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874A -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874A
KR20190081874A KR1020170184709A KR20170184709A KR20190081874A KR 20190081874 A KR20190081874 A KR 20190081874A KR 1020170184709 A KR1020170184709 A KR 1020170184709A KR 20170184709 A KR20170184709 A KR 20170184709A KR 20190081874 A KR20190081874 A KR 2019008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region
blades
trailing edge
fan
inne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472B1 (ko
Inventor
문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Priority to KR102017018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472B1/ko
Priority to PCT/KR2018/013009 priority patent/WO2019132218A1/ko
Publication of KR2019008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허브; 및 허브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복수의 블레이드는 일단이 허브에 연결되며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날개영역,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날개영역, 및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과 외측 날개영역의 반경방향 내측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단차부에서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의 리딩에지와 외측 날개영역의 일단의 리딩에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Fan Blade and Electric Fan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단차를 가지는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선풍기에 사용되는 선풍기 날개는 3개 내지 5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3개 내지 5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선풍기 날개 형상은 제조 공정상 용이한 점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선풍기 날개의 형상은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계속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지름 30센티미터의 5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선풍기 날개를 800 RPM으로 회전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종래의 선풍기로부터 발생하는 바람은, 선풍기의 정면으로부터 약 3미터 떨어진 장소에서, 약 지름 50센티미터의 면적으로 확산하게 된다.
이러한 확산은 선풍기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풍기 날개가 회전하면서 바람에 회전방향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선풍기 바람에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어 확산하게 되는 것이다.
선풍기 바람이 원심력에 의해 확산되는 경우, 선풍기의 정면으로 전달되는 바람 중 바깥 쪽 부분의 바람은 더 큰 원심력이 가해져 바깥 쪽 바람의 풍속이 안 쪽 바람의 풍속보다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선풍기로부터 전달되는 바람이 전체로서 균질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균질하지 못한 바람을 맞게 되었을 때,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균질하게 불어오는 자연풍과 비교하여 선풍기 바람으로부터 이질감을 느끼게 되고, 결과적으로, 선풍기 바람을 인공적인 바람으로 인식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풍기 날개의 원심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제공하여 선풍기 바람의 확산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균질한 선풍기 바람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흡사 자연풍을 맞는 느낌을 주도록 하는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허브; 및 허브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복수의 블레이드는 일단이 허브에 연결되며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날개영역,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날개영역, 및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과 외측 날개영역의 반경방향 내측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단차부에서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의 리딩에지와 외측 날개영역의 일단의 리딩에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차가 형성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선풍기 날개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선풍기 바람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상쇄시키는 반경방향 내측 힘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선풍기 바람의 확산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균질한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단차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에서 나오는 바람의 풍속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를 포함하는 선풍기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선풍기 날개(100)는 허브(110) 및 복수의 블레이드(120)를 포함한다.
허브(110)는 전기모터(720)의 회전축(722)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허브(110)는 전기모터(720)가 회전할 때, 전기모터(720)의 회전축(722)을 따라 동축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20)는 허브(11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120)는 내측 날개영역(122), 외측 날개영역(124) 및 단차부(126)를 포함한다.
내측 날개영역(122)의 일단은 허브(110)에 연결되며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외측 날개영역(124)은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단차부(126)는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과 외측 날개영역(124)의 반경방향 내측 일단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단차부(126)에서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의 리딩에지와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의 리딩에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여기서, 반경방향 내측 및 반경방향 외측은, 허브(110)가 전기모터(720)의 회전축(722)과 결합되는 부분을 허브(110)의 축선이라고 정의하였을 때, 허브(110)의 축선을 기준으로 허브(110)의 반경방향으로의 내측과 외측을 각각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리딩에지(leading edge)는, 선풍기 날개(100)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120)를 기준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오는 블레이드(120) 상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후술되는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는 블레이드(120)를 기준으로 바람이 불어 나가는 블레이드(120) 상의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선풍기에서 발생하는 바람은 반경반향 외측으로 갈수록 더 큰 풍속을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선풍기 날개의 블레이드는 단차가 없는 연속적인 형상을 가지므로, 블레이드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풍속 또한 블레이드 면을 따라 연속적인 분포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선풍기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풍속은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면서 연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게 된다.
그에 반해, 본 개시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의 블레이드(120)는 단차부(126)에서 내측 날개영역(110)의 타단의 리딩에지와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의 리딩에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에 의해서 불연속적인 풍속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풍속은,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에서 발생한 바람의 풍속과 비교하여, 급격히 상승한 값을 가지게 된다.
단차부(126) 부근에서 발생한 불연속적인 풍속분포에 의해, 외측 날개영역(124)의 바람의 밀도 또한, 내측 날개영역(122)의 바람의 밀도와 비교하여, 급격히 상승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때, 외측 날개영역(124)에서 발생한 바람은, 외측 날개영역(124)과 내측 날개영역(122)의 바람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 즉 원심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반경방향 내측 힘은 선풍기 바람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일부를 상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에서 발생하는 바람은 원심력에 의한 확산이 적게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균질한 상태의 바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차부(126)에서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과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 사이의 단차는 내측 날개영역(122) 및 외측 날개영역(124)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때,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의 트레일링 에지와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의 트레일링 에지는 단차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126)의 형상을 통해, 블레이드(120)는 내측 날개영역(122) 및 외측 날개영역(124)에서 연속적인 트레일링 에지를 형성하게 되고, 내측 날개영역(122)에서 발생하는 바람과 외측 날개영역(124)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연속적인 트레일링 에지로부터 불어나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는, 블레이드(120)의 불연속적인 트레일링 에지의 형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난류(亂流, turbulent flow)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차부(126)에서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의 리딩에지와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의 리딩에지 사이에 △α 만큼의 영각(迎角)차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영각(迎角)이란, 선풍기 날개(100)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120)에서 바람을 받아들이는 블레이드(120)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허브(110)를 기준으로 블레이드(120)가 꺾인 각도를 의미한다.
블레이드(120)에 형성된 영각차는, 앞서 단차의 효과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원심력에 의한 선풍기 바람의 확산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균질한 상태의 바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α는 내측 날개영역(122) 및 외측 날개영역(124)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이때,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의 트레일링 에지와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의 트레일링 에지 사이에서 △α는 0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영각차의 분포는 트레일링 에지에서 발생하는 난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영각은 블레이드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향하면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영각은,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분포하는 영각 값의 평균값으로 정의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블레이드(120)는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128)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128)는 내측 날개영역(122) 및 외측 날개영역(124)의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128)는, 블레이드(120)의 트레일링 에지에서 불어나가는 바람이 난류저감 돌기(128)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도록 유도함으로써, 블레이드(120) 상에서 불어나가는 바람의 흐름이 균일하게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128)는 균일하지 않은 바람의 흐름으로 발생할 수 있는 난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128)는, 난류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내측 날개영역(122) 및 외측 날개영역(124)의 트레일링 에지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128)에서, 각 난류저감 돌기(128) 사이의 간격 대 내측 날개영역(122)의 트레일링 에지의 길이 및 외측 날개영역(124)이 트레일링 에지의 길이의 총합 길이의 비는 0.1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난류저감 돌기(128) 사이의 간격이 10mm이고, 내측 날개영역(122)의 트레일링 에지의 길이 및 외측 날개영역(124)의 트레일링 에지의 길이가 각각 50mm라고 하면, 각 난류저감 돌기(128) 사이의 간격 대 내측 날개영역(122)의 트레일링 에지의 길이 및 외측 날개영역(124)이 트레일링 에지의 길이의 총합 길이의 비는 0.1이 된다. 이는, 개략적으로 블레이드(120)의 트레일링 에지 상에서 10개 내지 8개의 난류저감 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블레이드(120)의 개수는 7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풍기 날개의 회전수가 동일한 경우, 선풍기 날개로부터 발생하는 바람의 양은 블레이드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이를 다르게 말하면, 선풍기 날개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극의 합계 면적이 줄어들수록, 선풍기 날개로부터 발생하는 바람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의 합계 면적은 종래의 5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경우보다 7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경우가 더 적으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는 동일한 소비전력으로 더 많은 양의 바람을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120)의 단차부(126)에서 단차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은,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의 리딩에지 및 트레일링 에지를 잇는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 상의 경로에 있어서,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의 리딩에지를 원점으로 하여 리딩에지로부터의 거리를 의미한다. Y축은 X축의 변화에 따른 단차의 높이 변화를 의미한다.
여기서, 단차의 높이는, 내측 날개영역(122) 타단의 리딩에지 및 트레일링 에지를 잇는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 상의 경로의 각 지점의 법선 상에서,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과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 사이의 거리로 정의한다.
도 4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전체적인 그래프의 형상은 아래로 오목한 곡선의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단차부(126)에서 단차의 높이가, 내측 날개영역(122) 및 외측 날개영역(124)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감소하는 정도는, 내측 날개영역(122) 및 외측 날개영역(124)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단차의 높이 변화는, 트레일링 에지 부근의 단차부(126)에서 단차의 경사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에서 발생하는 바람과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단차부(126) 부근의 트레일링 에지 상에서 자연스럽게 합류하여 불어나갈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블레이드(120)의 트레일링 에지에서 발생하는 난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양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허브(110)의 축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의해 절단된 복수의 블레이드(120)의 측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블레이드(120)의 측단면에 표시된 단차부(126)의 연장선과 내측 날개영역(1220)의 타단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C)는 70도 내지 80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5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120)는 제1연결부(502) 및 제2연결부(5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502)는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과 단차부(126)의 반경방향 내측 일단을 연결하며, 제2연결부(504)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과 단차부(126)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때, 제1연결부(502) 및 제2연결부(504)는 라운드 처리가 되어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126)의 형상은, 단차가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의 바람과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의 바람 사이에 불연속적인 풍속 차이는 유지한 상태에서, 내측 날개영역(122)의 타단의 바람의 흐름과 외측 날개영역(124)의 일단의 바람의 흐름 사이에는 연속성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단차부(126)에서, 불연속적인 바람의 흐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난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양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에서 나오는 바람의 풍속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풍속분포는 CF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된 결과로서, 선풍기 날개의 지름은 330mm이고, 선풍기 날개의 회전속도는 800RPM인 것으로 가정하여 해석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종래의 선풍기 날개로부터 불어나오는 바람의 풍속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B는 본 개시에 따른 단차부(126)를 포함하는 선풍기 날개(100)로부터 불어나오는 바람의 풍속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의 풍속분포를 살펴보면, 선풍기 날개로부터 불어나가는 바람 중 바깥 쪽 바람의 풍속이 안 쪽 바람의 풍속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풍속분포 경향은 바람이 앞으로 진행함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선풍기의 정면으로 전달되는 바람 중 바깥 쪽 바람이 더 큰 원심력을 받게 되어 바깥 쪽 바람의 풍속이 안 쪽 바람의 풍속보다 지나치게 높아져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선풍기에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선풍기 바람은 전체로서 균질하지 못하게 된다.
B의 풍속분포를 살펴보면, 선풍기 날개(100)로부터 불어나가는 바람 중 바깥 쪽 바람의 풍속이 안 쪽 바람의 풍속보다 높은 것은 A의 풍속분포와 유사하나, A의 풍속분포와는 달리, 이러한 풍속분포 경향은 바람이 앞으로 진행함에 따라 약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의 풍속분포에서는, 선풍기 바람이 앞으로 진행할수록 바깥 쪽 바람의 풍속과 안 쪽 바람의 풍속이 서로 균일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의 단차부(126)에 의해 블레이드(120) 상에서 불연속적인 풍속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측 날개영역(124)의 바람과 내측 날개영역(122)의 바람 사이에 불연속적인 밀도분포가 발생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다.
구체적으로, 외측 날개영역(124)에서 발생한 바람은, 외측 날개영역(124)과 내측 날개영역(122)의 바람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 즉 원심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원심력의 일부를 상쇄하면서 바깥 쪽 바람이 안 쪽 방향으로 모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선풍기 날개(100)에서 발생하는 바람은 원심력에 의한 확산이 감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선풍기 바람이 균질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700)의 분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풍기(700)는 선풍기 날개(100) 및 본체(71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풍기 날개(100)는 본 개시에 따른 선풍기 날개일 수 있으며, 본체(710)는 전기모터(72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풍기 날개(100)의 허브(110)는 전기모터(72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선풍기 날개(100)는 전기모터(110)에 의해 전기모터(720)의 회전축(722)과 동축 회전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허브 120: 블레이드 122: 내측 날개영역
124: 외측 날개영역 126: 단차부 128: 난류저감 돌기
502: 제1연결부 504: 제2연결부
710: 본체 720: 전기모터 722: 회전축

Claims (13)

  1.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일단이 상기 허브에 연결되며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날개영역,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날개영역, 및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과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반경방향 내측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의 리딩에지와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일단의 리딩에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과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일단 사이의 단차는 상기 내측 날개영역 및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의 트레일링 에지와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일단의 트레일링 에지는 단차없이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서 단차의 높이가 상기 내측 날개영역 및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감소하는 정도는,
    상기 내측 날개영역 및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의 리딩에지와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일단의 리딩에지 사이에 △α 만큼의 영각차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α는 상기 내측 날개영역 및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리딩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의 트레일링 에지와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일단의 트레일링 에지 사이에서 △α는 0이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축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의해 절단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측단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측단면에 표시된 상기 단차부의 연장선과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70도 내지 80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측단면에 표시된 상기 단차부의 연장선과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75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타단과 상기 단차부의 반경방향 내측 일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일단과 상기 단차부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는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내측 날개영역 및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트레일링 에지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는 상기 내측 날개영역 및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트레일링 에지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난류저감 돌기에서,
    각 난류저감 돌기 사이의 간격 대 상기 내측 날개영역의 트레일링 에지의 길이 및 상기 외측 날개영역의 트레일링 에지의 길이의 총합 길이의 비는 0.1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개수는 7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날개.
  13. 제1 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풍기 날개; 및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허브는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선풍기 날개는 상기 전기모터에 의해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과 동축 회전을 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1020170184709A 2017-12-29 2017-12-29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 KR102101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09A KR102101472B1 (ko) 2017-12-29 2017-12-29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
PCT/KR2018/013009 WO2019132218A1 (ko) 2017-12-29 2018-10-30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09A KR102101472B1 (ko) 2017-12-29 2017-12-29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874A true KR20190081874A (ko) 2019-07-09
KR102101472B1 KR102101472B1 (ko) 2020-04-16

Family

ID=6706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709A KR102101472B1 (ko) 2017-12-29 2017-12-29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1472B1 (ko)
WO (1) WO20191322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163B1 (ko) * 2020-12-03 202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구비되는 축류팬
WO2023038377A1 (ko) * 2021-09-13 2023-03-16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송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22A (ko) * 1997-05-17 1998-12-05 오상수 에어컨용 송풍기
KR200314840Y1 (ko) * 2003-02-21 2003-05-27 주식회사 세원기연 저소음형 송풍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03959Y (zh) * 1997-01-20 1999-01-13 李书印 发散电风扇
KR101708501B1 (ko) * 2010-07-15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어셈블리
JP2017067020A (ja) * 2015-09-30 2017-04-06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扇風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22A (ko) * 1997-05-17 1998-12-05 오상수 에어컨용 송풍기
KR200314840Y1 (ko) * 2003-02-21 2003-05-27 주식회사 세원기연 저소음형 송풍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163B1 (ko) * 2020-12-03 202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구비되는 축류팬
AU2021277760B2 (en) * 2020-12-03 2023-10-05 Lg Electronics Inc. Axial fan fo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1828476B2 (en) 2020-12-03 2023-11-28 Lg Electronics Inc. Axial fan fo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O2023038377A1 (ko) * 2021-09-13 2023-03-16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송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218A1 (ko) 2019-07-04
KR102101472B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5474B2 (ja) 軸流ファン及びエアコン
EP2570677B1 (en) Axial flow blower
EP3473860B1 (en) Impeller and axial blower
JP6811873B2 (ja) プロペラファンおよび軸流送風機
JP6604981B2 (ja) 軸流送風機の羽根車、及び軸流送風機
JP5425192B2 (ja) プロペラファン
KR20190081874A (ko) 선풍기 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선풍기
US10519978B2 (en) Blade of a ventilator wheel, ventilator wheel and axial ventilator
KR101788431B1 (ko) 날개 바퀴 및 이것을 이용한 축류 송풍기
JP5136604B2 (ja) スクロール付遠心送風機
JP2008157113A (ja) 送風機
JP2012107538A (ja) 軸流ファンまたは斜流ファンおよびこれを有する室外ユニット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JPH08240197A (ja) 軸流ファン
KR20170102097A (ko) 누류 및 와류 억제용 축류팬
JP4973623B2 (ja) 遠心圧縮機のインペラ
JP4492060B2 (ja) 送風機羽根車
JP6634589B2 (ja) 送風機羽根車
JPH0579496A (ja) 送風機の羽根車
JP6930644B1 (ja) プロペラファン
JP6980921B2 (ja) プロペラファンおよび送風装置
WO2019131708A1 (ja) 送風機
JP4572617B2 (ja) 空調用送風機羽根車
JP2006077632A (ja) 空調用送風機羽根車
WO2020194756A1 (ja) プロペラファンおよび送風装置
JP2020090896A (ja) 天井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