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392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392A
KR20190069392A KR1020197007298A KR20197007298A KR20190069392A KR 20190069392 A KR20190069392 A KR 20190069392A KR 1020197007298 A KR1020197007298 A KR 1020197007298A KR 20197007298 A KR20197007298 A KR 20197007298A KR 20190069392 A KR20190069392 A KR 20190069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neck portion
end side
width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407B1 (ko
Inventor
나오시 가나마루
세이치 가메이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0246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693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2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407A/ko
Publication of KR2019006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는 헤드가 얇은 칫솔을 제공한다. 선단측에 배치되고 식모면(111)에 모속이 심어 마련된 헤드부(110)와,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장 마련된 넥부(120)와, 넥부의 후단측에 연장 마련된 핸들부(130)를 구비한다. 헤드부의 두께가 2.0 내지 4.0mm이다. 넥부는, 식모면과 평행하고 또한 핸들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의 최솟값이 3.5mm 이상 4.5mm 이하이고,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폭이 일정 또는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넥부의 폭을 Wmm, 식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mm라고 하면, 넥부의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는 최솟값이 되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넥부의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일정한 경우는 가장 선단측의 최솟값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식모면과 평행하게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D/W로 구해지는 값이 0.7 이상 2.5 이하이고, 또한 폭이 최솟값이 되는 기점의 위치에 있어서 D/W로 구해지는 값과, 당해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가 0.05 이상이고, 또한 당해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의 D/W가 1.0을 상회하고, 폭이 최솟값이 되는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휨 계수 M(mm4)=W×D3가 165mm4 이상 625mm4 이하이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10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1187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특허문헌 1 내지 3으로부터,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 등의 관점에서 헤드의 두께를 얇게 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헤드의 두께를 얇게 하면, 강도의 저하 등이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폴리아세탈 수지(POM) 등 강도가 높은 수지가 사용된다. 특히, 금속제의 평선(平線)을 수지제의 헤드에 박아 넣어 솔을 유지하는 평선식 식모의 경우, 식모 강도, 헤드부의 내절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1439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485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0296호 공보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칫솔에 있어서는, 헤드부와 핸들부를 연결하는 넥부가 굵으면 헤드부를 얇게 한 것에 의한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의 향상 효과가 손상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특히, 넥을 폭이 넓게 하면, 조작성을 보다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관상도 헤드의 얇음이 눈에 띄지 않아 상품의 인상도 손상된다. 그러나, 넥부를 가늘게 한 경우, 지나치게 휘어서 반대로 조작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강도적으로도 더욱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PP) 등 칫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용 수지의 경우, 과제는 보다 현저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는 헤드가 얇은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따르면, 선단측에 배치되고 식모면에 모속이 심어 마련된 헤드부와, 해당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장 마련된 넥부와, 해당 넥부의 후단측에 연장 마련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 내지 4.0mm이고, 상기 넥부는,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고 또한 상기 핸들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의 최솟값이 3.5mm 이상 4.5mm 이하이고, 상기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상기 폭이 일정 또는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넥부의 상기 폭을 Wmm,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mm라고 하면, 상기 넥부의 폭이 상기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는 당해 최솟값이 되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상기 넥부의 폭이 상기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일정한 경우는 가장 선단측의 상기 최솟값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게 상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이 0.7 이상 2.5 이하이고, 또한 상기 폭이 최솟값이 되는 상기 기점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과, 당해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가 0.05 이상이고, 또한 당해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의 D/W가 1.0을 상회하고, 상기 폭이 최솟값이 되는 상기 기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휨 계수 M(mm4)=W×D3가 165mm4 이상 625mm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넥부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재의 굽힘 탄성률은, 1000MPa 이상 22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넥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폭이 최솟값이 되는 상기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당해 기준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휨 계수의 변화율이 1.3 이상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폭이 최솟값이 되는 상기 기점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과, 당해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는, 0.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범용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양호한 구강 내 조작성을 얻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칫솔(1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칫솔(1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칫솔(11)의 선단측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칫솔(11)의 선단측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핸들체 및 칫솔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도 1은 칫솔(1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칫솔(1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칫솔(11)의 선단측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칫솔(11)의 선단측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1)은, 선단에 배치되고 용모의 모속(114)이 식모된 헤드부(110)와, 헤드부(110)의 후단측에 연장 마련된 넥부(120)와, 넥부(120)의 후단측에 연장 마련된 핸들부(130)(이하, 헤드부(110)와 넥부(120)와 핸들부(130)를 합하여 핸들체(12)라고 칭한다)를 구비한다.
핸들체는, 전체로서 긴 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것이며, 예를 들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핸들체의 재질로서는, 굽힘 탄성률(JIS7171)이 1000MPa 이상 2200MPa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한 것 및 비용면을 고려하면 범용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핸들체는,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가 부분적 또는 전체에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엘라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PP가 보다 바람직하다.
헤드부(110)는, 두께 방향의 일방측(이하, 상면측이라고 칭한다)에 식모면(111)을 갖고 있다. 식모면(111)에는, 식모 구멍(112)이 복수 형성되고, 식모 구멍(112)에 용모의 모속(114)(도 2 참조)이 심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모속(114)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110)의 후단측의 단부는, 가장 선단측에 배치된 식모 구멍(112)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헤드부(110)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L11이라고 하면, 가장 후단측에 배치된 식모 구멍(112)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후단측에 거리 L11의 위치로 정의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10)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112)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각각 거리 L11 이격된 범위(110A)에 배치되어 있다. 범위(110A)의 후단측의 위치는, 헤드부(110)와 넥부(120)의 경계이다.
핸들부(130)의 선단측의 단부는 손가락 댐부가 되고, 손가락 댐부의 선단측의 단부가 넥부(120)와 핸들부(130)의 경계가 된다. 손가락 댐부는, 예를 들어 넥부(120)의 후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측의 면과, 핸들부(13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측의 면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능선, 혹은 넥부(120)의 후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의 반대측의 면과, 핸들부(13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의 반대측의 면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능선에 의해 구획된다. 이 경우, 넥부(120)와 핸들부(130)의 경계는 상기 능선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넥부(120)의 후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측의 면과, 핸들부(13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측의 면이 같은 평면으로 능선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는, 넥부(120)의 후단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측면과, 핸들부(13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측면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능선에 의해 손가락 댐부가 구획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넥부(120)와 핸들부(130)의 경계는 상기 능선에 의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측면으로 보아 핸들부(130)가 식모면(111)측으로 볼록해지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넥부(120)가 식모면(111)측으로 오목해지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S자 형상의 실시예의 핸들체(12)의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넥부(120)와 핸들부(130)의 경계가 정의된다.
핸들부(13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측에는, 중심 위치가 식모면(111)과는 반대측(도 2 및 도 4에서는 핸들부(130)보다도 하측)에 배치되고, 측면으로 보아 식모면(111)측이 볼록해지는 원호 윤곽의 곡면(133)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핸들부(13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과 반대측에는, 중심 위치가 식모면(111)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측면으로 보아 식모면(111)측이 볼록해지는 원호 윤곽의 곡면(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넥부(120)의 후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측에는, 중심 위치가 식모면(111)(도 2 및 도 4에서는 핸들부(130)보다도 상측)에 배치되고, 측면으로 보아 식모면(111)측이 오목해지는 원호 윤곽의 곡면(123)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넥부(120)의 후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과 반대측에는, 중심 위치가 식모면(111)에 배치되고, 측면으로 보아 식모면(111)측이 오목해지는 원호 윤곽의 곡면(124)이 형성되어 있다.
곡면(123) 및 곡면(133)은, 각각 핸들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접선과 식모면(111)의 교차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지만, 곡면(123)과 곡면(133)의 교차부에 있어서는 접선끼리의 교차각이 0 또는 180도가 아닌 각도(θ1)로 교차한다. 그 때문에, 곡면(123)과 곡면(133)의 교차부에 있어서는 능선(131)이 형성되어 있다.
곡면(124) 및 곡면(134)에 대해서도, 각각 핸들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접선과 식모면(111)의 교차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지만, 곡면(124)과 곡면(134)의 교차부에 있어서는 접선끼리의 교차각이 0 또는 180도가 아닌 각도(θ2)로 교차한다. 그 때문에, 곡면(124)과 곡면(134)의 교차부에 있어서는 능선(1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넥부(120) 및 핸들부(130)는, 능선(131, 132)을 사이에 둔 길이 방향의 일방측이 측면으로 보아 식모면(111)측이 볼록해지는 원호 윤곽의 곡면(133, 134)과, 능선(131, 132)을 사이에 둔 길이 방향의 타방측이 측면으로 보아 식모면(111)측이 오목해지는 원호 윤곽의 곡면(123, 124)으로 연결됨으로써 측면으로 보아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넥부(120)의 후단측의 경계는, 능선(131, 132)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능선(131, 132)보다 후단측은, 핸들부(130)가 배치되어 있는 범위(130A)이고, 헤드부(110)가 배치되어 있는 범위(110A)와, 핸들부(130)가 배치되어 있는 범위(130A)의 사이의 범위(120A)에 넥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핸들부(130)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식모면(111)측의 단부(능선(131)보다도 후단측)는 손가락 댐부가 된다. 사용자는, 손가락 댐부에 엄지 손가락을 대도록 하여 핸들부(130)를 쥠으로써, 칫솔(11)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능선(132)의 위치는, 능선(131)보다도 후단측이다. 그 때문에, 능선(132)의 위치가 능선(131)보다도 전단측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손가락 댐부가 두꺼워지고, 칫솔(11)의 조작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핸들체(12)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0 내지 200mm가 된다.
헤드부(110)의 폭, 즉 식모면(111)과 평행하고 또한 핸들부(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하, 간단히 폭이라고 칭한다)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5 내지 16mm가 바람직하고, 8 내지 1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모속(114)을 심어 마련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헤드부(110)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 내지 33mm가 바람직하고, 12 내지 28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모속(114)을 심어 마련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헤드부(110)의 두께는,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내지 4.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헤드부(11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어금니에 대한 도달성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넥부(120)의 길이는, 헤드부(110)를 구강 내에 삽입했을 때 넥부(120)가 입술에 닿기 때문에, 예를 들어 25 내지 7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넥부(120)의 폭은,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일정 또는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넥부(120)의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일정한 경우, 최솟값이 되는 위치는 가장 선단측의 위치로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넥부(120)는,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넥부(120)의 폭은,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넥부(120)의 최소 폭은 3.5mm 이상 4.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7mm 이상 4.3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넥부(12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입술이 닫히기 쉽고, 또한 어금니에 대한 도달성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넥부(120)에 있어서의 폭을 Wmm, 식모면(111)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mm라고 하면, 넥부(120)에 있어서의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식모면(111)과 평행하게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122)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은, 0.7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이상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이상 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8 이상 1.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넥부(120)의 최소 폭이 3.5mm 이상 4.5mm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D/W로 구해지는 값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에는, 브러싱 시에 넥부(120)가 휘기 쉬워져 조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과 함께, 넥부(120)가 폭이 넓어져 조작성을 손상시키는 데다가, 외관상도 헤드부(110)의 얇음이 눈에 띄지 않아 상품의 인상도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D/W로 구해지는 값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께 D가 커져 교합면을 브러싱할 때 입술이 닫히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헤드부(110)를 얇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작성 향상의 효과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D/W로 구해지는 값은 0.7 이상 2.5 이하이면 헤드부(110)를 얇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작성 향상을 유지하면서, 입술을 닫고 브러싱하기 쉬워진다.
또한, 넥부(120)에 있어서의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은, 1.0을 상회하고,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넥부(120)에 있어서의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은, 1.0을 상회하고,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 1.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넥부(120)에 있어서의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두께 D를 폭 W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넥부(120)가 휘기 쉬워지는 것에 의한 조작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넥부(120)가 폭이 넓어져 조작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당해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이 상기의 범위이면, 넥부(120)의 당해 위치가 구강 내에 삽입된 경우라도 입술이 닫히기 어려워지지 않고 조작성 향상의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이 상기의 범위이면, 입술이 닫히기 어려워지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조작성 향상의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위치(121)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과,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는, 0.05 이상 0.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 이상 0.0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가 상기 하한값을 하회하는 경우, 및 상기 상한값을 상회하는 경우는, D/W로 구해지는 값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및 D/W로 구해지는 값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위치(121)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과,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가 0.05 이상 0.07 이하이면 헤드부(110)를 얇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작성 향상을 유지하면서, 입술을 닫고 브러싱하기 쉬워진다.
또한,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은, 위치(121)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보다도 크고, 또한 차가 0.1 이상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과, 위치(121)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이 상기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경우는, 헤드부(110)를 얇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작성 향상을 유지하면서, 입술을 닫고 브러싱하기 쉬워진다.
또한, 핸들부(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선단측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후단측의 위치의 상기 D/W의 변화율에 관해서, 상술한 넥부(120)에 있어서의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의 상기 D/W의 변화율을 R01라고 하면, 변화율 R01은, 1.00을 상회하고,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의 상기 D/W의 변화율을 R02라고 하면, 변화율 R02는, 1.00을 상회하고,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의 상기 D/W의 변화율을 R03이라고 하면, 변화율 R03은, 1.00을 상회하고,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화율 R01, R02, R03은, R01<R02<R0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구강 내로 보다 들어가기 쉬운 넥부(120)의 선단측에서, 이미 두께 D가 큼으로 인해 입술을 닫고 브러싱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싱에 의한 부하가 걸리기 쉬운 넥부(120)의 후단부측에서, 보다 두께 D를 크게 변화시킴으로써, 두께 D 방향의 지나친 휨에 기인한 조작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로부터,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의 상기 D/W의 변화율을 R12라고 하면, 변화율 R12는, 1.00을 상회하고,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로부터, 위치(121)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의 상기 D/W의 변화율을 R23이라고 하면, 변화율 R23은, 1.00을 상회하고,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화율 R12, R23은, R01≤R12≤R2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변화율 R12, R23 중 적어도 한쪽은, 변화율 R01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강 내로 보다 들어가기 쉬운 넥부(120)의 선단측에서, 이미 두께 D가 큼으로 인해 입술을 닫고 브러싱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싱에 의한 부하가 걸리기 쉬운 넥부(120)의 후단부측에서, 보다 두께 D를 크게 변화시킴으로써, 두께 D 방향의 지나친 휨에 기인한 조작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재질이 동일한 경우, 강체의 휨양은, 「단면 2차 모멘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휨양은, 폭 W의 1승, 두께 D의 3승에 비례하기 때문에, 휨양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두께 D를 유지하면서, 폭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휨 계수 M(mm4)=W×D3이라고 하면, 넥부(120)의 위치(121)에 있어서의 폭 W, 두께 D로부터 계산되는 휨 계수 M은, 165mm4 이상 625mm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mm4 이상 525mm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mm4 이상 330mm4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넥부(120)의 위치(122)에 있어서의 폭 W, 두께 D로부터 계산되는 휨 계수 M은, 165mm4 이상 625mm4 이하이고, 180mm4 이상 525mm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mm4 이상 330mm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70mm4 이상 310mm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치(121)로부터 식모면(111)과 평행하게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넥부(120)에 있어서의 폭 W, 두께 D로부터 계산되는 휨 계수 M은, 350mm4 이상 550mm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121)로부터 식모면(111)과 평행하게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넥부(120)에 있어서의 폭 W, 두께 D로부터 계산되는 휨 계수 M은, 600mm4 이상 1500mm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122)에 있어서의 휨 계수 M이 165mm4 이상 625mm4 이하이면 입술을 닫고 브러싱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과 함께, 지나친 휨에 의한 조작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휨 계수 M의 변화율로서는, 위치(121)와 위치(122)의 사이에서는, 1.0 이상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122)와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휨 계수 M의 변화율로서는, 1.3 이상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와,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휨 계수 M의 변화율로서는, 1.7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이상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화율은 후단측의 위치에 있어서의 휨 계수를 선단측의 위치에 있어서의 휨 계수로 나눈 값, 예를 들어 위치(121)와 위치(122)의 사이에는, 위치(121)에 있어서의 휨 계수 M과 위치(122)에 있어서의 휨 계수 M으로부터 M/M으로서 계산되는 값이다.
휨 계수 M 및 그의 변화율이 상기의 범위이면,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입술을 닫고 브러싱하기 쉬워진다.
모속(114)은, 복수의 용모를 묶은 것이다. 식모면(111)으로부터 모속(114)의 선단까지의 길이(모 길이)는, 모속(114)에 요구하는 모 탄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6 내지 13mm가 된다. 모든 모속(114)은 같은 모 길이이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모속(114)의 굵기(모속 직경)는, 모속(114)에 요구하는 모 탄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내지 3mm가 된다. 모든 모속(114)은 같은 모속 직경이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모속(114)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예를 들어 모끝을 향하여 점차 그의 직경이 작아져, 모끝이 첨예화된 용모(테이퍼모), 식모면(111)으로부터 모끝을 향하여 그의 직경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레이트모로서는, 모끝이 식모면(111)에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된 것이나, 모끝이 반구상으로 둥글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어 6-12나일론(6-12NY), 6-10나일론(6-10NY) 등의 폴리아미드, PET,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모로서는, 코어부와 해당 코어부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시스부를 갖는 다중 코어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들 수 있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다각형, 별형, 세잎 클로버형, 네잎 클로버형 등으로 해도 된다. 모든 용모의 단면 형상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용모의 굵기는,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예를 들어 6 내지 9mil(1mil=1/1000inch=0.025mm)가 된다. 또한, 사용감,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칫솔(11)의 제조 방법은, 먼저, 사출 성형으로 핸들체(12)를 성형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핸들체(12)의 헤드부(110)에, 모속(114)을 식모한다. 모속(114)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모속(114)을 둘로 접어서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식모 구멍(112)에 박아 넣는 것에 의해 모속(114)을 심어 마련하는 평선식 식모, 모속(114)의 하단을 식모부가 되는 용융 수지 중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열융착법, 모속(114)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 덩어리를 형성한 후에 금형 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식모부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1)에 따르면, 넥부(120)에 있어서의 최소 폭이 3.5mm 이상 4.5mm 이하인 것으로, 입술을 닫고 브러싱하기 쉬워지는 상태를 확보하면서, D/W로 구해지는 값이 0.7 이상 2.5인 것에 의해, 폴리아세탈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물론, 폴리프로필렌 등의 범용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조작성의 저하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평선식 식모의 경우, 헤드부(110)에 평선 박아 넣음에 의한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헤드부(110)가 얇아 힘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에 대한 강도가 낮은 한편, 넥부(120)가 굵어 강도가 높은 경우, 이를 닦을 때의 스트레스가 헤드부(110)에 집중되어, 헤드부(110)의 휨이 커져 사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1)에 따르면, 넥부(120)를 가늘게 하여, 어느 정도의 휨성을 갖게 함으로써, 이를 닦을 때의 스트레스를 헤드부(110)로부터 넥부(120)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평선식 식모의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특히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7)
상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을 따라서 넥부(120)가 형성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칫솔을 제작하였다. 헤드부 및 핸들부의 폭, 길이, 두께,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하였다. PP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도 3 내지 4에 기재된 헤드부 및 핸들체의 일체 성형물을 얻었다(식모 구멍의 배열은, 헤드부의 선단으로부터 핸들체를 향해서 3구멍×1열, 4구멍×6열, 3구멍×1열. 헤드부의 폭 10mm, 길이 25mm, 두께 3.0mm. 핸들체의 길이 110mm. 넥부의 길이는 48mm). PBT제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테이퍼용 모(7.5mil)의 모속을, 평선식 식모에 의해 헤드부에 심어 마련하여 칫솔을 제작하였다.
각 예에 있어서의 넥부의 폭이 최소의 위치, 그 최소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20mm, 30mm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 W×D3로 구해지는 값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또한, 각 예에 있어서의 W×D3로 구해지는 값의 상기와 같이 각 위치의 휨 계수로부터 계산되는 변화율은 [표 3]에 나타나 있다. 또한, 각 예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의 변화율은 [표 4]에 나타나 있다.
(평가 방법)
각 예의 칫솔에 대해서, 하기의 방법으로 「칫솔의 구강 내 조작성(입 안에서 움직이기 쉬움)」을 평가하였다.
<칫솔의 조작성>
칫솔의 조작성은, 전문화 패널 10명이 각 예의 칫솔을 사용하여, 「구강 내 조작성」을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전문화 패널 10명의 평균점이 2.5점 이상을 「◎」, 평균점 2.0점 이상 2.5점 미만을 「○」, 평균점 1.5점 이상 2.0점 미만을 「△」, 평균점 1.5점 미만을 「×」라고 하였다.
≪평가 기준≫
3점: 입 안에서 움직이기 쉬움을 매우 느낀다.
2점: 입 안에서 움직이기 쉬움을 느낀다.
1점: 입 안에서 움직이기 쉬움을 별로 느끼지 않는다.
0점: 입 안에서 움직이기 쉬움을 느끼지 않는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의 두께가 2.0 내지 4.0mm이고, 넥부의 폭의 최솟값이 3.5mm 이상 4.5mm 이하이고, 넥부에 있어서의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이 0.7 이상 2.5 이하이고, 또한 폭이 최솟값이 되는 위치(121)에 있어서 D/W로 구해지는 값과,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가 0.05 이상이고, 휨 계수 M(mm4)=W×D3가 165mm4 이상 625mm4 이하이고,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이 1.0을 상회하고, 위치(121)로부터 후단측으로 3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이 위치(121)에 있어서 D/W로 구해지는 값보다도 크고, 또한 그 차가 0.1 이상인 경우에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율 R01, R02, R03, R12, R13이 각각 1.00을 상회하고, 또한 R01<R02<R03의 관계, R01≤R12≤R23의 관계를 만족한 경우에 대해서도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의 칫솔(11)에서는, 넥부(120)가 최소 폭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커지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폭으로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넥부(120)가 동일 폭으로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최소 폭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D/W로 구해지는 값이 0.7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1: 칫솔
12: 핸들체
110: 헤드부
111: 식모면
120: 넥부
130: 핸들부

Claims (5)

  1. 선단측에 배치되고 식모면에 모속이 심어 마련된 헤드부와,
    해당 헤드부의 후단측에 연장 마련된 넥부와,
    해당 넥부의 후단측에 연장 마련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 내지 4.0mm이고,
    상기 넥부는,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고 또한 상기 핸들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의 최솟값이 3.5mm 이상 4.5mm 이하이고, 상기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상기 폭이 일정 또는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넥부의 상기 폭을 Wmm,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mm라고 하면,
    상기 넥부의 폭이 상기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점차 커지는 경우는 당해 최솟값이 되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고, 상기 넥부의 폭이 상기 최솟값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일정한 경우는 가장 선단측의 상기 최솟값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식모면과 평행하게 상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이 0.7 이상 2.5 이하이고, 또한 상기 폭이 최솟값이 되는 상기 기점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과, 당해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가 0.05 이상이고, 또한 당해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의 D/W가 1.0을 상회하고,
    상기 폭이 최솟값이 되는 상기 기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휨 계수 M(mm4)=W×D3가 165mm4 이상 625mm4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 있어서, 상기 넥부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재의 굽힘 탄성률은 1000MPa 이상 22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최솟값이 되는 상기 기점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기준의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1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휨 계수의 변화율이 1.3 이상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최솟값이 되는 상기 기점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과, 당해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20mm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상기 D/W로 구해지는 값의 차는, 0.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97007298A 2016-10-28 2017-09-13 칫솔 KR102556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23753A KR20230113407A (ko) 2016-10-28 2017-09-13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1879 2016-10-28
JP2016211879 2016-10-28
PCT/JP2017/033101 WO2018079115A1 (ja) 2016-10-28 2017-09-13 歯ブラ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753A Division KR20230113407A (ko) 2016-10-28 2017-09-13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392A true KR20190069392A (ko) 2019-06-19
KR102556407B1 KR102556407B1 (ko) 2023-07-18

Family

ID=620246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298A KR102556407B1 (ko) 2016-10-28 2017-09-13 칫솔
KR1020237023753A KR20230113407A (ko) 2016-10-28 2017-09-13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753A KR20230113407A (ko) 2016-10-28 2017-09-13 칫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6) JP6385027B1 (ko)
KR (2) KR102556407B1 (ko)
CN (2) CN113208262B (ko)
SG (2) SG10202107804WA (ko)
WO (1) WO20180791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447A (ko) 2019-06-21 2020-12-30 이지영 치약 장착 형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5027B1 (ja) * 2016-10-28 2018-09-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407091B2 (ja) 2020-09-03 2023-12-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22100940A (ja) * 2020-12-24 2022-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WO2023127309A1 (ja) * 2021-12-28 2023-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
WO2024135197A1 (ja) * 2022-12-22 2024-06-2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914A (ja) 1993-11-22 1995-06-06 Johnson & Johnson Kk 歯ブラシ
JP2011004852A (ja) 2009-06-24 2011-01-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11200296A (ja) 2010-03-24 2011-10-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13118944A (ja) * 2011-12-07 2013-06-17 Lion Corp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20U (ja) * 1992-10-09 1994-05-06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CN2146276Y (zh) * 1992-12-24 1993-11-17 陈炳宏 软片球杆
JP2598708Y2 (ja) * 1993-02-10 1999-08-1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のハンドル
JP3333827B2 (ja) * 1994-08-26 2002-10-15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GB2308549A (en) * 1995-12-29 1997-07-02 David Brown Vallance Matched golf clubs
EP0955837B2 (en) * 1997-11-12 2008-10-22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
JP2001211936A (ja) * 1999-11-25 2001-08-07 Johnson & Johnson Kk 歯清掃部材用の柄
JP2001299450A (ja) * 2000-04-27 2001-10-30 Lion Corp 歯ブラシ
JP2002028028A (ja) * 2000-07-14 2002-01-29 Lion Corp 歯ブラシハンドル
JP2003135148A (ja) * 2001-10-31 2003-05-13 Lion Corp 歯ブラシ
US20060048322A1 (en) * 2001-12-04 2006-03-09 Oriani Paulo Cesar D G Toothbrush
TWI397553B (zh) * 2005-04-26 2013-06-01 Unitika Ltd 生物分解性樹脂組成物、由該組成物構成之成形體,及該組成物之製造方法
CN2904767Y (zh) * 2006-05-26 2007-05-30 侯龙忠 新型牙刷
JP2011030950A (ja) * 2009-08-05 2011-02-17 Ra Nobirita:Kk 奥歯磨き用歯ブラシ
CN104248213B (zh) * 2009-12-18 2016-05-18 高露洁-棕榄公司 具有多构件手柄的口腔护理器具
EP2363038A1 (de) * 2010-03-05 2011-09-07 Didar Almabekov Zahnbürste
GB201104024D0 (en) * 2011-03-09 2011-04-20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Novel device
RU2580498C1 (ru) * 2012-03-22 2016-04-10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меющее гибкую ручку
AU2013384832B2 (en) * 2013-03-28 2016-02-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TWM483715U (zh) * 2013-07-26 2014-08-11 Hao-Bin Pu 保健牙刷
US20150057111A1 (en) * 2013-08-20 2015-02-26 Quattriuum Inc.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quantifying motion
JP6364641B2 (ja) * 2013-09-13 2018-08-0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6170802B2 (ja) * 2013-10-02 2017-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ブラシ
JP2015091283A (ja) * 2013-11-08 2015-05-14 ジュンチョル ユン 歯ブラシ
JP6385027B1 (ja) * 2016-10-28 2018-09-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914A (ja) 1993-11-22 1995-06-06 Johnson & Johnson Kk 歯ブラシ
JP2011004852A (ja) 2009-06-24 2011-01-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11200296A (ja) 2010-03-24 2011-10-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13118944A (ja) * 2011-12-07 2013-06-17 Lion Corp 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447A (ko) 2019-06-21 2020-12-30 이지영 치약 장착 형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26521A (ja) 2023-02-24
JP2023026520A (ja) 2023-02-24
KR20230113407A (ko) 2023-07-28
JP6385027B1 (ja) 2018-09-05
CN113208262B (zh) 2023-01-13
CN113208262A (zh) 2021-08-06
CN109890249B (zh) 2021-05-11
JP2023026518A (ja) 2023-02-24
SG10202107804WA (en) 2021-09-29
JP2023026519A (ja) 2023-02-24
JP2018118169A (ja) 2018-08-02
KR102556407B1 (ko) 2023-07-18
SG10202107814QA (en) 2021-09-29
CN109890249A (zh) 2019-06-14
WO2018079115A1 (ja) 2018-05-03
JPWO2018079115A1 (ja)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9392A (ko) 칫솔
KR101971310B1 (ko) 칫솔
KR20180120143A (ko) 칫솔
KR20180114550A (ko) 칫솔
KR20170137701A (ko) 칫솔
CN109890247B (zh) 牙刷
KR102418463B1 (ko) 칫솔
KR20200037203A (ko) 칫솔
KR20180127964A (ko) 칫솔
KR102658490B1 (ko) 칫솔
CN111093430B (zh) 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