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532U - 식물 이식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532U
KR20110004532U KR2020090014153U KR20090014153U KR20110004532U KR 20110004532 U KR20110004532 U KR 20110004532U KR 2020090014153 U KR2020090014153 U KR 2020090014153U KR 20090014153 U KR20090014153 U KR 20090014153U KR 20110004532 U KR20110004532 U KR 201100045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ing
bevel gear
coupled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태익
Original Assignee
문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태익 filed Critical 문태익
Priority to KR2020090014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532U/ko
Publication of KR20110004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28Construction of wheels; methods of assembling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는, 복수의 주행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복수의 주행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주행축, 주행축을 일정 각도씩 정회전시켜 메인 프레임을 전진시키기 위해 메인 프레임에 주행축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간헐주행 유닛, 모종 또는 종자를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이식 유닛 및 주행축이 연결된 주행륜과 메인 프레임의 주행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되는 다른 주행륜 사이의 동력 전달을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수단은, 주행축에 결합되는 제 1 베벨 기어, 제 1 베벨 기어와 치합되는 제 2 베벨 기어, 일단에 제 2 베벨 기어가 결합되는 연결축, 연결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3 베벨 기어 및 제 3 베벨 기어와 치합되도록 다른 주행륜과 결합되는 제 4 베벨 기어를 갖는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는 넓은 재배지에 식물의 모종이나 종자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고, 주행 방향을 따라 전후에 배치되는 두 주행륜이 복수의 베벨 기어 및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모든 주행륜이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이식장치{APPARATUS FOR TRANSPLANTING PLANTS}
본 고안은 식물 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 화훼 작물, 산림 작물 등 각종 식물의 종자나 모종을 반자동으로 재배지에 이식할 수 있는 농작물 이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은 발아 성공률을 높이고 재배지로 옮겨 심기 전까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모종판에 파종하여 발아시킨 후 재배지로 이식한다. 이러한 이식작업을 수작업으로 하게 되면, 작업자가 다량의 모종을 일일이 손으로 옮겨 심어야 하기 때문에, 긴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고 작업 중 부주의에 의해 모종이 파손되기 쉽다.
또한, 마늘과 같이 종자를 수작업으로 재배지에 파종하게 되면, 작업자가 종자를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재배지에 구덩이를 마련하고, 종자를 구덩이에 넣은 후 구덩이를 흙으로 덮는 작업을 수없이 되풀이해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동력이 많이 요구되는 작업은 농가의 커다란 부담이 된다.
최근에는 모종의 이식 작업이나 종자의 파종 작업을 사람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이식장치나 파종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기능 향상과 단가 하락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식물의 모종 이식 및 다양한 종자의 파종을 반자동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물 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주행을 위한 복수의 주행륜이 함께 연동하여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식물 이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는, 복수의 주행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복수의 주행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주행축, 상기 주행축을 일정 각도씩 정회전시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전진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주행축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간헐주행 유닛, 모종 또는 종자를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이식 유닛, 상기 주행축이 연결된 주행륜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주행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되는 다른 주행륜 사이의 동력 전달을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식 유닛은, 상기 모종 또는 종자를 파지하는 복수의 호퍼, 상기 모종 또는 종자 의 적어도 일부를 땅속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각 호퍼의 적어도 일부가 땅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호퍼를 승강시키는 호퍼 승강장치를 갖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주행축에 결합되는 제 1 베벨 기어, 상기 제 1 베벨 기어와 치합되는 제 2 베벨 기어, 일단에 상기 제 2 베벨 기어가 결합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3 베벨 기어 및 상기 제 3 베벨 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다른 주행륜과 결합되는 제 4 베벨 기어를 갖는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는 넓은 재배지에 식물의 모종이나 종자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를 이용하면 한두 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식물의 이식 작업이 가능하므로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는 주행 방향을 따라 전후에 배치되는 두 주행륜이 복수의 베벨 기어 및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모든 주행륜이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100)는, 복수의 주행륜(210)(220)이 설치된 메인 프레임(200), 메인 프레임(20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300), 서브 프레임(300)을 승강시키기 위한 높이조절 장치(240), 모종이나 종자를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이식 유닛(400), 재배지에 이식된 모종이나 종자를 흙으로 덮기 위한 복수의 복토륜(500), 복수의 주행륜(210)을 일정 각도씩 정회전시키기 위한 간헐주행 유닛(600), 이식 유닛(400) 및 간헐주행 유닛(60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구동원(700), 구동원(7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복수의 주행륜(210)을 역회전시키기 위한 연속주행 유닛(8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정회전은 주행륜(210)이 식물 이식장치(100)를 전진시키는 방향의 회전을 나타내고, 역회전은 주행륜(210)이 식물 이식장치(200)를 후진시키는 방향의 회전을 나타낸다.
메인 프레임(200)에는 전방 쪽에 한 쌍의 주행륜(210)과 후방 쪽에 한 쌍 주행륜(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주행륜(210)은 간헐주행 유닛(600) 또는 연속주행 유닛(8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주행축(260)(270)과 각각 연결된다.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주행륜(220)은 전방에 배치되는 주행륜(210)과 각각 연결축(281)으로 연결된다. 메인 프레임(200)의 후방 쪽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의잔(230)가 마련된다.
서브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20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메인 프레임(200)에는 서브 프레임(3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높이조절 장치(240)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높이조절 장치(240)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메인 프레임(200)에 마련되는 프레임 지지대(25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241), 슬라이더(241)에 결합되는 너트 부재(242), 너트 부재(242)와 나사 결합되도록 메인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축(244), 스크류 축(244)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244)을 포함한다. 스크류 축(244)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사용자가 핸들(244)을 돌리면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 축(244)이 회전하면 너트 부재(242) 및 슬라이더(241)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서브 프레임(300)은 한 쌍의 슬라이더(241)에 결합되며, 한 쌍의 슬라이더(241)가 승강할 때 이와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서브 프레임(300)에는 이식 유닛(400), 복수의 복토륜(500), 간헐주행 유닛(600), 구동원(700) 및 연속주행 유닛(800)이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3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식물의 모종이나 종자가 이식되는 지면의 높이에 따라 이식 유닛(400), 복수의 복토륜(500), 간헐주행 유닛(600), 구동원(700) 및 연속주행 유닛(80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식 유닛(400) 및 간헐주행 유닛(600)은 하나의 구동원(7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작동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원(700)은 벨트(710)를 통 해 감속기(730)에 연결되는 메인 동력 전달축(720)과 연결된다. 감속기(730)는 체인(731)을 통해 서브 동력 전달축(74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서브 동력 전달축(740)은 또다른 체인(735)(745)을 통해 이식 유닛(400)의 호퍼 구동장치(410) 및 간헐주행 유닛(600)의 디스크 회전장치(654)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호퍼 구동장치(410)는 감속기(7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식 유닛(400)의 호퍼 작동축(420)을 회전시키고, 디스크 회전장치(654)는 감속기(7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간헐주행 유닛(600)의 구동 디스크(653)를 회전시킨다. 도면에 자세히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호퍼 구동장치(410)와 디스크 회전장치(654)는 각각 입력축 및 출력축을 갖는 기어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 및 클러치 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호퍼 구동장치(410)의 클러치 장치는 호퍼 구동장치(410)의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고, 디스크 회전장치(654)의 클러치 장치는 디스크 회전장치(654)의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속한다. 그리고 호퍼 구동장치(410)의 클러치 장치에는 메인 작동 레버(750)와 연결되는 연결 링크(751)가 결합되고, 디스크 회전장치(654)의 클러치 장치에는 서브 작동 레버(760)가 결합된다. 연결 링크(751)와 서브 작동 레버(760)는 각각 스프링(752)(761)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연결 링크(751)에 연결되는 스프링(752)은 연결 링크(751)에 탄성력을 가해 연결 링크(751)를 호퍼 구동장치(410)의 동력 전달이 끊기는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연결 링크(751)에 스프링(752)의 탄성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져 연결 링 크(751)가 회전하면 연결 링크(751)의 동작에 연동하여 호퍼 구동장치(410)의 클러치 장치가 작동하여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연결 링크(751)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연결 링크(751)가 스프링(752)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클러치 장치가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동력 전달을 끊는다. 이러한 호퍼 구동장치(410)의 클러치 장치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작동 레버(760)에 연결되는 스프링(761)은 서브 작동 레버(760)에 탄성력을 가해 서브 작동 레버(760)를 디스크 회전장치(654)의 동력 전달이 끊기는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서브 작동 레버(760)에 외력이 가해져 서브 작동 레버(760)가 회전하면 디스크 회전장치(654)의 클러치 장치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서브 작동 레버(760)가 스프링(76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면 클러치 장치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동력 전달을 끊는다. 이러한 디스크 회전장치(654)의 클러치 장치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호퍼 구동장치(410)에 연결된 연결 링크(751)는 사용자가 메인 작동 레버(75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작동하고, 디스크 회전장치(654)에 연결된 서브 작동 레버(760)는 호퍼 구동장치(410)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한다. 서브 작동 레버(760)는 연결 레버(762) 및 연결 와이어(763)를 통해 호퍼 구동장치(410)에 연결되는 호퍼 작동축(420)과 연결된다.
연결 레버(762)는 서브 프레임(300)에 힌지 결합되며, 호퍼 작동축(420)의 일측에 결합된 레버 작동 캠(764)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호퍼 구동장치(410)가 작동하여 호퍼 작동축(420)이 회전하면 레버 작동 캠(764)이 연결 레버(762)를 회전시킨다. 연결 레버(762)가 회전하면 연결 와이어(763)가 당겨지면서 서브 작동 레버(760)를 당기고 이에 의해 디스크 회전장치(654)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식 유닛(400)에 의한 식물의 이식 동작과 간헐주행 유닛(600)에 의한 간헐주행 동작은 서로 연동하여 시간차를 두고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구동원(700)의 동력을 이식 유닛(400) 및 간헐주행 유닛(6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는 도시되고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식 유닛(400) 및 간헐주행 유닛(600)은 도시된 것 이외에 기어, 체인, 벨트, 링크 등 다양한 동력 전달기구를 통해 하나의 구동원(7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이식 유닛(400)에 의한 식물의 이식 동작과 간헐주행 유닛(600)에 의한 간헐주행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도시되고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호퍼 구동장치(410)와 디스크 회전장치(654)를 연결하는 연결 레버(762), 연결 와이어(763), 레버 작동 캠(764)은 다른 기계적 또는 전자적 연동기구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회전장치(654)가 먼저 작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호퍼 구동장치(410)가 작동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식 유닛(400)은, 호퍼 구동장치(410), 호퍼 구동장치(410)에 결합된 호퍼 작동축(420), 호퍼 승강장치(430), 호퍼 개폐장치(450) 및 복수의 호퍼(460)를 포함한다. 호퍼 구동장치(410)가 작동하 여 호퍼 작동축(420)이 회전하면, 호퍼 작동축(4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호퍼 승강장치(430) 및 호퍼 개폐장치(450)가 작동함으로써 복수의 호퍼(460)가 승강 및 개폐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호퍼(460)는 한 쌍의 파지 부재(461)(462)로 이루어지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모양을 갖는다. 이러한 호퍼(460)는 상부는 항상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한 쌍의 파지 부재(461)(462)의 회전에 의해 개폐된다. 제 1 파지 부재(461) 및 제 2 파지 부재(462)는 호퍼 지지부재(4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호퍼 개폐장치(450)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각각의 하단부가 모아지거나 벌어진다. 제 1 파지 부재(461) 및 제 2 파지 부재(462) 각각에는 힌지 결합부(463)(465) 및 스프링 결합부(464)(466)가 마련된다. 각각의 힌지 결합부(463)(465)는 힌지 핀(471)에 의해 호퍼 지지부재(470)에 힌지 결합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호퍼 개폐장치(450)는 제 1 파지 부재(461)의 스프링 결합부(464)를 가압하는 캠 돌기(451), 캠 돌기(451)를 작동시키는 제 1 호퍼 개폐기어(452), 제 1 호퍼 개폐기어(452)와 기어 연결되는 제 2 호퍼 개폐기어(453), 각 스프링 결합부(464)(466) 사이에 개재되어 각 스프링 결합부(464)(466)에 대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54)을 포함한다. 캠 돌기(451)는 호퍼 지지부재(470)와 결합된 캠 하우징(472)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호퍼 개폐기어(452)는 캠 하우징(47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호퍼 개폐기어(453)는 호퍼 승강장치(430)의 호퍼 연결축(434)에 결합된다.
호퍼 연결축(434)이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제 2 호퍼 개폐기어(453)가 회전하고, 제 2 호퍼 개폐기어(453)와 기어 연결된 제 1 호퍼 개폐기어(452)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호퍼 개폐기어(452)가 회전하면 캠 하우징(472) 내부에 설치되는 캠 기구(미도시)가 작동하여 캠 돌기(451)가 움직인다. 캠 돌기(451)가 전진하여 제 1 파지 부재(461)의 스프링 결합부(464)를 가압하면 제 1 파지 부재(461) 및 제 2 파지 부재(462)가 회전하면서 벌어진다. 캠 돌기(451)에 대한 제 1 호퍼 개폐기어(452)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454)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파지 부재(461) 및 제 2 파지 부재(462)가 회전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호퍼 승강장치(430)는, 호퍼 작동축(420)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형 기어박스(431), 각 고정형 기어박스(4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형 기어박스(432), 각 회전형 기어박스(4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 링크(433), 회전 링크(433)에 결합되는 호퍼 연결축(434), 호퍼 연결축(434)과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 지지부재(435), 각 롤러 지지부재(435)에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436), 한 쌍의 롤러 지지부재(435)에 의해 지지되는 호퍼 지지대(437), 호퍼 지지대(437)에 결합되고 복수의 캠 하우징(472)과 결합되는 복수의 호퍼 연결부재(438)를 포함한다.
한 쌍의 롤러(436)는 서브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9)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호퍼 연결축(434)과 롤러 지지부재(435)의 사이에는 베어링(440)이 배치되고, 호퍼 연결축(434)과 호퍼 연결부재(438)의 사이에도 베어링(441)이 배치된다.
고정형 기어박스(431)는 서브 프레임(300)에 고정되고, 고정형 기어박스(431)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된다. 고정형 기어박스(431)의 입력부(442)는 호퍼 작동축(420)과 연결되고, 고정형 기어박스(431)의 출력부(443)는 회전형 기어박스(432)의 입력부(444)와 연결된다. 회전형 기어박스(432)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되고, 회전형 기어박스(432)의 출력부(445)는 회전 링크(433)와 연결된다. 따라서, 호퍼 작동축(420)의 회전력은 고정형 기어박스(431)를 통해 회전형 기어박스(432)로 전달된다. 고정형 기어박스(43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회전형 기어박스(432)는 입력부(444)를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 링크(433)를 회전시킨다.
회전형 기어박스(432) 및 회전 링크(433)가 회전하면 회전 링크(433)와 결합된 호퍼 연결축(434)이 움직이게 되는데, 호퍼 연결축(434)은 가이드 레일(439)에 결합된 롤러(43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움직임이 상하 방향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회전형 기어박스(432) 및 회전 링크(433)가 회전하면 호퍼 연결축(434)과 이와 연결된 구성 요소들이 가이드 레일(439)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회전형 기어박스(432) 및 회전 링크(433)가 회전할 때, 호퍼 연결축(434)이 회전하면서 호퍼 개폐장치(450)가 작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롤러(436)가 가이드 레일(439)의 상부에 위치할 때, 복수의 호퍼(460)는 그 하단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때 호퍼(460)는 이에 투입되는 모종이나 종자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롤러(436)가 가이드 레일(439)의 하부로 이 동하면, 호퍼(460)가 하강하여 호퍼(460)의 하단부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분이 땅속으로 파고들어 지면에 구덩이를 만든다. 그리고 호퍼(460)가 최대 하강위치에 도달하면 호퍼 개폐장치(450)에 의해 호퍼(460)의 하단부가 개방된다. 호퍼(460)의 적어도 일부분이 땅속으로 파고든 상태에서 호퍼(460)의 하단부가 벌어지면, 호퍼(460)에 수용되었던 모종이나 종자가 호퍼(460)에서 투출되어 호퍼(460)에 의해 마련된 구덩이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호퍼(460)의 구조, 호퍼(460)를 적어도 일부분이 땅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승강시키는 호퍼 승강장치(43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호퍼(460)의 하단부를 개폐시키는 호퍼 개폐장치(450)의 구조도 호퍼(46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모종이나 종자를 재배지에 이식하기 위한 이식 유닛(400)은 모종이나 종자를 파지하고 승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호퍼를 갖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식 유닛(400)의 후방에는 복수의 복토륜(500)이 설치된다. 복수의 복토륜(500)은 복수의 호퍼(460) 사이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호퍼(460)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땅속에 묻힌 모종이나 종자를 흙으로 덮는다. 즉, 복수의 복토륜(500)은 복수의 호퍼(460)에 의해 마련된 구덩이 주변의 흙을 구덩이 속으로 밀어넣는다.
간헐주행 유닛(600)은 구동원(7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주행륜(210)을 일정 각도씩 회전시킨다. 간헐주행 유닛(600)에 의한 간헐주행 동작과 이식 유닛(400)에 의한 식물의 이식 동작은 교번적으로 발생한다. 즉, 간헐주행 유닛(600) 은 식물 이식장치(100)를 일정 간격 이동시키고 정지시킨다. 식물 이식장치(100)가 정지하면 간헐주행 유닛(600)은 이식 유닛(400)에 의한 식물 이식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 다시 식물 이식장치(100)를 일정 간격 이동시킨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헐주행 유닛(600)은, 제 1 주행축(260)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래치디스크(620), 메인 래치디스크(620)와 결합되는 서브 래치디스크(630),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톱니(621)에 맞물리는 작동 래치(640), 작동 래치(640)를 움직여 메인 래치디스크(620)를 일정 각도씩 정회전시키는 래치 작동기구(650)를 포함한다.
메인 래치디스크(62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톱니(621)를 갖고, 서브 래치디스크(630)는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톱니(621)와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톱니(631)를 갖는다.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톱니(621)와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톱니(63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7에는 메인 래치디스크(620)와 서브 래치디스크(63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들은 함께 회전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간헐 회전체(610)를 구성한다. 메인 래치디스크(620) 및 서브 래치디스크(630) 각각에는 후술할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622)(632)가 각각 마련된다.
작동 래치(640)는 힌지 핀(641)에 의해 래치 지지부재(6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 래치(640)에는 래치 지지부재(625)에 결합된 스프링(642)이 결합된다. 이 스프링(642)은 작동 래치(640)에 대해 작동 래치(640)의 끝단이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래치 지지부재(625) 는 메인 래치디스크(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 래치디스크(620)와 래치 지지부재(625)의 사이에는 베어링(626)이 개재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래치 작동기구(650)는 작동 래치(640)와 함께 간헐 회전체(610)을 정회전시키는 정회전 장치(615)를 구성한다. 래치 작동기구(650)는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톱니(621)에 맞물린 작동 래치(640)를 움직여 메인 래치디스크(620)를 일정 각도씩 정회전시킨다. 래치 작동기구(650)는 래치 지지부재(625)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단이 래치 지지부재(6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암(651), 구동 암(651)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 암(651)과 결합되는 암 구동장치(652)를 포함한다. 암 구동장치(652)는 구동 암(651)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디스크(653) 및 구동 디스크(653)를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 회전장치(654)를 포함한다.
디스크 회전장치(654)가 작동하여 구동 디스크(653)가 회전하면 구동 암(651)이 폐곡선을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여 래치 지지부재(625)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시킨다. 구동 암(651)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구동 디스크(653) 쪽으로 당길 때, 작동 래치(640)가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톱니(621)에 맞물리며, 구동 암(651)의 작용력이 래치 지지부재(625) 및 작동 래치(640)를 통해 메인 래치디스크(620)에 전달된다. 이때, 메인 래치디스크(620)가 래치 지지부재(625)와 함께 일정 각도 정회전하게 된다.
한편, 구동 암(651)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구동 디스크(65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 때, 메인 래치디스크(620)는 그 톱니(621)가 역회전 방지 스토퍼(660) 에 맞물리며, 구동 암(651)의 작용력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통해 메인 래치디스크(620)에 전달되더라도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역회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메인 래치디스크(62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래치 지지부재(625)만 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작동 래치(640)는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톱니(621)에 걸리지 않고 톱니(621)를 타고 넘어간다.
그리고 다시 구동 암(651)이 작동 래치(640)를 당기면 메인 래치디스크(620)가 다시 톱니(621)의 간격만큼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래치디스크(620)에 마련되는 톱니(621)는 6개이므로, 구동 디스크(653)의 1회전에 의해 메인 래치디스크(620)는 60도씩 회전하게 된다. 물론, 메인 래치디스크(620)에 마련되는 톱니(62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식장치(100)의 이동 간격이 달려지게 된다.
역회전 방지 스토퍼(660)는 서브 프레임(300)에 고정되는 스토퍼 지지부재(6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역회전 방지 스토퍼(660)에는 스토퍼 지지부재(661)에 결합된 스프링(662)이 결합된다. 이 스프링(662)은 역회전 방지 스토퍼(660)에 대해 역회전 방지 스토퍼(660)의 끝단이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외주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역회전 방지 스토퍼(660)는 이식 위치로 이동한 식물 이식장치(100)가 의도되지 않은 힘에 의해 후진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 래치디스크(630)는 주행륜(210)과 연결되는 제 2 주행축(270)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메인 래치디스크(620)와 함께 일 정한 각도씩 회전하게 된다.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톱니(631)는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와 맞물린다.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는 서브 프레임(300)에 고정되는 스토퍼 지지부재(6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에는 스토퍼 지지부재(664)에 결합된 스프링(665)이 결합된다. 이 스프링(665)은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에 대해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의 끝단이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외주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는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톱니(631)에 맞물림으로써 서브 래치디스크(630) 및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정회전을 억제시키게 된다.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는 이식 위치로 이동한 식물 이식장치(100)가 의도되지 않은 힘에 의해 전진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의 일측에는 걸림해제 돌기(667)가 결합된다. 이 걸림해제 돌기(667)는 구동 암(651)에 결합되는 스토퍼 작동부재(668)와 함께 걸림해제 장치(666)를 구성한다. 구동 암(651) 및 작동 래치(640)가 래치 지지부재(625)를 당길 때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가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톱니(631)에 맞물려 있으면 메인 래치디스크(620)가 회전할 수 없다. 스토퍼 작동부재(668)는 구동 암(651)과 함께 움직이면서 구동 암(651)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구동 디스크(653) 쪽으로 당기는 동안 걸림해제 돌기(667)를 들어올려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가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톱니(631)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 암(651)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밀 때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는 서브 래치디스 크(630)의 톱니(631)에 다시 맞물리게 된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상술한 간헐주행 유닛(6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메인 래치디스크(620) 및 서브 래치디스크(630)가 각각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작동 래치(640)가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톱니(621)에 맞물려 구동 암(651)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당길 준비가 된 상태이다. 이때, 스토퍼 작동부재(668)가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를 들어올려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는 서브 래치디스크(630)에서 떨어진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 디스크(653)가 회전하면 구동 암(651)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구동 디스크(653) 쪽으로 당기기 시작한다. 이때, 메인 래치디스크(620)는 래치 지지부재(625)와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 암(651)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최대 당김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스토퍼 작동부재(668)가 하강하면서 정회전 방지 스토퍼(663)가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톱니(631)에 맞물리게 된다. 계속해서 구동 디스크(653)가 회전하면 구동 암(651)은 래치 지지부재(625)를 구동 디스크(65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도 8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 암(651)이 래치 지지부재(625)를 구동 디스크(65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 때, 역회전 방지 스토퍼(660)가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톱니(621)에 맞물려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역회전은 억제된다. 따라서, 메인 래치디스크(62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래치 지지부재(625)만 구동 암(651)에 의해 역회전하게 된다. 래치 지지부재(625)가 역회전할 때 작동 래치(640)는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다른 톱니(621) 쪽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래치 지지부재(625)가 최대 밀림 위치까지 이동하면 작동 래치(640)는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다른 톱니(621)와 맞물리고, 구동 디스크(653)는 정지한다. 그리고 구동 디스크(653)가 다시 1회전하면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메인 래치디스크(620) 및 주행축(610)이 메인 래치디스크(620)에 마련된 톱니(621)의 배치 각도만큼 정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간헐주행 유닛(600)은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간헐주행 유닛(600)은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을 일정 각도씩 정회전시킴으로써, 식물 이식장치(100)를 일정 간격씩 간헐 주행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간헐 회전체(61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간헐 회전체(610)를 일정 각도씩 정회전시키기 위한 정회전 장치(615)는 다른 구조나 다른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정회전 장치(615)의 변형예로 각종 기어 조립체, 링크 기구 등 구동원(700)의 동력을 간헐 회전체(610)로 전달하는 장치나, 모터 등 각종 액츄에이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은 전방에 배치되는 두 주행륜(210)에 각각 연결되며, 메인 래치디스크(620) 및 서브 래치디스크(630)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축(261)(271), 제 1 축(261)(271)과 제 1 유니버셜 조인트(262)(272)로 연결되는 제 2 축(263)(273), 제 2 축(263)(273)과 제 2 유 니버셜 조인트(264)(274)로 연결되는 주행륜 축(265)(275)을 포함한다. 주행륜 축(265)(275)은 한 쌍의 주행륜(210)에 각각 결합된다.
제 1 축(261)(271)에는 비원형부(266)(276)가 각각 마련된다. 제 1 축(261)(271)은 서브 프레임(300)에 설치된 각 베어링(268)(278)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주행축(260)의 제 1 축(261)과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사이 및 제 2 주행축(270)의 제 1 축(271)과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사이에는 각각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의 각 제 1 축(261)(271)이 제 1 유니버셜 조인트(262)(272), 제 2 축(263)(273) 및 제 2 유니버셜 조인트(264)(274)를 통해 각 주행륜 축(265)(275)에 연결됨으로써, 간헐주행 유닛(600) 또는 연속주행 유닛(800)에 의한 구동력이 각 주행륜(21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 1 주행축(260)의 제 1 축(261)과 주행륜 축(265)이 각각 제 1 유니버셜 조인트(262) 및 제 2 유니버셜 조인트(264)로 연결되는 제 2 축(263)을 통해 연결되므로 제 1 축(261)과 주행륜 축(265)이 동축 상에 놓이지 않더라도 제 1 축(261)의 회전력은 제 2 축(263)을 통해 주행륜 축(265)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주행축(270)의 제 1 축(271)과 주행륜 축(275)이 각각 제 1 유니버셜 조인트(272) 및 제 2 유니버셜 조인트(274)로 연결되는 제 2 축(273)을 통해 연결되므로 제 1 축(271)과 주행륜 축(275)이 동축 상에 놓이지 않더라도 제 1 축(271)의 회전력이 주행륜 축(275)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300)에 설치되는 간헐주행 유닛(600) 및 연속주행 유닛(800)의 높이가 조절 되더라도 간헐주행 유닛(600) 또는 연속주행 유닛(800)의 구동력은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을 통해 안정적으로 주행륜(210)에 전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각 주행축(260)(270)의 제 2 축(263)(273)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주행축(260)(270)의 제 1 축(261)(271)과 주행륜 축(265)(275)은 하나의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된다. 제 2 축(263)(273)이 생략되고 제 1 축(261)(271)과 주행륜 축(265)(275)이 하나의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더라도 제 1 축(261)(271)과 주행륜 축(265)(275)은 어느 정도의 높이 차 발생에도 동력 전달 가능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 각각의 주행륜 축(265)(275)의 끝단에는 제 1 베벨 기어(280)가 결합된다. 제 1 베벨 기어(280)는 연결축(281)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 2 베벨 기어(282)와 기어 연결된다. 연결축(281)의 타단에는 제 3 베벨 기어(283)가 결합되며, 제 3 베벨 기어(283)는 후방의 주행륜(220)과 연결되는 제 4 베벨 기어(284)와 기어 연결된다. 제 4 베벨 기어(284)는 후방의 주행륜(220)에 결합된 주행륜 축(225)의 끝단에 결합된다. 제 1 내지 제 4 베벨 기어(280)(282)(283)(284)와 연결축(281)은 전방의 주행륜(210)과 후방의 주행륜(220) 사이의 동력 전달을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의 작용으로 제 1 주행축(260)이 회전하여 전방의 주행륜(210)이 회전할 때, 이와 연동하여 후방의 주행륜(220)이 회전하게 된다. 전방의 각 주행륜 축(265)(275)의 끝단에는 두 베벨 기어(280)(282)를 수용하는 제 1 주행용 기어박스(285)가 배치되고, 후방의 주행륜 축(225)의 끝단에도 두 베벨 기 어(283)(284)를 수용하는 제 2 주행용 기어박스(286)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간헐주행 유닛(600) 및 연속주행 유닛(80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방의 주행륜(210)이 복수의 베벨 기어(280)(282)(283)(284) 및 연결축(281)을 통해 후방의 주행륜(220)과 연결됨으로써, 전방의 주행륜(210) 및 후방의 주행륜(220)은 동일한 회전 수 및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식물 이식장치(100)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의 주행륜(210)의 제 1 주행용 기어박스(285)의 내부에는 주행륜 축(26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87) 및 연결축(28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88)이 설치된다. 후방의 주행륜(220)의 제 2 주행용 기어박스(286)의 구조도 이와 유사한 것으로, 후방의 주행륜(220)의 제 2 주행용 기어박스(286) 내부에도 주행륜 축(225) 및 연결축(28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베어링이 설치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주행 유닛(800)은, 감속기(7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속 주행축(810), 연속 주행축(8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 1 연결 기어(812) 및 제 2 연결 기어(813), 제 1 연결 기어(812)와 기어 연결되는 제 1 회전체 기어(821), 제 1 회전체 기어(821)와 결합되고 제 1 주행축(2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연속 회전체(820), 제 2 연결 기어(813)와 기어 연결되는 제 2 회전체 기어(831), 제 2 회전체 기어(831)와 결합되고 제 2 주행축(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연속 회전체(830)를 포함한다.
연속 주행축(810)은 서브 프레임(300)에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8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속 주행축(810)에는 감속기(730)에 연결되는 체인(814)과 결합되는 스프로킷(811)이 결합되며, 연속 주행축(810)은 체인(814)을 통해 감속기(7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 1 연결 기어(812)는 연속 주행축(810)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어 연속 주행축(810)과 함께 회전하고, 제 2 연결 기어(813)는 연속 주행축(810)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연속 주행축(810)과 함께 회전한다.
제 1 연속 회전체(820)는 제 1 주행축(260)의 제 1 축(26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연속 회전체(820)의 일단에는 제 1 연결 기어(812)와 기어 연결되는 제 1 회전체 기어(821)가 결합되며, 연속 주행축(810)이 회전하면 제 1 연속 회전체(820)는 연속 주행축(81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1 연속 회전체(820)의 타단에는 후술할 제 1 커플러(851)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822)가 마련된다. 제 1 커플러(851)가 제 1 연속 회전체(820)의 연결부(822)에 결합되면, 제 1 연속 회전체(820)는 제 1 커플러(851)를 통해 제 1 주행축(260)과 연결되며, 이에 의해 제 1 주행축(260) 및 제 1 주행축(260)과 결합된 주행륜(210)이 회전하게 된다.
제 2 연속 회전체(830)는 제 2 주행축(270)의 제 1 축(27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연속 회전체(830)의 일단에는 제 2 연결 기어(813)와 기어 연결되는 제 2 회전체 기어(831)가 결합되며, 연속 주행축(810)이 회전하면 제 2 연속 회전체(830)는 연속 주행축(810)과 반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2 회전체 기어(831)의 타단에는 후술할 제 2 커플러(854)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832)가 마련된다. 제 2 커플러(854)가 제 2 연속 회전체(830)의 연결부(832)에 결합되면, 제 2 연속 회전체(830)는 제 2 커플러(854)를 통해 제 2 주행축(270)과 연결되며, 이에 의해 제 2 주행축(270) 및 제 2 주행축(270)과 결합된 주행륜(210)이 회전하게 된다.
제 1 연속 회전체(820)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로는 각종 베어링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제 1 연속 회전체(820)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는 중공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연속 회전체(820)와 제 1 주행축(260)의 사이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와 제 2 주행축(270)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속 주행축(810), 연결 기어(812)(813) 및 회전체 기어(821)(831)는 제 1 연속 회전체(820)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 장치(840)를 구성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이러한 역회전 장치(840)는 제 1 연속 회전체(820)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를 역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나 다른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역회전 장치의 변형예로 각종 기어 조립체, 링크 기구 등 구동원(700)의 동력을 각각의 연속 회전체(820)(830)로 전달하는 장치나, 모터 등 각종 액츄에이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래치디스크(620)와 제 1 주행축(260) 사이의 동력 전달과, 제 1 연속 회전체(820)과 제 1 주행축(260) 사이의 동력 전달, 그리고 서브 래치디스크(630)와 제 2 주행축(270) 사이의 동력 전달과, 제 2 연속 회전체(830)와 제 2 주행축(270) 사이의 동력 전달은 주행 클러치 장치(850)에 의해 단속된다. 주행 클러치 장치(850)는 클러치 작동기구(870)에 의해 작동된다.
주행 클러치 장치(850)는 제 1 주행축(260)의 비원형부(26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커플러(851), 제 1 커플러(85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커플러 작동체(860), 제 2 주행축(270)의 비원형부(27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커플러(854), 제 2 커플러(85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커플러 작동체(862)를 포함한다.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는 제 1 주행축(260)의 비원형부(266) 및 제 2 주행축(270)의 비원형부(276)에 각각 형합될 수 있도록 그 중앙이 뚫린 중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커플러(851)가 제 1 주행축(260)의 비원형부(266)에 형합됨으로써 제 1 커플러(851)는 제 1 주행축(260)에 대해 공회전하지 않고 제 1 주행축(26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커플러(854)는 제 2 주행축(270)에 대해 공회전하지 않고 제 2 주행축(27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 각각의 일단 및 타단에는 홈 형태의 제 1 커플링부(852)(855) 및 제 2 커플링부(853)(856)가 마련된다.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연결부(622)는 제 1 커플러(851)의 제 1 커플링부(852)와 형합될 수 있도록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제 1 연속 회전체(820)의 연결부(822)는 제 1 커플러(851)의 제 2 커플링부(853)와 형합될 수 있도록 돌기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연결부(632)는 제 2 커플러(854)의 제 1 커플링부(855)에 대응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제 2 연속 회전체(830)의 연결부(832)는 제 2 커플러(854)의 제 2 커플링부(856)에 대응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된다.
제 1 커플러 작동체(860)는 작동체 지지부재(8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 커플러(851)의 홈(857)에 삽입되는 가압 돌기(861)를 갖는다. 제 2 커플러 작동체(862)는 작동체 지지부재(8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커플러(854)의 홈(858)에 삽입되는 가압 돌기(863)를 갖는다. 각각의 작동체 지지부재(864)(865)는 서브 프레임(300)에 고정된다.
제 1 커플러(851)는 제 1 주행축(26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더라도 제 1 주행축(260)과 물리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 1 커플러(851)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제 1 주행축(260)과 제 1 커플러(851)는 함께 회전한다. 제 1 커플러 작동체(860)는 제 1 커플러(851)를 제 1 주행축(260)의 비원형부(266)를 따라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메인 래치디스크(620)와 제 1 커플러(851)를 연결시키거나 연결해제시키고, 제 1 연속 회전체(820)와 제 1 커플러(851)를 연결시키거나 연결해제시킨다.
마찬가지로, 제 2 커플러(854)는 제 2 주행축(27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더라도 제 2 주행축(270)과 물리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 2 커플러(854)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제 2 주행축(270)과 제 2 커플러(854)는 함께 회전한다. 제 2 커플러 작동체(862)는 제 2 커플러(854)를 제 2 주행축(270)의 비원형부(276)를 따라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서브 래치디스크(630)와 제 2 커플러(854)를 연결시키거나 연결해제시키고, 제 2 연속 회전체(830)와 제 2 커플러(854)를 연결시키거나 연결해제시킨다.
제 1 커플러 작동체(860)와 제 2 커플러 작동체(684)는 클러치 작동기 구(87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된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러치 작동기구(870)는 메인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조작 레버(871) 및 제 2 클러치 조작 레버(873), 각 클러치 조작 레버(871)(873)와 제 1 커플러 작동체(860) 및 제 2 커플러 작동체(862)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와이어(872) 및 제 2 연결 와이어(874)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 1 클러치 조작 레버(871)를 당기면, 제 1 커플러 작동체(860) 및 제 2 커플러 작동체(862)이 각각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를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연결부(622) 및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연결부(632)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메인 래치디스크(620) 및 서브 래치디스크(630)는 각각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를 통해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과 연결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 2 클러치 조작 레버(873)를 당기면, 제 1 커플러 작동체(860) 및 제 2 커플러 작동체(862)이 각각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를 제 1 연속 회전체(820)의 연결부(822)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의 연결부(832)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 1 연속 회전체(820)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는 각각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를 통해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과 연결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 1 커플러 작동체(860) 및 제 2 커플러 작동체(862)는 도시된 것과 같은 암(arm)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를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클러치 작동기구(870)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 1 커플러 작동체(860) 및 제 2 커플러 작동체(862)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2은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이 간헐주행 유닛(600)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제 1 클러치 조작 레버(871)를 조작하여 제 1 연결 와이어(872)를 당기면, 제 1 커플러 작동체(8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커플러 작동체(86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 1 커플러(851)는 메인 래치디스크(620)의 연결부(622)에 맞물리고, 제 2 커플러(854)는 서브 래치디스크(630)의 연결부(632)에 맞물린다. 이때,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은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를 통해 간헐주행 유닛(600)과 연결되며, 간헐주행 유닛(600)의 작용으로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과 이들 각각에 연결된 주행륜(210)이 일정 각도씩 정회전하게 된다.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이 간헐주행 유닛(600)과 연결될 때, 제 1 주행축(260) 또는 제 2 주행축(270)은 연속주행 유닛(800)의 작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감속기(730)의 동력이 연속 주행축(810)에 전달되어 제 1 연속 회전체(820)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가 회전하더라도, 제 1 연속 회전체(820)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는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에 대해 각각 공회전하게 된다.
도 13는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이 연속주행 유닛(800)과 연 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제 2 클러치 조작 레버(873)를 회전시켜 제 2 연결 와이어(874)를 당기면, 제 1 커플러 작동체(8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커플러 작동체(86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커플러(851)는 제 1 연속 회전체(820)의 연결부(822)에 결합되고 제 2 커플러(854)는 제 2 연속 회전체(830)의 연결부(832)에 결합된다. 이때, 연속 주행축(810)이 회전하면, 연속 주행축(810)의 회전력이 제 1 연결 기어(812) 및 제 1 회전체 기어(821)를 통해 제 1 연속 회전체(820)에 전달됨과 동시에, 제 2 연결 기어(813) 및 제 2 회전체 기어(831)를 통해 제 2 연속 회전체(830)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 1 연속 회전체(820)의 회전력은 제 1 커플러(851)를 통해 제 1 주행축(260)으로 전달되고, 제 2 연속 회전체(830)의 회전력은 제 2 커플러(854)를 통해 제 2 주행축(27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1 주행축(260)에 결합된 주행륜(210) 및 제 2 주행축(270)에 결합된 주행륜(210)은 연속 주행축(8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주행 클러치 장치(850)나 클러치 작동기구(870)는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을 간헐주행 유닛(600) 또는 연속주행 유닛(80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100)를 이용하여 재배지의 두둑(10)에 식물 모종(20)을 이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물 이식장치(100)를 이식 유닛(400)이 두둑(10) 위에 위치하도록 두둑(10)과 나란히 놓은 후, 제 1 클러치 조작 레버(871)를 조작하여 제 1 주행축(260)과 제 2 주행축(270)을 간헐주행 유닛(600)에 연결시키고, 구동원(700)을 작동시키면 이식 작업 준비가 완료된다. 이때, 구동원(700)의 구동력이 호퍼 구동장치(410) 및 디스크 회전장치(654)로 전달되지만, 호퍼 구동장치(410) 및 디스크 회전장치(654)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클러치 장치에 의해 호퍼 작동축(420)이나 구동 디스크(653)는 작동하지 않는다.
작업 준비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의자(230)에 탑승하여 모종(20)을 뿌리가 지면을 향하도록 복수의 호퍼(460)에 투입한다. 이후, 작업자가 메인 작동 레버(750)를 한번 당기면 호퍼 구동장치(410)가 동력을 출력하여 호퍼 작동축(420)이 회전하면서 호퍼 승강장치(430)가 작동한다.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호퍼 승강장치(430)가 작동하면 복수의 호퍼(460)가 하강하여 두둑(10)을 파고들어 구덩이를 만들면서 최대 하강 위치까지 하강한다. 호퍼(460)가 최대 하강 위치까지 하강하면 호퍼 개폐장치(450)가 작동하여 호퍼(460)의 하단부가 벌어진다. 이때, 호퍼(460)에 투입된 모종(20)의 뿌리가 구덩이 속으로 들어가고 호퍼(460)는 다시 상승하여 초기 위치 및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렇게 호퍼(460)가 하강하여 모종(20)을 두둑(10)에 이식하고 다시 상승할 때, 호퍼 작동축(420)에 결합된 레버 작동 캠(764), 레버 작동 캠(764)에 의해 회 전하는 연결 레버(762) 및 연결 레버(762)에 의해 당겨지는 연결 와이어(763)에 의해 서브 작동 레버(760)가 회전한다. 서브 작동 레버(760)가 회전하면 디스크 회전장치(654)가 구동력을 출력하여 구동 디스크(653)가 1회전 한다. 구동 디스크(653)가 1회전 하면, 간헐 회전체(610)에 연결된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이 일정 각도 회전한 후 정지한다.
이에 의해, 도 1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물 이식장치(100)는 일정 거리 전진한 후 정지한다. 식물 이식장치(100)가 전진할 때 이식 유닛(400)의 후방에 설치된 복수의 복토륜(500)이 두둑(10)에 접하여 이동하면서 모종(20)이 투입된 구덩이를 흙으로 덮는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복수의 호퍼(460)에 모종(20)을 투입하고 메인 작동 레버(750)를 다시 당기면, 도 1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식 유닛(400)이 작동하여 모종(20)을 두둑(10)에 이식한다. 작업자는 모종(20)을 호퍼(460)에 투입하고 메인 작동 레버(750)를 당기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모종(20)을 두둑(10)에 일정 간격으로 편리하게 이식할 수 있다.
한편, 제 1 클러치 조작 레버(871)를 조작하여 제 1 커플러 작동체(860) 및 제 2 커플러 작동체(862)에 대한 제 1 연결 와이어(872)의 가압력을 해제하고, 제 2 클러치 조작 레버(873)를 조작하면 제 1 커플러(851) 및 제 2 커플러(854)가 제 1 연속 회전체(820) 및 제 2 연속 회전체(830)에 각각 연결되면서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이 연속주행 유닛(800)과 연결된다. 이때, 제 1 주행축(260) 및 제 2 주행축(270)이 역회전하여 전방의 주행륜(210) 및 이와 연결된 후 방의 주행륜(220)이 역회전하면서 식물 이식장치(100)가 후방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식물 이식장치(100)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식물 이식장치(100)를 재배지의 다른 라인이나 다른 재배지, 또는 다른 곳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100)는 넓은 재배지에 모종이나 종자 등의 식물을 쉽고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고, 이동이 편리하며,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동력 전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이식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식 유닛의 호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간헐주행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간헐주행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간헐주행 유닛과 주행륜의 연결 구조 및 연속주행 유닛과 주행륜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행륜과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연속주행 유닛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간헐주행 유닛이 주행륜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연속주행 유닛이 주행 륜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물 이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물 이식장치 200 : 메인 프레임
210 : 주행륜 220 : 후륜
240 : 높이조절 장치 260, 270 : 제 1, 2 주행축
261, 271 : 제 1 축 262, 272 : 제 1 유니버셜 조인트
263, 273 : 제 2 축 264, 274 : 제 2 유니버셜 조인트
265, 275 : 주행륜 축
280, 282, 283, 284 : 제 1, 2, 3, 4 베벨 기어
281 : 연결축 300 : 서브 프레임
400 : 이식 유닛 410 : 호퍼 구동장치
420 : 호퍼 작동축 430 : 호퍼 승강장치
431 : 고정형 기어박스 432 : 회전형 기어박스
433 : 회전 링크 434 : 호퍼 연결축
435 : 롤러 지지부재 436 : 롤러
438 : 호퍼 연결부재 439 : 가이드 레일
450 : 호퍼 개폐장치 451 : 캠 돌기
452, 453 : 제 1, 2 호퍼 개폐기어 460 : 호퍼
500 : 복토륜 600 : 간헐주행 유닛
610 : 간헐 회전체 620 : 메인 래치디스크
621, 631 : 톱니 622, 632, 822, 832 : 연결부
625 : 래치 지지부재 630 : 서브 래치디스크
640 : 작동 래치 650 : 래치 작동기구
651 : 구동 암 652 : 암 구동장치
653 : 구동 디스크 654 : 디스크 회전장치
660 : 역회전 방지 스토퍼 663 : 정회전 방지 스토퍼
666 : 걸림해제 장치 700 : 구동원
720 : 메인 동력 전달축 730 : 감속기
740 : 서브 동력 전달축 750 : 메인 작동 레버
760 : 서브 작동 레버 762 : 연결 레버
764 : 레버 작동 캠 800 : 연속주행 유닛
810 : 이송력 전달축 812, 813 : 제 1, 2 연결 기어
820, 830 : 제 1, 2 연속 회전체 821, 831 : 제 1, 2 회전체 기어
850 : 주행 클러치 장치 851, 854 : 제 1, 2 커플러
852, 855 : 제 1 커플링부 853, 856 : 제 2 커플링부
860, 862 : 제 1, 2 커플러 작동체 870 : 클러치 작동기구
871, 873 : 제 1, 2 클러치 조작 레버
872, 874 : 제 1, 2 연결 와이어

Claims (4)

  1. 복수의 주행륜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복수의 주행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주행축;
    상기 주행축을 일정 각도씩 정회전시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전진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주행축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간헐주행 유닛;
    모종 또는 종자를 파지하는 복수의 호퍼, 상기 모종 또는 종자의 적어도 일부를 땅속으로 투입하기 위해 상기 각 호퍼의 적어도 일부가 땅속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호퍼를 승강시키는 호퍼 승강장치를 갖는 이식 유닛; 및
    상기 주행축이 연결된 주행륜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주행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되는 다른 주행륜 사이의 동력 전달을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주행축에 결합되는 제 1 베벨 기어, 상기 제 1 베벨 기어와 치합되는 제 2 베벨 기어, 일단에 상기 제 2 베벨 기어가 결합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3 베벨 기어 및 상기 제 3 베벨 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다른 주행륜과 결합되는 제 4 베벨 기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이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 2 베벨 기어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축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주행용 기어박스; 및
    상기 제 3 베벨 기어 및 상기 제 4 베벨 기어를 수용하고 상기 연결축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주행용 기어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이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축은, 상기 간헐주행 유닛과 연결되는 제 1 축, 상기 주행륜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베벨 기어가 결합되는 주행륜 축 및 상기 제 1 축과 상기 주행륜 축을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이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축은, 상기 간헐주행 유닛과 연결되는 제 1 축, 상기 주행륜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베벨 기어가 결합되는 주행륜, 상기 제 1 축과 상기 주행륜 축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축,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을 연결하는 제 1 유니버셜 조인트 및 상기 제 2 축과 상기 주행륜 축을 연결하는 제 2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이식장치.
KR2020090014153U 2009-10-30 2009-10-30 식물 이식장치 KR201100045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53U KR20110004532U (ko) 2009-10-30 2009-10-30 식물 이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153U KR20110004532U (ko) 2009-10-30 2009-10-30 식물 이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32U true KR20110004532U (ko) 2011-05-09

Family

ID=4423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153U KR20110004532U (ko) 2009-10-30 2009-10-30 식물 이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53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8835A (zh) * 2016-06-30 2016-11-09 程虎 一种多功能自动排淤泥的插秧机驱动装置
KR20170000715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영동농기계 마늘 파종기
KR20190070763A (ko) 2017-12-13 2019-06-21 주식회사 드림트리 작물 이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15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영동농기계 마늘 파종기
CN106068835A (zh) * 2016-06-30 2016-11-09 程虎 一种多功能自动排淤泥的插秧机驱动装置
KR20190070763A (ko) 2017-12-13 2019-06-21 주식회사 드림트리 작물 이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9284B (zh) 适于单行种植的全自动植树机器人
KR101176089B1 (ko) 식물 이식장치
US10004174B2 (en) Transplanter for a walk-behind tractor
KR101838723B1 (ko) 이식기용 호퍼 구동장치
JP4284394B2 (ja) 植穴形成装置
KR20110004532U (ko) 식물 이식장치
CN115349419A (zh) 一种农业园艺起苗装置及起苗方法
CN108012604B (zh) 马蹄笋种植装置
KR101021019B1 (ko) 종삼 이식기
KR20110004531U (ko) 식물 이식장치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JP4018043B2 (ja) 移植機
KR20160009809A (ko) 다목적 이식기
CN109479422A (zh) 全自动播种松土机
KR101905964B1 (ko) 이식 깊이 조절이 가능한 이식기
CN106489389B (zh) 移栽机的自动取苗装置
JP4018042B2 (ja) 移植機
JP4712058B2 (ja) 植穴形成装置
KR200472391Y1 (ko)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CN209659940U (zh) 一种用于侧向插秧的插秧机
KR101174419B1 (ko) 반자동 양파 정식기
CN106912231A (zh) 锥齿轮‑椭圆齿轮偏心轮摇杆组合式宽窄行移栽机构
JP4018041B2 (ja) 移植機の植付カップ駆動機構
CN102972133B (zh) 双行苗稀疏性可调的半自动插秧机
CN206533725U (zh) 一种锥齿轮‑椭圆齿轮偏心轮摇杆组合式宽窄行移栽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