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820A -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820A
KR20190055820A KR1020197009751A KR20197009751A KR20190055820A KR 20190055820 A KR20190055820 A KR 20190055820A KR 1020197009751 A KR1020197009751 A KR 1020197009751A KR 20197009751 A KR20197009751 A KR 20197009751A KR 20190055820 A KR20190055820 A KR 2019005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sin
general formula
mass
mo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무라카미
아쓰오 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9005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08K5/1345Carboxylic esters of phenol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내(耐)블리딩성, 방습성,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Figure pct00022

(일반식(1) 중의 G1은, 탄소 원자수 2∼9의 디올 잔기를 나타냄), 및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
Figure pct00023

(일반식(2) 중의 G2 및 G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2∼8의 디올 잔기를 나타내고, A는 방향족 이염기산 잔기 또는 탄소 원자수 4∼10의 지방족 이염기산 잔기를 나타내고, R은 방향족 모노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을 함유하는 수지용 개질제로서, 디에스테르 화합물과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의 전량에 대하여, 디에스테르 화합물이 15질량% 이상이며, 또한,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 전량에 대하여, n=1인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이 15질량% 이상 포함된다.

Description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수지용 개질제 (이하, 간단하게 「개질제」라고도 함)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내(耐)블리딩(bleeding)성, 방습성,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 필름이, 주로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보호 필름이나 광학보상 필름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은 편광자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로의 접합성이 양호한 점이나, 투명도가 높고, 적절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필름은 투습성(透濕性)이 높으므로, 외부의 습기가 투과함으로써, 편광자로부터의 박리나 편광자 자체를 열화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고온고습 하에 있어서는, 흡습(吸濕)에 의한 편광판 보호 필름이나 광학보상 필름의 수축(치수안정성)이나, 시인성(視認性)에 관여하는 위상차 변동(광학특성)에도 과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따른 편광판 보호 필름이나 광학보상 필름의 박막화도 진행되어, 보다 고도의 방습성, 치수안정성 및 광학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높은 리타데이션값을 부여하고, 방향환를 포함하지 않고, 2가의 알코올과 이염기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용 첨가제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고온다습 하에서의 내블리딩성이 우수하고, 또한 제조 공정에서 휘발하기 어려운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용 첨가제가 제안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07/000910호 일본공개특허 제2010-24849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투습도가 작은 것이 요망되고 있다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개선에 관한 검토는 행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치수안정성에 대해서는 검토되고 있지 않으며, 투습도에 대해서도 여전히 성능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방습성능,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의 모두를 만족할 수 있는 개질제는 지금까지 발견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내블리딩성, 방습성,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수지용 개질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는, 하기 일반식(1)
Figure pct00001
(일반식(1) 중의 G1은, 탄소 원자수 2∼9의 디올 잔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2)
Figure pct00002
(일반식(2) 중의 G2 및 G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2∼8의 디올 잔기를 나타내고, A는 방향족 이염기산 잔기 또는 탄소 원자수 4∼10의 지방족 이염기산 잔기를 나타내고, R은 방향족 모노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용 개질제로서,
상기 디에스테르 화합물과 상기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하여, 상기 디에스테르 화합물이 15질량%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의 전량에 대하여, n=1인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이 15질량% 이상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식(2) 중의 A의 5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프탈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일반식(2) 중의 A가, 테레프탈산, 프탈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잔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식(2) 중의 R이, p-하이드록시벤조산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는, 열가소성 수지에 바람직하며, 특히, 셀룰로오스계 수지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 의하면,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내블리딩성, 방습성,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는, 하기 일반식(1)
Figure pct00003
으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2)
Figure pct00004
으로 표시되는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용 개질제이다. 여기서, 일반식(1) 중의 G1은, 탄소 원자수 2∼9의 디올 잔기를 나타내고, 일반식(2) 중의 G2 및 G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2∼8의 디올 잔기를 나타내고, A는 방향족 이염기산 잔기 또는 탄소 원자수 4∼10의 지방족 이염기산 잔기를 나타내고, R은 방향족 모노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1) 중, G1으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2∼9의 디올 잔기가 되는 디올로서는, 지방족 디올, 방향족기 함유 디올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디올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된다. 지방족 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1,2-에탄디올(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네오펜틸글리콜), 2,2-디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펜탄),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헵탄),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2-, 1,3- 또는 1,4-시클로헥산디올, 다이머 디올, 수첨(水添) 다이머 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다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다. 방향족기 함유 디올로서는, 1,2-하이드록시벤젠, 1,3-하이드록시벤젠, 1,4-하이드록시벤젠, 1,4-벤젠디메탄올, 레조르신, 피로카테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과, p-하이드록시벤조산을 촉매 존재 하 또는 무촉매 하에서 일괄 혹은 분할하여 준비하고,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하고, 그 후, 통상적인 방법의 후처리를 행하여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일반식(2) 중, G2 및 G3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2∼8의 디올 잔기가 되는 디올로서는, 지방족 디올, 방향족기 함유 디올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디올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된다. 지방족 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1,2-에탄디올(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네오펜틸글리콜), 2,2-디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펜탄),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헵탄),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2-, 1,3- 또는 1,4-시클로헥산디올, 다이머 디올, 수첨 다이머 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다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다. 방향족기 함유 디올로서는, 1,2-하이드록시벤젠, 1,3-하이드록시벤젠, 1,4-하이드록시벤젠, 1,4-벤젠디메탄올, 레조르신, 피로카테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식(2) 중의, A로 표시되는 방향족 이염기산의 잔기가 되는 방향족 이염기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디페닐술폰 디카르복시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시산, 다이페닐케톤디카르복시산, 페닐인단디카르복시산, 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디브로모테레프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테레프탈산, 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일반식(2) 중의, A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4∼10의 지방족 이염기산의 잔기가 되는 지방족 이염기산으로서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푸마르산, 2,2-디메틸글루타르산, 수베르산, 1,3-시클로펜탄디카르복시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디글리콜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숙신산 및 아디프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에 있어서는, 일반식(2) 중의 A는, 5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프탈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프탈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잔기이다.
일반식(2) 중의, R로 표시되는 방향족 모노카복실산 잔기가 되는 방향족 모노카복실산으로서는, 벤조산, p-하이드록시벤조산, p-메틸벤조산, m-메틸벤조산, 디메틸벤조산, p-tert-부틸벤조산, p-메톡시벤조산, p-클로로벤조산, 나프틸산, 비페닐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카르복시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 중에서도, 위상차 변동값 및 투습도의 관점에서, p-하이드록시벤조산이 바람직하다.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숙신산, 테레프탈산 등의 방향족 이염기산, 이들 산 성분의 무수물 및 이들 산 클로라이드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과, p-하이드록시벤조산 등의 방향족 모노카복실산을 촉매 존재 하 또는 무촉매 하에서 일괄 혹은 분할하여 준비하고,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하고, 그 후, 통상적인 방법의 후처리를 행하여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질제에 있어서는,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화합물과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의 전량에 대하여,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화합물의 비율은, 15질량% 이상이다. 이와 같은 조성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내블리딩성, 방습성,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8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80 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개질제에 있어서는, 일반식(2) 중의 n의 값은 1 이상의 정수이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은, 분자량 분포를 가진 화합물의 혼합물이라도 되고, 이들을 증류 등에 의해 정제한 단일품이라도 되지만, 경제성의 관점에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화합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이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화합물의 혼합물 경우, 투습성과 광학특성(위상차변동값)이 우수하고, 또한, 수지로의 상용성(相溶性)이나 방습성능의 관점에서, 수평균분자량 500∼2,000이 바람직하고, 550∼1,600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1,300이다. 그리고, 수평균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GPC)를 사용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개질제에 있어서는,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 전량에 대하여, n=1인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이 15질량% 이상 포함된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함으로써, 수지에 대하여 우수한 내블리딩성, 방습성,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8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5 질량%, 특히 바람직하고 30∼85 질량%이다.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8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5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1∼30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0.1질량부 미만인 경우는, 방습성,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위상차변동값) 등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100질량부보다 많으면 블리딩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이며, 우수한 내블리딩성, 방습성,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가 있지만, 열가소성 수지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 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트산 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 수지, A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불소계 수지, 열가소성 탄성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락트산계 수지, 환형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페닐렌술리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염화 비닐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단독중합체, 염화 비닐 또는 이염화 비닐리덴과 아세트산 비닐의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화합물 공중합체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호모 폴리머, 랜덤 폴리머, 블록 폴리머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셀로판, 셀룰로이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에틸로스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0, 나일론-12, 나일론-46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디아민에 의해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아세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포름알데히드, 폴리아세트알데히드, 폴리프로피온알데히드, 폴리부틸알데히드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고, 셀룰로오스의 저급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의 저급 지방산 에스테르에서의 저급 지방산이란, 탄소 원자수가 6 이하인 지방산을 의미한다. 셀룰로오스의 저급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등이나, 일본공개특허 평 10-4580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 8-231761호 공보, 미국특허 제2,319,052호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의 혼합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수지용 개질제 이외에, 가소제, 그리고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페놀계, 또는, 유황계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폴리올류, 그 외의 무기화합물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들 가소제나 각종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부틸프탈레이트, 부틸헥실프탈레이트, 디헵틸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디라우릴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프탈레이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디옥틸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 디(부틸글리콜)아디페이트 등의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크실레닐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과,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신남산 등의 이염기산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1가의 알코올, 모노카복실산(아세트산, 방향족산 등) 등을 스토퍼로서 사용한, 본 발명 이외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에폭시화 동유, 에폭시화 어유, 에폭시화 우지유, 에폭시화 피마자유, 에폭시화 서플라워유, 에폭시화 스테아르산 메틸, 에폭시화 스테아르산 부틸, 에폭시화 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에폭시화 스테아르산 스테아릴에스테르,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트리스(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에폭시화 톨유 지방산 에스테르, 에폭시화 아마인유 지방산 에스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사이드, 디시클로헥센디에폭사이드, 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등의 에폭시계 가소제, 그 외,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계 가소제, 아젤라산계 가소제, 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DOS), 디부틸세바케이트(DBS) 등의 세바스산계 가소제, 스테아르산계 가소제, 시트르산계 가소제, 피로멜리트산계 가소제, 비페닐렌폴리카르복시산계 가소제, 다가 알코올의 방향족산 에스테르계 가소제(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벤조에이트 등)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이외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세바스산계 가소제, 에폭시계 가소제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용 개질제 이외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의 구체적인 화합물을, 가소제 1∼13에 예시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혼합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하기, 가소제 1∼4의 괄호 내는 몰비를 나타내고, 이들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소제-1: 하기 일반식(3)
Figure pct00005
의, 다가 알코올 성분 G로서, 에틸렌글리콜(50) 및 1,2-프로필렌글리콜(50)과, 다가 카르복시산 성분 A로서, 숙신산(50) 및 테레프탈산(50), 말단 E가 아세틸기으로 이루어지는 n=5인 화합물.
가소제-2: 상기 일반식(3)의, 다가 알코올 성분 G로서, 1,2-프로필렌글리콜과, 다가 카르복시산 성분 A로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말단 E가 수소로 이루어지는 n=2인 화합물.
가소제-3: 상기 일반식(3)의, 다가 알코올 성분 G로서, 에틸렌글리콜과, 다가 카르복시산 성분 A로서, 아디프산, 말단 E가 아세틸기로 이루어지는 n=10인 화합물.
가소제-4: 상기 일반식(3)의, 다가 알코올 성분 G로서, 1,2-프로필렌글리콜과, 다가 카르복시산 성분 A로서, 테레프탈산, 말단 E가 톨일기로 이루어지는 n=5인 화합물.
가소제-5: 하기 일반식(4)
Figure pct00006
의 치환기 QA가 모두 수소 원자인 화합물.
가소제-6: 상기 일반식(4)의, 치환기 QA가 모두 메톡시기인 화합물.
가소제-7
Figure pct00007
가소제-8
Figure pct00008
가소제-9
Figure pct00009
가소제-10
Figure pct00010
가소제-11
Figure pct00011
가소제-12
Figure pct00012
가소제-13
Figure pct00013
이들 가소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지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9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0∼8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페놀계 항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2,6-디-tert-부틸-p-크레졸,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스테아릴(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트리데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티오아세테이트, 티오디에틸렌비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2-옥틸티오-4,6-디(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녹시)-s-트리아진,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부티릭 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4,4'-부틸리덴덴비스(4,6-디-ter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비스[2-tert-부틸-4-메틸-6-(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2,6-디메틸-3-하이드록시-4-tert-부틸 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2-tert-부틸-4-메틸-6-(2-아크릴로일옥시-3-tert-부틸-5-메틸벤질)페놀, 3,9-비스[2-{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파노일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β-(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있다. 이들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지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0.8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황계 항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디프로피온산의 디라우릴, 디미리스틸, 미리스틸스테아릴, 디스테아릴에스테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폴리올의 β-알킬머캅토프로피온산 에스테르류 등이 있다. 이들 유황계 항산화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지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0.8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tert-부틸-4'-(2-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도데실-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C7∼9 혼합 알콕시카르보닐에틸페닐)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쿠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tert-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2-(2-하이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틸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3-메틸-4-(2-옥타노일옥시에틸)페닐)-1,3,5-트리아진 등의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류;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tert-아밀페닐-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류;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리드 등의 치환 옥사닐리드류;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키스(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메탄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등이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지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3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비스(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비스(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부틸-2-(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숙신산 디에틸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디브로모에탄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모르폴리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tert-옥틸아미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3,9-비스[1,1-디메틸-2-{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3,9-비스[1,1-디메틸-2-{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비스(1-운덱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이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지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0.8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류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 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 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폴리펜타에리트리톨, 펜타에리 리톨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스테아르산 하프 에스테르, 비스(디펜타에리트리톨)아디페이트, 글리세린,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소르비톨, 만니톨, 락티톨 등이 있다. 이들 폴리올류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지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1∼1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외의 무기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규산칼슘, 인산칼슘,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규산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등이 있다. 그 외의 무기화합물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지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3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첨가제, 예를 들면, 충전제, 착색제, 가교제, 대전방지제, 김서림방지제(anti-fogging agent), 플레이트아웃 방지제, 표면처리제, 윤활제, 난연제, 형광제,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살균제, 금속불활성화제, 이형제, 안료, 가공 조제(助劑), 발포제, 유기산금속염,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제올라이트 화합물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1) 및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수지용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배합 방법 및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배합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블렌더(blender), 믹서 등으로 혼합하는 방법,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련하는 방법, 용매와 함께 혼합하고 용액 플로우캐스팅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성형 방법으로서는,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연신(延伸) 필름 성형, 블로우(blow)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시트형, 필름형, 특수한 형상을 가진 것 등이 있다.
얻어진 성형체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식품 용기, 전자부품, 자동차부품, 의료용 재료, 필름·시트 재료, 섬유 소재, 광학소재, 도료용 수지, 잉크용 수지, 토너용 수지, 접착제용 수지 등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제한을 받지 않는다.
<실시예 1∼15 및 비교예 1∼9>
하기 표 1∼6에 나타낸 화합물을 사용하여, 디에스테르 화합물 및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을 합성하고, 얻어진 디에스테르 화합물 및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지용 개질제를 조제했다. 이 개질제를 사용하여, 하기 수순에 따라, 내블리딩성, 방습성(투습도), 광학특성(위상차변동값) 및 치수안정성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그리고, 수평균분자량의 측정은 하기 수순으로 행하였다. 그리고, 표 1∼6에 나타낸 괄호 내의 수치는 몰%이다.
<수평균분자량>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수지용 개질제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용해하고 0.5질량%의 샘플 용액을 조제하고,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GPC)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수평균분자량을 측정했다. 그리고, 검량선은 폴리스티렌(지엘사이언스에서 제조한 분자량 스탠다드: 분자량 162, 370, 580, 1000, 2000, 3000, 5000)을 사용하여 작성했다. 컬럼은, 쇼와전공(昭和電工)(주)에서 제조한 SHODEX KF-802를 사용했다. 칼럼 온도는 40℃로 하고, 용리액으로서 THF를 사용하고, 유량(流量)을 1ml/분으로 하고, 검출기로서 굴절율계(RI)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6에 병기(倂記)한다.
<내블리딩성>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90질량부(아세틸화도(acetylation degree) 61%, 중합도 260), 및 개질제 10질량부를, 메틸렌클로라이드 900질량부와 메틸알코올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제에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각종 평가용 및 필름 작성용 도프액(dope solution)을 조제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도프액을 유리판 상에 약 80㎛가 되도록 플로우캐스팅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건조시킨 후, 50℃에서 1시간 건조시키고, 120℃에서 1시간 더 건조시켜, 각종 평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두께는 모두 약 80㎛였다. 얻어진 필름을, 4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 1주일 정치(靜置)한 후,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하고, 하기 기준으로 3단계 평가를 행하였다.
○: 블리딩이 확인되지 않음
△: 약간의 블리딩이 확인됨
×: 다량의 블리딩이 확인됨
내블리딩성은, ○ 및 △인 것이 성능으로서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6에 병기한다.
<방습성(투습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90질량부(아세틸화도 61%, 중합도 260), 및 개질제 10질량부를, 메틸렌클로라이드 900질량부와 메틸알코올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제에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각종 평가용 및 필름 작성용 도프액을 조제했다. 이어서, 얻어진 도프액을 유리판 상에 약 80㎛가 되도록 플로우캐스팅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건조시킨 후, 50℃에서 1시간 건조시키고, 120℃에서 1시간 더 건조시켜, 각종 평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두께는 모두 약 80㎛였다. 얻어진 필름을, JIS Z 020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투습도를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40℃, 상대 습도 80%이다. 투습도는, 수치가 작은 것이 방습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방습성능은, 투습도가 360g/m2/day 이하인 것이 성능으로서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하기 의 표 1∼6에 병기한다.
<광학특성(위상차변동값)>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90질량부(아세틸화도 61%, 중합도 260), 및 개질제 10질량부를, 메틸렌클로라이드 900질량부와 메틸알코올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제에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각종 평가용 및 필름 작성용 도프액을 조제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도프액을 유리판 상에 약 80㎛가 되도록 플로우캐스팅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건조시킨 후, 50℃에서 1시간 건조시키고, 120℃에서 1시간 더 건조시켜, 각종 평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두께는 모두 약 80㎛였다. 얻어진 필름을, 25℃, 상대 습도 15% 환경 하에서 48시간 건조시키고, 건조 후의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건조시 위상차」, 그 후 동일한 필름을 40℃, 상대 습도 80%, 72시간 유지한 후의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고온고습시 위상차」로 하고, 「위상차변동값」을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하였고, 위상차변동값은 절대값으로 나타낸다.
|위상차변동값|=건조시 위상차-고온고습시 위상차
위상차변동값은, 수치가 작을수록 성능이 양호하며, 30 이하이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6에 병기한다.
<치수안정성>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90질량부(아세틸화도 61%, 중합도 260), 및 개질제 10질량부를, 메틸렌클로라이드 900질량부와 메틸알코올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제에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각종 평가용 및 필름 작성용 도프액을 조제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도프액을 유리판 상에 약 80㎛가 되도록 플로우캐스팅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건조시킨 후, 50℃에서 1시간 건조시키고, 120℃에서 1시간 더 건조시켜, 각종 평가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막 두께는 모두 약 80㎛였다. 얻어진 필름을, 40℃ 상대 습도 80%의 환경 하에 24시간 정치한 후,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하고, 하기 기준으로 3단계 평가를 행하였다.
○: 필름의 변형이 확인되지 않음
△: 필름이 조금 변형되어 있는 것이 확인됨
×: 필름이 크게 변형되어 있는 것이 확인됨
치수안정성능은, ○ 및 △인 것이 성능으로서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하기 의 표 1∼6에 병기한다.
[표 1]
Figure pct00014
[표 2]
Figure pct00015
[표 3]
Figure pct00016
[표 4]
Figure pct00017
[표 5]
Figure pct00018
[표 6]
Figure pct00019
표 1∼6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질제는, 내블리딩성, 방습성(투습도), 치수안정성, 광학특성(위상차변동값)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Figure pct00020

    (상기 일반식(1) 중의 G1은 탄소 원자수 2∼9의 디올 잔기를 나타냄), 및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
    Figure pct00021

    (상기 일반식(2) 중의 G2 및 G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2∼8의 디올 잔기를 나타내고, A는 방향족 이염기산 잔기 또는 탄소 원자수 4∼10의 지방족 이염기산 잔기를 나타내고, R은 방향족 모노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
    을 함유하는 수지용 개질제로서,
    상기 디에스테르 화합물과 상기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하여, 상기 디에스테르 화합물이 15질량%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의 전량에 대하여, n=1인 올리고 에스테르 화합물이 15질량% 이상 포함되는, 수지용 개질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2) 중의 A의 5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프탈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잔기인, 수지용 개질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2) 중의 A가, 테레프탈산, 프탈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잔기인, 수지용 개질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2) 중의 R이 p-하이드록시벤조산 잔기인, 수지용 개질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되는, 수지용 개질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셀룰로오스계 수지인, 수지용 개질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용 개질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KR1020197009751A 2016-09-28 2017-09-13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 KR201900558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9301 2016-09-28
JP2016189301A JP6802678B2 (ja) 2016-09-28 2016-09-28 樹脂用改質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PCT/JP2017/033051 WO2018061773A1 (ja) 2016-09-28 2017-09-13 樹脂用改質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820A true KR20190055820A (ko) 2019-05-23

Family

ID=6176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751A KR20190055820A (ko) 2016-09-28 2017-09-13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225774A1 (ko)
EP (1) EP3521357A4 (ko)
JP (1) JP6802678B2 (ko)
KR (1) KR20190055820A (ko)
CN (1) CN109642047A (ko)
TW (1) TW201819504A (ko)
WO (1) WO2018061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4912B2 (ja) * 2018-08-30 2021-05-19 Dic株式会社 エステル樹脂、反可塑化剤、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6849153B2 (ja) * 2018-09-05 2021-03-24 Dic株式会社 エステル樹脂、反可塑化剤、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0910A1 (ja) 2005-06-29 2007-01-04 Konica Minolta Opto, Inc.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横電界駆動式表示装置用偏光板及び横電界駆動式表示装置
JP2010248493A (ja) 2009-03-27 2010-11-04 Dic Corp 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用添加剤、それを用いた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563A (ja) * 2001-12-07 2003-06-20 Nippon Shokubai Co Ltd 可塑剤及び樹脂組成物
JP5751054B2 (ja) * 2010-07-30 2015-07-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5593237B2 (ja) * 2011-01-11 2014-09-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3234273A (ja) * 2012-05-09 2013-11-21 Adeka Corp 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
JP5729627B2 (ja) * 2013-01-25 2015-06-03 Dic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用ポリエステル系改質剤組成物、セルロースエステル光学フィルム及び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6289865B2 (ja) * 2013-10-25 2018-03-07 株式会社Adeka 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2016084436A (ja) * 2014-10-28 2016-05-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6111316A1 (ja) * 2015-01-09 2016-07-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692348B2 (ja) * 2015-03-31 2020-05-13 株式会社Adeka 樹脂用改質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JP6536149B2 (ja) * 2015-04-21 2019-07-03 Dic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用改質剤、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6631753B2 (ja) * 2017-06-14 2020-01-15 Dic株式会社 エステル樹脂、反可塑化剤、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0910A1 (ja) 2005-06-29 2007-01-04 Konica Minolta Opto, Inc. セルロース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横電界駆動式表示装置用偏光板及び横電界駆動式表示装置
JP2010248493A (ja) 2009-03-27 2010-11-04 Dic Corp 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用添加剤、それを用いたセルロース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1357A1 (en) 2019-08-07
CN109642047A (zh) 2019-04-16
TW201819504A (zh) 2018-06-01
US20190225774A1 (en) 2019-07-25
JP6802678B2 (ja) 2020-12-16
WO2018061773A1 (ja) 2018-04-05
EP3521357A4 (en) 2020-05-13
JP2018053049A (ja)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2348B2 (ja) 樹脂用改質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TWI465515B (zh) A fiber-based resin composition and a fiber-based resin film
JPWO2010087219A1 (ja) 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およびセルロース系樹脂フィルム
KR101228997B1 (ko) 광학 필름
EP2868694B1 (en) Cellulose ester-based resin composition
TW201350535A (zh) 纖維素系樹脂組成物
KR20190055820A (ko) 수지용 개질제 및 이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
TWI607044B (zh) Polyester plasticizer and cellulose resin composition
JP2015083646A (ja) 防湿剤、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6746284B2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紫外線カットフィルム
JP4420573B2 (ja)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5914059B2 (ja) 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JP6351945B2 (ja) セルローストリアセテート樹脂用防湿剤、セルローストリアセテ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JP6289862B2 (ja) 防湿剤、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6243189B2 (ja) 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EP3418314A1 (en) Modifier for resin, resin composition, and film in which same is used
JP6289864B2 (ja) 防湿剤
JP5882775B2 (ja) セルロース系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JP2015004813A (ja) リタデーション上昇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