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763A - 작물 이식 장치 - Google Patents

작물 이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763A
KR20190070763A KR1020170171613A KR20170171613A KR20190070763A KR 20190070763 A KR20190070763 A KR 20190070763A KR 1020170171613 A KR1020170171613 A KR 1020170171613A KR 20170171613 A KR20170171613 A KR 20170171613A KR 20190070763 A KR20190070763 A KR 20190070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crops
transplanting
uni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505B1 (ko
Inventor
윤선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트리
Priority to KR102017017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에 의해 고랑을 주행하는 주행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트의 수용공간에 식생된 작물을 두둑에 이식하도록 형성된 이식모듈을 갖는 작물 이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식모듈은 식생된 작물이 수용된 포트를 공급받아 이송하도록 설치된 포트이송부와, 상기 포트이송부에 이송중인 포트에서 행 단위로 작물을 빼내어 하방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작물취출부와, 상기 작물취출부에서 취출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두둑의 폭방향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가 복수개 설치된 작물이송부와, 상기 작물이송부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두둑의 폭방향으로 작물을 이식하도록 형성된 작물이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물 이식 장치{Transmplanting device for crops}
본 발명은 주행수단에 설치되어 포트에서 식생된 작물을 신속하게 취출하여 이식할 수 있고, 작물 사이의 이식 폭을 용이하게 조절한 상태로 신속하게 이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두둑의 높이에 따라 작물의 이식 깊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고랑의 높이에 따라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작물 이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추, 양파, 마늘 등의 밭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논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비해 일손이 많이 가지만, 소득이 높아 해가 갈수록 재배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밭작물의 경우 종·횡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포트에서 종자를 발아시켜 일정기간 식생한 후, 작업자가 포트에서 식생된 작물을 취출하고, 취출한 작물을 모종삽이나 호미 등을 이용해 두둑에 일정 깊이로 땅을 파내 이식하고, 작물을 이식한 이후에는 다시 흙을 덮어야 했기 때문에, 작물의 이식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물의 이식작업은 작업자가 쪼그려 앉은 상태로 반복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 강도가 매우 높아 작업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농업인력이 고령화되면서 작물의 이식 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지게 되었고, 이러한 인력 부족현상은 적기에 작물을 이식하지 못하게 되어 크고 작은 농가의 손실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어 농가의 어려움을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32925호를 통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복수의 주행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프레임과, 모종 또는 종자를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이식유닛으로 구성되며, 이때의 이식유닛은 모종 또는 종자를 파지하는 복수의 호퍼와, 호퍼의 일부가 땅속을 파고들어 모종 또는 종자가 투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호퍼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로 구성된 식물 이식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의 식물 이식장치는 고랑을 주행하며 두둑에 작물을 자동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포트에서 식쟁된 작물을 일일이 꺼내에 호퍼에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두둑의 폭에 관계 없이 작물을 항상 일정한 폭으로 이식할 수 밖에 없어 이식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가 제한될 수 밖에 없었으며, 두둑의 높이나 고랑의 깊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높이로 호퍼가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작물이 너무 깊게 이식되거나 제대로 이식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532호(2011.05.09.공개, 식물 이식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력에 의해 고랑을 이동하는 주행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트에서 식생된 작물을 신속하게 취출하여 이식할 수 있고, 취출된 식물이 이식되는 폭을 두둑의 폭과 이식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두둑의 높이에 따라 작물의 이식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한 상태로 신속하게 작물의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물 이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동력에 의해 고랑을 주행하는 주행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트의 수용공간에 식생된 작물을 두둑에 이식하도록 형성된 이식모듈을 갖는 작물 이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식모듈은 식생된 작물이 수용된 포트를 공급받아 이송하도록 설치된 포트이송부와, 상기 포트이송부에 이송중인 포트에서 행 단위로 작물을 빼내어 하방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작물취출부와, 상기 작물취출부에서 취출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두둑의 폭방향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가 복수개 설치된 작물이송부와, 상기 작물이송부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두둑의 폭방향으로 작물을 이식하도록 형성된 작물이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밖에 상기 작물 이식 장치에 추가되거나 한정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는 동력에 의해 고랑을 이동하는 주행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트에서 식생된 작물을 신속하게 취출하여 이식할 수 있고, 취출된 식물이 이식되는 폭을 두둑의 폭과 이식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두둑의 높이에 따라 작물의 이식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한 상태로 신속하게 작물의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의 이송부와 이식부의 결합관계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의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이식부의 폭이 조절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이식부의 폭이 조절됨에 따라 이송부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이식부의 이식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는 동력에 의해 고랑(A)을 주행하는 주행수단(2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트(110)의 수용공간에 식생된 작물을 두둑(B)에 이식하도록 형성된 이식모듈(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주행수단(20)은 전방과 후방에 전방륜과 후방륜이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전방륜과 후방륜은 좌측과 우측이 각각 두둑(B)을 중심으로 좌측 고랑(A)과 우측 고랑(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이식모듈(10)은 상기 이식모듈(10)은 식생된 작물이 수용된 포트(110)를 공급받아 이송하도록 설치된 포트이송부(100)와, 상기 포트이송부(100)에 이송중인 포트(110)에서 행 단위로 작물을 빼내어 하방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작물취출부(200)와, 상기 작물취출부(200)에서 취출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두둑(B)의 폭방향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310)가 복수개 설치된 작물이송부(300)와, 상기 작물이송부(30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두둑(B)의 폭방향으로 작물을 이식하도록 형성된 작물이식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작물취출부(200)와 작물이송부(300) 및 작물이식부(400)는 포트(110)에서 행단위로 작물을 인출하여 이송 및 이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포트(110)에 횡방향으로 작물이 수용되게 마련된 수용공간과 동일한 개수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식모듈(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의 포트이송부(100)는 포트(110)의 양측이 끼워져 작물취출부(200)를 향해 이송된 후 작물의 취출이 완료된 포트(110)는 다시 회수할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되게 형성된 것으로, 이때의 포트(110)는 종·횡방향으로 작물이 수용된 상태로 식생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의 작물취출부(200)는 포트(110)의 횡방향으로 마련된 수용공간에 수용된 작물을 일시에 행단위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핀 길이가 가변되게 형성되어 핀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작물의 뿌리부분에 부착된 흙을 찔러 포트(110)에서 작물을 인출하고, 작물을 인출한 상태에서는 이송컨베이어(310)에 작물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로 일정 각도 회동하며, 작물이 이송컨베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한 이후에는 핀을 원래의 위치로 인입시켜 작물의 뿌리부분에 꼽힌 핀이 빠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작물이송부(300)는 작물취출부(200)에서 행단위로 취출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작물이송부(300)에 이송된 작물을 하나씩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송컨베이의 외면에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32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송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된 작물이 이동되는 동안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송컨베이어(310)의 양 측에 측벽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작물이송부(30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물이식부(400)에 작물이 공급되기에 앞서 이송컨베이어(310)에 의해 작물이 이송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작물감지센서(330)를 각각의 이송컨베이어(310)마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물감지센서(330)에 의해 작물의 이송상태가 감지되지 않은 이송컨베이어(310)의 경우 작물이 더욱 빠르게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작물을 이식하는 동안 누락된 부분 없이 두둑(B)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작물이 이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작물이식부(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10) 각각의 끝단부에 연결브라켓(410)을 매개로 설치되어 수평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이송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된 작물이 수직되게 세워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작물세움홀더(421)가 형성된 이식몸체(420)와, 이식몸체(42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이식몸체(420)가 두둑(B)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30)과, 복수개의 이식몸체(420)가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두둑(B)의 폭방향으로 작물의 이식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40)과, 이식몸체(420)의 하부에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어 작물세홈홀더를 지나 하방으로 배출된 작물을 공급받아 두둑(B)에 설정된 깊이로 이식하도록 형성된 이식호퍼(4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의 간격조절수단(440)은 복수개의 이식몸체(4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식몸체(420)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오므려지거나 펼쳐지는 관절 구조로 형성된 간격조절프레임(441)과, 복수개의 이식몸체(420)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이식몸체(420)에 두둑(B)의 폭방향으로 양 끝단이 각각 설치되어 복수개의 이식몸체(420)가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간격조절실린더(442)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간격조절실린더(442)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간격조절프레임(441)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이식몸체(420)가 가이드레일(430)을 따라 이동하며 동일한 간격으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이식몸체(420)와 이식호퍼(450)가 간격조절수단(44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동안에는 연결브라켓(410)을 매개로 설치된 이송컨베이어(310)의 일측 끝단부 역시 간격이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10)의 일측 끝단부 간격이 조절되는 경우에는 이송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되는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이송컨베이어(310)의 장력이 변화하게 되므로, 작물이송부(300)에는 이송컨베이어(310)가 항시 작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수단(3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력조절수단(3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10)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벨트(311)와 하측에 위치한 하부벨트(312) 사이에 이식모듈(10)의 횡방향으로 끼워지게 설치되는 장력조절지지바(341)와, 장력조절지지바(341)의 하부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는 장력조절스프링(342)과, 장력조절스프링(34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하부벨트(312)의 내면에 지지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310)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장력조절롤러(343)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물이식장치는 주행수단(20)의 일측에 두둑(B)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두둑높이감지부(500)와, 작물이식부(400)에 의해 작물의 이식 깊이가 조절되도록 이식모듈(10)을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600)과, 두둑높이감지부(50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작물이식부(400)의 높이와 비교 분석한 값을 통해 이식모듈(10)의 승하강 높이가 조절되도록 높이조절수단(600)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둑높이감지부(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수단(20)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프레임(5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프레임(520)과, 회동프레임(52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두둑(B)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롤러(530)와, 두둑(B)의 높이에 따라 회동프레임(5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된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하는 회전센서(540)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높이조절수단(600)은 주행수단(20)의 상측에 설치된 높이조절실린더(610)에 의해 'X'자 형태로 회동되게 연결된 높이조절프레임(620)의 양측 끝단부 각각이 이식모듈(10)의 하면과 주행수단(2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오므려지거나 펼쳐지며 높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물 이식 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둑(B)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위치한 고랑(A)을 따라 주행수단(20)이 이동하는 동안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작물이 식생된 포트(110)가 포트이송부(100)에 공급되면, 포트이송부(100)는 작물취출부(200) 측으로 포트(110)를 이송시키고, 작물취출부(200)는 설정된 위치로 이송된 포트(110)에서 포트(1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작물을 행단위 즉 횡방향으로 일시에 인출하여 작물이송부(300)에 공급한다.
작물이송부(300)는 작물취출부(200)에 의해 행단위로 공급된 작물을 각각의 이송컨베이어(310)로 이송시켜 이송컨베이어(310)와 동일한 개수의 이송몸체가 설치된 작물이송부(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10)의 일측 끝단부로 이송된 작물은 작물세움홀더(421)로 낙하하여 수직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하방으로 배출되고, 작물세움홀더(421)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 작물은 작물세움홀더(421)의 하부에 위치되게 상향 회동된 이식호퍼(450)에 공급된 수직되게 세워진 상태로 공급되며, 이식호퍼(450)에 작물이 공급되면 하향 회동하여 두둑(B)에 설정된 깊이로 작물을 이식하게 된다.
여기서 작물이송부(300)는 칸막이(32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작물취출부(200)에서 인출된 작물이 하나씩 공급되므로, 작물이식부(400)에 복수개의 작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물이송부(300)가 작물이식부(40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작물이 이송컨베이어(31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송컨베이어(310)는 일측 끝단부에 설치된 작물감지센서(330)의 작물 감지유무에 따라 이송컨베이어(310)의 이송속도가 조절되는 것이므로, 설령 포트(110)에서 작물이 인출되지 못하거나 또는 제대로 자라지 못한 작물을 포트(110)에서 미리 인출한 경우에도, 작물이식부(400)에는 동일한 속도로 균일하게 작물이 공급되어 두둑(B)의 폭방향에 빠짐없이 작물이 이식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작물이 이식되지 않는 부분을 수작업으로 이식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작물이식부(400)를 이루는 복수개의 이식몸체(420) 및 이식호퍼(450)는 간격조절수단(440)에 의해 이식모듈(10)의 횡방향을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므로, 작물의 종류 및 두둑(B)의 폭에 따라 작물이 폭방향으로 이식되는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복수개의 이식몸체(420) 및 이식호퍼(450)가 간격조절수단(44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어 작물이송부(300)의 이송길이가 가변된 경우에도, 작물이송부(300)에 설치된 장력조절수단(340)을 통해 각각의 이송컨베이어(310)가 모두 적정 장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송컨베이어(310)의 끝단부 간격이 간격조절수단(440)에 의해 변하더라도 항상 원활하게 작물을 작물이식부(400)에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식몸체(420) 및 이식호퍼(450)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조절되면 이송컨베이어(310)의 길이는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장력조절스프링(342)이 가압되어 하부벨트(312)가 상부벨트(311)와 수평에 가깝게 폭이 좁아진 상태가 되면서 적정 장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이식몸체(420) 및 이식호퍼(450)의 간격이 가까워지도록 조절되면 이송컨베이어(310)의 길이는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장력조절스프링(342)에 의해 하부벨트(312)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태가 되면서 적정 장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는 두둑높이감지부(500)를 이루는 회전롤러(530)가 자중에 의해 두둑(B)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다가, 두둑(B)의 높이가 변화함에 따라 회전롤러(530) 및 회전롤러(530)가 결합된 회동프레임(5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동프레임(520)의 회전각도를 회전센서(540)가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하고, 제어부(700)는 회전센서(540)에서 전달받은 정보와 이식호퍼(450)를 통해 작물이 이식될 수 있는 높이를 비교 분석하여 이식모듈(10)이 승하강 되도록 높이조절수단(600)을 제어함으로써, 두둑(B)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더라도 항상 일정한 깊이로 작물을 이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의 두둑높이감지부(500)와 높이조절수단(600)을 주행수단(20)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구비한 경우에는 이식모듈(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두둑(B)의 좌측 고랑(A)과 우측 고랑(A)의 깊이가 다른 경우에도 좌측에서 설치된 높이조절수단(600)과 우측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600)을 서로 다른 높이로 승하강시켜 이식모듈(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두둑(B)에 이식되는 작물이 비스듬하게 이식되어 쓰러지거나 제대로 이식되지 못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이식 장치는 동력에 의해 고랑(A)을 이동하는 주행수단(2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트(110)에서 식생된 작물을 신속하게 취출하여 이식할 수 있고, 취출된 식물이 이식되는 폭을 두둑(B)의 폭과 이식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두둑(B)의 높이에 따라 작물의 이식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한 상태로 신속하게 작물의 이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 고랑 B : 두둑
10 : 이식모듈 20 : 주행수단
100 : 포트이송부 110 : 포트
200 : 작물취출부
300 : 작물이송부 310 : 이송컨베이어
311 : 상부벨트 312 : 하부벨트
320 : 칸막이 330 : 작물감지센서
340 : 장력조절수단 341 : 장력조절지지바
342 : 장력조절스프링 343 : 장력조절롤러
400 : 작물이식부 410 : 연결브라켓
420 : 이식몸체 421 : 작물세움홀더
430 : 가이드레일 440 : 간격조절수단
441 : 간격조절프레임 442 : 간격조절실린더
450 : 이식호퍼
500 : 두둑높이감지부 510 : 지지프레임
520 : 회동프레임 530 : 회전롤러
540 : 회전센서
600 : 높이조절수단 610 : 높이조절실린더
620 : 높이조절프레임
700 : 제어부

Claims (7)

  1. 동력에 의해 고랑(A)을 주행하는 주행수단(2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트(110)의 수용공간에 식생된 작물을 두둑(B)에 이식하도록 형성된 이식모듈(10)을 갖는 작물 이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식모듈(10)은 식생된 작물이 수용된 포트(110)를 공급받아 이송하도록 설치된 포트이송부(100)와,
    상기 포트이송부(100)에 이송중인 포트(110)에서 행 단위로 작물을 빼내어 하방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작물취출부(200)와,
    상기 작물취출부(200)에서 취출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두둑(B)의 폭방향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310)가 복수개 설치된 작물이송부(300)와,
    상기 작물이송부(30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된 작물을 각각 공급받아 두둑(B)의 폭방향으로 작물을 이식하도록 형성된 작물이식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이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이식부(40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10) 각각의 끝단부에 연결브라켓(410)을 매개로 설치되어 수평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이송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된 작물이 세워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작물세움홀더(421)가 형성된 이식몸체(420)와, 상기 이식몸체(42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이식몸체(420)가 두둑(B)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레일(430)과, 복수개의 상기 이식몸체(420)가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두둑(B)의 폭방향으로 작물의 이식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간격조절수단(440)과, 상기 이식몸체(420)의 하부에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물세홈홀더를 지나 하방으로 배출된 작물을 공급받아 두둑(B)에 설정된 깊이로 이식하도록 형성된 이식호퍼(4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이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440)은 복수개의 이식몸체(4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식몸체(420)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오므려지거나 펼쳐지는 관절 구조로 형성된 간격조절프레임(441)과, 복수개의 상기 이식몸체(420)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이식몸체(420)에 두둑(B)의 폭방향으로 양 끝단이 각각 설치되어 복수개의 이식몸체(420)가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간격조절실린더(4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이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이송부(300)는 이송컨베이어(310)의 외면에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칸막이(320)가 설치되어 상기 작물취출부(200)에서 공급된 작물이 상기 이송컨베이어(310)의 이송방향을 따라 개별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이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이송부(300)에는 작물이식부(400)에 작물이 공급되기에 앞서 이송컨베이어(310)에 의해 작물이 이송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작물감지센서(3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이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이송부(300)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31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31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3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340)은 이송컨베이어(310)를 이루는 상부벨트(311)와 하부벨트(312) 사이에 상기 이식모듈(10)의 횡방향으로 끼워지게 설치되는 장력조절지지바(341)와, 상기 장력조절지지바(341)의 하부에 탄성 지지되게 설치되는 장력조절스프링(342)과, 상기 장력조절스프링(34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벨트(312)의 내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이송컨베이어(310)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장력조절롤러(343)로 구성된 것을 작물 이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이식장치는 주행수단(20)의 일측에 두둑(B)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두둑높이감지부(500)와, 상기 작물이식부(400)에 의해 작물이 이식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이식모듈(10)을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600)과, 상기 두둑높이감지부(50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작물이식부(400)의 높이와 비교 분석한 값을 통해 상기 이식모듈(10)의 승하강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높이조절수단(600)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두둑높이감지부(500)는 주행수단(20)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프레임(5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프레임(520)과, 상기 회동프레임(52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두둑(B)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롤러(530)와, 두둑(B)의 높이에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5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된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하는 회전센서(5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600)은 주행수단(20)의 상측에 설치된 높이조절실린더(610)에 의해 'X'자 형태로 연결된 높이조절프레임(620)의 양측 끝단부가 각각 상기 이식모듈(10)의 하면과 주행수단(2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오므려지거나 펼쳐지며 높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이식 장치.
KR1020170171613A 2017-12-13 2017-12-13 작물 이식 장치 KR10204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13A KR102041505B1 (ko) 2017-12-13 2017-12-13 작물 이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13A KR102041505B1 (ko) 2017-12-13 2017-12-13 작물 이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763A true KR20190070763A (ko) 2019-06-21
KR102041505B1 KR102041505B1 (ko) 2019-11-06

Family

ID=6705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613A KR102041505B1 (ko) 2017-12-13 2017-12-13 작물 이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0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583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80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76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식 생분해성 포트 전방 식부장치
KR20210008582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84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78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KR20210008586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79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20078057A (ko) * 2020-12-03 2022-06-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벨트배종장치를 구비한 인삼 직파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4823U (ja) * 1984-04-09 1985-11-01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苗送り装置
JPH06217619A (ja) * 1993-01-25 1994-08-09 Kubota Corp 移植機の苗送り装置
JPH0713104U (ja) * 1993-08-04 1995-03-0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H0919206A (ja) * 1995-07-06 1997-01-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苗移植機
KR100433440B1 (ko) * 2002-01-16 2004-05-27 정한택 양파이식기
KR20110004532U (ko) 2009-10-30 2011-05-09 문태익 식물 이식장치
JP2011147361A (ja) * 2010-01-19 2011-08-04 Iseki & Co Ltd 移植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4823U (ja) * 1984-04-09 1985-11-01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の苗送り装置
JPH06217619A (ja) * 1993-01-25 1994-08-09 Kubota Corp 移植機の苗送り装置
JPH0713104U (ja) * 1993-08-04 1995-03-0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H0919206A (ja) * 1995-07-06 1997-01-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苗移植機
KR100433440B1 (ko) * 2002-01-16 2004-05-27 정한택 양파이식기
KR20110004532U (ko) 2009-10-30 2011-05-09 문태익 식물 이식장치
JP2011147361A (ja) * 2010-01-19 2011-08-04 Iseki & Co Ltd 移植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583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80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76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식 생분해성 포트 전방 식부장치
KR20210008582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84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78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KR20210008586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10008579A (ko) * 2019-07-15 2021-01-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식기
KR20220078057A (ko) * 2020-12-03 2022-06-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벨트배종장치를 구비한 인삼 직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05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0763A (ko) 작물 이식 장치
US20150342112A1 (en) Independently automated mechanical transplanter
US10772271B2 (en) Rapid transplanting system
EP11236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harves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particular fruit
KR200472722Y1 (ko)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
EP0569803B1 (en) Machine of the type placed on the ground for transplanting a series of potted seedlings
US9743577B1 (en) Planter for rhizomes and the like
US20200170201A1 (en) Device for conveying mushrooms
KR20070093944A (ko) 감자 파종기
KR20180042609A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843697B1 (ko) 육묘상자 적재장치
WO202115918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odder
EP3826452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apparatuses therefor
EP1397034B1 (en) Device for placing plant matter onto or in a bed
KR101423992B1 (ko) 수경재배판 및 이를 적용한 수경재배 시스템
KR101711058B1 (ko) 새싹보리 재배장치 및 이의 재배방법
JPH07147857A (ja) 株間隔調整式移植装置およびその操作方法および栽培パネル
KR20190053069A (ko)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101627435B1 (ko) 육묘판에 흙을 공급하는 흙 자동 공급장치
JPH07147855A (ja) カップ栽培用定植装置および栽培カップ
CN210130100U (zh) 高速插秧机
JP2717626B2 (ja) 多条連続集合鉢体苗移植機
KR101945853B1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240114823A1 (en) Planting device with adjustable planting depth
KR20190036674A (ko) 병목해소장치와 절단장치가 구비된 감자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