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069A -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069A
KR20190053069A KR1020180017386A KR20180017386A KR20190053069A KR 20190053069 A KR20190053069 A KR 20190053069A KR 1020180017386 A KR1020180017386 A KR 1020180017386A KR 20180017386 A KR20180017386 A KR 20180017386A KR 20190053069 A KR20190053069 A KR 20190053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link
seedling
strawberry seedlings
ca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579B1 (ko
Inventor
하유신
김동민
오세운
허영훈
이언호
최준혁
최성욱
윤상일
정현철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5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종판 선반이 결합된 시설 재배 전용카트에 하부측이 개폐가능한 이식 호퍼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식 위치를 설정하고 이식하는 작업이 반자동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모종 이식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Strawberry Transplanter for Cultivation under Structure}
본 발명은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종판 선반이 결합된 시설 재배 전용카트에 하부측이 개폐가능한 이식 호퍼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식 위치를 설정하고 이식하는 작업이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모종 이식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딸기는 우수한 맛과 영양으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과일 중 하나로 매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 육묘장과 농가에서는 차년도 딸기생산을 위한 자묘 생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딸기는 씨앗으로 번식하는 다른 식물과 달리 어미묘(母苗)로부터 통상 '러너'(runner)로 불리는 줄기가 뻗어나와 지면에 뿌리를 내려 하나의 개체로 생장하는 방식으로 번식하고 있다. 그리고, 육묘 생산과정에서 번식된 자묘는 일정한 크기로 생장했을 때 저온상태로 보관된 후, 땅이나 수경재배용 용기에 옮겨심는 이식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식된 모종이 성장하여 과실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딸기는 노지재배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시설하우스나 온실 등을 이용하는 시설 재배가 주(主)를 이루고 있다. 시설 재배는 저연상태의 농경지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노지재배와는 달리 사람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만든 시설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환경을 조절하면서 작물을 재배하는 농법으로, 연중 생산이 가능하고 경지 이용률을 높일 수 있으며, 재배관리가 용이하고 출하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시설하우스 등의 시설을 이용하여 딸기를 재배하거나 노지에서 딸기를 재배할 때 딸기 모종을 이식하는 방법은 주로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작업자가 일일이 이식 위치를 조정하면서 딸기 모종을 이식하고 있으며, 딸기 모종을 작업자가 직접 들고 이동하면서 작업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노약자가 많은 농촌의 현실을 고려할 때 큰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딸기 모종을 자동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식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시설 내에서 딸기 모종을 자동으로 이식할 수 있는 이식기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88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44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6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딸기 모종의 이식 작업을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를 줄이고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되는 카드에 모종판을 적재함으로써 딸기 모종을 직접 들고다니는 수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식 호퍼를 하강시키면 호퍼 개폐수단에 의해 이식 호퍼가 개방되어 딸기 모종이 자동으로 이식되도록 한다.
또한, 이식 호퍼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레버와 모종판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평상시 이들을 제거하여 통상의 이송용 카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트 몸체를 승강 구조로 형성하여 노지 베드는 물론 고상 베드에서도 딸기 모종의 이식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식 호퍼에 딸기 모종을 전달하는 작업과 이식 호퍼를 승강 및 개폐시키는 작업을 자동화한다.
또한, 카트 몸체의 이동에 따라 모종 전달부 및 모종 이식부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는, 하부 모서리에 각각 바퀴가 설치되어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 몸체와; 다수의 딸기 모종이 구비되며 카트 몸체의 상측에 적재되는 모종판과; 하부의 개폐가 가능한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딸기 모종을 시설 재배용 베드에 이식하는 이식 호퍼와; 하단부에 설치된 이식 호퍼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카트 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조작레버와; 이식 호퍼를 개폐시키는 호퍼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식 호퍼는 승강조작레버의 하단부에 고정된 반원추 형상의 고정부와, 호퍼 개폐수단에 의해 회동하도록 고정부의 상단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반원추 형상의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식 호퍼는 힌지핀에 설치되어 회동부를 탄성 복원시키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의 상단과 회동부의 상단에 각각 경사부가 형성되어 회동부가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식 호퍼는 60도의 내각과 40도의 개방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호퍼 개폐수단은 프레임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과, 일단은 이식 호퍼의 회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판의 끝부분에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식 호퍼가 하강하면 회동부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조작레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가 카트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이식 호퍼가 카트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트 몸체는 바퀴에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과, 모종판이 설치된 테이블과 호퍼 및 호퍼 개폐수단이 구비되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는, 하부 모서리에 각각 바퀴가 설치되어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 몸체와; 하부의 개폐가 가능한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딸기 모종을 시설 재배용 베드에 이식하는 이식 호퍼와; 카트 몸체의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며 딸기 모종을 이식 호퍼로 공급하는 모종 전달부와; 사절 링크로 구성되어 이식 호퍼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이식 호퍼를 개폐시켜 시설 재배용 베드에 자동으로 이식하는 모종 이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전달부는 일정 간격으로 칸막이가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와, 바퀴축에 연결 설치된 전달부 구동풀리와,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달부 구동풀리에 벨트 연결된 전달부 종동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이식부는 이식 호퍼의 회동부 상단에 구비된 돌기에 회동링크로 연결된 작동링크와, 카트 몸체의 테이블 하부에 구비된 지지대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일측 단부가 제1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일측 단부는 제2링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작동링크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와, 바퀴축에 연결 설치된 이식부 구동풀리와, 작동링크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이식부 구동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링크의 작동에 의해 작동링크와 이식 호퍼가 승강되고 이식 호퍼가 개폐되도록 하는 이식부 종동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전달부와 모종 이식부 사이에 설치되어 이식 호퍼에 의해 이식된 딸기 모종의 식부 부분을 다져주는 복토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는 다수의 딸기 모종이 적재된 모종판을 카트에 싣고 다니면서 이식 호퍼를 이용하여 딸기 모종을 시설재배용 베드에 반자동식으로 이식하게 되므로, 딸기 모종을 정렬하여 이식할 수 있음은 물론 노동력이 절감되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식 호퍼의 상측에 경사부가 형성됨에 따라 이식 호퍼가 자연스럽게 개방되고 이식 호퍼의 고정부와 회동부가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토션 스프링이 설치됨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식 호퍼가 개방되지 않아 딸기 모종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식 호퍼가 하강할 경우 회동판과 회동 링크에 의해 이식 호퍼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딸기 모종의 이식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조작레버와 이식 호퍼를 포함하는 이식부를 분리하고 모종판을 분리함으로써 시설 내에서 통상의 이송용 카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이식 호퍼가 구비됨에 따라 이식 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트 몸체를 승강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이식 호퍼와 승강조작레버를 승강시켜 노지 베드는 물론 고상 베드에서도 딸기 모종의 이식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딸기 모종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모종 전달부와 이식 호퍼의 승강 및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종 이식부가 설치됨에 따라 이식 작업이 자동화되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종 전달부 및 모종 이식부가 각각 바퀴에 연동하여 작동됨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종 이식부가 사절링크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식 호퍼의 승강 작업 및 개폐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 효과가 있다.
또한, 모종 전달부와 모종 이식부 사이에 복토 바퀴가 구비되어 딸기 모종의 이식 부분을 다져주게 되므로 딸기 모종의 생착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호퍼의 개폐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를 이용하여 딸기 모종을 이식하는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의 변형 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전달부 및 모종 이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이식부를 통해 이식 호퍼가 하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이용하여 노지 베드에 딸기 모종을 이식하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이용하여 고상 베드에 딸기 모종을 이식하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모서리에 각각 바퀴(15)가 설치되어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 몸체(10)와; 다수의 딸기 모종(100)이 구비되며 카트 몸체(10)의 상측에 적재되는 모종판(20)과; 하부의 개폐가 가능한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딸기 모종(100)을 시설 재배용 베드에 이식하도록 카트 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이식 호퍼(30)와; 하단부에 설치된 이식 호퍼(30)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카트 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조작레버(40)와; 이식 호퍼(30)를 개폐시키는 호퍼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모종판(20)에 있는 딸기 모종(100)을 이식 호퍼(30)를 통해 시설 재배용 베드에 반자동식으로 이식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작업자가 딸기 모종(100)을 들고다닐 필요가 없어져 작업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카트 몸체(10)가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식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딸기 모종(100)이 정렬된 상태로 이식된다.
이식 호퍼(30)는 승강조작레버(40)의 하단부에 고정된 반원추 형상의 고정부(31)와, 호퍼 개폐수단에 의해 회동하도록 고정부(31)의 상단에 힌지핀(35)으로 연결되는 반원추 형상의 회동부(32)와, 힌지핀(35)에 설치되어 회동부(32)를 탄성 복원시키는 토션 스프링(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토션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이식 호퍼(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딸기 모종(10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고정부(31)의 상단과 회동부(32)의 상단에 각각 경사부(33)가 형성되어 회동부(32)가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부(31)와 회동부(32)에 형성된 경사부(33)로 인해 회동부(32)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할 때 고정부(31)와 회동부(32)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회동부(32)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식 호퍼(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60도의 내각과 대략 40도의 개방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이식 호퍼(30)의 내각이 대략 60도의 예각을 가짐으로써 시설 재배용 베드를 쉽게 파고들 수 있도록 하고, 회동부(32)가 완전히 회동하였을 때의 개방각이 대략 40도 정도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식 호퍼(30) 내의 딸기 모종(100)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한 쌍의 이식 호퍼(30)는 시설 재배용 베드(20)의 폭에 대응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하나의 이식 호퍼(30)만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호퍼 개폐수단은 이식 호퍼(30)를 개폐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지만, 승강조작레버(40)와 연동되어 이식 호퍼(30)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호퍼 개폐수단은 카트 프레임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50)과, 일단은 이식 호퍼(30)의 회동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판(50)의 끝부분에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식 호퍼(30)가 하강하면 회동부(32)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 링크(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조작레버(40)에 의해 이식 호퍼(30)가 하강하면 회동판(50)이 회동하면서 회동 링크(55)를 잡아당기고 그로 인해 이식 호퍼(30)의 회동부(32)가 회동하여 이식 호퍼(30)의 하부를 자동으로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조작레버(40)는 이식 호퍼(30)를 대략 30㎝ 범위에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승강조작레버(40)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거리가 대략 30㎝가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승강조작레버(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45)가 구비되고, 승강 가이드(45)는 카트 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승강조작레버(40)가 흔들리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고, 딸기 이식 작업이 끝난 후에는 카트 몸체(10)로부터 승강 가이드(45)와 승강조작레버(40)를 분리하고 모종판(20)을 내려놓음으로써 시설 내에서 통상의 이송용 카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승강조작레버(40)는 한 쌍의 이식 호퍼(30)에 대응하여 한 쌍이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승강조작레버(4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이식 호퍼(30)를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이식 호퍼(30)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트 몸체(10)의 외측 방향에 이식 호퍼(30)의 고정부(31)가 위치하고 중심 방향에 이식 호퍼(30)의 회동부(32)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 쌍의 승강조작레버(40)가 구비되면 각각의 이식 호퍼(30)를 독립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하나의 승강조작레버(4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이식 호퍼(30)를 동시에 승강시킬 경우에는 딸기 모종(100)의 이식 작업을 더욱 빠르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를 이용하여 딸기 모종을 이식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딸기 모종(100)이 적재된 모종판(20)을 카트 몸체(10)의 상측에 적재한 후, 카트 몸체(10)를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모종판(20)의 딸기 모종(100)을 이식 호퍼(30)에 담아 시설 재배용 베드에 일정 간격으로 이식한다. 즉, 모종판(20)의 딸기 모종(100)을 한 쌍의 이식 호퍼(30)에 각각 담은 후, 카트 몸체(10)가 이식 위치에 도달하면 승강조작레버(40)를 하강시켜 승강조작레버(40)의 하단에 연결된 원추 형상의 이식 호퍼(30)에 의해 시설 재배용 베드가 파헤쳐지도록 한다.
승강조작레버(40)에 의해 이식 호퍼(30)가 하강하면 이식 호퍼(30)의 회동부(32)에 회동링크(55)로 연결된 회동판(50)이 회전하면서 회동부(32)를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이식 호퍼(30)의 회동부(32)가 회동하여 이식 호퍼(30)의 하부측을 개방하게 되고, 이식 호퍼(30)에 담긴 딸기 모종(100)이 파헤쳐진 시설 재배용 베드(20)로 하강하게 된다.
이후, 승강조작레버(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토션 스프링(34)에 의해 이식 호퍼(30)의 회동부(32)가 초기 위치로 회동되어 이식 호퍼(30)가 원추 형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이식 호퍼(30)에 모종판(20)의 딸기 모종(100)을 다시 담아 다음 작업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시설 재배용 베드로 하강한 딸기 모종(100)의 뿌리가 드러나지 않도록 흙을 덮어줌으로써 딸기 모종(100)의 이식 작업을 완료하고, 다음 이식 위치로 카트 몸체(10)를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딸기 모종(100)의 이식 작업을 모두 완료하면, 모종판(20)을 카트 몸체(10)로부터 내려놓은 후, 이식 호퍼(30)와 승강조작레버(40) 및 승강 가이드(45)를 카트 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한다. 그리고, 카트 몸체(10)는 시설 내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이송용 카트로 활용한다.
이상에서는 시설 재배용 베드가 노지 베드(200)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카트 몸체(10)를 승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시설 재배용 베드가 고상 베드(250)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트 몸체(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5)에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11)과, 모종판(20)이 설치된 테이블과 호퍼(30) 및 호퍼 개폐수단이 구비되며 베이스 프레임(11)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승강조작레버(40)를 이용하여 승강 프레임(12)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고상 베드(250)에 딸기 모종(100)을 이식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승강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이식 호퍼를 승강시키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모종 이식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식 호퍼에 모종을 공급하는 작업과 이식 호퍼를 승강 및 개폐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 7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모서리에 각각 바퀴(15)가 설치되어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 몸체(10)와; 하부의 개폐가 가능한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딸기 모종을 시설 재배용 베드에 이식하는 이식 호퍼(30)와; 카트 몸체(10)의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며 딸기 모종을 이식 호퍼(30)로 공급하는 모종 전달부(60)와; 사절 링크로 구성되어 이식 호퍼(30)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이식 호퍼(30)를 개폐시켜 시설 재배용 베드에 자동으로 이식하는 모종 이식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시설 재배용 베드로 노지 베드(200)와 고상 베드(250)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카트 몸체(10)를 승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트 몸체(10)가 바퀴(15)에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11)과, 모종판(20)이 설치된 테이블과 호퍼(30) 및 호퍼 개폐수단이 구비되며 베이스 프레임(11)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식 호퍼(30)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카트 몸체(10)을 밀고 이동할 때 모종 전달부(60)를 통해 딸기 모종이 이식 호퍼(30)로 자동 공급되고, 모종 이식부(70)에 의해 이식 호퍼(30)가 자동으로 승강 및 개폐되면서 시설 재배용 베드에 딸기 모종을 이식하게 된다.
또, 모종 전달부(60)는 일정 간격으로 칸막이(62)가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61)와, 후륜의 바퀴축에 연결 설치된 전달부 구동풀리(64)와, 컨베이어 벨트(6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달부 구동풀리(64)에 벨트 연결된 전달부 종동풀리(6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후륜과 함께 전달부 구동풀리(64)가 회전하면서 전달부 종동풀리(63)를 회전시키게 되고, 전달부 종동풀리(63)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61)가 회전하면서 이식 호퍼(30)로 딸기 모종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컨베이어 벨트(61)를 회전시켜 딸기 모종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종 이식부(70)는 이식 호퍼(30)의 회동부 상단에 구비된 돌기(36)에 회동링크(72)로 연결된 작동링크(71)와, 카트 몸체(10)의 테이블(13) 하부에 구비된 지지대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73)와, 일측 단부가 제1링크(7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74)와, 일측 단부는 제2링크(7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작동링크(71)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75)와, 전륜의 바퀴축에 연결 설치된 이식부 구동풀리(77)와, 작동링크(71)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이식부 구동풀리(77)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링크의 작동에 의해 작동링크(71)와 이식 호퍼(30)가 승강되고 이식 호퍼(30)가 개폐되도록 하는 이식부 종동풀리(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륜과 함께 회전하는 이식부 구동풀리(77)에 의해 이식부 종동풀리(76)가 회전함과 아울러 제1링크(73)와 제2링크(74) 및 제3링크(74)로 이루어진 사절링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그리 사절링크가 접혀져 이식 호퍼(30)가 상사점에 있을 때 모종 전달부(60)의 컨베이어 벨트(61)로부터 이식 호퍼(30)로 딸기 모종이 전달되고, 사절링크가 펼쳐져 이식 호퍼(30)가 하사점에 이르는 순간 작동링크(71)와 회동링크(72)에 의해 이식 호퍼(30)가 개방되면서 시설 재배용 베드에 딸기 모종을 이식하게 된다.
이때, 모종 전달부(60)와 모종 이식부(70) 사이에 설치되어 이식 호퍼(30)에 의해 이식된 딸기 모종의 식부 부분을 다져주는 복토 바퀴(도시 생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토 바퀴는 고무로 형성되어 딸기 모종의 뿌리와 줄기가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토 바퀴를 이용하여 딸기 모종의 식부 부분을 다져주더라도 뿌리와 줄기가 다치지 않음은 물론 다짐에 의해 딸기 모종의 생착률이 좋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예를 이용하여 딸기 모종을 이식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딸기 모종이 적재된 모종판을 카트 몸체(10)의 상측에 적재한 후,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카트 몸체(10)를 이동시키면서 모종판의 딸기 모종을 모종 전달부(60)의 컨베이어 벨트(61)에 차례로 공급한다. 이때, 딸기 모종은 컨베이어 벨트(61)의 칸막이(62)에 의해 구획된 각 구역에 하나씩 공급한다. 카트 몸체(10)의 이동에 따라 바퀴(15)가 회전하면서 컨베이어 벨트(61)도 회전하게 되고, 딸기 모종은 컨베이어 벨트(61)의 상측 끝단에서 낙하하여 이식 호퍼(10)에 전달된다.
이때, 바퀴(15)의 회전에 의해 모종 이식부(70)의 사절 링크가 접혀져 이식 호퍼(30)는 상사점에 위치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61)로부터 낙하된 딸기 모종이 이식 호퍼(3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어, 사절 링크가 펼쳐지면서 이식 호퍼(30)가 하강하게 되고, 사절 링크가 완전히 전개되어 제1링크(73)와 제2링크(74) 및 제3링크(75)가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순간 이식 호퍼(30)는 하사점에 위치함과 아울러 작동링크(71)와 회전링크(72)에 의해 이식 호퍼(30)의 회동부가 회전하여 개방됨으로써 시설 재배용 베드를 파헤치고 딸기 모종을 이식하게 된다.
물론, 딸기 모종의 이식 후에는 작업자가 딸기 모종의 뿌리가 드러나지 않도록 흙을 덮어주어야 한다. 그리고 카트 몸체(10)의 이동에 따라 모종 이식부(70)와 모종 전달부(60) 사이에 위치한 복토 바퀴가 덮힌 흙을 다져주게 된다.
상기한 작업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이송 호퍼(30)가 상사점에 있을 때 컨베이어 벨트(61)에서 딸기 모종이 낙하할 수 있도록, 모종 전달부(60)과 모종 이식부(70)를 동기화시켜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카트 몸체(10)의 이송 프레임(12)을 승강시켜 노지 베드(200) 또는 고상 베드(300) 중 어디에서도 딸기 모종의 이식 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카트 몸체 11 : 베이스 프레임
12 : 승강 프레임 13 : 테이블
15 : 바퀴 20 : 모종판
30 : 이식 호퍼 31 : 고정부
32 : 회동부 33 : 경사부
34 : 토션 스프링 35 : 힌지핀
36 : 돌기 40 : 승강조작레버
45 : 승강 가이드 50 : 회동판
55 : 회동링크 60 : 모종 전달부
61 : 컨베이어 벨트 62 : 칸막이
63 : 전달부 종동풀리 64 : 전달부 구동풀리
70 : 모종 이식부 71 : 작동링크
72 : 회동링크 73 : 제1링크
74 : 제2링크 75 : 제3링크
76 : 이식부 종동풀리 77 : 이식부 구동풀리
100 : 딸기 모종 200 : 노지 베드
250 : 고상 베드

Claims (13)

  1. 하부 모서리에 각각 바퀴가 설치되어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 몸체와;
    다수의 딸기 모종이 구비되며 카트 몸체의 상측에 적재되는 모종판과;
    하부의 개폐가 가능한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딸기 모종을 시설 재배용 베드에 이식하는 이식 호퍼와;
    하단부에 설치된 이식 호퍼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카트 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조작레버와;
    이식 호퍼를 개폐시키는 호퍼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식 호퍼는 승강조작레버의 하단부에 고정된 반원추 형상의 고정부와, 호퍼 개폐수단에 의해 회동하도록 고정부의 상단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반원추 형상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식 호퍼는 힌지핀에 설치되어 회동부를 탄성 복원시키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부의 상단과 회동부의 상단에 각각 경사부가 형성되어 회동부가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식 호퍼는 60도의 내각과 40도의 개방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호퍼 개폐수단은 프레임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판과, 일단은 이식 호퍼의 회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판의 끝부분에 탈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식 호퍼가 하강하면 회동부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강조작레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가 카트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두 개의 이식 호퍼가 카트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트 몸체는 바퀴에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과, 모종판이 설치된 테이블과 호퍼 및 호퍼 개폐수단이 구비되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10. 하부 모서리에 각각 바퀴가 설치되어 시설 재배용 베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 몸체와;
    하부의 개폐가 가능한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딸기 모종을 시설 재배용 베드에 이식하는 이식 호퍼와;
    카트 몸체의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며 딸기 모종을 이식 호퍼로 공급하는 모종 전달부와;
    사절 링크로 구성되어 이식 호퍼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이식 호퍼를 개폐시켜 시설 재배용 베드에 자동으로 이식하는 모종 이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모종 전달부는 일정 간격으로 칸막이가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와, 바퀴축에 연결 설치된 전달부 구동풀리와,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달부 구동풀리에 벨트 연결된 전달부 종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모종 이식부는 이식 호퍼의 회동부 상단에 구비된 돌기에 회동링크로 연결된 작동링크와, 카트 몸체의 테이블 하부에 구비된 지지대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일측 단부가 제1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일측 단부는 제2링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작동링크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와, 바퀴축에 연결 설치된 이식부 구동풀리와, 작동링크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이식부 구동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됨과 아울러 링크의 작동에 의해 작동링크와 이식 호퍼가 승강되고 이식 호퍼가 개폐되도록 하는 이식부 종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13. 청구항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종 전달부와 모종 이식부 사이에 설치되어 이식 호퍼에 의해 이식된 딸기 모종의 식부 부분을 다져주는 복토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1020180017386A 2017-11-09 2018-02-13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102137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71 2017-11-09
KR20170148471 2017-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69A true KR20190053069A (ko) 2019-05-17
KR102137579B1 KR102137579B1 (ko) 2020-07-24

Family

ID=6667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86A KR102137579B1 (ko) 2017-11-09 2018-02-13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52A (ko) * 2019-12-11 2021-06-21 안기철 모종 이식 장치
CN114503818A (zh) * 2022-01-28 2022-05-17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草莓种植用便捷式起苗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620A (ja) * 1992-05-11 1994-05-10 Goldstar Cable Co Ltd 幼苗移植機
KR20130003883A (ko) 2011-07-01 2013-01-09 근우테크 주식회사 높낮이 및 속도 조절이 용이한 모종이식기
KR101306557B1 (ko) * 2012-03-01 2013-09-09 박영효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KR20130104199A (ko) * 2012-03-13 2013-09-25 정태호 모종 이식기
KR20150094495A (ko) 2014-02-10 2015-08-1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KR20170001690A (ko) 2013-08-27 2017-01-04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620A (ja) * 1992-05-11 1994-05-10 Goldstar Cable Co Ltd 幼苗移植機
KR20130003883A (ko) 2011-07-01 2013-01-09 근우테크 주식회사 높낮이 및 속도 조절이 용이한 모종이식기
KR101306557B1 (ko) * 2012-03-01 2013-09-09 박영효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KR20130104199A (ko) * 2012-03-13 2013-09-25 정태호 모종 이식기
KR20170001690A (ko) 2013-08-27 2017-01-04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KR20150094495A (ko) 2014-02-10 2015-08-1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52A (ko) * 2019-12-11 2021-06-21 안기철 모종 이식 장치
CN114503818A (zh) * 2022-01-28 2022-05-17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草莓种植用便捷式起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579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950B1 (ko) 딸기 고설 재배용 접이식 제자리 육묘 장치 및 방법
KR102041505B1 (ko) 작물 이식 장치
KR20190053069A (ko)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CN207410963U (zh) 一种促进植物健康成长的林业用育苗设备
KR20190042258A (ko) 육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식기
KR101589414B1 (ko) 딸기 증식용기를 이용한 딸기 증식방법
KR20220157104A (ko) 농작물 재배용 화분
FI129644B (en) Plant cultivation systems and devices therefor
KR101627435B1 (ko) 육묘판에 흙을 공급하는 흙 자동 공급장치
KR102609362B1 (ko) 발아 및 모종 재배 겸용 수상 부상 수경재배 키트
JP3435233B2 (ja) 成形苗自動移植装置
CN114375725A (zh) 一种茄果类蔬菜育苗装置
CN201467782U (zh) 植物种苗整根培育装置
JP4191629B2 (ja) 農用苗移植機
CN108738554B (zh) 土豆播种机
JPH11318214A (ja) 回転式集中管理栽培システム
KR20150005176A (ko) 식물관리기를 갖는 식물생육의 회전장치
CN101926277A (zh) 植物种苗整根培育方法及其装置
CN113080001B (zh) 一种园林兰花育苗方法
CN218042752U (zh) 茎叶类蔬菜智能化生产车间
CN216219377U (zh) 一种小麦种子选育用隔离装置
CN210247685U (zh) 一种西瓜种子的育苗装置
KR102047839B1 (ko) 뿌리 식물 재배용 베드 장치
CN207897533U (zh) 一种马铃薯栽种架
KR20230036862A (ko) 키 높은 작물의 고설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