eines Patienten
JP5476350B2 (ja) * 2011-09-21 2014-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認知症ケア支援システム
CN103988222A (zh) * 2011-10-14 2014-08-13 宾夕法尼亚大学董事会 用于急性期后护理安排的出院决策支持系统
US10064551B2 (en) * 2012-04-04 2018-09-04 Cardiocom, Llc Health-monitoring system with multiple health monitoring devices, interactive voice recognition, and mobile interfaces for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US20140122100A1 (en) * 2012-10-25 2014-05-01 Treo Solutions, LLC Health provider quality scoring across multiple health care quality domains
CN103020480A (zh) * 2012-12-28 2013-04-03 安科智慧城市技术(中国)有限公司 一种老年人健康信息采集方法、终端及系统
WO2015153594A1 (en) * 2014-04-01 2015-10-08 Eromo Ersno Health advising system
JP2015203959A (ja) * 2014-04-14 2015-11-16 一般社団法人プラチナリボン機構 介護者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4091A (ja) 2009-03-31 2010-10-28 Mothers Heart:Kk 高齢者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5028773A (ja) 2013-06-25 2015-02-12 肇 高橋 医療システムと連携した介護支援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094A (ko) 2020-03-17 2021-09-27 (주)봄소프트 생활중심형 고령자 통합 케어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023315A (ja) * 2020-07-27 2022-02-08 株式会社ロジック 統括的介護管理プログラム、統括的介護管理方法、及び統括的介護管理システム
KR102414191B1 (ko) * 2021-12-01 2022-06-28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모빌리티 클리닉 차량을 구비하는 감염병 진료 시스템
WO2023101223A1 (ko) * 2021-12-01 2023-06-08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모빌리티 클리닉 차량을 구비하는 감염병 진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4139A1 (ja) 2018-05-11
JP2018190446A (ja) 2018-11-29
CN109844866B (zh) 2023-05-30
JPWO2018084139A1 (ja) 2018-11-01
JP6608491B2 (ja) 2019-11-20
JP6375080B1 (ja) 2018-08-15
CN109844866A (zh)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all et al. Systematic review of outcomes from home‐based primary care programs for homebound older adults
McKinney et al. COVID-19, disability and the context of healthcare triage in South Africa: Notes in a time of pandemic
Lai et al. Switching attitudes of Taiwanese middle-aged and elderly patients toward cloud healthcare services: An exploratory study
Baillie Patient dignity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a case study
Mapp et al. Prevention of unplanned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and hospital mortality by early warning systems
Payne et al. Racial disparities in ordering laboratory and radiology tests for pediatric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US20140025394A1 (en) System for assisting control of rescuing medical services, server, and mobile device
JP6608491B2 (ja) 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支援方法
Gabrielsson‐Järhult et al. On the threshold: older people's concerns about needs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KR102479692B1 (ko)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 의사결정 및 응급환자 이송 시스템과 그 방법
JPWO2019098304A1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KR102234025B1 (ko)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0135401A (ja) ソフトウェア及び診断支援装置
Franklin et al. Gender equality and health in the EU
Reddy et al. AI-IoT based healthcare prognosis interactive system
Olusanya et al. Infants delivered in maternity homes run by traditional birth attendants in urban Nigeria: a community-based study
Anderson et al. A neglected problem: minority ethnic elders with dementia
Balmer et al. Provision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New Zealand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general practitioners’ perspectives
Welch et al. PROTOCOL: Health, social care and technological interventions to improve functional ability of older adults: Evidence and gap map
Andersson et al. The district nurse's perceptions of elderly patients’ oral health: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Mash et al. The quality of feedback from outpatient departments at referral hospitals to the primary care providers in the Western Cape: a descriptive survey
WO2023017576A1 (ja) 介護支援プログラム、介護用支援装置及び介護用支援システム
Marc et al. HIV+ caregivers and HIV+ non-caregivers: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s, immune functioning, and quality-of-life
Bahja et al. An antenatal care awareness prototype chatbot application using a user-centric design approach
Young et al. Women and heart transplantation: an issue of gender equ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