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129B1 -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Google Patents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129B1
KR102576129B1 KR1020160102292A KR20160102292A KR102576129B1 KR 102576129 B1 KR102576129 B1 KR 102576129B1 KR 1020160102292 A KR1020160102292 A KR 1020160102292A KR 20160102292 A KR20160102292 A KR 20160102292A KR 102576129 B1 KR102576129 B1 KR 10257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lter medium
filter
filter media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932A (ko
Inventor
한경구
김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6010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1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01D69/1071Woven, non-woven or net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18Fluorin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Abstract

필터여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여재는 제1여재제2여재, 및 제1여재 및 제2여재 사이에 개재되며, 유로를 증가시키고 수투과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여재 및 제2여재에 대향하는 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을 구비하는 제1지지체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에 의하면, 여과 및/또는 역세척시 가해지는 높은 압력에도 막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보유하며, 유로 형성이 원활하여 유량의 감소가 방지되고 막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막의 내부 유로를 통해 흐르는 여과액 또는 세척액의 투과저항이 최소화됨에 따라서 더욱 상승된 유량을 수득하거나 역세척효율을 달성할 수 있어서 수처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Filter media and Filter un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은 기공크기에 따라 정밀 여과막(MF), 한외 여과막(UF), 나노분리막(NF) 또는 역삼투막(RO)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되는 분리막들은 용도 및 기공 크기에서 차이가 있지만, 섬유로부터 형성된 여과매체 또는 다공성 고분자 여과매체이거나 이들이 복합화된 막의 형태를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여과매체는 고분자 막 또는 고분자 중공사 내부에 형성되는 기공을 조액에 포함된 별도의 기공형성제를 통해서 상기 기공형성제를 소결시키거나 외부응고액에 용해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 섬유로부터 형성된 여과매체는 제조된 단섬유를 축적시킨 후 열/압력 등을 가하여 제조되거나 방사와 동시에 열/압력 등을 가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섬유로부터 형성된 여과매체의 대표적인 예가 부직포인데, 통상적으로 부직포의 기공은 단섬유의 직경, 매체의 평량 등으로 조절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부직포에 포함되는 단섬유의 직경은 마이크로 단위임에 따라 섬유의 직경, 평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미세하고 균일한 기공구조를 가지는 분리막을 구현에 한계가 있었고, 이에 따라 통상의 부직포 만으로는 정밀여과막 정도의 분리막만 구현가능하고 그 보다 미세한 입자를 여과시기 위한 한외여과막, 나노분리막과 같은 분리막은 구현되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 섬유의 직경이 나노단위인 극세섬유를 통해 제조된 분리막이다. 다만, 직경이 나노단위인 극세섬유는 일반적인 습식방사와 같은 섬유방사공정으로는 단 1회의 방사만으로 제조되기 어렵고, 해도사 등으로 방사된 후 해성분을 별도로 용출시켜 극세섬유인 도성분을 수득해야 하는 번거로움, 비용상승, 생산시간의 연장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방사를 통해 직경이 나노단위인 섬유를 직접 방사하여 섬유로부터 형성된 여과매체를 많이 제조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나노단위 직경의 섬유로 형성된 여과매체는 기계적 강도가 매우 약해 여과 시 여재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역세척 시 가해지는 더 큰 압력에 견디지 못하여 찢어지거나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고자 별도의 지지부재를 더 구비시키는 경우에도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여재가 압착될 경우 여재 내부의 유로가 폐쇄됨에 따라서 여재에 걸리는 압력은 더욱 커지는 동시에 유량은 현저히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역세척 과정에서도 여재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부족하여 원활히 역세척이 되지 않고, 가해지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오히려 여재가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여과 및/또는 역세척시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유로가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유량의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여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계적 강도가 담보되는 필터여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고 제10-08714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여과 및/또는 역세척 공정에서 가해지는 높은 압력에도 유로가 확보될 수 있는 동시에 막의 내부 유로에서 발생하는 수투과 저항을 최소화하여 현저히 우수한 유량을 발현할 수 있는 필터여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 및/또는 역세척 공정에서 가해지는 높은 압력에도 막의 형상이 유지되고, 막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필터여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우수한 수투과도 및 내구성을 갖는 필터여재를 통하여 수처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필터유닛 및 필터모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여재, 제2여재, 및 상기 제1여재 및 제2여재 사이에 개재되며, 유로를 증가시키고 수투과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여재 및 제2여재에 각각 대향하는 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을 구비하는 제1지지체를 포함하는 필터여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체는 부직포, 직물 및 편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는 지지성분 및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저융점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1복합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제1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이 제1여재 및 제2여재 각각에 융착되어 제1지지체와 제1여재 및 제2여재간 결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의 평량은 250 ~ 800 g/㎡이고, 두께가 2 ~ 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직경이 5 ~ 1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횡단면은 적어도 한 변이 선분을 포함하는 폐곡선 및 선분을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여재 및 제2여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여재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은 평균공경이 0.1 ~ 5 ㎛이고, 기공도가 40 ~ 9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은 나노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은 50 ~ 4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은 불소계화합물을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불소계화합물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EP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계,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CTFE)계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재는 상기 나노섬유웹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체는 제1지지체와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체는 부직포, 직물 및 편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의 평량은 35 ~ 80g/㎡이며, 두께는 150 ~ 2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는 지지성분 및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저융점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2복합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제2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이 나노섬유웹 및 제1지지체에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는 나노섬유웹 및 제1지지체에 각각 대향하는 면을 관통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체에 구비된 홀의 평균직경은 상기 제1지지체에 구비된 홀의 평균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여재는 한외여과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여재, 및 피처리수가 필터여재 내부를 향해 유입되어 여과된 여과액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여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본 발명에 따른 필터유닛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필터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여재는 여과 및/또는 역세척시 가해지는 높은 압력에도 막의 형상, 기공구조를 온전히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보유하며, 유로 형성이 원활하여 유량의 감소가 방지되고, 여재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여재의 내부 유로를 통해 흐르는 여과액 또는 세척액의 투과저항이 최소화됨에 따라서 더욱 상승된 유량을 수득하고 역세척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더불어, 감소된 투과저항으로 여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적어질 수 있어서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음에 따라서 수처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여재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제1지지체에 형성된 홀의 횡단면 모양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a에 따른 제1지지체에 형성된 홀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한 외접원 및 내접원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여재의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여재의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a에 따른 필터여재를 구비한 필터모듈에 대한 사시도 및 경계선 X-X'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한 여과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도 5에 따른 필터여재를 도 6a의 필터모듈에 적용시켜 경계선 X-X'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한 여과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필터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여재 및 제2여재의 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그리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여재의 나노섬유웹에 대한 도면으로써, 도 10a는 나노섬유웹의 표면 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10b는 나노섬유웹의 단면 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10c는 나노섬유웹에 구비된 나노섬유의 섬도분포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10d는 나노섬유웹의 공경분포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여재(1000)는 제1여재(101), 제2여재(102) 및 상기 여재(101,102) 사이에 구비된 제1지지체(200)로 구현된다.
먼저, 제1지지체(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지지체(200)는 제1여재(101) 및 제2여재(102)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고, 여재의 손상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과 같은 필터여재(1000)에서 가능한 여과경로를 살펴보면, 피여과액이 여재(101,102)의 외부에서 필터여재의 내부방향으로 유입되면서 여과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방향으로 피여과액이 제1지지체(200)에서 제1여재(101) 및 제2여재(102)로 흘러 들어가 여과과정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과경로를 갖는 필터여재(1000)에 여과를 목적으로 압력이 가해진다는 것은, 필터여재의 외부 양방향에서 내부를 향해 압축시키는 힘 또는 내부에서 외부 양방향을 향해 팽창시키는 힘이 필터여재(1000)에 가해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때 제1여재(101) 및 제2여재(102)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여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여과효율의 저하가 수반될 수 있다. 또한, 필터여재의 외부 양방향에서 내부를 향해 필터여재를 압축시킬 경우 필터여재의 내부방향으로 여과되는 여과액이 흐를 수 있는 유로가 축소되거나 차단됨에 따라서 필터여재에 더 큰 차압이 걸리는 동시에 유량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필터여재의 내부에서 여재쪽을 향하여 양방향으로 팽창시키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각각의 여재(101,102)와 제1지지체(200) 간의 계면이 분리될 수 있고, 여과효율(또는 역세척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의 저항이 클 경우 위와 같은 문제는 더욱 빈번하고 현저히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여재(1000)에 구비되는 제1지지체(200)는 유로를 증가시키고 수투과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여재(101) 및 제2여재(102)에 각각 대향하는 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P)을 구비한다. 제1지지체(200)에 구비된 홀(P)은 제1여재(101) 및 제2여재(102)를 통과한 여과액 또는 통과할 피여과액에 대해 더 큰 유로를 제공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저항을 크게 감소시키고, 필터여재의 내부에 걸리는 압력 또한 저하할 수 있다. 따라서 더 큰 여과압력 및/또는 역세척 압력이 필터여재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필터여재 내부에 걸리는 압력은 상대적으로 더욱 줄어들 수 있고, 여재를 비롯한 필터여재의 손상이 최소화 되며, 형상유지가 더욱 용이할 수 있고, 더욱 상승된 유량을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홀(P)의 횡단면은 적어도 한 변이 선분을 포함하는 폐곡선 및 선분을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한 변이 선분을 포함하는 폐곡선이란 최소 한 변의 선분 및 곡선으로 형성된 폐곡선(예, 반원, 부채꼴 모양 등)이나 모든 변이 선분인 다각형(예,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을 의미한다. 또한, 선분을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이란 곡선으로 형성된 폐곡선을 의미하며, 일 예로 원, 타원 등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로 설명하면, 도 2a의 제1지지체(201)는 타원형상의 선분을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의 횡단면 모양을 갖는 홀(P3)을 포함하고, 도 2b의 제1지지체(202)는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선분과 상기 각각의 선분에서 마주보는 끝 점끼리 연결시키는 두 개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폐곡선인 횡단면 모양을 갖는 홀(P4)을 포함한다. 또한, 도 2c의 제1지지체(203)는 직사각형 모양인 홀(P5)을 포함한다.
또한, 제1지지체에 구비되는 다수 개 홀의 횡단면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양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1개의 동일한 모양이거나 도 2d와 같이 제1지지체(204)에 2종의 모양(P6,P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P)의 직경은 필터여재에 가해지는 여과압력(또는 역세척 압력), 제1지지체의 기계적 강도, 피여과액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특정하지 않는다. 다만, 일예로 10 ~ 150㎜일 수 있으며, 만일 홀의 직경이 10㎜ 미만일 경우 홀을 통한 필터여재 내부에 걸리는 압력 최소화, 유로형성, 유체의 유동저항 감소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직경이 150㎜를 초과할 경우 더 큰 유량을 수득하기 유리할 수 있으나 제1지지체의 기계적 강도가 약화되고, 홀이 형성된 부분에 대면하는 제1여재 또는 제2여재가 지지 받지 못함에 따라서 여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홀(P)들은 직경이 모두 동일하거나 다수 개의 홀(P)중 일부와 상이한 직경을 갖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P)간 간격은 필터여재에 가해지는 여과압력(또는 역세척 압력), 제1지지체의 기계적 강도, 피여과액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일예로 10 ~ 20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홀(P)간 간격이란 홀의 외주에서 인접한 홀의 외주까지의 거리 중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홀(P)은 유체 유동저항을 감소시켜 향상된 유량을 수득하기 위하여 이형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도 3과 같이 홀(P3)은 홀의 내접원 직경(2r) 및 외접원 직경(2R)과의 비로 계산되는 특정한 값의 제1이형도 및/또는 홀의 외접원 원주길이와 홀의 둘레길이와의 비로 계산되는 특정한 값이 제2이형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00)는 통상적으로 분리막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그 형상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직물은 직물에 포함되는 섬유가 종횡의 방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조직은 평직, 능직 등일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편물은 공지의 니트조직일 수 있으며, 위편물, 경편물 등일 수 있고, 일예로 도 2b와 같이 제1지지체(202)는 원사(202a)가 경편성된 트리코트(Tricot)일 수 있다. 또한, 도 2a와 같이 제1지지체(201)는 섬유(201a)에 종횡의 방향성이 없는 부직포일 수 있고, 케미컬본딩 부직포, 써멀본딩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와 같은 공지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제1지지체가 부직포일 경우 공경, 기공율, 평량 등은 목적하는 수투과도, 여과효율, 기계적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00)는 분리막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재질인 경우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은 없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고분자 성분;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제1지지체가 브리틀한 물성이 강할 경우 제1지지체와 나노섬유웹인 여재 또는 후술하는 제2지지체를 합지시키는 공정에서 목적하는 수준의 결합력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이는 제1지지체가 필름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가 아니라 다공성을 형성하면서 표면이 거시적으로 울퉁불퉁한 형상일 수 있고, 부직포와 같이 섬유들로 형성된 표면은 섬유들의 배치, 섬유의 섬도 등에 따라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위치별 울퉁불퉁한 정도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합지되는 두 층간 계면에 밀착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한 채로 나머지 부분들이 접합될 경우 밀착되지 않은 부분으로 인해 층간 분리가 시작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층의 양방에서 압력을 가해 두 층의 밀착 정도를 높인 상태에서 합지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만일 브리틀한 물성이 강한 지지체의 경우 압력이 가해져도 두 층간 계면의 밀착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고, 더 큰 압력을 가할 경우 지지체가 파손될 수도 있어서 제1지지체의 재질은 유연성이 좋고, 신율가 높은 재질이 적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합되는 층과 우수한 밀착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1지지체(200)는 폴리올레핀계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체(200)는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층 없이도 여재(101,102)에 결속되기 위하여 저융점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체(201)가 부직포와 같은 원단일 경우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는 제1복합섬유(201a)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복합섬유(201a)는 지지성분 및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저융점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지지성분이 코어부를 형성하고, 저융점 성분이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시스부를 형성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나, 지지성분의 일측에 저융점 성분이 배치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복합섬유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성분 및 지지 성분은 상술한 것과 같이 지지체의 유연성 및 신율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일 수 있고, 일예로 지지성분은 폴리프로필렌, 저융점 성분은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성분의 융점은 60 ~ 1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00)의 두께가 2 ~ 8㎜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 5㎜일 수 있다. 두께가 2㎜ 미만일 경우 잦은 역세척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8㎜를 초과할 경우 필터여재가 후술하는 필터유닛으로 구현된 후 복수개의 필터유닛을 한정된 공간의 필터모듈로 구현할 때, 모듈의 단위 부피당 필터여재의 집적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체(200)는 상술한 것과 같은 두께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평량이 250 ~ 800 g/㎡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 600g/㎡일 수 있다. 만일 평량이 250 g/㎡인 경우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여재(또는 후술하는 제2지지체)와의 부착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만일 평량이 800 g/㎡를 초과할 경우 충분한 유로를 형성하지 못해 유량이 감소하며, 차압 증가로 인한 원활한 역세척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01)가 부직포와 같이 섬유(201a)로 형성된 경우 상기 섬유(201a)의 평균직경은 5 ~ 5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00)는 평균공경이 20 ~ 200 ㎛일 수 있으며, 기공도는 50 ~ 9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과공정 및/또는 역세척 공정에서 여재(101,102)를 지지하여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발현시킴과 동시에 높은 압력에도 유로를 원활히 형성시킬 수 있을 정도의 기공도 및 공경크기이면 제한이 없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1지지체(200)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여재(101) 및 제2여재(10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여재(101) 및 제2여재(102)는 수처리 분야에서 공지된 분리막의 경우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고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여재(101,102)는 제2지지체(121,122)를 더 구비하여 나노섬유웹(111,112)이 상기 제2지지체(121,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은 수처리 분야에서 공지된 나노섬유웹의 경우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은 한 가닥 또는 여러가닥의 나노섬유가 랜덤하게 3차원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도 10a 참조).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공지된 섬유형성성분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발현하기 위해 불소계 화합물을 섬유형성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처리수가 강산/강염기의 용액이거나 온도가 높은 용액일지라도 필터여재의 물성 변화 없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여과효율/유량을 확보 및 오랜 사용주기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나노섬유로 제조될 수 있는 공지된 불소계 화합물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EP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계,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CTFE)계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조 단가가 낮고 전기방사를 통하여 나노섬유의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가 섬유형성성분으로 PVDF를 포함할 경우 상기 PVDF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 1,00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000 ~ 600,0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는 평균직경이 0.05 ~ 1㎛이고, 종횡비는 1,000 ~ 100,0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에 구비된 나노섬유는 직경이 0.1 ~ 0.2 ㎛인 제1나노섬유군, 직경이 0.2 ~ 0.3㎛인 제2나노섬유군 및 직경이 0.3 ~ 0.4㎛인 제3나노섬유군을 나노섬유웹(111)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35 중량%, 53 중량%, 12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나노섬유웹(111,112)의 두께는 0.5 ~ 200㎛로 형성될 수 있고, 일예로 20㎛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의 기공도는 40 ~ 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0%일 수 있다. 또한, 평균공경은 0.1 ~ 5㎛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3㎛일 수 있고, 일예로, 0.25㎛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의 평량은 0.05 ~ 20 g/㎡일 수 있고, 일예로 10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하는 수투과도 및 여과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은 한층 이상으로 필터여재(10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이때 각 나노섬유웹의 기공도, 공경, 평량 및/또는 두께 등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노섬유웹(111,112)을 형성하는 나노섬유(111a,112a)는 친수성을 높이기 위해 개질된 것일 수 있고, 일예로, 상기 나노섬유(111a,112a) 외부면 적어도 일부에 친수성 코팅층(131,1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만일 나노섬유가 상술한 것과 같이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할 경우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소수성이 매우 강해 피여과액이 친수성 용액일 경우 유량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소수성의 나노섬유 표면에 친수성 코팅층을 더 구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친수성 코팅층은 공지된 것일 수 있고, 일예로 히드록시기를 구비하는 친수성고분자를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친수성고분자가 가교제를 통해 가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친수성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PVA), 에틸렌비닐알코올(Ethylenevinyl alcohol,EVOH),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상기 친수성고분자가 구비하는 히드록시기와 축합반응 등을 통하여 가교될 수 있는 관능기를 구비한 공지된 가교제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등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코팅층(131,132)은 보다 향상된 물성의 발현을 위하여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제가 가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중합도가 500 ~ 2000이고, 검화도가 85 ~ 90%인 것일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가 과도하게 낮을 경우 친수성 코팅층의 형성이 원활히 되지 않거나 형성되더라도 쉽게 벗겨질 수 있고, 친수도를 목적하는 수준까지 향상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중합도가 너무 클 경우 친수성 코팅층의 형성이 과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나노섬유웹의 기공구조가 변경되거나 기공을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검화도가 너무 낮을 경우 친수성 향상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술한 폴리비닐알코올과 가교될 수 있도록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성분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가교제는 폴리(아크릴산-말레산),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스티렌술폰산-말레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향상된 소수성의 나노섬유 표면에의 코팅성/접착성 및 나노섬유웹(111,112)의 기공구조의 변경이 없도록 매우 얇게 코팅되는 동시에 더욱 향상된 유량을 발현하기 위하여 상기 가교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가교제일 수 있다. 만일 가교제가 구비하는 카르복시기가 3개 미만일 경우 소수성인 나노섬유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기 어렵고, 형성되더라도 부착력이 매우 약해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일예로 카르복시기를 3개 이상 구비하는 가교제는 폴리(아크릴산-말레산)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코팅층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100 중량부에 대해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가교제가 2 ~ 20 중량부 가교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가교제가 2 중량부 미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친수성 코팅층의 형성성이 저하될 수 있고, 내화학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가교제가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구비되는 경우 코팅층으로 인해 기공이 줄어 유량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친수성 코팅층은 나노섬유의 외부면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친수성 코팅층은 나노섬유웹 단위면적(㎡)당 0.1 ~ 2g 포함되도록 나노섬유를 피복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친수성 코팅층을 구비하도록 개질된 나노섬유웹(111,112)쪽 표면의 젖음각은 30°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하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질상 소수성인 나노섬유로 구현된 섬유웹임에도 불구하고 향상된 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121,122)는 상술한 나노섬유웹(111,112)을 지지하고, 필터여재에 구비되는 각 층의 접합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제2지지체(121,122)는 통상적으로 필터여재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그 형상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직물은 직물에 포함되는 섬유가 종횡의 방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조직은 평직, 능직 등일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편물은 공지의 니트조직일 수 있으며, 위편물, 경편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포함되는 섬유에 종횡의 방향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고, 케미컬본딩 부직포, 써멀본딩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와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지지체(121,122)는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121,122)를 형성하는 섬유는 평균직경이 5 ~ 3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121,122)의 두께는 100 ~ 400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400㎛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 ~ 250㎛일 수 있고, 일예로 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121,122)는 평균공경이 20 ~ 100㎛일 수 있으며, 기공도는 50 ~ 9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나노섬유웹(111,122)을 지지하여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발현시킴과 동시에 나노섬유웹(111,122)을 통해 유입되는 여과액의 흐름을 저해시키지 않을 정도의 기공도, 및 공경크기이면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121,122)의 평량은 10 ~ 2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200 g/㎡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 ~ 80 g/㎡일 수 있고, 일예로, 40 g/㎡ 일 수 있다. 만일 평량이 10 g/㎡ 미만일 경우 후술하는 나노섬유웹(111,112)과 형성하는 계면에 분포하는 제2지지체를 형성하는 섬유의 양이 적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나노섬유웹과 접하는 제2지지체의 유효접착면적의 감소로 목적하는 수준의 결합력을 발현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웹을 지지할 수 있을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고, 제1지지체와의 부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만일 평량이 200 g/㎡을 초과할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유량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고, 차압이 증가하여 원활한 역세척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체(121,122)는 필터여재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재질인 경우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은 없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고분자 성분;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지지체(121,122)는 상술한 나노섬유웹(111,112) 및 제1지지체(200)와의 밀착력 향상을 위해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성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121,122)가 부직포와 같은 원단일 경우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는 제2복합섬유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복합섬유는 지지성분 및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저융점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지지성분이 코어부를 형성하고, 저융점 성분이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는 시스부를 형성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나, 지지성분의 일측에 저융점 성분이 배치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 복합섬유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성분 및 지지 성분은 상술한 것과 같이 지지체의 유연성 및 신율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일 수 있고, 일예로 지지성분은 폴리프로필렌, 저융점 성분은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성분의 융점은 60 ~ 180℃일 수 있다.
만일 상술한 제1지지체(130)가 상기 제2지지체(121,122)와 더욱 향상된 결합력을 발현하기 위하여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는 제1복합섬유로 구현될 경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 간 계면에 제1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 및 제2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들의 융착으로 인한 더욱 견고한 융착부(도 4a의 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복합섬유 및 제2복합섬유는 상용성 측면 및 층간 접합공정에서 가해지는 열/압력에 따른 나노섬유웹 등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접합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측면에서 동종의 재질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지지체(123,124)는 나노섬유웹(113,114) 및 제1지지체(205)에 각각 대향하는 외부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Q1,Q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체(123,124)에 구비된 홀(Q1,Q2)의 평균직경은 상기 제1지지체(205)에 구비된 홀(P')의 평균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123,124)에 구비되는 홀(Q1,Q2)은 상술한 제1지지체(200,201,202,203,204)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여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필터여재(1000)는 후술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은 도 4a 및 도 4b에 따른 필터여재(10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여재(1000)는 (1)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형상의 나노섬유웹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나노섬유웹에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을 처리하여 친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나노섬유웹을 포함하는 여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지지체의 양면에 제조된 여재를 구비시켜 필터여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1)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단계는 나노섬유웹을 형성시키는 단계로써, 나노섬유를 구비하여 3차원 네트워크 형상의 나노섬유웹을 형성시키는 방법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섬유웹은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제2지지체 상에 전기방사 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사용액은 섬유형성성분으로써, 일예로 불소계 화합물과,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방사용액에 5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8 ~ 20중량%로 포함됨이 좋고, 만일 불소계 화합물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섬유로 형성되기 어려우며, 방사 시 섬유상으로 방사되지 않고 액적상태로 분사되어 필름상을 형성하거나 방사가 이루어지더라도 비드가 많이 형성되고 용매의 휘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후술하는 캘린더링 공정에서 기공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불소계 화합물이 30 중량% 초과할 경우 점도가 상승하여 용액 표면에서 고화가 일어나 장시간 방사가 곤란하며, 섬유직경이 증가하여 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섬유상을 만들 수 없을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섬유형성성분인 불소계 화합물을 용해시키면서 침전물을 생성시키지 않고 후술하는 나노섬유의 방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γ-부티로락톤, 사이클로헥사논, 3-헥사논, 3-헵타논, 3-옥타논,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톤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아세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방사용액은 공지된 전기방사 장치 및 방법을 통해 나노섬유을 제조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전기방사 장치는 방사 노즐이 1개인 단일 방사팩을 구비한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하거나 양산성을 위하여 단일 방사팩 복수개로 구비하거나 노즐이 복수개인 방사팩을 구비한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전기방사 방식에 있어서 건식방사 또는 외부응고조를 구비하는 습식방사를 이용할 수 있고 방식에 따른 제한은 없다.
상기 전기방사장치에 교반시킨 방사용액을 투입시켜 콜렉터, 일예로 종이 상에 전기방사시킬 경우 나노섬유로 형성된 나노섬유웹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전기방사를 위한 구체적 조건은 일예로써, 방사팩의 노즐에 구비되는 에어분사노즐은 에어 분사의 에어압은 0.01 ~ 0.2 MPa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에어압이 0.01MPa 미만인 경우 포집, 집적에 기여를 하지 못하며, 0.2 MPa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노즐의 콘을 굳게 하여 니들을 막는 현상이 발생하여 방사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용액을 방사할 때, 노즐 당 방사용액의 주입속도는 10 ~ 30㎕/mi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의 팁과 콜렉터까지의 거리는 10 ~ 3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제2지지체 상에 나노섬유를 직접 전기방사 시킴으로써 나노섬유웹을 제2지지체상에 직접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체 상에 축적/수집된 나노섬유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목적하는 분리막의 수투과도, 여과효율을 발현하기에 적합한 기공율, 공경, 평량 등을 보유하기 위해 열 및/또는 압력이 축적/수집된 나노섬유에 더 가해짐으로써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이 예로써 통상의 캘린더링 공정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가해지는 열의 온도는 70 ~ 190℃일 수 있다. 또한, 캘린더링 공정을 수행할 경우 이를 몇 차로 나누어 복수 회 실시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1차 캘린더링을 통해 나노섬유에 잔존하는 용매와 수분을 일부 또는 전부 제거하기 위한 건조과정을 수행 후 기공조절 및 강도 향상을 위해 2차 캘린더링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각 캘린더링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 및/또는 압력의 정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제2지지체가 저융점 복합섬유로 구현된 것일 경우 상기 캘린더링 공정을 통하여 나노섬유웹과 제2지지체의 열융착을 통한 결속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지지체 및 나노섬유웹을 결속시키기 위해 별도의 핫멜트 파우더나 핫멜트 웹을 더 개재시킬 수도 있다. 이때 가해지는 열은 60 ~ 190℃일 수 있으며, 압력은 0.1 ~ 10 kgf/㎠로 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결속을 위하여 별도 더해지는 핫멜트 파우더와 같은 성분들은 흄(Hum)을 생성시키거나 지지체간, 지지체와 나노섬유간 합지공정에서 용융되어 기공을 폐쇄시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초도 설계된 필터여재의 유량을 달성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수처리과정에서 용해될 수 있어서 환경적으로 부정적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포함시키지 않고 제2지지체 및 나노섬유웹을 결속시키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2) 단계로써, 상기 나노섬유웹에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을 처리하여 친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여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는 나노섬유웹에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을 열처리하여 친수성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은 친수성 성분 및 가교성 성분을 포함할 수있고, 일예로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제 및 이들을 용해시키는 용매, 일예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2 ~ 20 중량부, 용매를 1,000 ~ 100,0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조된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가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할 경우 소수성이 강함에 따라서 상술한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을 처리하더라도 코팅층이 표면에 제대로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이 나노섬유 외부면에 잘 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은 젖음성 개선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젖음성 개선제는 소수성의 나노섬유 외부면의 친수성 용액에 대한 젖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에 용해될 수 있는 성분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젖음성 개선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및 메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성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젖음성 개선제는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에 구비되는 폴리비닐알코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0 ~ 100,0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젖음성 개선제가 1000 중량부 미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나노섬유의 젖음성 개선이 미약하여 친수성 코팅층의 형성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친수성 코팅층의 박리가 빈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젖음성 개선재가 100,0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젖음성 향상정도가 미미할 수 있고,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에 구비되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가교제의 농도가 낮아져 친수성 코팅층의 형성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에 젖음성 개선제를 구비시키지 않고, 상기 나노섬유웹에 젖음성 개선제를 전처리한 후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을 처리하여 친수성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다만, 젖음성 개선제를 기공에 담지한 상태의 나노섬유웹을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에 침지시 기공에 담지된 젖음성 개선제가 나노섬유웹에서 빠져 나오고, 동시에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이 상기 기공에 침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제조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의 침투정도가 나노섬유웹의 두께 및 기공의 직경에 따라 상이함에 따라서 친수성 코팅층이 섬유웹의 위치별로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친수성 코팅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서 나노섬유웹의 일부분에서는 기공이 친수성 코팅층으로 폐쇄될 수 있고, 이 경우 초도 설계된 나노섬유웹의 기공구조가 변화하게 됨에 따라서 목적하는 유량을 수득할 수 없을 수 있어서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에 젖음성 개선제를 구비시키는 것이 나노섬유웹의 기공구조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도 제조시간의 단축,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친수성 코팅층의 형성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시키기에 유리하다.
상술한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을 나노섬유웹에 형성시키는 방법은 공지된 코팅방법의 경우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침지, 스프레잉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나노섬유웹에 처리된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을 열처리 하여 친수성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를 통해 친수성 코팅층 형성조성물 중 용매의 건조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건조기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가해지는 열은 온도가 80 ~ 160℃일 수 있고, 처리시간은 1 분 ~ 60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3) 단계로써, 다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지지체의 양면에 제조된 여재를 구비시켜 필터여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 단계는 3-1)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지지체의 양면에 상술한 (2) 단계에서 제조된 여재를 적층시키는 단계; 및 3-2) 열 및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하여 적층된 제1지지체 및 여재를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3-2) 단계에서의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이 예로써 통상의 캘린더링 공정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가해지는 열의 온도는 70 ~ 190℃일 수 있다. 또한, 캘린더링 공정을 수행할 경우 이를 몇 차로 나누어 복수 회 실시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1차 캘린더링 후 2차 캘린더링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캘린더링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 및/또는 압력의 정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3-2) 단계를 통하여 여재의 제2지지체와 제1지지체간에 열융착을 통한 결속이 일어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층를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필터여재를 포함하여 구현된 필터유닛을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기 필터여재(1000)는 평판형 필터유닛(20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판형 필터유닛(2000)은 필터여재(1000) 및 상기 필터여재(100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0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100)의 어느 일영역에는 필터여재(1000)의 외부와 내부 간 압력차를 구배시킬 수 있는 흡입구(11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b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100)에는 여재(101,102)에서 여과된 여과액이 필터여재(1000) 내부의 제1지지체(200)를 거쳐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E)가 구비된다.
도 6a와 같은 필터모듈(2000)에 상기 흡입구(1110)를 통해 높은 압력의 흡입력을 가할 경우 도 6b와 같이 필터여재(1000)의 외부에 배치되는 피여과액(S)이 필터여재(1000)의 내부를 향하게 되고, 여재(101,102)를 거쳐 여과된 여과액(T1)은 제1지지체(200)를 통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흐른 뒤 외부프레임(1100)에 구비된 유로(E)로 유입된 후 유입된 여과액(T2)은 상기 흡입구(11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여재(1000)의 내부로 여과된 여과액(T1)은 제1지지체(200)에 형성된 홀(P)로 인하여 제2방향의 유로(R2)보다 더욱 증가된 제1방향의 유로(R1)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필터여재(1000) 내부의 유체 유동저항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더욱 증가된 유량을 수득하기에 유리할 수 있으며, 역세척 효율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도 5에 따른 필터여재(1000')가 구비될 경우 제2지지체(123,124)에 형성된 홀 및 제1지지체(205)에 형성된 홀(P')로 인하여 제2방향의 유로(R4) 및 제3방향(R5)보다 더욱 증가된 제4방향의 유로(R3)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터여재(1000') 내부의 유체 유동저항이 더욱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더욱 더 증가된 유량을 수득하기에 유리할 수 있으며, 역세척 효율도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6a와 같은 평판형 필터유닛(2000)은 복수개가 하나의 외부케이스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구비되는 필터모듈을 구현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필터모듈이 다시 복수개로 적층/블록화 하여 대형 수처리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1,103: 제1여재 102,104: 제2여재
111,112,113,114: 나노섬유웹 121,122,123,124: 제2지지체
131,132: 친수성 코팅층 200,201,202,203,204,205: 제1지지체
1000,1000': 필터여재 2000,2000': 필터유닛

Claims (19)

  1. 제1여재;
    제2여재; 및
    상기 제1여재 및 제2여재 사이에 개재되며, 다수의 기공 및 유로를 증가시키고 수투과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여재 및 제2여재에 각각 대향하는 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홀을 구비하는 제1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체는 지지성분 및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는 제1복합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제1복합섬유의 상기 저융점 성분을 통해 융착되어 제1여재, 제2여재 및 제1지지체가 일체화 되거나 또는
    상기 제1여재와 제1지지체 사이 및 제2여재와 제1지지체 사이 각각에 배치된 제2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체는 지지성분 및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는 제2복합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제2복합섬유의 상기 저융점 성분을 통해 융착되어 제1여재, 제2여재, 제2지지체 및 제1지지체가 일체화된 필터여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부직포, 직물 및 편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터여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평량은 250 ~ 800 g/㎡이고, 두께가 2 ~ 8㎜인 필터여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직경이 5 ~ 150㎜인 필터여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횡단면은 적어도 한 변이 선분을 포함하는 폐곡선 및 선분을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양을 갖는 필터여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재 및 제2여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여재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섬유웹을 포함하는 필터여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부직포, 직물 및 편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터여재.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은 불소계화합물을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불소계화합물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EPE)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계,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CTFE)계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필터여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은 평균공경이 0.1 ~ 5 ㎛이고, 기공도가 40 ~ 90 %인 필터여재.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은 나노섬유를 구비하며, 상기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은 50 ~ 450㎚인 필터여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의 평량은 35 ~ 80g/㎡이며, 두께는 150 ~ 250㎛인 필터여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나노섬유웹 및 제1지지체에 각각 대향하는 면을 관통하는 홀을 구비하는 필터여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에 구비된 홀의 평균직경은 상기 제1지지체에 구비된 홀의 평균직경보다 작은 필터여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여재는 한외여과막인 필터여재.
  18.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터여재; 및
    피처리수가 필터여재 내부를 향해 유입되어 여과된 여과액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여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유닛.
  19. 다수 개의 제18항에 따른 필터유닛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필터모듈.
KR1020160102292A 2016-08-11 2016-08-11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57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92A KR102576129B1 (ko) 2016-08-11 2016-08-11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92A KR102576129B1 (ko) 2016-08-11 2016-08-11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932A KR20180018932A (ko) 2018-02-22
KR102576129B1 true KR102576129B1 (ko) 2023-09-11

Family

ID=6138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292A KR102576129B1 (ko) 2016-08-11 2016-08-11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2604A (zh) * 2016-12-15 2019-07-30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过滤器滤材、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单元
US11839855B2 (en) 2017-06-09 2023-12-12 Amogreentech Co., Ltd. Filter mediu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ter unit including same
WO2019098701A1 (ko)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CN112892229A (zh) * 2021-01-27 2021-06-04 广州中国科学院先进技术研究所 一种病毒复合过滤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474A (ja) * 2008-05-19 2009-12-03 Moririn Kk フィルタ及びそれを用いた懸濁排水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40B1 (ko) 2007-07-16 2008-12-03 주식회사 에이엠오 PAN/PVdF 복합나노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35461A (ko) * 2008-04-15 2009-04-09 주식회사 디엠퓨어텍 수처리용 막 모듈
KR101572660B1 (ko) * 2013-12-31 2015-11-2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474A (ja) * 2008-05-19 2009-12-03 Moririn Kk フィルタ及びそれを用いた懸濁排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932A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19474B (zh) 过滤介质、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模块
CN109219475B (zh) 过滤器集合体、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模块
US11364470B2 (en) Filter mediu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KR102064358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390788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576129B1 (ko)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055725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576134B1 (ko)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064359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064920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063675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80069350A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80069340A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1386391B1 (ko) 백혈구 제거용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00732B1 (ko)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109454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119477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80069351A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2055723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20180064706A (ko)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