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058A -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058A
KR20190055058A KR1020197002067A KR20197002067A KR20190055058A KR 20190055058 A KR20190055058 A KR 20190055058A KR 1020197002067 A KR1020197002067 A KR 1020197002067A KR 20197002067 A KR20197002067 A KR 20197002067A KR 20190055058 A KR20190055058 A KR 20190055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maging module
magnet
modul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669B1 (ko
Inventor
요헤이 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03B19/07Roll-film cameras having more than one objectiv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3
    • H04N5/23251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듀얼 카메라의 소형화, 비용의 저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는, 코일부 및 마그넷부를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피구동부를 경사시켜 흔들림 보정을 행하고, 피구동부의 외주 측에서 베이스 부재에 코일부 및 마그넷부 중 어느 한쪽을 배치하여 형성되는 고정체와, 피구동부의 외주 측에서 베이스 부재 측의 면에 코일부 및 마그넷부 중 어느 다른 쪽을 배치하여 유지하는 틀 형상의 유지 부재를 갖는 가동체와,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며, 고정체에 대하여 가동체를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유지 부재는, 베이스 부재와는 반대 측의 면이고, 또한 코일부 및 마그넷부 중 어느 한쪽의 배치 부위보다 내측에, 피구동부로서의 제1 촬상 모듈과 제2 촬상 모듈이 탑재되는 탑재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본 발명은, 손 흔들림 보정용 액추에이터, 손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초점 맞춤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촬영 시에 발생하는 손 흔들림(진동)을 보정하여 화상의 흐트러짐을 경감시키는 손 흔들림 보정 기능(Optical Image Stabilization(OIS))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렌즈 구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오토 포커스용 렌즈 구동 장치는, 예를 들면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과, AF용 코일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과, 예를 들면 AF용 마그넷을 포함하는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하여 렌즈부 및 AF용 코일을 포함하는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예를 들면 판 스프링)를 구비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오토 포커스용 코일을 「AF용 코일」이라고 칭하고, 오토 포커스용 마그넷을 「AF용 마그넷」이라고 칭하며, 오토 포커스 고정부를 「AF 고정부」라고 칭하고,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AF 가동부」라고 칭한다. AF용 코일과 AF용 마그넷으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AF 고정부에 대하여 AF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초점 맞춤이 행해진다. 또한, AF 고정부가 AF용 코일을 포함하고, AF 가동부가 AF용 마그넷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 손 흔들림 보정의 방식으로서는, 촬상 모듈을 일체적으로 기울이는 모듈 틸트 방식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촬상 모듈이란, 렌즈부와 촬상 소자(예를 들면 Charge Coupled Device(CCD))를 갖는 모듈이며,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를 갖는 것도 포함된다.
이하에 있어서, 오토 포커스용 액추에이터를 「AF용 액추에이터」, 손 흔들림 보정용 액추에이터를 「OIS용 액추에이터」라고 칭한다.
도 1은, 종래의 모듈 틸트 방식의 카메라 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듈 틸트 방식의 카메라 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모듈 틸트 방식의 카메라 모듈(2)은, 고정체(21), 가동체(22), 탄성 지지부(23), 촬상 모듈(24), 및 흔들림 검출부(25)를 구비한다. 고정체(21), 가동체(22), 및 탄성 지지부(23)에 의하여, OIS용 액추에이터가 구성된다.
고정체(21)는, 베이스 부재(211), 코일부(212), 및 OIS용 프린트 배선 기판(213)을 갖는다. 코일부(212)는, 베이스 부재(211)에 배치된다. OIS용 프린트 배선 기판(213)은, 코일부(212)에 급전함과 함께, 흔들림 검출부(25)의 검출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가동체(22)는, 요크(221), 마그넷부(222), 탑 플레이트(223), 및 모듈 가이드(224)를 갖는다. 요크(221) 및 마그넷부(222)는, 탑 플레이트(223)에 형성된 각각의 수용부에 배치된다. 모듈 가이드(224)는, 탑 플레이트(223)에 고정된다. 1세트의 모듈 가이드(224)에 협지된 공간에 촬상 모듈(24)이 배치되고, 고정된다.
탄성 지지부(23)는 2축 짐벌 기구를 갖고, 외측 짐벌에 가동체(22)(탑 플레이트(223))가 고정된다. 탄성 지지부(23)는, 베이스 부재(211)의 대략 중앙에 부유한 상태로 배치되고, 스토퍼(231)에 의하여 고정된다. 탄성 지지부(23)는, 광축(Z축)에 직교하는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하여 가동체(22)를 요동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경사 가능하게 지지한다.
흔들림 검출부(25)는, 예를 들면 촬상 모듈(24)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로 구성된다. 흔들림 검출부(25)는, 가동체(22)의 모듈 가이드(224)의 측면에 고정된다. 흔들림 검출부(25)의 검출 신호는, 고정체(21)인 OIS용 프린트 배선 기판(213)을 통하여 제어부에 출력된다.
코일부(212) 및 마그넷부(222)에 의하여,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VCM)가 구성된다. 즉, 코일부(212)에 전류가 흐르면, 마그넷부(222)의 자계와 코일부(212)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코일부(212)에 로렌츠력이 발생한다(플레밍의 왼손 법칙). 코일부(212)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그넷부(222)에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된다. 가동체(22)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과 탄성 지지부(23)의 복원력(복귀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가 될 때까지 요동 회전한다. 이로써, 손 흔들림에 의한 광축의 어긋남이 보정되고, 광축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04253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0287호
최근에는, 복수(전형적으로는 2개)의 렌즈 구동 장치를 갖는 카메라 모듈, 이른바 듀얼 카메라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듀얼 카메라는, 초점 거리가 상이한 2매의 화상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거나, 정지(靜止) 화상과 동영상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거나 하는 등, 이용 씬에 따라 다양한 가능성을 갖는다.
특허문헌 1과 같은 모듈 틸트식의 카메라 모듈을 복수 이용하여, 듀얼 카메라로 하는 경우, 복수의 AF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마다, 각각에 대응하는 OIS용 액추에이터를 갖는 구동 장치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렌즈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듀얼 카메라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OIS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소형화가 저해되고, 듀얼 카메라 자체의 탑재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져, 제품화함에 있어서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나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손 흔들림이 없는 듀얼 카메라의 용도에 적합한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액추에이터는,
코일부 및 마그넷부를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피구동부를 경사시켜 흔들림 보정을 행하는 액추에이터로서,
베이스 부재를 갖고, 상기 피구동부의 외주 측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 중 어느 한쪽을 배치하여 형성되는 고정체와,
상기 피구동부의 외주 측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 측의 면에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 중 어느 다른 쪽을 배치하여 유지하는 틀 형상의 유지 부재를 갖는 가동체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체를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구동부는, 렌즈부 및 촬상 소자를 각각 갖는 제1 촬상 모듈과 제2 촬상 모듈이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는 반대 측의 면이고, 또한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 중 상기 어느 한쪽의 배치 부위보다 내측에,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제2 촬상 모듈이 탑재되는 탑재면부를 갖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상기의 액추에이터와, 상기 피구동부로서 상기 유지 부재에 접착되고, 렌즈부 및 촬상 소자를 각각 갖는 제1 촬상 모듈 및 제2 촬상 모듈과,
상기 촬상 모듈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출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 탑재 장치는, 정보 기기 또는 수송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상기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손 흔들림 보정 차가 없는 듀얼 카메라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듈 틸트 방식의 카메라 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듈 틸트 방식의 카메라 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커버 부분을 분리한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카메라 모듈의 Y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카메라 모듈의 X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탄성 지지부가 장착된 요크를 나타내는 가동부의 바닥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차재용 카메라를 탑재하는 자동차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B는, 동 차재용 카메라를 탑재하는 자동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액추에이터로서의 렌즈 구동 장치를 적용한 카메라 모듈(100)을 탑재하는 스마트폰(M)(카메라 탑재 장치)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스마트폰(M)의 정면도이며, 도 3B는 스마트폰(M)의 배면도이다.
스마트폰(M)은, 2개의 배면 카메라(OC1, OC2)로 이루어지는 듀얼 카메라를 갖는다. 듀얼 카메라의 쌍방의 배면 카메라(OC1, OC2)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카메라 모듈(100)이 적용된다.
카메라 모듈(100)은, 각각의 카메라(OC1, OC2)에 관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구비하고,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초점 맞춤을 자동적으로 행함과 함께, 촬영 시에 발생하는 손 흔들림(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여 상(像) 흔들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의 손 흔들림 보정 기능에는, 모듈 틸트 방식이 채용된다. 모듈 틸트 방식은, 화면 네 귀퉁이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4는, 카메라 모듈(1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카메라 모듈(100)에 있어서 커버 부분을 분리한 렌즈 구동 장치(1)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6은, 카메라 모듈(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카메라 모듈(100)의 X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카메라 모듈(100)의 Y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특히 보이스 코일 모터 부분의 자기 회로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0)은, 스마트폰(M)에서 실제로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 X방향이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 Y방향이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 Z방향(광축 방향을 포함함)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탑재된다.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은, 고정체(11), 가동체(12), 탄성 지지부(13), 복수의 촬상 모듈(14(14a, 14b)), 흔들림 검출부(15), 및 드라이버 IC(60) 등을 구비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를 구비해도 된다. 고정체(11), 가동체(12), 및 탄성 지지부(13)에 의하여, OIS용 액추에이터로서의 기능을 갖는 렌즈 구동 장치(1)가 구성된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는, 코일부(112) 및 마그넷부(122)를 갖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손 흔들림 보정이 행해진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복수의 촬상 모듈(14)로서 2개 이상의 촬상 모듈을 구비해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이라고 하는 2개의 촬상 모듈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로 한다.
고정체(11)는, 스마트폰(M)에 실장했을 때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체(11)는, 탄성 지지부(13)를 통하여 가동체(12)를 가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고정체(11)는, 코일부(112)와 함께 베이스 부재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11), 코일 기판(113), 스커트 부재(커버 부재)(114), 모듈 커버 부재(이하, 「상측 커버 부재」라고 함. 도 4 및 도 5 참조)(115), 플렉시블 커버 부재(116)(도 4 및 도 5 참조), 및 프린트 회로 기판(117)을 갖는다.
베이스판(111)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부재이다. 베이스판(111)을 금속제로 함으로써, 수지제인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가 높아지므로, 베이스판(111)을 얇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카메라 모듈(100)의 낮은 프로파일(low profile)화를 도모할 수 있다.
베이스판(111)은, 가동체(12)가 상방에 배치되는 영역의 중앙부에 탄성 지지부(13)를 고정하기 위한 각뿔대 형상의 돌출부(111a)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돌출부(111a)의 중앙 부분이, Z축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판(111)은, 돌출부(111a)의 주위에, 코일부(112)에 급전하기 위한 패드(pad) 형상의 급전부(111b)를 갖는다.
또, 베이스판(111) 상에 있어서, 가동체(12)가 상방에 배치되는 영역에, 코일 기판(113)이 배치된다. 이 코일 기판(113)의 중앙 개구로부터 돌출부(111a)가 상방으로 돌출된다. 베이스판(111)에는, 코일 기판(113)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되어, 상측 커버 부재(115)가 고정되는 스커트 부재(114)의 절결과 계합하여, 상측 커버 부재(115) 및 스커트 부재(114)를 고정할 때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돌출 변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 베이스판(111)의 일부 상에, 프린트 회로 기판(117)이 배치된다.
또한, 고정체(11)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에 있어서, 둘레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4변 중 직교하는 2변의 중앙 부분에는 오목 형상(U자 형상)의 절결부를 갖는 편부를 세워 마련하고, 이 오목 형상 내에 위치 어긋남 검출부로서의 홀 소자(16b)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홀 소자(16b)는 도 6에 가상적으로 나타내며, 다른 도에서는 생략한다.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를 마련한 경우,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는, 가동체(12) 즉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이동(회전 요동)을 센싱하여,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XY방향)의 가동체(12) 즉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위치를 비접촉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는, 가동체(12)의 회전 요동, 즉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자세를 센싱하여, X축 및 Y축에 대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를 마련하는 경우는, 코일 기판(113)에 실장하고, 코일 기판(113)의 배선 패턴을 통하여 접속 단자부(113d)에 접속한다.
코일 기판(113)은, OIS를 실현하기 위하여 렌즈 구동 장치(1)에 이용되는 전자 부품의 입출력 단자에 각각 접속된 회로를 갖는 기판이다.
코일 기판(113)은, 코일부(112)(및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에 접속된 배선을 갖는 직사각형상을 이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다. 또한, 코일 기판(113)의 배선은, 코일부(112)의 전원 라인, 및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를 갖고 있으면, 그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이다. 여기에서는, 코일 기판(113)은, 코일부(112)로서 틸트 코일(112A~112D)과,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로서의 2개의 홀 소자와, 이들에 접속된 계 12핀으로 구성되는 접속 단자부(113d)를 갖고 있다. 즉, 코일 기판(113)의 배선 패턴은, 틸트 코일(112A~112D)과, 홀 소자(16b)와, 접속 단자부(113d)를 접속하는 배선을 포함한다. 접속 단자부(113d)는, 직사각형상부분의 외주의 일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12핀 단자를 갖고, 12핀 단자란, 대향하는 틸트 코일(112A~112D)마다 입출력 단자가 2핀씩으로 계 4핀과, 홀 소자(16b)의 계 8핀을 합한 수의 단자이다.
코일 기판(113)은, 베이스판(111)의 일부(111d) 상에 재치한 상태로 고정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117) 상에 배치되고, 접속 단자부(113d)가 프린트 회로 기판(117) 상의 접속 단자부(117b)에 접속된다.
코일 기판(113)에서는, 코일부(112)로의 급전과 함께, 접속 단자부(113d)를 통하여 접속처로의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의 신호의 출력, 입력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를 마련한 경우, 그 검출 신호는, 접속 단자부(113d)가 프린트 회로 기판(117)의 접속 단자부(117b)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프린트 회로 기판(117)의 회로에 출력된다. 또한,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의 검출 신호는, 프린트 회로 기판(117)의 회로를 통하여, 제어부(도시 생략)에 출력된다.
코일부(112)는, 후술하는 마그넷부(122)와 함께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고, 이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을 한번에 경사시켜 흔들림 보정을 행한다.
코일부(112)는,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코일부(112)는, 4개의 틸트 코일(112A~112D)로 구성되며, 돌출부(111a)를 에워싸도록 베이스판(111) 상의 코일 기판(113) 상에 배치된다.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는, 코일의 권회축을, 베이스판(111)과 요크(유지 부재)(121)와의 대향 방향(여기에서는, Z방향과 평행인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에는, 코일 기판(113)의 급전부를 통하여 급전이 행해진다.
틸트 코일(112A, 112C)은 X방향으로 대향하고, 가동체(12)를, Y축을 중심으로 회전 요동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틸트 코일(112B, 112D)은 Y방향으로 대향하고, 가동체(12)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요동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스커트 부재(114)는, 4개의 벽체(114b)를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연결한 부재이며, 상면에 촬상 모듈(14a, 14b)의 수용구(114a)를 갖는다. 스커트 부재(114)의 각 벽체(114b)의 상부에서, 각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약간 돌출되고, 또한 수용구(114a)의 개구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틀 형상의 규제부(114d)가 마련되어 있다. 규제부(114d)는, 틀 형상 내, 즉 스커트 부재(114)의 수용구(114a)를 통하여, 스커트 부재(114) 내에 배치되는 가동체(12)(상세하게는 요크(121) 및 마그넷부(122))가 과잉으로 경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커트 부재(114)는, 코일 기판(113)이 적층되는 베이스판(111)에 탄성 지지부(13)를 통하여 가동체(12)가 장착된 후, 베이스판(111)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의 외측에 끼움으로써 고정된다. 베이스판(111)과 스커트 부재(114)의 사이에 가동체(12)가 가동 가능하게 협지되어 장착되게 된다.
상측 커버 부재(115)는, 상면의 덮개 부분에 복수의 개구(115a)를 갖는 덮개가 있는 직사각형 통 형상의 부재이다. 상측 커버 부재(115)는, 복수의 개구(115a)를 통하여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의 각 렌즈부(모듈의 본체(141)로서 도시)를 외부를 향하게 한다.
상측 커버 부재(115)는, 렌즈 구동 장치(1)에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이 탑재된 후, 스커트 부재(114)의 외측에 끼워, 베이스판(111)에 고정된다. 상측 커버 부재(115)의 일 측면에는, 촬상 모듈(14a, 14b)의 본체(141)로부터 도출되는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15b)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구(115b)는, 플렉시블 커버 부재(116)에 의하여 덮인다. 플렉시블 커버 부재(116)는,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에 있어서 스커트 부재(114)의 상면보다 높이 솟은 부분을, 가동체(12)의 가동 영역을 확보한 상태로 덮는다.
가동체(12)는, 고정체(11)에 대하여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요동 회전(각도 Xθ, Yθ로 회전)한다. 가동체(12)는, 요크(유지 부재)(121), 마그넷부(122) 및 한 쌍의 모듈 가이드(123a, 123b)를 갖는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촬상 모듈(14a, 14b)을 실장할 때, 요크(121)는, 촬상 모듈(14a, 14b)을 직접 나열하여 유지한다. 촬상 모듈(14a, 14b)은,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 혹은 수지제의 접착제 등에 의하여, 요크(121)의 상면에 접착된다. 여기에서는, 촬상 모듈(14a, 14b)은, 요크(121)의 중앙 부분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구성하는 단차면부(탑재면부)(121b) 상에 같은 모양으로 나열되어 고정된다. 단차면부(121b)에 의하여 요크(121)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 형상 내에 피구동부로서의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이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모듈 가이드와 같은 위치 결정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오목 형상의 내벽이 가이드가 되어, 요크(121)에 촬상 모듈(14a, 14b)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요크(121)는, 자성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 틀 형상의 부재이며, 직사각형 틀 형상의 요크 본체(유지부 본체)(121a)와, 요크 본체(121a)의 틀 형상 내측에 마련되고, 또한 재치되는 촬상 모듈(14)을 고정하는 평틀 형상의 단차면부(121b)와, 최하단의 제2 단차면부(짐벌 고정부)(121c)를 갖는다.
요크 본체(121a)는, 하면에 마그넷부(122)가 고정되는 4개의 평판을 직사각형상으로 연결한 평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크(121)는, 요크(121)의 상판 부분을 구성하는 요크 본체(121a)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부(구체적으로는, 요크 본체(121a)를 구성하는 각 평판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아래로 늘어지도록 형성된 외측 수하부(121d)를 갖는다. 또, 요크 본체(121a)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부(구체적으로는, 요크 본체(121a)를 구성하는 각 평판의 내측 가장자리부)에는, 당해 내측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외측 수하부(121d)와 Z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 수하부가 형성되어 있다.
요크(121)에 있어서, 내측 수하부가 단차를 형성하고, 이 내측 수하부에 의하여 요크 본체(121a)의 내주 측에는, 하방을 향하여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면부(탑재면부)(121b)가 형성된다. 또, 단차면부(121b)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이 단차면부(121b)보다 더 낮고 요크(121)의 중앙부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제2 단차면부(짐벌 고정부)(121c)가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크(121)의 1변의 단면 형상은, 베이스판(111) 측에 개구하는 오목 형상이며, 하방으로 중앙에서 개구하는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오목 형상 내의 바닥면이며 마그넷부(122)의 배치 부위인 요크 본체(121a)가, 단차면부(121b) 및 제2 단차면부(121c)보다 베이스판(111)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단차면부(121b)는, 평판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요크 본체(121a)의 내측에, 요크 본체(121a)보다 낮은 위치에서 접합된다. 그리고, 제2 단차면부(121c)는, 평판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단차면부(121b)의 내측에, 단차면부(121b)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접합되어 있다.
요크(121)에 있어서 움푹 파인 중앙 부분, 즉 요크 본체(121a)의 내측의 직사각형 평틀 형상의 단차면부(탑재면부)(121b) 상에,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이 나열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촬상 모듈(14)인 제1 촬상 모듈(14a)과 제2 촬상 모듈(14b)은, 단차면부(121b)의 상면(요크(121)의 상면의 일부)에, 각각의 바닥면이 양면 테이프 혹은 수지제의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모듈(14a, 14b)은,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 상에 고정되지만, 바닥면이, 요크 본체(121a)보다 높이 레벨이 낮은 위치에 위치하면, 어떻게 장착되어도 된다. 촬상 모듈(14a, 14b)을 제2 단차면부(121c) 상에 고정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 쌍의 모듈 가이드(123a, 123b)는, 요크(121)로부터 상방에 세워 마련된다. 모듈 가이드(123a, 123b)는,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에 있어서, Y방향에서 좌우로부터 협지하도록 각각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로써, 모듈 가이드(123a, 123b)는,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에 촬상 모듈(14a, 14b)을 재치하여 고정할 때의 가이드가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모듈 가이드(123a, 123b)도, 대향하는 각각의 촬상 모듈(14a, 14b)의 일 측면(Y방향에서 이간하는 측면)에, 접착제 등을 통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촬상 모듈(14a, 14b)이 가동체(12)에 정확하게 장착되게 되며, 신뢰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모듈 가이드(123a, 123b)는,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과 함께 스커트 부재(114)의 수용구(114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요크(121)에서는, 마그넷부(122)가 고정되는 요크 본체(121a)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단차면부(121b)에서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이 고정된다. 즉, 마그넷부(122)는, 단차면부(121b)보다 외주 측이고, 또한 단차면부(121b)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즉, 요크 본체(121a)는, 단차면부(121b) 및 제2 단차면부(121c)의 주위에서, 단차면부(121b)보다 베이스판(111)으로부터 Z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부(122)는, 틸트 코일(112A~112D)에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4개의 영구 자석(122A~122D)으로 구성된다. 영구 자석 대신에 전자석을 이용해도 된다. 영구 자석(122A~122D)의 크기는, 틸트 코일(112A~112D)의 내측에 수용되는 정도로 한다.
영구 자석(122A~122D)은, 요크(121) 각각의 평판의 하면에, 착자 방향이 Z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 영구 자석(122A~122D)은, 요크(121)의 외측 수하부(121d)와, 외측 수하부(121d)에 대향하는 내측 수하부의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에서는, 영구 자석(122A~122D)은, 내측 수하부와 외측 수하부(121d)에 의하여 단면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크 본체(121a)에 있어서, 내측 수하부와 외측 수하부(121d) 각각에 대하여 갭을 마련한 위치에서, 각각에 대향한다.
마그넷부(122)와 요크(121)(상세하게는 요크 본체(121))의 사이에 코일부(112)가 위치한다(도 7, 도 8 참조). 마그넷부(122)는, 코일부(112)의 권선의 권회축 상에 위치한다.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는, 요크(121) 및 베이스판(111)에 있어서, 코일부(112)의 중앙부를 촬상 모듈(14)의 접착 방향을 따라 개구시키고, 이 코일부(112)의 중앙부에 마그넷부(122)가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수하부(121d)와 영구 자석(122A~122D)의 사이, 및 내측 수하부와 영구 자석(122A~122D)의 사이에 틸트 코일(112A~112D)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코일부(112)의 주위는 요크(121)에 의하여 덮이므로,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에 의한 자계에 기인하여, 촬상 모듈(14a, 14b)의 본체(141)의 AF용 액추에이터가 악영향을 받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 즉 이들을 갖는 자기 회로부가, 촬상 모듈(14a, 14b)의 하단부와 단차면부(121b)의 외주 측(구체적으로는, XY방향 측)에 위치한다. 즉,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를 갖는 자기 회로부는, 촬상 모듈(14)의 하단부와 단차면부(121b)의 바로 밑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마그넷부(122)(영구 자석(122A~122D)) 및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는, Y방향에서 나열되는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하단부와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와의 XY방향의 외주 측에서, 베이스판(111)과 중첩되는 코일 기판(113) 상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지지부(13)는, 2축 짐벌 기구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부재(이른바 짐벌 스프링)로 구성된다. 도 9는, 탄성 지지부(13)의 설명을 위하여 제공하는 도이며, 탄성 지지부(13)가 장착된 요크(121)를 나타내는 가동체(12)의 바닥면도이다.
탄성 지지부(1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13a)와, 중앙부(13a)를 중심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틀 형상의 짐벌부(13b)와, Y축 연결부(13c)와 X축 연결부(13d)를 갖는다. 탄성 지지부(13)는, 요크(121)의 내측의 개구 내에 배치되고, 여기에서는, 요크(121)의 하면의 개구 가장자리에서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탄성 지지부(13)는, 요크(121)에 있어서 가장 낮은 높이 위치에 있는 제2 단차면부(121c)의 하면에 정상 상태일 때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다. 중앙부(13a)는, 요크(121)의 개구의 중앙에 배치된다. 중앙부(13a)와 짐벌부(13b)는 X축 방향으로 뻗는 X축 연결부(13d)에 의하여 연결되고, 짐벌부(13b)와 요크(121)의 하면은, Y축 방향으로 뻗는 Y축 연결부(13c)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로써, 요크(121)와 중앙부(13a)는 상대적으로, Y축 연결부(13c)를 포함하는 탄성 지지부(13)의 변형에 의하여, Y축 연결부(13c)를 중심으로 Y축 방향으로 회동(回動) 요동 가능함과 함께, X축 연결부(13d)를 포함하는 탄성 지지부(13)의 변형에 의하여, X축 연결부(13d)를 중심으로 X축 방향으로 회동 요동 가능하다. 또한, 도 9에서는, 탄성 지지부(13)인 짐벌을, 다른 구성 부재와 차별화하기 위하여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중앙부(13a)는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13a)가 요크(121)에 대하여, 중앙부(13a)를 둘러싸는 틀 형상의 짐벌부(13b)를 통하여 X축과 Y축을 중심으로 요동 회전 가능하다. 또한, 탄성 지지부(13)는, 짐벌부(13b)와 중앙부(13a)를 Y축 방향으로 뻗는 Y축 연결부(13c)에 의하여 연결하고, 짐벌부(13b)와 요크(121)를 X축 방향으로 뻗는 X축 연결부(13d)에 의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탄성 지지부(13)의 중앙부(13a)가, 베이스판(111)의 돌출부(111a) 상에 접착 또는 용접된다. 이로써, 탄성 지지부(13)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13a)로부터 외주 측의 부분은, 베이스판(1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소정 간격은, 탄성 지지부(13)가 가동하는 X방향, Y방향의 중심축 방향으로 회동할 때의 가동 범위가 된다. 또한, 복수의 촬상 모듈인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은, 중앙부(13a)의 중심으로부터 등간격으로 근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지지부(13)에서는, 중앙부(13a)에 X축 연결부(13d)를 통하여 짐벌부(13b)가 접속되고, 짐벌부(13b)는, Y축 방향으로 뻗는 Y축 연결부(13c)를 통하여,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 혹은 제2 단차면부(121c)의 하면의 평행한 한 쌍의 변부에 접착 또는 용접된다. 이로써, 가동체(12)는, 베이스판(111)(상세하게는, 코일 기판(113))의 대략 중앙에 부유한 상태로 배치되며, 광축과 직교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2 방향, 즉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회전 가능하게 된다.
탄성 지지부(13)는, 베이스판(111)에 접착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토퍼와 같은 계지 부재는 필요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이 상면에 접착된 단차면부(121b)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단차면부(121c)의 하면에, 탄성 지지부(13)가, Y축 연결부(13c)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탄성 지지부(13)와 촬상 모듈(14)이 Z방향으로 떨어진 길이는, 대략 단차면부(121b)의 두께분에 더하여, 제2 단차면부(121c)의 두께분이 된다. 이로써, 스커트 부재(114) 내에 있어서, 요크(121)의 회전 요동 영역을 확보하면서, 카메라 모듈(100) 자체의 Z방향의 길이의 단축화, 즉 카메라 모듈(100)의 낮은 프로파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촬상 모듈(14)은,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이다.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은, 각각 렌즈부, 촬상 소자, 및 AF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본체(141)와, 본체(141)에 접속되는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을 갖는다.
촬상 소자(도시 생략)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촬상 소자(도시 생략)는,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에 실장된다. 촬상 소자(도시 생략)는, 렌즈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한다. AF용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면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갖고,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렌즈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AF용 액추에이터에는,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은, 여기에서는,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에 의하여 구성된다.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은, AF용 액추에이터(2)의 코일부(도시 생략)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 라인(도시 생략),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용 신호 라인(도시 생략) 및 흔들림 검출부(15)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용 신호 라인(도시 생략)을 갖는다.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이 렌즈 구동 장치(1)에 촬상 모듈(14)을 탑재했을 때에,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의 도출부(143a)는, 스커트 부재(114)의 내측으로부터 스커트 부재(114)보다 높이 솟아, 상측 커버 부재(115)의 인출구(115b)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세하게는,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의 도출부(143a)는, 촬상 모듈(14a, 14b)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스커트 부재(114)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상방에서, 스커트부의 외측을 향하여 뻗도록 절곡되며, 상측 커버 부재(115)의 인출구(115b)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인출된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은, 단부 측 부분(143b)에서 고정체(11)의 프린트 회로 기판(117)의 커넥터(117a)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은, 가동체(12)에 마련된 구성이지만, 가요성
을 갖기 때문에, 가동체(12)의 가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143)을 도중에 분기시켜, 영상 신호용 신호 라인과 검출 신호용 신호 라인에 별개의 커넥터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흔들림 검출부(15)는, 카메라 모듈(100)이 탑재된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의 흔들림(움직임)을 검출한다. 흔들림 검출부(15)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100)(카메라 모듈(100)이 탑재된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로 구성된다. 흔들림 검출부(15)는, 적어도 광축O(Z축과 평행)에 대하여 직교하는 2축(X, Y) 방향의 흔들림을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XYZ의 3축 방향의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다.
흔들림 검출부(1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100)이 탑재된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의 흔들림(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가동체(12) 및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의 흔들림 각도를 검출한다. 검출한 흔들림 각도에 근거하여, 드라이버 IC(60)를 통하여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를 제어하고, 가동체(12)를 가동하여 흔들림 보정을 행한다.
흔들림 검출부(15)의 검출 신호는, 프린트 회로 기판(117)을 통하여 제어부(도시 생략)에 출력된다.
위치 어긋남 검출부(16)를 갖는 경우, 제어부(도시 생략)는, 이 검출 신호와, 위치 어긋남 검출부(16)(예를 들면, X축 및 Y축 각각에 있어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홀 소자)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드라이버 IC(60)를 통하여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도시 생략)의 기능은, 드라이버 IC(60)에서 실행시켜도 된다. 또, 프린트 회로 기판(117)을 통하여 스마트폰(M)에 실장되어 있는 제어부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흔들림 검출부(15)에서 검출한 카메라 모듈(100) 자체의 기울기를 검출함으로써, 흔들림 각도를 검출하고, 이 각도 상당의 검출 신호(홀 출력값)를,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를 갖고 있으면,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에서 검출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드라이버 IC(60)를 통하여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를 제어하며, 가동체(12)를 가동하여 흔들림 보정을 행한다.
드라이버 IC(60)는, 제어부(도시 생략)의 제어에 의하여 코일부(112)에 급전하여 가동체(12)를 가동, 즉 가동체(12)에 장착되는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을 구동하는 구동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흔들림 검출부(자이로 센서)(15)를,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의 측면에 마련하지 않고, 카메라 모듈(100)의 프린트 회로 기판(117) 상에 실장하고 있다. 흔들림 검출부(자이로 센서)(15)는, 손 흔들림 각도, 즉 카메라 모듈(100) 자체의 각도를, 가동체(12), 나아가서는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의 각도로서 검출하고, 제어부에 출력한다.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를 마련한 경우, 제어부에서는, 그 각도 상당의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인 홀 소자로부터의 출력(홀 출력값)을 얻도록, 드라이버 IC(60)를 통하여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를 제어하고, 가동체(12)를 가동(틸트)시켜, 흔들림을 보정한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기 회로부를 구성하는 코일부(112) 및 마그넷부(122)는, 가동 대상인 복수의 촬상 모듈(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을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넷부(122)(영구 자석(122A~122D)) 및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를 갖는 자기 회로부는, 촬상 모듈(14)의 하단부 및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에 대하여, XY방향의 외주 측에서, 베이스판(111) 상에 배치된다. 또, 마그넷부(122)는, 요크(121)에 탑재되는 가동체(12)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여기에서는, Z축 중심과 같은 위치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자기 회로부는, 촬상 모듈(14)의 하단부 및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에 XY방향에서, 자기 회로부의 일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의 한쪽(여기에서는, 마그넷부(122))이 X방향 및 Y방향에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자기 회로부에서는, 마그넷부(122)를 구성하는 영구 자석(122A~122D)은, 코일부(112)를 구성하는 틸트 코일(112A~112D)의 상방이고, 또한 틸트 코일(112A~112D) 내측에 일부를 삽입하여 위치된 상태로 배치한다. 이로써, 영구 자석(122A~122D)은, 각각 대응하는 틸트 코일(112A~112D)의 상방에서, 각 틸트 코일(112A~112D)의 권회축 방향(Z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는, 촬상 모듈(14)의 하단부 및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에 XY방향 외주 측에서, 자기 회로부의 일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를 갖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에 있어서, 코일부(112)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촬상 모듈(14)(가동체(12))은, 광축이 Z방향과 일치하는 중립 위치에 유지된다. 여기에서, 촬상 모듈(14)(가동체(12))이, 가동체(12)를 고정체(11)에 장착했을 때에, 자체 중량 처짐 등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경우, 위치 어긋남 검출부(16)에서 검출한 오프셋 위치를 보정하여, 광축을 Z방향과 일치하는 중립 위치에 위치시킨다.
코일부(112)에 전류가 흐르면, 마그넷부(122)의 자계와 코일부(112)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코일부(112)에 Z방향의 로렌츠력이 발생한다(플레밍의 왼손 법칙). 코일부(112)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체(12)인 마그넷부(122)에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X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틸트 코일(112A, 112C)에 서로 역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영구 자석(122A, 122C)에는 Z방향에 있어서 서로 역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촬상 모듈(14)을 포함하는 가동체(12)는, 탄성 지지부(13)의 중앙부(13a)를 지지점으로 하여, Y축을 중심으로 요동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Y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틸트 코일(112B, 112D)에 서로 역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촬상 모듈(14)을 포함하는 가동체(12)는, 탄성 지지부(13)의 중앙부(13a)를 지지점으로 하여, X축을 중심으로 요동 회전한다.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마그넷부(122)에 작용하는 힘)과, 탄성 지지부(13)의 복원력이 균형을 이룰 때까지, 가동체(12)는 요동 회전한다.
이때, 가동체(12)의 요동 회전에 의하여, 촬상 모듈(14)의 흔들림이 상쇄되도록, 흔들림 검출부(15)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가 제어된다. 이로써, 손 흔들림에 의한 광축의 어긋남이 보정되고, 광축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 스커트 부재(114)의 규제부(114d)에 의하여 가동체(12)의 요동 회전이 규제되므로, 낙하 충격 등에 의하여 가동체(12)가 과잉으로 요동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동체(12)의 단차면부(121b)의 상면(요크(121)의 상면의 일부)에, 촬상 모듈(14)의 바닥면이 양면 테이프 혹은 수지제의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단차면부(121b)의 외주 측에는, 요크 본체(121)의 내측 수하부를 통하여, 단차면부(121b)보다 베이스판(111)으로부터 Z방향으로 떨어진 위치, 즉 단차면부(121b)보다 높은 위치에, 요크(121)의 요크 본체(121a)가 결합되어 있다. 이 요크 본체(121a)의 하면에는, 마그넷부(122)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마그넷부(122)에 대하여 코일부(112)가, Z방향에서 이간하고, 또한 마그넷부(122)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를 갖는 자기 회로부는, 단차면부(121b)의 외주 측(XY방향에서의 외측), 바꾸어 말하면, 촬상 모듈(14)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는, 촬상 모듈(14)의 가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 마그넷부(122)는, 요크(121)에 있어서, 단차면부(121b)보다 높이 레벨이 높은 위치에 배치된 요크 본체(121a)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마그넷부(122)는, 촬상 모듈(14)이 고정되는 단차면부(121b)보다 외주 측이고, 또한 단차면부(121b)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마그넷부(122)(영구 자석(122A~122D)) 및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를 갖는 자기 회로부는, 촬상 모듈(14)의 하단부 혹은, 요크(121)의 단차면부(121b)의 XY방향의 외주 측이고, 베이스판(11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자기 회로부는, 높이(Z방향)가 제한되는 베이스판(111)과 촬상 모듈(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가동체(12)에 있어서, 요크(121)는, 요크 본체(121a)(구체적으로는 내측 수하부)와 단차면부(121b) 및 제2 단차면부(121c)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목 형상부를 중앙 부분에 갖고, 이 오목 형상부 내에 촬상 모듈(14)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를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렌즈 구동 장치(1)는, 피구동부인 복수(제1 및 제2)의 촬상 모듈(14a, 14b)을 경사시켜 흔들림 보정을 행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렌즈 구동 장치(1)는, 고정체(11), 가동체(12), 지지부(탄성 지지부(13))를 갖는다. 고정체(11)는, 베이스판(111)을 갖고, 피구동부(14a, 14b)의 외주 측에서 베이스 부재(베이스판(111), 코일 기판(113))에 코일부(112) 및 마그넷부(122) 중 어느 한쪽을 배치하여 형성된다. 가동체(12)는, 피구동부(14a, 14b)의 외주 측에서 베이스 부재 측의 면에 코일부(112) 및 마그넷부(122) 중 어느 다른 쪽을 배치하여 유지하는 틀 형상의 유지 부재(요크(121))를 갖는다. 지지부(탄성 지지부(13))는,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고, 고정체(11)에 대하여 가동체(12)를 경사 가능하게 지지한다. 피구동부(14a, 14b)는, 렌즈부 및 촬상 소자를 각각 갖는 제1 촬상 모듈(14a)과 제2 촬상 모듈(14b)이다. 유지 부재(요크(121))는, 베이스 부재와는 반대 측의 면이고, 또한 코일부(112) 및 마그넷부(122) 중 어느 한쪽의 배치 부위보다 내측에, 제1 촬상 모듈(14a)과 제2 촬상 모듈(14b)이 나열되어 탑재되는 탑재면부(121b)를 갖는다. 또, 요크(유지 부재)(121)는,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재치 부위(탑재면부(121b))를 코일부(112) 및 마그넷부(122) 중 어느 한쪽의 배치 부위(요크 본체(121a))보다 베이스 부재에 근접시키는 단차를 갖는다.
이 렌즈 구동 장치(1)에 의하면, 복수의 촬상 모듈(여기에서는, AF기능을 구비한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을 요크(121)에 한번에 탑재하여, 하나의 OIS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이 탑재되는 듀얼 카메라로 해도, 하나의 OIS 액추에이터 기구로 손 흔들림 보정을 행할 수 있어, 제1 촬상 모듈(14a) 및 제2 촬상 모듈(14b)마다 대응하는 OIS 액추에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듀얼 카메라 자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렌즈 구동 장치(1)는, 베이스판(111) 및 베이스판(11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틀 형상의 스커트 부재(114)를 갖는다. 가동체(12)는, 베이스판(111)과 스커트 부재(114)의 사이에 협지되어 장착된다. 렌즈 구동 장치(1)에 의하면,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 개수가 적어지므로, 추가적인 낮은 프로파일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공정이 용이해진다. 또, 오토 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 모듈(14)을 요크(121)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카메라 모듈(100)이 완성된다.
또, 렌즈 구동 장치(1)는, OIS손 흔들림 보정을 행하는 경우, 요크(121) 자체의 자세, 즉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행한다. 이로써, 렌즈 구동 장치(1)가 손 흔들림 보정을 행하는 경우,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각도를 한번에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서로의 초점 거리가 달라도, 컴팩트화된 구성으로, 각각의 촬상 모듈(14a, 14b)을 동일한 보정량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 모듈(14a, 14b)이 AF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각각에 대하여 손 흔들림 보정 차가 없는 적합한 손 흔들림 보정을 행할 수 있는 컴팩트화된 렌즈 구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 장치(1)에 의하면, 요크(121)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재치 부위를 코일부(112) 또는 마그넷부(122)의 배치 부위보다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낮은 프로파일화를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자기 회로부의 높이, 즉 코일부(112)와 마그넷부(122)와의 길이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자기 효율의 감소, 이에 따른 소비 전력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즉, 자기 회로부의 구성에 필요한 높이 스페이스를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외주 공간을 이용하여 확보할 수 있고, 자기 회로부 자체의 구성을, 높이 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의 권회 수를 늘려 높이(Z방향의 길이)를 높게 하거나, 마그넷부(122)(영구 자석(122A~122D))의 Z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자력을 크게 할 수 있고, 자기 효율의 증가나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는,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의 코일의 권회축을, 베이스판(111)과 유지 부재(요크)(121)와의 대향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마그넷부(122)(영구 자석(122A~122D))는, 코일부(112)(틸트 코일(112A~112D))의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코일부(112) 및 마그넷부(122)를, 외주 측(XY방향)으로 크게 하지 않고, 높이 방향(Z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렌즈 구동 장치(1)에 있어서의 자기 회로 자체의 배치 스페이스를 크게 하지 않고, 자기 회로부 자체의 구성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로서 홀 소자를 마련한 경우, 마그넷부(122) 및 코일부(112) 간의 누설 자속을 검출함으로써, 요크(121)의 기울기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촬상 모듈(14)의 X축 방향, Y축 방향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비구동 시에 있어서의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자체 중량에 의한 오프셋(자체 중량 처짐), 혹은 가동체(12)가 고정체(11)에 장착되었을 때의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FPC의 반력에 의한 오프셋을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 모듈(100)은, 위치 어긋남 검출부(16)를 이용하여,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의 오프셋 위치를 검출하여 보정함으로써, 기동 시에, 복수의 촬상 모듈(14a, 14b)을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제어부(도시 생략)는, 흔들림 검출부(15)의 검출 신호에 상당하는 카메라 모듈(100) 자체의 흔들림(각도 흔들림)을 보정할 때, 위치 어긋남 검출부(16b)를 마련하고 있으면, 그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가동체(12) 및 촬상 모듈(14)이 기준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를 제어(이른바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지지부(지지부)(13)는, 탄성 변형에 의하여 고정체(11)에 대하여 가동체(12)를 경사 가능하게 지지한다. 틀 형상의 유지 부재(요크)(121)는, 촬상 모듈(14a, 14b)이 탑재되는 틀 형상의 단차면부(탑재면부)(121b)와, 단차면부(121b)의 내측에 배치되고, 단차면부(121b)보다 낮은 단차면에서 탄성 지지부(13)가 장착되는 제2 단차면부(짐벌 고정부)(121c)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요크(121)의 제2 단차면부(121c)가, 단차면부(121b)보다 1단 낮게 형성되고, 1단 낮게 형성되는 단차의 분만큼 촬상 모듈(14a, 14b)과 탄성 지지부(13)와의 이간 거리가 크게 되어 있다. 즉, 촬상 모듈(14a, 14b)의 바닥부는, 짐벌인 탄성 지지부(13)로부터 미리 이간한 위치에 위치한다. 이로써, 촬상 모듈(14a, 14b)이 단차면부(121b)에 고정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체(12)가 X축을 중심으로 비틀리도록 가동하여 요동하는 경우에도, 촬상 모듈(14a, 14b)이 탄성 지지부(13)로서의 짐벌 스프링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촬상 모듈(14)이 제2 단차면부(짐벌 고정부)(121c)에 고정되는 구성의 카메라 모듈과 비교하여, 가동체(12)의 가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Y축을 중심으로 가동체(12)를 요동 회전시키는 보이스 코일 모터로서, 틸트 코일(112A), 영구 자석(122A) 및 틸트 코일(112C), 영구 자석(122C)의 2세트를 배치하고, X축을 중심으로 가동체(12)를 요동 회전시키는 보이스 코일 모터로서, 틸트 코일(112B), 영구 자석(122B) 및 틸트 코일(112D), 영구 자석(122D)의 2세트를 배치하고 있지만, 각각 적어도 1세트가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 흔들림 검출부(15)로서는, 자이로 센서 외에, 포토 리플렉터, 자기 센서, 코일에 의한 인덕턴스 검출, 왜곡 센서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가동체에 검출 소자(예를 들면 포토 리플렉터의 수광 소자, 자기 센서의 홀 소자 등)가 배치되는 경우는, 촬상 모듈의 프린트 배선 기판을 통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렌즈 구동 장치(1)를 구성하는 각 부품은,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특히 마그넷부(122)). 이로써, 리플로 방식에 의한 납땜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노이즈 대책으로서, 카메라 모듈(100)의 외측에 도전성의 쉴드 케이스를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100)을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로서, 카메라 장착 휴대 단말인 스마트폰을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정보 기기 또는 수송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단말, 휴대형 게임기, 웹 카메라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자동차 또는 카메라 장착 차재 장치(예를 들면, 백 모니터 장치, 드라이브 레코더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차재용 카메라 모듈(Vehicle Camera(VC))을 탑재하는 자동차(V)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A는 자동차(V)의 정면도이며, 도 10B는 자동차(V)의 후방 사시도이다. 자동차(V)는, 예를 들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로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100)을 탑재한다. 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백 모니터용, 드라이브 레코더용, 충돌 회피 제어용, 자동 운전 제어용 등으로서 사용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016년 7월 29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150294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손 흔들림 보정 차가 없는 듀얼 카메라를 실현하는 효과를 갖고,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정보 기기나, 자동차 등의 수송 기기, 카메라 장착 차재 장치 등에도 적용되는 장치로서 유용하다.
1 렌즈 구동 장치(액추에이터)
11 고정체
12 가동체
13 탄성 지지부(지지부)
13a 중앙부
13b 짐벌부
13c Y축 연결부
13d X축 연결부
14 촬상 모듈(피구동부)
14a 제1 촬상 모듈(피구동부)
14b 제2 촬상 모듈(피구동부)
15 흔들림 검출부
60 드라이버 IC
100 카메라 모듈
111 베이스판
111a 돌출부
112 코일부
112A, 112B, 112C, 112D 틸트 코일
113 코일 기판
114 스커트 부재(커버 부재)
114a 수용구
114b 벽체
114d 규제부
115 상측 커버 부재
115a 개구
121 요크(유지 부재)
121a 요크 본체(유지부 본체)
121b 단차면부(탑재면부)
121c 제2 단차면부
121d 외측 수하부
122 마그넷부
122A, 122B, 122C, 122D 영구 자석
123a, 123b 모듈 가이드
141 본체
143 촬상 모듈용 프린트 배선 기판

Claims (12)

  1. 코일부 및 마그넷부를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피구동부를 경사시켜 흔들림 보정을 행하는 액추에이터로서,
    베이스 부재를 갖고, 상기 피구동부의 외주 측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 중 어느 한쪽을 배치하여 형성되는 고정체와,
    상기 피구동부의 외주 측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 측의 면에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 중 어느 다른 쪽을 배치하여 유지하는 틀 형상의 유지 부재를 갖는 가동체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체를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구동부는, 렌즈부 및 촬상 소자를 각각 갖는 제1 촬상 모듈과 제2 촬상 모듈이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는 반대 측의 면이고, 또한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 중 상기 어느 한쪽의 배치 부위보다 내측에,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제2 촬상 모듈이 탑재되는 탑재면부를 갖는,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탑재면부를,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 중 상기 어느 한쪽의 배치 부위보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근접시키는 단차를 갖는, 액추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요크인, 액추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 상기 마그넷부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코일부가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부는,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상기 제2 촬상 모듈의 바닥면이 고착되는 평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틀 형상의 상기 탑재면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주 측에 마련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 개구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 형상 내의 바닥면이, 상기 탑재면부보다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유지부 본체를 갖고,
    상기 유지부 본체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 중 상기 어느 한쪽을 고정하여 유지하는, 액추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직교하는 2개의 회전축을 갖는 2축 짐벌 기구를 갖는 탄성 지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상기 2개의 회전축이 상기 제1 및 제2 촬상 모듈의 광축 방향에 직교하도록 상기 유지 부재의 내측의 개구 내에 배치되며, 짐벌 부분으로부터 한쪽의 축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유지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짐벌 부분으로부터 다른 축을 따라 뻗는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중앙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촬상 모듈과 상기 제2 촬상 모듈은,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등간격으로 근접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틀 형상의 커버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가동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사이에 협지되어 장착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코일부의 코일의 권회축을,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와의 대향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코일부의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10. 제1항에 기재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피구동부로서 상기 유지 부재에 접착되고, 렌즈부 및 촬상 소자를 각각 갖는 제1 촬상 모듈 및 제2 촬상 모듈과,
    상기 촬상 모듈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출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모듈 및 제2 촬상 모듈 중 적어도 한쪽은,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12. 정보 기기 또는 수송 기기인 카메라 탑재 장치로서,
    제10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0197002067A 2016-07-29 2017-07-27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354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0294A JP6792145B2 (ja) 2016-07-29 2016-07-29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JP-P-2016-150294 2016-07-29
PCT/JP2017/027261 WO2018021479A1 (ja) 2016-07-29 2017-07-27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058A true KR20190055058A (ko) 2019-05-22
KR102354669B1 KR102354669B1 (ko) 2022-01-24

Family

ID=6101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067A KR102354669B1 (ko) 2016-07-29 2017-07-27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44909B2 (ko)
EP (1) EP3492974A4 (ko)
JP (1) JP6792145B2 (ko)
KR (1) KR102354669B1 (ko)
CN (1) CN109564373B (ko)
TW (1) TWI743154B (ko)
WO (1) WO20180214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78A1 (ko) * 2019-12-24 2021-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US11968454B2 (en) 2019-12-24 2024-04-23 Lg Innotek Co., Ltd. Sensor driv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0136A4 (en) * 2018-08-07 2021-10-06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FORM MEMORY ALLOY (SMA) DRIVING DEVICE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DRIVING PROCESS AND WIRING PROCESS
JP2020036062A (ja) * 2018-08-27 2020-03-05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子機器用基板、携帯端末及び電子機器用基板の設計方法
CN111064866A (zh) * 2018-10-16 2020-04-24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US11867925B2 (en) * 2019-08-30 2024-01-09 Tdk Taiwan Corp. Driving mechanism for optical element
JP7108589B2 (ja) * 2019-11-13 2022-07-28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473415B1 (ko) * 2020-03-19 2022-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237914B2 (ja) * 2020-12-21 2023-03-13 ジョウシュウシ レイテック オプ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撮像装置用防振機構、光学系、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7137610B2 (ja) * 2020-12-21 2022-09-14 ジョウシュウシ レイテック オプ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撮像装置用防振機構、光学系、カメラ及び電子機器
CN116546299B (zh) * 2023-07-04 2024-04-1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2837A (ja) * 2011-01-05 2012-07-26 Jvc Kenwood Corp 複眼撮像装置、及び複眼撮像装置の手振れ補正方法
JP2014010287A (ja) 2012-06-29 2014-01-20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5146022A (ja) * 2009-08-21 2015-08-1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
JP2016004253A (ja) 2014-06-19 2016-01-12 岩谷産業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WO2016051871A1 (ja) * 2014-09-30 2016-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多眼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情報端末装置
JP2016122055A (ja) * 2014-12-24 2016-07-0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5947B (fi) * 2004-02-25 2005-08-15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elektronisessa laitteessa kuvainformaation muodostamiseksi sekä ohjelmatuote menetelmän toteuttamiseksi
JP2007033624A (ja) 2005-07-25 2007-02-08 Fujinon Corp 立体カメラ用レンズシステム
US8089694B2 (en) * 2007-08-24 2012-0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ptical device stabilizer
US8212880B2 (en) * 2007-12-20 2012-07-03 Utah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Three-axis image stabilization system
JP4626780B2 (ja) * 2008-09-25 2011-02-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CN101833157A (zh) * 2009-03-13 2010-09-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JP2011071712A (ja) * 2009-09-25 2011-04-07 Casio Computer Co Ltd 立体撮像装置及び立体撮像方法
US8730338B2 (en) * 2009-12-01 2014-05-20 Nokia Corporation Set of camera modules hinged on a body and functionally connected to a single actuator
WO2011155809A2 (ko) * 2010-06-11 2011-12-15 (주)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엑츄에이터 및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TWI537670B (zh) * 2011-12-13 2016-06-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雙鏡頭拍攝裝置
EP2802937B1 (en) * 2012-01-12 2016-07-20 Corephotonics Ltd. Electromagnetic actuators for digital cameras
US9494769B2 (en) * 2013-09-12 2016-11-15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ulti-lens imaging module and actuator with auto-focus adjustment
CN203745777U (zh) * 2014-01-10 2014-07-30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阵列式镜头装置
CN105024516B (zh) * 2014-04-30 2017-12-01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音圈马达阵列模块
US9392188B2 (en) * 2014-08-10 2016-07-12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US9843706B2 (en) * 2014-10-31 2017-12-12 Everready Precision Ind. Corp. Optical apparatus
US9681052B1 (en) * 2015-01-16 2017-06-13 Google Inc. Multi-aperture camera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US9781345B1 (en) * 2015-02-13 2017-10-03 Apple Inc. Dual camera magnet arrangement
US9977226B2 (en) * 2015-03-18 2018-05-22 Gopro, Inc. Unibody dual-lens mount for a spherical camera
CN105187695A (zh) * 2015-07-21 2015-12-23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双摄像头模组及摄像装置
US10264188B2 (en) * 2015-09-30 2019-04-16 Apple Inc. Mobile zoom using multipl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ameras
US10063783B2 (en) * 2015-09-30 2018-08-28 Apple Inc. Mobile zoom using multipl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ameras
US9774787B2 (en) * 2015-09-30 2017-09-26 Apple Inc. Mobile zoom using multipl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amera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6022A (ja) * 2009-08-21 2015-08-1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
JP2012142837A (ja) * 2011-01-05 2012-07-26 Jvc Kenwood Corp 複眼撮像装置、及び複眼撮像装置の手振れ補正方法
JP2014010287A (ja) 2012-06-29 2014-01-20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6004253A (ja) 2014-06-19 2016-01-12 岩谷産業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WO2016051871A1 (ja) * 2014-09-30 2016-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多眼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情報端末装置
JP2016122055A (ja) * 2014-12-24 2016-07-0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78A1 (ko) * 2019-12-24 2021-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CN115152199A (zh) * 2019-12-24 2022-10-04 Lg伊诺特有限公司 传感器驱动装置
CN115152199B (zh) * 2019-12-24 2023-09-08 Lg伊诺特有限公司 传感器驱动装置
US11968454B2 (en) 2019-12-24 2024-04-23 Lg Innotek Co., Ltd. Sensor dr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43154B (zh) 2021-10-21
JP6792145B2 (ja) 2020-11-25
EP3492974A4 (en) 2020-02-19
CN109564373B (zh) 2021-06-25
JP2018018022A (ja) 2018-02-01
EP3492974A1 (en) 2019-06-05
CN109564373A (zh) 2019-04-02
TW201805711A (zh) 2018-02-16
US10944909B2 (en) 2021-03-09
US20210006720A1 (en) 2021-01-07
KR102354669B1 (ko) 2022-01-24
WO2018021479A1 (ja)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7628B2 (ja)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6194345A1 (ja)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292067B1 (ko)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KR20190055058A (ko)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JP6617633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TWI723073B (zh) 透鏡驅動裝置、相機模組及相機搭載裝置
JP6449201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6492976B2 (ja)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13168071B (zh) 摄像机用致动器、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JP2017015772A (ja)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6208156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