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545A -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545A
KR20190070545A KR1020170171153A KR20170171153A KR20190070545A KR 20190070545 A KR20190070545 A KR 20190070545A KR 1020170171153 A KR1020170171153 A KR 1020170171153A KR 20170171153 A KR20170171153 A KR 20170171153A KR 20190070545 A KR20190070545 A KR 2019007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lignment
shaft
gear
arm
cam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697B1 (ko
Inventor
서보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6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와 수직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를 조정하는 조정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L/ARM 또는 A/ARM 조정 대신에 U/ARM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휠 얼라인먼트 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휠 얼라인먼트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WHEEL ALIGNMENT CONTROL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암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할 수 있는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휠 얼라인먼트란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바퀴의 위치, 방향 및 상호 관련성 등을 올바르게 유지하는 정렬 상태를 말한다. 상기 휠 얼라인먼트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바퀴의 중심선과 노면의 수직선이 이루는 캠버각, 킹핀과 노면의 수직선이 이루는 킹핀 경사각, 바퀴를 위쪽에서 내려다 볼 때 바퀴의 앞쪽이 약간 안쪽으로 오므라지게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토우인, 바퀴를 옆쪽에서 보았을 때 노면의 수직선과 킹핀 중심선 사이의 기울어진 각을 나타내는 캐스터각 등이다.
자동차의 바퀴는 차종마다 특정한 설계각도를 갖고 조립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부품의 설계각도 중 어느 하나의 설계각도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안전주행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휠 얼라인먼트는 차량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되어야 주행의 안정성 내지 제동의 안정성 등을 각각 적절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직진 안정성 및 조종성 등을 만족하기 위하여 휠 얼라인먼트 조정장치를 통해 차체의 휠 얼라인먼트를 조정한다. 도 1에는 종래의 리어 휠의 사시도 및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암(U/ARM), 로워암(L/ARM) 및 A자형암(A/ARM)이 도시되어 있되, A는 U/ARM, B는 L/ARM, C는 A/ARM을 각각 나타낸다.
종래에는 차량의 리어 휠 얼라인먼트 조정시에 U/ARM, L/ARM 및 A/ARM을 조정하여 토우(Toe) 및 캠버(Camber)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L/ARM 및 A/ARM은 저면에서 접근이 용이하지만, U/ARM은 공구가 접근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휠 얼라인먼트를 조정할 때, 토우 조절은 L/ARM 또는 A/ARM으로 조정할 수 있으나, 캠버 조정을 L/ARM과 A/ARM으로 할 경우는 토우까지 변경되게 된다. 즉, L/ARM과 A/ARM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은 토우와 캠버가 커플링되어 조정되므로 시간 소요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04-0088675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위해 L/ARM 또는 A/ARM 조정 대신에 U/ARM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와 수직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를 조정하는 조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측에는 마스터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직 기어는 베벨 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는 제 1 샤프트와 수직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조정 기어에는 제 1 기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U/ARM의 캠 볼트에는 제 2 기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하우징과 결합되는 브라켓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부재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의 중앙부에는 캠볼트가 관통하는 세장형 캠볼트 관통 구멍이 각각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캠볼트 관통 구멍에서는 캠볼트가 회전하면 좌우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는 캠볼트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들은 캠볼트 관통 구멍을 사이에 두고 캠볼트 관통 구멍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 장치로서 차체 내부에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와 수직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를 조정하는 조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L/ARM 또는 A/ARM 조정 대신에 U/ARM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휠 얼라인먼트 조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휠 얼라인먼트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휠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차체에 장착된 브라켓에 결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기어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기어부와 캠볼트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결합된 정면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분리된 정면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결합된 배면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분리된 배면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기어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결합되는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모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차체에 장착된 브라켓에 결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120),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130) 및 상기 제 2 샤프트(130)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140)를 조정하는 조정 기어(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측면을 기준으로 ㄱ자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110)의 측부에는 차체에 결합을 위한 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120)와,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130)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제 2 샤프트(130)는 수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샤프트(120)의 일측에는 마스터 너트(12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마스터 너트(124)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수직 기어(122)는 베벨 기어이며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제 2 샤프트(130)를 연결하고 있다.
한편, 상기 조정 기어(132)는 제 2 샤프트(130)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를 조정하게 되며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브라켓 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브라켓 부재(150)는 제 1 지지부(151) 및 상기 제 1 지지부(151)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지지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10)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구조이다.
도 7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기어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기어부와 캠볼트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제 1 샤프트(120)와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130)가 구비되어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샤프트(120)의 일측에는 마스터 너트(12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마스터 너트(124)는 하우징(110)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정 기어(132)에는 제 1 기어 나사산(134)이 형성되어 있고, U/ARM 휠얼라인먼트 조정을 위한 캠 볼트(140)에는 제 2 기어 나사산(144)이 형성되어, 제 1 기어 나사산(134)과 제 2 기어 나사산(144)이 맞물려서 회전하므로 U/ARM을 조정하게 되는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결합된 정면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분리된 정면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결합된 배면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분리된 배면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 부재(도 6: 150)와 캠 볼트(140)의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브라켓 부재(도 6: 150)는 제 1 지지부(151) 및 상기 제 1 지지부(151)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지지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제 1 지지부(151) 및 제 2 지지부(152)는 판상형이며 캠볼트(1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 1 지지부(151)는 외주부가 하우징(110)과의 결합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151) 및 제 2 지지부(152)의 중앙부에는 캠볼트(140)가 관통하는 세장형 캠볼트 관통 구멍(153)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캠볼트(140)가 수평 방향의 세장형 캠볼트 관통 구멍(153)을 따라 회전하면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가이드들(154)은 캠볼트 관통 구멍(153)을 사이에 두고 캠볼트 관통 구멍(153)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기어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브라켓에 캠볼트가 결합되는 모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차체 내부에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120),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130) 및 상기 제 2 샤프트(130)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140)를 조정하는 조정 기어(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정 기어(132)에는 제 1 기어 나사산(134)이 형성되어 있고, U/ARM의 캠 볼트(140)에는 제 2 기어 나사산(144)이 형성되어, 제 1 기어 나사산(134)과 제 2 기어 나사산(144)이 맞물려서 회전하므로 U/ARM을 조정하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브라켓 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브라켓 부재(150)는 제1 지지부(151) 및 상기 제 1 지지부(151)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지지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지지부(151) 및 제 2 지지부(152)는 판상형이며 캠볼트(1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이다.
차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상기 제 1 샤프트(120)의 일측에 마스터 너트(124)가 결합되어 있고, 차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의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120),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130) 및 상기 제 2 샤프트(130)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140)를 조정하는 조정 기어(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하우징(110)을 브라켓 부재(150)와 결합하도록 장착하고, 하우징(1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112)를 차체에 결합하여 하우징(110)을 고정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120)와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1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샤프트(120)의 일측에는 마스터 너트(12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터 너트(124)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마스터 너트(124)를 회전시켜 조정하면, 상기 제 1 샤프트(1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 샤프트(120)와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130)가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 2 샤프트(130)의 일측에 위치하는 조정 기어(132)가 U/ARM의 캠 볼트(140)를 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기어(132)에는 제 1 기어 나사산(134)이 형성되어 있고, U/ARM의 캠 볼트(140)에는 제 2 기어 나사산(144)이 형성되어, 상기 마스터 너트(124)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 1 샤프트(120)가 회전하고, 상기 제 1 샤프트(120)가 회전되면 수직 기어(1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130)가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제 2 샤프트(130)가 회전하게 되면 조정 기어(132)의 제 1 기어 나사산(134)과 U/ARM의 캠 볼트(140)의 제 2 기어 나사산(144)이 맞물려서 회전하여 U/ARM을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L/ARM 또는 A/ARM 조정 대신에 U/ARM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적용하여 시간을 소모함이 없이 효율적인 휠 얼라인먼트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하우징 112: 결합부
120: 제 1 샤프트 122: 수직기어
124: 마스터 너트 130: 제 2 샤프트
132: 조정 기어 134: 제 1 기어 나사산
140: 캠볼트 144: 제 2 기어 나사산
150: 브라켓 부재 151: 제 1 지지부
152: 제 2 지지부 153: 캠볼트 관통 구멍
154: 가이드들

Claims (13)

  1.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와 수직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를 조정하는 조정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측에는 마스터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기어는 베벨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제 1 샤프트와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어에는 제 1 기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ARM의 캠 볼트에는 제 2 기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는 하우징과 결합되는 브라켓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재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의 중앙부에는 캠볼트가 관통하는 세장형 캠볼트 관통 구멍이 각각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캠볼트 관통 구멍에서는 캠볼트가 회전하면서 좌우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는 캠볼트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들은 캠볼트 관통 구멍을 사이에 두고 캠볼트 관통 구멍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13.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 장치로서,
    차체 내부에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와 수직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2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의 일측에 위치하여 U/ARM의 캠 볼트를 조정하는 조정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KR1020170171153A 2017-12-13 2017-12-13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KR10245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153A KR102452697B1 (ko) 2017-12-13 2017-12-13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153A KR102452697B1 (ko) 2017-12-13 2017-12-13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545A true KR20190070545A (ko) 2019-06-21
KR102452697B1 KR102452697B1 (ko) 2022-10-11

Family

ID=6705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153A KR102452697B1 (ko) 2017-12-13 2017-12-13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5490B1 (en) * 2023-03-01 2023-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lignment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477A (ko) * 1983-02-11 1984-09-08 신일현 조향각도를 확대시킨 차량의 전륜구동 기구(機構)
KR19980031406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현가 암 이동에 의한 캠버(Chamber)각 조절장치
KR20040088675A (ko) 2003-04-10 2004-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휠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477A (ko) * 1983-02-11 1984-09-08 신일현 조향각도를 확대시킨 차량의 전륜구동 기구(機構)
KR19980031406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현가 암 이동에 의한 캠버(Chamber)각 조절장치
KR20040088675A (ko) 2003-04-10 2004-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휠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697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0388A (en) Wheel alignment adjustment device
US53019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oe and/or camber
TWI668143B (zh) 車輛的煞車軟管之支持構造
RU2014136387A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множеством колес с независимой регулировкой и геометрией контакта с дорогой
JP6335201B2 (ja) モジュール式に設定可能なアクスル調整部を有するアクスル装置、その製造のための方法及びトーションビームアクスルを有する原動機付き車両
KR102208342B1 (ko) 머드가드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 어셈블리 및 머드가드 어셈블리
CA3163588C (en) Front axle assembly and vehicle with the same
CN114506183A (zh) 独立驱动轮模块及其安装方法
CA2941044A1 (en) Disc brake arrangement
US8936136B2 (en) Brake caliper adjustment mechanism
KR20190070545A (ko) 차량의 휠얼라인먼트 조정장치
JP2017013782A (ja) 自動車車軸における配置のためのゴム・固体支承部
CN106494177B (zh) 一种扭力梁轮毂支架总成
CN106466999A (zh) 减振器安装座和机动车辆
JP2009196525A (ja) 車両懸架装置。
CN111017072B (zh) 翼子板定位装置及翼子板定位方法
SE1550617A1 (en) Wheel carrier
US6053517A (en) Support for the mudguard of a steering wheel of a machine, in particular for the steering wheel of an agricultural tractor
KR101845216B1 (ko) 차량용 캠버 조절장치
KR100290034B1 (ko) 캐스터각의 조절을 위한 컨트롤암의 결합구조
KR101376433B1 (ko) 위시 본 현가 시스템의 캠버 조절장치
US20230013593A1 (en) Motorcycle fairing attachment apparatus
KR100280913B1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캐스터각 조정구조
US6745483B2 (en) Vehicle wheel toe-in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CN216805585U (zh) 一种麦弗逊悬架主销及麦弗逊悬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