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808A -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7808A KR20190077808A KR1020170179294A KR20170179294A KR20190077808A KR 20190077808 A KR20190077808 A KR 20190077808A KR 1020170179294 A KR1020170179294 A KR 1020170179294A KR 20170179294 A KR20170179294 A KR 20170179294A KR 20190077808 A KR20190077808 A KR 201900778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ing
- hinge
- headrest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작동시키는 작동력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승객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지지력은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과 윙아웃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좌우측 힌지프레임 간을 한 쌍의 와이어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부가하여,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사용 위치로 각회전시키는 작동력(F1)은 그대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승객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지지력(F2)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대한 성능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과 윙아웃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좌우측 힌지프레임 간을 한 쌍의 와이어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부가하여,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사용 위치로 각회전시키는 작동력(F1)은 그대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승객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지지력(F2)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대한 성능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작동시키는 작동력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승객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지지력은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는 승객이 착좌하는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시트백과, 머리부를 지지하도록 시트백의 상부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승객의 목과 머리를 지지하여 목 부분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추돌 사고시에는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막아주어 목 부분의 상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차량의 고급화 및 편의 장치의 확대 추세에 따라 승객의 머리부에 대한 보다 안락한 지지를 도모하고자,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9384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부에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타입의 헤드레스트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개념도를 도시한 첨부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윙아웃 헤드레스트(102)는 헤드레스트 본체(100)의 양측부에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헤드레스트 본체(100)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된다.
반면,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102)에 머리부를 기대기 위한 각도를 좁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쪽 윙아웃 헤드레스트(102)를 손으로 잡아서 헤드레스트 본체(100)의 안쪽 방향(승객의 머리 양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시켜 배열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된 윙아웃 헤드레스트(102)가 승객의 머리 양측부를 감싸듯이 배열됨으로써, 승객이 머리부를 윙아웃 헤드레스트(102)에 보다 편하게 기댈 수 있고, 차량 측방향 사고시 윙아웃 헤드레스트(102)가 승객의 머리부를 보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2는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면부호 10은 본체프레임을 지시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헤드레스트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골격체로서 시트백(미도시됨)에 스테이 로드를 매개로 고정 장착된다.
특히,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측부에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이루는 윙아웃 프레임(20)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힌지 체결단(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윙아웃 프레임(20)에는 힌지 장착구(22)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체결단(12)과 힌지 장착구(22)에 체결되는 힌지프레임(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힌지프레임(30)은 중간 부분의 상하면에 힌지핀(31)이 돌출 형성되고, 내측단에는 고정핀(32)이 형성되며, 외측단은 고정단(33)으로 형성된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힌지프레임(30)의 힌지핀(31)이 본체프레임(10)의 힌지 체결단(12)에 힌지 체결되고, 상기 고정단(33)이 윙아웃 프레임(20)의 힌지 장착구(22) 내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본체프레임(10)의 양측부에 윙아웃 프레임(20)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윙아웃 프레임(20)의 각회전 조절시 각도를 한정하기 위하여 요홈을 갖는 스토퍼(14)가 장착된다.
여기서,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 작동 흐름을 첨부한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듯이, 평상시에는 상기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이루는 윙아웃 프레임(20)는 헤드레스트 본체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10)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객이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쪽에 있는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잡아서 헤드레스트 본체의 안쪽 방향(승객의 머리 양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시키면, 상기 윙아웃 프레임(2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프레임(30)의 힌지핀(31)이 본체프레임(10)의 힌지 체결단(12)에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태로 삽입되지 않고, 어느 정도 뻑뻑한 상태로 압입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잡아서 각회전시키는 작동력이 일정 수준 이상 소요된다.
즉, 상기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승객이 손으로 잡고 사용 위치(헤드레스트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 또는 본래 위치(헤드레스트 본체와 거의 수평으로 배열되는 위치)로 각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력이 일정 수준 이상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프레임(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된 윙아웃 프레임(20)이 승객의 머리 양측부를 감싸듯이 배열됨으로써, 승객이 고개을 좌우로 약간 돌리면 승객의 머리부를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보다 편하게 기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윙아웃 프레임(20)을 사용 위치로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시키면, 상기 힌지프레임(30)의 고정핀(32)이 본체프레임(10)에 있는 스토퍼(14)의 요홈부에 안착 삽입되어, 윙아웃 프레임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는 승객의 머리부를 편하게 기댈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잡아서 일정 수준 이상의 작동력(F1)을 가하여 사용 위치(헤드레스트 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로 각회전시킨 후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는 지지력(F2)이 상기 작동력(F1)을 조금이라도 넘어서면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의도치 않게 본래 위치(헤드레스트 본체와 거의 수평으로 배열되는 위치)로 복귀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작동시키는 작동력(F1) 대비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는 지지력(F2)이 조금이라도 더 크게 되면,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승객이 의도하지 않게 본래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기능을 상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편의 장치의 일종인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대한 성능 및 품질 저하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과 윙아웃 프레임 간에 연결되는 좌우측 힌지프레임 간을 한 쌍의 와이어로 연결시키는 구성을 부가하여,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사용 위치로 각회전시키는 작동력(F1)은 그대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승객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지지력(F2)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대한 성능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본체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좌측 윙아웃 프레임을 각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우측 윙아웃 프레임을 각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 윙아웃 프레임과 우측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위치 또는 본래 위치로 동시에 각회전되도록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 간을 한 쌍의 와이어로 연결하되, 한 쌍의 와이어 중 제1와이어는 시계방향으로 감기면서 연결되고, 한 쌍의 와이어 중 제2와이어는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기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일측부에 각각 제1와이어를 시계방향으로 감기 위한 제1 및 제2시계방향 유도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타측부에 각각 제2와이어를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기 위한 제1 및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계방향 유도홀과 제1시계반대방향 유도홀은 각각 제1힌지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내측 및 외측 위치에 형성되되, 서로 대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시계방향 유도홀과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은 각각 제2힌지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위치에 형성되되, 서로 대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일측부에 각각 제1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타측부에 각각 제2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및 제4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홈과 제3고정홈은 각각 제1힌지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위치에 형성되되, 서로 대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고정홈과 제4고정홈은 각각 제2힌지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내측 및 외측 위치에 형성되되, 서로 대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방향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와이어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이 소정의 작동력(F1)에 의하여 함께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후, 좌측 또는 우측 윙아웃 프레임에 작용하여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을 함께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지지력(F2)은 상기 작동력(F1)의 2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사용 위치 또는 본래 위치로 각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력(F1)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고,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상태에서 승객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지지력(F2)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의도치 않게 본래 위치로 복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좌우측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한 쌍의 와이어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함께 사용 위치 또는 본래 위치로 각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좌우측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함께 각회전시키기 위한 소정의 작동력(F1) 대비 좌우측 헤드레스트가 본래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좌측 또는 우측 헤드레스트에 작용하는 지지력(F2)을 2배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승객이 의도치 않게 본래 위치로 복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대한 성능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전 위치(본래 위치)에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A-A선 및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의 C-C선 및 D-D선을 취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전 위치(본래 위치)에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5의 A-A선 및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의 C-C선 및 D-D선을 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5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윙아웃 프레임이 본래 위치 및 사용 위치에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며,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본체프레임을 지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은 헤드레스트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헤드레스트 본체의 골격체를 이루고, 이 본체프레임(10)의 양측부에는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이루는 동일한 구조의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 20-2)이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은 본체프레임(10)에 제1힌지프레임(30-1)에 의하여 각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우측 윙아웃 프레임(20-2)은 본체프레임(10)에 동일한 구조로 된 제2힌지프레임(30-2)에 의하여 각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힌지프레임(30-1,30-2)은 중간 부분의 상하면에 힌지핀(31)이 돌출 형성되고, 내측단에는 고정핀(32)이 형성되며, 외측단은 고정단(33)으로 형성된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각 힌지프레임(30-1,30-2)의 힌지핀(31)이 본체프레임(10)의 힌지 체결단(12)에 힌지 체결되고, 고정단(33)이 윙아웃 프레임(20)의 힌지 장착구(22) 내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본체프레임(10)의 양측부에 각각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의 사용 위치로 각회전되는 각도를 한정하기 위하여 요홈을 갖는 스토퍼(14)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힌지프레임(30-1)과 제2힌지프레임(30-2)이 제1와이어(41)와 제2와이어(42)에 의하여 상호 연결됨으로써, 제1힌지프레임(30-1)의 고정단(33)과 결합된 상기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과, 제2힌지프레임(30-2)의 고정단(33)과 결합된 상기 우측 윙아웃 프레임(20-2)도 제1와이어(41)와 제2와이어(4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와이어(41)는 제1힌지프레임(30-1)과 제2힌지프레임(30-2)에 시계방향으로 감기면서 연결되고, 상기 제2와이어(42)는 제1힌지프레임(30-1)과 제2힌지프레임(30-2)에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기면서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제1힌지프레임(30-1)과 제2힌지프레임(30-2)에 제1와이어(41)가 시계방향으로 감기면서 연결되는 동시에 제2와이어(4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기면서 연결되고, 상기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과 우측 윙아웃 프레임(20-2)도 제1와이어(41)와 제2와이어(4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과 우측 윙아웃 프레임(20-2)은 사용 위치(본체프레임의 안쪽 방향을 향하여 각회전하여 본체프레임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 또는 본래 위치(본체프레임과 거의 수평으로 배열되는 위치)로 함께(동시에) 각회전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가 시계방향으로 감기며 연결되는 구조와 제2와이어가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기며 연결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프레임(30-1)과 제2힌지프레임(30-1)의 일측부에 각각 제1와이어(41)를 시계방향으로 감기 위한 제1 및 제2시계방향 유도홀(34-1,34-2)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힌지프레임(30-1)과 제2힌지프레임(30-2)의 타측부에 각각 제2와이어(42)를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기 위한 제1 및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1,35-2)이 관통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계방향 유도홀(34-1)은 제1힌지프레임(30-1)의 힌지핀(31)을 중심으로 내측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1)은 제1힌지프레임(30-1)의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외측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시계방향 유도홀(34-1)과 제1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1)은 힌지핀(3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 배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시계방향 유도홀(34-2)은 제2힌지프레임(30-2)의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외측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2)은 제2힌지프레임(30-2)의 힌지핀(31)을 중심으로 내측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시계방향 유도홀(34-2)과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2)은 힌지핀(3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 배열을 이루게 된다.
첨부한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프레임(30-1)과 제2힌지프레임(30-1)의 일측부에 각각 제1와이어(41)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고정홈(36-1,36-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프레임(30-1)과 제2힌지프레임(30-2)의 타측부에 각각 제2와이어(42)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및 제4고정홈(36-3, 36-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홈(36-1)과 제3고정홈(36-3)은 각각 제1힌지프레임(30-1)의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대각 배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홈(36-2)과 제4고정홈(36-4)은 각각 제2힌지프레임(30-2)의 힌지핀(31)을 중심으로 내측 및 외측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대각 배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6 및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제1와이어(41)의 일단부는 제1힌지프레임(30-1)의 제1고정홈(36-1)에 고정되어 제1시계방향 유도홀(34-1)을 통과하면서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긴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와이어(41)의 타단부도 제2힌지프레임(30-2)의 제2고정홈(36-2)에 고정되어 제2시계방향 유도홀(34-2)을 통과하면서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긴 상태가 된다.
또한, 첨부한 도 7 및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제2와이어(42)의 일단부는 제1힌지프레임(30-1)의 제3고정홈(36-3)에 고정되어 제1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1)을 통과하면서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긴 상태가 되고, 상기 제2와이어(42)의 타단부도 제2힌지프레임(30-2)의 제4고정홈(36-4)에 고정되어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2)을 통과하면서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긴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이 고정된 제1와이어(41) 및 제2와이어(42)는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위치 또는 본래 위치로 각회전할 때 감김 또는 풀림 이동을 하면서 항상 일정한 길이 및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와이어(41) 및 제2와이어(42)의 감김 또는 풀림시 그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동시에 이동의 직진성을 부여하고, 각 와이어(41,42)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자,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제1와이어(41)의 안내를 위한 한 쌍의 안내롤러(16) 및 제2와이어(42)의 안내를 위한 한 쌍의 안내롤러(16)가 소정 위치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 및 도 7은 좌우측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전 위치(본래 위치)에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 및 도 10은 좌우측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평상시에는 상기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1)은 헤드레스트 본체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10)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객이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쪽에 있는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잡아서 헤드레스트 본체의 안쪽 방향(승객의 머리 양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작동력(F1)을 가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시키면,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동시에 각회전하여 사용 위치까지 동일한 각도로 각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소정의 작동력(F1)에 의하여 함께 사용 위치로 각회전될 때, 상기 제1와이어(41)의 일단부는 제1힌지프레임(30-1)의 제1시계방향 유도홀(34-1)을 통해 풀리게 되고, 동시에 제1와이어(41)의 타단부는 제2시계방향 유도홀(34-2)을 통해 감기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소정의 작동력(F1)에 의하여 함께 사용 위치로 각회전될 때, 상기 제2와이어(42)의 일단부는 상기 제1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1)을 통해 감기게 되고, 동시에 제2와이어(42)의 타단부는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2)을 통해 풀리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힌지프레임의 힌지핀(31)이 본체프레임(10)의 힌지 체결단(12)에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태로 삽입되지 않고, 어느 정도 뻑뻑한 상태로 압입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손으로 잡아서 각회전시키는 작동력(F1)이 일정 수준 이상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프레임(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각회전된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승객의 머리 양측부를 감싸듯이 배열됨으로써, 승객이 고개을 좌우로 약간 돌리면 승객의 머리부를 좌측 또는 우측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보다 편하게 기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제1 및 제2힌지프레임(30-1,30-2)을 통해 제1 및 제2와이어(41,42)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이므로,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 또는 우측 윙아웃 프레임(20-2) 단독으로 각회전되지 않고,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함께 각회전을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소정의 작동력(F1)에 의하여 함께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후,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 또는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에 작용하여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을 함께 본래 위치로 복귀시킬 정도의 지지력(F2)은 상기 작동력(F1)의 2배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첨부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에만 복귀를 위한 상기 작동력(F1)이 가해지면,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은 복귀되는 방향으로 각회전되지 않게 되며, 그 이유는 상기 제1와이어(41)의 일단부가 작동력(F1)에 의하여 제1시계방향 유도홀(34-1)을 통해 감기려고 할 때, 도 10에 도시된 상기 제2와이어(42)의 타단부(작동력(F1)이 인가되지 않음)는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2)을 통해 감기지 않고 버티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에 상기 작동력(F1)의 2배 이상인 지지력(F2)이 가해진다면,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함께 복귀되는 방향으로 각회전될 수 있고, 그 이유는 상기 제1와이어(41)의 일단부가 지지력(F2)에 의하여 제1시계방향 유도홀(34-1)을 통해 감기려고 할 때, 상기 제2와이어(42)의 타단부(지지력(F2)가 전달됨)도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2)을 통해 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윙아웃 프레임(20-2)에만 복귀를 위한 상기 작동력(F1)이 가해지면,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은 복귀되는 방향으로 각회전되지 않게 되며, 그 이유는 상기 제2와이어(42)의 타단부가 작동력(F1)에 의하여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4-2)을 통해 감기려고 할 때, 도 9에 도시된 상기 제1와이어(41)의 일단부(작동력(F1)이 인가되지 않음)는 제1시계방향 유도홀(34-1)을 통해 감기지 않고 버티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우측 윙아웃 프레임(20-2)에 상기 작동력(F1)의 2배 이상인 지지력(F2)이 가해진다면,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함께 복귀되는 방향으로 각회전될 수 있고, 그 이유는 상기 제2와이어(42)의 타단부가 지지력(F2)에 의하여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35-2)을 통해 감기려고 할 때, 상기 제1와이어(41)의 일단부(지지력(F2)가 전달됨)도 제1시계방향 유도홀(34-1)을 통해 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에 복귀를 위한 상기 작동력(F1)이 함께 가해지면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은 사용 위치에서 본래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하게 되고, 또는 상기 좌측 윙아웃 프레임(20-1)과 우측 윙아웃 프레임(20-2) 중 하나에 작동력(F1) 대비 2배 이상의 지지력(F2)이 가해지면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은 사용 위치에서 본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상기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상태에서 승객이 머리부를 좌측 또는 우측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지지시키는 지지력(F2)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작동시키는 작동력(F1)보다 조금이라도 더 크게 되면,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승객이 의도하지 않게 본래 위치로 복귀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20-1,20-2)이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상태에서 승객이 머리부를 좌측 또는 우측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지지시키는 지지력(F2)이 윙아웃 헤드레스트를 작동시키는 작동력(F1)보다 2배 이상이 아니면, 윙아웃 헤드레스트가 승객이 의도하지 않게 본래 위치로 복귀되지 않게 되고, 결국 승객이 머리부를 좌측 또는 우측 윙아웃 헤드레스트에 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기댈 수 있다.
10 : 본체프레임
12 : 힌지 체결단
14 : 스토퍼
16 : 안내롤러
20 : 윙아웃 프레임
20-1 : 좌측 윙아웃 프레임
20-2 : 우측 윙아웃 프레임
22 : 힌지 장착구
30 : 힌지프레임
30-1 : 제1힌지프레임
30-2 : 제2힌지프레임
31 : 힌지핀
32 : 고정핀
33 : 고정단
34-1 : 제1시계방향 유도홀
34-2 : 제2시계방향 유도홀
35-1 : 제1시계반대방향 유도홀
35-2 :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
36-1 : 제1고정홈
36-2 : 제2고정홈
36-3 : 제3고정홈
36-4 : 제4고정홈
41 : 제1와이어
42 : 제2와이어
100 : 헤드레스트 본체
102 : 윙아웃 헤드레스트
12 : 힌지 체결단
14 : 스토퍼
16 : 안내롤러
20 : 윙아웃 프레임
20-1 : 좌측 윙아웃 프레임
20-2 : 우측 윙아웃 프레임
22 : 힌지 장착구
30 : 힌지프레임
30-1 : 제1힌지프레임
30-2 : 제2힌지프레임
31 : 힌지핀
32 : 고정핀
33 : 고정단
34-1 : 제1시계방향 유도홀
34-2 : 제2시계방향 유도홀
35-1 : 제1시계반대방향 유도홀
35-2 :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
36-1 : 제1고정홈
36-2 : 제2고정홈
36-3 : 제3고정홈
36-4 : 제4고정홈
41 : 제1와이어
42 : 제2와이어
100 : 헤드레스트 본체
102 : 윙아웃 헤드레스트
Claims (9)
- 헤드레스트 본체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헤드레스트의 골격을 이루는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좌측 윙아웃 프레임을 각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하여 우측 윙아웃 프레임을 각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측 윙아웃 프레임과 우측 윙아웃 프레임이 사용 위치 또는 본래 위치로 동시에 각회전되도록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 간을 한 쌍의 와이어로 연결하되, 한 쌍의 와이어 중 제1와이어는 시계방향으로 감기면서 연결되고, 한 쌍의 와이어 중 제2와이어는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기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일측부에 각각 제1와이어를 시계방향으로 감기 위한 제1 및 제2시계방향 유도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타측부에 각각 제2와이어를 시계반대방향으로 감기 위한 제1 및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시계방향 유도홀과 제1시계반대방향 유도홀은 각각 제1힌지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내측 및 외측 위치에 형성되되, 서로 대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시계방향 유도홀과 제2시계반대방향 유도홀은 각각 제2힌지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위치에 형성되되, 서로 대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일측부에 각각 제1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타측부에 각각 제2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및 제4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과 제3고정홈은 각각 제1힌지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외측 및 내측 위치에 형성되되, 서로 대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홈과 제4고정홈은 각각 제2힌지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내측 및 외측 위치에 형성되되, 서로 대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방향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이 소정의 작동력(F1)에 의하여 함께 사용 위치로 각회전된 후, 좌측 또는 우측 윙아웃 프레임에 작용하여 좌측 및 우측 윙아웃 프레임을 함께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지지력(F2)은 상기 작동력(F1)의 2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294A KR101998656B1 (ko) | 2017-12-26 | 2017-12-26 |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294A KR101998656B1 (ko) | 2017-12-26 | 2017-12-26 |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7808A true KR20190077808A (ko) | 2019-07-04 |
KR101998656B1 KR101998656B1 (ko) | 2019-07-10 |
Family
ID=6725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9294A KR101998656B1 (ko) | 2017-12-26 | 2017-12-26 |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865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20493A (zh) * | 2019-12-26 | 2020-03-27 | 沈阳市中瑞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动六向调节汽车座椅头枕骨架 |
CN112829653A (zh) * | 2021-03-19 | 2021-05-25 | 长春富维安道拓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 一种侧翼可调整的睡眠头枕 |
CN113978330A (zh) * | 2021-11-05 | 2022-01-28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睡眠头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6092A (ja) * | 2003-08-26 | 2005-03-17 | Asmo Co Ltd | 車両用自動ヘッドレスト装置 |
KR20130070138A (ko) * | 2011-12-19 | 2013-06-27 | 이선욱 | 의자용 머리받침대 |
KR101593848B1 (ko) | 2014-12-29 | 2016-02-12 | 현대다이모스(주) | 헤드레스트 장치 |
-
2017
- 2017-12-26 KR KR1020170179294A patent/KR1019986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6092A (ja) * | 2003-08-26 | 2005-03-17 | Asmo Co Ltd | 車両用自動ヘッドレスト装置 |
KR20130070138A (ko) * | 2011-12-19 | 2013-06-27 | 이선욱 | 의자용 머리받침대 |
KR101593848B1 (ko) | 2014-12-29 | 2016-02-12 | 현대다이모스(주) | 헤드레스트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20493A (zh) * | 2019-12-26 | 2020-03-27 | 沈阳市中瑞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动六向调节汽车座椅头枕骨架 |
CN110920493B (zh) * | 2019-12-26 | 2024-05-17 | 沈阳市中瑞机械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动六向调节汽车座椅头枕骨架 |
CN112829653A (zh) * | 2021-03-19 | 2021-05-25 | 长春富维安道拓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 一种侧翼可调整的睡眠头枕 |
CN113978330A (zh) * | 2021-11-05 | 2022-01-28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睡眠头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8656B1 (ko) | 2019-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8656B1 (ko) | 자동차용 윙아웃 헤드레스트 서포트 장치 | |
US8172329B2 (en) | Electromotive headrest folding apparatus for vehicles | |
JP7014096B2 (ja) | 車両 | |
KR20200070717A (ko) | 자동차용 시트백 | |
CN201941630U (zh) | 车用头枕的侧扶装置 | |
JP6020376B2 (ja) | シート | |
WO2014192095A1 (ja) | 乗り物用座席 | |
KR101576383B1 (ko) | 차량용 시트백 폴딩장치 | |
IT9067740A1 (it) | Sedile ausiliario, particolarmente per cabine di veicoli commerciali | |
US11202727B2 (en) | Wheelchair carrying vehicle | |
JP3912832B2 (ja) | ベルトイン・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 | |
US10434913B1 (en) | Vehicle seat | |
KR101837408B1 (ko) | 차량의 시트 회전장치 | |
KR101998657B1 (ko) | 차량의 스위치형 헤드레스트 | |
JP2012116390A (ja) | 乗物用シート | |
KR102421680B1 (ko) | 차량용 암레스트 | |
KR102403311B1 (ko) | 차량용 폴딩 시트의 프레임 구조 | |
JP2000190768A (ja) | 航空機のア―ムレスト | |
KR20230144370A (ko) | 윙아웃 헤드레스트 장치 | |
KR102638796B1 (ko) | 농업용 작업차의 교육용 접이식 의자 | |
KR101589768B1 (ko) |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크장치 | |
JP2536861Y2 (ja) | 自動車のシート構造 | |
JPH05178136A (ja) | 子供用シー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 |
KR20170061930A (ko) | 자동차 시트의 더블 폴딩장치 | |
JP2021066209A (ja) | 車両用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