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557B1 -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 Google Patents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557B1
KR101306557B1 KR1020120021530A KR20120021530A KR101306557B1 KR 101306557 B1 KR101306557 B1 KR 101306557B1 KR 1020120021530 A KR1020120021530 A KR 1020120021530A KR 20120021530 A KR20120021530 A KR 20120021530A KR 101306557 B1 KR101306557 B1 KR 10130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potato
plate
main body
vegetable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효
Original Assignee
박영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효 filed Critical 박영효
Priority to KR102012002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9/00Potato planters
    • A01C9/06Potato planters with piercing or gras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바퀴들을 본체에 결합시키며 바퀴의 구동수단에 의해 바퀴들을 구동시켜 본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에 공급관을 입설시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관의 승강수단에 의해 공급관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의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수납관에 의해 감자 및 채소묘종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납관의 개폐수단에 의해 수납관의 하측부를 공급관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는 이식판에 의해 공급관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식판의 개폐수단에 의해 이식판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후측지지관에 복토편을 중심핀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켜서 이식판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복토편의 작동수단에 의해 복토편이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할 수 있도록 된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TRANSPLAN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테리와 컨트롤박스 및 스위칭박스를 본체의 상측부에 부착된 받침판에 안착시키고 있고 본체의 하측부에는 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바퀴들을 결합시키며 바퀴의 구동수단에 의해 바퀴들을 구동시켜 본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에 공급관을 입설시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관의 승강수단에 의해 공급관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의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수납관에 의해 감자 및 채소묘종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납관의 개폐수단에 의해 수납관의 하측부를 공급관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는 이식판에 의해 공급관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식판의 개폐수단에 의해 이식판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후측지지관에 복토편을 중심핀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켜서 이식판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복토편의 작동수단에 의해 복토편이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바테리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면서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서 본체가 두둑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어지므로 본체를 끌고 다니거나 들고 다니면서 이식을 했던 종래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손쉽게 해결하였으며 공급관을 승강용모터에 연결된 크랭크축과 연결봉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이식판이 지면을 파고들어가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내부로 이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일정한 깊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식이 가능해 이식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납관에는 다음번 이식될 차례의 감자 및 채소묘종을 미리 수납시켜 놓을 수 있어 공급관 및 이식판의 승강 행정에 맞추어 일정하게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받아 이식할 수 있으며 이식판의 이식 완료후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복토편이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 주위의 흙들을 복토를 할 수 있어 말끔한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된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자 및 채소묘종을 밭의 두둑에 이식을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2인 1조로 구성되어진다.
즉, 상기 작업자 중 선행 작업자는 휴대용 이식기를 들고 두둑의 지면을 찍어 이식판이 지층 내부로 박히도록 한 다음 상기 이식판을 벌려주면 다음 후행 작업자가 감자 및 채소묘종 한개를 이식기 내부로 투입을 시킨다.
상기 감자 및 채소묘종의 투입이 완료되면 선행 작업자는 이식기를 지면으로 부터 뽑아 분리를 시키고 후행 작업자는 감자 및 묘종이 이식된 부위의 흙을 모아 복토를 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감자 및 채소묘종들을 이식하였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감자 및 채소묘종을 이식시 작업자들이 수공에 의해 경험칙으로 작업을 수행했기 때문에 지층으로 이식되는 감자 및 채소묘종들의 깊이가 각기 다를 수 밖에 없었고 특히 이식 간격 역시 일정할 수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정해진 면적의 재배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였고 품질의 균일성을 맞출 수 없었으며 수확량도 향상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테리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면서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서 본체가 두둑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어지므로 본체를 끌고 다니거나 들고 다니면서 이식을 했던 종래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손쉽게 해결하였으며 공급관을 승강용모터에 연결된 크랭크축과 연결봉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이식판이 지면을 파고들어가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내부로 이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일정한 깊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식이 가능해 이식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납관에는 다음번 이식될 차례의 감자 및 채소묘종을 미리 수납시켜 놓을 수 있어 공급관 및 이식판의 승강 행정에 맞추어 일정하게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받아 이식할 수 있으며 이식판의 이식 완료후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복토편이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 주위의 흙들을 복토를 할 수 있어 말끔한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테리와 컨트롤박스 및 스위칭박스를 본체의 상측부에 부착된 받침판에 안착시키고 있고 본체의 하측부에는 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바퀴들을 결합시키며 바퀴의 구동수단에 의해 바퀴들을 구동시켜 본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에 공급관을 입설시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관의 승강수단에 의해 공급관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의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수납관에 의해 감자 및 채소묘종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납관의 개폐수단에 의해 수납관의 하측부를 공급관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관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관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는 이식판에 의해 공급관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식판의 개폐수단에 의해 이식판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다음 본체의 후측지지관에 복토편을 중심핀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켜서 이식판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복토편의 작동수단에 의해 복토편이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바테리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면서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서 본체가 두둑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어지므로 본체를 끌고 다니거나 들고 다니면서 이식을 했던 종래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손쉽게 해결한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공급관을 승강용모터에 연결된 크랭크축과 연결봉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이식판이 지면을 파고들어가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을 지층내부로 이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일정한 깊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식이 가능해 이식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수납관에는 다음번 이식될 차례의 감자 및 채소묘종을 미리 수납시켜 놓을 수 있어 공급관 및 이식판의 승강 행정에 맞추어 일정하게 감자 및 채소묘종을 공급받아 이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이식판의 이식 완료후 상승되는 이식판과 함께 복토편이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 주위의 흙들을 복토를 할 수 있어 말끔한 마무리를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결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이식장치중 이식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중 복토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테리(103)와 컨트롤박스(194) 및 스위칭박스(105)를 본체(101)의 상측부에 부착된 받침판(102)에 안착시키고 있고 본체(101)의 하측부에는 본체(101)가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110)와,
상기 바퀴(110)들을 구동시켜 본체(101)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의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101)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7)에 입설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하는 공급관(121)과,
상기 공급관(121)을 승강시키기 위한 공급관의 승강수단과,
상기 공급관(121)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101)의 연결관(111)으로 연결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관(131)과,
상기 수납관(131)의 하측부를 공급관(121)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공급관(12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납관의 개폐수단과,
상기 공급관(121)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어 공급관(121)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임시로 안착시키고 있는 양측의 이식판(141)과,
상기 이식판(141)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주기 위한 이식판의 개폐수단과,
상기 이식판(141)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주기 위해 본체(101)의 후측지지관(108)의 중심핀(109)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복토편(161)과,
상기 복토편(161)이 상승되는 이식판(141)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하기 위한 복토편의 작동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바퀴의 구동수단은 본체(101)의 받침판(102) 저면부로 장착되는 구동모터(112)와,
상기 구동모터(112)에 관통 결합되어 양측부를 본체(101)의 측판(106)에 지지시키고 있는 구동축(113)과,
상기 구동축(113)의 양단부로 결합되어 바퀴(110)와 접촉하면서 바퀴(110)를 구동시키는 양측의 구동기어(114)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공급관의 승강수단은 본체(101)의 프레임(107)에 부착된 지지판(128)에 장착되는 승강용모터(124)와,
상기 승강용모터(124)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축(123)과,
상기 크랭크축(123)에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하단부에는 공급관(121)의 측면을 유동용이토록 연결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연결봉(122)과,
상기 공급관(121)이 안정적인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공급관(121)의 상측부와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부착된 고정안내관(127)의 내부에서 승강운동을 하는 승강안내관(126)을 연결하는 연결판(125)으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납관의 개폐수단은 수납관(131)의 양측으로 나란히 힌지핀(134)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상승되는 공급관(121)과 접촉하기 위한 경사면(133)을 형성하고 있는 양측의 개폐도어(132)와,
상기 개폐도어(132)가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수납하고 있도록 양측의 개폐도어(13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35)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이식판의 개폐수단은 이식판(141)의 외면에 부착된 브라켓(142)의 상측부와 공급관(121)에 부착된 연결편(130) 사이에 탄설되어 이식판(141)이 오무려지려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143)와,
상기 이식판(141)의 브라켓(142)에 하측부를 유동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작동축(144)과,
상기 작동축(144)의 상측부와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고 공급관(121)의 지지편(129)에 중심볼트(146)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작동편(145)과,
상기 작동편(145)을 압지하거나 탈압지하여 작동편(14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급관(121)하측부에 결합축(148)으로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공급관(121)과의 사이에 제2탄성부재(149)를 탄설하고 있는 작동봉(147)과,
상기 작동봉(147)이 공급관(121)과 함께 승강시 벌어지고 오무려지는 동작이 유발되면서 작동편(145)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작동봉 (147)의 상측부가 안내될 수 있는 캠판(150)으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토편의 작동수단은 일측의 이식판(141)에 형성된 브라켓 (142)상에 하향으로 부착되는 상측고리(151)와,
상기 상측고리(151)가 부착된 이식판(141)이 벌어진 상태로 상승시 상측고리(151)에 걸리 수 있도록 복토편(161)에 상향으로 부착되는 하측고리(162)와,
상기 하측고리(162)가 상측고리(151)와 걸려 있는 상태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다음 이식판(141)이 오무려지는 작용에 의해 분리되어지면서 복토편(161)이 탄성력으로 지면을 내려 칠 수 있도록 복토편(161)과 본체(101) 사이에 탄설되는 제3탄성부재(163)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결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이식장치 본체 (101)를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이식할 밭 두둑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의 받침판(102)에 안착되어 있는 스위칭박스(105)의 보턴을 누르면 컨트롤박스(104)의 지시에 의해 바테리(103)의 전원이 받침판(102)의 저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12)로 공급되면서 구동모터(112)가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112)의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112)에 관통결합되어 있고 양측부를 본체(101)의 측판(106)에 지지시키고 있는 구동축(113)이 구동되면서 구동축 (113)양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114)들을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14)들과 압지되어 있는 본체(101) 저부 양측의 바퀴 (110)들이 회전을 하면서 본체(101)를 전방으로 진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의 바퀴(110)들이 설정된 거리 만큼 이동을 하면 컨트롤박스(104)의 지시에 의해 본체(101) 프레임(107)의 지지판(128)에 장착된 승강용모터(124)가 구동되면서 크랭크축(123)을 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123)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축(123)에 상단부를 결합시키고 있고 하단부는 공급관(121)의 외면과 결합되어 있는 연결봉(122)이 직선운동을 하면서 공급관(121)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121)의 하강시에는 공급관(121)이 안정적인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공급관(121)과 승강안내관(126)이 연결판(125)으로 연결되어 있어 공급관(121)의 승강시 승강안내관(126)도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부착된 고정안내관 (127)의 내부에서 하강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봉(122)에 의해 공급관(121)이 하강을 하게 되고 공급관 (121)하측부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된 양측의 이식판(141)도 오무려진 상태로 도 2의 위치에서 도 3의 위치로 하강을 하여 지층을 파고들게 된다.
이때, 상기 오무려진 상태로 하강하여 지층을 파고드는 이식판(141)의 내부에는 이미 한개의 감자 및 채소묘종(171)이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식판(141)이 지층을 파느 것과 동시에 양측의 이식판(141)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어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층 내부에 내려 놓게 되는바, 상기와 같은 이식판(141)의 개방작용은 작동봉(147)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작동봉(147)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관(121)에 결합축(148)으로 결합되어 있고 중간부는 공급관(121)과 제2탄성부재(149)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봉(147)이 본체(101) 프레임(107)의 캠판(150)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작동봉(147)이 공급관(121)의 지지편(129)에 중심볼트(146)으로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는 작동편(145)을 밀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편(145)은 공급관(121)의 연결편(130)과 이식판(141)의 브라켓(142)사이에 탄설되어 있는 제1탄성부재(143)의 탄력 영향권에 들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1탄성부재(143)의 미는 힘에 의해 양측의 이식판(141)이 서로 오무려져서 닫쳐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급관(121)의 하강과 함께 작동봉(147)이 하강하면서 캠판 (150)을 벗어나면 제2탄성부재(149)의 탄력에 의해 공급관(121)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작동편(145)을 도 5의 위치에서 도 6의 위치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편(145)은 작동봉(147)의 미는 힘에 의해 중심볼트(146)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작동축(144)을 밀게 되고 상기 작동축(144)은 브라켓(142)을 밀게 되므로서 결국, 브라켓(142)과 일체로 형성된 양측의 이식판(141) 벌어지면서 개방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측의 이식판(141)은 지층 내부에서 흙을 밀어내면서 구덩이를 형성시키게 되므로 이 구덩이로 이식판(141)내부에 안착되어 있던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식판(141)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이식을 하고 있는 도중 본체(101)의 연결관(111)으로 연결된 수납관(131)에는 다음번의 감자 및 채소묘종 (171)을 수납시켜 놓는다
상기의 수납관(131)으로 수납되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은 개폐도어(132)가 수납관(131)의 하측부를 막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관(131)내부에서 개폐도어(132)에 얹혀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수납관(131)의 저부를 개폐도어(132)가 막고 있는 상태에서 공급관(121)이 이식을 완료하고 복귀를 하면서 공급관(121)의 상단부가 양측 개폐도어(132)의 경사면(133)과 접촉을 하면서 밀게 된다.
상기 공급관(121)의 미는 힘에 의해 양측의 개폐도어(132)는 탄성부재(135)를 이완시키면서 힌지핀(134)을 중심으로 벌어지게 되어 결국, 수납관(131)의 저부가 개방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도어(132)에 얹혀있던 감자 및 채소묘종(171)은 공급관 (121)의 내부로 낙하되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식판(141)의 내부로 임시 안착이 되어진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 자동이식장치중 복토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공급관(121)의 이식판(141)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의 이식을 완료하고 개방된 상태로 설정된 거리 만큼 상승한 다음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식판(141)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승을 하게 되면 일측 이식판 (141)의 브라켓(142)에 하향으로 형성된 상측고리(151)가 복토편(161)에 상향으로 형성된 하측고리(162)에 걸려지면서 하측고리(162)를 상측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끌고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고리(162)를 형성하고 있는 복토편(161)도 후측지지관 (108)의 중심핀(109)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본체(101) 사이에 연결된 제3탄성부재(163)를 압축하면서 상측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고리(151)는 설정된 거리만큼 상측이동을 한 다음 양측의이식판(141)이 오무려지는 것과 동시에 상측고리(151)도 이동되기 때문에 하측고리 (162)가 상측고리(151)로 부터 분리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고리(162) 및 복토편(161)은 제3탄성부재(163)의 이완력에 의해 중심핀(109)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낙하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이 이식된 근처의 지면을 내려 치면서 복토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식장치 1대당 한사람이 배당되어 수납관(131)으로 감자 및 채소묘종(171)만을 공급해주면 이식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101-본체 102-받침판
103-바테리 104-컨트롤박스
105-스위칭박스 106-측판
107-프레임 108-후측지지관
109-중심핀 110-바퀴
111-연결관 112-구동모터
113-구동축 114-구동기어
121-공급관 122-연결봉
123-크랭크축 124-승강용모터
125-연결판 126-승강안내관
127-고정안내관 128-지지판
129-지지편 130-연결편
131-수납관 132-개폐도어
133-경사면 134-힌지핀
135-탄성부재 141-이식판
142-브라켓 143-제1탄성부재
144-작동축 145-작동편
146-중심볼트 147-작동봉
148-결합축 149-제2탄성부재
150-캠판 151-상측고리
161-복토편 162-하측고리
163-제3탄성부재 171-감자 및 채소묘종

Claims (6)

  1. 바테리(103)와 컨트롤박스(194) 및 스위칭박스(105)를 본체(101)의 상측부에 부착된 받침판(102)에 안착시키고 있고 본체(101)의 하측부에는 본체(101)가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바퀴(110)와,
    상기 바퀴(110)들을 구동시켜 본체(101)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의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101)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7)에 입설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면으로 안내 공급하는 공급관(121)과,
    상기 공급관(121)을 승강시키기 위한 공급관의 승강수단과,
    상기 공급관(121)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본체(101)의 연결관(111)으로 연결되어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예비로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관(131)과,
    상기 수납관(131)의 하측부를 공급관(121)의 상승시 개방하여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공급관(12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수납관의 개폐수단과,
    상기 공급관(121)의 하측부 양측에 결합되어 공급관(121)으로 공급된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임시로 안착시키고 있는 양측의 이식판(141)과,
    상기 이식판(141)이 벌려지면서 내부에 임시로 안착되어 있는 감자 및 채소묘종(171)을 지층 내부로 이식시켜 주기 위한 이식판의 개폐수단과,
    상기 이식판(141)에 의해 지층 내부로 이식된 감자 및 채소묘종에 흙을 덮어 복토를 시켜주기 위해 본체(101)의 후측지지관(108)의 중심핀(109)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복토편(161)과,
    상기 복토편(161)이 상승되는 이식판(141)과 함께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한 다음 하강하면서 지면을 내려 쳐 복토를 하기 위한 복토편의 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구동수단은 본체(101)의 받침판(102) 저면부로 장착되는 구동모터(112)와,
    상기 구동모터(112)에 관통 결합되어 양측부를 본체(101)의 측판(106)에 지지시키고 있는 구동축(113)과,
    상기 구동축(113)의 양단부로 결합되어 바퀴(110)와 접촉하면서 바퀴(110)를 구동시키는 양측의 구동기어(114)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승강수단은 본체(101)의 프레임(107)에 부착된 지지판(128)에 장착되는 승강용모터(124)와,
    상기 승강용모터(124)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축(123)과,
    상기 크랭크축(123)에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하단부에는 공급관(121)의 측면을 유동용이토록 연결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연결봉(122)과,
    상기 공급관(121)이 안정적인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공급관(121)의 상측부와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부착된 고정안내관(127)의 내부에서 승강운동을 하는 승강안내관(126)을 연결하는 연결판(125)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관의 개폐수단은 수납관(131)의 양측으로 나란히 힌지핀(134)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상승되는 공급관(121)과 접촉하기 위한 경사면(133)을 형성하고 있는 양측의 개폐도어(132)와,
    상기 개폐도어(132)가 평상시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감자 및 채소묘종을 임시로 수납하고 있도록 양측의 개폐도어(13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35)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판의 개폐수단은 이식판(141)의 외면에 부착된 브라켓(142)의 상측부와 공급관(121)에 부착된 연결편(130) 사이에 탄설되어 이식판(141)이 오무려지려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143)와,
    상기 이식판(141)의 브라켓(142)에 하측부를 유동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작동축(144)과,
    상기 작동축(144)의 상측부와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고 공급관(121)의 지지편(129)에 중심볼트(146)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는 작동편(145)과,
    상기 작동편(145)을 압지하거나 탈압지하여 작동편(14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급관(121)하측부에 결합축(148)으로 유동용이토록 결합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공급관(121)과의 사이에 제2탄성부재(149)를 탄설하고 있는 작동봉(147)과,
    상기 작동봉(147)이 공급관(121)과 함께 승강시 벌어지고 오무려지는 동작이 유발되면서 작동편(145)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7)의 후측부에 작동봉 (147)의 상측부가 안내될 수 있는 캠판(150)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편의 작동수단은 일측의 이식판(141)에 형성된 브라켓(142)상에 하향으로 부착되는 상측고리(151)와,
    상기 상측고리(151)가 부착된 이식판(141)이 벌어진 상태로 상승시 상측고리(151)에 걸리 수 있도록 복토편(161)에 상향으로 부착되는 하측고리(162)와,
    상기 하측고리(162)가 상측고리(151)와 걸려 있는 상태로 소정의 거리를 이동한 다음 이식판(141)이 오무려지는 작용에 의해 분리되어지면서 복토편(161)이 탄성력으로 지면을 내려 칠 수 있도록 복토편(161)과 본체(101) 사이에 탄설되는 제3탄성부재(16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KR1020120021530A 2012-03-01 2012-03-01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KR10130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530A KR101306557B1 (ko) 2012-03-01 2012-03-01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530A KR101306557B1 (ko) 2012-03-01 2012-03-01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557B1 true KR101306557B1 (ko) 2013-09-09

Family

ID=4945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530A KR101306557B1 (ko) 2012-03-01 2012-03-01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5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069A (ko) * 2017-11-09 2019-05-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JP2019514431A (ja) * 2016-05-05 2019-06-06 ドンフェン アグリカルチュラル イクイップメント (シアンヤ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ongfeng Agricultural Equipment (Xiangyang) Co., Ltd. 電動移植機及びその応用
KR200491613Y1 (ko) * 2020-01-27 2020-05-07 박영효 파종장치
CN117814048A (zh) * 2024-03-05 2024-04-05 安徽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瓜类嫁接苗扦插移栽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252Y2 (ja) * 1988-12-29 1995-10-0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苗移植装置における野菜苗取出構造
JP2005102611A (ja) 2003-09-30 2005-04-21 Kagawa Prefecture 苗植付装置
JP2009089650A (ja) 2007-10-09 2009-04-30 Iseki & Co Ltd 移植機
JP2010022268A (ja) 2008-07-18 2010-02-04 Iseki & Co Ltd 移植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252Y2 (ja) * 1988-12-29 1995-10-0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苗移植装置における野菜苗取出構造
JP2005102611A (ja) 2003-09-30 2005-04-21 Kagawa Prefecture 苗植付装置
JP2009089650A (ja) 2007-10-09 2009-04-30 Iseki & Co Ltd 移植機
JP2010022268A (ja) 2008-07-18 2010-02-04 Iseki & Co Ltd 移植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14431A (ja) * 2016-05-05 2019-06-06 ドンフェン アグリカルチュラル イクイップメント (シアンヤ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ongfeng Agricultural Equipment (Xiangyang) Co., Ltd. 電動移植機及びその応用
KR20190053069A (ko) * 2017-11-09 2019-05-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102137579B1 (ko) * 2017-11-09 2020-07-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200491613Y1 (ko) * 2020-01-27 2020-05-07 박영효 파종장치
CN117814048A (zh) * 2024-03-05 2024-04-05 安徽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瓜类嫁接苗扦插移栽装置
CN117814048B (zh) * 2024-03-05 2024-05-17 安徽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一种瓜类嫁接苗扦插移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557B1 (ko) 감자 및 채소묘종 자동이식장치
JP6294568B2 (ja) 苗木植付け装置及び苗木植付け車両
CN111436347A (zh) 一种沙漠沙柳种植机
EP0320995B1 (en) Apparatus for transplanting seedlings of nursery pans into beds
CN108934903A (zh) 一种多功能园林植树机器人
CN212064825U (zh) 一种茶叶种植用幼苗自动栽种装置
CN110431969A (zh) 一种田间试验用玉米移苗装置
CN210008208U (zh) 一种植物幼苗移植装置
CN113207488B (zh) 一种自走式育苗钵装填摆码机
KR100813442B1 (ko) 묘삼 이식기
CN204014451U (zh) 一种厢式电动挖坑机
CN205822168U (zh) 沙漠环保治理用沙障栽植机
CN110122006A (zh) 一种旱地秧苗移栽装置及方法
CN212786567U (zh) 一种有机蔬菜播种装置
CN108781664B (zh) 一种打窝移栽一体机
CN107372021B (zh) 一种李树苗移栽方法
CN212696577U (zh) 一种便携式电助力坡地种植装置
CN205902339U (zh) 一种草坪移植自动切割机
CN114303868A (zh) 一种全自动柑橘幼苗栽种装置
CN107670295B (zh) 一种玩具生产用塞棉花设备
CN112369253A (zh) 一种橡胶苗自动栽苗机
CN210183850U (zh) 一种蔬菜种植用种子播种机构
CN108934698B (zh) 一种林木种植方法
CN209268023U (zh) 一种手扶式荸荠收获机
CN110419307B (zh) 一种穴盘苗自动移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