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295A -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295A
KR20190057295A KR1020197008092A KR20197008092A KR20190057295A KR 20190057295 A KR20190057295 A KR 20190057295A KR 1020197008092 A KR1020197008092 A KR 1020197008092A KR 20197008092 A KR20197008092 A KR 20197008092A KR 20190057295 A KR20190057295 A KR 2019005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upture
axial
reg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595B1 (ko
Inventor
도루 사하라
사토루 시마다
다카시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3Membranes with a tea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4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65D41/48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09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B65D47/08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by at least three hinge sections, at least one having a length different from the 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의 구경부(56)의 피결합 수단(58)에 결합 수단(26)을 결합함으로써 구경부(56)에 장착되는 본체(4) 및 이 본체(4)에 힌지 수단(32)을 통해 연결된 상측 덮개(6)를 포함하는 형태의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2)를, 용기 덮개(2) 전체가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충분히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개량한다. 본체(4)의 수하벽(10)에 형성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내지 원호형 홈(46)의 축선 방향 깊이를 필요에 따라 변동함과 더불어, 적어도 제2 파단 영역(B) 및 제3 파단 영역(C)에 있어서, 홈(46)의 축선 방향 하단부를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53)을 수하벽(10)에 형성한다.

Description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본 발명은,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이 본체에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측 덮개를 포함하는 형태이고,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한 후에는 용기로부터 용기 덮개의 전체를 이탈시킬 수 있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액체 조미료 등을 수용한 용기를 위한 용기 덮개로서,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이 본체에 연결된 상측 덮개를 포함하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 성형된 용기 덮개가 널리 실제 사용되고 있다. 본체는 원형 폐색벽과 이 폐색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진 원통형 수하벽(垂下壁)을 가지며, 수하벽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수단은, 일반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형 리지 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원호형 리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덮개는 본체의 수하벽의 외주면 상단부에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본체의 폐색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본체의 폐색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의 사이를 선회 가능하다. 이와 같은 용기 덮개는, 본체를 용기의 구경부에 끼우고, 수하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 수단을 용기의 구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부에 결합함으로써,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된다.
그런데, 소위 폐기물 분별 회수라는 점에서,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한 후에는,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의 전체를 이탈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특수한 공구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 전체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개량한 용기 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 덮개에서는, 본체의 수하벽에는, 상측에서 볼 때 힌지보다 시계 방향 하류에 위치하는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수하벽의 상면에서 개방되고 또한 상기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상기 힌지 수단을 통과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형 홈의 축선 방향 깊이는 충분히 깊고, 원호형 홈보다 하측에는 얇은 벽이 잔류하고 있다.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한 후에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를 이탈시킬 때에는, 개방 위치로 한 상측 덮개를 하측 혹은 상측으로 강제하여 상기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을 파단하고, 이어서 상측 덮개를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즉 반시계 방향으로) 강제하여 원호형 홈의 하측에 잔류하고 있는 상기 얇은 벽을 파단한다. 이렇게 하면, 본체의 수하벽은,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원호형 홈보다 반경 방향 내측의 얇은 부분만이 잔류하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예컨대 상측 덮개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수하벽을 상측으로 강제함으로써 수하벽의 하단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수하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 수단을 용기의 구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부로부터 상측으로 이탈시키고, 이렇게 하여 상측 덮개와 함께 본체를(즉 용기 덮개의 전체를)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8-213924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 덮개는,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한 후에는, 특수한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 덮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을 파단하고, 이어서 원호형 홈의 하측에 잔류하고 있는 얇은 벽을 파단한 후에도, 수하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 수단이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용기의 구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턱부에 걸려 유지되는 것 등에 기인하여,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의 전체를 충분히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요 기술적 과제는,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충분히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본체 및 이 본체에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측 덮개를 포함하는 형태의 신규이며 개량된 용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내지 원호형 홈의 축선 방향 깊이를 필요에 따라 변동함과 더불어, 홈의 축선 방향 하단부를 따라서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는 용기 덮개로서, 본체 및 상측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원형 폐색벽과 상기 폐색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진 원통형 수하벽을 가지며, 상기 수하벽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기 수하벽의 외주면 상단부에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상기 폐색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본체의 상기 폐색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의 사이를 선회 가능한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수하벽에는, 상기 수하벽의 상면에서 개방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내지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수단보다 상기 시계 방향 하류이자 상기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는, 상기 수하벽에서의 상기 홈보다 반경 방향 외측의 부분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홈의 축선 방향 깊이는 상기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상기 힌지 수단을 통과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단 영역에서는 깊고 상기 수하벽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작거나 또는 제로이며, 상기 제1 파단 영역에 계속되어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깊이가 점차 얕아지고 상기 수하벽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점차 증대하고, 상기 제2 파단 영역에 계속되어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깊이는 얕고 상기 수하벽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크고,
적어도 상기 제2 파단 영역 및 상기 제3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하단부를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이 상기 수하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하단은 상기 결합 수단보다 축선 방향에서 하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제3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은 축선 방향에서 상기 결합 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파단 영역은 40 내지 10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파단 영역은 10 내지 30도의 각도 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제3 각도 영역은 140 내지 300도의 각도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파단 가능 영역에서의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0 내지 1.0 mm이고, 상기 제2 파단 영역에서의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0.6 mm 이상이고, 상기 제3 파단 영역에서의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4.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단 영역과 상기 제2 파단 영역의 경계에서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가 급격히 증대된다. 상기 제3 파단 영역의 상기 시계 방향 상류측에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깊이가 더욱 얕고 상기 수하벽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가 더욱 큰 비파단 영역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파단 영역에서,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축선 방향 상측에 20 내지 60도의 경사 각도로 연장되는 경사선을 따라서 변동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용기 덮개에서는,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용기 덮개를 이탈시킬 때에는, 개방 위치로 한 상측 덮개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강제하여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을 파단하고, 이어서 상측 덮개를 상측에서 볼 때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즉 반시계 방향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이 파단되고, 따라서 제3 파단 영역에서는 축선 방향에서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결합 수단이 용기의 구경부의 결합턱부에서 이탈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컨대 상측 덮개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기 덮개의 전체를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충분히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성형 몰드 내에서 성형한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에서 상측 덮개를 폐쇄 위치로 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에서의 상측 덮개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3에서의 VI-VI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의 선 VII-VII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3에서의 선 VIII-VIII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3에서의 선 IX-IX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3에서의 선 X-X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3에서의 선 XI-XI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도 3에서의 선 XII-XII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3에서의 선 XIII-XIII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3에서의 선 XIV-XIV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3에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의 본체에 형성된 박육부를 나타내는 부분 간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체를 번호 2로 나타내는 용기 덮개는 본체(4) 및 상측 덮개(6)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 덮개(2)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 전체를 일체로 사출 또는 압축 성형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본체(4)는 상측에서 볼 때 원형인 폐색벽(8)과 이 폐색벽(8)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아래로 드리워진 수하벽(10)을 갖는다. 폐색벽(8)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심부(8a), 이 중심부(a)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역원추대 통형상의 중간부(8b) 및 중간부(8b)에 계속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외주부(8c)로 구성되어 있다. 폐색벽(8)의 중간부(8b)에는 제거 영역(12)(도 3 및 도 4를 참조하기 바람)을 규정하는 파단 가능 라인(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형태에서의 제거 영역(12)은 반경 방향 한쪽에 위치하는 변형 사각형부와 이 변형 사각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변형 삼각형부로 구성되어 있고, 도 2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파단 가능 라인(14)은 두께를 국부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소위 스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제거 영역(12)의 상면에는, 화살표 형상의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제거 영역(12)의 변형 삼각형부의 상면 한쪽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결기둥(16)이 배치되고, 이 연결기둥(16)의 상단에는 인장 링(18)이 연결되어 있다. 폐색벽(8)의 외주부(8c)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드리워진 원통형상의 시일편(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폐색벽(8)의 외주부(8c)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안내통(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안내통(22)은 폐색벽(8)과 동심형이 아니라, 도 2 및 도 3에서 약간 좌측으로 편심되어 있다. 안내통(22)의 선단부는 원호형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폐색벽(8)의 외주부(8c)에는 또한, 안내통(22)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측을 향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돌출된 환형 결합편(24)도 형성되어 있다. 수하벽(10)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결합 수단(26)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수단(26)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원호형 리지로 구성되어 있다. 원한다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형 리지로 결합 수단(26)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수하벽(10)의 소정 각도 부위(후술하는 힌지 수단에 대하여 직경 방향 반대측 부위)에서, 수하벽(10)의 상부에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절결(25)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절결(25)의 하측에서는 수하벽(10)의 외주면에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얕은 오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상측 덮개(6)는 원형 상면벽(28)과(도 2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면벽(28)의 주위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진 스커트벽(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정 각도 부위에서, 스커트벽(30)의 하단부는 그 자체는 주지의 적절한 형태이면 되는 힌지 수단(32)을 통해 상기 본체(4)의 수하벽(10)의 외주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와 이 폐쇄 위치로부터 예컨대 100도 정도 선회된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선회 개폐 이동된다. 상측 덮개(6)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본체(4)의 폐색벽(8)이 상측 덮개(6)에 의해 덮이고, 상측 덮개(6)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본체(4)의 폐색벽(8)이 노출된다. 스커트벽(30)의 외주면 하단부에서의 상기 힌지 수단(32)에 대하여 직경 방향 반대측의 부위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편(34)이 배치되어 있고, 상측 덮개(6)를 선회 개폐 이동시킬 때에 돌출편(34)에 손가락을 걸 수 있다. 또한, 스커트벽(30)의 하면에서의 상기 힌지 수단(32)에 대하여 직경 방향 반대측의 부위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얇은 원호형 돌출편(35)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30)의 내주면 하단에는 환형 결합 리지(36)가 배치되고, 그리고 스커트벽(30)의 내주면에는 상기 환형 결합 리지(36)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환형 접촉 리지(38)도 배치되어 있다. 상면벽(28)의 내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2개의 환형 시일편(40 및 42)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환형 시일편(40 및 42)은, 상기 본체(4)에서의 안내통(22)의 편심에 대응하여, 상면벽(28)의 중심에 대하여 도 2에서 좌측으로, 도 3에서 우측으로, 약간 편심되어 있다. 상면벽(28)의 내면에서의 2개의 환형 시일편(40 및 42) 사이의 영역에는, 2개의 환형의 얕은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측 덮개(6)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면, 상측 덮개(6)의 환형 결합 리지(36)가 상기 본체(4)의 환형 결합편(24)의 외주면 내지 하면에 결합되고, 상측 덮개(6)의 환형 접촉 리지(38)가 상기 본체(4)의 환형 결합편(24)의 상단에 접촉되고, 상측 덮개(6)의 돌출편(35)이 상기 본체(4)의 절결(25) 내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측 덮개(6)의 환형 시일편(40 및 42)이 상기 본체(4)의 안내통(22)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밀접 내지 근접해진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도시한 용기 덮개에서의 전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신규 특징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며, 이들 자체는 주지의 형태이면 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용기 덮개의 전형예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4)의 수하벽(10)에는, 수하벽(10)의 상면에서 개방되고(환언하면 수하벽(1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도 3에서(따라서 상측에서 볼 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 내지 원호형 홈(4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홈(46)은 환형이다. 원한다면, 홈(46)은 힌지 수단(32)보다 시계 방향 하류측이자 후술하는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보다 시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개시점으로부터 시계 방향 상류측에 힌지 수단(32)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원호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홈(46)은 300 내지 360도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 수단(32)보다 시계 방향 하류측이자 홈(46)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는, 수하벽(10)에서의 홈(46)보다 반경 방향 외측 부분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시계 방향」은, 도 3에서, 바꾸어 말하면 상측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인 것을 의미한다).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은 힌지 수단(32)의 근방에 위치하고, 수하벽(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14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이 형성된 각도위치에서는, 결합 수단(26)을 구성하는 결합 리지가 존재하지 않고 또한 결합 리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26a)의 축선 방향 상단 위치는 후술하는 제3 파단 영역에서 결합 리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26c)(도 14에서 이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음)의 축선 방향 상단 위치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홈(46)에 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홈(46)은, 도 3에서 부호 A로 나타내는 제1 파단 영역에서는 깊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작거나 제로이며, 도 3에 부호 B로 나타내는 제2 파단 영역에서는 시계 방향 상류측을 향해 점차 얕아지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점차 증대하며, 도 3에 부호 C로 나타내는 제3 파단 영역에서는 얕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크고, 제1 파단 영역(A)에서는 홈(46)의 축선 방향 하단은 상기 결합 수단(26)보다 축선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제3 파단 영역(C)에서는 홈(46)의 축선 방향 하단은 상기 결합 수단(26)보다 축선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파단 영역(A)은 축선 방향 파단 라인(48)으로부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힌지 수단(32)을 통과하여 필요한 위치까지 둘레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제2 파단 영역(B)은 제1 파단 영역(A)에 계속해서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제3 파단 영역(C)은 제2 파단 영역(B)에 계속해서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둘레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30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파단 영역(A)에서는, 도 3에 부호 A' 및 A"로 나타내는 영역, 즉 힌지 수단(32)의 둘레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영역 및 제1 파단 영역(A)의 시계 방향 상류 단부에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홈(46)의 깊이는 현저하게 깊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At는 현저하게 작으며, 예컨대 0 내지 0.2 mm이다. 원한다면, 수하벽(10)의 잔류 두께 At를 제로로 하여, 즉 수하벽(10)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시켜 홈(46)을 규정할 수도 있다. 제1 파단 영역(A)에서의 부호 A'로 나타내는 영역에서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46)의 깊이는 충분히 깊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A't는 충분히 작아, 예컨대 0.2 내지 1.0 mm이며, 상기 두께 At보다 약간 크다. 또한, 제1 파단 영역(A)에서의 부호 A"로 나타내는 영역에서도,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46)의 깊이는 충분히 깊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A"t는 충분히 작아, 예컨대 0.1 내지 0.5 mm이며, 상기 두께 At보다 약간 크다. 상기 영역 A' 및 상기 영역 A"에서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를 약간 크게 하여 A't 및 A"t로 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원한다면 상기 영역 A' 및 A"에서도 수하벽(10)의 잔류 두께를 At로 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파단 영역(A)에서는 홈(46)의 축선 방향 하단은 상기 결합 수단(26)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5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파단 영역(A)과 제2 파단 영역(B)의 경계에서, 홈(46)의 깊이가 급격하게 얕아지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가 0.6 mm 이상인 것이 적합한 Bt까지 급격하게 증대된다(따라서 제2 파단 영역(B)에서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Bt는 0.6 mm 이상이다). 제1 파단 영역(A)과 제2 파단 영역(B)의 경계의 둘레 방향 위치는,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의 둘레 방향 위치와 도 3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리고, 제2 파단 영역(B)에서는 도 5와 함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홈(46)의 깊이가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점차 저감되어 있어,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가 Bt부터 Ct까지 점차 증대되어 있다.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에서의 Bt로부터 Ct로의 증대는,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상측으로 20 내지 60도의 경사 각도로 경사진 경사선을 따라서 변동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3 파단 영역(C)에서의 홈(46)의 하단은 결합 수단(26)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따라서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Ct는 4.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3 파단 영역(C)에서는, 홈(46)의 깊이 Ct는 변동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제3 파단 영역(C)의 시계 방향 상류측에는 비파단 영역(D)이 존재하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파단 영역(D)에서는 홈(46)의 깊이가 더욱 작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Dt는 더욱 증대되어 있다. 비파단 영역(D)은 5 내지 2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 존재하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Dt는 5.0 내지 9.0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파단 영역(D)의 시계 방향 상류측에는 부가적 비파단 영역(E)이 존재하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가적 비파단 영역(E)에서는 홈(46)의 깊이는 비파단 영역(D)에서의 깊이보다 증대되어 있지만 충분히 작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Et는 충분히 크다. 부가적 비파단 영역(E)은 10 내지 5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 존재하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Et는 제3 파단 영역(C)에서의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Ct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된다. 부가적 비파단 영역(E)과 상기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 사이에 존재하는 영역(F)에서는, 홈(46)은 현저하고 깊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Ft는 제1 영역(A)에서의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 At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된다. 원한다면, 부가적 비파단 영역(E) 및/또는 영역(F)에서는 홈(46)을 생략하고, 따라서 홈(46)은 360도에 걸쳐 연장된 환형이 아니라 원호형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축선 방향 파단 라인(48)은, 수하벽(10)에서의 홈(46)보다 반경 방향 외측부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저감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수하벽(10)에서의 홈(46)보다 반경 방향 외측부의 내외 양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라인(50)을 형성하고, 그에 더하여 축선 방향 상단부에서는 절결(52)을 형성함으로써,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을 구성하고 있다.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이 오목 라인(50) 및 절결(52)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의 시인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을 파단할 때에, 오목 라인(50)의 골부를 따라서 확실하게 축방향으로 파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원한다면, 예컨대 수하벽(10)에서의 홈(46)보다 반경 방향 외측부에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슬릿(커팅)을 형성함으로써,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체(4)의 수하벽(10)에는, 또한, 적어도 상기 제2 파단 영역(B) 및 제3 파단 영역(C)에서, 홈(46)의 축선 방향 하단부를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53)이 수하벽(1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53)은, 상기 제1 파단 영역(A)에서, 수하벽(10)에서의 홈(46) 하단에 잔류되어 있는 축선 방향 잔류 두께 At가 충분히 작은 부분과, 상기 제2 파단 영역(B) 및 제3 파단 영역(C)에서, 수하벽(10)의 내경을 국부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규정되는 박육부(54)로 이루어진다. 박육부(54)는 또한, 박육부(54a)와 박육부(54b)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도 15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파단 영역(B)에서는, 결합 수단(26)을 구성하는 결합 리지가 존재하지 않고 또한 결합 리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26b)가 위치하고, 이러한 함몰부(26b)에,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상측으로 경사진 홈(46)의 축선 방향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박육부(내경을 국부적으로 저감시킨 부위)(5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와 함께 도 10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박육부(54a)를 규정하는 오목홈의 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파단을 제1 파단 영역(A)으로부터 제2 파단 영역(B)에 걸쳐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해, 박육부(54a)는 제1 파단 영역(A)의 시계 방향 상류 단부에도 약간 연장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제3 파단 영역(C)에서는, 상기 박육부(54a)의 상단부에 계속해서,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둘레 방향으로 홈(46)의 축선 방향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박육부(54b)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파단 영역(C)에서는, 홈(46)의 축선 방향 하단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박육부(54b)도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도 10 및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육부(54b)를 규정하는 오목홈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초생달 형상이다. 도 4 및 도 11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파단 영역(C)에서는, 결합 수단(26)을 구성하는 결합 리지가 존재하지 않고 또한 결합 리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26c)의 축선 방향 상단 위치는 박육부(54b)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또, 박육부(54)를 구성하는 박육부(54a) 및 박육부(54b)에서의, 수하벽(10)의 홈(46)보다 반경 방향 내측의 반경 방향 두께는, 0.05 내지 0.5 mm 정도인 것이 적합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용기 덮개(2)와 함께 이러한 용기 덮개(2)가 적용되는 용기의 구경부도 도시되어 있다. 적절한 합성 수지 혹은 유리로 형성할 수 있는 용기의 구경부(56)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며, 그 외주면 상단부에는 피결합 리지(58)가 형성되어 있다. 구경부(56)의 외주면에는, 또한, 피결합 리지(58)의 하측에 위치하는 서포트 링(60)(이 서포트 링(60)은 용기를 반송할 때에 이용된다)도 형성되어 있다.
용기 내에 내용물을 수용한 후에 구경부(56)에 용기 덮개(2)를 장착하여 구경부(56)를 밀봉할 때에는, 상측 덮개(6)를 폐쇄 위치로 한 상태의 용기 덮개(2)를 구경부(56)에 끼워 하측으로 강제하고, 본체(4)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킨 수하벽(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수단(26)을 구경부(56)의 피결합 리지(58)의 하측으로 결합시킨다.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할 때에는, 처음에 상측 덮개(6)를 개방 위치에 선회 이동시켜 본체(4)의 폐색벽(8)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본체(4)의 인장 링(18)에 손가락을 걸어 상측으로 강제하고, 파단 가능 라인(14)을 파단하여 폐색벽(8)으로부터 제거 영역(12)을 제거하고, 이렇게 하여 배출 개구를 생성한다. 그 후에는, 용기를 적절하게 틸팅함으로써, 용기의 내용물을 배출 개구를 통해서 배출할 수 있다.
용기의 내용물을 다 소비한 후에는, 소위 폐기물의 분별 회수를 위해 용기의 구경부(56)로부터 용기 덮개(2)의 전체를 이탈시킨다. 이 때에는, 개방 위치로 한 상측 덮개(6)를 파지하여, 도시한 실시형태의 경우는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서 하측으로 강제하고, 이렇게 하여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48)을 파단시킨다. 이어서, 상측 덮개(6)를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강제하여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53)을 파단한다. 이 때에는, 상기 제1 파단 영역(A)에서는, 수하벽(10)에서의 홈(46)의 하측에 잔류되어 있는 두께 At가 충분히 작은 부분이 파단되고, 수하벽(10)의 축선 방향 전체에 걸쳐 홈(46)보다 반경 방향 외측의 부분은 홈(46)보다 반경 방향 내측의 부분으로부터 격리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제1 파단 영역(A)과 제2 파단 영역(B)의 경계에서는, 축선 방향 잔류 두께가 급격하게 증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수하벽(10)의 파단은 상기 제1 파단 영역(A)으로부터 제2 파단 영역(B)으로 원활하게 이행된다. 상기 제2 파단 영역(B)에서는, 박육부(54a), 더욱 자세하게는 도 15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박육부(54a)의 상측 가장자리가 파단된다. 따라서 박육부(54a)의 상기 파단부보다 축선 방향 하측에서는 수하벽(10)의 전체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박육부(54a)의 상기 파단부보다 축선 방향 상측에서는 홈(46)보다 반경 방향 외측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제3 파단 영역(C)에서는, 박육부(54b), 더욱 자세하게는 도 15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박육부(54b)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부가 파단된다. 따라서 박육부(54b)의 상기 파단부보다 축선 방향 하측에서는, 수하벽(10)의 전체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박육부(54b)의 상기 파단부보다 축선 방향 상측에서는 홈(46)보다 반경 방향 외측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3 파단 영역(C)에서는, 박육부(54b)는 결합 수단(26)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3 파단 영역(C)에서는, 결합 수단(26)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용기의 구경부(56)로부터 격리된다. 그 후에는, 상측 덮개(6)를 상측으로 강제함으로써 용기 덮개(2)의 전체를 구경부(56)로부터 충분히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제3 파단 영역(C)의 시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비파단 영역(D)에서는 박육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홈(46)의 깊이는 얕기 때문에 파단이 진행되지 않는다.
2 : 용기 덮개
4 : 본체
6 : 상측 덮개
8 : 폐색벽
10 : 수하벽
26 : 결합 수단
28 : 상면벽
30 : 스커트벽
32 : 힌지 수단
46 : 홈
48 :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
53 :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
54 : 박육부
54a : 박육부
54b : 박육부
56 : 용기의 구경부
58 : 피결합 리지
A : 제1 파단 영역
B : 제2 파단 영역
C : 제3 파단 영역
D : 비파단 영역

Claims (6)

  1. 본체 및 상측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원형 폐색벽과 상기 폐색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진 원통형 수하벽(垂下壁)을 가지며, 상기 수하벽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기 수하벽의 외주면 상단부에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상기 폐색벽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본체의 상기 폐색벽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의 사이를 선회 가능한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수하벽에는, 상기 수하벽의 상면에서 개방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내지 원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수단보다 상기 시계 방향 하류이자 상기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는, 상기 수하벽에서의 상기 홈보다 반경 방향 외측의 부분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홈의 축선 방향 깊이는 상기 축선 방향 파단 가능 라인으로부터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상기 힌지 수단을 통과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단 영역에서는 깊고 상기 수하벽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작거나 또는 제로이며, 상기 제1 파단 영역에 계속되어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깊이가 점차 얕아지고 상기 수하벽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점차 증대되고, 상기 제2 파단 영역에 계속되어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깊이는 얕고 상기 수하벽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크고,
    적어도 상기 제2 파단 영역 및 상기 제3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하단부를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이 상기 수하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하단은 상기 결합 수단보다 축선 방향에서 하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제3 파단 영역에서는 상기 둘레 방향 파단 가능 라인은 축선 방향에서 상기 결합 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단 영역은 40 내지 10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파단 영역은 10 내지 30도의 각도 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제3 각도 영역은 140 내지 300도의 각도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단 가능 영역에서의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0 내지 1.0 mm이고, 상기 제2 파단 영역에서의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0.6 mm 이상이고, 상기 제3 파단 영역에서의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4.0 mm 이상인,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단 영역과 상기 제2 파단 영역의 경계에서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가 급격히 증대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단 영역의 상기 시계 방향 상류측에는, 상기 홈의 축선 방향 깊이가 더욱 얕고 상기 수하벽의 축선 방향 잔류 두께가 더욱 큰 비파단 영역이 존재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단 영역에서, 상기 축선 방향 잔류 두께는 상기 시계 방향 상류를 향해 축선 방향 상측으로 20 내지 60도의 경사 각도로 연장되는 경사선을 따라서 변동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KR1020197008092A 2016-10-06 2017-09-28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KR102207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8438A JP6326472B2 (ja) 2016-10-06 2016-10-06 合成樹脂製容器蓋
JPJP-P-2016-198438 2016-10-06
PCT/JP2017/035278 WO2018066451A1 (ja) 2016-10-06 2017-09-28 合成樹脂製容器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95A true KR20190057295A (ko) 2019-05-28
KR102207595B1 KR102207595B1 (ko) 2021-01-26

Family

ID=6183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092A KR102207595B1 (ko) 2016-10-06 2017-09-28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0293B2 (ko)
EP (1) EP3524539B1 (ko)
JP (1) JP6326472B2 (ko)
KR (1) KR102207595B1 (ko)
CN (1) CN109803902B (ko)
WO (1) WO2018066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31344A (ja) 2021-02-26 2022-09-07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US20230249882A1 (en) * 2022-02-08 2023-08-10 Michael Angelo Gomez Bottle cap with a flip lid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983A (ja) * 2001-12-21 2003-07-09 Yoshino Kogyosho Co Ltd 液注出容器の中栓とキャップ
JP2006062690A (ja) * 2004-08-25 2006-03-09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8213924A (ja) 2007-03-07 2008-09-18 Japan Crown Cork Co Ltd 分別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2014166874A (ja) * 2013-02-28 2014-09-11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キャップ
KR20150123820A (ko) * 2013-02-28 2015-11-04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속마개와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942A (en) * 1996-03-22 1999-03-02 Japan Crown Cork Co., Ltd. Hinged cap separable from bottle at the time of disposal
JP4554785B2 (ja) * 1999-10-18 2010-09-29 三笠産業株式会社 分別回収容易なヒンジキャップ
JP4756237B2 (ja) * 2005-05-11 2011-08-24 昇 末政 容器口から分離可能なキャップ
JP4786236B2 (ja) * 2005-07-13 2011-10-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WO2010004919A1 (ja) * 2008-07-08 2010-01-1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5202189B2 (ja) * 2008-08-28 2013-06-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に優れた合成樹脂製打栓キャップ
JP5710211B2 (ja) 2010-10-29 2015-04-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983A (ja) * 2001-12-21 2003-07-09 Yoshino Kogyosho Co Ltd 液注出容器の中栓とキャップ
JP2006062690A (ja) * 2004-08-25 2006-03-09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8213924A (ja) 2007-03-07 2008-09-18 Japan Crown Cork Co Ltd 分別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2014166874A (ja) * 2013-02-28 2014-09-11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キャップ
KR20150123820A (ko) * 2013-02-28 2015-11-04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속마개와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0293B2 (en) 2021-11-23
US20190185226A1 (en) 2019-06-20
EP3524539A4 (en) 2020-06-24
JP2018058622A (ja) 2018-04-12
CN109803902A (zh) 2019-05-24
EP3524539A1 (en) 2019-08-14
EP3524539B1 (en) 2021-10-27
KR102207595B1 (ko) 2021-01-26
WO2018066451A1 (ja) 2018-04-12
JP6326472B2 (ja) 2018-05-16
CN109803902B (zh)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7295A (ko) 합성 수지제 용기 덮개
US11014715B2 (en) Safety cap spout
US4903849A (en) Tamper evident cap and bottle
KR102542756B1 (ko)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JP2005289389A (ja) プルリング無しヒンジキャップ
JP536244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11016545A (ja) 打栓式開閉容易キャップ
JP2014162533A (ja) 樹脂製キャップ
JP5984636B2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KR101893108B1 (ko) 개봉의 정확성과 확인이 용이한 안전캡
EP0261965B1 (en) Cap for a container closure
JP2003002348A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4798897B2 (ja) プルリング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6045885B2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7123753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3214701U (ja) キャップ
US20050127023A1 (en) Push-off cap of plastic
JP4388622B2 (ja) プルリング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2022149198A (ja) 合成樹脂製容器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31596A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6074302B2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2012020756A (ja) 合成樹脂製容器蓋
CN114378885A (zh) 用于切割帽盖的刀
JP2013199306A (ja) 容器蓋
JP2010036905A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