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132A - 연출 출력 완구 - Google Patents
연출 출력 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5132A KR20190065132A KR1020180148475A KR20180148475A KR20190065132A KR 20190065132 A KR20190065132 A KR 20190065132A KR 1020180148475 A KR1020180148475 A KR 1020180148475A KR 20180148475 A KR20180148475 A KR 20180148475A KR 20190065132 A KR20190065132 A KR 201900651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cle
- section
- toy body
- toy
- toy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6—Dolls provided with electrical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의 협동에 의한 연출에 의해, 더 한층의 즐거움이나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연출 출력 완구를 제공한다.
연출 출력 완구는, 제1 완구체(10)와 제2 완구체(40)를 구비한다. 제1 완구체(10)는, 제1 완구체(10)에의 접촉을 검출 가능한 접촉 검출부(33)와, 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부(32)와,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수신부(32)를 수신 가능 상태로 제어 가능한 수신 제어부와, 수신부(32)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서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39)를 갖는다. 한편, 제2 완구체(40)는, 상기 신호를 송신 가능한 송신부(52)를 갖는다.
연출 출력 완구는, 제1 완구체(10)와 제2 완구체(40)를 구비한다. 제1 완구체(10)는, 제1 완구체(10)에의 접촉을 검출 가능한 접촉 검출부(33)와, 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부(32)와,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수신부(32)를 수신 가능 상태로 제어 가능한 수신 제어부와, 수신부(32)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서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39)를 갖는다. 한편, 제2 완구체(40)는, 상기 신호를 송신 가능한 송신부(52)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를 구비한 연출 출력 완구에 관한 것이다.
후기하는 특허문헌 1에는, 인형의 손을 당해 인형의 얼굴에 근접시킴으로써, 손 안의 영구 자석에 의해 얼굴 안의 자기 응동 스위치를 작동시켜 얼굴 안의 소형 전구를 점등시키고, 당해 점등에 의해 얼굴의 볼을 빨갛게 발색시키도록 한 표정 변화 인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표정 변화 인형은, 손을 얼굴에 근접시켰을 때의 얼굴의 표정 변화를 연출의 주체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즐거움이나 재미에 한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의 협동에 의한 연출에 의해, 더 한층의 즐거움이나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연출 출력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는,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를 구비한 연출 출력 완구이며, 상기 제1 완구체는, 당해 제1 완구체에의 접촉을 검출 가능한 접촉 검출부와, 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부와, 상기 접촉 검출부에 의한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부를 수신 가능 상태로 제어 가능한 수신 제어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에 따라서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를 갖고, 상기 제2 완구체는, 상기 신호를 송신 가능한 송신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연출 출력 완구에 의하면,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의 협동에 의한 연출에 의해, 더 한층의 즐거움이나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연출 출력 완구의 제1 완구체를 앞에서 본 도면, 도 1의 (B)는 도 1의 (A)의 S1-S1선 단면도(제1 완구체의 머리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완구체에 설치된 제1 동작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연출 출력 완구의 제2 완구체를 위에서 본 도면, 도 3의 (B)는 도 3의 (A)의 S2-S2선 단면도(제2 완구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완구체에 설치된 제2 동작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3에 도시한 제2 완구체에 장착 가능한 물품을 위에서 본 도면,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한 물품을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1 완구체의 기본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제2 완구체에 도 5에 도시한 물품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완구체의 기본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를 사용한 유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를 사용한 유희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완구체에 설치된 제1 동작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연출 출력 완구의 제2 완구체를 위에서 본 도면, 도 3의 (B)는 도 3의 (A)의 S2-S2선 단면도(제2 완구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완구체에 설치된 제2 동작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3에 도시한 제2 완구체에 장착 가능한 물품을 위에서 본 도면,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한 물품을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1 완구체의 기본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제2 완구체에 도 5에 도시한 물품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완구체의 기본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를 사용한 유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를 사용한 유희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연출 출력 완구의 제1 완구체(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A)의 앞쪽을 전, 안쪽을 후, 좌측을 우, 우측을 좌, 상측을 상, 하측을 하라고 표기하고, 도 1의 (B)에 대해서도 이것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제1 완구체(10)는, 캐릭터를 모방한 외관을 갖는 인형이며, 머리부(11)와 몸통부(12)와 좌우 한 쌍의 팔부(13)와 좌우 한 쌍의 다리부(14)를 갖는다. 또한, 머리부(11)의 전방면에는, 좌우 한 쌍의 눈부(15)와 입부(16)와 장식부(17)가 설치된다. 또한, 머리부(11)의 입부(16)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광 통과 구멍(11a)이 형성되고, 머리부(11)의 윗부분(장식부(17)가 설치된 부분)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광 통과 구멍(11b)이 형성된다.
제1 완구체(10)의 머리부(11)의 표면 부분(입부(16)를 포함함)은, 연질재, 예를 들어 펠트계 생지나 보어계 생지 등의 직물이나, 당해 직물을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시트에 부착한 것 등으로 형성된다. 머리부(11)의 내측에는, 필요에 따라서, 쿠션재(도시 생략), 예를 들어 비즈류나 파이프류나 면류 등을 충전해도 된다. 덧붙여 말하면, 몸통부(12)와 각 팔부(13)와 각 다리부(14)의 표면 부분의 재료 등도, 머리부(11)의 표면 부분의 재료 등과 동일하다. 장식부(17)는, 투광재,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한 합성 수지나, 이것에 채색을 실시한 유색 반투명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머리부(11)의 내부에는, 내부 프레임(18)과 제어 박스(19)와 전원 박스(20)가 설치된다. 또한, 입부(16)의 내측에는, 당해 입부(16)와 근접하여(당해 입부(16)의 근방에) 후기하는 수신부(32)와 후기하는 접촉 검출부(33)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후기하는 수신부(32)는, 그 수신 부위가 광 통과 구멍(11a)과 마주보도록(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후기하는 수신부(32)의 후방측에 후기하는 접촉 검출부(33)가 배치된다. 또한, 머리부(11)의 장식부(17)가 설치된 부분의 내측에는, 발광 부위가 광 통과 구멍(11b)과 마주보도록(대향하도록) 후기하는 발광부(36)가 배치된다.
후기하는 수신부(32)와 후기하는 수신부(32)의 배치에 대해 보충하면,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기하는 수신부(32)는 내부 프레임(18)에 스프링 가압 하에서 지지되어 있고, 그 후방측에 후기하는 수신부(32)가 배치된다. 즉, 입부(16)를 형성하는 연질재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당해 가압에 의해 후기하는 수신부(32)가 스프링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후퇴하는 후기하는 수신부(32)에 의해 후기하는 접촉 검출부(33)를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사용하여, 제1 완구체(10)에 설치된 제1 동작 제어부(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동작 제어부(30)는, 주 제어부(31)와 수신부(32)와 접촉 검출부(33)와 전원 스위치(34)와 전원부(35)와 발광부(36)와 발음부(37)와 기억부(38)를 갖고, 주 제어부(31)와 발광부(36)와 발음부(37)와 기억부(38)에 의해 연출 출력부(39)가 구성된다. 덧붙여 말하면, 도 1의 (B)에 도시한 제어 박스(19)에는, 주 제어부(31)와 발음부(37)와 기억부(38)가 설치되고, 전원 박스(20)에는, 전원부(35)가 되는 건전지나 충전지 등이 설치된다. 또한, 전원 박스(20)는, 제1 완구체(10)의 머리부(11)의 후방면에 설치된 개폐 부분(도시 생략)을 개방함으로써 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원 스위치(34)는 전원 박스(20)의 주위 또는 제1 완구체(10)의 머리부(11)의 후방면에 설치된다.
주 제어부(31)는, 마이크로컴퓨터, 각종 드라이버 및 각종 인터페이스 등을 갖고, 동작 제어용 프로그램을 ROM에 저장한다. 수신부(32)는,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등의 가시광을 사용한 광 수신 모듈로 이루어진다. 접촉 검출부(33)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발광부(36)는, 바람직하게는 적색, 녹색, 청색, 적자색, 황색, 하늘색, 백색의 7색 발광 등을 가능하게 한 풀 컬러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발음부(37)는, 바람직하게는 스피커로 이루어진다.
기억부(38)는, 제1 완구체(10)의 기동 시 등에 추출 가능하고, 또한 수신부(32)에서 수신된 광 신호가 갖는 연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 가능한, 단색 발광이나 복수 색의 순차 발광에 관한 발광 패턴과 음성 및 효과음의 조합에 관한 발음 패턴 등을 기억한다. 즉, 제1 완구체(10)의 기동 시 등에, 당해 기동 등에 대응한 발광 패턴 및 발음 패턴이 기억부(38)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발광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이 발광부(36)에서 행해짐과 함께, 추출된 발음 패턴에 기초하는 발음이 발음부(37)에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기하는 제2 완구체(40)의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된 광 신호가 수신부(32)에서 수신되었을 때, 당해 광 신호가 갖는 연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발광 패턴 및 발음 패턴이 기억부(38)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발광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이 발광부(36)에서 행해짐과 함께, 추출된 발음 패턴에 기초하는 발음이 발음부(37)에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완구체(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A)의 우측을 전, 좌측을 후, 좌측을 좌, 상측을 좌, 하측을 우, 앞쪽을 상, 안쪽을 하라고 표기하고, 도 3의 (B)에 대해서도 이것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제2 완구체(40)는, 스푼을 모방한 외관을 갖고, 손잡이부(41)와 접시 형상부(42)를 갖는다. 제2 완구체(40)의 상면의 대략 중앙에는, 장식부(43)(도면 중에는 대략 하트 형상)가 설치된다. 또한, 손잡이부(41)의 상면의 대략 중앙 부분(장식부(43)가 설치된 부분)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광 통과 구멍(41a)이 마련되고, 접시 형상부(42)의 전단부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광 통과 구멍(42a)이 마련되고, 접시 형상부(42)의 상면의 대략 중앙에는, 후기하는 물품(60)을 장착 가능한 대략 원기둥 형상의 물품 장착부(42b)가 설치된다.
제2 완구체(40)는, 경질재,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이나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장식부(43)는, 투광재,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한 합성 수지나, 이것에 채색을 실시한 유색 반투명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부(41)의 내부에는, 제어 박스(44)와 전원 박스(45)가 설치된다. 또한, 접시 형상부(42)의 내측에는, 송신 부위가 광 통과 구멍(42a)과 마주보도록 후기하는 송신부(52)가 배치되고, 후기하는 장착 검출부(53)의 검출 부위(53a)가 물품 장착부(42b)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손잡이부(41)의 장식부(43)가 설치된 부분의 내측에는, 발광 부위가 광 통과 구멍(41a)과 마주보도록 후기하는 발광부(55)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사용하여, 제2 완구체(40)에 설치된 제2 동작 제어부(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동작 제어부(50)는, 주 제어부(51)와 송신부(52)와 장착 검출부(53)와 전원부(54)와 발광부(55)와 기억부(56)를 갖고, 주 제어부(51)와 발광부(55)와 기억부(56)에 의해 제2 완구체용 연출 출력부(57)가 구성된다. 덧붙여 말하면, 도 3의 (B)에 도시한 제어 박스(44)에는, 주 제어부(51)와 기억부(56)가 설치되고, 전원 박스(45)에는, 전원부(54)가 되는 건전지나 충전지 등이 설치된다. 또한, 전원 박스(20)는, 제2 완구체(10)의 손잡이부(45)의 하면에 설치된 개폐 부분(도시 생략)을 개방함으로써 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 제어부(51)는, 마이크로컴퓨터, 각종 드라이버 및 각종 인터페이스 등을 갖고 있고, 동작 제어용 프로그램을 ROM에 저장한다. 송신부(52)는, 제1 완구체(10)의 수신부(32)에 대응한 광 송신 모듈로 이루어진다. 장착 검출부(53)는, 바람직하게는 복수(도면 중에는, 5개)의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후기하는 물품(60)의 식별 핀(64)에 의해 가압 가능한 복수의 검출 부위(53a)(도 3의 (A)를 참조, 도 3 중에는 5개)를 갖는다. 발광부(55)는, 바람직하게는 적색 발광 등을 가능하게 한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장착 검출부(53)에 대해 보충하면, 당해 장착 검출부(53)는, 후기하는 물품(60)이 물품 장착부(42b)에 장착되고, 후기하는 물품(60)의 식별 핀(64)의 배열(수 및 위치)에 따라서 복수의 검출 부위(53a)가 가압됨으로써, 가압된 검출 부위(53a)의 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물품 장착부(42b)에 장착된 후기하는 물품(60)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억부(56)는,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에 중첩되는 연출 데이터, 예를 들어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 종류를 규정한 코드 등을 기억하고 있는 것 외에, 단색 발광에 관한 발광 패턴 등을 기억한다. 즉, 물품 장착부(42b)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60)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에 중첩해야 할 연출 데이터가 기억부(56)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연출 데이터가 중첩된 광 신호가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물품 장착부(42b)에 물품(60)이 장착되어 있을 때, 당해 물품(60)의 종류에 대응한 발광 패턴이 기억부(56)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발광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이 발광부(55)에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완구체(40)는, 장착 검출부(53)에 후기하는 물품(60)이 장착되었을 때, 구체적으로는 후기하는 물품(60)의 식별 핀(64)에 의해 장착 검출부(53)의 어느 검출 부위(53a)가 가압됨으로써 전원이 온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용의 전원 스위치를 갖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5를 사용하여, 제2 완구체(40)에 장착 가능한 물품(6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A)의 앞쪽을 상, 안쪽을 하라고 표기하고, 도 5의 (B)에 대해서도 이것에 준하여 방향을 표기한다.
물품(60)은, 대략 원반 형상의 대판부(61)와, 대판부(61)의 상면에 설치된 음식을 모방한 형상부(62)와, 대판부(61)의 하면에 설치된 대략 원기둥 형상의 피장착부(63)와, 피장착부(63)의 하면에 설치된 소정 배열(수 및 위치)의 식별 핀(64)을 갖는다. 즉, 물품(60)의 피장착부(63)를 제2 완구체(40)의 물품 장착부(42b)에 삽입함으로써, 당해 물품(60)을 제2 완구체(40)의 물품 장착부(42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물품(60)의 피장착부(63)와 제2 완구체(40)의 물품 장착부(42b)에는, 물품(60)의 장착에 적합한 것을 규제하기 위한 요철부 등이 설치된다.
또한, 도 5에는 1종류의 물품(60)을 나타냈지만, 당해 물품(60)은, 형상부(62)의 외관이 상이하고, 또한 식별 핀(64)의 배열(수 및 위치)이 상이한 것이 복수 종류 준비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면, 형상부(62)에는, 과일이나 과자 등을 모방한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사용하여, 제1 완구체(10)의 기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유희 시에 전원 스위치(34)가 온 되면, 제1 완구체(10)의 기동에 대응한 발광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이 발광부(36)에서 행해지고, 당해 발광에 의해 장식부(17)가 발색한다(도 6의 스텝 ST101 내지 ST102를 참조). 또한, 제1 완구체(10)의 기동에 대응한 발음 패턴에 기초하는 발음이 발음부(37)에서 행해지고, 당해 발음이 종료되면 발광부(36)의 발광이 정지된다(도 6의 스텝 ST103 내지 ST104를 참조).
전원 스위치(34)가 온 되고 나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분이 경과하면, 제1 완구체(10)는 전력 절약을 위한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도 6의 스텝 ST105 내지 ST106을 참조). 덧붙여 말하면, 슬립 모드는,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이 행해지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제2 완구체(40)의 기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유희 시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종류 준비된 물품(60) 중에서 원하는 물품(60)을 제2 완구체(40)의 물품 장착부(42b)에 장착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2 완구체(40)는 전원 스위치를 갖지 않기 때문에, 물품(60)이 장착 검출부(53)에 장착되고, 또한 당해 물품(60)의 식별 핀(64)에 의해 장착 검출부(53)의 어느 검출 부위(53a)가 가압됨으로써 전원이 온으로 된다(도 8의 스텝 ST201 내지 ST202를 참조).
물품(60)이 장착 검출부(53)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당해 물품(60)의 종류가 검출되고, 검출된 물품(60)의 종류에 대응한 발광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이 발광부(55)에서 행해진다(도 8의 스텝 ST203 내지 ST204를 참조). 또한, 장착 검출부(53)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60)의 종류에 따른 연출 데이터가 기억부(56)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연출 데이터가 중첩된 광 신호가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된다(도 8의 스텝 ST205를 참조). 즉, 발광부(55)의 발광에 의한 장식부(43)의 발색에 의해, 제2 완구체(40)가 유희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유희자에게 알릴 수 있음과 함께, 광 신호가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되고 있음을 유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장착 검출부(53)에 물품(60)이 장착되고 나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분이 경과하면 상기한 발광 및 송신이 정지되어, 제2 완구체(40)는 전력 절약을 위한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T206 내지 ST208을 참조). 덧붙여 말하면, 슬립 모드는, 물품(60)을 장착 검출부(53)에 다시 장착함으로써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사용하여, 제1 완구체(10)와 제2 완구체(40)를 사용한 유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유희 시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희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제2 완구체(40)의 전단부를 제1 완구체(10)의 입부(16)에 밀어넣어, 당해 입부(16)를 형성하는 연질재를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 가압에 의해 수신부(32)가 스프링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후퇴하는 수신부(32)에 의해 접촉 검출부(33)를 작동하여 접촉 검출이 행해진다. 즉,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에 의해,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이 행해지게 된다.
상기한 동작에 기초하여 제1 완구체(10)의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이 행해지면, 당해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제1 완구체(10)의 수신부(32)가 수신 가능 상태로 수신 제어된다(도 10의 스텝 ST301 내지 ST302를 참조). 즉,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이 행해질 때까지는 수신부(52)는 수신 가능 상태로는 되지 않으므로, 제2 완구체(40)의 송신부(52)로부터 광 신호가 송신되고 있어도, 당해 광 신호는 제1 완구체(10)의 수신부(32)에서는 수신되지 않는다.
제1 완구체(10)의 수신부(32)가 수신 가능 상태가 되면, 제2 완구체(40)의 송신부(52)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광 신호가 제1 완구체(10)의 입부(16)에 있는 광 통과 구멍(11a)을 통해 수신부(32)에서 수신되고, 당해 광 신호가 갖는 연출 데이터가 인식되어 동 데이터에 대응하는 발광 패턴 및 발음 패턴이 기억부(38)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발광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이 발광부(36)에서 행해짐과 함께, 추출된 발음 패턴에 기초하는 발음이 발음부(37)에서 행해지고, 당해 발음이 종료되면 발광부(36)의 발광이 정지된다(도 10의 스텝 ST303 내지 ST307을 참조). 즉,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에 의해, 제2 완구체(40)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60)의 종류에 대응한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이 출력되게 된다.
스텝 ST303에서 광 신호의 수신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분이 경과할 때까지, 제1 완구체(10)의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두 번째 이후의 접촉 검출이 행해지면, 접촉 검출 시마다 다른 발광 패턴 및 발음 패턴이 기억부(38)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발광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이 발광부(36)에서 행해짐과 함께, 추출된 발음 패턴에 기초하는 발음이 발음부(37)에서 행해지고, 당해 발음이 종료되면 발광부(36)의 발광이 정지된다(도 10의 스텝 ST308 내지 ST312를 참조). 즉,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2 완구체(40)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60)의 종류에 대응한 다른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이 출력되게 된다.
스텝 ST303에서 광 신호의 수신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분이 경과하면, 제1 완구체(10)는 전력 절약을 위한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도 10의 스텝 ST313을 참조). 이 슬립 모드는,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이 재개되어,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이 행해지면 해제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연출 출력 완구(제1 완구체(10) 및 제2 완구체(40))에 의해 얻어지는 주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연출 출력 완구는, 제2 완구체(40)의 송신부(52)로부터의 광 신호를 제1 완구체(10)의 수신부(32)에서 수신함으로써, 당해 광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연출 데이터에 대응한 발광 패턴 및 발음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을 제1 완구체(10)로부터 출력할 수 있으므로, 제1 완구체(10)와 제2 완구체(40)의 협동에 의한 연출에 의해, 더 한층의 즐거움이나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출 출력 완구는, 제2 완구체(40)가 제1 완구체(10)에 접촉한 것을 접촉 검출부(33)에서 검출하고, 이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수신부(32)를 수신 가능 상태로 수신 제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완구체(40)가 제1 완구체(10)에 접촉하여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이 행해질 때까지, 즉,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으면 상기한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이 제1 완구체(10)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이 적정하게 행해졌을 때만, 상기한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이 제1 완구체(10)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상기 동작을 적정하게 행하는 것에 의한 즐거움이나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출 출력 완구는, 제2 완구체(40)의 송신부(52)로부터의 광 신호를 제1 완구체(10)의 수신부(32)에서 수신한 후에, 제2 완구체(40)가 제1 완구체(10)에 접촉하여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이 행해지면, 당해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다른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이 제1 완구체(10)로부터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2 완구체(40)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60)의 종류에 대응한 다른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이 제1 완구체(10)로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이 연출의 변화에 의한 즐거움이나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출 출력 완구는, 제2 완구체(40)의 물품 장착부(42b)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60)의 종류에 따른 연출 데이터가 중첩된 광 신호를 송신부(52)로부터 송신하여, 제1 완구체(10)의 수신부(32)에서 수신된 당해 광 신호가 갖는 연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발광 패턴 및 발음 패턴에 기초하는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을 행할 때에 당해 음식(물품(60))에 따른 발광 및 발음에 의한 연출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완구체(40)의 물품 장착부(42b)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60)을 교환함으로써 다채로운 연출을 행하여, 이 다채로운 연출에 의한 즐거움이나 재미를 유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출 출력 완구는, 제2 완구체(40)에 물품 장착부(42b)에 장착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당해 제2 완구체(40)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한편, 제1 완구체(10)의 전원 스위치(34)가 온 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및 수신부(32)에서 광 신호의 수신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당해 제1 완구체(10)를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있으므로, 유희 도중에 제2 완구체(40) 및 제1 완구체(10)가 방치되어도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전술한 연출 출력 완구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완구체(10)의 머리부(1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 1의 (B)에는, 스프링 가압 하에서 지지되고 수신부(32)의 후방측에 접촉 검출부(33)를 배치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수신부(32)를 고정 배치하고, 그 주위에 접촉 검출부(33)를 배치해도, 인형(제1 완구체(10))에게 스푼(제2 완구체(40))으로 음식(물품(60))을 주는 동작에 의해, 접촉 검출부(33)에 의한 접촉 검출을 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접촉 검출부(33)와 수신부(32)는 입부(16)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그 배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제1 완구체(10)로서 캐릭터를 모방한 외관을 갖는 인형을 도 1에 도시하였지만, 당해 제1 완구체(10)는 입부(16)를 포함하는 머리부(11)를 적어도 갖고 있으면 되고, 캐릭터 이외의 외관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완구체(40)로서 스푼을 모방한 외관을 갖는 것을 도 3에 도시하였지만, 포크를 모방한 외관을 갖는 것이나, 다른 음식 기구를 모방한 외관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완구체(40)에 장착 가능한 물품(60)으로서 음식을 모방한 형상부(62)를 갖는 것을 도 5에 도시하였지만, 음식 이외의 것을 모방한 형상부, 예를 들어 제1 완구체(10)가 캐릭터를 모방한 외관을 갖는 경우에는 당해 캐릭터에 적합한 아이템을 모방한 형상부(62)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10 : 제1 완구체
11 : 머리부
11a, 11b : 광 통과 구멍
12 : 몸통부
13 : 팔부
14 : 다리부
15 : 눈부
16 : 입부
17 : 장식부
30 : 제1 동작 제어부
31 : 주 제어부
32 : 수신부
33 : 접촉 검출부
34 : 전원 스위치
35 : 전원부
36 : 발광부
37 : 발음부
38 : 기억부
39 : 제1 연출 출력부
38 : 기억부
40 : 제2 완구체
41 : 손잡이부
41a : 광 통과 구멍
42 : 접시 형상부
42a : 광 통과 구멍
42b : 물품 장착부
43 : 장식부
50 : 제2 동작 제어부
51 : 주 제어부
52 : 송신부
53 : 장착 검출부
54 : 전원부
55 : 발광부
56 : 기억부
57 : 제2 연출 출력부
60 : 물품
61 : 대판부
62 : 형상부
63 : 피장착부
64 : 식별 핀
11 : 머리부
11a, 11b : 광 통과 구멍
12 : 몸통부
13 : 팔부
14 : 다리부
15 : 눈부
16 : 입부
17 : 장식부
30 : 제1 동작 제어부
31 : 주 제어부
32 : 수신부
33 : 접촉 검출부
34 : 전원 스위치
35 : 전원부
36 : 발광부
37 : 발음부
38 : 기억부
39 : 제1 연출 출력부
38 : 기억부
40 : 제2 완구체
41 : 손잡이부
41a : 광 통과 구멍
42 : 접시 형상부
42a : 광 통과 구멍
42b : 물품 장착부
43 : 장식부
50 : 제2 동작 제어부
51 : 주 제어부
52 : 송신부
53 : 장착 검출부
54 : 전원부
55 : 발광부
56 : 기억부
57 : 제2 연출 출력부
60 : 물품
61 : 대판부
62 : 형상부
63 : 피장착부
64 : 식별 핀
Claims (21)
- 제1 완구체와 제2 완구체를 구비한 연출 출력 완구이며,
상기 제1 완구체는, 당해 제1 완구체에의 접촉을 검출 가능한 접촉 검출부와, 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부와, 상기 접촉 검출부에 의한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부를 수신 가능 상태로 제어 가능한 수신 제어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신호에 따라서 연출을 출력 가능한 연출 출력부를 갖고,
상기 제2 완구체는, 상기 신호를 송신 가능한 송신부를 갖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에의 접촉은, 상기 제1 완구체에 대한 상기 제2 완구체의 접촉에 기초하는 것인,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광 신호인,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제1 연출을 출력하고, 당해 제1 연출의 출력 후의 상기 접촉 검출부에 의한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연출과는 상이한 제2 연출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출 출력부는, 발광부 및 발음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접촉 검출부에 의한 접촉 검출에 기초하여, 미리결정된 시간, 상기 수신부를 수신 가능 상태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는, 입부를 포함하는 머리부를 적어도 갖고,
상기 접촉 검출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입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부는, 연질재로 형성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검출부에 의한 접촉 검출은, 상기 입부를 형성하는 상기 연질재에의 가압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부에는, 광 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광 통과 구멍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체는, 캐릭터를 모방한 외관을 갖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완구체의 단부에 배치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구체는, 물품을 장착 가능한 물품 장착부와, 상기 물품 장착부에의 상기 물품의 장착을 검출 가능한 장착 검출부와, 상기 장착 검출부에 의한 장착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부를 송신 상태로 제어 가능한 송신 제어부를 더 갖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장착 검출부에 의한 장착 검출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상기 송신부를 송신 상태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검출부는, 상기 물품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물품의 종류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물품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물품의 종류에 따른 신호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구체는, 상기 물품 장착부에의 상기 물품의 장착에 기초하여 연출을 출력하는 제2 완구체용 연출 출력부를 더 갖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구체용 연출 출력부는, 발광부를 적어도 갖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구체는, 스푼을 모방한 외관을 갖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9항에 있어서,
제13항에 기재된 상기 물품 장착부는, 접시 형상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연출 출력 완구.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제13항에 기재된 상기 물품은, 음식을 모방한 형상부를 갖는,
연출 출력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32097A JP6462099B1 (ja) | 2017-12-01 | 2017-12-01 | 演出出力玩具 |
JPJP-P-2017-232097 | 2017-12-0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5132A true KR20190065132A (ko) | 2019-06-11 |
Family
ID=6522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8475A KR20190065132A (ko) | 2017-12-01 | 2018-11-27 | 연출 출력 완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2) | JP6462099B1 (ko) |
KR (1) | KR20190065132A (ko) |
CN (2) | CN109529368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19399B1 (en) | 2021-09-01 | 2022-08-23 | Spin Master Ltd. | Storage device with movable ele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04722B2 (ja) * | 2020-11-30 | 2023-01-16 | 株式会社バンダイ | 合体玩具、制御主体玩具体及び相手玩具 |
JP7144575B1 (ja) * | 2021-06-25 | 2022-09-29 | 株式会社バンダイ | 演出出力玩具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71790U (ko) | 1975-11-25 | 1977-05-28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104899A1 (de) * | 1971-02-03 | 1972-08-24 | Saal, Markus, 5461 Vettelschoß | Puppe |
JPS50156190U (ko) * | 1974-06-11 | 1975-12-24 | ||
JPS575287U (ko) * | 1980-06-07 | 1982-01-12 | ||
JP2522132B2 (ja) * | 1991-11-26 | 1996-08-07 | ヤマハ株式会社 | 演奏情報同期型運動体制御装置 |
JPH0582485U (ja) * | 1992-04-13 | 1993-11-09 | 株式会社タカラ | 動作玩具 |
JP2997670B2 (ja) * | 1997-09-26 | 2000-01-11 | 株式会社エアフォルク | 通信玩具システム |
JP2000020222A (ja) * | 1998-04-28 | 2000-01-21 | Masanobu Kujirada | 携帯型の縫いぐるみ状の遠隔操作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装置 |
JP2000093664A (ja) * | 1998-09-18 | 2000-04-04 | Takara Co Ltd | 組合せ玩具 |
JP2001087566A (ja) * | 1999-09-17 | 2001-04-03 | Shain:Kk | 発光玩具 |
JP2001293262A (ja) * | 2000-04-13 | 2001-10-23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非接触型icタグを使用した玩具制御システム |
JP2002078982A (ja) * | 2000-09-07 | 2002-03-19 | Toybox:Kk | 演奏玩具 |
JP3091143U (ja) * | 2002-07-01 | 2003-01-17 | 株式会社タカラ | 人形用椅子 |
CN100569129C (zh) * | 2005-06-06 | 2009-12-16 | 美泰有限公司 | 具有弯曲元件的服装 |
US20080014830A1 (en) * | 2006-03-24 | 2008-01-17 | Vladimir Sosnovskiy | Doll system with resonant recognition |
JP4553874B2 (ja) * | 2006-06-30 | 2010-09-29 |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 景品供給装置 |
CN100593429C (zh) * | 2007-01-05 | 2010-03-10 | 陈国梁 | 仿真电子玩偶 |
CN101329558A (zh) * | 2007-06-21 | 2008-12-24 | 翰辰股份有限公司 | 交互式玩具控制系统及控制方法 |
JP4971520B1 (ja) * | 2011-11-24 | 2012-07-11 | 株式会社バンダイ | 化粧玩具および化粧玩具用装着体 |
KR20130128140A (ko) * | 2012-05-16 | 2013-11-2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디지털 라디오 수신 단말 및 디지털 라디오 방송 제공 방법 |
JP5122014B1 (ja) * | 2012-06-26 | 2013-01-16 | 株式会社バンダイ | 動作応答玩具および玩具体 |
JP5531149B1 (ja) * | 2013-08-23 | 2014-06-25 | 株式会社バンダイ | 演出出力玩具 |
JP6132754B2 (ja) * | 2013-12-06 | 2017-05-24 |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 情報処理システム、出力装置、および出力方法 |
CN103785180B (zh) * | 2014-01-22 | 2016-07-06 |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 一种电动玩具的感应控制系统 |
JP5739570B1 (ja) * | 2014-07-04 | 2015-06-24 | 株式会社バンダイ | 演出出力玩具 |
CN104841143B (zh) * | 2015-02-12 | 2018-02-02 |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 一种感应电动玩具 |
-
2017
- 2017-12-01 JP JP2017232097A patent/JP6462099B1/ja active Active
-
2018
- 2018-11-27 KR KR1020180148475A patent/KR2019006513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11-28 CN CN201811435185.3A patent/CN109529368B/zh active Active
- 2018-11-28 CN CN202110732062.1A patent/CN113577784B/zh active Active
- 2018-12-26 JP JP2018243678A patent/JP7186084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71790U (ko) | 1975-11-25 | 1977-05-28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19399B1 (en) | 2021-09-01 | 2022-08-23 | Spin Master Ltd. | Storage device with movable el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529368B (zh) | 2021-05-14 |
CN113577784B (zh) | 2023-06-27 |
JP2019097886A (ja) | 2019-06-24 |
CN109529368A (zh) | 2019-03-29 |
CN113577784A (zh) | 2021-11-02 |
JP2019098195A (ja) | 2019-06-24 |
JP6462099B1 (ja) | 2019-01-30 |
JP7186084B2 (ja) | 2022-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65132A (ko) | 연출 출력 완구 | |
US7364488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inflatable devices | |
US9398670B2 (en) | Remotely controlled holiday lighting and sound system | |
JP4971520B1 (ja) | 化粧玩具および化粧玩具用装着体 | |
US6558225B1 (en) | Electronic figurines | |
US20140220855A1 (en) | Illumination display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 |
KR20140001108A (ko) | 동작 응답 완구 및 완구체 | |
US20180214788A1 (en) | Toy interactive entertainment devices | |
US10674588B2 (en) |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s | |
US10738972B1 (en) | Customizable light-up device | |
JP2009268766A (ja) | 感音玩具 | |
US20220049842A1 (en) |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 |
US11149932B1 (en) |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 |
US20120052762A1 (en) | Color changing toys, games and devices | |
JP2019098195A5 (ko) | ||
US9302197B2 (en) | Color changing toys, games and devices | |
JP3121098U (ja) | アクセサリー玩具 | |
JP3087506U (ja) | 玩具システム | |
JP3110298U (ja) | 太鼓玩具 | |
CN217828870U (zh) | 一种可识别物体进入方向的感应装置及球类投掷玩具 | |
JP2014030601A (ja) | 植物型玩具 | |
KR200364207Y1 (ko) | 발성, 발광구조를 갖는 유희용 크래쉬 백 | |
JP7217694B2 (ja) | 演出出力玩具および演出出力玩具セット | |
KR200399445Y1 (ko) | 완구 유모차 | |
KR200263158Y1 (ko) | 발광 인형완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