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630A - 매연 미립자 필터, 그리고 매연 미립자 필터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매연 미립자 필터, 그리고 매연 미립자 필터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630A
KR20190064630A KR1020197013363A KR20197013363A KR20190064630A KR 20190064630 A KR20190064630 A KR 20190064630A KR 1020197013363 A KR1020197013363 A KR 1020197013363A KR 20197013363 A KR20197013363 A KR 20197013363A KR 20190064630 A KR20190064630 A KR 2019006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segments
docking
bodies
flow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랜드 킬츠스퍼거
루카스 카베근
Original Assignee
허그 엔지니어링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그 엔지니어링 아게 filed Critical 허그 엔지니어링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6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46/006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B01D46/84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by hea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5Crossflow filtration, i.e. having an inlet and two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1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 F01N13/01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with filters comprising movable parts, e.g. rotat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1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the filtering elements having the form of hollow cylindrical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periodically cleaning filter by blowing a gas through the fil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exhaust flow, e.g. exposing filter to engine air int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electric or magnetic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20High temperature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단순하게 구성되어 신뢰성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유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서, 상기 유동 장치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를 포함하고 정화 모드에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미정화 가스 유량으로 관류될 수 있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로서, 미정화 가스 공급부를 통해 미정화 가스 유량이 유동 세그먼트들로 공급될 수 있고 유동 세그먼트들에 의해 정화된 청정 가스 유량은 청정 가스 배출부에 의해 유동 세그먼트들에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것인, 상기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와; 유동 세그먼트들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장치로서, 일측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와 타측에서의 재생 장치의 가열 장치 및/또는 세정 장치 간의 일시적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도킹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 재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연 미립자 필터, 그리고 매연 미립자 필터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유동 장치(flow device) 및 유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동 장치는 특히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 내에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서의 이용을 위한 분리 장치이다. 내연기관은 특히 연료로서 중유로 작동되는 내연기관, 예컨대 선박 엔진이고, 그리고/또는 예컨대 고형물질(solid substance) 함유 연료 및/또는 고형물질 함유 윤활제로 작동되는 기타 내연기관이다.
유동 장치는 예컨대 WO 2013/179266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단순하게 구성되어 신뢰성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유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미정화 가스 유량(unpurified gas flow)에서부터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특히 연소 배기가스에서부터 매연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유동 장치를 통해 해결되며, 상기 유동 장치는 하기 특징들을 포함한다.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를 포함하고 정화 모드에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미정화 가스 유량으로 관류될 수 있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로서, 미정화 가스 공급부를 통해 미정화 가스 유량이 유동 세그먼트들로 공급될 수 있고 유동 세그먼트들에 의해 정화된 청정 가스 유량(clean gas flow)은 청정 가스 배출부(clean gas discharge)에 의해 유동 세그먼트들에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것인, 상기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 및
유동 세그먼트들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장치로서, 일측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flow segment to be generated)와 타측에서의 재생 장치의 가열 장치 및/또는 세정 장치 간의 일시적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도킹 장치(docking device)를 구비하는 상기 재생 장치.
본원의 유동 장치가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 및 도킹 장치를 구비한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통해, 본원의 유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단순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신뢰성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본원의 유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장치이다.
유동 세그먼트들은 바람직하게는 분리 세그먼트들이다.
유동 몸체들(flow body)은 바람직하게는 분리 몸체들(separating body)이다.
정화 모드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모드이다.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질들은 바람직하게는 분리되고, 그리고/또는 변환된다.
미정화 가스 유량은 특히 연료로서 중유, 예컨대 중질 연료유(HFO: Heavy Fuel Oil) 또는 해양 연료유(MFO: Marine Fuel Oil)로 작동되는 연소 장치의 배기가스 유량이다. 연소 장치는 특히 고정식 또는 이동식 연소 장치이다. 예컨대 연소 장치는 선박 엔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유동 장치는, 도킹 장치가 선택적으로 서로 상이한 유동 세그먼트들에 도킹될 수 있는 방식으로, 도킹 장치 및/또는 유동 세그먼트들의 이동을 위한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세그먼트들은 예컨대 이동 장치에 의해 회전 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동 장치는, 특히 유동 세그먼트들 및/또는 도킹 장치가 자동으로, 그리고/또는 자동화되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유동 세그먼트들은 이동 장치의 구동 장치에 의해 이산적 단계들(discrete step)로 이동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계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유동 세그먼트는 자신의 재생을 위해 도킹 장치에 상대적으로 포지셔닝된다. 특히 유동 세그먼트들은 단계별로 차례로 재생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재생 위치에서는 도킹 장치가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에 도킹될 수 있다.
구동 장치, 특히 모터, 예컨대 전기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청정 가스 배출부로 향해 있는 유동 세그먼트들의 청정 가스 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는 본원의 유동 장치의 하우징의 안쪽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특히 하우징 벽부를 통과하는 샤프트 관통 접속구(shaft feed-through)는 불필요하게 된다. 이로써 최적화된 기밀도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경우, 유동 세그먼트들은 각각 그 자체로 볼 때 적어도 거의 원형 실린더 세그먼트(circular cylinder segmen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 보충안으로, 유동 세그먼트들은 함께 적어도 거의 원형 실린더 형태인 하나의 유동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동 세그먼트들은 함께 적어도 거의 중공 원형 실린더 형태인 하나의 유동 유닛을 형성한다.
유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분리 유닛이다.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복수의 유동 몸체를 포함하며, 이들 유동 몸체는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의 서로 상이하고, 그리고/또는 공간상 서로 분리된 유동 몸체 수용부들 내에 수용된다.
유동 몸체들은 특히 유동 몸체 수용부들 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몸체들은 적어도 거의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 몸체 수용부들은 유동 몸체들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특히 유동 몸체 수용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중공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들의 플랜지 영역들이면서 반경 방향과 관련하여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플랜지 영역들은, 유동 몸체 수용부들 및/또는 유동 몸체들의 단부들이면서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단부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도킹 포트들(docking port)의 플랜지 영역들은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접촉 및/또는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는 각각 복수의 유동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몸체들은 a) 일렬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b) 상호 간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c) 상호 간에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정화 대상 미정화 가스 유량으로 관류될 수 있다.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의 원형 중공 실린더 형태인 유동 몸체 수용부들 및/또는 원형 실린더 형태인 유동 몸체들의 대칭축들, 특히 회전축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거의 상호 간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유동 세그먼트의 유동 몸체 수용부들 및/또는 유동 몸체들의 모든 회전축은 하나의 공통 축을 따라서 서로 교차한다. 상기 공통 축은 특히 유동 유닛의 회전축이다.
유동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유동 몸체를 포함하며, 이들 유동 몸체는 모두 단일의 열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예컨대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에 대해 적어도 6개의 유동 몸체, 특히 적어도 10개의 유동 몸체가 제공된다.
유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개, 특히 적어도 8개, 예컨대 적어도 10개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은 적어도 거의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동 몸체들, 및/또는 이 유동 몸체들의 수용을 위한 유동 몸체 수용부들은 유동 세그먼트들의 하나의 공통 중심축 및/또는 하나의 공통 대칭축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에서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의 본체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중심축은 특히 유동 유닛의 회전축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는, 각각 하나의 본체; 본체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돌출되는, 특히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 및/또는 유동 몸체들의 수용을 위한 유동 몸체 수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본원의 유동 장치의 정화 모드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의 미정화 가스 분배 채널을 형성한다.
본체는 특히 유동 몸체들 및/또는 유동 몸체 수용부들에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에서 안쪽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 섹션의 형태에 상응하는 횡단면 형태를 보유한다. 이 경우, 횡단면은 회전축에 대해 특히 수직으로 선택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의 본체는 예컨대 미정화 가스의 결합 및/또는 배출을 위한 미정화 가스 포집 채널, 및/또는 회분(ash)의 배출을 위한 회분 배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유동 몸체들은 정화 모드에서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에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관류된다.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의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 일측에서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유동 세그먼트의 모든 본체는, 특히 미정화 가스 공급부로 향해 있는 하나의 공통 측 쪽으로 개방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의 수용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 수용부, 특히 모든 유동 몸체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나의 플랜지 영역을 포함하며, 이 플랜지 영역 상에는, 도킹 장치의 그에 대응하는 플랜지 영역이 안착될 수 있고, 특히 그와 직접 접촉될 수 있으며, 그 상에 압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밀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킹 장치는 복수의 도킹 포트를 포함하며, 이들 도킹 포트는 특히 유동 세그먼트들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 상에 압착될 수 있다.
도킹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들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도킹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킹 유닛은, 하나의 메인 채널과, 이 메인 채널로부터 유동 세그먼트의 유동 몸체의 방향으로 메인 채널로부터 이격 돌출되는 복수의 도킹 포트를 포함한다.
도킹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레버 메커니즘(lever mechanism)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상에 압착될 수 있다.
본원의 유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들의 수용을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킹 유닛은 특히 하우징의 내부 챔버 안쪽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그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도킹 포트들은 하우징의 내부 챔버 안쪽에 완전하게 배치되어 그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킹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선형으로 유동 세그먼트의 유동 몸체 수용부들 상에 압착될 수 있거나, 또는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동 몸체 수용부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들은 바람직하게는 도킹 유닛에 의해 유체에 효과적으로 미정화 가스 공급부 및 청정 가스 배출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재생 장치의 재생 가스 가이드부(regeneration gas guide) 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킹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와 함께, 재생 장치의 재생 가스 가이드부의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유동 장치는 로터 장치(rotor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터 장치에 의해서는, 유동 세그먼트들이 본원의 유동 장치의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그리고/또는 도킹 장치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특히 장착된다.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 바람직하게는 모든 유동 세그먼트는 특히 서로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들은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 특히 모든 유동 세그먼트의 수용을 위한 하나의 세그먼트 수용부를 포함한다.
세그먼트 수용부는 특히 환형으로, 중공 실린더 형태로, 그리고/또는 중공 원뿔대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들은,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유동 세그먼트들의 테이퍼 단부들로, 세그먼트 수용부 안쪽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유동 세그먼트들은 바람직하게는 세그먼트 수용부 내에, 또는 세그먼트 수용부 상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세그먼트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샤프트를 통해, 그리고 피벗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피벗 베어링 및 세그먼트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들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들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샤프트는 유동 세그먼트들의 대칭축 또는 회전축을 따라서 유동 세그먼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로터 장치 상에 수용될 수 있으며, 특히 장착될 수 있다.
자신 상에 배치되는 유동 세그먼트들과 함께 로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거의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본원의 유동 장치의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들은 상이한 열 팽창의 보상을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공간 방향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는, 자신의 재생 동안, 특히 가열 모드의 실행 동안,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의 온도로 인한 팽창이 나머지 유동 세그먼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무시할 정도로 적은 영향만을 미치는 방식으로, 나머지 유동 세그먼트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특히 장착된다.
유동 세그먼트들은 특히 환형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축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반경 방향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자신의 재생 동안 가열되는 유동 세그먼트는 특히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그리고 축 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중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상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유동 세그먼트들은 상호 간에 열적으로 절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인접하여 배치되는 유동 세그먼트 사이에 열적 분리층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적 분리 부재(separating element)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유동 부재들 사이에는, 특히 2개의 인접한 유동 부재 사이에서 대면적의 열 전달의 방지를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spacer element), 특히 리브 구조(rib structure)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생 장치는 재생 가스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 가스 가이드부에 의해서는 고온 가스 유량이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로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온 가스 유량은 재생 가스 가이드부에 의해 서로 상이한 방향들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재생 가스 가이드부에 의해 고온 가스 유량은 선택적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들에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재생 장치는 가열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가열 모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 내의 유동 방향이, 정화 대상 미정화 가스 유량이 자신의 정화를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를 관류하는 정화 모드에서의 유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가열 장치, 특히 버너 장치 및/또는 전기 가열 장치의 고온 가스 유량은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로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생 장치는 세정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세정 모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 내의 유동 방향이, 정화 대상 미정화 가스 유량이 자신의 정화를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를 관류하는 정화 모드에서의 유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식으로, 가열 장치, 특히 버너 장치 및/또는 전기 가열 장치의 고온 가스 유량, 및/또는 세정 가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로 공급될 수 있다.
재생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고온 가스 유량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기(fan)를 포함한다.
또한, 재생 장치는, 특히 재생 가스 가이드부 쪽으로 세정 가스, 특히 신선 공기(fresh air)의 공급을 위한 세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송풍기는 재생 장치의 가열 모드에서 고온 가스 유량의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그리고/또는 재생 장치의 세정 모드에서 고온 가스 유량의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가열 장치의 하류에, 그리고/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으로 가열 모드에서 고안 가스 유량의 유동 방향과, 세정 모드에서 고온 가스 유량의 유동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의 영역에서 서로 반대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생 가스 가이드부는, 그럼에도 가열 모드에서뿐만 아니라 세정 모드에서도 송풍기가 가열 장치의 하류에, 그리고/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의 하류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대안의 구현예에서, 송풍기는 고온 가스 유량의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그리고/또는 가열 장치로 공급될 공급 공기 유량과 관련하여 가열 장치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생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질들의 분리 및 수용을 위한 수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들은, 특히 가열 모드의 실행 동안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 내에서 생성되어 우선은 그 내에서 잔존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세정 모드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에서부터 유출되는 회분이다.
수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량, 특히 고온 가스 유량에서 오염물질들, 특히 회분의 분리를 위한 고형물질 분리기(solid substance separator), 특히 사이클론(cyclone)을 포함하며, 상기 고형물질 분리기에 의해서는, 오염물질들, 특히 회분이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에서부터 유출된다.
또한, 수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오염물질들, 특히 회분의 저장을 위한 저장 탱크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 장치는, 저장 탱크로부터 고형물질 분리기를 분리하며, 그리고 특히 고형물질 분리기 내에 분리된 오염물질들을 저장 탱크로 목표한 바대로 배출 및 전달하기 위해 이용되는 회전 밸브(rotary valve)를 포함한다.
또한, 수용 장치는 재생 가스 가이드부에 의해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와, 그리고/또는 재생 장치의 송풍기와 유체에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온 가스 유량 및/또는 세정 가스 유량의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수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일측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와 타측에서의 재생 장치의 송풍기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경우, 고온 가스 유량은,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의 관류 후에, 수용 장치의 관류 후에, 그리고/또는 송풍기의 관류 후에, 본원의 유동 장치의 미정화 가스 공급부 및/또는 청정 가스 배출부로 공급될 수 있다.
재생 가스 가이드부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앞에서 기재한 연결들 및 유량들이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형성되는 복수의 라인, 밸브, 분기 및/또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유동 몸체는 특히 필터 몸체(filter body), 예컨대 소위 벽유동형 필터(wall flow filter)이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몸체는 벽 관류식 벌집형 몸체(honeycomb body)일 수 있다.
유동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촉매 코팅층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유동 몸체 내에 배열되고, 분리되고, 그리고/또는 변환된 오염물질들은 보통의 연소 과정과 비교하여 감소된 연소 온도에서 화학적으로 반응될 수 있게 된다.
유동 몸체는 특히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촉매 코팅층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고 신뢰성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특히 연소 배기가스에서부터 매연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해 유동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통해 해결되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 오염물질들이 미정화 가스 유량에서부터 유동 세그먼트들의 유동 몸체들 내에 분리되고 그리고/또는 변환되며, 그리고 유동 세그먼트들의 하류에서는 청정 가스 유량이 획득되게 하는 조건으로, 정화 대상 미정화 가스 유량을 유동 장치의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에 관류시키는 관류 단계; 및
- 재생 장치의 도킹 장치에 의해 일측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와 타측에서의 재생 장치의 가열 장치 및/또는 세정 장치 간의 일시적인 연결이 형성되는 조건에서,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 장치와 관련하여 기재한 특징들 및/또는 장점들 중 단일 또는 다수의 특징 및/또는 장점을 보유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는 도킹 장치에 의해 기능적으로, 그리고/또는 유체에 효과적으로 나머지 유동 세그먼트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나머지 유동 세그먼트들은 변함없이 정화 모드로 미정화 가스 유량에서부터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이용된다.
유동 세그먼트들은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연속해서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유동 장치의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주변 환경에 대해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든 이동 가능한 부품 및/또는 라인 및/또는 공급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금속 벨로우즈에 의해 하우징의 하우징 벽부 상에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고정된다. 이로써, 하우징의 기밀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특히 열 팽창 변동은 신뢰성 있게 보상될 수 있다.
유동 세그먼트들, 특히 로터 장치의 이동 장치는 예컨대 래칫 드라이브(ratchet driv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자신 상에 배치된 유동 세그먼트들과 함께 로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하우징의 외부에서부터 선형 이동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들 및/또는 장점들은 일 실시예의 하기의 기재내용 및 도면의 대상이다.
도 1은 유동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유동 장치의 하우징은 자신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도해를 위해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유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4는 로터 장치 상에 배치되는 유동 장치의 유동 세그먼트들과 함께 유동 장치의 로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영역 V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킹 장치는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상응하게 도 2의 영역 V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킹 장치는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에 도킹되어 있다.
도 7은 유동 장치의 작동 원리의 도해를 위해 도 1의 유동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며, 유동 장치는 정화 모드로 작동 중이다.
도 8은 도 7에 상응하게 도 1의 유동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유동 장치는 가열 모드로 작동 중이다.
도 9는 도 7에 상응하게 도 1의 유동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유동 장치는 세정 모드로 작동 중이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이 등가인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전체로서 100으로 표시되는 유동 장치의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예컨대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의 부품으로서 이용된다.
이 경우, 유동 장치(100)는 특히 디젤 엔진, 예컨대 중유 디젤 엔진에서의 이용, 또는 그와 조합되는 이용을 위해 적합하다.
유동 장치(100)는 특히 고정식 적용 분야들에서, 또는 이동식 적용 분야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중유로 작동되는 선박 엔진의 배기가스 라인 내에서 유동 장치(100)의 이용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동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고형물질 함유 연료 및/또는 고형물질 함유 윤활제로 작동되는 기타 내연기관들을 위해 적합하다.
유동 장치(100)는, 미정화 가스 공급부(104)를 경유하여 미정화 가스 유량(106)이 공급될 수 있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미정화 가스 유량(106)은 특히 하우징(102)의 안쪽에서 정화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청정 가스 유량(108)이 획득될 수 있게 된다.
청정 가스 유량(108)은 특히 청정 가스 배출부(110)를 경유하여 하우징(102)에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미정화 가스 유량(106)의 정화를 위해, 유동 장치(100)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112), 예컨대 10개, 12개, 14개 또는 16개의 유동 세그먼트(112)를 포함한다.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특히 실질적으로 원형 실린더 형태로, 그리고/또는 원형 링 형태로 배치된다.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는 바람직하게는 본체(114)를 포함한다.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본체들(114)은 특히 횡단면과 관련하여 각각 원형 링 섹션 형태로 형성되며, 그리고 함께 보완되어 하나의 완전한 폐쇄된 원형 링을 형성한다.
이 경우,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본체들(114)은 특히 대칭축(116)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는 바람직하게는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 몸체(118)를 포함한다.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은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 상에 고정되며, 그리고 특히 각각의 본체(114)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돌출된다.
특히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은 바람직하게는 대칭축(116)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122)에서 본체들(114)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본체들(114) 상에 배치된다.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은 특히 실질적으로 중공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유동 몸체들(118)은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채우며, 그리고 특히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의 내부 챔버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유동 몸체들(118)은 특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도 4에서 추론되는 것처럼,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중앙 샤프트(124)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앙 샤프트에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특히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본체들(114)은 축 방향(126)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단부(128)를 구비하며, 각각의 본체(114)의 각각의 테이퍼 단부(128)는 세그먼트 수용부(130)의 안쪽으로 돌출되고 그 결과 의도되는 위치에서 파지된다.
세그먼트 수용부(130)는 특히 중앙 샤프트(124) 상에 배치되며, 예컨대 회전 고정 방식으로 고정된다.
특히 도 2에서 추론되는 것처럼, 세그먼트 수용부(130)에 대향하는, 중앙 샤프트(124)의 단부 상에는, 피벗 베어링(132)이 제공된다.
상기 피벗 베어링(132)에 의해, 중앙 샤프트(124), 세그먼트 수용부(130) 및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바람직하게는 대칭축(1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02) 상에 장착된다.
또한, 그에 따라, 대칭축(116)은 특히 회전축(134)이다.
하우징(1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동 장치(100)의 부품들은, 특히 함께 로터 장치(136)로서도 지칭된다.
유동 세그먼트들(112) 전체는 특히 유동 유닛(138)이다.
또한, 유동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2)의 내부에서 로터 장치(136)의 이동, 특히 회전을 위한 이동 장치(140)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이동 장치(140)는 특히 (미도시한)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장치(140)에 의해, 로터 장치(136)는 특히 단계별로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특히 단계별로 차례로 여전히 기재할 재생 장치에 상대적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추론되는 것처럼, 유동 장치(100)는 상부 베어링 륜(142)(upper bearing ring)을 포함하며, 이 상부 베어링 륜 상에는 피벗 베어링(13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피벗 베어링(132)은, 반경 방향(12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46)로 구성되는 베어링 브래킷(144)을 포함한다. 돌출부들(146) 상에는, 상부 베어링 륜(142) 상에서 원형 링 형태의 롤링 경로(150)를 따라서 원형으로 롤링할 수 있는 베어링 롤러들(148)이 배치된다.
또한, 유동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오직 로터 장치(136)의 측면 안정화 및/또는 안내를 위해서만 이용되는 하부 베어링 륜(152)도 포함한다.
하부 베어링 륜(152)은 바람직하게는 로터 장치(136)의 중량 힘을 흡수하지 않는다.
유동 장치(100)는 특히 도 7에 도시된 정화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정화 모드에서, 미정화 가스 유량(106)은 하우징(102)의 내부 챔버(154) 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 미정화 가스 가이드부(104)에 의해, 미정화 가스 유량(106)은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본체들(114) 내로 유입되며, 이를 위해, 상기 본체들은 중력 방향과 관련하여 하부 단부에서 개방되어 형성된다.
미정화 가스 유량(106)은 본체들(114)에 의해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 내의 유동 몸체들(118)로 분배된다.
그에 따라, 본체들(114)은 특히 미정화 가스 분배 채널들(156)을 형성한다.
유동 몸체들(118)은 반경 방향(122)에서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미정화 가스 유량(106)에 의해 관류된다.
이로써, 미정화 가스 유량(106)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들, 특히 매연 입자들은 유동 몸체들(118) 내에서 분리되고, 그리고/또는 변환된다.
그 결과로, 유동 몸체들(118)에서 유출되는 가스 유량은 정화된 가스 유량이며, 특히 청정 가스 유량(108)이다.
청정 가스 유량(108)은 특히 반경 방향(122)과 관련하여 바깥쪽에서 유동 세그먼트들(112)을 따라서, 그리고/또는 유동 세그먼트들(112) 사이에서 안내되고 청정 가스 배출부(110)를 경유하여 하우징(102)에서부터 배출된다.
오염물질들의 연속적인 제거로 인해, 유동 장치(100)의 상대적으로 오랜 작동 후에는, 유동 몸체들(118)에서 오염물질들, 특히 매연의 증가하는 포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유동 몸체들(118)은, 유동 장치(100)의 연속적이면서도 신뢰성 있는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재생되어야 한다.
상기 재생을 위해, 유동 장치(100)는 재생 장치(160)를 포함한다.
재생 장치(160)는 특히 가열 장치(162) 및/또는 세정 장치(164)를 포함한다.
또한, 재생 장치(160)는 재생 가스 가이드부(166)도 포함한다.
재생 장치(160)는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112)의 재생을 위해 상기 유동 세그먼트에 도킹될 수 있는 도킹 장치(168)를 포함한다.
이로써,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는 내부 챔버(154), 미정화 가스 공급부(104) 및/또는 청정 가스 배출부(110)로부터 유체에 효과적으로 분리되며, 그리고 그런 다음 재생 가스 가이드부(166)의 일부분, 특히 일 섹션이 된다.
이를 위해, 도킹 장치(168)는, 특히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의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 상에 안착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압착될 수 있는 도킹 유닛(170)을 포함한다.
또한, 도킹 장치(168)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도킹 유닛(172)도 포함하며, 이 추가 도킹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의 개방 단부(174)에 도킹될 수 있다.
개방 단부(174)는 특히 테이퍼 단부(128)이다.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 상에 도킹될 수 있는 도킹 유닛(170)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채널(175)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채널은 축 방향(126)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축 방향(126)을 따라서 연속되는 복수의 도킹 포트(176)를 포함한다.
도킹 포트들(176)은 특히 반경 방향(122)에서 메인 채널(175)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된다.
도킹 포트들(176)은,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와 도킹 유닛(170) 간의 신뢰성 있는 안착 및/또는 밀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히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에 대새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메인 채널(175)은 예컨대 송풍 튜브(178)(blowing tube)로서도 지칭될 수 있다.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의 개방 단부(174)에 도킹될 수 있는 도킹 유닛(172)은 바람직하게는 포집 호퍼(180)(collecting hopper)를 포함한다.
포집 호퍼(180)뿐만 아니라 메인 채널(175) 역시도 각각 연결 스터브(182)(connection stub)에 의해 재생 가스 가이드부(166)의 (미도시한) 잔여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도킹 부재들(170, 172)은, 도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히 선형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도킹 유닛(170)은 특히 반경 방향(122)에서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하나 또는 복수의 회동 부재(184)가 유동 장치(100)의 하우징(102) 상에서 메인 채널(175)의 회동 가능한, 그리고/또는 선형 이송 가능한 지지를 위해 제공된다.
추가 도킹 유닛(172)은, 선택적으로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의 개방 단부(174)에 도킹 유닛(172)을 압착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축 방향(126)에 대해 평행하게 선형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102) 상에 장착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슬라이딩 베어링(186)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유동 장치(100)의 이동 가능하거나 기타 구성요소들, 특히 도킹 유닛들(170, 172)의 온도로 인한 팽창이 보상될 수 있다.
도킹 유닛들(170, 172) 및/또는 유동 세그먼트들(112), 특히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 도킹 포트들(176) 등은 바람직하게는 신뢰성 있는 안착 및 밀봉을 위한 플랜지 영역(188)을 각각 포함한다.
특히 도 5 및 도 6에서 추론되는 것처럼, 플랜지 영역들(188)은, 밀봉 작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예컨대 도킹 유닛(170)의 이동을 통해 서로 적합하게 안착될 수 있다.
유동 장치(100)의 작동 중에,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바람직하게는 항상 개별적으로 차례로 재생된다.
이로써, 유동 장치(100)는 하나의 유동 세그먼트(112)의 재생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미정화 가스 유량(106)의 정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 단지 하나의 유동 세그먼트(112)만이 재생되며, 그에 반해 모든 다른 유동 세그먼트(112)는 미정화 가스 유량(106)에서부터 오염물질들의 제거를 위해 이용된다.
재생 과정은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이 진행된다.
우선,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는 전체 유동 유닛(138) 및/또는 로터 장치(136)의 회전을 통해 재생 위치로 이동되며, 이 재생 위치에서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는 반경 방향(122)에서 도킹 장치(168)의 도킹 유닛(170) 바로 전방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도킹 유닛들(170, 172)은 유동 세그먼트(112)로 접근 이동된다. 이로써,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의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은 도킹 포트들(176)에 의해 덮인다. 이로써,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의 개방 단부(174)도 도킹 유닛(172)에 의해 덮인다.
이로써,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에서 미정화 가스 유량(106)의 관류는 중단된다.
오히려,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는 이제 재생 가스 가이드부(166)에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재생 장치(160)에 의해, 특히 가열 장치(162)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가열 모드의 도해에 따라서, 고온 가스 유량이 생성되어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를 통과하여 안내된다.
이 경우, 고온 가스 유량은 개방 단부(174)를 통해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 내로 유입되며, 그리고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 및 그 내에 배치된 유동 몸체들(118)에 분배된다.
고온 가스 유량은 유동 몸체들(118)을 관류하며 그와 동시에 그들을 가열한다.
이로써, 특히, 유동 몸체들(118)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은, 화학적으로 변환될 정도로, 특히 연소될 정도로 강하게 가열된다.
유동 몸체들(118)은, 바람직하게는 오염물질들의 화학 반응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촉매 코팅층을 구비한다.
가열 모드는, 유동 몸체들(118)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이 적어도 대부분 연소될 때까지 유지된다.
그런 다음, 유동 몸체들(118) 내에는, 오염물질들의 잔여물, 특히 회분이 잔존하며, 이런 잔여물은 추가 가열을 통해서도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회분은 다른 방식으로 유동 몸체들(118)에서 제거된다.
이로써, 특히 도 9에 도시된 세정 모드가 활성화된다.
상기 세정 모드에서, 유동 몸체들(118)을 관류하는 가스 유량의 유동 방향은 방향 전환된다.
이 경우, 가스 유량은 한편으로 고온 가스 유량일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보충안으로, 특히 세정 장치(164)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 가스 유량가 이용될 수 있다.
방향 전환된 유동 방향을 기반으로, 오염물질들은 유동 몸체들(118)에서부터 유출되며, 그리고 특히 우선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 내로 운송된다. 최종적으로, 오염물질들은, 도킹 유닛(172), 특히 포집 호퍼(180)를 통해 본체(114)에서부터, 그리고 그에 따라 전체 유동 세그먼트(112)에서부터 배출된다.
대칭축(116) 및 그 결과 회전축(134) 역시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다.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의 개방 단부(174)는 바람직하게는 중력 방향과 관련하여 유동 세그먼트(112)의 하부 단부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세정되어진 오염물질들의 간소화된 제거가 달성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오염물질들이 중력으로 인해 하향 낙하하고 포집 호퍼(118)를 통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유동 몸체들(118)에서 고착된 오염물질들의 청소를 위해, 추가적인 이완 장치(190)(loosening device)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완 장치(190)는 예컨대 특히 복수의 펄스 튜브(192)(pulse tube)를 구비한 압력 펄스 장치(pressure pulse device)를 포함한다.
펄스 튜브들(192)은 특히 도킹 유닛(170)의 부품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메인 채널(175) 및/또는 도킹 포트들(176) 안쪽으로 돌출된다.
특히 펄스 튜브들(192)은, 도킹 장치(168)가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에 도킹될 때, 바람직하게는 유동 몸체들(118)로 지향된다.
펄스 튜브들(192)에 의해, 내부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이완시켜 결국 유동 몸체들(118)에서 제거하기 위해, 특히 압력 펄스가 유동 몸체들(118)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압력 펄스 정화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 보충안으로, 예컨대 음파를 이용한 정화, 특히 공진기 장치를 이용한 정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진기 장치는 특히 메인 채널 내에서 예컨대 정상 음파(stationary sound wave)를 생성하기 위해 메인 채널(175) 내에 통합되며, 그럼으로써 마찬가지로 유동 몸체들(118) 내에서 오염물질들의 이완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유동 세그먼트(112)의 재생이 수행된 후에, 도킹 장치(168)는 상기 유동 세그먼트(112)로부터 제거된다.
그에 이어서, 이동 장치(140)에 의해, 유동 유닛(138) 및/또는 로터 장치(136)는, 추가 유동 세그먼트(112)를 재생 위치로 이동시켜 재생 장치(160)를 이용하여 재생하기 위해, 계속 회전된다.
결국, 상기 방식으로, 차례로 모든 유동 세그먼트(112)는 잇달아 재생될 수 있다.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선택된 총 개수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항상 단지 유동 몸체들(118) 중 적은 일부만이 소정의 시점에 재생되며, 그럼으로써 항상 유동 몸체들(118) 대부분이 지속적으로 미정화 가스 유량(106)의 정화를 위해 가용하게 된다.
특히 유동 장치(100)가 대형 선박 엔진에서 이용된다면, 유동 장치(100)의 선택된 구현예를 통해, 비교적 큰 분리 체적에도 불구하고, 공간을 절약하는 배치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 및 신뢰성 있는 작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Claims (18)

  1. 미정화 가스 유량(106)에서부터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특히 연소 배기가스에서부터 매연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유동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유동 장치(100)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118)를 포함하고 정화 모드에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미정화 가스 유량(106)으로 관류될 수 있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112)로서, 미정화 가스 공급부(104)를 통해 상기 미정화 가스 유량(106)이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에 의해 정화된 청정 가스 유량(108)은 청정 가스 배출부(110)에 의해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에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것인, 상기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112); 및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장치(160)로서, 일측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와 타측에서의 상기 재생 장치(160)의 가열 장치(162) 및/또는 세정 장치(160) 간의 일시적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도킹 장치(168)를 구비하는 상기 재생 장치(160);를 포함하는 것인, 유동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장치(100)는 분리 장치이고,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분리 세그먼트들이며, 상기 유동 몸체들(118)은 분리 몸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장치(100)는, 상기 도킹 장치(168)가 선택적으로 상이한 유동 세그먼트들(112)에 도킹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도킹 장치(168) 및/또는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이동을 위한 이동 장치(14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상기 이동 장치(140)에 의해 회전 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각각 그 자체로 볼 때 적어도 거의 원형 실린더 세그먼트 형태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함께 적어도 거의 원형 실린더 형태인 하나의 유동 유닛(13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는 각각 복수의 유동 몸체(118)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몸체들은 상기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의 서로 상이하고, 그리고/또는 공간상 서로 분리된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는 각각 복수의 유동 몸체(118)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몸체들은
    a) 일렬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b) 상호 간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c) 상호 간에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정화 대상 미정화 가스 유량(106)으로 관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적어도 거의 환형으로 배치되며, 유동 몸체들(118), 및/또는 상기 유동 몸체들(118)의 수용을 위한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은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하나의 공통 중심축 및/또는 하나의 공통 대칭축(116)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122)에서 상기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의 본체(114)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는, 각각 하나의 본체(114); 상기 본체(114)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돌출되는, 특히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118); 및/또는 상기 유동 몸체들(118)의 수용을 위한 유동 몸체 수용부들(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4)는, 상기 유동 장치(100)의 정화 모드에서,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의 미정화 가스 분배 채널(15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동 세그먼트(112)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118)의 수용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몸체 수용부(120)는 각각 하나의 플랜지 영역(188)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 영역 상에는, 상기 도킹 장치(168)의 그에 대응하는 플랜지 영역(188)이 안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장치(168)는 복수의 도킹 포트(176)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 포트들은 특히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 상에 압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장치(168)는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도킹 유닛(170)을 포함하며, 상기 도킹 유닛은, 하나의 메인 채널(175)과, 상기 메인 채널(175)로부터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유동 몸체들(118)의 방향으로 상기 메인 채널(175)로부터 이격 돌출되는 복수의 도킹 포트(1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상기 도킹 유닛(172)에 의해 유체에 효과적으로 상기 미정화 가스 공급부(104) 및 상기 청정 가스 배출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재생 장치(160)의 재생 가스 가이드부(166) 내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장치(100)는 로터 장치(136)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이 상기 유동 장치(100)의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도킹 장치(168)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특히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실질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로터 장치(136) 상에 수용되며, 특히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상이한 열 팽창의 보상을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공간 방향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100).
  17. 특히 연소 배기가스에서부터 매연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해 유동 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동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오염물질들이 미정화 가스 유량(106)에서부터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유동 몸체들(118) 내에 분리되고 그리고/또는 변환되며, 그리고 상기 유동 세그먼트들(112)의 하류에서는 청정 가스 유량(108)이 획득되게 하는 조건으로, 정화 대상 미정화 가스 유량(106)을 상기 유동 장치(100)의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112)에 관류시키는 관류 단계; 및
    - 재생 장치(160)의 도킹 장치(168)에 의해 일측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와 타측에서의 상기 재생 장치(160)의 가열 장치(162) 및/또는 세정 장치(164) 간의 일시적인 연결이 형성되는 조건에서, 상기 재생 장치(160)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유동 세그먼트(112)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유동 장치의 작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재생 대상 유동 세그먼트(112)는 상기 도킹 장치(168)에 의해 기능적으로, 그리고/또는 유체에 효과적으로 나머지 유동 세그먼트들(11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재생 장치(160)에 의해 재생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상기 나머지 유동 세그먼트들(112)은 변함없이 정화 모드로 미정화 가스 유량(106)에서부터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0197013363A 2016-10-18 2017-10-11 매연 미립자 필터, 그리고 매연 미립자 필터 작동 방법 KR201900646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0423.8 2016-10-18
DE102016220423.8A DE102016220423A1 (de) 2016-10-18 2016-10-18 Abscheid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bscheidevorrichtung
PCT/EP2017/075977 WO2018073080A1 (de) 2016-10-18 2017-10-11 Russpartikelfilt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usspartikelfil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30A true KR20190064630A (ko) 2019-06-10

Family

ID=6019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363A KR20190064630A (ko) 2016-10-18 2017-10-11 매연 미립자 필터, 그리고 매연 미립자 필터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60337B2 (ko)
EP (1) EP3528922B1 (ko)
JP (1) JP2019534143A (ko)
KR (1) KR20190064630A (ko)
CN (1) CN109862954B (ko)
DE (1) DE102016220423A1 (ko)
WO (1) WO20180730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496A (en) * 1984-12-17 1987-02-10 Ford Motor Company Continuous rotary regeneration system for a particulate trap
US4573317A (en) * 1985-03-11 1986-03-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esel exhaust cleaner and regeneration burner system with indexing particulate trap
EP0307414B1 (de) * 1986-05-30 1990-05-09 Dieter Dr. Kuhnert Abgasreinigungssystem für dieselmotoren
DE3808075A1 (de) * 1988-03-11 1989-09-21 Rohs Ulrich Mechanische russfiltervorrichtung
US5065574A (en) 1990-05-29 1991-11-19 Caterpillar Inc. Particulate trap re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DE4017206C2 (de) * 1990-05-29 1994-08-11 Ltg Lufttechnische Gmbh Filteranordnung mit mehreren Trommelfiltern
JP3238982B2 (ja) * 1993-04-30 2001-12-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ディーゼル機関用媒塵除去装置
EP0701855A1 (en) * 1994-09-16 1996-03-20 DEPUR ITALIA S.r.l. Fluid flow filtering system with filter cleaning devices
DE19525134C2 (de) * 1995-07-12 1997-09-04 Freudenberg Carl Fa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Abgas einer gemischverdichtenden Verbrennungskraftmaschine
US6148613A (en) * 1998-10-21 2000-11-21 Alternative Fuel Systems, Inc. Reversing flow catalytic conver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10434B1 (ko) 1999-09-03 2001-10-18 유시흥 가스 세정 장치
JP3445775B2 (ja) * 2000-02-22 2003-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
US6233926B1 (en) * 2000-03-01 2001-05-22 Illinois Valley Hold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particulate in an exhaust trap
US6989045B2 (en) * 2002-04-12 2006-01-24 Illinois Valley Holding Co.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particulate and reducing NOx emissions
US6887290B2 (en) * 2002-09-25 2005-05-03 Federal Signal Corporation Debris separation and filtration systems
US7288137B2 (en) 2003-12-24 2007-10-30 Caterpillar Inc. Particulate trap
CN100430577C (zh) * 2004-07-30 2008-11-05 卡特彼勒公司 微粒收集器
US7418815B2 (en) * 2004-07-30 2008-09-02 Caterpillar Inc. Particulate trap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9034656A (ja) * 2007-08-01 2009-02-19 Ts & C:Kk 逆流洗浄式円筒形濾過装置
DE202007016125U1 (de) * 2007-11-19 2009-05-28 Burkhardt, Roswitha Rußpartikelfilter mit variabel gesteuerter Rußabbrennung
JP2012187578A (ja) * 2011-02-21 2012-10-04 Moriharu Hayashi ろ過装置
AT511688A1 (de) * 2011-07-01 2013-01-15 Avl List Gmbh Auslass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ITMI20120952A1 (it) 2012-06-01 2013-12-02 Ecospray Technologies S R L Apparato filtrante anti-particolato per motori diesel marini e metodo di funzionamento e rigenerazione di detto apparato
DE102013011086A1 (de) * 2013-07-03 2015-01-08 Mann + Hummel Gmbh Filter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ilterelements
CN104645812B (zh) * 2015-03-11 2016-08-17 北京化工大学常州先进材料研究院 一种电石炉尾气的净化方法
JP2017100083A (ja) * 2015-12-02 2017-06-0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内部粉塵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2207A1 (en) 2019-08-01
US10960337B2 (en) 2021-03-30
WO2018073080A1 (de) 2018-04-26
CN109862954B (zh) 2021-07-06
DE102016220423A1 (de) 2018-04-19
CN109862954A (zh) 2019-06-07
JP2019534143A (ja) 2019-11-28
EP3528922B1 (de) 2021-03-31
EP3528922A1 (de) 2019-08-28
WO2018073080A8 (de)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521B2 (en) Filter service system and method
JP6228200B2 (ja) 微粒子フィルタを洗浄するためのガス流調整装置
US20110132197A1 (en) Exhaust recycle system
JP4719738B2 (ja) 回生式酸化器の熱溜り媒体をクリーニングする方法
US66051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pulse-jet cleaning of industrial filters
AU2002361910A8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issions control through continious filtration system
EP1029200B1 (en) Rotary oxidizer systems for control of restaurant emissions
RU2399839C2 (ru) Регенеративная горелка,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онного слоя, 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онного слоя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фильтрационного слоя регенеративной горелки
JPH04250809A (ja) 高温ガスから粒子を分離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1517292A (ja) 回転式再生酸化装置
JP2587068B2 (ja) ディ−ゼルエンジン排ガス中の微粒子処理装置
KR20190064630A (ko) 매연 미립자 필터, 그리고 매연 미립자 필터 작동 방법
JP2002206725A (ja) ガススクラバシステム
EP2311547A1 (fr) Réacteur catalytique de dénoxifictation de gaz
JP4120821B2 (ja) 蓄熱式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工業炉、微粉炭焚ボイラ等燃焼装置
JPH10286426A (ja) 連続式吸着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2001070753A (ja) 触媒フィルタ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434674B2 (ja) 蓄熱式熱交換器
EP2937130B1 (en) Device for removing entrained catalyst particulates from a gas
RU21806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рбционной нейтрализации газов
KR100418159B1 (ko) 컴팩트형고온공기정화기
JPH06317138A (ja) ディーゼル機関用媒塵除去装置
JP2006055726A (ja) 被処理物を含有する流体の処理方法、サイクロン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てなる煤煙処理装置並びに排気ガス処理装置
JPH09253437A (ja) 除塵装置
JPH0486316A (ja) 排ガス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