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879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879A
KR20190073879A KR1020170175101A KR20170175101A KR20190073879A KR 20190073879 A KR20190073879 A KR 20190073879A KR 1020170175101 A KR1020170175101 A KR 1020170175101A KR 20170175101 A KR20170175101 A KR 20170175101A KR 20190073879 A KR20190073879 A KR 20190073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sposed
cover
connection end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395B1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3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및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 배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제2 터미널과, 상기 제1 터미널과 상기 제2 터미널을 연결하는 제3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커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터미널에 끼워 맞춤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에는 코일이 감긴다. 코일은 터미널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스테이터의 상측에는 이러한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버가 마련된다. 커버에는 커버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이 마련된다. 커버에 배치된 제1 터미널과 코일에 연결된 제2 터미널은 커버의 홀을 관통하는 제3 터미널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제3 터미널이 홀을 관통한 이후, 홀은 실링부재를 도포 후, 경화 과정을 거쳐 홀을 막는다.
그러나. 이는 모터의 제조 공정 증가 및 제조 비용 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에 배치된 터미널과 코일에 연결된 터미널을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 배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제2 터미널 상기 제1 터미널과 상기 제2 터미널을 연결하는 제3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커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터미널에 끼워 맞춤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터미널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하며, 상기 제3 터미널의 단부가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터미널의 일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의 다른 일부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의 상면의 상측에서 상기 제2 터미널과 접촉하고, 상기 커버의 하면의 하측에서 상기 제1 터미널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제3 터미널의 수평단면의 크기와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보스부의 상면과 상기 커버의 하면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보스부는 상이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열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보스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연결단부는 상기 코일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단부는 상기 제3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3 연결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4 연결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연결단부와 상기 제4 연결단부는 각각 상기 커버(4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연결단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단부는 상기 제3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커넥터는 제3 몸체와 상기 제3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5 연결단부와. 상기 제3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6 연결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연결단부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6 연결단부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5 연결단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6 연결단부는 재2 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 연결단부는 상기 제3 몸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걸림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퓨징 공정을 배제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스테이터 위에 배치된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의 분해도,
도 5는 제3 연결터미널과 커버의 결합 형태의 변형례릉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3 연결터미널과 커버의 결합 형태의 변형례릉 도시한 도면,
도 7은 커버의 상면에 배치된 보스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퓨징 공정을 통해 홀이 막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와,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로터 코어와,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는 원형의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중심에는 샤프트(100)가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그넷은 일정 간격으로 로터 코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링형 마그넷이 로터 코어에 부착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에 로터(2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기 위해 코일(330)이 감길 수 있다. 코일을 감기 위한 스테이터(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터(300)는 복수 개의 티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310)는 환형의 요크 부분이 마련되고, 요크에서 중심방향으로 코일이 감기는 티스가 마련될 수 있다. 티스는 요크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3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310)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상호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티스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330)은 인슐레이터(320)에 감길 수 있다.
커버(400)는 스테이터(3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400)는 중심부에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스테이터 위에 배치된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터미널(500)은 인슐레이터(310)에 배치되어 코일(330)과 제3 터미널(7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인슐레이터(310)의 외측가이드에는 제1 터미널(500)과 연결을 위한 결합부(3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의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터미널(500)은 제1 몸체(510)와, 제1 연결단부(520)와, 제2 연결단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510)는 지지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11)는 제1 몸체(510)에서 하향하여 분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511)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지지부(511)는 인슐레이터(320)의 결합부(321)에 삽입된다. 제1 연결단부(520)는 제1 몸체(5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1 연결단부(520)는 “U”자 형태의 굽은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단부(520)에는 코일(도 2의 330)이 퓨징(fusing)되어 연결된다. 제2 연결단부(530)는 제1 몸체(5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제2 연결단부(530)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블록 형태일 수 있다. 제2 연결단부(530)에는 홈(531)이 배치될 수 있다. 홈(531)에는 제3 터미널(700)이 삽입된다.
제2 터미널(600)은 커버(400)에 배치된다. 제2 터미널(600)은 제1 터미널(5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 터미널(600)은 외부전원에 연결되며, 제3 터미널(700)과 연결된다. 제2 터미널(600)은 제2 몸체(610)와, 제3 연결단부(620)와, 제4 연결단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미널(600)은 커버(400)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610)는 커버(4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3 연결단부(620)와 제4 연결단부(630)는 각각 커버(40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단부(620)는 제2 몸체(610)에서 상향하여 분기된 형태일 수 있다. 제3 연결단부(620)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4 연결단부(630)는 제2 몸체(610)의 측면에서 연장된다. 제4 연결단부(630)는 끝단이 “ㄱ”자 형태로 꺽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연결단부(630)의 하면(631)은 제2 몸체(610)의 하면(611)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4 연결단부(630)의 하면(631)과 커버(400)의 상면과 이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제3 터미널(700)은 제1 터미널(500)과 제2 터미널(600) 사이에 배치된다. 제3 터미널(700)은 제1 터미널(500)과 제2 터미널(6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3 터미널(700)은 제3 몸체(710)와, 제5 연결단부(720)와, 제6 연결단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연결단부(720)는 제3 몸체(7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5 연결단부(720)는 제1 터미널(500)의 홈(531)에 끼워 맞춤된다. 제5 연결단부(720)는 제3 몸체(71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복수 개의 걸림돌기(7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6 연결단부(730)는 제3 몸체(71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6 연결단부(730)는 제2 터미널(600)의 제4 연결단부(630)와 면접촉한다. 제4 연결단부(630)와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6 연결단부(730)의 일부는 제4 연결단부(63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3 터미널(700)은 커버(4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제5 연결단부(720)는 커버(400)의 하측에 노출된다. 그리고 제6 연결단부(730)는 커버(400)의 상측에 노출된다.
제3 터미널(700)과 제2 터미널(600)을 별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3 터미널(700)과 제2 터미널(600)은 일체일 수 있다.
제3 터미널(700)과 커버(400)의 결합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변형례가 예시된다.
도 5는 제3 연결터미널과 커버의 결합 형태의 변형례릉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터미널(700)을 관통시키기 위하여, 커버(400)에 홀을 형성시키지 않고, 제3 터미널(700)을 커버(400)에 인서트 사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5 연결단부(720)는 커버(400)의 상측에 노출되며, 그리고 제6 연결단부(730)는 커버(400)의 하측에 노출된다. 이로써, 제3 터미널(700)과 커버(400)의 경계(401)에는 틈이 제거된다. 따라서, 제3 터미널(700)이 관통하는 홀을 실링하기 위한 공정이나 부재가 필요 없게 된다.
제3 터미널(700)과 제2 터미널(600)이 별물인 경우, 제3 터미널(700)의 제6 연결단부(730)와 제2 터미널(600)의 제4 연결단부(630)는 접촉된 상태이다. 결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6 연결단부(730)와 제4 연결단부(630)는 퓨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제3 연결터미널과 커버의 결합 형태의 변형례릉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커버의 상면에 배치된 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퓨징 공정을 통해 홀이 막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커버(400)에 홀(430)이 배치될 수 있다. 홀(430)은 커버(4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3 터미널(700)은 홀(430)을 관통한다. 홀(430)의 크기는 제3 터미널(700)의 제6 연결단부(730)의 수평단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제3 터미널(700)과 홀(430)의 경계 사이에는 도 6의 P와 같은 이격 공간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격 공간(P)은 막아야 한다. 이를 위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400)에는 보스부(420)가 배치된다. 보스부(420)는 커버(400)의 상면(410)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배치된다. 보스부(420)에 홀(430)이 배치된다. 홀(430)을 관통한 제6 연결단부(730)와 제4 연결단부(630)가 맞닿은 상태에서, 퓨징이 진행되면, 퓨징 과정에서 발생된 열이 보스부(420)의 상부에 전달된다.
보스부(420)의 상부에 열이 전달되면, 홀(430)의 주변에 열융착부(421)가 발생하면서, 홀(430)을 막게 된다. 따라서, 홀(430)을 막기 위한 별도의 실링 공정이나 실링부재가 필요없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310: 스테이터 코어
320: 인슐레이터
330: 코일
400: 커버
410: 상면
420: 보스부
430: 홀
500: 제1 터미널
510: 제1 몸체
520: 제1 연결단부
530: 제2 연결단부
600: 제2 터미널
610: 제2 몸체
620: 제3 연결단부
630: 제4 연결단부
700: 제3 터미널
710: 제3 몸체
720: 제5 연결단부
730: 제6 연결단부

Claims (10)

  1.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및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 배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미널과 상기 제2 터미널을 연결하는 제3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커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터미널에 끼워 맞춤되는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하며, 상기 제3 터미널의 단부가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모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널의 일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의 다른 일부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의 상면의 상측에서 상기 제2 터미널과 접촉하고, 상기 커버의 하면의 하측에서 상기 제1 터미널과 접촉하는 모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제3 터미널의 수평단면의 크기와 대응하는 모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보스부의 상면과 상기 커버의 하면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보스부는 상이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열융착부를 포함하는 모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널은 상기 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모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연결단부는 상기 코일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단부는 상기 제3 터미널과 연결되는 모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3 연결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4 연결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연결단부와 상기 제4 연결단부는 각각 상기 커버(4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연결단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단부는 상기 제3 터미널과 연결되는 모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는 제3 몸체와 상기 제3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5 연결단부와. 상기 제3 몸체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6 연결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연결단부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6 연결단부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5 연결단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6 연결단부는 재2 터미널과 연결되는 모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연결단부는 상기 제3 몸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걸림돌기가 배치되는 모터.
KR1020170175101A 2017-12-19 2017-12-19 모터 KR10255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101A KR102554395B1 (ko) 2017-12-19 2017-12-19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101A KR102554395B1 (ko) 2017-12-19 2017-12-19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79A true KR20190073879A (ko) 2019-06-27
KR102554395B1 KR102554395B1 (ko) 2023-07-11

Family

ID=6705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101A KR102554395B1 (ko) 2017-12-19 2017-12-19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3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5572A (ja) * 2008-03-17 2009-10-01 Ichinomiya Denki:Kk ステ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20084378A (ko) * 2011-01-20 2012-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ps 모터의 스테이터
KR20140003778A (ko) * 2012-06-28 2014-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모터
JP2016039682A (ja) * 2014-08-06 2016-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ユニット
KR20160080504A (ko) * 2014-12-29 2016-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및 스테이터 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170011821A (ko) * 2015-07-24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5572A (ja) * 2008-03-17 2009-10-01 Ichinomiya Denki:Kk ステ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20084378A (ko) * 2011-01-20 2012-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ps 모터의 스테이터
KR20140003778A (ko) * 2012-06-28 2014-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모터
JP2016039682A (ja) * 2014-08-06 2016-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ユニット
KR20160080504A (ko) * 2014-12-29 2016-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및 스테이터 조립체의 제조방법
KR20170011821A (ko) * 2015-07-24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터미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395B1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3479B2 (ja) インシュレータ及びこれを含むモータ
US8278803B2 (en) Motor end cap positioning element for maintaining rotor-stator concentricity
EP3136548B1 (en) Axial air-gap rotary electric machine
JP2013046420A (ja) 巻線、および巻線を備えたステータコア
KR20150027714A (ko) 전자 모터용 고정자의 권선 절연 구조
JP5957544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KR20160056232A (ko) 모터
WO2018150964A1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US20170040866A1 (en) Vibration motor
US20170353090A1 (en) Stator unit, motor, and blower
JP2021185737A (ja) モータ
JP6378660B2 (ja) ステータ構造およびレゾルバ
KR20160080504A (ko) 스테이터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및 스테이터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547570B1 (ko) 모터
TWI673936B (zh) 軸向間隙型旋轉電機
JP2014073030A (ja) 電機子およびモータ
JP2017015002A (ja) ポンプ装置
JP2014100016A (ja) 固定子
KR20190073879A (ko) 모터
US8823240B2 (en) Stator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2017079526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KR102455645B1 (ko) 모터
EP3364527A1 (en) Electric motor and blower
KR20160118058A (ko) 모터
KR20220005699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