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825A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825A
KR20190075825A KR1020180164656A KR20180164656A KR20190075825A KR 20190075825 A KR20190075825 A KR 20190075825A KR 1020180164656 A KR1020180164656 A KR 1020180164656A KR 20180164656 A KR20180164656 A KR 20180164656A KR 20190075825 A KR20190075825 A KR 20190075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ing
stitches
knitted fabric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787B1 (ko
Inventor
가즈요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7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to produce fully-fashioned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편사의 종류나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편성조직에 관계없이 편성시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일측 니들베드(BD)에 일측 베이스부(10B)를, 타측 니들베드(FD)에 타측 베이스부(10F)를 형성하는 공정A와, 스플릿 편성을 하여 일측 베이스부(10B)에 연결되는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는 공정B와, 스플릿 편성을 하여 타측 베이스부(10F)에 연결되는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는 공정C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한다. 공정B, C에서 스플릿 편성의 대상이 되는 스티치는,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편성포부의 스티치와는 표리가 반대인 스티치로 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하여 편성시작부로부터 분기(分岐)하는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와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에 결합되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로 대향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최초에 일측 스티치와 타측 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이하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있다.
· 일측 스티치보다도 편성시작부의 형성방향 측에, 그 일측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스티치를 편성하고, 일측 스티치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침(空針)에 일측 코늘림 스티치(一側 widening stitch)를 형성한다.
· 타측 스티치보다도 편성시작부의 형성방향 측에, 그 타측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스티치를 편성하고, 타측 스티치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침에 타측 코늘림 스티치(他側 widening stitch)를 형성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1031호 공보
특허문헌1의 기술에 의하면,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에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눈에 띄지 않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하는 편사(編絲)의 종류나 양 편성포부의 편성조직에 따라서는 편성시작부가 울게 되어, 편성시작부가 눈에 띄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특히 편성포부를 리브조직(rib structure)으로 한 경우에 현저하다. 수축하기 쉬운 리브조직에 비하여 편성시작부는 수축하기 어려워, 편성포부의 수축량과 편성시작부의 수축량에 차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의 하나는, 편사의 종류나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편성조직에 관계없이 편성시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서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 및 이들 니들베드에 편사(編絲)를 급사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양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로 대향하는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와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상기 일측 편성포부와 동일한 폭의 일측 베이스부(一側 base部)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상기 타측 편성포부와 동일한 폭이며 또한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각 스티치에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타측 베이스부(他側 base部)를 형성하는 공정A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단부(端部)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연결되는 일측 코늘림 스티치(一側 widening stitch)를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는 공정B와,
상기 타측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타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연결되는 타측 코늘림 스티치(他側 widening stitch)를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형성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편성시작부를 완성시키는 공정C와,
상기 편성시작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로 구성되는 스티치열(stitch row)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로 구성되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공정D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B에서는,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단부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1과,
상기 제1스티치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을 하여, 상기 제1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1신규 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b2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 중의 상기 단부 스티치에 인접하는 인접 스티치와, 상기 제1스티치와 상기 제1신규 스티치 중의 어느 일방(一方)의 스티치를 포개어, 그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他方)의 스티치를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공정b3를
반복하고,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타측 베이스부의 단부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c1과,
상기 제2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하여, 상기 제2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2신규 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c2와,
상기 타측 베이스부 중의 상기 단부 스티치에 인접하는 인접 스티치와, 상기 제2스티치와 상기 제2신규 스티치 중의 어느 일방의 스티치를 포개어, 그 더블 스티치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의 스티치를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공정c3를
반복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단,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1의 상기 제1스티치는 백 스티치(back stitch)로 하고,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1의 상기 제1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고,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1의 상기 제2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1의 상기 제2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한다.
여기에서 프론트 스티치는, 일측 니들베드(타측 니들베드) 측에서 보았을 때에, 타측 니들베드(일측 니들베드) 측에서부터 일측 니들베드(타측 니들베드) 측을 향하여 구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이다. 또한 백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와 역방향으로 인출되는 스티치이다. 또한 공정A의 양 베이스부의 스티치는, 니트 스티치(knit stitch)이더라도 좋고, 걸림 스티치(stitch hooked by the knitting needle)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3에서는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인접 스티치에 포개고, 상기 제1신규 스티치를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3에서는 상기 제2스티치를 상기 인접 스티치에 포개고, 상기 제2신규 스티치를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3에서는 상기 제1신규 스티치를 상기 인접 스티치에 포개고,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3에서는 상기 제2신규 스티치를 상기 인접 스티치에 포개고, 상기 제2스티치를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공정A에서는, 상기 일측 니들베드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교대로 스티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일측 베이스부와 상기 타측 베이스부를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각 스티치를 각각 프론트 스티치로 할 것인지 백 스티치로 할 것인지에 따라, 편성시작부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와 제2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할 것인지 백 스티치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편성포부의 수축이나 변형에 추종하는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에서는, 편성포부의 수축이나 변형에 편성시작부가 추종하기 때문에, 편성시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편성의 기점이 되는 코늘림 스티치를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편성시작부의 스티치가 쫀쫀한 상태가 되고, 편성시작부에 구멍이 생기기 어려워, 편성시작부의 외관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전후로 연결되는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를 최초에 형성하여, 전후 베이스부의 간격을 결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되기 어려워, 각 스티치의 형성상태가 균일하게 되기 쉬우므로, 편성시작부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코늘림 스티치에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신규 스티치를 코늘림 스티치로 함으로써, 편성시작부의 외관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코늘림 스티치에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경우에, 신규 스티치가 인출되는 제1스티치 및 제2스티치를 코늘림 스티치로 함으로써, 편성시작부의 외관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양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스티치를 교대로 편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양 베이스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 베이스부의 편성조건이 일치하기 때문에, 편성시작부가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편성포(스커트)의 개략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의 제1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의 제2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의 제3도이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스커트(편성포(編成布))(100)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스커트(100)는, 앞쪽 편성포부(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20F)와 뒤쪽 편성포부(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20B)가 통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 편성시작부(101)와 편성종료부(102)는 모두 스커트(100)의 측방(側方)에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스커트(100)는, 그 측방에서부터 편성을 시작하여 도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편성하고, 반대측의 측방에서 편성을 종료함으로써 얻어진다. 특히 편성시작부(101)와 양 편성포부(20F, 20B)의 경계에서는, 양 편성포부(20F, 20B)의 수축이나 변형이 불안정하여 편성시작부(101)가 눈에 띄기 쉽다. 편성시작부(101)를 눈에 띄지 않게 함으로써, 스커트(100)의 상품가치가 높아진다. 여기에서 본 예의 편성시작부(101)를 형성하는 대상이 되는 편성포는 의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가방 등의 소품이나 가구의 커버 등의 산업자재이더라도 좋다.
이하에, 스커트(100) 중에서 특히 편성시작부(101)의 편성방법을 도2∼4에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스커트(100)의 편성에 사용하는 횡편기(橫編機)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2조(組)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이다.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고, 그 경우에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空針)을 형성하는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을 하면 좋다.
도2∼4의 작은 칸에 기재되어 있는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작은 칸의 우측에 있는 큰 칸에는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편성상태가 나타나 있다. 큰 칸 내의 검은색 점은 편침(編針)을, 역삼각형 마크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나타내고, 칸 밖의 알파벳 대문자는 편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큰 칸 내의 동그라미 마크는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를, 마름모꼴 마크는 백 스티치(back stitch)를, 이중(二重)의 마크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빈틈없이 전부 칠한 마크는 그 편성공정에서 편성한 스티치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편성시작부(10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1×1의 리브조직(rib structure)의 편성포부(20B, 20F)(도1을 참조)를 편성하는 것을 전제로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한다. 구체적으로는, BD(FD)의 편침(A, C, E)에는 뒤쪽 편성포부(20B)(앞쪽 편성포부(20F))의 프론트 스티치를, BD(FD)의 편침(B, D, F)에는 뒤쪽 편성포부(20B)(앞쪽 편성포부(20F))의 백 스티치를 편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한다.
도2의 S1에서는, 하부 뒤쪽 니들베드(일측 니들베드로서, 이하 BD로 표기한다)의 편침(A∼F)과, 하부 앞쪽 니들베드(타측 니들베드로서, 이하 FD로 표기한다)의 편침(A∼F)에 교대로 스티치를 형성한다(공정A에 상당). 본 예에서는 공침에 편사를 걸고 있기 때문에, 걸림 스티치(stitch hooked by the knitting needle)로 이루어지는 양 베이스부(10B, 10F)가 형성된다. 드로 스레드(draw thread)로 편침(A∼F)에 걸림 스티치를 형성한 후에 양 베이스부(10B, 10F)를 형성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 니트 스티치(knit stitch)로 이루어지는 양 베이스부(10B, 10F)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BD와 FD에 교대로 스티치를 편성하여 양 베이스부(10B, 10F)를 형성하는 것이 편성효율상 유리하지만, 그 외의 방법으로 양 베이스부(10B, 10F)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BD 또는 FD에 드로 스레드의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고, 그 걸림 스티치에 대하여 니트 스티치를 편성하고 또한 니트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을 함으로써, 양 베이스부(10B, 10F)를 형성하여도 좋다.
S2에서는, 급사부재를 우측방향(RS)으로 이동시켜, BD의 편침(F∼A)에 니트 스티치를 편성한다. 이 S2는, 트랜스퍼가 어려운 걸림 스티치에 의하여 일측 베이스부(10B)가 구성되기 때문에 실시하고 있는 편성으로서, 일측 베이스부(10B)가 니트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하지 않아도 좋다. 즉 이 S2는 보조적인 편성이며, S2에서 새로 편성된 니트 스티치는, 일측 베이스부(10B)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일측 베이스부(10B)라고 생각하면 좋다. 편성효율상 S2에서는 일측 베이스부(10B)의 모든 걸림 스티치에 니트 스티치를 한 번에 편성하고 있지만, S3 이후의 편성대상이 되는 걸림 스티치에 일일이 니트 스티치를 편성하여도 좋다.
S3 이후에는, 일측 베이스부(10B)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우측방향(RS)의 단부(端部)로부터 순서대로, 일측 베이스부(10B)의 스티치에 연결되는 일측 코늘림 스티치(一側 widening stitch)(1c)(S6 등)를 일측 니들베드(BD)에 형성하는 것을 반복한다(공정B에 상당).
S3에서는, BD의 편침(A)에 결합되는 일측 베이스부(10B)의 단부 스티치(1a)(S2를 참조)를 상부 앞쪽 니들베드(타측 니들베드로서, 이하 FU로 표기한다)의 편침(A)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급사부재를 좌측방향(LS)으로 이동시켜, 단부 스티치(1a)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1)를 편성한다(공정b1에 상당). 제1스티치(1)는 FU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BD 측에서 볼 때에 백 스티치가 된다.
S4에서는, 제1스티치(1)를 일단 BD의 편침(A)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S5에서는, 제1스티치(1)에 스플릿 편성을 하여, 제1스티치(1)로부터 인출되는 제1신규 스티치(2)를 형성한다(공정b2에 상당). 제1스티치(1)에 스플릿 편성을 함으로써, 구스티치(舊stitch)인 제1스티치(1)는 FU의 편침(A)으로 이동되고, 그 제1스티치(1)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인 제1신규 스티치(2)가 BD의 편침(A)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S4의 제1스티치(1)의 이동은, 상부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에 대하여 스플릿 편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루어지고 있다. 단순히 횡편기의 기구상(機構上)의 문제이므로, 상부의 니들베드의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할 수 있는 횡편기이면 S4를 할 필요는 없다.
S6에서는, 일측 베이스부(10B)의 인접 스티치(1b)와, 제1스티치(1)와 제1신규 스티치(2) 중의 어느 일방(一方)의 스티치를 포개어 그 더블 스티치(3)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1a)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他方)의 스티치를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로 규정한다(공정b3). 인접 스티치(1b)는, 일측 베이스부(10B)의 스티치 중에서 S2의 시점에서 단부 스티치(1a)에 인접하는 스티치이다. 본 예에서는, 제1스티치(1)를 BD의 편침(B)으로 이동시켜 더블 스티치(3)를 형성하고, 제1신규 스티치(2)는 BD의 편침(A)에 결합시킨 채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S6과는 달리 S5의 제1신규 스티치(2)를 인접 스티치(1b)에 포개고, 제1스티치(1)를 BD의 편침(A)으로 이동시켜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로 규정할 수도 있다. 단, 일측 코늘림 스티치(1c)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20B)(도1)의 스티치를 1×1의 리브조직의 프론트 스티치로 할 예정이기 때문에, 도2의 S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하는 것이 편성시작부(101)(도1)가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1스티치(1)를 인접 스티치(1b) 상에 포개어 제1스티치(1)가 스커트(100)(도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지만, S5의 인접 스티치(1b)를 BD의 편침(B)으로부터 다른 편침으로 대피시켜, 제1스티치(1)를 BD의 편침(B)으로 이동시키고, 그 제1스티치(1) 상에 인접 스티치(1b)를 포개도 상관없다. 제1스티치(1)와 인접 스티치(1b)를 포개는 방법에 의하여 편성시작부(101)의 마무리가 깔끔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S7에서는, 새로운 단부 스티치(1a)(더블 스티치(3))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1스티치(4)를 편성한다(2번째의 공정b1). 제1스티치(4)는 BD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BD 측에서 볼 때에 프론트 스티치가 된다.
S8에서는, 제1스티치(4)에 스플릿 편성을 한다(2번째의 공정b2). 이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제1스티치(4)는 FU의 편침(B)으로 이동되고, 그 제1스티치(4)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인 제1신규 스티치(5)가 BD의 편침(B)에 형성된다.
S9에서는, BD의 편침(C)에 결합되는 인접 스티치(1b)에 제1신규 스티치(5)를 포개어 그 더블 스티치(6)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1a)로 규정하고, S10에서는, 제1스티치(4)를 BD의 편침(B)으로 이동시켜, 그 제1스티치(4)를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로 규정한다(2번째의 공정b3).
여기에서 제1스티치(4)를 인접 스티치(1b)에 포개고, 제1신규 스티치(5)를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로 규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BD의 편침(B)에 형성되는 일측 코늘림 스티치(1c)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20B)(도1)의 스티치를 1×1의 리브조직의 백 스티치로 할 예정이기 때문에, S9, S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하는 것이 편성시작부(101)(도1)가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이후에 S3∼S6의 편성과 S7∼S10의 편성을 교대로 반복한다. 도3의 S11에는, 일측 베이스부(10B)(도2)의 최후의 스티치에 더블 스티치(3)를 형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S12에서는, 급사부재를 좌측방향(LS)으로 이동시켜 S11의 더블 스티치(3)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종단 스티치(7)를 편성한 후에, 급사부재를 반전시켜 FD의 편침(F∼A)에 니트 스티치를 편성하고, 타측 베이스부(10F)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타측 베이스부(10F)를 형성한다. 종단 스티치(7)는 최후의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로 간주하면 좋다. 새로운 타측 베이스부(10F)는, S11과는 다른 급사부재를 사용하여 편성하여도 좋다. 또한 S12와는 달리 S13 이후의 편성대상이 되는 걸림 스티치에 일일이 니트 스티치를 편성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종단 스티치(7)에 스플릿 편성을 더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종단 스티치(7)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를 최후의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로 하고,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FU의 편침(F)으로 이동된 종단 스티치(7)는 그 근방의 편침(예를 들면, FD의 편침(F) 등)의 스티치에 포개면 좋다.
S13 이후에는, 타측 베이스부(10F)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우측방향(RS)의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타측 베이스부(10F)의 스티치에 연결되는 타측 코늘림 스티치(1f)(S20 등)를 FD에 형성하는 것을 반복한다(공정C에 상당). 물론 타측 베이스부(10F)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좌측방향(LS)의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타측 코늘림 스티치(1f)의 형성을 시작하여도 상관없다.
S13에서는, FD의 편침(A)에 결합되는 타측 베이스부(10F)의 단부 스티치(1d)(S12를 참조)를 상부 뒤쪽 니들베드(일측 니들베드로서, 이하 BU로 표기한다)의 편침(A)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급사부재를 좌측방향(LS)으로 이동시켜, 단부 스티치(1d)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스티치(8)를 편성한다(공정c1에 상당). 제2스티치(8)는 BU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FD 측에서 볼 때에 백 스티치가 된다.
S14에서는, 제2스티치(8)를 일단 FD의 편침(A)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S15에서는, 제2스티치(8)에 스플릿 편성을 하여, 제2스티치(8)로부터 인출되는 제2신규 스티치(9)를 형성한다(공정c2에 상당). 제2스티치(8)에 스플릿 편성을 함으로써, 구스티치인 제2스티치(8)는 BU의 편침(A)으로 이동되고, 그 제2스티치(8)로부터 인출되는 신스티치(新stitch)인 제2신규 스티치(9)가 FD의 편침(A)에 형성된다.
S16에서는, 타측 베이스부(10F)의 인접 스티치(1e)와, 제2스티치(8)와 제2신규 스티치(9) 중의 어느 일방의 스티치를 포개어 그 더블 스티치(10)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1d)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의 스티치를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로 규정한다(공정c3). 인접 스티치(1e)는, 타측 베이스부(10F)의 스티치 중에서 S12의 시점에서 단부 스티치(1d)에 인접하는 스티치이다. 본 예에서는, 제2스티치(8)를 FD의 편침(B)으로 이동시켜 더블 스티치(10)를 형성하고, 제2신규 스티치(9)는 FD의 편침(A)에 결합시킨 채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2스티치(8)와 인접 스티치(1e)를 포개는 방법은, S16의 포개는 방법과 반대여도 상관없다.
S17에서는, 새로운 단부 스티치(1d)(더블 스티치(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제2스티치(11)를 편성한다(2번째의 공정c1). 제2스티치(11)는 FD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FD 측에서 볼 때에 프론트 스티치가 된다.
S18에서는, 제2스티치(11)에 스플릿 편성을 한다(2번째의 공정c2). 이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제2스티치(11)는 BU의 편침(B)으로 이동되고, 그 제2스티치(11)로부터 인출되는 신스티치인 제2신규 스티치(12)가 FD의 편침(B)에 형성된다.
S19에서는, FD의 편침(C)에 결합되는 인접 스티치(1e)에 제2신규 스티치(12)를 포개어 그 더블 스티치(13)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1d)로 규정하고, S20에서는, 제2스티치(11)를 FD의 편침(B)으로 이동시켜, 그 제2스티치(11)를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로 규정한다(2번째의 공정c3).
이후에 S13∼S16의 편성과 S17∼S20의 편성을 교대로 반복한다. 도4의 S21에는, 타측 베이스부(10F)(도3)의 최후의 스티치에 더블 스티치(10)를 형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S22에서는, 급사부재를 좌측방향(LS)으로 이동시켜, 최후의 더블 스티치(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종단 스티치(14)를 편성하고, 편성시작부(101)를 완성시킨다. 종단 스티치(14)는 최후의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로 간주할 수 있다. 이 종단 스티치(14)에 스플릿 편성을 더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신스티치를 최후의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로 하고,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BU의 편침(F)으로 이동된 종단 스티치(14)는 그 근방의 편침(예를 들면, BD의 편침(F) 등)의 스티치에 포개면 좋다.
편성시작부(101)가 완성되면, 그 편성시작부(101)를 편성의 기점으로 하여 일측 편성포부(20B)와 타측 편성포부(20F)를 편성한다(공정D에 상당). 구체적으로는, S23에서는, 제1스티치열(50B)을 구성하는 복수의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를 BD와 FU에 나눈 후에, 제1스티치열(50B)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1×1의 리브조직의 일측 편성포부(20B)를 편성한다. S24에서는, 제2스티치열(50F)을 구성하는 복수의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를 FD와 BU에 나눈 후에, 제2스티치열(50F)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1×1의 리브조직의 타측 편성포부(20F)를 편성한다. 본 예의 편성포(스커트)(100)에서는, 일측 편성포부(20B)와 타측 편성포부(20F)가 편성폭방향의 단부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24에서 사용하는 급사부재는 S23에서 사용하는 급사부재와는 별개의 것이다. 양 편성포부(20B, 20F)가 통모양으로 연결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하나의 급사부재를 사용하여 양 편성포부(20B, 20F)를 연속하여 편성하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4에 나타내는 일측 편성포부(20B)와 타측 편성포부(20F)의 편성의 기점이 되는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도2)와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도3)를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편성시작부(101)의 스티치가 쫀쫀한 상태가 되고, 편성시작부(101)에 구멍이 생기기 어려워, 편성시작부(101)의 외관이 좋아진다.
또한 본 예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함으로써, 편성포부(20B, 20F)의 수축이나 변형에 추종하는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편성시작부(101)를 구비하는 편성포(100)(도1)에서는, 편성포부(20B, 20F)의 수축에 편성시작부(101)가 추종하기 때문에, 편성시작부(101)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도4의 S2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도4의 S23), 그 일측 코늘림 스티치(1c)의 형성에 관계되는 공정b1의 제1스티치(1)는 백 스티치로 한다(도2의 S3).
· 일측 코늘림 스티치(1c)(도4의 S2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 편성포부(20B)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도4의 S23), 그 일측 코늘림 스티치(1c)의 형성에 관계되는 공정b1의 제1스티치(4)는 프론트 스티치로 한다(도2의 S7).
·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도4의 S2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도4의 S24), 그 타측 코늘림 스티치(1f)의 형성에 관계되는 공정c1의 제2스티치(8)는 백 스티치로 한다(도3의 S13).
· 타측 코늘림 스티치(1f)(도4의 S2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 편성포부(20F)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도4의 S24), 그 타측 코늘림 스티치(1f)의 형성에 관계되는 공정c1의 제2스티치(11)는 프론트 스티치로 한다(도3의 S17).
또한 본 예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도2의 S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로 연결되는 일측 베이스부(10B)와 타측 베이스부(10F)를 최초에 형성하여 전후의 베이스부(10B, 10F)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편성시작부(101)의 각 스티치의 간격이 불규칙하게 되기 어려워, 각 스티치의 형성상태가 균일하게 되기 쉬우므로, 편성시작부(101)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변형예〉
실시형태1의 편성시작부(101)를 편성하는 급사부재는, 복수의 급사구(給絲口)를 갖는 플레이팅 캐리어(plating carrier) 등으로 하여도 좋다. 그 밖에 편성포부(20B, 20F)는, 1×1 이외의 리브조직, 예를 들면 1×2나 2×2의 리브조직이어도 좋고, 플레인 스티치 조직이어도 좋다. 그 외에 어느 일방의 편성포부(20B(20F))를 플레인 스티치 조직, 타방의 편성포부(20F(20B))를 리브조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편성은, 편성포의 표면측(表面側)과 이면측(裏面側)에서 디자인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일측 편성포부(20B)와 타측 편성포부(20F)의 양 단부가 연결되도록 편성하면, 편성시작부(101)를 바닥으로 하는 백(bag)과 같은 자루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1, 4 : 제1스티치 8, 11 : 제2스티치
2, 5 : 제1신규 스티치 9, 12 : 제2신규 스티치
3, 6, 10, 13 : 더블 스티치
7, 14 : 종단 스티치
1a, 1d : 단부 스티치 1b, 1e : 인접 스티치
1c : 일측 코늘림 스티치 1f : 타측 코늘림 스티치
100 : 스커트(편성포)
101 : 편성시작부
102 : 편성종료부
10B : 일측 베이스부 10F : 타측 베이스부
20B : 뒤쪽 편성포부(일측 편성포부) 20F : 앞쪽 편성포부(타측 편성포부)
50B : 제1스티치열 50F : 제2스티치열

Claims (4)

  1. 서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 및 이들 니들베드에 편사(編絲)를 급사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양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고, 그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로 대향하는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와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상기 일측 편성포부와 동일한 폭의 일측 베이스부(一側 base部)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상기 타측 편성포부와 동일한 폭이며 또한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각 스티치에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타측 베이스부(他側 base部)를 형성하는 공정A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단부(端部)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연결되는 일측 코늘림 스티치(一側 widening stitch)를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는 공정B와,
    상기 타측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타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연결되는 타측 코늘림 스티치(他側 widening stitch)를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형성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편성시작부를 완성시키는 공정C와,
    상기 편성시작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로 구성되는 스티치열(stitch row)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상기 일측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로 구성되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상기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공정D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B에서는,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단부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b1과,
    상기 제1스티치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을 하여, 상기 제1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1신규 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b2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 중의 상기 단부 스티치에 인접하는 인접 스티치와, 상기 제1스티치와 상기 제1신규 스티치 중의 어느 일방(一方)의 스티치를 포개어, 그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他方)의 스티치를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공정b3를
    반복하고,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타측 베이스부의 단부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c1과,
    상기 제2스티치에 스플릿 편성을 하여, 상기 제2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제2신규 스티치를 형성하는 공정c2와,
    상기 타측 베이스부 중의 상기 단부 스티치에 인접하는 인접 스티치와, 상기 제2스티치와 상기 제2신규 스티치 중의 어느 일방의 스티치를 포개어, 그 더블 스티치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로 규정함과 아울러, 타방의 스티치를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공정c3를
    반복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단,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1의 상기 제1스티치는 백 스티치(back stitch)로 하고,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1의 상기 제1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고,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1의 상기 제2스티치는 백 스티치로 하고,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1의 상기 제2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로 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3에서는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인접 스티치에 포개고, 상기 제1신규 스티치를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3에서는 상기 제2스티치를 상기 인접 스티치에 포개고, 상기 제2신규 스티치를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b3에서는 상기 제1신규 스티치를 상기 인접 스티치에 포개고,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일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고,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를 백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c3에서는 상기 제2신규 스티치를 상기 인접 스티치에 포개고, 상기 제2스티치를 상기 타측 코늘림 스티치로 규정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에서는, 상기 일측 니들베드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교대로 스티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일측 베이스부와 상기 타측 베이스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80164656A 2017-12-21 2018-12-19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168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5465 2017-12-21
JP2017245465A JP6932076B2 (ja) 2017-12-21 2017-12-21 編地の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825A true KR20190075825A (ko) 2019-07-01
KR102168787B1 KR102168787B1 (ko) 2020-10-22

Family

ID=6676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656A KR102168787B1 (ko) 2017-12-21 2018-12-19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32076B2 (ko)
KR (1) KR102168787B1 (ko)
CN (1) CN109943962B (ko)
DE (1) DE102018222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3418B (zh) * 2021-03-05 2022-05-10 江南大学 一种控制筒状织物边缘线圈大小均匀的编织方法
CN114541016B (zh) * 2022-02-26 2023-01-3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正反针结构起底编织方法及针织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235B1 (ko) * 1998-11-10 2006-02-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입체성형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0585275B1 (ko) * 2000-01-26 2006-05-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JP2012251262A (ja) * 2011-06-03 2012-12-20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20130002259A (ko) * 2011-06-28 2013-01-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20170138060A (ko) * 2016-06-06 2017-12-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6452B2 (ja) * 2011-01-28 2015-08-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5844578B2 (ja) * 2011-09-01 2016-01-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引き返し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6104018B2 (ja) * 2013-04-03 2017-03-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分岐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
TWI585254B (zh) * 2013-04-23 2017-06-01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編織物之編織方法
JP2015105455A (ja) * 2013-12-02 2015-06-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引き返し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235B1 (ko) * 1998-11-10 2006-02-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입체성형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0585275B1 (ko) * 2000-01-26 2006-05-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JP2012251262A (ja) * 2011-06-03 2012-12-20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20130002259A (ko) * 2011-06-28 2013-01-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2013011031A (ja) 2011-06-28 2013-01-17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20170138060A (ko) * 2016-06-06 2017-12-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2735A (ja) 2019-07-11
CN109943962B (zh) 2020-08-25
DE102018222205A1 (de) 2019-06-27
CN109943962A (zh) 2019-06-28
JP6932076B2 (ja) 2021-09-08
KR102168787B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64737B (zh) 罗纹风格针织物的编织方法及罗纹风格针织物
JP6541621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KR20150106364A (ko)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0854959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KR101449915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KR20190075825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985828B1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JP5695978B2 (ja) ホール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CN102995267B (zh) 针织物的接合方法及针织物
CN102965823B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针织物
US6079232A (en) Widening method
KR10190358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9858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6280991B2 (ja) 編地の編成方法
JP7204414B2 (ja) 編地の接合方法及び接合された編地
WO2007020829A1 (ja) パイピング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KR20200102368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CN103243469B (zh) 针织品
JP6738791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7357506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6320133B2 (ja) ストライプ柄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CN104746227A (zh) 编织物的编织方法以及编织物的制造方法
JPH10204759A (ja) 編地終端部の編成方法及び該編地終端部の編成方法により編成された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