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175A - 포장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175A
KR20190080175A KR1020170182459A KR20170182459A KR20190080175A KR 20190080175 A KR20190080175 A KR 20190080175A KR 1020170182459 A KR1020170182459 A KR 1020170182459A KR 20170182459 A KR20170182459 A KR 20170182459A KR 20190080175 A KR20190080175 A KR 20190080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box
stiffener
packaging
w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227B1 (ko
Inventor
김병인
Original Assignee
김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인 filed Critical 김병인
Priority to KR102017018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포장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랩(plastic wrap), 알루미늄 호일 등의 포장랩을 절단하는 종이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상자에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포장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종이톱날과 상자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제공하고, 포장랩 절단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종이톱날 및 포장랩이 권취된 롤이 상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는, 제1 면(102); 제1 면(102)의 내측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보강재(140); 제1 면(102) 및 보강재(140) 사이에 톱날부분이 제1 면(10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종이톱날(120); 제1 면(102)의 양 측에서 각각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2 면(104a) 및 제3 면(104b); 제2 면(104a) 및 제3 면(104b)을 연결하는 제4 면(106); 및 제1 면(102), 제2 면(104a), 제3 면(104b) 및 제4 면(106)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5면(10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랩 상자{BOX FOR CONTAINING PLASTIC WRAP}
본 개시는 포장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랩(plastic wrap), 알루미늄 호일 등의 포장랩을 절단하는 종이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상자에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포장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종이톱날과 상자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제공하고, 포장랩 절단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종이톱날 및 포장랩이 권취된 롤이 상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랩(plastic wrap)은 얇은 투명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랩은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밀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국의 경우 용기와의 높은 밀착성을 가지고 질긴 성질을 갖는 랩이 선호되어 폴리염화비닐(PVC)을 함유시키는 경우가 많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 기술인 포장랩 상자(10)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축에 권취되어 롤형상으로 권취된 랩(미도시)은 종이로 만들어진 상자(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되고, 롤에 권취된 랩이 전면(14)을 향하여 권출된다. 한편, 톱날(30)은 상자(10)의 바닥면(16) 외면에 부착되고 전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톱날(30)이 부착된다. 전면(14)을 향하여 권출된 랩은 바닥면(16)에 부착된 톱날(30)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톱날(30)은 일반적으로 금속톱날이 사용되고 있다.
금속으로 구성된 톱날의 경우, 등록특허 제10-0529691호의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에 펀칭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PVC 함유 랩도 장기간 절단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랩상자는 종이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재활용시 금속톱날을 상자로부터 분리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게다가, 사용된 톱날은 토양에 매립되어 재활용되지 못하므로 환경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않다.
반면, 종이로 만들어진 톱날을 사용하면 친환경적이며, 전술한 금속톱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재활용시 톱날을 상자에서 분리 제거할 필요가 없고 종이류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종이톱날은 접착제로 상자에 부착되고 종이의 특성상 PVC 함유 랩 절단을 반복적으로 장기간 하게 되면 결합력이 약하여 우그러지거나 상자로부터 분리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포장랩 상자(10)에 수용된 랩 권출시 랩이 상자(10)에서 돌출하지 못하도록 양측면에 고정수단(18)이 존재하고, 후면(20)에서 연장 형성되어 내부공간(12)을 덮는 덮개(22)가 필수적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랩이 잘 고정되지 못하고 밖으로 돌출되거나 덮개가 필수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29691호 (등록일자: 2005.11.11)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인 종이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수용된 랩이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포장랩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사용 후 재활용시 톱날 분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포장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금속톱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적으로 우수한 포장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종이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포장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종이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조가 동시에 상자 내부에 수용되는 랩의 돌출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포장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내측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보강재; 상기 제1 면 및 보강재 사이에 톱날부분이 제1 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종이톱날; 상기 제1 면의 양 측에서 각각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2 면 및 제3 면; 상기 제2 면 및 제3 면을 연결하는 제4 면; 및 상기 제1 면, 제2 면, 제3 면 및 제4 면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5면;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톱날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1mm 돌출되도록 부착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면은 양 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제1 면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 끝단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재의 양 끝단에는 제1 면의 외면에 부착가능한 부착수단이 형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는 제1 면에 부착된 부분에서 접힘가능한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로부터 제1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4 면에 결합가능한 결합수단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는 접힘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관통공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톱날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면의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복수의 돌출부가 삽입가능한 복수의 결합공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는 제1 면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의 양 끝단이 각각 제2 면 및 제3 면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는 제1 면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종이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수용된 랩이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포장랩 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 후 재활용시 톱날 분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 포장랩 상자가 제공된다.
게다가, 본 개시에 따르면, 금속톱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적으로 우수한 포장랩 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종이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포장랩 상자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에 따르면, 본 개시의 종이톱날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조가 동시에 상자 내부에 수용되는 랩의 돌출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포장랩 상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종래 포장랩 상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일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a의 일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의 정면도로서, 보강재가 결합되기 전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의 정면도로서, 보강재가 결합된 후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도 4a의 일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도 5a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의 일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8 은 도 6의 일측면도로서, 제1 면이 접혀 보강재가 형성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9는 도 6의 일측면도로서, 제1 면이 접혀 보강재가 형성된 후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의 후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의 A-A'를 따른 절개단면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에 따른 포장랩 상자는 하나의 면이 개방가능하게 형성되는 상자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의 상자일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포장랩 상자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축에 권취된 롤 형상의 포장용 랩, 포장용 은박지, 기타 두루마리 포장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개시에서는 이와 같은 롤 형상의 포장재를 랩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포장랩 상자(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개의 면(102, 104a, 104b, 106, 108)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제1 면(102)은 포장랩 상자(100)의 내부에 수용된 랩을 절단할 수 있는 종이톱날(120)이 부착되는 길이방향의 면을 지시하며, 전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면(104a) 및 제3 면(104b)은 각각 제1 면(102)의 양 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면을 지시하며, 각각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지시될 수 있다. 제4 면(106)은 제2 면(104a) 및 제3 면(104b)을 연결하는 면으로서, 제2 면(104a) 및 제3 면(104b)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고, 후면으로 지시될 수 있다. 제5 면(108)은 제1 내지 제4 면(102, 104a, 104b, 106)을 연결하여 바닥면을 형성하고, 제1 내지 제4 면(102, 104a, 104b, 106)과 수직하게 연결된다. 또한, 포장랩 상자(100)는 제5 면(108)의 반대면인 제6 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면(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랩 상자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포장랩 상자(100)의 제1 면(102)에 부착되는 종이톱날(120)은 종이로 만들어진 톱날로서, 포장랩 상자(100)의 내부 수용공간 측의 제1 면(102), 즉, 제1 면(102)의 내면에 부착된다. 종이톱날(120)의 부착은 공지되어 있는 일체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종이톱날(120)은 제1 면(102)의 내면에 부착되고 톱날부분이 제1 면(102)의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종이톱날(120)의 톱날부분은 제1 면(102)의 상측으로 1mm 만 돌출되도록 부착된다. 시험 결과, 종이톱날의 절단력과 내구성은 1mm 만 돌출되도록 한 경우에 종이톱날이 상자에 부착된 면적 대비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포장랩 상자(100)는 종이톱날(120)의 포장랩 상자(100)에 대한 추가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보강재(140)를 더 포함한다. 보강재(140)는 톱날부분을 제외한 종이톱날(120)을 덮도록 종이톱날(120)이 부착된 제1 면(102)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40)는 톱날부분을 제외한 종이톱날(120) 및 제1 면(1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재(140)는 톱날부분을 제외한 종이톱날(120)과 제1 면(102)의 내면을 전부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140)는 포장랩 상자(100)의 제1 면과(102)과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102)에는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202a, 202b)이 각각 형성된다. 보강재(140)가 톱날부분을 제외한 종이톱날(120)과 제1 면(102)의 내면을 덮은 상태에서 보강재(140)의 양측이 관통공(202a, 202b)을 통과하여 제1 면(102)의 외면으로 돌출한 뒤 접힘으로써, 제1 면(102)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보강재(140)는 제1 면(102)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 경우, 보강재(140)가 제1 면(102)을 둘러쌈으로써, 보강재(140)가 보다 견고하게 제1 면(102)과 결합하도록 추가적인 결합력이 가해지고, 제1 면(102) 및 보강재(140) 사이에 배치되는 종이톱날(120)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40)는 종이톱날(120) 및 포장랩 상자(100)의 제1 면(102)과 돌출부(122)에 의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종이톱날(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종이톱날(12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122)가 형성된다. 돌출부(122)는 종이톱날(120)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는 원형의 돌출부(122)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보강재(140)에는 돌출부(122)와 결합할 수 있는 관통공인 결합공(142)이 형성된다. 결합공(142)은 돌출부(1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출부(12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상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돌출부(122)와 대응하는 형상이면 족하다. 이 경우, 보강재(140)와 종이톱날(120)이 정렬되어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고정력 또한 향상되며, 보강재(140)와 종이톱날(120)간, 종이톱날(120) 및 제1 면(102)간, 즉, 세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140)는 포장랩 상자(100)의 좌우면인 제2 면(104a) 및 제3 면(104b)과 추가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추가적인고정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보강재(140)는 제1 면(102)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40)는 제2 면(104a) 및 제3 면(104b)과 결합할 수 있는 연장부(144)를 더 포함하여 제2 면(104a) 및 제3 면(104b)의 내면에 부착됨으로써, 부착면적을 더 넓혀 종이톱날(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140)는 제1 면(1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면(102)으로부터 연장하여 접철되어 제1 면(102)의 내면에 부착되어 이중벽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을 위하여 제1 면(102)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1 면의 부분, 즉, 이중벽 중 내벽을 보강재(140)로 명명하기로 한다. 제1 면(102)에는 종이톱날(120)이 그 내면에 부착되고 종이톱날(120)을 제1 면(102)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제1 면(102)에는 제1 개구부(212)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212)의 길이방향 길이는 종이톱날의 그것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제1 개구부(212)를 중심으로 제1 면(102)이 접혀 보강재(140)는 제1 면(102)의 내측으로 부착된다. 즉, 제1 면(102)의 하나의 몸체가 이중벽을 구성하고, 이중벽 사이에 종이톱날(120)이 제1 개구부(212)를 통해 제1 면(10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이것의 제조는 제1 면(102)의 내면과 보강재(14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종이톱날(120)의 톱날부분이 제1 개구부(212)를 통해 제1 면(10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종이톱날(120)을 결합한다. 그 다음, 보강재(140)가 종이톱날(120)과 제1 면(102)의 내면에 접착되도록 압착함으로써, 제1 면(102)과 보강재(140) 사이에 종이톱날(12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140)는 그 일부가 톱날부분을 제외한 종이톱날(120)과 제1 면(102)에 부착되고 이 부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제1 면(102)과 결합하지 않는 가이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40)에는 접힘부(242)가 형성되어 바닥면인 제5 면(108)과 대략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40)가 후면인 제4 면(106)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4 면에는 길이방향의 제2 개구부(206)가 형성된다. 제4 면(106)의 제2 개구부(206)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240)는 제4 면(106)의 외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공지된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접착제가 도포된 스티커 등일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관통공(2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관통공(246)에는 권출되는 랩이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랩 상자(100)의 사용시, 권취된 랩을 권출하여 가이드관통공(246)에 끼우고 가이드부(242)를 제2 개구부(206)에 삽입하여 제4 면(106)의 외면에 부착한다. 이 경우, 덮개나 랩상자의 좌우면에 형성되는 고정수단 없이도 랩을 권출하는 과정에서 랩이 상자 밖으로 돌출되거나 분리됨 없이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랩을 권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종이톱날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사용 중 랩이 상자에서 돌출하는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포장랩 상자 12: 내부공간
14: 전면 16: 바닥면
18: 고정수단 20: 후면
22: 덮개 30: 톱날
100: 포장랩 상자 102: 제1 면
104a: 제2 면 104b: 제3 면
106: 제4 면 108: 제5 면
110: 덮개 120: 종이톱날
122: 돌출부 140: 보강재
142: 결합공 144: 연장부
202a, 202b: 관통공 240: 가이드부
242: 접힘부 246: 가이드관통공

Claims (10)

  1. 제1 면;
    상기 제1 면의 내측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보강재;
    상기 제1 면 및 보강재 사이에 톱날부분이 제1 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종이톱날;
    상기 제1 면의 양 측에서 각각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2 면 및 제3 면;
    상기 제2 면 및 제3 면을 연결하는 제4 면; 및
    상기 제1 면, 제2 면, 제3 면 및 제4 면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5면;
    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랩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이톱날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1mm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것인 포장랩 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양 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제1 면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 끝단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인 포장랩 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양 끝단에는 제1 면의 외면에 부착가능한 부착수단이 형성되는 것인 포장랩 상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제1 면에 부착된 부위에서 접힘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로부터 제1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인 포장랩 상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4 면에 결합가능한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것인 포장랩 상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접힘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랩 상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이톱날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면의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복수의 돌출부가 삽입가능한 복수의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랩 상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제1 면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의 양 끝단이 각각 제2 면 및 제3 면에 결합되는 것인 포장랩 상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제1 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포장랩 상자.
KR1020170182459A 2017-12-28 2017-12-28 포장랩 상자 KR10199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59A KR101999227B1 (ko) 2017-12-28 2017-12-28 포장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59A KR101999227B1 (ko) 2017-12-28 2017-12-28 포장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75A true KR20190080175A (ko) 2019-07-08
KR101999227B1 KR101999227B1 (ko) 2019-07-11

Family

ID=6725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459A KR101999227B1 (ko) 2017-12-28 2017-12-28 포장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2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567Y1 (ko) * 1986-09-06 1991-04-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제품의 트랜지스터와 방열판의 결합구조
JPH05246429A (ja) * 1992-02-27 1993-09-24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鋸刃を設けたラップフィルム収納紙箱
JPH0632351A (ja) * 1992-07-10 1994-02-08 Asahi Chem Ind Co Ltd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箱
KR20040086955A (ko) * 2003-04-03 2004-10-13 주식회사 청정아이앤씨 랩 포장용 상자
KR100529691B1 (ko) 2003-12-22 2005-11-22 김병인 랩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567Y1 (ko) * 1986-09-06 1991-04-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제품의 트랜지스터와 방열판의 결합구조
JPH05246429A (ja) * 1992-02-27 1993-09-24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鋸刃を設けたラップフィルム収納紙箱
JPH0632351A (ja) * 1992-07-10 1994-02-08 Asahi Chem Ind Co Ltd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箱
KR20040086955A (ko) * 2003-04-03 2004-10-13 주식회사 청정아이앤씨 랩 포장용 상자
KR100529691B1 (ko) 2003-12-22 2005-11-22 김병인 랩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227B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227B1 (ko) 포장랩 상자
JP5562892B2 (ja) 包装構造体
CN110937241A (zh) 自助式干燥食品保鲜包装袋结构
JP6007587B2 (ja) パウチ
WO2013038879A1 (ja) 医療用資器材の保護材および医療用資器材収納物
KR20190053053A (ko) 일회용 종이용기
JP6335946B2 (ja) 収容箱、および、カートン
JP2015034043A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US20130075293A1 (en) Packaging case
JP2011088671A (ja) 切開用溝を持つスライディングファスナ及びこのファスナを有する封筒
WO2017055969A1 (en) Tobacco pouch with pocket
KR102294041B1 (ko) 테이프 포장용기
JP2001031104A (ja) ラップカートン
JP2006341888A (ja) 包装箱
JP2005187026A (ja) リール梱包シート
CN211810664U (zh) 一种环保包装盒
KR200474696Y1 (ko) 봉투
CN212099870U (zh) 一种玩具包装组合盒的可拆卸式连接结构
KR102084740B1 (ko) 포장박스
JP4668685B2 (ja) 紙容器
JP6557378B2 (ja) 収容箱、および、カートン
JP2001240040A (ja) 収納部付き包装用箱
JP6715287B2 (ja) 収容箱、および、カートン
JP2005088899A (ja) 除湿器の包装用容器
JP2004175451A (ja) 段ボー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