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783A -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783A
KR20190065783A KR1020170165296A KR20170165296A KR20190065783A KR 20190065783 A KR20190065783 A KR 20190065783A KR 1020170165296 A KR1020170165296 A KR 1020170165296A KR 20170165296 A KR20170165296 A KR 20170165296A KR 20190065783 A KR20190065783 A KR 20190065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lamp
unit
termi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515B1 (ko
Inventor
장한주
문태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5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25Small compartments, e.g.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개폐와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는 스위치유닛,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램프유닛, 상기 스위치유닛과 상기 램프유닛을 연결하는 와이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유닛이 돌출됨으로써 메인전원이 통전되어 상기 램프유닛의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LIGHTING DEVICE FOR GLOVE BOX}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개폐와 연동하여 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되는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는 일반적으로 조수석 쪽의 크래쉬패드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글로브박스는 크래쉬패드 쪽에 일체로 고정되는 글로브박스커버와, 글로브박스커버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고 내부에 물품이 놓여 지기 위한 수납함을 형성하는 글로브박스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글로브박스는 잠금장치와 개폐장치가 설치되는데, 잠금장치는 키(key)를 이용하여 타인이 함부로 개방하지 못하게 잠금 시킬 때 사용하며, 개폐장치는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때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글로브박스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많은 차량에서 글로브박스 내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72365호는 "차량용 글로브박스"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수납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커버와 함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수납공간을 조명하는 조명램프와, 조명램프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와, 커버에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되어, 그 일단부가 하우징 측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록킹레버(locking lever)를 포함하며, 조명램프는 록킹레버의 동작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작동구조를 단순화하고 글로브박스의 개폐와 연동하여 안정적으로 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개폐와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는 스위치유닛,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램프유닛, 상기 스위치유닛과 상기 램프유닛을 연결하는 와이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유닛이 돌출됨으로써 메인전원이 통전되어 상기 램프유닛의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로, 상기 스위치유닛은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슬라이딩로드, 상기 슬라이딩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되는 터미널유닛, 상기 터미널유닛이 통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는 부품수의 축소로 인해 원가 및 중량을 낮출 수 있고, 작업 공정수를 줄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구성이 단순하여 부품간 간섭이나 소음이 적고 안정적인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가 글로브박스에 조립된 상태(상)와 글로브박스에서 분리된 상태(하)의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글로브박스의 조명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유닛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고정유닛에 벌브형 램프가 적용된 경우(a)와 LED형이 적용된 경우(b)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유닛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유닛의 터미널유닛, 슬라이딩로드,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유닛의 도통상태(a)(글로브박스 개방)와 차단상태(b)(글로브박스 폐쇄)의 사시도이다.(스위치하우징 미도시)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개폐와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는 스위치유닛(10),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램프유닛(20), 상기 스위치유닛과 상기 램프유닛을 연결하는 와이어유닛(30)을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유닛이 돌출됨으로써 메인전원이 통전되어 상기 램프유닛의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가 글로브박스에 조립된 상태(상)와 글로브박스에서 분리된 상태(하)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유닛의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스위치유닛의 구성 중 터미널유닛, 슬라이딩로드, 탄성부재의 사시도로 부위별 명칭 및 형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스위치유닛(10)은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슬라이딩로드(11), 상기 슬라이딩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되는 터미널유닛(12), 상기 터미널유닛이 통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3), 상기 터미널유닛과 상기 슬라이딩로드가 고정되는 스위치하우징(14)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글로브박스 고정브라켓(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14)은 상기 글로브박스 고정브라켓의 하부 플랜지에 2개소 이상 체결부재(15, 16)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글로브박스 고정브라켓은 상기 스위치하우징을 먼지 및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상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로드(11)는 상기 터미널유닛을 관통하는 터미널 이동부(11a), 상기 스위치하우징(14)에 의해 좌우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11b), 상기 글로브박스의 개방 시 상기 글로브박스 고정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글로브박스의 폐쇄 시 상기 글로브박스 고정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글로브박스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박스 접촉부가 돌출(글로브박스 개방)되면 상기 탄성부재(13)의 양측이 상기 터미널유닛(12)과 접촉하여 상기 램프(21)가 점등되고(도 9,(a)), 상기 접촉부가 삽입(글로브박스 폐쇄)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상기 터미널유닛과 이격되어(도 9,(b)) 상기 램프가 소등된다.
상기 터미널 이동부(11a)의 후단에는 상기 탄성부재(13)가 상기 슬라이딩로드(11)의 돌출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정지면(11c)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고정부(11b)는 선단에 상기 터미널유닛(12)과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딩로드(11)가 삽입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정지면(11d)을 포함하고, 후단에 상기 스위치하우징(14)과 접하여 상기 슬라이딩로드가 돌출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정지면(11e)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유닛의 도통상태(a)(글로브박스 개방)와 차단상태(b)(글로브박스 폐쇄)의 사시도이다.(스위치하우징 미도시)
도 9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탄성부재(13)는 최대 압축상태일 때, 상기 제2정지면(11d)이 상기 제2접촉부(12e)와 접촉할 때 상기 제1정지면(11c)에서 상기 터미널유닛의 제1터미널(12a)의 제1접촉부(12b)까지의 길이 이하이며, 자유상태일 때, 상기 제1접촉부에서 상기 제2접촉부까지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 고정부(11b)의 좌우형상은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관통하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4)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도록 하여 좌우 유동을 최소화한다.
상기 터미널유닛(12)은 상기 터미널 이동부(11a)의 선단이 관통하는 제1터미널(12a), 상기 터미널 이동부의 후단이 관통하는 제2터미널(12d)을 포함하며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슬라이딩로드(11)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스위치하우징(14)에 체결되는데 체결방식 및 순서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터미널(12a)은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13)의 일측과 항상 접촉하는 상기 제1접촉부(12b)와 타측에 상기 와이어유닛(30)이 체결되는 제1체결부(12c)를 포함하며, 상기 제2터미널(12d)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로드(11)가 돌출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과 접촉하고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과 이격되는 제2접촉부(12e), 타측에 상기 와이어유닛이 체결되는 제2체결부(12f)를 포함한다.
도 @와 같이, 상기 제1체결부(12c)와 상기 제2체결부(12f)는 상기 와이어유닛(30)이 체결되는 체결홀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유닛과 상기 와이어유닛을 고정한다.
상기 램프유닛(20)은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에 고정되는 램프하우징(22),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램프(21)를 고정하는 램프고정유닛(23), 일측으로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되고 타측으로 상기 와이어유닛(30)과 연결되는 전원인가부재(24)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유닛의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유닛에 벌브형 램프가 적용된 경우(a)와 LED형이 적용된 경우(b)의 사시도이다.
상기 램프고정유닛(23)은 일측이 상기 램프(21)를 고정하고 타측으로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되는 제1램프고정부재(23a), 일측이 상기 램프를 고정하고 타측이 상기 와이어유닛과 연결되는 제2램프고정부재(23e)를 포함하고, 상기 제1램프고정부재의 일측은 상기 램프의 전극과 접촉하는 제1전극접촉부(23b), 상기 램프의 몸체를 감싸는 반원형태의 제1벌브고정부(23c)를 포함하며, LED보드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보드고정부(23d)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램프고정부재(23e)의 일측은 상기 램프(21)의 전극과 접촉하는 제2전극접촉부(23f), 상기 램프의 몸체를 감싸는 반원형태의 제2벌브고정부(23g)를 포함하며, LED보드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2보드고정부(23h)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보드고정부(23d)와 상기 제2보드고정부(23h)에 의해 상기 램프유닛(23)에는 벌브형 램프뿐 아니라 LED형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LED보드는 상기 램프의 전극과 동일한 위치에 접촉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단자는 무극성으로 차량 전원(12V)를 인가하면 LED모듈에서 저항회로 또는 정전류회로를 지나 적정 전압을 LED에 공급하여 점등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전원인가부재(24)의 일측과 상기 제2램프고정부재(23e)의 타측은 상기 와이어유닛(30)이 체결되는 체결홀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하우징(22)과 상기 전원인가부재과 상기 와이어유닛을 고정하고, 상기 램프하우징과 상기 제2램프고정부재와 상기 와이어유닛을 고정한다.
상기 와이어유닛(30)은 상기 제2램프고정부재(23e)의 타측과 상기 제1터미널의 제1체결부(12c)와 체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전원인가부재(24)의 일측과 상기 제2터미널의 제2체결부(12f)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는 상기 메인전원이 상시 인가되며, 상기 글로브박스가 개방됐을 때 도통상태가 되어 상기 메인전원에 의해 상기 램프가 점등되고, 상기 글로브박스가 폐쇄됐을 때 차단상태가 되어 상기 램프가 소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스위치유닛
20 : 램프유닛
30 : 와이어유닛
11 : 슬라이딩로드
12 : 터미널유닛
13 : 탄성부재
14 : 스위치하우징
15 : 체결부재
16 : 체결부재
11a : 터미널 이동부
11b : 하우징 고정부
11c : 제1정지면
11d : 제2정지면
11e : 제3정지면
12a : 제1터미널
12b : 제1접촉부
12c : 제1체결부
12d : 제2터미널
12e : 제2접촉부
12f : 제2체결부
21 : 램프
22 : 램프하우징
23 : 램프고정유닛
24 : 전원인가부재
23a : 제1램프고정부재
23b : 제1전극접촉부
23c : 제1벌브고정부
23d : 제1보드고정부
23e : 제2램프고정부재
23f : 제2전극접촉부
23g : 제2벌브고정부
23h : 제2보드고정부

Claims (15)

  1. 글로브박스의 개폐와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는 스위치유닛;
    글로브박스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램프유닛;
    상기 스위치유닛과 상기 램프유닛을 연결하는 와이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면 상기 스위치유닛이 돌출됨으로써 메인전원이 통전되어 상기 램프유닛의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유닛은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슬라이딩로드;
    상기 슬라이딩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되는 터미널유닛;
    상기 터미널유닛이 통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유닛은
    상기 터미널유닛과 상기 슬라이딩로드가 고정되는 스위치하우징;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글로브박스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로드는
    상기 터미널유닛을 관통하는 터미널 이동부;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좌우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이동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이동부의 후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정지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선단에 상기 터미널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정지면; 을 포함하고
    후단에 상기 스위치하우징과 접하여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3정지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유닛은
    상기 터미널 이동부의 선단이 관통하는 제1터미널;
    상기 터미널 이동부의 후단이 관통하는 제2터미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이동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은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과 항상 접촉하는 제1접촉부;
    타측에 상기 와이어유닛이 체결되는 제1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로드가 돌출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
    타측에 상기 와이어유닛이 체결되는 제2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유닛은
    상기 글로브박스 하우징에 고정되는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고정유닛;
    일측으로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되고 타측으로 상기 와이어유닛과 연결되는 전원인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정유닛은
    일측이 상기 램프를 고정하고 타측으로 상기 메인전원이 인가되는 제1램프고정부재;
    일측이 상기 램프를 고정하고 타측이 상기 와이어유닛과 연결되는 제2램프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고정부재의 일측은
    상기 램프의 전극과 접촉하는 제1전극접촉부;
    상기 램프의 몸체를 감싸는 반원형태의 제1벌브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고정부재는
    LED보드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보드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램프고정부재의 일측은
    상기 램프의 전극과 접촉하는 제2전극접촉부;
    상기 램프의 몸체를 감싸는 반원형태의 제2벌브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램프고정부재는
    LED보드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2보드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KR1020170165296A 2017-12-04 2017-12-04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KR10244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96A KR102440515B1 (ko) 2017-12-04 2017-12-04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96A KR102440515B1 (ko) 2017-12-04 2017-12-04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783A true KR20190065783A (ko) 2019-06-12
KR102440515B1 KR102440515B1 (ko) 2022-09-06

Family

ID=6684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96A KR102440515B1 (ko) 2017-12-04 2017-12-04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896A1 (ko) * 2019-08-01 2021-02-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글로브박스용 조명장치 및 글로브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686B1 (ko) * 2014-11-10 2015-12-02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686B1 (ko) * 2014-11-10 2015-12-02 덕양산업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896A1 (ko) * 2019-08-01 2021-02-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글로브박스용 조명장치 및 글로브박스
CN114206673A (zh) * 2019-08-01 2022-03-18 株式会社利富高韩国 用于手套箱的照明装置及手套箱
US11919444B2 (en) 2019-08-01 2024-03-05 Nifco Korea Inc. Glove box lighting device and glove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515B1 (ko)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2708B2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US20090225568A1 (en) Light Device
ES2174348T3 (es) Mecanismo conectador con palanca de bloqueo.
KR20190065783A (ko)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US20080121501A1 (en) Switch structure having integrated damper for lighting glove box lamp
JP2012248411A (ja) 照明器具
KR20080082766A (ko) 스위치 겸용 댐퍼를 이용한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점등회로
KR101573686B1 (ko)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JPH08216774A (ja) 車両用の前照灯
CN111971484A (zh) 阻尼器装置
US6965086B2 (en) Electronic device
KR101976957B1 (ko) 글로브박스 연동형 글로브박스의 조명장치
JP2010143357A (ja) ルーフコンソールの照明構造
KR101125242B1 (ko) 램프가 설치된 차량용 손잡이
US20220250539A1 (en) Glove box lighting device and glove box
JP2003146077A (ja) 車両用ドアスイッチ
JP2015085796A (ja) 車両用ドアミラー
KR950004340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조명 장치
KR200494878Y1 (ko) 글로브 박스 램프 스위치 장치
KR0171327B1 (ko) 충격흡수 구조로된 차량용 도어스위치
KR200469469Y1 (ko)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JP2009108649A (ja) ドアストッパ
KR101327053B1 (ko) 카고스크린 일체형 러기지 램프
US8147104B2 (en) Vehicle room light apparatus
JP3617151B2 (ja) 電気機器の発光素子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