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447A - 치약 장착 형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 장착 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447A
KR20200145447A KR1020190074484A KR20190074484A KR20200145447A KR 20200145447 A KR20200145447 A KR 20200145447A KR 1020190074484 A KR1020190074484 A KR 1020190074484A KR 20190074484 A KR20190074484 A KR 20190074484A KR 20200145447 A KR20200145447 A KR 20200145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tube
brus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19007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5447A/ko
Publication of KR2020014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specially adapted to feed the bristl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6Means for closing or sealing, e.g. toothpaste outlet when brush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r dry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9Caps or cover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장착 형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 본체에 의하여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하고, 치약 본체에 의하여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하고, 버튼에 의하여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하고, 뚜껑에 의하여 위생을 지킬 수 있게 함으로써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칫솔에 있어서 양치를 잘 할 수 있게 미세한 모로 구성한 솔,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칫솔 본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치약 본체,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버튼,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뚜껑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칫솔 본체에 의하여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하고, 치약 본체에 의하여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하고, 버튼에 의하여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하고, 뚜껑에 의하여 위생을 지킬 수 있게 함으로써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치약 장착 형 칫솔{Paste attached toothbrush with cap}
본 발명은 치약 장착 형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에 있어서,
양치를 잘 할 수 있게 미세한 모로 구성한 솔,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칫솔 본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치약 본체,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버튼,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뚜껑으로 구성 하여서,
칫솔 본체에 의하여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하고, 치약 본체에 의하여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하고, 버튼에 의하여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하고, 뚜껑에 의하여 위생을 지킬 수 있게 함으로써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사용자가 양치를 할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칫솔은 솔, 칫솔 본체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칫솔은 칫솔 본체를 손으로 잡고 솔을 이용해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실용신안) 공개 제1020190069392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칫솔이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양치를 잘 할 수 있게 미세한 모로 구성한 솔,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칫솔 본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치약 본체,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버튼,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뚜껑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치를 잘 할 수 있게 미세한 모로 구성한 솔,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칫솔 본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치약 본체,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버튼,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뚜껑으로 구성 함으로써, 칫솔 본체에 의하여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하고, 치약 본체에 의하여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하고, 버튼에 의하여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하고, 뚜껑에 의하여 위생을 지킬 수 있게 함으로써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을 앞에서 본 그림
도 2: 본 발명의 하부를 측면에서 본 그림
도 3: 본 발명에 하부를 절단해서 본 그림
도 4: 본 발명을 정면에서 본 그림
즉, 본 발명은 양치를 잘 할 수 있게 미세한 모로 구성한 (100)솔,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200)칫솔 본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300)치약 본체,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400)버튼,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500)뚜껑으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200)칫솔 본체는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300)치약 본체는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400)버튼은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것이다.
여기서, (500)뚜껑은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칫솔에 있어서 양치를 잘 할 수 있게 미세한 모로 구성한 (100)솔,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200)칫솔 본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300)치약 본체,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400)버튼,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500)뚜껑으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양치를 해야할 경우 두 가지 모두를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200)칫솔 본체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원통형으로 구성한 (300)치약 본체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400)버튼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500)뚜껑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위생을 지킬 수 있게 될 것이다.
100: 솔, 200: 칫솔 본체, 300: 치약 본체, 400: 버튼, 500: 뚜껑

Claims (5)

  1. 칫솔에 있어서,
    양치를 잘 할 수 있게 미세한 모로 구성한 (100)솔,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한 (200)칫솔 본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한 (300)치약 본체,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한 (400)버튼,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한 (500)뚜껑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장착 형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200)칫솔 본체를 통하여 치약을 짜게 될 경우 치약이 관을 통해 칫솔의 솔까지 올라와 솔에 자동으로 스며들 수 있게 칫솔 안에 치약 입구에서 시작되는 관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장착 형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300)치약 본체를 통하여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원통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장착 형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400)버튼을 통하여 치약을 사용할 경우와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스프링을 이용해 관을 막을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장착 형 칫솔.
  5. 제 1항에 있어서,
    (500)뚜껑을 통하여 위생을 지킬 수 있게 원기둥 모양을 만들고 난 후 통의 양옆면에 가늘고 긴 구멍을 내서 공기가 통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장착 형 칫솔.
KR1020190074484A 2019-06-21 2019-06-21 치약 장착 형 칫솔 KR20200145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484A KR20200145447A (ko) 2019-06-21 2019-06-21 치약 장착 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484A KR20200145447A (ko) 2019-06-21 2019-06-21 치약 장착 형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447A true KR20200145447A (ko) 2020-12-30

Family

ID=7408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484A KR20200145447A (ko) 2019-06-21 2019-06-21 치약 장착 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54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392A (ko) 2016-10-28 2019-06-1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392A (ko) 2016-10-28 2019-06-1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4909A1 (en) Device applied in the toothbrush with disposable bristles and toothpaste injector reservoir
US2640488A (en) Multipurpose pocket-type toothbrush and dentifrice appliance
KR20200145447A (ko) 치약 장착 형 칫솔
CN205658566U (zh) 一种新型牙膏牙刷套装
CN206119567U (zh) 一种多功能旅行牙刷
KR20200090421A (ko) 치약 장착 형 칫솔
KR20130006411A (ko) 치간 칫솔을 포함하는 칫솔
CN211747671U (zh) 一种便于携带的牙刷
KR20170040455A (ko) 개량형 칫솔
CN204363275U (zh) 一种双头牙刷
CN205456957U (zh) 便于携带的抗菌防尘牙刷
CN207544611U (zh) 便携一体牙刷
KR20200125344A (ko) 탈부착형 칫솔 브러쉬
CN207821367U (zh) 一种牙刷
CN208708868U (zh) 一种多功能旅行牙刷
CN212852826U (zh) 便携式牙刷
KR20200054442A (ko) 일체형 칫솔치약
KR200331100Y1 (ko) 양치질액이 수용된 칫솔
CN201011931Y (zh) 简易便携牙刷
KR20200021374A (ko) 치약을 내장한 칫솔
KR20210147804A (ko) 자동으로 치약이 나오는 칫솔
KR20170077675A (ko) 치약튜브 홀딩기능을 갖는 칫솔
KR20230051740A (ko) 칫실
CN205410225U (zh) 一种舌套牙刷
KR20230155667A (ko) 설태 제거부를 갖는 칫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