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772A -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 Google Patents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772A
KR20190055772A KR1020180140949A KR20180140949A KR20190055772A KR 20190055772 A KR20190055772 A KR 20190055772A KR 1020180140949 A KR1020180140949 A KR 1020180140949A KR 20180140949 A KR20180140949 A KR 20180140949A KR 20190055772 A KR20190055772 A KR 2019005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te
polymer
composite
filler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9005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08K2003/38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Abstract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은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절연성 필러, 및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필러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성분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에 의하면, 방열부재의 절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열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방열특성과 절연성능을 동시에 요구하는 산업에서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기재와 복합되어 사출/압출 등을 통해 성형 시 성형이 매우 용이하며, 다양한 형상으로의 성형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구현된 복합재는 뛰어난 방열성능을 발현하는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강도가 담보되고, 경량성이 우수하며, 경제성이 뛰어남에 따라서 방열이 요구되는 다양한 기술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graphite-polymer composite and Graphite-polymer composit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절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열성능을 제고할 수 있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 전등, 변환기 하우징 및 기타 원하지 않는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의 열 축적은 제품 수명을 매우 제한할 수 있고 작동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우수한 열 전도체인 금속은 통상적으로 히트싱크(heat sink) 및 열 교환기와 같은 열 관리 장치용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상기 금속 부분은 무게가 무겁고 생산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사출 성형이나 압출 가능한 고분자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열부재가 제안되고 있으며, 고분자 수지 자체의 재질적 특성으로 인한 경량성, 저렴한 단가 등의 이점으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상기 방열부재는 목적하는 방열성을 발현하기 위해 방열필러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방열필러는 재질상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고분자수지와는 이종일 수밖에 없고, 이에 이종의 재료간 상용성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이상적으로는 고분자수지에 기능성 필러가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방열성능에서 유리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기능성 필러가 고분자수지 특정 위치에 밀집되서 분포되기 더 쉽고, 기능성 필러가 밀집된 특정위치에서의 크랙이나 절단이 발생하는 분산성의 문제로 인한 방열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방열부재가 전자, 자동차 및 전장부품산업분야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전기를 통하지 못하게 하는 전기절연성이 요구된다. 즉 물질 내부에 존재하는 자유전자가 이동하여 외부 도체로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전기전도성은 전자, 자동차 및 전장부품들이 고집적화 및 소형화 될수록 전자소자 간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져서 서로간의 전기적 간섭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한 전자기기의 오작동, 수명 및 성능 저하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다만, 방열부재의 방열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열전도와 상술한 전기전도는 모두 자유전자의 운동을 통해 일어나며, 동일 온도 및 동일 물질에서 일정한 비례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열부재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수록 전기전도성 또한 동시에 향상되어 전기적 절연성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열전도도를 향상시켜 방열부재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되, 이와 비례관계에 있는 전기전도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열소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방열소재의 절연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기 또는 유/무기복합형 방열부재에 대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 또는 유/무기복합형 방열소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방열성능이 떨어지고, 300 ℃를 초과하는 고온에서 가공할 수 없는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응용이 어렵다. 또한 필름 및 패드형태로 구현되는 종래의 방열부재의 경우 피도체에 부착을 하는 번거로움과 부착 형태에 따른 간접 전달방식으로 인한 방열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로 인한 전자, 자동차 및 전장부품의 소형화 및 슬림화에 불리한 면이 있다.
이에 따라 방열부재의 전기절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열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그라파이트의 우수한 열전도도를 충분히 활용하고,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이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11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열부재의 전기절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열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방열특성과 절연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산업에 활용도를 제고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압출 등 여러 성형방법으로 성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으로의 성형체로 성형이 용이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을 통해뛰어난 방열성능을 발현하는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강도가 담보되고, 경량성이 우수하며, 경제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형상으로도 구현되는 그라파이트 복합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절연성 필러, 및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필러;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성분;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매트릭스 형성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열필러를 70 ~ 2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필러는 방열필러 전체에 대하여 70 ~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필러는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타늄,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산화베릴륨, 산화망간, 탈크(Talc), 탄화규소 및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필러의 평균입경은 10㎚ ~ 6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콜아민층은 적어도 나노입자의 표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적어도 상기 카테콜아민층에 피복된 고분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평균입경이 50 ~ 6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액정고분자,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필러는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이 성형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마스터 배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절연성 필러, 및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필러;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로 성형되고, 내부에 상기 방열필러 분산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외부면에는 보호코팅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매트릭스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코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코어층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 티타늄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 또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이 포함된 합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열부재의 절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열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방열특성과 절연성능을 동시에 요구하는 산업에서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기재와 복합되어 사출/압출 등을 통해 성형 시 성형이 매우 용이하며, 다양한 형상으로의 성형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구현된 복합재는 뛰어난 방열성능을 발현하는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강도가 담보되고, 경량성이 우수하며, 경제성이 뛰어남에 따라서 방열이 요구되는 다양한 기술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복합체 도면으로써, 도 1a는 그라파이트 복합체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X-X'경계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의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복합체 도면으로써, 도 3a는 금속코어층이 전면에서 고분자 매트릭스와 계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금속코어층이 하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서 고분자 매트릭스와 계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절연성 필러, 및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필러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성분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먼저, 방열필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필러(100)는 비절연성 필러(101) 및 절연성 필러(102)를 포함하며, 상기 비절연성 필러(101)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라파이트(10)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20) 및 카테콜아민층(30)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고분자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10)는 탄소 원자의 6원자 고리가 평면적으로 무한히 연결된 평면형 거대분자가 층을 이루어 포개어진 광물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종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인상흑연, 고결정질 흑연 및 토상흑연 중 어느 하나의 천연흑연이거나 인조흑연일 수 있다. 상기 그라파이트(10)가 천연흑연일 경우 일 예로, 인상흑연을 팽창처리한 팽창흑연일 수 있다. 상기 인조흑연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25㎛ 이하의 필름형상으로 제조한 후 2500℃ 이상의 고온에서 흑연화하여 단결정 상태의 그라파이트로 제조하거나,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고온에서 열분해하여 화학증기증착법(CVD)으로 고배향의 그라파이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10)의 형상은 구상, 판상 또는 침상 등 공지된 형상이거나 비정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판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10)의 평균입경은 50 ~ 600㎛일 수 있고, 일 예로 300㎛일 수 있으며, 상기 그라파이트(10)는 순도가 99% 이상인 고순도의 그라파이트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물성을 발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그라파이트(10)의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20)는 그라파이트(10)에 후술하는 카테콜아민층(30)을 구비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써 기능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그라파이트(10)의 표면에는 화학반응을 매개할 수 있는 작용기 등이 거의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서 그라파이트(10)의 이종재질 내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테콜아민층(30)을 그라파이트(10) 표면에 구비시키기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서 카테콜아민을 그라파이트에 처리해도 실제 그라파이트에 남아 있는 카테콜아민의 양은 매우 적은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라파이트 표면에 작용기가 구비되도록 개질처리를 수행해도 개질된 그라파이트의 표면에 구비되는 카테콜아민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나노입자가 표면에 구비된 그라파이트의 경우 카테콜아민이 상기 나노입자의 표면상에 용이하게 결합됨에 따라서 그라파이트에 카테콜아민을 목적하는 양만큼 도입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나노입자(20)는 비절연성 나노입자일 수 있으며,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일 수 있고,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주기율표상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란타늄족, 악티늄족, 전이금속, 전이후금속, 준금속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나노입자는 Ni, Si, Ti, Cr, Mn, Fe, Co, Cu, Sn, In, Pt, Au, Mg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Cu, Ni 또는 Si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20)는 평균입경이 10 ~ 500㎚, 바람직하게는 10 ~ 1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20)는 바람직하게는 결정화된 입자상태로, 낱개의 그라파이트(10) 전체 표면적에 대해 10 ~ 70% 면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70%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20)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구비하는 비절연성 필러(101) 전체 중량에 대해 5 ~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60 중량%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입자(20)는 그라파이트(10)와 화학결합을 이룸으로써 더욱 강한 결합력을 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카테콜아민층(30)은 적어도 상술한 나노입자(20)의 표면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술하는 이종재질의 고분자화합물 내에 그라파이트의 우수한 유동성, 분산성 및 그라파이트 복합체와 고분자화합물 간 계면결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콜아민층(30)은 그 자체로 환원력을 가짐과 동시에 층 표면의 카테콜작용기에 아민작용기가 Michael 첨가 반응에 의한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카테콜아민층을 접착물질로 사용하는 2차 표면개질이 가능하며, 일 예로, 보다 더 향상된 고분자화합물 내 분산성을 발현하기 위해 고분자층(40)을 그라파이트에 도입시킬 수 있는 접합물질로써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카테콜아민층(30)을 형성하는 카테콜아민은 벤젠 고리의 오르쏘(ortho)-그룹으로 하이드록시 그룹 (-OH)을 가지고, 파라(para)-그룹으로 다양한 알킬아민을 갖는 단분자를 의미하는 용어로써, 이러한 구조체의 다양한 파생물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도파민(dopamine), 도파민퀴논(dopamine-quino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알파-메틸도파민(alphamethyl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알파-메틸도파(alphamethyldopa), 드록시도파(droxidopa), 인돌아민(indolamine), 세로토닌(serotonin) 또는 5-하이드록시도파민(5-Hydroxydopamine) 등일 수 있고, 일 예로써, 상기 카테콜아민층(30)은 도파민 (dopamine)층일 수 있다. 상기 도파민은 카테콜과 아민 작용기를 가지는 분자량 153(Da)의 단분자 물질인데, 일 예로써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도파민을 포함하는 염기성 pH 조건(약 pH 8.5)의 수용액에 표면 개질하고자 하는 물질을 넣었다가 일정 시간 뒤에 꺼내면 카테콜의 산화에 의해 물질의 표면에 폴리도파민(polydopamine, pDA)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및 R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티올, 1차아민(primary amine), 2차아민(secondary amine), 니트릴(nitrile), 알데하이드(aldehyde), 이미다졸(imidazole), 아자이드(azide), 할로겐화물(halide), 폴리헥사메틸렌 디티오카보네이트(polyhexamethylene dithiocarbonate),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에스터(carboxylic ester) 또는 카로복사미드(carboxam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이며, 나머지는 수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콜아민층(30)의 두께는 5 ~ 1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카테콜아민층(30) 상에는 고분자층(40)이 더 피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층(40)으로 인하여 복합재를 형성하는 고분자화합물과 상용성이 증가함에 따라서 더욱 향상된 유동성, 분산성 및 계면결합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층(40)은 열경화성 고분자화합물 또는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로 구현된 것일 수 있고, 열경화성 고분자화합물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의 구체적 종류는 공지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상기 열경화성 고분자화합물은 에폭시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및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액정고분자,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고분자층은 천연고무 및/또는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고무탄성체 및 이의 유사물질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평균입경이 50 ~ 600㎛일 수 있고, 일 예로 300㎛일 수 있으며, 상기 평균입경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더욱 향상된 물성을 발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절연성 필러(101)는 상술한 그라파이트 복합체 이외에 공지된 비절연성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본블랙,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등의 탄소계 필러 및/또는 구리, 은, 니켈, 금, 백금, 철 등의 금속계 필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더 첨가되는 이종의 비절연성 필러 함량, 입경, 형상 등은 후술하는 절연성 필러의 함량, 구현하고자 하는 방열특성 및 절연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방열필러(100)에 포함되는 절연성 필러(10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고온에서 소성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일반 탄소에 비하여 열에 강하고 탄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의 열전도성(500 W/mK)이 기존의 은(400W/mK), 동(390 W/mK), 알루미늄(230W/mK)보다 우수하며, 종래 방열부재의 수직인 종방향으로의 열전달 형태에서 그라파이트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횡방향으로의 열전달이 가능하게 하여 방열 특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그라파이트 특유의 가벼운 무게로 인한 경량화면에서 유리하여 최근 전자제품의 박형화, 초형화 및 경량화의 추세에 대응할 수 있어서 이를 방열필러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다만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 만을 포함하는 방열필러가 전자기기의 방열부재에 구비되는 경우, 전자소자가 고집적화 될수록 인접한 전자소자간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져서 서로간의 전기적 단락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한 전자기기의 오작동, 성능 저하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며 나아가, 하나의 전자소자에서 발열로 인한 성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방열성능을 요구함과 동시에 전자소자에 구비된 회로부품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절연성능을 요구하는 산업분야로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열부재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방열필러(100)에 절연성 필러(102)를 구비한다. 상기 절연성 필러(102)는 고분자화합물의 성형과정에서 비절연성 필러(101)와 함께 고분자화합물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성 필러(102)의 형상, 크기는 제한이 없으며, 구조에 있어서도 다공질이거나 비다공질일 수 있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절연성 필러(102)는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타늄,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산화베릴륨, 산화망간, 탈크(Talc), 탄화규소 및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필러(102)는 상기 방열필러(100) 전체에 대하여 70 ~ 9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80 ~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절연성 필러(102)의 중량이 방열필러(100) 전체에 대하여 7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절연성 필러(102)의 함량이 너무 적어서 목적하는 절연성능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절연성 필러(102)의 중량이 방열필러(100) 전체에 대하여 9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절연성을 나타낼 수는 있으나 방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나아가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서 절연성 필러(102)의 균일한 분산이 저해되고 미반응물이 용출되어 불순물의 형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필러(102)는 평균입경이 10㎚ ~ 600㎛,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10 ~ 500㎛일 수 있다. 만일 절연성 필러(102)의 평균입경이 600㎛를 초과하는 경우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서 균일한 분산이 저해되고 이로 인해 고분자화합물과의 혼합 시,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고, 표면으로 돌출되는 필러가 발생함에 따라 표면 특성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발현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만일 절연성 필러(102)의 평균입경이 10㎚ 미만일 경우 제품단가의 상승 우려가 있고, 고분자화합물과 혼합 후, 구현된 후 표면에 묻어나오는 절연성 필러(102)의 양이 증가하여 방열성능 및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상분리현상으로 인해 방열성능 및 절연성능의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입자와 입자사이의 공간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방열성능 및/또는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필러(10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라파이트(10)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20) 및 카테콜아민층(30)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고분자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입자(20)는 절연성 나노입자로써,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타늄,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산화베릴륨, 산화망간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외에 나노입자(20), 카테콜아민층(30) 및 고분자층(4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비절연성 필러(10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절연성 필러(101) 및 절연성 필러(102)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그라파이트 표면에 나노입자가 형성된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 상에 카테콜아민층을 형성시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카테콜아민층을 형성한 후 고분자층을 더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 표면에 나노입자가 형성된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그라파이트 표면 상에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공지의 방법인 경우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비절연성 나노입자를 구비할 경우, 금속계 나노분말을 제조하는 기존의 기상합성 기술로 불활성기체응축(Inert Gas Condensation, IGC), 화학기상 응축(Chemical Vapor Condensation, CVC), 금속염 분무건조(Metal Salt Spray-Drying)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이 중 불활성기체응축(IGC) 공정은 고순도의 극미세한 나노금속분말 제조가 가능하나, 큰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생산속도가 매우 낮아 공업적 응용에 한계가 있으며, 화학기상응축(CVC) 공정은 불활성기체응축(IGC) 공정에 비해 에너지 면이나 생산속도 면에서 다소 개선된 공정이나, 원료물질인 프리커서(precursor)의 가격이 매우 비싸서 비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금속염 분무건조공정은 값싼 염을 원료로 사용하므로 경제적이지만 건조단계에서의 오염과 분말의 응집을 피할 수 없고, 유독성 부산물이 발생하므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고주파 열플라즈마를 통해 나노입자를 그라파이트 상에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파이트 및 나노입자 형성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제조된 혼합물에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고주파 열플라즈마를 통해 나노입자 형성물질을 기화시키는 단계 및 기화된 나노입자 형성물질을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정화시키는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그라파이트 및 나노입자 형성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에서 두 물질 간 혼합비율은 목적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혼합된 혼합물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데, 이때 주입되는 가스는 그 기능에 따라 시스가스, 센트럴가스, 캐리어 가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 수소, 질소 또는 이들을 혼합한 기체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르곤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스 가스는 벽체의 내부 표면에 기화된 나노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벽면을 초고온의 플라즈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주입되는 것으로서, 30 ~ 80 lpm(liters per minute)의 아르곤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센트럴가스는 고온의 열플라즈마를 생성하기 위하여 주입되는 가스로써, 30 ~ 70 lpm의 아르곤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가스는 혼합물을 플라즈마 반응기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의 가스로써, 5 ~ 15 lpm의 아르곤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주파 열플라즈마를 통해 나노입자 형성물질을 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열플라즈마(thermal plasma)는 직류 아크나 고주파 유도결합 방전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토치에서 발생시킨 전자, 이온, 원자와 분자로 구성된 이온화 기체로써, 수천에서 수만 K에 이르는 초고온과 높은 활성을 가진 고속제트이다. 이에 따라 고온의 플라즈마를 원활히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라즈마 장치의 전원공급장치로 10 내지 70 kW의 전력을 공급하며, 전기에너지에 의해 아크가 형성되고, 열플라즈마 발생기체로 사용된 아르곤 가스에 의하여 약 10,000K의 초고온 플라즈마가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10 내지 70 kW의 전력을 유지한 상태로 아르곤 가스를 발생가스로 하여 발생된 초고온의 열플라즈마는 열처리방식이나 연소방식에 의해 발생된 열플라즈마보다 높은 온도에서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공지의 고주파 열플라즈마(RF) 방법을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열플라즈마 처리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기화된 나노입자 형성물질을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정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기화된 나노입자 형성물질을 그라파이트 표면에서 결정화시키기 위해, 켄칭(quenching)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켄칭 가스로 응축 또는 급냉시켜 나노입자의 성장을 억제시키면서 결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구비되는 나노입자가 절연성 나노입자인 경우, 절연성 필러(102)에 포함되는 나노입자가 형성된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그라파이트 표면 상에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공지의 방법인 경우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후,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에 카테콜아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약염기성 도파민수용액에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를 디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 표면에 폴리도파민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약염기성 도파민 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pH 8 ~ 14 염기성의 트리스 완충용액(10mM, tris buffer solution), 보다 바람직하게 바다 속 환경과 동일한 염기성 조건인 pH 8.5 염기성의 트리스 완충용액에 도파민을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약염기성 도파민 수용액의 도파민 농도는 0.1 ~ 5㎎/㎖, 바람직하게 2 ㎎/㎖ 일 수 있다.
준비된 약염기성 도파민 수용액에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를 디핑 후 도파민이 염기성 및 산화 조건 하에서 자발적으로 고분자화 반응을 거쳐 그라파이트-나노입자 결합체에 폴리도파민층인 카테콜아민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산화제를 더 구비시켜 폴리도파민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산화제 없이 공기 중의 산소기체를 산화제로도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디핑 시간은 폴리도파민층의 두께를 결정하는데, pH 8 ~ 14이고, 도파민 농도가 0.1 ~ 5㎎/㎖ 인 도파민 수용액을 이용하는 경우, 5 ~ 100nm 두께로 카테콜아민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약 0.5 ~ 24시간 동안 디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수한 판상의 그라파이트에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그라파이트 표면에 도파민 코팅층을 거의 형성시키지 못하나, 나노입자로 인하여 카테콜아민층이 나노입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고분자층의 형성방법으로 디핑을 예시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레이드(blade) 코팅, 플로우(flow) 코팅, 캐스팅(casting), 프린팅 방법, 트랜스퍼(transfer) 방법, 브러싱, 또는 스프레잉(spraying) 등의 공지된 방법을 통해 고분자층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카테콜아민층이 형성된 그라파이트 복합체에 고분자층을 더 구비시키기 위해서 목적하는 고분자화합물이 용해된 용해액 또는 용융된 용융액에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고분자층이 형성된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비절열성 필러(101) 및 절연성 필러(102)와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절연성 필러와 혼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블렌딩 공정을 통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용액 블렌딩은 비절열성 필러(101)와 절연성 필러(102)의 균질화(homogenization)를 촉진하기 위해 전단, 압축, 초음파 진동 등을 이용하여 블렌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유체에 현탁된 비절연성 필러(101)는 상술한 절연성 필러(102)와 함께 혼합물의 형태로 초음파 발생장치(ultrasonic sonicator)로 도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필러(100)는 후술하는 매트릭스 형성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 230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80 ~ 2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매트릭스 형성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열필러(100)가 70 중량부 미만이면 절연성능 및/또는 방열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2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다음,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매트릭스 형성성분에 구비되는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은, 공지된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의 몸체를 형성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액정고분자,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1, 나일론610, 나일론12, 나일론46, 나일론9T(PA-9T), 키아나 및 아라미드 등 공지된 폴리아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보네이트 등 공지된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이소뷰틸렌, 에틸렌비닐알코올 등 공지된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액정고분자는 용액 혹은 용해된 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고분자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된 종류일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의 첨가제로써, 산화방지제, 충격개선제, 난연제, 강도개선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작업개선제, UV 흡수재, 분산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압출, 사출 시 전단에 의한 열가소성 고분자 화합물의 주쇄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열변색에 대한 방지 등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공지된 산화방지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트리스(노닐 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들과 같은 유기포스파이트; 알킬화된 모노페놀 또는 폴리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 또는 그밖에 유사한 것과 같은 것으로서, 디엔을 갖는 폴리페놀의 알킬화된 반응 생산물; 파라-크레졸 또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의 부틸화된 반응 생산물; 알킬화된 하이드로퀴논; 수산화된 티오디페닐 에테르; 알킬리덴-비스페놀; 벤질 화합물; 모노하이드릭 또는 폴리하이드릭 알코올과 베타-(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모노하이드릭 또는 폴리하이드릭 알코올과 베타-(5-터트-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디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트리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터트-부틸-l-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 [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들과 같은 티오알킬 또는 티오아릴 화합물의 에스테르; 베타-(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닉산의 아미드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열가소성 고분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개선제는 그라파이트와 고분자화합물 간의 복합재료의 유연성, 응력완화성을 발현하여 내충격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공지된 성분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말레산 그라프트된 EPDM, 코어/쉘 구조의 탄성입자, 고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소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충격개선제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은 러버와 유사한 물질군으로써,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폴리올레핀 블록과 고무질 블록을 갖는 선형 폴리올레핀 블록공중합체나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계 엘라스토머인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모노머(EPDM)를 블랜드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한 구체적 종류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역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구체적 종류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코어/쉘 구조의 탄성입자는 일 예로 상기 코어를 알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쉘 부분은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과의 상용성,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구비한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예를 들어, 할로겐화된 난연제, BC58 및 BC52와 같은 유사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올리고머(like tretabromo bisphenol A oligomers), 브롬화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디브로모-스티렌), 브롬화된 에폭시, 데카브로모디페닐렌옥사이드, 펜타브롬펜질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펜타브로모벤질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비스(펜타브로모벤질)에탄, Mg(OH)2 및 Al(OH)3 와 같은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레드 포스포러스(red phosphorus)와 같은 포스퍼 기반 FR 시스템,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금속 포스피네이트, 암모니움 폴리포스페이트, 팽창 가능한 그래파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퍼플루오로부탄 설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퍼플루오로옥탄 설페이트, 소디움 또는 포타슘 디페닐설폰설포네이트 및 소디움- 또는 포타슘-2,4,6,-트리클로로벤조네이트 및 N-(p-톨릴설포닐)-p-톨루엔설피미드 포타늄 염, N-(N'-벤질아미노카르보닐) 설파닐이미드 포타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난연제는 열가소성 고분자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강도개선제는 그라파이트와 고분자화합물 간의 복합재료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공지된 성분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탄소섬유, 유리섬유, 유리구슬, 산화지르코늄, 울라스토나이트, 깁사이트, 베마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 돌로마인트,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운모, 탈크, 탄화규소, 고령토, 황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규소, 수산화암모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강도개선제로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강도개선제는 유리섬유일 수 있다. 상기 강도개선제는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5 ~ 35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15 ~ 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33.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강도개선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으로 강도를 개선할 수 없고, 함량 범위를 초과하면 경량성 및 굴곡탄성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도개선제로 유리섬유가 사용되는 경우, 유리섬유는 길이가 2 ~ 8㎜, 바람직하게는 2 ~ 7㎜, 가장 바람직하게는 4㎜일 수 있고, 섬유 평균직경이 1 ~ 30㎛, 바람직하게는 3 ~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안정제는 공지된 열안정제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비제한적이 예로써,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6-디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믹스드 모노-앤드 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mixed mono-and di-nonylphenyl)phosphate)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과 같은 유기 포스파이트; 디메틸벤젠 포스포네이트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과 같은 포스포네이트,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과 같은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열 안정제는 열가소성 고분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안정제는 공지된 광안정제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비제한적이 예로써,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터트-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하이드록시-4-n-옥톡시 벤조페논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들과 같은 벤조트리아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안정제는 일반적으로 모든 충전제를 제외한 총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공지된 가소제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비제한적이 예로써, 디옥틸-4,5-에폭시-헥사하이드로프탈레이트, 트리스-(옥톡시카르보닐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테아린, 에폭시화된 콩기름(soybean oil) 또는 그 밖의 유사한 것들과 같은 프탈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열가소성 고분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제는, 공지된 대전방지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monostearate), 소디움 스테아릴 설포네이트, 소디움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폴레에테르 블록 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들은 예를 들어, 상표명 이르가스탯(Irgastat)의 BASF; 상표명 PEBAX의 알케마(Arkema); 및 상표명 펠레스탯(Pelestat)의 산요 케미컬 인더스트리즈(Sanyo Chemical industries) 로부터 상업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개선제는 공지된 작업개선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금속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밀납(beeswax), 몬탄 왁스(montan wax),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개선제는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V 흡수제는, 공지된 UV 흡수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하이드록시벤조페논;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옥사닐라이드(oxanilides); 벤족사지논(benzoxazinones);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2,2'-(1,4-페닐렌)비스(4H-3,1-벤족사진-4-원); 1,3-비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2,2-비스[[(2-시아노-3, 3-비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판; 2,2'-(1,4-페닐렌) 비스(4H-3,1-벤족사진-4-원); 1,3-비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2,2-비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판; 입경이 100㎚미만인 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및 산화 아연과 같은 나노-크기 무기 물질;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UV 흡수제는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 및 커플링제는 공지된 분산제 및 커플링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커플링제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내열성을 위해 말레산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실란계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은 그라파이트 복합재 제조용 마스터배치로 구현된다. 일 예로, 상기 마스터배치는 상기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가 용융 압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마스터배치 제조방법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1000)는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절연성 필러(101), 및 절연성 필러(102)를 포함하는 방열필러(100);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로 성형되고, 내주에 상기 방열필러(100)가 분산된 고분자 매트릭스(200);를 포함하여 구현되며,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200)의 외부면에는 보호코팅층(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절연성 필러(101) 및 절연성 필러(102)는 도 2에는 고분자 매트릭스(200)의 내부에만 분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2와 다르게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절연성 필러(101)는 상술한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며, 고분자 매트릭스(200)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비절연성 필러(101)는 상기 방열필러(100) 전체에 대하여 5 ~ 3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비절연성 필러(101)가 5 중량% 미만으로 구비될 경우 목적하는 방열, 차폐성능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만일 30 중량%를 초과하여 구비될 경우 그라파이트 복합재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사출 등의 성형성이 저하되며, 복잡한 형상으로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방열성능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으나, 방열성능과 일정한 반비례 관계에 있는 절연성 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필러(102)는 목적하는 방열부재의 적용 형태에 따라 그 종류와 크기 및 형상 등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타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하는 절연성 필러(102)의 종류, 중량평균분자량 및 고분자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측정기기로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어려움에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므로 그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절연성 필러(102)는 상술한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분자 매트릭스(200)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절연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200)는 상술한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되며, 구체적 설명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고분자매트릭스(200)의 외부면에 보호코팅층(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코팅층(300)은 고분자매트릭스의 표면부에 위치한 비절연성 필러(101) 및 절연성 필러(102)의 이탈을 방지하고, 표면에 가해는 물리적 자극으로 인한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며, 재질에 따라서 절연기능을 제공하여 절연 및 방열이 동시에 요구되는 전자장치 등의 적용처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코팅층(300)은 공지된 열경화성 고분자화합물 또는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고분자화합물은 에폭시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및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액정고분자,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코폴리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코팅층(300)은 두께가 0.1 ~ 10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코팅층(300)은 전도되는 열의 공기 중 방사를 방해 할 수 있다. 이에 보다 향상된 방열, 특히 외부 공기 중으로 열의 방사특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코팅층(300)은 방열필러를 더 구비한 방열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방열필러는 공지된 방열필러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는데, 만일 절연성이 동시에 요구될 경우 산화알루미늄, 보론나이트라이드, 탈크, 산화마그네슘, 실리콘카바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절연성 방열필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코팅층(300) 내에 구비되는 방열필러의 종류, 입경, 함량 등은 목적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1001,1002)는, 상기 고분자매트릭스(200)내부에 구비되는 금속코어층(400,4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코어층(400,401)은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1001,1002)의 기계적 강도를 담보시키면서 소정의 방열성능을 발현한다.
상기 금속코어층(400,401)은 고분자매트릭스(200)와 상용성이 좋고, 고분자매트릭스(200)와 금속코어층(400,401) 간 계면이 이격되지 않으면서도 얇은 두께에도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사출성형 될 수 있을 정도의 내열성을 갖춤과 동시에 소정의 열전도도를 갖는 금속재질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 티타늄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 또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이 포함된 합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코어층(400,401)은 전면이 고분자매트릭스(200)로 둘러싸여 금속코어층(400)이 전면에서 고분자매트릭스(200)와 계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도 3a 참조), 금속코어층(401)이 하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서 고분자매트릭스(200)와 계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도 3b 참조), 금속코어층(400,401)의 적어도 3면이 고분자매트릭스(200)에 접하는 경우 금속코어층(400,401)의 고분자매트릭스(200) 내 구체적 위치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금속코어층(400,401)의 두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1001,1002) 전체 두께에 대하여 두께가 0.5 ~ 90%일 수 있다. 만일 금속코어층(400,401)의 두께가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1001,1002) 전체 두께에 대하여 0.5 %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담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만일 90%를 초과할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방열성능, 특히 방사특성을 발현하기 어렵고, 복잡한 형상으로의 성형성도 저하될 수 있다. 더불어 두꺼워진 금속코어층은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의 체적저항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절연성이 현저히 감소해 절연성이 요구되는 전자장치나 부품에 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금속코어층(400,401)은 소정의 종횡비를 갖는 봉형,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 형태이거나 사각 또는 원형 등 소정의 형상을 갖는 테두리 와이어 또는 바 내측에 복수개의 와이어 또는 바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구조, 격자구조, 허니컴 구조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구조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준비예>
비절연성 필러로, 하기의 방법을 통해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균입경이 300㎛인 판상의 팽창흑연인 그라파이트와 니켈분말의 혼합비율을 1:19 중량비로 10분 동안 혼합하여 원료 분말을 준비하였다. 또한, 고주파 열플라즈마 장치에 센트럴 가스와 시스 가스로서 각각 30 lpm 및 50 lpm의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였다. 이후에 플라즈마 토치 전원으로 17 kW를 인가하여 고온의 열 플라즈마를 생성시킨 후 원료 분말을 주입하기 전 장비의 진공도를 500 torr로 유지하고, 플라즈마 발생 전극부의 분사노즐을 통해 준비된 원료분말을 고주파 열플라즈마 반응부 내부로 주입하였고, 그 내부에서는 그라파이트가 플라즈마에 의한 열적 손상 없이 이동하고, 니켈 분말만이 선택적인 기화과정을 거쳐 나노입자로 결정화되어 그라파이트와 결합하였다. 이렇게 결합된 그라파이트 및 니켈 나노입자의 결합체는 사이클론부에서 분리되어 이송배관을 통해 콜렉터의 필터에 흡착되었고, 필터에 흡착된 분말을 블로우 백 공정을 거쳐 수거부에서 포집되었다.
이후, 포집된 상기 결합체에 카테콜아민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TBS(Tris buffer solution, 100mM)에 2mM 농도의 도파민을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 1L에 상기 결합체 5g을 섞어 상온, 대기 상태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도파민이 니켈 나노입자와의 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과요오드산나트륨(Sodium Periodate)을 도파민 중량의 10% 첨가하여 교반시켰다. 2시간 교반 후 여과(Filtering)를 통하여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고, Di-water로 2회 세척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폴리도파민이 코팅된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그라파이트 복합체에서 그라파이트, 나노입자 및 폴리도파민의 중량%는 각각 94.95 중량%, 5 중량%, 0.05 중량%이었다. 또한, SEM 사진을 통해 확인된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32㎚이었다.
<실시예 1>
먼저,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로 폴리아미드-6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절연성 필러로 상기 준비예에 따라 제조한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10 중량% 및 절연성 필러로 평균입경이 150㎛인 질화붕소를 90 중량%로 포함하는 방열필러를 총 100 중량부 포함하도록 혼합하여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용 조성물을 제조한 뒤, 동방향 이축 압출기의 메인 호퍼 및 사이트 피더에 투입한 다음 압출기 배럴 온도 280℃ 조건 하에서 용융하여 Strand 컷팅방법을 사용해 펠렛을 제조하고, 이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시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용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스터배치와, 금속지지층으로 가로 12㎝, 세로 6㎝, 두께가 1.5㎜인 알루미늄판을 준비한 뒤 이를 통상의 사출장치를 이용해 용융된 마스터배치를 통해 형성되는 고분자매트릭스가 두께 3㎜로 금속지지층의 전면을 둘러싸도록 사출시켜 도 3a와 같은 구조의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12 및 비교예 1 ~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방열필러 중 비절연성 필러와 절연성 필러의 함량, 방열필러의 총 함량, 절연성 필러의 평균입경 및 금속코어층 포함여부 등을 변경하여 표 1 내지 표 3과 같은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1. 수평 열전도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에 대하여 ASTM E1461에 의거하여 수평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에 대하여 ASTM D638에 의거하여 인장강도를, ASTM D256에 의거하여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3. 표면저항 및 체적저항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에 대하여 ASTM D257에 의거하여 표면저항 및 체적저항을 측정하였다.
4. 절연파괴강도 및 절연파괴전압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에 대하여 ASTM D149에 의거하여 절연파괴강도 및 절연파괴전압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방열필러 총 함량(중량부) 100 100 100 50 80
비절연성 필러 함량(중량%) 10 40 20 10 10
절연성 필러 함량(중량%) 90 60 80 90 90
평균입경(㎛) 150 150 150 150 150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금속코어층 포함여부
물성 평가 수평 열전도도(W/mK) 3.88 4.56 6.3 2.34 3.79
인장강도(kgf/㎠) 713 711 713 715 714
충격강도(Kgf·㎝/㎝) 4.0 4.0 4.0 4.1 4.0
표면저항(Ω/sq) 5.1
×1015
1.7
×104
2.7
×1015
1.4
×1015
1.6
×1015
체적저항(Ω·㎝) 2.8×1015 2.0
×103
5.7
×1014
4.0
×1014
4.1
×1014
절연파괴강도(KV/㎜) 41.3 측정
불가
36.9 40.6 41.2
절연파괴전압(KV) 45.9 측정불가 38.1 43.8 45.8
구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방열필러 총 함량(중량부) 200 260 100 100 100
비절연성 필러 함량(중량%) 10 10 10 10 10
절연성 필러 함량(중량%) 90 90 90 90 90
평균입경(㎛) 150 150 5㎚ 10 500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금속코어층 포함여부
물성 평가 수평 열전도도(W/mK) 6.54 6.72 3.01 3.76 7.6
인장강도(kgf/㎠) 702 538 711 713 706
충격강도(Kgf·㎝/㎝) 3.9 2.9 4.0 4.0 3.8
표면저항(Ω/sq) 8.3×1015 8.8
×1015
5.4
×1014
3.9
×1015
5.0
×1015
체적저항(Ω·㎝) 6.0×1015 6.4
×1015
1.0
×1014
8.6
×1014
2.7
×1015
절연파괴강도(KV/㎜) 46.7 47.5 28.3 37.7 41.0
절연파괴전압(KV) 51.6 52.0 30.9 39.0 45.6
구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비교예
2
방열필러 총 함량(중량부) 100 100 100 100
비절연성 필러 함량(중량%) 10 10 100 0
절연성 필러 함량(중량%) 90 90 0 100
평균입경(㎛) 700 150 - 150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금속코어층 포함여부 ×
물성 평가 수평 열전도도(W/mK) 7.82 2.37 8.6 2.14
인장강도(kgf/㎠) 552 623 710 712
충격강도(Kgf·㎝/㎝) 3.0 3.2 4.0 4.0
표면저항(Ω/sq) 4.8×1015 4.9
×1015
2.1
×102
3.4
×1015
체적저항(Ω·㎝) 2.5×1015 2.7
×1015
5.3
×10
7.6
×1015
절연파괴강도(KV/㎜) 40.7 40.2 측정불가 43.5
절연파괴전압(KV) 45.1 44.8 측정불가 49.3
상기 표 1 내지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필러 중 비절연성 필러와 절연성 필러의 함량, 방열필러의 총 함량, 절연성 필러의 평균입경 및 금속코어층 포함여부 등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3, 5, 6, 9 및 10이, 이 중에서 하나라도 누락된 실시예 2, 4, 7, 8, 11, 12 및 비교예 1 ~ 2에 비하여 방열성능 및 절연성능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모두 동시에 달성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그라파이트 20: 나노입자
30: 카테콜아민층 40: 고분자층
101: 비절연성 필러 102: 절연성 필러
100: 방열필러 200: 고분자 매트릭스
300: 보호코팅층 400,401: 금속코어층
1000,1001,1002: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Claims (15)

  1.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절연성 필러, 및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필러;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성성분;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형성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열필러를 70 ~ 2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필러는 방열필러 전체에 대하여 70 ~ 95 중량%로 포함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필러는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타늄,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산화베릴륨, 산화망간, 탈크(Talc), 탄화규소 및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필러의 평균입경은 10㎚ ~ 600㎛인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층은 적어도 나노입자의 표면상에 구비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적어도 상기 카테콜아민층에 피복된 고분자층을 더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파이트 복합체는 평균입경이 50 ~ 600 ㎛인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액정고분자,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코폴리머인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필러는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이 성형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마스터 배치.
  12. 그라파이트 표면에 결합된 나노입자 및 카테콜아민층을 구비하는 그라파이트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절연성 필러, 및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필러; 및
    열가소성 고분자화합물로 성형되고, 내부에 상기 방열필러가 분산된 고분자 매트릭스; 를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외부면에는 보호코팅층이 더 구비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매트릭스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코어층;을 더 포함하는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코어층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 티타늄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 또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이 포함된 합금인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KR1020180140949A 2017-11-15 2018-11-15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KR20190055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141 2017-11-15
KR20170152141 2017-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772A true KR20190055772A (ko) 2019-05-23

Family

ID=6653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949A KR20190055772A (ko) 2017-11-15 2018-11-15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59064B2 (ko)
KR (1) KR20190055772A (ko)
CN (1) CN111328337B (ko)
WO (1) WO20190987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046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Rf 방열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여 구현된 중계기 함체
WO2021060765A1 (ko) * 2019-09-23 2021-04-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Rf 방열플라스틱, rf 방열플라스틱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함체
WO2021215708A1 (ko) * 2020-04-23 202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414A1 (ko) 2017-04-21 2018-10-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인쇄회로 나노섬유웹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인쇄회로 나노섬유웹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2064920B1 (ko) 2017-06-09 2020-01-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FR3112191A1 (fr) * 2020-07-02 2022-01-07 Airbus (S.A.S.) Réservoir d’hydrogène et canalisation d’hydrogène recouverts d’un matériau bidimensionnel, et installation de distribution d’hydrogène.
WO2023182395A1 (ja) * 2022-03-25 2023-09-28 積水テクノ成型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CN116606546A (zh) * 2023-05-23 2023-08-18 宁波设会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抗油污保护层及其制备方法
CN116734649B (zh) * 2023-08-08 2023-10-27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基于红外光学调控的自适应热管理装置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103A (ko) 2014-09-11 2016-03-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히트싱크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568A (ja) 1996-02-01 1997-08-12 Nitto Denko Corp エアーフィルター用濾材
DE69913180T2 (de) 1998-09-14 2004-09-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aint Paul Extraktionseinheiten und verfahren
AU2003269796A1 (en) 2003-08-28 2005-03-16 Sabanci Universitesi Metal coated nano fibres
US7504550B2 (en) 2006-08-31 2009-03-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ductive porous materials
US20080153959A1 (en) * 2006-12-20 2008-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ly Conducting and Electrically Insulating Mol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5369278B2 (ja) 2007-07-03 2013-12-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濾過用平膜エレメント及び平膜濾過モジュール
KR100871440B1 (ko) 2007-07-16 2008-12-03 주식회사 에이엠오 PAN/PVdF 복합나노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DE102007037316A1 (de) * 2007-08-08 2009-02-12 Lanxess Deutschland Gmbh Thermisch leitfähige und elektrisch isolierende thermoplastische Compounds
KR100938684B1 (ko) 2007-10-16 2010-01-2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전자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41204B (zh) 2007-11-14 2017-07-18 日东电工株式会社 过滤器滤材及其制造方法和过滤器单元
KR101049413B1 (ko) 2008-08-22 2011-07-14 김동현 주석도금법에 의한 전자파 차폐용 도전성 섬유의 제조방법
US8470236B2 (en) 2008-11-25 2013-06-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of making a non-woven web
KR20100070041A (ko) 2008-12-17 2010-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렌치 기판의 제조방법
WO2012164584A2 (en) * 2011-05-31 2012-12-06 Essel Propack Limited Aluminium barrier laminate
US20140287230A1 (en) 2011-11-10 2014-09-25 Research Triangle Institute Nanostructured polymer-inorganic fiber media
KR101545430B1 (ko) 2011-12-26 2015-08-18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다층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파 실드 부재 및 방열성 부재
KR101371088B1 (ko) 2012-07-26 2014-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전해도금을 이용한 금속 박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박막 소자
JP2014201676A (ja) 2013-04-05 2014-10-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複合材料の製造方法
KR101624303B1 (ko) 2013-04-26 2016-05-27 한국과학기술원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6903B1 (ko) 2013-05-10 2019-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분자 나노 섬유-금속 나노 입자 복합체 패턴의 형성 방법
KR101387086B1 (ko) 2013-06-05 2014-04-18 (주)창림이엔지 절연-방열 마스터 배치 및 절연-방열체
KR101619471B1 (ko) 2013-08-06 2016-05-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액체 필터용 필터여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6367606B2 (ja) 2013-09-09 2018-08-01 上村工業株式会社 無電解めっき用前処理剤、並びに前記無電解めっき用前処理剤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基板の前処理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32221A (ko)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축전식 탈염 전극 모듈,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염 장치
KR101521600B1 (ko) 2013-10-07 2015-05-20 (주)에프티이앤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와 이성분 기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53443A1 (ko) 2013-10-07 2015-04-16 (주)에프티이앤이 기재 양면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TWI484065B (zh) 2013-10-15 2015-05-11 Univ Nat Cheng Kung 可撓性透明導電膜之製作方法
JP2015088537A (ja) 2013-10-29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回路基板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KR101655363B1 (ko) 2013-11-21 2016-09-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탈이온 장치
CN103694704B (zh) * 2013-12-18 2016-06-22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激光直接成型的导热绝缘树脂及其制备方法
CN105814803B (zh) 2013-12-27 2019-02-01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具有柔性电池的可佩戴设备
KR101608220B1 (ko) 2014-01-20 2016-04-01 주식회사 부광피엘 합성수지제품 도금 방법
US9554463B2 (en) 2014-03-07 2017-01-24 Rogers Corporation Circuit materials, circuit laminate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KR101928045B1 (ko) * 2014-03-24 2018-12-11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복합재료 제조용 카테콜아민-판상흑연 기반 고분자 복합체
KR101874150B1 (ko) * 2014-09-03 2018-07-04 재단법인 철원플라즈마 산업기술연구원 고배향성 판상흑연 시트
KR102264098B1 (ko) 2014-10-08 2021-06-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디스플레이 패널 방열 장치
KR101632797B1 (ko) 2014-10-21 2016-06-23 한국과학기술원 전류 집전체-촉매 일체형 3차원 나노섬유 네트워크 전극을 이용한 리튬-공기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4931B1 (ko) 2015-04-22 2018-03-07 동화바이텍스 주식회사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내열성 나노 멤브레인 카트리지 백 필터용 부직포 제조방법
KR101926473B1 (ko) 2015-08-21 2018-12-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웨어러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CN105440583B (zh) * 2015-12-04 2019-05-24 武汉理工大学 一种多巴胺类化合物修饰或包裹纳米粒子改性聚合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219475B (zh) 2016-05-31 2021-05-07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过滤器集合体、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模块
KR102576129B1 (ko) 2016-08-11 2023-09-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576134B1 (ko) 2016-08-11 2023-09-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80069340A (ko)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80069350A (ko)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WO2018194418A1 (ko) * 2017-04-20 2018-10-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그라파이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 복합재
WO2018194414A1 (ko) 2017-04-21 2018-10-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인쇄회로 나노섬유웹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인쇄회로 나노섬유웹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2064920B1 (ko) 2017-06-09 2020-01-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103A (ko) 2014-09-11 2016-03-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히트싱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046A (ko) * 2019-09-23 2021-03-3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Rf 방열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여 구현된 중계기 함체
WO2021060764A1 (ko) * 2019-09-23 2021-04-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Rf 방열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여 구현된 중계기 함체
WO2021060765A1 (ko) * 2019-09-23 2021-04-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Rf 방열플라스틱, rf 방열플라스틱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함체
CN114423816A (zh) * 2019-09-23 2022-04-29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射频散热塑料、其制备方法及利用其的中继器盒体
CN114521206A (zh) * 2019-09-23 2022-05-20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射频散热塑料及包括其来实现的中继器盒体
WO2021215708A1 (ko) * 2020-04-23 202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701A1 (ko) 2019-05-23
US20200283618A1 (en) 2020-09-10
US11359064B2 (en) 2022-06-14
CN111328337B (zh) 2022-01-25
CN111328337A (zh)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5772A (ko)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US11319211B2 (en) Graphite composition, masterbatch comprising same, and graphite composite material embodied thereby
KR102076194B1 (ko) 방열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313B1 (ko) 절연성 방열복합재
KR102076200B1 (ko) 그라파이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 복합재
WO2019115548A1 (en) Semiconductive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reduced graphite oxide worm-like structures, method for preparing the semiconductive polyolef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WO2018212611A1 (ko) 방열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5103B1 (ko) 방열플라스틱
KR102045021B1 (ko) 방열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전자부품
KR20190018225A (ko)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 복합재
KR20180125269A (ko)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KR20190018228A (ko)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복합재
KR20190095766A (ko) 방열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212563A1 (ko) 방열복합재
KR20180125270A (ko)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KR102441832B1 (ko)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복합재
KR20190018229A (ko)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복합재
KR20190018227A (ko)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복합재
JP2011057730A (ja) 微細な炭素繊維が開繊、分散したポリ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464072B1 (ko) Rf 방열플라스틱, rf 방열플라스틱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함체
KR102464071B1 (ko) Rf 방열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여 구현된 중계기 함체
JP7431574B2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