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899A -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 - Google Patents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899A
KR20190061899A KR1020170160753A KR20170160753A KR20190061899A KR 20190061899 A KR20190061899 A KR 20190061899A KR 1020170160753 A KR1020170160753 A KR 1020170160753A KR 20170160753 A KR20170160753 A KR 20170160753A KR 20190061899 A KR20190061899 A KR 20190061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hylococcus
agarobiose
staphylococcus aureus
group
agarooligosaccha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721B1 (ko
Inventor
김경헌
양정우
송주환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21B1/ko
Priority to US16/767,928 priority patent/US11413305B2/en
Priority to PCT/KR2018/014236 priority patent/WO2019107820A1/ko
Publication of KR2019006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7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9Agar; Agarose; Agaro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23L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with singly-bound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및 사멸 효과가 있는 한천 유래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또는 3,6-안하이드-L-갈락토오스의 의학, 식품, 화장품 등의 소재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Novel agar-derived oligosaccharides for inhibiting staphylococci}
본 발명은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사멸 효과가 있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병원성 균들의 빠른 발생 및 확산은 전 세계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특히,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이 상당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피부 및 상처 감염부위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병원균으로, 이의 감염은 비교적 경미한 발진부터 폐렴, 심내막염, 패혈증, 골수염까지에 이른다. 또한, 이들 포도상구균은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여 숙주 면역작용 회피, 만성감염 유발, 상처 치유 방해 등으로 인하여 치료에 매우 어려운 점이 있으며, 페니실린과 같은 베타 락탐계(beta-lactam) 항생제 내성, 또는 더 나아가 반코마이신 내성 획득은 포도상구균 감염 치유에 큰 장해물로 작용하고 있다. 보고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한 해 약 11,000명이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 감염에 의해 사망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비교적 인체에 무해한 짧은 사슬 구조의 합성 펩타이드 또는 식물체 등의 유래 올리고당(oligosaccharide)이 대체 항 포도상구균 물질(anti-staphylococcal substance)로 연구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585371호(2016.01.07) 일본공개특허 제2005-002087호92005.01.06)
본 발명의 목적은 의학, 화장품, 식품 등의 산업 분야에서 포도상구균의 억제물질로서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한천 유래의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은 농양, 여드름, 피부염, 폐렴, 심내막염, 패혈증, 골수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부종병, 유방염 및 장형대장균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의 감염에 의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의 소독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사멸용 항균 보조제를 제공한다.
상기 포도상구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및 사멸 효과가 있는 한천 유래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또는 3,6-안하이드-L-갈락토오스의 의학, 식품, 화장품 등의 소재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의 혼합물인 아가로올리고당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a) 및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b)에 대한 생장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한 시료의 HPLC 분석 결과로, (a)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의 혼합물인 아가로올리고당, (b)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의 혼합물인 아가로올리고당, (c) 아가로바이오스이다.
도 3은 아가로바이오스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a) 및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b)에 대한 생장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아가로바이오스를 제외한 나머지 아가로올리고당(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의 혼합물)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a) 및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b)에 대한 생장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아가로바이오스를 이용한 디스크 확산 에세이(Disc diffusion assay)를 통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a) 및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b)에 대한 생장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아가로바이오스를 첨가하여 배양한 후 시간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a) 및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b)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a) 및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b)에 대한 생장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네오아가로바이오스(neoagarobiose)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생장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갈락토오스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a) 및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b)에 대한 생장 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한천 유래의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비환원당, 이하, '3,6-AHG'라 함)는 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사멸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는 아가로바이오스, DP2+DP4+DP6+DP8의 혼합물, DP4+DP6+DP8의 혼합물, 3,6-AHG 순이었다. 반면, AHG-Gal의 α-1,3 결합으로 구성된 네오아가로바이오스, 및 갈락토오스는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한천의 효소적 가수분해(예컨대, 아가레이즈 등) 또는 산 가수분해(예컨대, 강산 또는 약산 처리) 등의 공지의 방법을 통해 얻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가로바이오스는 다양한 중합도를 갖는 아가로올리고당의 혼합물로부터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6-AHG는 한천의 효소적 가수분해(예컨대, 아가레이즈 및 아가로바이오스 가수분해효소 등의 사용), 산 가수분해 및 효소적 가수분해의 조합(예컨대, 강산 또는 약산 처리 후 아가레이즈 및 아가로바이오스 가수분해효소 등의 사용) 등의 공지의 방법을 통해 분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도상구균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생육함에 따라 세포집괴(덩어리)를 형성하는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 세균으로, 건강한 사람이나 가축의 피부와 비강 표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내열성인 외독소를 생산하여 식중독을 일으키고, 식세포를 죽이는 독소(류코시딘), 용혈소, 응고효소 등을 분비하여 감염숙주세포의 저항성에서 벗어나 화농성감염증을 일으킨다. 최근 병원내 등에서 대부분의 항생물질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항생제 내성균이 출연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AHG는 포도상구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사멸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은 농양; 여드름; 국한성 소파 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옻나무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전신성 벗겨짐 피부염, 울혈성 피부염, 입주위 피부염, 건선 등의 피부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부종병; 유방염; 또는 장형대장균증 등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의 감염에 의한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의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및 비히클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이온 교환 수지,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예, 각종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캄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양모지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정제,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Amylo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또는 젤라틴(Gelatin)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Polyethylene glycol wax) 등과 같은 윤활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구강용 스프레이제, 구강용 세정제, 치약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주사액으로 제제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ampoule) 또는 바이알(vial)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에어로졸제로 제제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연고, 크림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상기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다른 시기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되거나 주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치료 방법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 경로, 투여 방식 등에 관한 설명은, 약학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포도상구균 감염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의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의 유용성 비타민;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의 고분자 펩타이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의 고분자 다당;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의 스핑고 지질; 또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의 해초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밀크 로션, 아스트린젠트,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에센스,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식품 첨가제 또는 식이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또는 3,6-AHG가 식품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또는 3,6-AHG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또는 3,6-AHG는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의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또는 3,6-AHG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또는 3,6-AHG는 동물 사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또는 3,6-AH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은 가축에게 급여함으로써 동물에서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된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이 투여되는 대상동물은 반추동물과 비반추동물 모두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반추동물일 수 있고, 그 종류로는 소, 낙타, 사슴, 기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동물 사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프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보조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성분은 곡물(예를 들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쌀 등), 식물성 단백질 사료(예를 들어, 평지, 콩, 해바라기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단백질 사료(예를 들어, 혈분, 육분, 골분, 생선분 등), 당분 및 유제품(예를 들어, 각종 분유 또는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지질(예를 들어, 동물성 지방, 식물성 지방 등),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이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될 수도 있고,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혼합하여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은 사료의 탑드레싱으로도 혼합될 수도 있고, 사료와 별도의 첨가제, 또는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동물 사료 조성물의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투여하는 단독 일일 섭취량 또는 분할 일일 섭취량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의 소독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사멸용 항균 보조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가로올리고당의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실험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 받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CM12256과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35494를 사용하였다. 포도상구균의 배지는 M9 salt를 base로 하여 2mM MgSO4, 0.1mM CaCl2, 1%(w/v) 글루코스, 1%(w/v) 카사미노산, 1mM 티아민-HCl, 0.05mM 니코틴아마이드를 추가하였다. 티아민-HCl 용액과 니코틴아마이드 용액은 0.2 ㎛ pore size의 필터를 이용해 여과하였으며 나머지 성분들은 121℃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한 후 사용하였다. 각 배지 성분들을 농도에 맞게 혼합해준 후 0.2 ㎛ pore size의 필터를 이용해 다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아가로올리고당은 TAKAR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아가로바이오스(DP2), 아가로테트라오스(DP4), 아가로헥사오스(DP6), 아가로옥타오스(DP8) 등의 혼합물이다.
생장 저해 실험은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와 피부포도상구균(S. epidermidis)를 37℃에서 200 rpm으로 24시간 동안 종배양(seed culture)한 후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을 통해 중간-지수기(mid-exponential phase)(OD600=2.5)까지 배양 후, 아가로올리고당을 각각 0 mg/mL, 1 mg/mL, 2 mg/mL, 4 mg/mL의 농도로 포함하고 있는 액체배지에 흡광도 600nm에서 0.01로 초기균수를 맞춘 뒤, 96-웰 플레이트에 200 ㎕씩 분주하여 배양하며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배양 및 흡광도 측정은 BioTek Instruments사의 Synergy HTX Multi-Mode Reader를 이용해서 하였다. 배양은 37℃, 200 rpm에서 이루어졌으며, 흡광도는 600nm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아가로올리고당에서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와 피부포도상구균(S. epidermidis)를 배양한 결과 전반적으로 아가로올리고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포도상구균의 생장이 둔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4 mg/mL 및 2 mg/mL의 아가로올리고당 농도에서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와 피부포도상구균(S. epidermidis)의 생장이 완벽하게 저해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2> 아가로바이오스의 정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아가로올리고당의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후,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아가로바이오스(agarobiose)만을 순수하게 정제하였다(도 2).
정제에 이용한 컬럼은 GE Heathcare Life Sciences사의 XK 16/70 column에 Bio-Rad사의 Bio-Gel P-2 Gel을 팩킹해서 사용하였다. Bio-Gel P-2 Gel은 size-exclusion resin으로 아가로올리고당을 크기별로 분리해 주었다. 정제된 아가로바이오스는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이용해 순도를 확인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HPLC column은 Shodex사의 KS-802 column을 이용했으며 이동상으로 3차 증류수를 0.5 mL/min의 유속에서 20분간 분석하였다.
<실시예 3> 아가로바이오스에 의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실험
실시예 2에서 순수 분리/정제된 아가로바이오스를 이용하여 포도상구균의 생장 저해 검사를 하였다.
생장 저해 검사는 아가로올리고당을 아가로바이오스(1 또는 2 mg/mL)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도 3에 나타나 바와 같이, 아가로바이오스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포도상구균의 생장이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2 mg/mL의 농도에서 완벽하게 생장이 저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아가로바이오스를 제외한 나머지 아가로올리고당의 혼합물(Dp4+DP6+DP8)의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검사를 수행한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가로올리고당의 농도가 능가할수록 포도상구균의 생장이 더욱 저해되었으며, 8 mg/mL의 농도에서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실시예 4> 디스크 확산 에세이(Disc diffusion assay)를 통한 포도상구균 생장 저해 실험
디스크 확산 에세이는 항생물질의 디스크 내 확산을 이용하여 미생물들의 생장저해 유무를 판단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각 디스크에 0-150 ㎍/disk의 아가로바이오스를 분주하여 포도상구균의 생장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디스크 확산 에세이를 위한 고체배지 조성은 액체배지에 1.5% 아가(agar)를 추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험에서 이용된 디스크는 ADVANTEC사(Tokyo, Japan)의 두께 0.7 mm, 지름 10mm의 페이퍼 디스크를 사용하였다. 먼저, 수용액 상태의 아가로바이오스를 각각 디스크가 0 ㎍, 50 ㎍, 100 ㎍, 150 ㎍/disk의 아가로바이오스를 갖고 있도록 디스크를 준비시켰다. 그 후, 포도상구균을 준비한 고체배지에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멸균된 면봉으로 배양액을 취해 스트리킹하였고, 준비한 디스크를 균이 접종된 고체배지에 올려주었다. 이후 37℃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하여 따른 억제환(zone of inhibition)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도상구균의 생장이 50-150 ㎍/disk의 농도에서 전혀 관찰되지 않아 아가로바이오스가 항-포도상구균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아가로바이오스 첨가 후 배양 시간별 포도상구균 생균수 변화 실험
아가로바이오스 첨가와 함께 배양 시간별 포도상구균의 생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16시간 혹은 32시간 동안 포도상구균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기 세포의 농도는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피부포도상구균 평균 약 6.5×106 CFU/mL로 맞추었으며, 아가로바이오스는 0, 2, 4 mg/mL 농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배양조건 등은 위의 실시예 1의 방법과 같으나, 아가로바이오스 농도 조건은 0, 2, 4 mg/mL로 시행하였다. 10 mL의 working volume에서 흡광도 대신 생균수(viable cell)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간대별로 원시료를 취하여 0.85%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10-3~10-6으로 희석한 후에 TSA(trypticase soy agar; BD Bioscience, Franklin Lakes, NJ) 아가 배지에 분주하였다. 그 후 16-24 시간 후 CFU(colony forming unit)/mL를 계수한 후 희석배수에 맞추어 환산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가로바이오스가 없는 조건에서는 두 종의 포도상구균이 8시간 내지 16시간 이후 약 108~109 CFU/mL으로 정상적인 생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2 mg/mL 이상의 아가로바이오스 농도에서는 두 종의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6시간 내지 32시간 배양 후의 생균수는 2 mg/mL와 4 mg/mL의 농도에서 초기세포수인 6.5×106 대비 최대 1.5 log10(CFU/mL)가량 생균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의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아가로올리고당 대신에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1, 2, 4, 8 mg/mL)를 사용하여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검사를 수행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포도상구균의 생장이 더욱 저해되었으며, 8 mg/mL의 농도에서는 거의 억제되었다.
<비교예 1> 네오아가로바이오스의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아가로올리고당 대신에 네오아가로바이오스(2.5, 5, 10, 20 mg/mL)를 사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생장 억제 검사를 수행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 mg/mL의 고농도의 네오아가로바이오스에서도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은 억제되지 않았다. 따라서, 네오아가로바이오스는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2> 갈락토오스의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아가로올리고당 대신에 갈락토오스(1, 2, 4, 8 mg/mL)를 사용하여 포도상구균에 대한 생장 억제 검사를 수행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갈락토오스에 의해 황색포도상구균의 생장은 전혀 억제되지 않았다. 따라서, 갈락토오스는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4)

  1.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포도상구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3.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은 농양, 여드름, 피부염, 폐렴, 심내막염, 패혈증, 골수염, 골관절염, 균혈증, 폐렴, 독소쇼크증후군, 식중독, 고열, 패혈증, 부종병, 유방염 및 장형대장균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또는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의 감염에 의한 질환인, 포도상구균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포도상구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7.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포도상구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식품 조성물.
  9.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포도상구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용 동물 사료 조성물.
  11.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의 소독제.
  12. 제11항에 있어서,
    포도상구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포도상구균의 소독제.
  13. 아가로올리고당; 아가로바이오스; 및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아가로올리고당은 아가로바이오스, 아가로테트라오스, 아가로헥사오스 및 아가로옥타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인, 포도상구균 사멸용 항균 보조제.
  14. 제13항에 있어서,
    포도상구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화농연쇄상구균(Staphylococcus pyogen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포도상구균 사멸용 항균 보조제.

KR1020170160753A 2017-11-28 2017-11-28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 KR10201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753A KR102011721B1 (ko) 2017-11-28 2017-11-28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
US16/767,928 US11413305B2 (en) 2017-11-28 2018-11-20 Use of agar-derived oligosaccharides for inhibiting growth of Staphylococcus
PCT/KR2018/014236 WO2019107820A1 (ko) 2017-11-28 2018-11-20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753A KR102011721B1 (ko) 2017-11-28 2017-11-28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899A true KR20190061899A (ko) 2019-06-05
KR102011721B1 KR102011721B1 (ko) 2019-08-19

Family

ID=6666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753A KR102011721B1 (ko) 2017-11-28 2017-11-28 포도상구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한천 유래 올리고당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3305B2 (ko)
KR (1) KR102011721B1 (ko)
WO (1) WO2019107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35A1 (ko) * 2022-08-10 2024-02-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L-ahg를 포함하는 면역 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087A (ja) 2002-09-19 2005-01-06 Rohto Pharmaceut Co Ltd 黄色ブドウ球菌の皮膚付着阻害剤
KR100544856B1 (ko) * 1997-11-11 2006-01-24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조류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한 의약, 식품 또는 음료
JP2006117662A (ja) * 1998-06-09 2006-05-11 Takara Bio Inc 治療剤
KR101585371B1 (ko) 2015-02-11 2016-01-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 올리고당을 이용한 경구투여용 항균 약학적 조성물
KR20170044945A (ko) * 2015-10-16 2017-04-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의 항충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952A (ja) * 2000-05-11 2002-01-29 Takayuki Kodama 歯磨用組成物
KR20080008363A (ko) 2005-05-19 2008-01-23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치아 에나멜질의 재석회화 촉진제, 그리고 그것을 함유하는구강용 조성물 및 음식물
CA2673466C (en) * 2006-12-21 2016-06-14 Paratek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tetracycline compounds
KR101675359B1 (ko) * 2014-12-30 2016-11-1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네오아가로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856B1 (ko) * 1997-11-11 2006-01-24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조류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한 의약, 식품 또는 음료
JP2006117662A (ja) * 1998-06-09 2006-05-11 Takara Bio Inc 治療剤
KR20060086454A (ko) * 1998-06-09 2006-07-31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글리세로-1,5-에폭시-1αβ,6-디하이드록시-시스-헥스-3-엔-2-온 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세포자멸 유도용 조성물
JP2005002087A (ja) 2002-09-19 2005-01-06 Rohto Pharmaceut Co Ltd 黄色ブドウ球菌の皮膚付着阻害剤
KR101585371B1 (ko) 2015-02-11 2016-01-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 올리고당을 이용한 경구투여용 항균 약학적 조성물
KR20170044945A (ko) * 2015-10-16 2017-04-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3,6―안하이드로―l―갈락토오스의 항충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735A1 (ko) * 2022-08-10 2024-02-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L-ahg를 포함하는 면역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721B1 (ko) 2019-08-19
US20210369765A1 (en) 2021-12-02
US11413305B2 (en) 2022-08-16
WO2019107820A1 (ko)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7697B2 (ja) 抗菌剤
JP5480864B2 (ja) 抗菌剤及びそれを含む口腔用組成物
JP2007332081A (ja) 健康美容機能性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および化粧品
US11413305B2 (en) Use of agar-derived oligosaccharides for inhibiting growth of Staphylococcus
KR101792239B1 (ko) 7,10-에폭시옥타데카-7,9-다이에노산 및 항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141034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50133351A (ko) 플라보놀계 화합물 및 항생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100530578B1 (ko)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약학조성물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70141030A (ko) 시스타노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9197B1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632336B1 (ko) 팥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9654B1 (ko) 산거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834790B1 (ko) 클로로겐산, 미르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25887B1 (ko) 연두털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90014873A (ko) 참가시나무 열매 및 바나바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JP2013237699A (ja) 抗菌剤及びそれを含む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品
KR102390839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유래 항균물질 혼합제 및 이의 용도
KR101436923B1 (ko)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KR101548162B1 (ko) 황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040043396A (ko)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483814B1 (ko) 파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220165426A (ko)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독성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