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907A -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907A
KR20190060907A KR1020170158483A KR20170158483A KR20190060907A KR 20190060907 A KR20190060907 A KR 20190060907A KR 1020170158483 A KR1020170158483 A KR 1020170158483A KR 20170158483 A KR20170158483 A KR 20170158483A KR 20190060907 A KR20190060907 A KR 2019006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black
natural
bo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714B1 (ko
Inventor
김후자
김호영
김연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수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수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수목
Priority to KR102017015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3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organic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선별한 감을 60∼90℃의 온도에서 증숙 처리하여 점액질 흑감을 수득하고 압출 분쇄하여 흑감원료를 제조하는 제1공정(S10)과, 흑감원료에 물과, sumizyme AC와, tannase-KTFH와, Cytolase PCL5를 첨가하여 호기 발효하고, 15 ~ 30%로 농축하여 흑감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2공정(S20)과, 흑감 조성물에 감물을 혼합하여 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흑감 조성물에 천연안료와, 천연물질 첨가제와, 감물과, 보조제를 혼합하여 불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는 제3공정(S30)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 비해 단시간에 높은 도색 품질 및 안정적인 물성을 가지고 사용성 및 보관성이 우수한 흑감 천연도료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NATURAL PAINT WITH BLACK PERSIMMON COMPOSITION BY RIPENING TREATMENT}
본 발명은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숙감, 낙과, 적과, 또는 완숙감을 이용해 흑감을 제조하고, 이를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해 투명 또는 불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시칠(枾漆) 제조방법에 비해 속성으로 높은 도색 품질 및 안정적인 물성을 가지는 흑감 천연도료를 제조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상물을 다양한 색조로 도색하는 방법에는 대부분 합성도료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도료에는 포름알데히드 및 유기 화합물 등 각종 유해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천연도료의 개발 및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현재 대부분의 천연도료는 미주나 유럽권을 중심으로 기술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락 수지, 코팔 수지 등 알코올을 용매로 하는 수지류 계열과, 분자량이 많은 카제인, 난백 등의 단백질 계열과, 셀룰로오스 등의 다당류, 혹은 아마인유, 홍화씨유 등의 오일류 계열 등 그 종류가 다양하며 인체에 매우 안전하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감즙에서 수득하는 시칠(枾漆)이 천연도료로 전해진다. 시칠은 수차례 대상물에 도색을 하여 진한 밤색을 발색하면서 은은한 광택을 내는 것을 고품질로 여기며, 그 밖에 방충, 방오 등의 효과가 있어 옻칠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도료로 알려져 있다.
시칠, 즉 감을 도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채취한 감을 착즙한 후 발효 및 숙성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일반적으로 감즙의 발효 숙성에는 1 ~ 3년의 장기간이 소요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악취 및 불순물은 도료로서의 사용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즙의 주성분인 탄닌은 축합성질을 가지고 있어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성물과 중합반응에 의해 붉은색 또는 갈색의 침전물을 생성하고, 발효 후 겔화되어 슬러지로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도료의 보관성 역시 극히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감즙을 발효 및 숙성하는 과정만으로는 도료로 사용시 발색도가 현저히 낮으므로 결국 수차례 도포를 반복 실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시공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므로 도료로서의 사용범위, 활용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감즙을 삭히거나 누룩 효모를 이용해 감즙을 발효하여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제공된바,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1 - 0097184 호에는 누룩을 이용한 발효감물을 포함하는 염료와 도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감을 착즙하여 감즙을 만드는 제1단계와, 제1단계의 감즙을 누룩으로 혐기발효하여 발효감즙을 만드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는 배지에 누룩을 띄워 얻어지는 누룩배양액을 이용하되 배지는 물과 엿기름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25℃~30℃의 온도에서 5~15일 동안 이루어지며 제2단계 후에 5~10℃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제3단계를 더 실시하고 상기에 따라 제조된 발효감물에 잿물과 점액을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구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1 - 0097184 호 (2011.08.31) 한국등록특허 제 10 - 1772601 호 (2017.09.13)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80480 호 (2016.11.28) 한국공개특허 제 10 -2009 - 0086856 호 (2009.08.14)
종래 기술에 따른 전통적인 시칠 제조방법은 감을 착즙하여 감즙을 만들고, 이를 발효 숙성하여 제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감물이 도료로 사용하기 적합한 수준으로 숙성되는데까지는 최소 1 ~ 3년의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과 같이 감을 압착하여 착즙하면 약 2/3 정도의 감즙을 수득하는데, 이 과정에서 각종 잡균에 의한 오염이 쉽게 발생하여 상온에 보관 시 부패가 발생하여 도료로 제조시 보관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감즙의 주성분인 탄닌의 축합이 진행되어 겔화되거나 과립 상태의 알갱이 혹은 점액질로 변성되어 침전물을 생성하고, 심한 악취를 동반하는 등 물성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의 도료를 형성하므로 산업화의 큰 걸림돌이 되는 실정이다.
상기 예시로 든 종래 기술의 감즙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 기술은 감즙을 만든 후 누룩 효모를 이용한 혐기성 발효에 의해 숙성 기간을 단축하도록 구성하나, 종합효소의 성격을 가지는 누룩 효모에 의한 혐기성 발효가 이루어지므로 미분해 물질까지 분해되어 악취 및 불순물을 발생시키고 감물 특유의 성질을 상실하게 하여 도색 시공후에도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감즙에는 일반적으로 약 2 ~ 5%의 탄닌을 포함하고 있으나 거의가 분자량 15000이상의 축합탄닌으로 이루어는바, 축합탄닌은 도료의 물성을 조성하기 위해서 첨가하는 잿물과 같은 알칼리성 금속염이나 단백질 등의 고분자 물질과 중축합에 의한 거대 분자화 또는 교차결합, 공유결합이 쉽게 방생하여 응집되고 단단한 물성으로 변질되므로 타 물질과의 혼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선별한 감을 60∼90℃의 온도에서 증숙 처리하여 점액질 흑감을 수득하고 압출 분쇄하여 흑감원료를 제조하는 제1공정(S10)과,
상기 흑감원료에 물과, sumizyme AC와, tannase-KTFH와, Cytolase PCL5를 첨가하여 호기 발효하고, 15 ~ 30%로 농축하여 흑감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2공정(S20)과,
상기 흑감 조성물에 감물을 혼합하여 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흑감 조성물에 천연안료와, 천연물질 첨가제와, 감물을 혼합하여 불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는 제3공정(S30)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물질 첨가제는, 알긴산, 카제인, 셀락, 아라비아검, 린시드 오일, 글리세린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공정(S10)은,
물기를 제거한 감을 과습 상태의 증숙기에 투입하여 60 ~ 7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예비증숙단계(S11)와,
상기 예비증숙단계(S11)를 거친 후, 증숙기에 증기를 주입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본증숙단계(S12)와,
상기 본증숙단계(S12)를 거친 후, 증숙기에 증기를 주입하여 60 ~ 70℃에서 48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제1차후증숙단계(S13)와,
상기 제1차후증숙단계(S13)를 거친 후, 70℃에서 각각 72시간, 96시간, 122시간, 144시간 동안 증숙과 감온을 반복하는 제2차 내지 제5차후증숙단계(S14~S17)와,
상기 제5차후증숙단계(S17)를 거쳐 수득한 점액질 흑감을 상온에서 3 ~ 5일 동안 안정화하고, 압출 분쇄하여 흑감원료를 수득하는 분쇄단계(S1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공정(S20)은,
흑감원료에, 흑감원료의 50 ~ 1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흑감원료액을 조성하는 조성단계(S21)와,
상기 흑감원료액의 중량에 대하여, sumizyme AC 0.001 ~ 0.05 중량부와,
tannase-KTFH 0.001 ~ 0.05 중량부와, Cytolase PCL5 0.001 ~ 0.05 중량부를 첨가하고 50 ~ 60℃에서 30 ~ 720분 동안 효소를 활성화하는 제1차발효단계(S22)와,
상기 제1차발효단계(S22)를 거친 후, 온도를 80 ~ 100℃로 증온하여 10 ~ 30분동안 효소를 불활성화하는 제2차발효단계(S23)와,
상기 제2발효단계(S23)를 거친 흑감원료를 원심분리한 후 진공 농축기에서 55 ~ 60℃에서 저온 농축하여 15 ~ 30%의 고농축 흑감 조성물을 수득하는 농축단계(S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공정(S30)에서 불투명 천연도료의 제조 공정은,
알긴산과 물을 1 : 10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에서 중탕으로 용해하는 제1조성물수득단계(S31)와,
카제인의 중량에 대하여 15중량부의 붕사를 첨가한 카제인 붕사 혼합물과, 물을 1 : 7중량비로 혼합한 후 중탕으로 용해하는 제2조성물수득단계(S32)와,
상기 제1조성물 6 ~ 12중량부와 상기 제2조성물 7 ~ 10중량부를 혼합하는 제3조성물수득단계(S33)와,
상기 제3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셀락과 알코올을 1 : 2.8중량비로 용해한 혼합물 5 ~ 8중량부를 첨가하는 제4조성물수득단계(S34)와,
상기 제4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아라비아검과 물을 1 : 2.5중량비로 용해한 혼합물 3 ~ 5중량부를 첨가하는 제5조성물수득단계(S35)와,
상기 제5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린시드 오일 6 ~ 10중량부와, 글리세린 3 ~ 5중량부와, 감물 10 ~ 20중량부를 첨가하여 30분 이상 교반한 후, 상기 제2공정(S20)에서 제조한 흑감 조성물 25 ~ 55중량부를 첨가하는 천연도료제조단계(S36)와,
상기 천연도료에, 발색을 위한 천연안료와 보조제를 첨가하여 도료의 물성을 조절하는 후처리단계(S3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속성으로 높은 도색 품질 및 안정적인 물성을 가지고, 사용성 및 보관성이 우수한 흑감 천연도료를 제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공정에서 미숙감, 낙과, 적과, 또는 완숙감을 다단계에 걸친 증숙 및 감온 과정을 거쳐 속성으로 흑감원료를 제조한 후, 제2공정에서는 시럽이나 페이스트 상태에서 발효하여 안정적인 물성의 고농축 흑감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3공정에서 감물 및 천연안료, 천연물질과 안정적인 혼합 과정을 거쳐 투명 또는 불투명 천연도료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감에 함유된 축합탄닌이 제1공정을 거치면서 고정화되어 물성의 변질을 방지하므로 안정화된 상태의 흑감원료를 제조할 수 있고, 흑감원료의 발효에 최적화된 효소를 이용해 단시간에 호기성 발효하는 과정에서 섬유질, 펙틴 및 다당류 등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알코올, 유기산 등의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하고 악취 발생의 원인을 배제하여 안정화된 흑감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감즙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감즙의 부패 및 악취, 이물질 발생과 같은 문제점을 배제함은 물론, 흑감 조성물에 천연물질을 첨가시 안정적인 혼합 상태를 조성하여 천연도료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해 제조된 감즙 도료에 비해 높은 은폐력을 가지는 고품질의 흑감 조성물을 도료의 원료로 이용하므로, 도색 횟수를 대폭 단축하고 빠른 건조시간을 제공하며, 각종 수지류, 단백류, 호료류, 다당류, 오일류 등의 천연물질과 혼합 시 축합에 의한 결집 현상을 배제하는 등 사용성, 보관성, 안정성이 우수한 천연도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1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2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3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1공정의 실시 예시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2공정의 실시 예시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도료의 사용 예시 이미지.
이하, 본 발명의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1공정(S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2공정(S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3공정(S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1공정(S10)의 실시 예시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의 제2공정(S20)의 실시 예시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도료의 사용 예시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은 미숙감, 낙과, 적과, 또는 완숙감을 이용해 흑감을 속성 제조하고, 이를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해 천연도료를 제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시칠 제조방법에 비해 속성으로 높은 도색 품질 및 안정적인 물성을 가지는 흑감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은, 크게 흑감원료를 제조하는 제1공정(S10)과, 흑감원료를 이용해 흑감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2공정(S20)과, 흑감 조성물을 이용해 천연도료를 제조하는 제3공정(S30)으로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제1공정(S10)은 선별한 감을 60∼90℃의 온도에서 증숙 처리하여 점액질 흑감을 수득하고 압출 분쇄하여 흑감원료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제1공정(S10)에서는 과습 상태에서 증숙하고, 증기 배출에 의해 감온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속성으로 흑감을 제조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정(S10)은 예비증숙단계(S11)와, 본증숙단계(S12)와, 제1차 내지 제5차후증숙단계(S14~S17)와, 분쇄단계(S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예비증숙단계(S11)는 물기를 제거한 감을 과습 상태의 증숙기에 투입하여 60 ~ 7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단계이다.
상기 예비증숙단계(S11)에서 사용하는 감은 미숙감, 낙과, 적과, 또는 완숙감을 선과하여 파손 또는 부패 등 불량감을 선별한 후 수세하여 사용한다. 수세된 감은 물기를 제거한 후 채반에 적재하여 증숙기에 투입한다.
상기 예비증숙단계(S11)에서는 증숙기를 60 ~ 98%의 과습 상태에서 60 ~ 70℃의 온도에서 진행한다. 증숙 및 감온(냉각)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될 경우 포화수증기의 양에 변화가 발생하여 온, 습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상기와 같이 예비 증숙된 감은 세포 내에 함유된 수용성 탄닌이 증숙에 의해 제거되고 과실이 숙성하면서 탄닌 성분이 불용화된다. 후속되는 본증숙단계(S12), 후증숙단계의 횟수 및 조건에 따라서 불용화 정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본증숙단계(S12)는 상기 예비증숙단계(S11)를 거친 후, 증숙기에 증기를 주입하여 예비증숙단계(S11)보다 높은 온도인 90℃에서 24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차후증숙단계(S13)는 상기 본증숙단계(S12)를 거친 후, 증숙기에 증기를 주입하여 60 ~ 70℃에서 48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감온 시 수증기가 배출되면서 감에 함유된 휘발성 물질이 함께 배출되고 동시에 수분감소가 이루어짐에 따라 감의 색상이 점차 진해져 흑감으로 숙성된다.
상기 제2차 내지 제5차후증숙단계(S14~S17)는 제1차후증숙단계(S13)를 거친 후, 70℃에서 각각 72시간, 96시간, 122시간, 144시간 동안 증숙과 감온을 반복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증숙 과정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증숙 온도를 감온하며 증숙 시간을 길게 처리하는 방식으로 축합탄닌을 안정화시키고, 열분해에 의한 부분적인 분자 구조의 변화를 통해 감에 함유된 다양한 화학적 성분이 파괴 및 생성됨을 반복하여 흑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5차후증숙단계를 거친 후 수분량이 감소한 진한 밤색의 흑감은 냉장 또는 급속 냉동한 후 편으로 잘라 진공, 또는 동결, 또는 열풍건조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분쇄단계(S18)는 제5차후증숙단계(S17)를 거쳐 수득한 점액질 흑감을 상온에서 3 ~ 5일 동안 안정화하고, 압출 분쇄하여 후술하게 될 제2공정에 투입할 흑감원료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흑감은 수분이 증발되어 내부 점도가 매우 높은 상태이므로 분쇄단계(S18)를 통해 점액질이 높은 흑감을 분쇄하여 발효가 용이한 상태의 흑감원료를 수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2공정(S20)은 상기 제1공정(S10)을 통해 수득한 흑감원료에 물과, sumizyme AC와, tannase-KTFH와, Cytolase PCL5를 첨가하여 호기 발효하고, 15 ~ 30%로 농축하여 흑감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제2공정(S20)은 흑감원료를 발효하여 발색이 진하고 물성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안정화된 상태의 흑감 조성물로 제조하는 공정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성단계(S21)와 제1차발효단계(S22)와 제2차발효단계(S23)와 농축단계(S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성단계(S21)는 교반기가 구비된 발효조에서 흑감원료에, 흑감원료의 50 ~ 1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흑감원료액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차발효단계(S22)는 상기 흑감원료액의 중량에 대하여, sumizyme AC 0.001 ~ 0.05 중량부와, tannase-KTFH 0.001 ~ 0.05 중량부와, Cytolase PCL5 0.001 ~ 0.05 중량부를 첨가하고 50 ~ 60℃에서 30 ~ 720분 동안 효소를 활성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sumizyme AC는 셀룰라아제 계통 효소로써 제3공정(S30)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 효소이다. 호기성 발효가 이루어지므로 악취 발생이 없다.
상기 tannase-KTFH는 흑감원료에 함유된 가수분해탄닌을 분해하는 효소로써 가수분해탄닌과 축합탄닌의 결합을 원천적으로 억제하여 불용화를 방지한다.
상기 Cytolase PCL5는 β-글루카나아제 효소로써 셀룰라아제 또는 펙티넥스 활성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섬유질 사이에 둘러싸여 있는 탄닌으로부터 섬유질을 분해하는 기질특성이 있다. 섬유질이 분리된 감 탄닌은 수용성 탄닌과 불용성 탄닌으로 분리되어 결집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상기 sumizyme AC, tannase-KTFH, Cytolase PCL5 효소는 각각 미온수의 물에 용해한 상태로 흑감원료액에 첨가하여 촉매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3종의 특정 효소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효소는 하나의 반응 내지 유사 반응만을 선택적으로 촉매 작용하는 기질특이성을 가지는 점에 기인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흑감원료의 발효에 최적화된 sumizyme AC, tannase-KTFH, Cytolase PCL5 효소를 사용하여 제1차발효단계(S22)를 실시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누룩과 같은 재래 효모가 장시간에 걸쳐 혐기성 발효 반응을 유발하여 부패 및 악취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배제한다.
상기 제2차발효단계(S23)는 제1차발효단계(S22)를 거친 후, 온도를 80 ~ 100℃로 증온하여 10 ~ 30분동안 효소를 불활성화하여 촉매 기능을 상실시키는 단계이다. 필요에 따라서 온도를 100℃ 이상으로 증온하여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으며, 다만 고온에서 장시간 반응시 색상의 변화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상기 제1차발효단계(S22)와 제2차발효단계(S23)를 거치면서 흑감원료에 함유된 섬유질 및 펙틴질이 단시간에 효소 분해되고 호기성 발효에 의해 악취의 원인이 제거된다.
상기 농축단계(S24)는 제2발효단계(S23)를 거친 흑감원료를 원심분리한 후 진공 농축기에서 55 ~ 60℃에서 저온 농축하여 15 ~ 30%의 고농축 흑감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원심분리기 대신 포켓 필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농축단계(S24)를 거쳐 수득한 흑감 조성물은 약 103℃에서 보존제인 안식향산나트륨을 첨가해 살균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 내지 제2차발효단계(S22~S23)를 거치면서 생성되는 잔존 유기산과 알코올성분,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이소-아밀알코올 등과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성분은 진공으로 감압하여 응축기에서 제거시킨다. 따라서, 상기 농축단계(S24)에서는 상기 열거한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성분이 최소화 된 안정화된 상태의 고농축 흑감 조성물을 수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2공정(S20)에 따라 제조된 흑감 조성물은 상기 제1공정(S10)에서 흑감을 증숙하는 과정에서 섬유질 사이의 불용성 탄닌이 낮은 운동량에 의한 페이스트 상태로 축합되어 불용화되므로 감에 내재된 단백질이나 다당류 렉틴질과 중축합되어 거대 분자로 결합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하기 제3공정에서 천연 유, 무기물 및 천연안료의 혼합 과정에서도 응집현상 등을 배제하여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공정(S30)은 상기 제2공정(S20)을 통해 수득한 흑감 조성물에 감물을 혼합하여 투명 도료를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흑감 조성물에 천연안료와, 천연물질 첨가제와, 감물을 혼합하여 불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흑감 조성물에 혼합하는 감물은 통상의 발효감물 또는 분말감물, 감즙을 이용한다. 상기 통상의 발효감물은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감을 착즙하여 1 ~ 3년간 발효 숙성한 감물을 이용하거나, 또는 누룩 효모를 이용해 감즙을 혐기성 발효한 감물을 이용하면 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공정(S30)에서 불투명 천연도료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천연물질 첨가제는, 알긴산, 카제인, 셀락, 아라비아검, 린시드 오일, 글리세린을 포함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조성물수득단계 내지 제5조성물수득단계(S31~S35)와, 천연도료제조단계(S36), 및 후처리단계(S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조성물수득단계(S31)는 알긴산과 물을 1 : 10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에서 중탕으로 용해하는 단계이다. 알긴산은 도료의 점성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2조성물수득단계(S32)는 카제인의 중량에 대하여 15중량부의 붕사를 첨가한 카제인 붕사 혼합물과, 물을 1 : 7중량비로 혼합한 후 중탕으로 용해하는 단계이다. 카제인은 도료에 접착성을 부여하며 알칼리성이면서 무독성인 붕사와 혼합하면 접착성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제3조성물수득단계(S33)는 제1조성물 6 ~ 12중량부와 상기 제2조성물 7 ~ 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4조성물수득단계(S34)는 상기 제3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셀락과 알코올을 1 : 2.8중량비로 용해한 혼합물 5 ~ 8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이다. 셀락은 바니시와 같은 천연 마감수지로 코팅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제5조성물수득단계(S35)는 상기 제4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아라비아검과 물을 1 : 2.5중량비로 용해한 혼합물 3 ~ 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이다. 아라비아검은 천연수지로 이루어진 도료의 부착성능을 향상한다.
상기 천연도료제조단계(S36)는 상기 제5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린시드 오일 6 ~ 10중량부와, 글리세린 3 ~ 5중량부와, 감물 10 ~ 20중량부를 첨가하여 30분 이상 교반한 후, 상기 제2공정(S20)에서 제조한 흑감 조성물 25 ~ 5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연도료제조단계(S36)에서 첨가하는 린시드 오일은 보일유와같은 건성유가 바람직하다. 보일드 린시드 오일은 특히 나무 등의 표면 도색 시 광택 효과를 부여하며 일반 린시드 오일에 비해 건조시간이 빠른 이점이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도막의 동결을 방지하고 건조를 조절한다. 글리세린 대신 용해력이 우수한 프로필렌 글리콜을 대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도료제조단계(S36)에서 사용하는 감물은 통상의 발효감물 또는 감즙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단계(S37)는 상기 천연도료에, 발색을 위한 천연안료와 보조제를 첨가하여 도료의 물성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조제로는 천연칼슘, 카올린, 규산나트륨, 침강 방지제, 분산제 등을 포함하여 도료의 물성을 조성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실시 예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실시 예 1 - 제1공정(S10)>
본 발명의 흑감원료 제조.
덜 익은 청도반시(직경 6 ~ 7cm)를 이용해 불량과를 제거하고 꼭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수세 후 물기를 제거한다.
증숙기를 고압 살균하고 물기가 제거된 감을 채반에 적대하여 증숙기에 투입한다.
하기 표 1에는 예비증숙단계(S11), 본증숙단계(S12), 제1차 내지 제5차후증숙단계(S14~S17)의 실시 조건을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단계 온도(℃) 시간(hr)

예비증숙단계(S11)
60 ~ 70

상온 감온

12

본증숙단계(S12)
90

상온 감온

24

제1차후증숙단계(S13)
60 ~ 70

상온 감온

48

제2차후증숙단계(S14)
70

상온 감온

72

제3차후증숙단계(S15)
70

상온 감온

96

제4차후증숙단계(S16)
70

상온 감온

120

제5차후증숙단계(S17)
70

상온 감온

144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수득한 점액질의 진한 밤색의 흑감은 상온에서 3 ~ 5일 동안 안정화하고, 제2공정의 실시 전까지 냉장 또는 급속 냉동한 후 편으로 잘라 진공, 또는 동결, 또는 열풍건조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후, 통상의 쵸파기와같은 압출식 분쇄기로 흑감을 분쇄하여 흑감원료를 수득하는 분쇄단계(S18)를 실시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공정(S10)의 실시 과정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이미지로서, (a)는 생감, (b)는 흑감원료, (c)는 압출 분쇄기, (d)와 (e)는 2차례에 걸친 분쇄과정을 거쳐 수득한 흑감원료이다.
<실시 예 2 - 제2공정(S20)>
본 발명의 흑감 조성물 제조.
상기 제1공정(S10)에서 제조된 흑감원료를 발효조로 이송한다. 흑감원료의 50 ~ 1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흑감원료액을 조성하는 조성단계(S21)를 실시한다. 교반 속도는 약 3 ~ 5RPM의 저속으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하기 표 2에는 제1차발효단계(S22)와 제2차발효단계(S23), 및 농축단계(S24)의 실시 조건을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농축단계(S24)에서 교반 속도는 약 10 ~ 15RPM의 속도으로 수행한다.
단계 첨가효소 온도(℃) 시간(min)
제1차발효단계
(S22)
sumizyme AC 0.001 ~ 0.05 중량부
tannase-KTFH 0.001 ~ 0.05 중량부
Cytolase PCL5 0.001 ~ 0.05 중량부

50 ~ 60

30 ~ 720
제2차발효단계
(S23)
80 ~ 100 10 ~ 30
농축단계
(S24)
55 ~ 60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공정(S20)의 실시 과정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이미지로서, (a)는 제1차발효단계(S22), (b)는 제2차발효단계(S23)의 실시 상태이다.
<실시 예 3 - 제3공정(S30)>
본 발명의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투명 천연도료 제조.
상기 제2공정(S20)에서 제조된 흑감 조성물에 통상의 발효감물, 분말감물 또는 감즙을 첨가하여 투명 도료를 제조한다. 각 성분의 혼합비는 도색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는 투명 도료를 이용해 나무의 도색에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불투명 천연도료 제조.
상기 제2공정(S20)에서 제조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해 천연안료와, 천연물질 첨가제와, 감물과, 보조제를 혼합하여 불투명도료를 제조한다.
하기 표 3에는 제1조성물수득단계 내지 제5조성물수득단계(S31~S35), 및 천연도료제조단계(S36), 후처리단계(S37)의 실시 조건을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단계 조제
제1조성물수득단계
(S31)
알긴산 : 물 = 1 : 10중량비
제2조성물수득단계
(S32)
(카제인 + 붕사 15중량부) : 물 = 1 : 7중량비
제3조성물수득단계
(S33)
제1조성물 6~12중량부 + 제2조성물 7~10중량부
제4조성물수득단계
(S34)
제3조성물 + (셀락 : 알코올 = 1 : 2.8중량비) 5~8중량부
제5조성물수득단계
(S35)
제4조성물 + (아라비아검 : 물 = 1 : 2.5중량비) 3~5중량부
천연도료제조단계
(S36)
제5조성물 + 린시드 오일 6~10중량부 + 글리세린 3~5중량부 + 감물 10~20중량부 : 흑감 조성물 25~55중량부
후처리단계
(S37)
천연도료 + 천연안료 + 보조제
상기 제1조성물수득단계(S31)에서 알긴산과 물은 100℃에서 중탕으로 용해한다.
상기 제2조성물수득단계(S32)에서 카제인과 붕사는 중탕으로 용해한다.
상기 제4조성물수득단계(S34)에서 셀락은 에탄올을 이용해 용해하고 불순물을 여과한다.
상기 제5조성물수득단계(S35)에서 아라비아검과 물은 중탕으로 용해하고 불순물을 여과한다.
상기 천연도료제조단계(S36)에서 첨가하는 린시드 오일은 보일유와같은 건성유를 사용하여 도료의 건조시간을 단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천연도료제조단계(S36)에서는 글리세린 대신 용해력이 우수한 프로필렌 글리콜을 대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도료제조단계(S36)에서 사용하는 감물은 통상의 발효감물 제조 방식에 따라 감을 착즙하여 1 ~ 3년간 발효 숙성한 감물을 이용하거나, 또는 누룩 효모를 이용해 감즙을 혐기성 발효한 감물을 이용하며, 에탄올 10%에 희석하여 고형분 8%, pH 5.0 상태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후처리단계(S37)에서 사용하는 보조제는 천연칼슘, 카올린, 규산나트륨, 침강방지제, 분산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도료 사용에 적합한 점도 및 흡착성 등의 물성을 조성하여 불투명 천연도료를 완성한다. 상기 보조제는 천연도료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천연도료의 중량에 대하여 0.1 ~ 5중량부 범위로 첨가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은 미숙감이나 낙과, 적과, 완숙감을 이용해 제1공정(S10)에서 속성으로 흑감원료를 제조하고, 상기 흑감원료를 이용하여 제2공정(S20)에서 도료의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안정화된 상태의 흑감 조성물로 제조하며, 제3공정(S30)에서는 상기 흑감 조성물에 통상의 감물을 혼합하여 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거나, 또는 흑감 조성물에 천연안료 및 천연물질을 혼합하여 불투명 천연도료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에 함유된 축합탄닌이 고정화된 상태의 흑감원료를 속성 제조하고, 호기성 발효에 적합한 sumizyme AC, Tannase-KTFH, Cytolase PCL5 효소를 조합하여 발효함으로써 악취 발생의 원인 및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하여 안정화된 상태에서 높은 은폐력을 가지는 흑감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흑감 조성물을 이용해 투명 천연도료 또는 불투명 천연도료의 원료로 이용하므로, 도색 작업 횟수를 단축하고 빠른 건조시간을 제공하며, 아울러, 각종 수지류, 단백류, 호료류, 다당류, 오일류 등의 천연물질과 혼합 시 축합에 의한 결집 현상을 배제하는 등 작업성 및 사용성, 안정성, 보관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S10: 제1공정
S11: 예비증숙단계 S12: 본증숙단계
S13: 제1차후증숙단계 S14~S17: 제2차 내지 제5차후증숙단계
S18: 분쇄단계
S20: 제2공정
S21: 조성단계 S22: 제1차발효단계
S23: 제2차발효단계 S24: 농축단계
S30: 제3공정
S31: 제1조성물수득단계 S32: 제2조성물수득단계
S33: 제3조성물수득단계 S34: 제4조성물수득단계
S35: 제5조성물수득단계 S36: 천연도료제조단계
S37: 후처리단계

Claims (5)

  1. 선별한 감을 60∼90℃의 온도에서 증숙 처리하여 점액질 흑감을 수득하고 압출 분쇄하여 흑감원료를 제조하는 제1공정(S10)과,
    상기 흑감원료에 물과, sumizyme AC와, tannase-KTFH와, Cytolase PCL5를 첨가하여 호기 발효하고, 15 ~ 30%로 농축하여 흑감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2공정(S20)과,
    상기 흑감 조성물에 감물을 혼합하여 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흑감 조성물에 천연안료와, 천연물질 첨가제와, 감물을 혼합하여 불투명 천연도료를 제조하는 제3공정(S30)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물질 첨가제는, 알긴산, 카제인, 셀락, 아라비아검, 린시드 오일,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S10)은,
    물기를 제거한 감을 과습 상태의 증숙기에 투입하여 60 ~ 7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예비증숙단계(S11)와,
    상기 예비증숙단계(S11)를 거친 후, 증숙기에 증기를 주입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본증숙단계(S12)와,
    상기 본증숙단계(S12)를 거친 후, 증숙기에 증기를 주입하여 60 ~ 70℃에서 48시간 동안 증숙하고, 증기를 배출하여 상온으로 감온하는 제1차후증숙단계(S13)와,
    상기 제1차후증숙단계(S13)를 거친 후, 70℃에서 각각 72시간, 96시간, 122시간, 144시간 동안 증숙과 감온을 반복하는 제2차 내지 제5차후증숙단계(S14~S17)와,
    상기 제5차후증숙단계(S17)를 거쳐 수득한 점액질 흑감을 상온에서 3 ~ 5일 동안 안정화하고, 압출 분쇄하여 흑감원료를 수득하는 분쇄단계(S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S20)은,
    흑감원료에, 흑감원료의 50 ~ 1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흑감원료액을 조성하는 조성단계(S21)와,
    상기 흑감원료액의 중량에 대하여, sumizyme AC 0.001 ~ 0.05 중량부와, tannase-KTFH 0.001 ~ 0.05 중량부와, Cytolase PCL5 0.001 ~ 0.05 중량부를 첨가하고 50 ~ 60℃에서 30 ~ 720분 동안 효소를 활성화하는 제1차발효단계(S22)와,
    상기 제1차발효단계(S22)를 거친 후, 온도를 80 ~ 100℃로 증온하여 10 ~ 30분동안 효소를 불활성화하는 제2차발효단계(S23)와,
    상기 제2발효단계(S23)를 거친 흑감원료를 원심분리한 후 진공 농축기에서 55 ~ 60℃에서 저온 농축하여 15 ~ 30%의 고농축 흑감 조성물을 수득하는 농축단계(S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S30)에서 불투명 천연도료의 제조 공정은,
    알긴산과 물을 1 : 10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에서 중탕으로 용해하는 제1조성물수득단계(S31)와,
    카제인의 중량에 대하여 15중량부의 붕사를 첨가한 카제인 붕사 혼합물과, 물을 1 : 7중량비로 혼합한 후 중탕으로 용해하는 제2조성물수득단계(S32)와,
    상기 제1조성물 6 ~ 12중량부와 상기 제2조성물 7 ~ 10중량부를 혼합하는 제3조성물수득단계(S33)와,
    상기 제3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셀락과 알코올을 1 : 2.8중량비로 용해한 혼합물 5 ~ 8중량부를 첨가하는 제4조성물수득단계(S34)와,
    상기 제4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아라비아검과 물을 1 : 2.5중량비로 용해한 혼합물 3 ~ 5중량부를 첨가하는 제5조성물수득단계(S35)와,
    상기 제5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린시드 오일 6 ~ 10중량부와, 글리세린 3 ~ 5중량부와, 감물 10 ~ 20중량부를 첨가하여 30분 이상 교반한 후, 상기 제2공정(S20)에서 제조한 흑감 조성물 25 ~ 55중량부를 첨가하는 천연도료제조단계(S36)와,
    상기 천연도료에, 발색을 위한 천연안료와 보조제를 첨가하여 도료의 물성을 조절하는 후처리단계(S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
KR1020170158483A 2017-11-24 2017-11-24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KR10206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83A KR102062714B1 (ko) 2017-11-24 2017-11-24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83A KR102062714B1 (ko) 2017-11-24 2017-11-24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907A true KR20190060907A (ko) 2019-06-04
KR102062714B1 KR102062714B1 (ko) 2020-01-07

Family

ID=6681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483A KR102062714B1 (ko) 2017-11-24 2017-11-24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063A (ko) *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화수목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섬유용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6856A (ko) 2008-02-11 2009-08-14 허북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속성 발효감물 염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7184A (ko) 2010-02-25 2011-08-31 권춘현 누룩을 이용한 발효감물 제조방법 및 그 발효감물을 포함하는 염료와 도료 조성물
KR20140005439A (ko) * 2012-07-04 2014-01-15 주식회사 화수목 감타닌을 기초로 한 접착용 수지 제조 방법
KR20140130301A (ko) * 2013-04-30 2014-11-10 주식회사 화수목 축합형탄닌을 함유하는 천연염료 제조방법
KR101680480B1 (ko) 2015-07-29 2016-11-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및 감태를 포함하는 이성분 복합천연염료 및 이를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KR101696533B1 (ko) * 2015-02-27 2017-01-16 경상북도 청도군 고농축 유색 발효감물의 제조방법
KR101772601B1 (ko) 2015-03-26 2017-09-13 주식회사 화수목 감즙을 발효하여 조성된 유색 천연 도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6856A (ko) 2008-02-11 2009-08-14 허북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속성 발효감물 염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7184A (ko) 2010-02-25 2011-08-31 권춘현 누룩을 이용한 발효감물 제조방법 및 그 발효감물을 포함하는 염료와 도료 조성물
KR20140005439A (ko) * 2012-07-04 2014-01-15 주식회사 화수목 감타닌을 기초로 한 접착용 수지 제조 방법
KR20140130301A (ko) * 2013-04-30 2014-11-10 주식회사 화수목 축합형탄닌을 함유하는 천연염료 제조방법
KR101696533B1 (ko) * 2015-02-27 2017-01-16 경상북도 청도군 고농축 유색 발효감물의 제조방법
KR101772601B1 (ko) 2015-03-26 2017-09-13 주식회사 화수목 감즙을 발효하여 조성된 유색 천연 도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조성물
KR101680480B1 (ko) 2015-07-29 2016-11-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및 감태를 포함하는 이성분 복합천연염료 및 이를 이용한 천연염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063A (ko) *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화수목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섬유용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714B1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1057A (zh) 一种快速醇化的黑茶及其加工方法
CN103509702A (zh) 一种发酵型百香果酒及其酿制工艺
CN104886459A (zh) 一种发酵大米粉的制作方法
KR20100137943A (ko) 자색고구마 막걸리 제조 방법
KR100893433B1 (ko) 숙성마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용 조성물
CN105623938B (zh) 青稞精酿啤酒糖化工艺
KR101517374B1 (ko) 생약재를 이용한 발효소스의 제조방법
KR20190060907A (ko) 감을 숙성하여 조성한 흑감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도료의 제조방법
CN103704872B (zh) 一种具有甜香风格的再造烟草及其用途
KR101772601B1 (ko) 감즙을 발효하여 조성된 유색 천연 도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조성물
CN108514065A (zh) 一种竹叶提取物及其在食品中的应用
KR101696533B1 (ko) 고농축 유색 발효감물의 제조방법
JP2639630B2 (ja) 着色料製造方法
EP1140444B1 (fr) Utilisation d&#39;une composition enzymatique et procede pour l&#39;affinage du bois vert
KR830002037B1 (ko) 발효법에 의한 인삼주의 제조방법
KR100987233B1 (ko) 숙성마늘의 제조방법 및 식품용 조성물
KR101257772B1 (ko) 버섯 발효차의 제조방법
CN107736449A (zh) 一种茯苓六堡茶的制备方法
KR102575851B1 (ko) 해조류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다당류
KR102192050B1 (ko) 완숙감과 불량감을 이용한 감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료용 조성물
CN105838568A (zh) 一种增强记忆醒脑解热固定化葡萄醋及其制备方法
CN117796517A (zh) 一种定向酶解酱油及其酿造方法
CN117024988A (zh) 一种南烛叶黑色素提取方法
KR20220132224A (ko) 과일껍질을 새활용한 누룩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누룩
KR20220081682A (ko) 참가시나무를 이용한 발효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