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580A -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580A
KR20190077580A KR1020197017668A KR20197017668A KR20190077580A KR 20190077580 A KR20190077580 A KR 20190077580A KR 1020197017668 A KR1020197017668 A KR 1020197017668A KR 20197017668 A KR20197017668 A KR 20197017668A KR 20190077580 A KR20190077580 A KR 20190077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group
resin composition
prepreg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439B1 (ko
Inventor
겐키 스기야마
쇼타 고가
겐타로 다카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08G59/245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ar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32Epoxy compounds contain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28Isocyanates; Thio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5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natur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9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re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66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reinforced, e.g. by fibres,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7Parts immersed or impregnated in a matrix
    • B32B2305/076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고, 또한, Z 평균 분자량이 1400 이상 3000 이하인 에폭시 수지 (A) 와,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17

(식 (1) 중, X1 은 탄소수 1 ∼ 3 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나 통신기,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의 고집적화, 미세화는 점점 더 가속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되는 반도체 패키지용 적층판에 요구되는 제 특성은 점점 더 엄격한 것이 되고 있다. 요구되는 특성으로서, 예를 들어, 저흡수성, 흡습 내열성, 난연성, 저유전율, 저유전정접, 저열팽창률, 내열성, 내약품성, 고(高)도금 필 강도 등의 특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와 같은 요구 특성은 반드시 만족되어 온 것은 아니다.
종래부터, 내열성이나 전기 특성이 우수한 프린트 배선판용 재료로서,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에 에폭시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 등을 병용한 수지 조성물이, 반도체 플라스틱 패키지용 등의 고기능의 프린트 배선판용 재료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에 있어서는, 밀착성, 저흡수성, 흡습 내열성, 절연 신뢰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과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 있어서는,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과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3/065694호 국제 공개 제2014/203866호 국제 공개 제2015/064064호
특허문헌 1 ∼ 2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은, 밀착성, 저흡수성, 흡습 내열성, 절연 신뢰성에 대해서 양호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내열성의 관점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내열성이 우수하다고 되어 있는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도,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내열성을 발현하는,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과, 특정 구조 및 특정 분자량을 갖는 에폭시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고, 또한, Z 평균 분자량이 1400 이상 3000 이하인 에폭시 수지 (A) 와,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중, X1 은 탄소수 1 ∼ 3 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2]
상기 에폭시 수지 (A) 의 함유량이,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 ∼ 90 질량부인, [1]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3]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 (A) 이외의 에폭시 수지, 말레이미드 화합물, 페놀 수지, 옥세탄 수지, 벤조옥사진 화합물, 및 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4]
충전재 (C) 를 추가로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5]
상기 충전재 (C) 의 함유량이,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50 ∼ 1600 질량부인, [4]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6]
기재와,
상기 기재에 함침 또는 도포된,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갖는, 프리프레그.
[7]
적어도 1 장 이상 적층된 [6] 에 기재된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편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금속박을 갖는, 금속박 피복 적층판.
[8]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갖는, 수지 시트.
[9]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을 갖고,
상기 절연층이,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프린트 배선판.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내열성을 발현하는,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라고 한다.) 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고, 또한, Z 평균 분자량이 1400 이상 3000 이하인 에폭시 수지 (A) 와,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를 함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내열성을 발현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1) 중, X1 은 탄소수 1 ∼ 3 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폭시 수지 (A)〕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폭시 수지 (A) 는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다.
식 (1) 에 있어서의 X1 은, 탄소수 1 ∼ 3 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이다.
식 (1) 에 있어서의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수는, 1 이상의 정수이고, 내열성 및 성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4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정의 반복 단위를 갖고, 또한, 소정의 Z 평균 분자량을 갖는 한, 에폭시 수지 (A) 는, 1 개의 반복 단위수를 갖는 1 종의 에폭시 수지만이어도 되고, 반복 단위수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에폭시 수지 (A) 가, 반복 단위수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인 경우, 반복 단위수가 1 이 되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반복 단위수가 2 이상이 되는 에폭시 수지도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에폭시 수지 (A) 의 Z 평균 분자량으로는 1400 이상 3000 이하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열성의 관점에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는 하기 식 (1-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열성의 관점에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구조의 말단은, 그 일방이 수소 원자이고, 타방이 하기 식 (1-2) 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1-2)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폭시 수지 (A) 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하기 식 (1-3) 으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4) 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1-3) 중, X1 은 탄소수 1 ∼ 3 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 는, 그 일방이 수소 원자이고, 타방이 상기 식 (1-2) 로 나타내는 기이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폭시 수지 (A) 의 Z 평균 분자량은, 1400 이상 3000 이하이고, 내열성 및 성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25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2000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폭시 수지 (A) 의 함유량은, 원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열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 ∼ 9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70 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60 질량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지 고형분」이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제 및 충전재를 제외한 성분을 말하고,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란,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제 및 충전재를 제외한 성분의 합계가 100 질량부인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폭시 수지 (A) 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에폭시 수지 (A) 는,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으며, 그 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DIC (주) 제조의 「EPICLON EXA-4710H-70M」등을 들 수 있다.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로는, 시아나토기 (시안산에스테르기) 에서 적어도 1 개 치환된 방향족 부분을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은, 경화물로 했을 때에, 유리 전이 온도, 저열팽창성, 도금 밀착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의 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상기 식 (2) 중, Ar1 은,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또는 2 개의 벤젠 고리가 단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복수 있는 경우에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a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와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가 결합된 기를 나타낸다. Ra 에 있어서의 방향 고리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Ar1 및 Ra 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p 는 Ar1 에 결합하는 시아나토기의 수를 나타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 3 의 정수이다. q 는 Ar1 에 결합하는 Ra 의 수를 나타내고, Ar1 이 벤젠 고리일 때에는 4-p, 나프탈렌 고리일 때에는 6-p, 2 개의 벤젠 고리가 단결합된 것일 때에는 8-p 이다. t 는 평균 반복수를 나타내고, 0 ∼ 50 의 정수이고, 다른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은, t 가 상이한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X 는,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탄소수 1 ∼ 50 의 2 가의 유기기 (수소 원자가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질소수 1 ∼ 10 의 2 가의 유기기 (예를 들어 -N-R-N- (여기에서 R 은 유기기를 나타낸다.)), 카르보닐기 (-CO-), 카르복시기 (-C(=O)O-), 카르보닐디옥사이드기 (-OC(=O)O-), 술포닐기 (-SO2-), 2 가의 황 원자 또는 2 가의 산소 원자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상기 식 (2) 의 Ra 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직사슬 혹은 분지의 사슬형 구조, 및 고리형 구조 (예를 들어 시클로알킬기 등) 중 어느 것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식 (2) 에 있어서의 알킬기 및 Ra 에 있어서의 아릴기 중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톡시기, 페녹시기 등의 알콕시기, 또는 시아노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알킬기의 구체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1-에틸프로필기, 2,2-디메틸프로필기, 시클로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들 수 있다.
아릴기의 구체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페닐기, 자일릴기, 메시틸기, 나프틸기, 페녹시페닐기, 에틸페닐기, o-, m- 또는 p-플루오로페닐기, 디클로로페닐기, 디시아노페닐기, 트리플루오로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및 o-, m- 또는 p-톨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및 tert-부톡시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2) 의 X 에 있어서의 탄소수 1 ∼ 50 의 2 가의 유기기의 구체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트리메틸시클로헥실렌기, 비페닐일메틸렌기, 디메틸메틸렌-페닐렌-디메틸메틸렌기, 플루오렌디일기 및 프탈리드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2 가의 유기기 중의 수소 원자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톡시기, 페녹시기 등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식 (2) 의 X 에 있어서의 질소수 1 ∼ 10 의 2 가의 유기기의 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미노기, 폴리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식 (2) 중의 X 의 유기기로서, 예를 들어, 하기 식 (3) 또는 하기 식 (4) 로 나타내는 구조인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상기 식 (3) 중, Ar2 는 벤젠테트라일기, 나프탈렌테트라일기 또는 비페닐테트라일기를 나타내고, u 가 2 이상인 경우,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b, Rc, Rf 및 Rg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페놀성 하이드록실기를 적어도 1 개 갖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Rd 및 Re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또는 하이드록실기 중 어느 1 종에서 선택된다. u 는 0 ∼ 5 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4) 중, Ar3 은 벤젠테트라일기, 나프탈렌테트라일기 또는 비페닐테트라일기를 나타내고, v 가 2 이상인 경우,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i 및 Rj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 벤질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하이드록실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시아나토기가 적어도 1 개 치환된 아릴기를 나타낸다. v 는 0 ∼ 5 의 정수를 나타내지만,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은, v 가 상이한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식 (2) 중의 X 로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2 가의 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상기 식 중, z 는 4 ∼ 7 의 정수를 나타낸다. Rk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식 (3) 의 Ar2 및 식 (4) 의 Ar3 의 구체예로는, 식 (3) 에 나타내는 2 개의 탄소 원자, 또는 식 (4) 에 나타내는 2 개의 산소 원자가, 1,4 위치 또는 1,3 위치에 결합하는 벤젠테트라일기, 상기 2 개의 탄소 원자 또는 2 개의 산소 원자가 4,4' 위치, 2,4' 위치, 2,2' 위치, 2,3' 위치, 3,3' 위치, 또는 3,4' 위치에 결합하는 비페닐테트라일기, 및 상기 2 개의 탄소 원자 또는 2 개의 산소 원자가, 2,6 위치, 1,5 위치, 1,6 위치, 1,8 위치, 1,3 위치, 1,4 위치, 또는 2,7 위치에 결합하는 나프탈렌테트라일기를 들 수 있다.
식 (3) 의 Rb, Rc, Rd, Re, Rf 및 Rg, 그리고 식 (4) 의 Ri, Rj 에 있어서의 알킬기 및 아릴기는, 상기 식 (2) 중의 Ra 에 있어서의 알킬기 및 아릴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시아나토 치환 방향족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시아나토벤젠, 1-시아나토-2-, 1-시아나토-3-, 또는 1-시아나토-4-메틸벤젠, 1-시아나토-2-, 1-시아나토-3-, 또는 1-시아나토-4-메톡시벤젠, 1-시아나토-2,3-, 1-시아나토-2,4-, 1-시아나토-2,5-, 1-시아나토-2,6-, 1-시아나토-3,4- 또는 1-시아나토-3,5-디메틸벤젠, 시아나토에틸벤젠, 시아나토부틸벤젠, 시아나토옥틸벤젠, 시아나토노닐벤젠, 2-(4-시아나토페닐)-2-페닐프로판(4-α-쿠밀페놀의 시아네이트), 1-시아나토-4-시클로헥실벤젠, 1-시아나토-4-비닐벤젠, 1-시아나토-2- 또는 1-시아나토-3-클로로벤젠, 1-시아나토-2,6-디클로로벤젠, 1-시아나토-2-메틸-3-클로로벤젠, 시아나토니트로벤젠, 1-시아나토-4-니트로-2-에틸벤젠, 1-시아나토-2-메톡시-4-알릴벤젠 (오이게놀의 시아네이트), 메틸(4-시아나토페닐)술파이드, 1-시아나토-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4-시아나토비페닐, 1-시아나토-2- 또는 1-시아나토-4-아세틸벤젠, 4-시아나토벤즈알데히드, 4-시아나토벤조산메틸에스테르, 4-시아나토벤조산페닐에스테르, 1-시아나토-4-아세트아미노벤젠, 4-시아나토벤조페논, 1-시아나토-2,6-디-tert-부틸벤젠, 1,2-디시아나토벤젠, 1,3-디시아나토벤젠, 1,4-디시아나토벤젠, 1,4-디시아나토-2-tert-부틸벤젠, 1,4-디시아나토-2,4-디메틸벤젠, 1,4-디시아나토-2,3,4-디메틸벤젠, 1,3-디시아나토-2,4,6-트리메틸벤젠, 1,3-디시아나토-5-메틸벤젠, 1-시아나토 또는 2-시아나토나프탈렌, 1-시아나토-4-메톡시나프탈렌, 2-시아나토-6-메틸나프탈렌, 2-시아나토-7-메톡시나프탈렌, 2,2'-디시아나토-1,1'-비나프틸, 1,3-, 1,4-, 1,5-, 1,6-, 1,7-, 2,3-, 2,6- 또는 2,7-디시아나토나프탈렌, 2,2'- 또는 4,4'-디시아나토비페닐, 4,4'-디시아나토옥타플루오로비페닐, 2,4'- 또는 4,4'-디시아나토디페닐메탄, 비스(4-시아나토-3,5-디메틸페닐)메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에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프로판, 2,2-비스(4-시아나토페닐)프로판, 2,2-비스(4-시아나토-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2-시아나토-5-비페닐일)프로판, 2,2-비스(4-시아나토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비스(4-시아나토-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시아나토페닐)부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이소부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펜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3-메틸부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2-메틸부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2,2-디메틸프로판, 2,2-비스(4-시아나토페닐)부탄, 2,2-비스(4-시아나토페닐)펜탄, 2,2-비스(4-시아나토페닐)헥산, 2,2-비스(4-시아나토페닐)-3-메틸부탄, 2,2-비스(4-시아나토페닐)-4-메틸펜탄, 2,2-비스(4-시아나토페닐)-3,3-디메틸부탄, 3,3-비스(4-시아나토페닐)헥산, 3,3-비스(4-시아나토페닐)헵탄, 3,3-비스(4-시아나토페닐)옥탄, 3,3-비스(4-시아나토페닐)-2-메틸펜탄, 3,3-비스(4-시아나토페닐)-2-메틸헥산, 3,3-비스(4-시아나토페닐)-2,2-디메틸펜탄, 4,4-비스(4-시아나토페닐)-3-메틸헵탄, 3,3-비스(4-시아나토페닐)-2-메틸헵탄, 3,3-비스(4-시아나토페닐)-2,2-디메틸헥산, 3,3-비스(4-시아나토페닐)-2,4-디메틸헥산, 3,3-비스(4-시아나토페닐)-2,2,4-트리메틸펜탄, 2,2-비스(4-시아나토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비스(4-시아나토페닐)페닐메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1-페닐에탄, 비스(4-시아나토페닐)비페닐메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시클로펜탄, 1,1-비스(4-시아나토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4-시아나토-3-이소프로필페닐)프로판, 1,1-비스(3-시클로헥실-4-시아나토페닐)시클로헥산, 비스(4-시아나토페닐)디페닐메탄, 비스(4-시아나토페닐)-2,2-디클로로에틸렌, 1,3-비스[2-(4-시아나토페닐)-2-프로필]벤젠, 1,4-비스[2-(4-시아나토페닐)-2-프로필]벤젠, 1,1-비스(4-시아나토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4-[비스(4-시아나토페닐)메틸]비페닐, 4,4-디시아나토벤조페논, 1,3-비스(4-시아나토페닐)-2-프로펜-1-온, 비스(4-시아나토페닐)에테르, 비스(4-시아나토페닐)술파이드, 비스(4-시아나토페닐)술폰, 4-시아나토벤조산-4-시아나토페닐에스테르(4-시아나토페닐-4-시아나토벤조에이트), 비스-(4-시아나토페닐)카보네이트, 1,3-비스(4-시아나토페닐)아다만탄, 1,3-비스(4-시아나토페닐)-5,7-디메틸아다만탄, 3,3-비스(4-시아나토페닐)이소벤조푸란-1(3H)-온 (페놀프탈레인의 시아네이트), 3,3-비스(4-시아나토-3-메틸페닐)이소벤조푸란-1(3H)-온 (o-크레졸프탈레인의 시아네이트), 9,9'-비스(4-시아나토페닐)플루오렌, 9,9-비스(4-시아나토-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2-시아나토-5-비페닐일)플루오렌, 트리스(4-시아나토페닐)메탄, 1,1,1-트리스(4-시아나토페닐)에탄, 1,1,3-트리스(4-시아나토페닐)프로판, α,α,α'-트리스(4-시아나토페닐)-1-에틸-4-이소프로필벤젠, 1,1,2,2-테트라키스(4-시아나토페닐)에탄, 테트라키스(4-시아나토페닐)메탄, 2,4,6-트리스(N-메틸-4-시아나토아닐리노)-1,3,5-트리아진, 2, 4-비스(N-메틸-4-시아나토아닐리노)-6-(N-메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비스(N-4-시아나토-2-메틸페닐)-4,4'-옥시디프탈이미드, 비스(N-3-시아나토-4-메틸페닐)-4,4'-옥시디프탈이미드, 비스(N-4-시아나토페닐)-4,4'-옥시디프탈이미드, 비스(N-4-시아나토-2-메틸페닐)-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이미드, 트리스(3,5-디메틸-4-시아나토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페닐-3,3-비스(4-시아나토페닐)프탈이미딘, 2-(4-메틸페닐)-3,3-비스(4-시아나토페닐)프탈이미딘, 2-페닐-3,3-비스(4-시아나토-3-메틸페닐)프탈이미딘, 1-메틸-3,3-비스(4-시아나토페닐)인돌린-2-온, 및 2-페닐-3,3-비스(4-시아나토페닐)인돌린-2-온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다른 구체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페놀노볼락 수지 및 크레졸노볼락 수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페놀, 알킬 치환 페놀 또는 할로겐 치환 페놀과, 포르말린이나 파라포름알데히드 등의 포름알데히드 화합물을, 산성 용액 중에서 반응시킨 것), 트리스페놀노볼락 수지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와 페놀을 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것), 플루오렌노볼락 수지 (플루오레논 화합물과 9,9-비스(하이드록시아릴)플루오렌류를 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것), 페놀아르알킬 수지, 크레졸아르알킬 수지, 나프톨아르알킬 수지 및 비페닐아르알킬 수지 (공지된 방법에 의해, Ar4-(CH2Y)2 (Ar4 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Y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이하, 이 단락에 있어서 동일.)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스할로게노메틸 화합물과 페놀 화합물을 산성 촉매 혹은 무촉매로 반응시킨 것, Ar4-(CH2OR)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스(알콕시메틸) 화합물과 페놀 화합물을 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것, 또는, Ar4-(CH2OH)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스(하이드록시메틸) 화합물과 페놀 화합물을 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것, 혹은, 방향족 알데히드 화합물과 아르알킬 화합물과 페놀 화합물을 중축합시킨 것), 페놀 변성 자일렌포름알데히드 수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자일렌포름알데히드 수지와 페놀 화합물을 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것), 변성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 수지 (공지된 방법에 의해,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 수지와 하이드록시 치환 방향족 화합물을 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것), 페놀 변성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폴리나프틸렌에테르 구조를 갖는 페놀 수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페놀성 하이드록실기를 1 분자 중에 2 개 이상 갖는 다가 하이드록시나프탈렌 화합물을,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 탈수 축합시킨 것) 등의 페놀 수지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시아네이트화한 것 등, 그리고 이들의 프레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페놀노볼락형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나프톨아르알킬형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비페닐아르알킬형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나프틸렌에테르형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자일렌 수지형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아다만탄 골격형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나프톨아르알킬형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나프톨아르알킬형 시안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식 (5) 로 나타내는 나프톨아르알킬형 시안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나프톨아르알킬형 시안산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열팽창계수가 보다 낮은 경화물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5) 중,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이 중에서도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또, 식 중, n2 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n2 의 상한값은, 통상은 10 이고, 바람직하게는 6 이다.)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의 함유량은, 원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팽창계수가 보다 낮은 경화물을 얻는 관점에서,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 ∼ 9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70 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60 질량부이다.
〔충전재 (C)〕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열팽창 특성, 치수 안정성, 난연성, 열전도율, 유전 특성 등의 관점에서, 충전재 (C) 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 (C) 로는,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적층판 용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충전재를, 충전재 (C) 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충전재 (C) 의 구체예로는, 천연 실리카, 용융 실리카, 합성 실리카, 아모르퍼스 실리카, 아에로질, 중공 실리카 등의 실리카류, 화이트 카본, 티탄 화이트,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등의 산화물, 질화붕소, 응집 질화붕소,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가열 처리품 (수산화알루미늄을 가열 처리하여, 결정수의 일부를 줄인 것), 베마이트,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금속 수화물, 산화몰리브덴이나 몰리브덴산아연 등의 몰리브덴 화합물, 붕산아연, 주석산아연, 알루미나, 클레이, 카올린, 탤크, 소성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탤크, 마이카, E-유리, A-유리, NE-유리, C-유리, L-유리, D-유리, S-유리, M-유리 G20, 유리 단섬유 (E 유리, T 유리, D 유리, S 유리, Q 유리 등의 유리 미분말류를 포함한다.), 중공 유리, 구상 유리 등 무기계의 충전재 외에, 스티렌형, 부타디엔형, 아크릴형 등의 고무 파우더, 코어셸형의 고무 파우더, 그리고 실리콘 레진 파우더, 실리콘 고무 파우더, 실리콘 복합 파우더 등 유기계의 충전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충전재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베마이트,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들 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열팽창 특성, 치수 안정성, 난연성 등의 특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충전재 (C) 의 함유량은, 원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수지 고형분을 100 질량부로 한 경우, 50 ∼ 160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750 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300 질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200 질량부이다.
여기에서 충전재 (C) 를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킬 때, 실란 커플링제나 습윤 분산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일반적으로 무기물의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란 커플링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실란계,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실란계, γ-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β-메톡시에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계, N-β-(N-비닐벤질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염산염 등의 카티오닉 실란계, 그리고 페닐실란계를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습윤 분산제로는, 일반적으로 도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습윤 분산제로는,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베이스의 습윤 분산제가 사용되며, 시판품이어도 된다. 시판품의 구체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빅케미ㆍ재팬 (주) 제조의 Disperbyk-110, 111, 161, 180, BYK-W996, BYK-W9010, BYK-W903, BYK-W940 등을 들 수 있다. 습윤 분산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소기의 특성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 (A) 이외의 에폭시 수지 (이하, 「다른 에폭시 수지」라고 한다.), 말레이미드 화합물, 페놀 수지, 옥세탄 수지, 벤조옥사진 화합물, 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을 병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경화물의 난연성, 저유전성 등의 원하는 특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다른 에폭시 수지)
다른 에폭시 수지로는, 식 (1) 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라면,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E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 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아르알킬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 페놀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안트라센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 골격 변성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페놀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나프톨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폴리올형 에폭시 수지, 인 함유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 글리시딜에스테르, 부타디엔 등의 이중 결합을 에폭시화한 화합물, 수산기 함유 실리콘 수지류와 에피클로르하이드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에폭시 수지 중에서는, 비페닐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 페놀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가 난연성, 내열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에폭시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말레이미드 화합물)
말레이미드 화합물로는, 1 분자 중에 1 개 이상의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페닐메탄말레이미드, 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2,2-비스(4-(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3,3-디메틸-5,5-디에틸-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4-메틸-1,3-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1,6-비스말레이미드-(2,2,4-트리메틸)헥산, 4,4-디페닐에테르비스말레이미드, 4,4-디페닐술폰비스말레이미드, 1,3-비스(3-말레이미드페녹시)벤젠, 1,3-비스(4-말레이미드페녹시)벤젠, 폴리페닐메탄말레이미드, 노볼락형 말레이미드, 비페닐아르알킬형 말레이미드, 및 이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프레폴리머, 혹은 말레이미드 화합물과 아민 화합물의 프레폴리머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말레이미드 화합물은, 1 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노볼락형 말레이미드 화합물, 비페닐아르알킬형 말레이미드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페놀 수지)
페놀 수지로는,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페놀 수지라면,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는, 비스페놀 A 형 페놀 수지, 비스페놀 E 형 페놀 수지, 비스페놀 F 형 페놀 수지, 비스페놀 S 형 페놀 수지, 페놀노볼락 수지, 비스페놀 A 노볼락형 페놀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페놀 수지, 아르알킬노볼락형 페놀 수지, 비페닐아르알킬형 페놀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페놀 수지, 다관능 페놀 수지, 나프톨 수지, 나프톨 노볼락 수지, 다관능 나프톨 수지, 안트라센형 페놀 수지, 나프탈렌 골격 변성 노볼락형 페놀 수지, 페놀아르알킬형 페놀 수지, 나프톨아르알킬형 페놀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페놀 수지, 비페닐형 페놀 수지, 지환식 페놀 수지, 폴리올형 페놀 수지, 인 함유 페놀 수지, 수산기 함유 실리콘 수지류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페놀 수지 중에서는, 비페닐아르알킬형 페놀 수지, 나프톨아르알킬형 페놀 수지, 인 함유 페놀 수지, 수산기 함유 실리콘 수지가 난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페놀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옥세탄 수지)
옥세탄 수지로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세탄, 2-메틸옥세탄, 2,2-디메틸옥세탄, 3-메틸옥세탄, 3,3-디메틸옥세탄 등의 알킬옥세탄, 3-메틸-3-메톡시메틸옥세탄, 3,3-디(트리플루오로메틸)퍼플루옥세탄, 2-클로로메틸옥세탄, 3,3-비스(클로로메틸)옥세탄, 비페닐형 옥세탄, OXT-101 (토아 합성 제조 상품명), OXT-121 (토아 합성 제조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옥세탄 수지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벤조옥사진 화합물)
벤조옥사진 화합물로는,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디하이드로벤조옥사진 고리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형 벤조옥사진 BA-BXZ (코니시 화학 제조 상품명), 비스페놀 F 형 벤조옥사진 BF-BXZ (코니시 화학 제조 상품명), 비스페놀 S 형 벤조옥사진 BS-BXZ (코니시 화학 제조 상품명), P-d 형 벤조옥사진 (시코쿠 화성 공업 제조 상품명), F-a 형 벤조옥사진 (시코쿠 화성 공업 제조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벤조옥사진 화합물은, 1 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디비닐벤젠, 디비닐비페닐 등의 비닐 화합물,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1 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비스페놀 A 형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형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 및 벤조시클로부텐 수지를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은, 1 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그것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경화 촉진제)
또,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경화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경화 촉진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화 촉진제로는,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이나 에폭시 수지 등의 경화 촉진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화 촉진제의 구체예로는, 옥틸산아연, 나프텐산아연, 나프텐산코발트, 나프텐산구리, 아세틸아세톤철, 옥틸산니켈, 옥틸산망간 등의 유기 금속염류, 페놀, 자일레놀, 크레졸, 레조르신, 카테콜, 옥틸페놀, 노닐페놀 등의 페놀 화합물, 1-부탄올, 2-에틸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1-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4,5-디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 및 이들 이미다졸류의 카르복실산 혹은 그 산무수류의 부가체 등의 유도체, 디시안디아미드, 벤질디메틸아민, 4-메틸-N,N-디메틸벤질아민 등의 아민류, 포스핀계 화합물,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포스포늄염계 화합물, 디포스핀계 화합물 등의 인 화합물, 에폭시-이미다졸 애덕트계 화합물, 벤조일퍼옥사이드, p-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카보네이트 등의 과산화물,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의 사용량은, 수지의 경화도나 수지 조성물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화 촉진제의 사용량은, 수지 조성물 중의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0.005 ∼ 10 질량부여도 된다.
(다른 첨가제)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소기의 특성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른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및 그 올리고머, 엘라스토머류 등의 여러 가지의 고분자 화합물, 난연성 화합물, 그리고 각종 첨가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난연성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4,4'-디브로모비페닐 등의 브롬 화합물, 인산에스테르, 인산 멜라민, 인 함유 에폭시 수지, 멜라민 및 벤조구아나민 등의 질소 화합물, 옥사진 고리 함유 화합물, 그리고, 실리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각종 첨가제로는,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중합 개시제, 형광 증잭제, 광증감제, 염료, 안료, 증점제, 유동 조정제, 활제,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광택제, 중합 금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원하는 바에 따라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각종 수지 성분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유기 용제에 용해 또는 상용된 양태 (용액 또는 바니시) 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는, 상기 서술한 각종 수지 성분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용해 또는 상용 가능한 것이라면,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용제의 구체예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계 용매, 락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아밀, 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등의 극성 용제류,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무극성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제할 수 있으며, 식 (1) 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 (A) 및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상기 서술한 그 밖의 임의 성분을 균일하게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방법이라면, 그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식 (1) 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 (A) 및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를 순차적으로 용제에 배합하고, 충분히 교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조제시에, 각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 혹은 분산시키기 위한 공지된 처리 (교반, 혼합, 혼련 처리 등) 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재 (C) 의 균일 분산시에, 적절한 교반 능력을 갖는 교반기를 부설한 교반조를 사용하여 교반 분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의 교반, 혼합, 혼련 처리는, 예를 들어, 볼밀, 비드밀 등의 혼합을 목적으로 한 장치, 또는, 공전ㆍ자전형의 혼합 장치 등의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이하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프린트 배선판, 수지 시트, 및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기재에 함침 또는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프리프레그를 얻을 수 있다.
또, 기재로서 박리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그 플라스틱 필름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빌드업용 필름 또는 드라이 필름 솔더 레지스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용제는, 20 ℃ ∼ 150 ℃ 의 온도에서 1 ∼ 90 분간 건조함으로써 건조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용제를 건조시키기만 한 미경화의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반경화 (B 스테이지화) 의 상태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프리프레그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리프레그는, 기재와, 그 기재에 함침 또는 도포된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갖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리프레그의 제조 방법은,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과 기재를 조합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 또는 도포시킨 후, 120 ∼ 220 ℃ 의 건조기 중에서, 2 ∼ 15 분 정도 건조시키거나 하는 방법에 의해 반경화시킴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기재에 대한 수지 조성물의 부착량, 즉 반경화 후의 프리프레그의 총량에 대한 수지 조성물의 함유량 (충전재 (C) 를 포함한다.) 은, 20 ∼ 99 질량%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프리프레그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기재로는, 각종 프린트 배선판 재료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것이어도 된다. 그와 같은 기재로는, 예를 들어, E 유리, D 유리, L 유리, S 유리, T 유리, Q 유리, UN 유리, NE 유리, 구상 유리 등의 유리 섬유, 쿼츠 등의 유리 이외의 무기 섬유,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기 섬유, 액정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를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의 형상으로는, 직포, 부직포, 로빙, ?드 스트랜드 매트 및 서페이싱 매트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기재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직포 중에서는, 특히 초개섬 처리나 클로깅 처리를 실시한 직포가,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에폭시실란 처리, 또는 아미노실란 처리 등의 실란 커플링제 등으로 표면 처리한 유리 직포는 흡습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액정 폴리에스테르 직포는, 전기 특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층판 용도라면, 0.01 ∼ 0.2 ㎜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금속박 피복 적층판은, 적어도 1 장 이상 적층된 상기 서술한 프리프레그와, 그 프리프레그의 편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금속박을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프리프레그 1 장에 대해, 또는 프리프레그를 복수 장 겹친 것에 대해, 그 편면 또는 양면에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을 배치하여, 적층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금속박은, 프린트 배선판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압연 동박 및 전해 동박 등의 동박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박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 70 ㎛ 이면 바람직하고, 3 ∼ 35 ㎛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성형 조건으로는, 통상의 프린트 배선판용 적층판 및 다층판의 제작시에 사용되는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단 프레스기, 다단 진공 프레스기, 연속 성형기, 또는 오토클레이브 성형기 등을 사용하여, 온도 180 ∼ 350 ℃, 가열 시간 100 ∼ 300 분, 면압 20 ∼ 100 ㎏/㎠ 의 조건에서 적층 성형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금속박 피복 적층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의 프리프레그와, 별도로 제작한 내층용 배선판을 조합하여 적층 성형함으로써, 다층판을 제작할 수도 있다. 다층판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프리프레그 1 장의 양면에 35 ㎛ 의 동박을 배치하고, 상기 조건에서 적층 형성한 후, 내층 회로를 형성하고, 이 회로에 흑화 처리를 실시하여 내층 회로판을 형성한다. 또한, 이 내층 회로판과 상기의 프리프레그를 교대로 1 장씩 배치하고, 추가로 최외층에 동박을 배치하여, 상기 조건에서 바람직하게는 진공하에서 적층 성형한다. 이렇게 하여, 다층판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금속박 피복 적층판은, 추가로 패턴 형성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프린트 배선판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서술한 금속박 피복 적층판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금속박 피복 적층판의 표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여 내층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내층 기판을 제작한다. 이 내층 기판의 내층 회로 표면에, 필요에 따라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그 내층 회로 표면에 상기 서술한 프리프레그를 소요 장수 겹친다. 또한, 그 외 측에 외층 회로용의 금속박을 적층하고, 가열 가압하여 일체 성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층 회로와 외층 회로용의 금속박 사이에, 기재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형성된 다층의 적층판이 제조된다. 이어서, 이 다층의 적층판에 스루홀이나 비어홀용의 천공 가공을 실시한 후, 이 구멍의 벽면에 내층 회로와 외층 회로용의 금속박을 도통시키는 도금 금속 피막을 형성한다. 또한, 외층 회로용의 금속박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여 외층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이 제조된다.
상기의 제조예에서 얻어지는 프린트 배선판은, 절연층과, 이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을 갖고, 절연층이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성이 된다. 즉,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프리프레그 (기재 및 이것에 함침 또는 도포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금속박 피복 적층판의 수지 조성물의 층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이,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절연층으로 구성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시트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표면에 배치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층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 (적층 시트) 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적층 시트로부터 지지체를 제거한 수지 조성물층만 (단층 시트) 도 본 실시형태의 수지 시트에 해당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수지 시트는,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갖는 것이다.
상기의 적층 시트는, 상기의 수지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지지체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지지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필름, 그리고 이들 필름의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이형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유기계의 필름 기재, 동박, 알루미늄박 등의 도체박, 유리판, SUS 판, FRP 등의 판상의 무기계의 필름을 들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의 수지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바 코터, 다이 코터, 닥터 블레이드, 베이커 어플리케이터 등으로 지지체 상에 도포함으로써, 지지체와 수지 조성물층이 일체가 된 적층 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도포 후, 추가로 건조시켜 얻어지는 수지 시트로부터 지지체를 박리 또는 에칭함으로써, 단층 시트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 또는 상용시킨 용액을, 시트상의 캐비티를 갖는 금형 내에 공급하여 건조시키거나 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지지체를 사용하지 않고 단층 시트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시트 또는 단층 시트의 제작에 있어서, 용제를 제거할 때의 건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 ∼ 200 ℃ 의 온도에서 1 ∼ 90 분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 중으로의 용제의 잔존을 보다 방지할 수 있고, 200 ℃ 이하이면 수지 조성물의 경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지 시트 또는 단층 시트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두께는,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의 용액의 농도와 도포 두께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그 두께는 0.1 ∼ 500 ㎛ 이면 바람직하다. 수지층의 두께가 500 ㎛ 이하이면, 건조시에 용제가 더욱 남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합성예 1)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의 합성
1-나프톨아르알킬 수지 (신닛테츠 주금 화학 (주) 제조) 300 g (OH 기 환산 1.28 ㏖) 및 트리에틸아민 194.6 g (1.92 ㏖) (하이드록실기 1 ㏖ 에 대해 1.5 ㏖) 을 디클로로메탄 1800 g 에 용해시켜, 이것을 용액 1 로 하였다.
염화시안 125.9 g (2.05 ㏖) (하이드록실기 1 ㏖ 에 대해 1.6 ㏖), 디클로로메탄 293.8 g, 36 % 염산 194.5 g (1.92 ㏖) (하이드록실기 1 몰에 대해 1.5 몰), 물 1205.9 g 을, 교반하에, 액온 -2 ∼ -0.5 ℃ 로 유지하면서, 용액 1 을 30 분에 걸쳐 부었다. 용액 1 을 다 부은 후, 동 온도에서 30 분 교반한 후, 트리에틸아민 65 g (0.64 ㏖) (하이드록실기 1 ㏖ 에 대해 0.5 ㏖) 을 디클로로메탄 65 g 에 용해시킨 용액 (용액 2) 을 10 분에 걸쳐 부었다. 용액 2 를 다 부은 후, 동 온도에서 30 분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정치 (靜置) 하여 유기상과 수상을 분리하였다. 얻어진 유기상을 물 1300 g 으로 5 회 세정하였다. 수세 5 회째인 폐수의 전기 전도도가 5 μS/㎝ 였던 것으로부터, 물에 의한 세정에 의해, 이온성 화합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수세 후의 유기상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최종적으로 90 ℃ 에서 1 시간 농축 건고시켜 목적으로 하는 나프톨아르알킬형의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SNCN) (등색 점성물) 을 331 g 얻었다. 얻어진 SNCN 의 질량 평균 분자량 Mw 는 600 이었다. 또, SNCN 의 IR 스펙트럼은 2250 ㎝-1 (시안산에스테르기) 의 흡수를 나타내고, 또한, 하이드록실기의 흡수는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1)
합성예 1 에 의해 얻어진 SNCN 50 질량부, 하기 식 (1-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DIC (주) 제조의 「EPICLON EXA-4710H-70M」) 50 질량부, 용융 실리카 (SC2050MB, 아도마텍스 (주) 제조) 100 질량부, 옥틸산아연 (닛폰 화학 산업 (주) 제조) 0.05 질량부를 혼합하여 바니시를 얻었다. 이 바니시를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시키고, 두께 0.1 ㎜ 의 E 유리 직포에 함침 도공하고, 165 ℃ 에서 5 분간 가열 건조시켜, 수지 함유량 50 질량% 의 프리프레그를 얻었다. 또한, 미리 EPICLON EXA-4710H-70M 을 후술하는 분자량 측정에 제공하여, 그 Z 평균 분자량을 1810 으로 특정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얻어진 프리프레그를 8 장 및 4 장 겹치고, 12 ㎛ 두께의 전해 동박 (3EC-M3-VLP, 미츠이 금속 (주) 제조) 을 상하에 배치하고, 압력 30 kgf/㎠, 온도 220 ℃ 에서 120 분간의 적층 성형을 실시하여, 절연층 두께 0.8 ㎜ 및 0.4 ㎜ 의 금속박 피복 적층판을 얻었다. 얻어진 금속박 피복 적층판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요령으로 땜납 플로트 시험 및 유리 전이 온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식 (1) 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를 50 질량부 사용하는 대신에,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비페닐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NC-3000-FH, 닛폰 화약 (주) 제조) 50 질량부를 사용하고, 옥틸산아연을 0.11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함유량 50 질량% 의 프리프레그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0.8 ㎜ 및 0.4 ㎜ 의 금속박 피복 적층판을 얻었다. 얻어진 금속박 피복 적층판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식 (6) 중, n 은 0 ∼ 15 의 정수를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식 (1) 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를 50 질량부 사용하는 대신에, 하기 식 (7) 로 나타내는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DIC (주) 제조의 「EPICLON HP-4710」) 50 질량부를 사용하고, 옥틸산아연을 0.1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함유량 50 질량% 의 프리프레그를 얻었다. 또한, 미리 EPICLON HP-4710 을 후술하는 분자량 측정에 제공하여, 그 Z 평균 분자량을 1330 으로 특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0.8 ㎜ 및 0.4 ㎜ 의 금속박 피복 적층판을 얻었다. 얻어진 금속박 피복 적층판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1) 분자량 측정
약 10 ㎎ 의 에폭시 수지를 5 ㎖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0.45 ㎛ 의 필터로 여과한 용액을 시료로 하고, 하기의 조건에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제공하여,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분자량 교정 곡선을 통해 얻어진 GPC 곡선의 각 용출 위치의 분자량을 Mi 로 하고, 분자수를 Ni 로 하여, Z 평균 분자량 Mz 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Mz = Σ(NiㆍMi3)/(NiㆍMi2)
(조건)
검출기 : 시차 굴절률 검출기 (쇼와 전공 제조 RI-504)
칼럼 : 토소 주식회사 제조 TSKgel SuperHZ4000, SuperHZ2500, SuperHZ1000 (각 1 개, 길이 15 ㎝ × 내경 6.0 ㎜)
용매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속 : 0.45 ㎖/분
칼럼 온도 : 40 ℃
표준 시료 : 토소 주식회사 제조 단분산 폴리스티렌
데이터 처리 : TRC 제조 GPC 데이터 처리 시스템
(2) 땜납 플로트 시험
얻어진 절연층 두께 0.4 ㎜ 의 금속박 피복 적층판 50 ㎜ × 50 ㎜ 의 샘플을 3 개 준비하고, 300 ℃ 땜납에 30 분간 플로트시켜, 외관 이상 (디라미네이션 발생) 의 유무를 육안 판정에 의해 실시하였다. 이상이 확인된 샘플의 수에 기초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0 개
△ : 1 ∼ 2 개
× : 3 개
(3) 유리 전이 온도 (Tg)
얻어진 절연층 두께 0.8 ㎜ 의 동박 피복 적층판을 다이싱 소로 사이즈 12.7 ㎜ × 30 ㎜ 로 절단 후, 표면의 동박을 에칭에 의해 제거하여,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 이 측정용 샘플을 사용하여, JIS C 6481 에 준거하여 동적 점탄성 분석 장치 (TA 인스트루먼트 제조) 로 DMA 법에 의해, 저장 탄성률 E', 손실 탄성률 E" 를 측정하고, E" 및 tanδ (=E"/E') 의 피크의 값을 각각 Tg 로 하여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15
본 출원은, 2017년 8월 3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7-167497) 및 2017년 11월 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7-211967) 에 기초하는 것으로, 이들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적층 수지 시트, 수지 시트, 프린트 배선판 등의 재료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9)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고, 또한, Z 평균 분자량이 1400 이상 3000 이하인 에폭시 수지 (A) 와,
    시안산에스테르 화합물 (B)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16

    (식 (1) 중, X1 은 탄소수 1 ∼ 3 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A) 의 함유량이,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 ∼ 90 질량부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에폭시 수지 (A) 이외의 에폭시 수지, 말레이미드 화합물, 페놀 수지, 옥세탄 수지, 벤조옥사진 화합물, 및 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재 (C) 를 추가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C) 의 함유량이,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50 ∼ 1600 질량부인, 수지 조성물.
  6. 기재와,
    상기 기재에 함침 또는 도포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갖는, 프리프레그.
  7. 적어도 1 장 이상 적층된 제 6 항에 기재된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편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금속박을 갖는, 금속박 피복 적층판.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갖는, 수지 시트.
  9.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을 갖고,
    상기 절연층이,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프린트 배선판.
KR1020197017668A 2017-08-31 2018-08-30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KR102090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7497 2017-08-31
JPJP-P-2017-167497 2017-08-31
JPJP-P-2017-211967 2017-11-01
JP2017211967 2017-11-01
PCT/JP2018/032130 WO2019044977A1 (ja) 2017-08-31 2018-08-30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580A true KR20190077580A (ko) 2019-07-03
KR102090439B1 KR102090439B1 (ko) 2020-03-17

Family

ID=6552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668A KR102090439B1 (ko) 2017-08-31 2018-08-30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04533B1 (ko)
KR (1) KR102090439B1 (ko)
CN (1) CN110869409B (ko)
TW (1) TWI670321B (ko)
WO (1) WO201904497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5694A1 (ja) 2011-11-02 2013-05-1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KR20140027303A (ko) * 2011-05-31 2014-03-06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WO2014203866A1 (ja) 2013-06-18 2014-12-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樹脂シート及び金属箔張り積層板
WO2015064064A1 (ja) 2013-10-31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865A (ja) * 1990-08-06 1994-03-22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6233486A (ja) * 1993-01-29 1994-08-19 Hitachi Ltd 絶縁電気線輪、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29028A (ja) * 1998-10-29 2000-05-09 Jsp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成形体
JP4259134B2 (ja) * 2003-02-20 2009-04-30 Dic株式会社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
JP4552104B2 (ja) * 2003-04-25 2010-09-29 Dic株式会社 熱硬化性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イミド樹脂
JP4863434B2 (ja) * 2005-04-28 2012-01-25 日本化薬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09024099A (ja) * 2007-07-20 2009-02-05 Shin Etsu Chem Co Ltd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JP2009209191A (ja) * 2008-02-29 2009-09-17 Sumitomo Bakelite Co Ltd アンダーフィル用液状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10075006A1 (en) * 2008-12-16 2010-07-0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Homogeneous bismaleimide - triazine - epoxy compositions useful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al laminates
TWI540170B (zh) * 2009-12-14 2016-07-01 Ajinomoto Kk Resin composition
JP5603610B2 (ja) * 2010-02-12 2014-10-08 株式会社Adeka 無溶剤一液型シアン酸エステル−エポキシ複合樹脂組成物
CN102911501B (zh) * 2011-08-03 2015-02-04 台光电子材料股份有限公司 树脂组合物及其应用的基板
EP2810971B1 (en) * 2012-01-31 2018-09-1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etal foil-clad laminate and printed wiring board using a resin composition
JP6217165B2 (ja) * 2013-06-20 2017-10-2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プライマー層付きプリプレグ、プライマー層付き金属箔、金属張積層板、プリント配線基板、半導体パッケージおよび半導体装置
TWI657113B (zh) * 2013-10-25 2019-04-21 日商味之素股份有限公司 耐熱性環氧樹脂組成物
JP6327432B2 (ja) * 2013-10-31 2018-05-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5196823A (ja) * 2014-04-03 2015-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熱伝導性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パワーモジュール
JP6592962B2 (ja) * 2015-05-22 2019-10-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キャリア付樹脂膜、プリント配線基板、および半導体装置
WO2017066929A1 (en) * 2015-10-21 2017-04-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odified epoxy resin and curabl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JP6852332B2 (ja) * 2015-10-28 2021-03-31 味の素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
JP6714366B2 (ja) * 2016-01-20 2020-06-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自己融着性樹脂組成物及び自己融着性絶縁電線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7303A (ko) * 2011-05-31 2014-03-06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WO2013065694A1 (ja) 2011-11-02 2013-05-1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WO2014203866A1 (ja) 2013-06-18 2014-12-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樹脂シート及び金属箔張り積層板
WO2015064064A1 (ja) 2013-10-31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044977A1 (ja) 2019-11-07
KR102090439B1 (ko) 2020-03-17
TW201920448A (zh) 2019-06-01
CN110869409A (zh) 2020-03-06
CN110869409B (zh) 2022-05-31
JP6504533B1 (ja) 2019-04-24
TWI670321B (zh) 2019-09-01
WO2019044977A1 (ja)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1099A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수지 시트 및 금속박 피복 적층판
KR101770546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수지 복합 시트 및 금속박 피복 적층판
CN110198968B (zh) 树脂组合物、预浸料、覆金属箔层叠板、树脂片及印刷电路板
KR20170129119A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JP6994174B2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KR101762102B1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복합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JP6761572B2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KR20160118229A (ko)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복합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KR20160078372A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적층 시트 및 금속박 피복 적층판
JP6531910B2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CN110506066B (zh) 树脂组合物、预浸料、覆金属箔层叠板、树脂片及印刷电路板
KR20180019506A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수지 시트, 금속박 피복 적층판 및 프린트 배선판
JP6796276B2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6618036B2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KR101981440B1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JP6718588B2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KR101843331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KR20190077580A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KR20170139032A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수지 시트 및 프린트 배선판
JP6829808B2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EP3290454B1 (en) Resin composition, prepreg, metal-foil-clad laminate, resin sheet, and printed wir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