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485A -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485A
KR20190054485A KR1020170150809A KR20170150809A KR20190054485A KR 20190054485 A KR20190054485 A KR 20190054485A KR 1020170150809 A KR1020170150809 A KR 1020170150809A KR 20170150809 A KR20170150809 A KR 20170150809A KR 20190054485 A KR20190054485 A KR 2019005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ide contact
base
base member
hand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031B1 (ko
Inventor
정봉원
조정형
Original Assignee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락스(주 ) filed Critical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to KR102017015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31B1/ko
Priority to US16/185,216 priority patent/US11306520B2/en
Priority to CN201821863551.0U priority patent/CN209469174U/zh
Publication of KR2019005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05C1/1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fl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1Lever operator, fl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핸들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걸리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핸들 부재(22)는, 베이스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요동 부재(24)는, 베이스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핸들 부재(22)의 파지부(36)는, 파지될 때에 베이스 부재(20)에 수납된 제1 위치로부터 핸들 부재(22)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부재(20)로부터 나온 제2 위치를 취한다. 핸들측 접촉부(42)는 파지부(36)가 들어올렸을 때 핸들 부재(22)에 접촉한다. 베이스측 접촉부(44)는, 핸들측 접촉부(42)가 핸들 부재(22)에 맞닿아 하중을 받음으로써 베이스 부재(20)에 맞닿아 하중을 받는다.

Description

핸들 장치{Handle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뒷부분에 설치된 트렁크에는, 트렁크 아래에 설치한 스페어 타이어나 작은 물건이 들어가는 수용고의 뚜껑으로서, 그리고 트렁크의 바닥으로서 평판 형태의 보드가 설치된다. 이 보드에는 핸들 장치가 설치되어, 수용고를 열 때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보드와 함께 들어올려진다.
특허 문헌 1에는, 오목한 형상의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부재와, 핸들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축과,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 자동차 실내용 핸들 장치가 개시된다. 핸들 부재는 미사용시에 베이스 부재에 수용되어 있으며, 사용시에 회전되어 세워지고, 핸들 부재의 기부(基部)의 가장자리가 베이스 부재의 바닥에 닿아 핸들 부재의 회전이 방지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9-262847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핸들 부재를 세워서 사용자가 들어올릴 때, 핸들 부재의 인장 하중은 핸들 부재의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와 지지축에서 받지만 하중을 보다 분산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핸들 부재를 들어올릴 때 걸리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태의 핸들 장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핸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요동 부재를 구비한다. 핸들 부재는, 파지될 때 베이스 부재에 수납된 제1 위치로부터 핸들 부재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부재로부터 나온 제2 위치를 취하는 파지부를 갖는다. 요동 부재는, 파지부가 들어 올려졌을 때 핸들 부재에 맞닿는 핸들측 접촉부와, 핸들측 접촉부가 핸들 부재에 맞닿아 하중을 받음으로써 베이스 부재에 맞닿아 하중을 받는 베이스측 접촉부와, 베이스 부재에 축지지되고, 핸들측 접촉부와 베이스측 접촉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부를 갖는다. 핸들측 접촉부가 베이스 부재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베이스측 접촉부가 베이스 부재의 바닥부에 접근하도록 회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걸리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핸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핸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핸들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핸들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요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핸들 장치의 단면도이며, 제2 연장부 및 수용부의 걸어 맞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핸들 장치의 단면도이며, 제1 연장부 및 핸들측 접촉부의 걸어 맞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핸들 장치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제2 연장부 및 수용부를 지나는 핸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연장부 및 핸들측 접촉부를 지나는 핸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실시예의 핸들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핸들 부재(22)를 수용한 상태의 핸들 장치(10)를 나타내고, 도 1(b)는 핸들 부재(22)를 세운 상태 의 핸들 장치(10)를 나타낸다.
핸들 장치(10)는, 예를 들어, 차량 후방의 트렁크에 배치되는 보드에 설치된다. 보드에는, 핸들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보드 아래에는 수납 공간이 마련되고, 사용자는, 핸들 장치(10)를 파지하고 보드를 들어올려서, 보드 아래의 수납 공간을 연다.
핸들 장치(10)는 차량의 운전시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보드가 열리거나, 어긋나거나 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 기능이 있다. 핸들 장치(10)는 차체측의 피 잠금부에 락킹하여 보드를 닫힌 상태로 고정한다.
도 2는, 핸들 장치(10)의 분해도이다. 핸들 장치(10)는, 베이스 부재(20), 핸들 부재(22), 요동 부재(24), 잠금 부재(26), 커버 부재(28) 및 스프링 부재(30)를 구비한다.
핸들 부재(22)는, 베이스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도 1(a)에 나타낸 미사용시에 베이스 부재(20)에 수용되고, 도 1(b)에 나타내는 사용시에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세워진 상태를 취한다. 핸들 부재(22)가 베이스 부재(20)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세워진 상태가 되는 회전을 열림 방향의 회전이라 하고, 세워진 상태로부터 수용된 상태가 되는 회전을 닫힘 방향의 회전이라 한다. 핸들 부재(22)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핸들 부재(22)의 사시도이다. 핸들 부재(22)는, 핸들 회전축(32), 제1 연장부(33), 제2 연장부(34), 제3 연장부(35), 파지부(36), 슬릿(38) 및 결합 부(39)를 갖는다.
핸들 회전축(32)은, 핸들 부재(22)의 측면으로부터 축 방향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고, 베이스 부재(20)의 축공부(52)에 삽입된다. 제1 연장부(33), 제2 연장부(34) 및 제3 연장부(35)는, 핸들 부재(22)의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핸들 회전축(32)의 중심 축 부근에 위치한다.
제1 연장부(33)는, 핸들 부재(22)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요동 부재(24)에 결합한다. 제2 연장부(34)는, 핸들 부재(22)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베이스 부재(20)에 닿아서, 핸들 부재(22)의 열림 방향의 회전을 멈춘다. 제3 연장부(35)는, 잠금 부재(26)에 맞물려 핸들 부재(22)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잠금 부재(26)를 후퇴시킨다.
제2 연장부(34)는, 핸들 부재(22)의 양쪽 가장자리에 한 쌍이 형성되고, 제1 연장부(33)는, 한 쌍의 제2 연장부(34) 사이에 한 쌍이 형성되고, 제3 연장부(35)는, 한 쌍의 제1 연장부(33) 사이에 형성된다.
파지부(36)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때, 베이스 부재(20)에 수납된 제1 위치로부터 핸들 부재(22)의 열림 방향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부재(20)로부터 나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제2 위치를 취한다.
슬릿(38)은, 파지부(36)와 핸들 회전축(32)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 가능하다. 계합부(39)는, 슬릿(38)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요동 부재(24)의 회전시에 요동 부재(24)에 맞물려 핸들 부재(22)가 세워지는 힘을 받는다.
도 2로 돌아온다. 요동 부재(24)는, 베이스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동 부재(24)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상태의 핸들 부재(22)의 슬릿(38)을 막는다. 요동 부재(24)는, 핸들 부재(22)를 수용 상태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요동 부재(24)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요동 부재(24)의 사시도이다. 요동 부재(24)는, 회전축부(40), 핸들측 접촉부(42), 베이스측 접촉부(44) 및 세움부(46)를 갖는다. 회전축부(40)는, 요동 부재(24)의 측면에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20)의 축지부(54)가 삽입된다.
베이스측 접촉부(44)는, 요동 부재(24)의 일단측에 위치하며, 핸들측 접촉부(42)는, 요동 부재(24)의 타단측에 위치하고, 회전축부(40)는, 베이스측 접촉부(44) 및 핸들측 접촉부(42) 사이에 위치한다. 요동 부재(24)는, 회전축부(40)에서의 축 지지로 인해 요동 가능하며, 일단측의 베이스측 접촉부(44)가 상승하면, 타단측의 핸들측 접촉부(42)가 하강하도록 축지지 된다. 베이스측 접촉부(44)는, 핸들 부재(22)의 바닥부(56)에 접촉 가능하다.
핸들측 접촉부(42)는, 요동 부재(24)의 타단측에 길게 연장되게 한 쌍이 형성되고, 손잡이 부재(22)의 제1 연장부(33)에 맞물려, 핸들 부재(22)의 열림 방향의 회전시에 하중을 받을 수 있다. 핸들측 접촉부(42)는, 세움부(46)보다 길게 연장한다.
세움부(46)는, 요동 부재(24)의 타단측에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한 쌍의 핸들측 접촉부(42)를 연결하여, 핸들측 접촉부(42)의 강성을 높인다. 세움부(46)는, 요동 부재(24)의 회전시 핸들 부재(22)의 계합부(39)에 맞물려, 핸들 부재(22)를 열림 방향으로 밀어서 세운다. 즉, 사용자가 요동 부재(24)의 일단측을 누르면, 요동 부재(24)가 회전하여 요동 부재(24)가 세워짐과 동시에, 세움부(46)가 핸들 부재(22)의 계합부(39)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핸들 부재(22)가 세워진다. 이와 같이, 요동 부재(24)는, 핸들 부재(22)의 슬릿(38)을 막을 수 있으며, 핸들 부재(22)를 세우는 것도 가능하다.
세움부(46)는, 핸들 부재(22)의 닫힘 방향의 회전시에 계합부(39)에 닿고, 요동 부재(24)를 회전시켜, 요동 부재(24)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도 2로 돌아온다. 잠금 부재(26)는, 손톱부(48) 및 입설부(50)를 갖는다. 손톱부(48)는, 잠금 부재(26)의 상면에 돌출하여 한 쌍이 형성된다. 손톱부(48)는, 베이스 부재(20)의 가이드공(6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다.
입설부(50)는, 잠금 부재(26)의 상면에 세워지게 형성된다. 입설부(50)는, 핸들 부재(22)의 제3 연장부(35)에 맞물려, 핸들 부재(22)의 열림 방향의 회전에 의한 제3 연장부(35)의 이동을 받아 잠금 부재(26)를 후퇴시킨다.
스프링 부재(30)는, 일단이 잠금 부재(26)에 맞닿고, 타단이 베이스 부재(20)에 접촉한다. 스프링 부재(30)는, 잠금 부재(26)를 진행 방향으로 가압한다.
베이스 부재(20)는,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 부재(22), 요동 부재(24), 잠금 부재(26), 스프링 부재(30)를 수용한다. 베이스 부재(20)는, 축공부(52), 축 지지부(54), 삽입공(58), 받이부(60), 가이드공(62) 및 수용부(64)를 갖는다.
축공부(52)는, 베이스 부재(20)의 측면에 한 쌍이 형성되고, 핸들 부재(22)의 핸들 회전축(32)을 축지지 한다. 실시예에서는, 축공부(52)가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핸들 회전축(32)이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축공부(52)가 돌기형상으로 형성되고, 핸들 회전축(32)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어느 쪽이던지, 축공부(52)는 핸들 부재(22)를 축지지하고, 핸들 부재(22)를 들어올렸을 때 핸들 부재(22)로부터 하중을 받는다.
받이부(60)는, 열림 방향의 핸들 부재(22)의 회전을 받아들인다. 즉, 받이 부(60)는, 핸들 부재(22)의 열림 방향의 회전시에 핸들 부재(22)의 제2 연장부(34)에 접촉함으로써 핸들 부재(22)의 회전을 멈추고, 핸들 부재(22)로부터 하중을 받는다. 받이부(60)는, 천정부를 갖는 아치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된다.
축 지지부(54)는, 돌기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요동 부재(24)를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 한다. 축 지지부(54)의 중심축은, 축공부(52)의 중심축과 평행이다.
수용부(64)는, 잠금 부재(26)의 일부를 수용한다. 가이드공(62)은, 잠금 부재(26)의 진퇴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잠금 부재(26)의 손톱부(48)를 받아들여, 잠금 부재(26)의 진퇴를 안내한다. 삽입공(58)은 잠금 부재(26)의 입설부(50)를 베이스 부재(20)의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커버 부재(28)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20)를 하측으로부터 덮는다. 커버 부재(28) 및 베이스 부재(20)에 의해 보드의 개구 가장자리를 끼움으로써, 핸들 장치(10)가 보드에 고정된다. 커버 부재(28)는, 잠금 부재(26)를 노출시키는 개구부(68)를 측면에 갖는다.
도 5는, 핸들 장치(10)의 단면도이고, 제 2 연장부(34) 및 받이부(60)의 걸어 맞춤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핸들 부재(22)를 들어올린 경우, 핸들 부재(22)는, 상방으로의 힘을 받아, 개방 방향의 회전 토크를 발생한다.
베이스 부재(20)의 축공부(52)는, 핸들 회전축(32)로부터 상방의 힘을 받아, 제1 하중 받이부로서 기능한다. 베이스 부재(20)의 받이부(60)는, 제2 연장부(34)로부터 열림 방향의 회전 토크를 받아, 제2 하중 받이부로서 기능을 한다. 받이부(60)의 천정부(60a)는, 벽 형상이고, 바닥부(56)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받이부(60)는 휨 가능하다.
도 6은, 핸들 장치(10)의 단면도이며, 제1 연장부(33) 및 핸들측 접촉부(42)의 걸어 맞춤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핸들 부재(22)를 들어올린 경우에, 핸들측 접촉부(42)는, 핸들 부재(22)의 제1 연장부(33)에 접촉한다.
베이스측 접촉부(44)는, 핸들측 접촉부(42)가 핸들 부재(22)의 제1 연장부(33)에 맞닿아 하중을 받음으로써 바닥부(56)에 맞닿아 하중을 받는다. 즉, 핸들측 접촉부(42)가 제1 연장부(33)로부터 토크를 받아 베이스 부재(20)의 바닥부(56)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베이스측 접촉부(44)가 베이스 부재(20)의 바닥부(56)에 접근하여 접촉한다.
핸들측 접촉부(42)는, 제1 연장부(33)로부터 열림 방향의 회전 토크를 받아, 제3의 하중 받이부로서 기능한다. 제1 연장부(33)로부터 받은 하중은, 회전 축부(40) 및 베이스측 접촉부(44)를 통해 축 지지부(54) 및 바닥부(56)로 받아들여져 축지지부(54)는, 제4의 하중 받이부로서 기능하고, 바닥부(56)는, 제5 하중 받이 부로서 기능한다.
요동 부재(24)가 핸들 부재(22)에 걸리는 하중을 받음으로써, 하중을 분산하여, 핸들 장치(10)의 내하중을 높일 수 있다. 핸들 부재(22)의 핸들 회전축(32)를 핸들 부재(22)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금속 샤프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핸들 회전축(32)에서의 내하중성이 저하하지만, 요동 부재(24)도 하중을 받아들임으로써, 핸들 장치(10)의 내하중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핸들 회전축(32)를 핸들 부재(22)에 일체로 형성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핸들 부재(22)는, 파지부(3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즉 손잡이 부재(22)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핸들측 접촉부(42)보다 먼저 받이부(60)에 맞닿아도 좋다. 핸들 부재(22)를 들어올린 경우에, 제2 연장부(34)가 받이부(60)에 맞닿은 후, 받이부(60)가 제2 연장부(34)로부터 받은 하중에 의해 휨으로써, 제1 연장부(33)가 핸들측 접촉부(42)에 접촉한다. 즉, 핸들 부재(22)에 걸리는 하중이 커지는 경우에, 핸들 부재(22)가 받이부(60)만 아니라 요동 부재(24)에도 맞닿아 하중이 분산된다.
도 7(a)는, 핸들 장치(10)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제2 연장부(34) 및 받이부(60)를 지나는 핸들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부재(22)의 열림 방향의 회전에 의해, 핸들 부재(22)의 제3 연장부(35)가 잠금 부재(26)의 입설부(50)을 밀어서 잠금 부재(26)를 후퇴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핸들 부재(22)를 들어올리면, 잠금 부재(26)가 후퇴한 잠금 해제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핸들 부재(22)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 부재(30)의 가압에 의해 잠금 부재(26)가 진행됨과 동시에, 핸들 부재(22)의 제3 연장부(35)가 입설부(50)에 밀려서, 핸들 부재(22)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7(b)는, 도 5에 나타낸 핸들 장치(10)의 단면도와 동일한 위치의 단면을 나타낸다. 핸들 부재(22)의 제2 연장부(34)는, 받이부(60)의 천정부(60a)에 맞닿아, 큰 하중이 부가되면 받이부(60)를 휘게 한다.
도 8은, 제1 연장부(33) 및 핸들측 접촉부(42)를 지나는 핸들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핸들 장치(10)의 단면과 동일한 위치의 단면을 나타낸다. 제1 연장부(33) 및 핸들측 접촉부(42)는 비접촉이며, 베이스측 접촉부(44)도 바닥부(56)와 비접촉이다. 보드를 들어올렸을 때 핸들 부재(22)에 큰 하중이 부가되면, 받이부(60)가 휘고, 제1 연장부(33)가 핸들측 접촉부(42)에 맞닿음과 동시에, 베이스측 접촉부(44)가 바닥부(56)에 맞닿아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것에 의해, 치수 편차나 조립 정밀도에 관계없이, 고부하시에는 제2 연장부(34) 및 받이부(60)와, 제1 연장부(33) 및 핸들측 접촉부(42)와, 베이스측 접촉부(44) 및 바닥부(56)를 확실히 맞닿게 할 수 있으며, 핸들 장치(10)의 내하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하여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각 실시예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이 가해진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10 핸들 장치, 20 베이스 부재, 22 핸들 부재, 24 요동 부재, 26 잠금 부재, 28 커버 부재, 30 스프링 부재, 32 핸들 회전축, 33 제1 연장부, 34 제2 연장부, 35 제3 연장부, 36 파지부, 38 슬릿, 39 계합부, 40 회전 축부, 42 핸들측 접촉부, 44 베이스측 접촉부, 46 세움부, 48 손톱부, 50 입설부, 52 축공부, 54 축지지부, 56 바닥부, 58 삽입공, 60 받이부, 60a 천정부, 62 가이드공, 64 수용부, 68 개구부.

Claims (4)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핸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요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부재는, 파지될 때 상기 베이스 부재에 수납된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나온 제2 위치를 취하는 파지부를 갖고,
    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파지부가 들어 올려졌을 때 상기 핸들 부재에 맞닿는 핸들측 접촉부와,
    상기 핸들측 접촉부가 상기 핸들 부재에 맞닿아 하중을 받음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맞닿아 하중을 받는 베이스측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축지지되고, 상기 핸들측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측 접촉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부를 갖고,
    상기 핸들측 접촉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측 접촉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바닥부에 접근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의 상기 핸들 부재의 회전을 받아들이는 받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핸들측 접촉부보다 먼저 상기 받이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는, 상기 파지부와 핸들 회전축 사이에 슬릿을 갖고,
    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막고,
    상기 베이스측 접촉부를 포함한 일단측이 상기 베이스 부재를 향하여 눌리면 회전하여 상기 핸들측 접촉부를 포함한 타단측이 세워져 상기 핸들 부재에 닿아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장치.
KR1020170150809A 2017-11-13 2017-11-13 핸들 장치 KR10238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809A KR102382031B1 (ko) 2017-11-13 2017-11-13 핸들 장치
US16/185,216 US11306520B2 (en) 2017-11-13 2018-11-09 Handle device
CN201821863551.0U CN209469174U (zh) 2017-11-13 2018-11-13 把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809A KR102382031B1 (ko) 2017-11-13 2017-11-13 핸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85A true KR20190054485A (ko) 2019-05-22
KR102382031B1 KR102382031B1 (ko) 2022-04-04

Family

ID=6643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809A KR102382031B1 (ko) 2017-11-13 2017-11-13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06520B2 (ko)
KR (1) KR102382031B1 (ko)
CN (1) CN2094691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8427A1 (en) * 2018-10-18 2021-11-11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4108B (zh) * 2015-12-22 2021-11-02 福特环球技术公司 把手装置及车辆后备箱垫总成
US11732515B2 (en) * 2020-03-06 2023-08-22 Atieva, Inc. Rotating flush vehicle door handle
JP7302100B2 (ja) * 2020-06-01 2023-07-03 株式会社ジャムコ ロックノブアタッチメント、ラバトリー用のドア、および、ロックノブアタッチメントの取付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977A (ja) * 2004-12-22 2006-07-06 Piolax Inc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
KR20090072953A (ko) * 2007-12-28 2009-07-02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자동차용 보드의 핸들 장치
JP2009262847A (ja) * 2008-04-28 2009-11-12 Piolax Inc 自動車室内用ハンドル装置
JP2012062031A (ja) * 2010-09-17 2012-03-29 Piolax Inc 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528A (en) * 1908-04-20 1910-01-25 James T Hunter Seal-lock.
US2029199A (en) * 1935-04-23 1936-01-28 Segar Lee Handle
US2649322A (en) * 1946-05-20 1953-08-18 Mack Grant Flush door latching mechanism
FR979715A (fr) * 1948-01-28 1951-05-02 Austin Motor Co Ltd Dispositif de poignée perfectionné pour la commande de l'organe de fermeture des portières de voitures
US2812204A (en) * 1955-02-14 1957-11-05 Midwest Mfg Corp Door lock
US3214207A (en) * 1963-07-05 1965-10-26 Swanson Oscar Alfred Draw hook toggle latch mechanism
DE3532152C1 (de) * 1985-09-10 1987-06-25 Daimler Benz Ag Mit einer schwenkbaren Handhabe versehene Verriegelungsvorrichtung
WO2000019050A1 (en) * 1998-09-30 2000-04-06 Southco, Inc. Load floor slam-action pawl latch
US6109669A (en) * 1998-09-30 2000-08-29 Southco, Inc. Load floor slam-action paw latch
US6719332B2 (en) * 2000-12-03 2004-04-13 Southco, Inc. Load floor latch
US7083205B2 (en) * 2002-09-17 2006-08-01 Southco, Inc. Double-acting load floor slam latch
DE102004039930A1 (de) * 2003-08-18 2005-05-19 Southco, Inc. Ladeflächenverschluß
DE202004021924U1 (de) * 2003-09-11 2012-11-23 Southco, Inc. Ladeflächenschloss
DE10349926B4 (de) * 2003-10-25 2007-11-2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riegeln und zum Betätigen von Klappen oder Türen
DE20316663U1 (de) * 2003-10-29 2004-01-08 Böllhoff GmbH Schloss mit lösbarer Verrastung
US7798540B1 (en) * 2004-06-30 2010-09-21 Southco, Inc. Load-floor latch
JP2008505291A (ja) * 2004-06-30 2008-02-21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荷重床の掛け金
US7914054B2 (en) * 2004-08-02 2011-03-29 Trw Automotive U.S. Llc Vehicle la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77131B2 (ja) * 2006-04-27 2011-09-2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取手装置
JP5046763B2 (ja) * 2007-07-06 2012-10-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ハンドル装置
JP5161740B2 (ja) * 2008-11-21 2013-03-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揺動装置
DE102010012125A1 (de) * 2010-03-20 2011-09-22 Volkswagen Ag Wendbares Flächengebilde mit Griff
US9062474B2 (en) * 2013-07-19 2015-06-23 Honda Motor Co., Ltd. Vehicle cargo lid assembly having compact reversible handle
DE102014005029A1 (de) * 2014-04-05 2014-11-06 Daimler Ag Griffeinheit für einen Wendeladeboden für einen Laderaum eines Personenkraftwagens
JP6814096B2 (ja) * 2017-05-24 2021-01-13 株式会社ニフコ ハンドル装置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5977A (ja) * 2004-12-22 2006-07-06 Piolax Inc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
KR20090072953A (ko) * 2007-12-28 2009-07-02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자동차용 보드의 핸들 장치
JP2009262847A (ja) * 2008-04-28 2009-11-12 Piolax Inc 自動車室内用ハンドル装置
JP2012062031A (ja) * 2010-09-17 2012-03-29 Piolax Inc ハンド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8427A1 (en) * 2018-10-18 2021-11-11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31B1 (ko) 2022-04-04
US11306520B2 (en) 2022-04-19
CN209469174U (zh) 2019-10-08
US20190145136A1 (en)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485A (ko) 핸들 장치
US20070001479A1 (en) Vehicle door
JP2016046062A (ja) 車載用usb端子装置
JPH0645982B2 (ja) 回転できるハンドルを備えた、自動車の着脱式床板用ロック装置
JP5002525B2 (ja) 自動車室内用ハンドル装置
JP6634630B2 (ja) 車両用ボードのハンドル装置
JP4642454B2 (ja) 自動車用ハンドル装置
JP2003175756A (ja) 支持装置
JP4170601B2 (ja) ロック装置
WO2021119266A1 (en) Actuating work surface for storage device
JPH0525329Y2 (ko)
JP7118741B2 (ja) 開閉装置
JP3263626B2 (ja) 車両用収納用箱
JPS5934547Y2 (ja) 車輌用開閉蓋の開閉装置
JPS61282232A (ja) 給紙ユニツトの着脱装置
JP2715366B2 (ja) 自動車用トランクの物入れ装置
JPH0241259Y2 (ko)
JPH0530528Y2 (ko)
JPS6126141Y2 (ko)
JP2983006B2 (ja) 蓋装置および収納装置
JPH10244879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228386B2 (ja) 電池ケース
JP2002012078A (ja) 昇降機構
JP2557655Y2 (ja) ドリンク容器ホルダ
JP2001322474A (ja) 車両用収納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