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341A -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 Google Patents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341A
KR20190054341A KR1020170150494A KR20170150494A KR20190054341A KR 20190054341 A KR20190054341 A KR 20190054341A KR 1020170150494 A KR1020170150494 A KR 1020170150494A KR 20170150494 A KR20170150494 A KR 20170150494A KR 20190054341 A KR20190054341 A KR 20190054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grain
semi
mod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892B1 (ko
Inventor
김경태
김동환
박수만
Original Assignee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8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는, 본체프레임;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곡물공급모드, 세미모드, 취반모드, 세척모드 및 이물질처리모드가 기설정된 컨트롤러; 곡물공급모드에 따라 저장된 곡물이 토출되는 곡물공급부; 세미모드에 따라 곡물공급부에서 낙하된 곡물이 세미되는 세미부; 세미된 곡물이 수용되는 밥솥이 구비되어, 취반모드에 따라 세미된 곡물이 취반되는 취반부; 취반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밥솥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되어 밥솥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세척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처리모드에서 세척부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처리되는 이물질처리부를 포함하고, 취반부는 세미모드에서 밥솥이 개방된 상태로 세미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미된 곡물이 수용되고, 취반모드에서 밥솥이 폐쇄된 후 가열되어 곡물이 취반되고, 세척모드에서 밥솥이 회전되면서 세척수단을 향하도록 위치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Cook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rice washing device and a dishwasher}
본 발명은 취반은 물론 곡물의 저장, 취반전의 세미, 취반 후의 솥의 세척, 그리고, 세척후의 이물질의 처리를 하나의 기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양문화권의 사람들은 밥의 보존시간이 길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밥 맛이 변하기 때문에 매일 하루에 한번은 꼭 밥을 지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밥을 짓는 행위에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양의 쌀을 미리 수작업으로 세척하고 밥솥에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쌀의 세척과 취반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이미 제안된 바 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085호가 개시된 바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자동 전기밥솥으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 구동에 따른 상기 회전날개와 쌀의 마찰을 통해 쌀을 세미한 후, 밥솥의 내통에 공급하는 세미부; 상기 세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쌀을 보관하며 상기 세미부로 쌀을 공급하는 쌀보관부; 상기 밥솥에 결합되어 상기 밥솥의 내통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조; 상기 밥솥 내부에 열을 공급하여 쌀을 취반하거나 보온하는 히터부; 및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세미부 내부에 설치된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쌀을 세미한 후, 상기 밥솥의 내통에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급수조를 통해 상기 밥솥의 내통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히터부를 통해 쌀을 취반 또는 보온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전기밥솥은 쌀을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육체적인 행위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취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구조의 복잡성 및 높은 제조원가에 대한 부담과 더불어 자동취반시스템의 성능에 해결되지 못한 몇가지 문제점들이 남아 있어 실제로 상품화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밥솥 사용 후, 솥 등의 세정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위생적으로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세정을 위해서는 밥솥을 별도로 분리하여 세정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밥솥과 주변구조들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취반은 물론 곡물의 저장, 취반전의 세미, 취반 후의 솥의 세척, 그리고, 세척후의 이물질의 처리를 하나의 기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본 발명은 솥의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고 취반시 덮개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취반완료후에 가열수단 및 밥뚜껑의 위치를 조정하여, 세미 및 밥솥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는, 본체프레임;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곡물공급모드, 세미모드, 취반모드, 세척모드 및 이물질처리모드가 기설정된 컨트롤러; 곡물공급모드에 따라 저장된 곡물이 토출되는 곡물공급부; 세미모드에 따라 곡물공급부에서 낙하된 곡물이 세미되는 세미부; 세미된 곡물이 수용되는 밥솥이 구비되어, 취반모드에 따라 세미된 곡물이 취반되는 취반부; 취반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밥솥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되어 밥솥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세척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처리모드에서 세척부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처리되는 이물질처리부를 포함하고, 취반부는 세미모드에서 밥솥이 개방된 상태로 세미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미된 곡물이 수용되고, 취반모드에서 밥솥이 폐쇄된 후 가열되어 곡물이 취반되고, 세척모드에서 밥솥이 회전되면서 세척수단을 향하도록 위치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취반부는, 밥솥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밥솥에 결합되고, 본체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 본체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취반모드에서 밭솥을 가열하고, 세척모드에서 밥솥에서 멀어지게 후진이동하는 가열수단; 및 본체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취반모드에서 밥솥을 락킹하면서 가압하고 세척모드에서 밥솥을 개방하면서 밥솥에 멀어지게 후진이동이동하는 밥솥뚜껑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밥솥의 상부에 위치되고 취반모드에서 밥솥에서 배출된 스팀을 외부로 방출하는 취반송풍팬; 및 일단이 취반송풍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단이 본체프레임의 외부와 연통되게 본체프레임에 설치되어, 취반송풍팬에서 토출된 스팀이 본체프레임의 외부로 이동되게 하는 스팀유동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곡물공급부는, 서로 다른 곡물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호퍼; 적어도 하나의 저장호퍼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곡물공급모드에서 선택된 취반인분에 따라 저장호퍼에서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 적어도 하나저장호퍼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곡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및 적어도 저장호퍼의 토출구의 하부에 위치되고 세미통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에서 토출된 곡물을 세미통으로 공급하는 이송호퍼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은 컨트롤러에 의해 각각 개폐동작이 제어되어, 곡물공급모드에서 곡물의 혼합비에 따라 이송호퍼로 토출하는 곡물의 양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에는 진동수단이 설치되고, 진동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의 개방시 작동되어, 곡물이 정량토출수단에서 이송호퍼로 용이하게 낙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미부는, 곡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곡물이 저장되는 세미통; 세미통으로 급수를 급수수단; 및 세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시 곡물을 교반하는 세미툴과, 세미통에 결합되어 세미툴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가 구비된 세미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미부는, 곡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곡물이 저장되는 세미통; 세미통으로 급수를 급수수단; 및 세미통의 내부로 초음파를 제공하는 세미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미통에는 세미수배출구와, 세미수배출구와 이격되어 세미된 곡물이 토출되는 곡물토출부가 마련되고, 곡물토출부는 세미곡물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고, 세미수배출구에는 메쉬망이 설치되어, 개방시 세미된 물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부는 밥솥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지고, 세척수단이 밥솥을 향해 설치된 세척호퍼를 포함하고, 세척수단은 세척모드에서 세척수를 밥솥을 향해 고압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물질처리부는, 세척호퍼의 배출구에 결합되고, 세척모드에서 세척호퍼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이물질분쇄수단; 및 이물질분쇄수단에 결합되어, 분쇄된 이물질을 공급받아 건조하는 이물질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프레임에 설치되어,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 및 본체프레임에 마련된 코크개구에 설치되고, 정수필터에 결합되어 개방시 여과된 물이 토출되는 정수코크가 구비된 정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취반은 물론 곡물의 저장, 취반전의 세미, 취반 후의 솥의 세척, 그리고, 세척후의 이물질의 처리를 하나의 기기에서 처리할 수 있어, 밥을 하고 설겆이를 하는 등의 가사노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능이 적용된 컨트롤러를 통해 스마트기기를 통해 외부에서 취반명령을 하여, 집에 들어온 후에 바로 식사를 할 수 있게 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은 솥의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고 취반시 덮개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취반완료후에 가열수단 및 밥뚜껑의 위치를 조정하여, 세미 및 밥솥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취반시 발생되는 스팀을 본체프레임의 외부로 방출하여, 취반시 발생되는 스팀으로 인한 습기에 의해 본체프레임에 곰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습기로 인해 곡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솥을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분쇄 및 건조하여,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본체프레임의 내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수부를 구비하여, 정수기의 기능을 추가할 뿐 아니라, 여과된 물을 사용하여 곡물을 씻고 밥물을 맞춰 사용자의 물에 대한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주방에 빌트인 타입으로 설치되어, 정수기, 밥솥기능, 세미기능, 설거지기능, 이물질분쇄 및 건조기능을 갖춰,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의 내부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내부구성도이다.
도 4는 곡물공급부아 세미부 간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세미부의 일예에 따른 절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세미부의 다른 예에 따른 절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취반부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세척부와 이물질처리부 간의 구성도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100)는, 본체프레임(190), 곡물공급부(110), 세미부(120), 취반부(130), 세척부(140), 이물질처리부(150) 및 정수부(170)를 포함하여, 취반은 물론 곡물의 저장, 취반전의 세미, 취반 후의 솥의 세척, 그리고, 세척후의 이물질의 처리를 하나의 기기에서 처리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90)은 외면에 코크개구(197) 및 밥솥개구(195)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90)의 외면에는 컨트롤러(160)가 설치된다.
컨트롤러(160)는 곡물공급모드, 세미모드, 취반모드, 밥퍼모드, 세척모드 및 이물질처리모드에 따라, 곡물공급부(110), 세미부(120), 취반부(130), 세척부(140) 및 이물질처리부(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60)는 각각의 모드상태가 표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온오프조작버튼, 모드선택버튼, 취반인분조작버튼, 곡물혼합비율조작버튼 등의 마련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190)의 내부에서는 정수부(170)가 설치된다. 정수부(170)는 정수코크(171)와 정수필터(172)로 이루어진다. 정수코크(17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수필터(172)에서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부재이다. 정수코크(171)는 코크개구(197)에 설치되어, 본체프레임(19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정수필터(172)는 수돗물을 여과하는 필터이다. 정수필터(172)는 본체프레임의 내부에서 설치된다. 그리고, 정수필터(172)는 정수코크(171)와 세미부(120)의 급수수단(129)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정수부(170)를 구비하여, 정수기의 기능을 추가할 뿐 아니라, 여과된 물을 사용하여 곡물을 씻고 밥물을 맞춰 사용자의 물에 대한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90)의 내부에는 곡물공급부(110), 세미부(120), 취반부(130), 세척부(140), 이물질처리부(150) 및 정수부(17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곡물공급부(110), 세미부(120), 취반부(130), 세척부(140)와 이물질처리부(150)는 본체프레임(19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곡물공급부(110)에서 토출된 곡물이 중력에 의해 세미부(120)로 낙하되고, 세미부(120)에서 세미된 곡물이 밥솥(131)으로 낙하되고, 밥솥(131)이 세척된 물이 이물질처리부(150)로 낙하되게 설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공급부(110)는 본체프레임(190)의 상부에 설치된다. 곡물공급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호퍼(111, 113),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112, 114),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112a, 114a), 적어도 하나의 진동수단 및 이송호퍼(1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저장호퍼(111, 113)에 대해 제1저장호퍼(111)와 제2저장호퍼(113)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112, 114)은 제1정량토출수단(112)과 제2정량토출수단(114)으로 구분지어 설명한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112a, 114a)는 제1감지센서(112a)와 제2감지센서(114a)로 구분지어 설명하고, 진동수단에 대해 제1진동수단(112b)과 제2진동수단(114b)으로 구분지어 설명한다.
제1저장호퍼(111)는 곡물이 저장된다. 제1저장호퍼(111)의 하부는 상광하협의 호퍼구조를 가진다. 제1저장호퍼(111)의 하부에는 토출구가 마련된다. 제1저장호퍼(111)에는 습기제거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습기제거부재(미도시)는 제습제와 같은 기능성 부품이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외부에서 곡물의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1저장호퍼(111)에는 투명창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저장호퍼(111)에는 제1호퍼송풍팬(115)이 설치된다. 제1호퍼송풍팬(115)은 제1저장호퍼(111)로 공기를 순환시켜, 제1저장호퍼(111)에 저장된 곡물의 부패 또는 쌀벌레의 발생을 방지한다.
제1호퍼송풍팬(115)에는 필터장착부(미도시)가 마련된다. 필터장착부는 청정필터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청정필터는 교체형으로 필터장착부에 가능하다. 필터장착부는 청정필터가 바람의 유입방향에 위치되도록, 제1호퍼송풍팬(115)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저장호퍼(111)의 토출구에는 제1감지센서(112a)가 설치된다. 제1감지센서(112a)는 제1저장호퍼(111)에 저장된 곡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컨트롤러(160)의 디스플레이패널에는 제1감지센서(112a)에서 곡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저장호퍼(111)에 곡물이 없음이 표시된다.
제1저장호퍼(111)의 토출구에는 제1정량토출수단(112)이 설치된다. 제1정량토출수단(112)은 제1저장호퍼(111)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선택된 단위로 곡물을 이송호퍼(117)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정량토출수단(112)은 취반인분 및 곡물 간의 혼합비율에 따라, 개폐각도가 조절되어 산출된 곡물의 정량만큼 곡물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정량토출수단(112)은 컨트롤러(160)에서 선택된 취반인분이 1인분인 경우에는 1인분량에 해당되는 곡물을 이송호퍼(117)로 제공하고, 곡물간의 혼합비가 설정된 경우에는 1인분 중 곡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양만큼만 이송호퍼(117)로 제공할 수 있다.
제1정량토출수단(112)에는 제1진동수단(112b)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제1진동수단(112b)은 제1정량토출수단(112)의 개방시 작동되어, 곡물이 제1정량토출수단(112)에서 이송호퍼(117)로 용이하게 낙하되게 하는 것이다.
제2저장호퍼(113)는 제2곡물이 저장된다. 제2저장호퍼(113)에는 습기제거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습기제거부재(미도시)는 제습제와 같은 기능성 부품이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외부에서 곡물의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2저장호퍼(113)에는 투명창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저장호퍼(113)에는 제2호퍼송풍팬(116)이 설치된다. 제2호퍼송풍팬(116)은 제2저장호퍼(113)로 공기를 순환시켜, 제2저장호퍼(113)에 저장된 곡물의 부패 또는 벌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호퍼송풍팬(116)도 제1호퍼송풍팬(115)과 동일한 구조로, 필터장착부(미도시)가 마련된다. 필터장착부는 청정필터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청정필터는 교체형으로 필터장착부에 가능하다. 필터장착부는 청정필터가 바람의 유입방향에 위치되도록, 제2호퍼송풍팬(116)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저장호퍼(113)의 토출구에는 제2감지센서(114a) 및 제2정량토출수단(114)이 구비된다. 제2감지센서(114a)는 제2저장호퍼(113)의 제2곡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제2정량토출수단(114)은 상술한 제1정량토출수단(11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2정량토출수단(114)에는 제2진동수단이 설치된다.
제2곡물은 제1저장호퍼(111)에 저장된 곡물과 동일 또는 다른 곡물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곡물혼합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2곡물이 제1저장호퍼(111)에 저장된 곡물과 다른 곡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정량토출수단(112)과 제2정량토출수단(114)은 컨트롤러(160)에 의해 각각 개폐동작이 제어되어, 곡물공급모드에서 곡물의 혼합비에 따라 이송호퍼(117)로 토출하는 곡물의 양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1저장호퍼(111)에 저장된 곡물이 쌀이고, 제2저장호퍼(113)에 저장도니 곡물이 잡곡인 경우에, 쌀과 잡곡의 혼합비율이 2:1인 경우에는 제1정량토출수단(112)이 쌀을 이송호퍼(117)로 토출하는 양과 제2정량토출수단(114)이 잡곡을 이송호퍼(117)로 토출하는 양의 비율이 2:1로 하여, 쌀과 잡곡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호퍼(117)는 제1저장호퍼(111)와 제2저장호퍼(113)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송호퍼(117)는 상광하협의 깔때기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호퍼(117)는 제1저장호퍼(111)의 토출구와 제2저장호퍼(113)의 토출구에서 토출된 곡물이 외부로 튕겨나가지 않게, 본체프레임(19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송호퍼(117)의 토출구는 세미통(121)에 결합된다. 이송호퍼(117)는 제1저장호퍼(111)에서 낙하된 곡물과 제2저장호퍼(113)에서 낙하된 제2곡물을 세미통(121)을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세미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부(120)는 곡물공급부(110)와 취반부(130) 사이에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부(120)는 세미통(121), 급수수단(129) 및 세미수단이 구비된다.
세미통(121)은 이송호퍼(117)를 경유하여 낙하된 곡물이 저장된다. 세미통(121)에는 급수수단(129)이 연결된다. 급수수단(129)은 정수필터(172)와 세미통(121)에 연결된다. 급수수단(129)은 세미모드 시 세미통(121)으로 정수부(170)에서 필터링된 물을 세미통(121)을 공급한다.
급수수단(129)에는 밥물맞춤센서(미도시)가 마련된다. 밥물맞춤센서(미도시)는 컨트롤러(160)에 연결된다. 밥물맞춤센서(미도시)는 급수수단(129)에서 토출되는 급수량을 센싱한다.
본 발명은 밥물맞춤센서(미도시)에 의해 급수수단(129)으로 토출되는 급수량이 센싱됨으로써, 컨트롤러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된밥, 진밥, 고두밥, 초밥 등등이 가능하게 밥물조정이 가능하다.
세미통(121)에는 세미수배출구(121a)와, 곡물토출부(127)가 마련된다. 세미수배출구(121a)는 세미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세미수배출구(121a)에는 메쉬망(125)이 설치되어, 세미된 물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곡물토출부(127)는 세미통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곡물토출부(127)는 세미통(121)의 하부에서, 세미수배출구(121a)와 이격되어 마련된다. 곡물토출부(127)가 개방되면, 세미통(121) 내의 곡물은 밥솥(131)으로 낙하된다. 곡물토출부(127)의 개방작동은, 곡물의 세미가 2번 내지 3번 반복된 후에 진행된다.
세미수단은 세미통(121) 내의 곡물을 세미하는 수단이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수단은 세미툴(122) 및 교반모터(123)로 이루어진다. 세미툴(122)는 세미통(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곡물을 세미한다. 교반모터(123)는 세미통(121)의 외부에 설치되고, 세미툴(122)에 연결된다. 교반모터(123)의 작동시 세미툴(122)는 회전된다.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수단은 초음파부재(128a)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부재(128a)는 세미통(121)의 하부에 설치된다 초음파부재(128a)는 세미모드시 세미통(121) 내부의 물로 초음파를 제공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곡물을 세미한다.
세미모드시, 세미부(1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곡물공급부(110)의 작동완료에 의해, 곡물이 세미통(121)에 저장되면, 급수수단(129)이 작동되면서 세미통(121)으로 여과된 물이 공급된다.
이어서, 교반모터(123)의 작동에 의해, 세미툴(122)가 회전되면서 물에 담긴 곡물을 휘휘 섞으면서 곡물을 세미한다. 이후, 교반모터(123)가 정지되면 세미수배출구(121a)가 개방되어, 세미통(121) 내의 물이 세척호퍼(141)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 의해, 세미통(121)에는 곡물만 남게된다.
다시 급수수단(129)이 작동되면서 세미통(121)으로 여과된 물이 공급되고, 교반모터(123)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되면서, 세미툴(122)를 이용하여 곡물을 물에 세미한다.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교반모터(123)의 작동이 정지되면, 세미수배출구(121a)가 개방되어 세미통(121)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2-3번 반복된 후, 곡물토출부(127)가 개방된다. 곡물토출부(127)가 개방되면 세미통(121) 내의 곡물이 밥솥(131)으로 낙하된다. 이와 동시에, 급수수단(129)이 곡물의 양에 따라 밥솥(131)으로 여과된 물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취반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부(130)는 세미부(120)와 세척부(140) 사이에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반부(130)는 밥솥(131), 밥솥위치조정수단(132), 밥솥뚜껑수단(133), 가열수단(134), 취반송풍팬(136) 및 스팀유동관(137)이 구비된다.
밥솥(131)은 세미통(121)의 하부에 위치된다. 밥솥(131)은 세미완료시 곡물토출부(127)에서 낙하된 곡물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밥솥(131)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밥솥(131)을 잡도록 밥솥(131)의 양측에 결합된다.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밥솥(131)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밥솥(131)의 개방된 상부가 세미통(121)의 곡물토출부(127)를 향하게 또는 세척수단(142)을 향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취반모드에서는 밥솥(131)의 상부가 곡물토출부(127)를 향하게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한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세척모드에서 밥솥(131)의 상부가 세척수단(142)을 향하게 작동된다.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밥솥(131)이 밥솥개구(195)의 바깥에 위치되게, 또는 밥솥개구(195)의 내부에 위치되게, 밥솥(131)을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60)에서 밥퍼모드가 선택되면,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이 밥솥개구(195)의 바깥에 위치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밥솥(131)에서 밥을 풀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60)에서 밥퍼모드가 해제되면,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이 밥솥개구(195)로 들어가게 작동된다.
밥솥뚜껑수단(133)은 밥솥(131)을 개폐하는 장치이다. 밥솥뚜껑수단(133)은 밥솥(131)과 세미통(121) 사이에서, 본체프레임(190)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밥솥뚜껑수단(133)은 취반모드에서 밥솥(131)을 락킹하면서 밥솥(131)을 가압토록 작동된다. 즉, 취반모드에서 발생된 증기압을 누를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밥솥(131)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밥솥뚜껑수단(133)은 세척모드에서 밥솥(131)을 개방하면서 밥솥(131)에 멀어지게 후진이동이동토록 작동된다.
가열수단(134)은 밥솥(131)이 하부에 위치된다. 가열수단(134)은 본체프레임(190)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취반모드에서 밭솥을 가열하고 세척모드에서 밥솥(131)에서 멀어지게 후진이동한다. 가열수단(134)으로는 인덕션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밥솥뚜껑수단(133)과 가열수단(134)은 취반모드에서 밥솥(131)의 상하부에 놓이게 위치되고, 세척모드에서 밥솥(131)에서 떨어진 위치에 오도록 작동된다.
취반송풍팬(136)은 취반모드에서 밥솥(131)에서 배출된 스팀을 외부로 방출하는 송풍팬이다. 취반송풍팬(136)은 취반완료 후 밥솥(131) 내의 증기압을 밥솥(131)의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배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취반송풍팬(136)은 교체형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팀유동관(137)은 일단이 취반송풍팬(136)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단이 본체프레임(190)의 외부와 연통되게 본체프레임(190)에 설치된다. 스팀유동관(137)은 취반송풍팬(136)에서 토출된 스팀이 본체프레임(190)의 외부로 이동되게 하는 통로이다.
이하에서는 취반모드시 취반부(130)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취반모드 전에, 밥솥뚜껑수단(133)과 가열수단(13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131)과 떨어져 위치된다. 세미모드 완료후, 곡물과 물이 밥솥(131)으로 낙하된다. 밥물이 맞춰지면, 곡물토출부(127)가 폐쇄되고, 밥솥뚜껑수단(133)과 가열수단(134)이 밥솥(131)의 상하부에 놓이도록 밥솥뚜껑수단(133)과 가열수단(134)이 밥솥개구(195)를 향해 전진이동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뚜껑수단(133)이 밥솥(131)의 개방된 상부를 가압하면서 밥솥(131)의 상부를 폐쇄한다. 이어서, 가열수단(134)이 밥솥(131)으로 열을 가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료되어 취반가 완료되면, 가열수단(134)은 취반모드에서 보온모드로 변환되어, 밥솥(131)으로 제공하는 열의 세기가 조정된다.
취반모드에서 밥솥(131)에서 배출된 스팀은 취반송풍팬(136)에 의해 스팀유동관(137)으로 빨려들어가, 스팀유동관(137)을 경유하여 본체프레임(190)의 외부로 방출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160)에서 밥퍼모드가 선택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뚜껑수단(133)이 밥솥(131)을 개방한 후에 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한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이 밥솥개구(195)의 바깥으로 이동되게 작동된다.
밥퍼모드의 해제 후,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이 밥솥개구(195)로 들어오게 작동된다. 이어서, 밥솥뚜껑수단(133)이 밥솥(131)을 향해 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의 상부에 놓인 후에, 밥솥(131)을 폐쇄토록 작동된다. 이때, 가열수단(134)은 밥솥(131)의 하부에 위치되어 밥솥(131)으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밥퍼모드 및 밥퍼모드해제시, 가열수단(134)은 밥솥뚜껑수단(133)과 연동되어 전후진작동될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설계정보에 따라, 밥퍼모드에서는 밥솥(131)을 가열하는 위치에 놓이고, 세미모드 및 세척모드에서만 밥솥(131)에서 멀어진 위치에 오도록 전후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세척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세척부(140)는 밥솥(131)을 설거지하는 장치이다. 세척부(140)는 밥솥(131)과 이물질처리부(150) 사이에 위치된다. 세척부(140)는 세척호퍼(141)와 세척수단(142)으로 이루어진다.
세척호퍼(141)는 밥솥(131)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진다. 세척호퍼(141)는 세미통(121)에서 낙하된 물과, 세척과정에서 밥솥(131)으로 분사되는 물이 본체프레임(190)의 내부공간으로 튀기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호퍼(141)의 하부는 이물질분쇄수단(151)에 연결된다. 세척호퍼(141)에서 낙하된 이물질은 세척호퍼(141)를 통해 이물질분쇄수단(151)으로 낙하된다.
한편, 세척수단(142)은 세척호퍼(141)에 설치된다. 세척수단(142)은 수도꼭지와 같은 급수장치에 연결된다. 세척수단은 밥솥(131)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밥솥(131)을 세척하는 장치이다. 세척수는 수돗물이 사용될 수 있다.
세척수단(142)은 고압의 분사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세척수단(142)은 360도 각도로 회전되면서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밥솥(131)에 붙은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척모드의 작동시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세척모드시, 세미부(120)의 곡물토출부(127)가 개방되어, 밥솥(131)으로 소정의 물이 공급된다. 이후, 가열수단(134)에 의해 밥솥(131)이 가열되면서, 밥솥(131)에 붙은 찌꺼기가 물에 불려진다.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가열수단(134)이 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에서 분리된다.
이후, 밥솥위치조정수단(132)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밥솥(131) 내의 물이 세척호퍼(141)로 쏟아진다.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밥솥(131)의 개방된 상부가 세척수단(142)을 향해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밥솥(131)의 개방된 상부가 세척수단(142)을 향해 위치되면, 세척수단(142)에서 밥솥(131)의 내부로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된다.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세척수가 분사되어, 밥솥(131)의 세척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이물질처리부(150)에 대해 섬령하기로 한다.
이물질처리부(150)는 세척부(140)의 세척모드시 발생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물질처리부(150)는 이물질분쇄수단(151)과 이물질건조수단(152)을 포함한다.
이물질분쇄수단(151)은 세척호퍼(141)의 배출구에 결합된다. 이물질분쇄수단(151)은 세척모드에서 세척호퍼(14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장치이다.
이물질건조수단(152)은 이물질분쇄수단(151)에 결합된다. 이물질건조수단(152)은 이물질분쇄수단(151)에서 분쇄된 이물질을 공급받아 건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밥솥(131)을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분쇄 및 건조하여,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본체프레임(190)의 내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100)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컨트롤러(160)에 예약된 정보에 따라 곡물공급부(110)에서 세미부(120)로 곡물이 공급된다. 여기서, 예약된 정보는 사용자가 취반인분, 취반예약시간, 곡물의 혼합비율 등의 정보에 관한 것이다. 예약정보는 컨틀롤러에서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사물인터넷이 적용되어 외부에서 전송된 정보를 받아 입력될 수 있다.
곡물이 곡물공급부(110)에서 세미통(121)으로 낙하되면, 세미부(120)가 작동된다. 세미모드에서, 급수수단(129)에 의해 세미통(121)으로 정수필터(172)에서 여과된 물이 공급된다. 이후, 세미수단이 작동되면서 곡물이 세미된다. 세미과정에서 발생된 물을 세미수배출구(121a)의 개방시 세척호퍼(141)로 낙하된다. 곡물의 세미과정은 여러번 반복된다.
곡물의 세미가 완료되면, 곡물토출부(127)가 개방되면서, 곡물이 세미통(121)에서 밥솥(131)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취반인분에 맞춰 급수수단(129)에서 여과된 물이 세미통(121)을 경유하여 밥솥(131)으로 공급된다.
세미모드에서 취반모드로 전환되면, 취반부(130)가 작동된다. 취반모드의 작동시, 밥솥뚜껑수단(133)은 밥솥(131)의 상부를 덮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가열수단(134)은 밥솥(131)의 하부에 위치되어, 밥솥(131)으로 열을 제공한다. 취반송풍팬(136)은 취반모드에서 작동되면서 밥솥(131)에서 배출된 스팀이 스팀유동관(137)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취반가 완료되면, 가열수단(134)은 취반모드에서 보온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밥퍼모드가 선택되면, 밥솥뚜껑수단(133)이 밥솥(131)을 개방한 후에 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한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이 밥솥개구(195)의 바깥으로 이동되게 작동된다.
밥퍼모드가 해제되면,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이 밥솥개구(195)로 들어오게 작동된다. 이어서, 밥솥뚜껑수단(133)이 밥솥(131)을 향해 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의 상부에 놓인 후에, 밥솥(131)을 폐쇄토록 작동된다.
세척모드가 선택되면, 세미부(120)의 곡물토출부(127)가 개방되어, 밥솥(131)으로 소정의 물이 공급된다. 이후, 가열수단(134)에 의해 밥솥(131)이 가열되면서, 밥솥(131)에 붙은 찌꺼기가 물에 불려진다.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가열수단(134)이 후진이동되면서 밥솥(131)에서 분리된다.
다음으로, 밥솥위치조정수단(132)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밥솥(131) 내의 물이 세척호퍼(141)로 쏟아진다. 밥솥위치조정수단(132)은 밥솥(131)의 개방된 상부가 세척수단(142)을 향해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밥솥(131)의 개방된 상부가 세척수단(142)을 향해 위치되면, 세척수단(142)에서 밥솥(131)의 내부로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된다.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세척수가 분사되어, 밥솥(131)의 세척이 완료된다.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물과 이물질은 세척호퍼(141)를 통해 이물질분쇄수단(151)으로 낙하된다. 물은 이물질분쇄수단(151)을 경유하여 하수구로 배출된다. 물에서 걸러진 이물질은 이물질분쇄수단(151)에서 분쇄된 후, 이물질건조수단(152)으로 제공된다.
이물질건조수단(152)은 이물질을 건조한 후 일정량이 될 때까지 건조된 이물질을 보관한다. 건조된 이물질이 일정량을 초과하면, 컨트롤러(160)의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건조된 이물질을 처리토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취반은 물론 곡물의 저장, 취반전의 세미, 취반 후의 솥의 세척, 그리고, 세척후의 이물질의 처리를 하나의 기기에서 처리할 수 있어, 밥을 하고 설겆이를 하는 등의 가사노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능이 적용된 컨트롤러를 통해 스마트기기를 통해 외부에서 취반명령을 하여, 집에 들어온 후에 바로 식사를 할 수 있게 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은 솥의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고 취반시 덮개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취반완료후에 가열수단 및 밥뚜껑의 위치를 조정하여, 세미 및 밥솥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취반시 발생되는 스팀을 본체프레임의 외부로 방출하여, 취반시 발생되는 스팀으로 인한 습기에 의해 본체프레임에 곰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습기로 인해 곡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솥을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분쇄 및 건조하여,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본체프레임의 내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수부를 구비하여, 정수기의 기능을 추가할 뿐 아니라, 여과된 물을 사용하여 곡물을 씻고 밥물을 맞춰 사용자의 물에 대한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110: 곡물공급부 111, 113: 저장호퍼
112, 114: 정량토출수단 117: 이송호퍼
120, 120a: 세미부 121: 세미통
122: 세미툴 123: 교반모터
127: 곡물토출부 128a: 초음파부재
129: 급수수단 130: 취반부
131: 밥솥 132: 밥솥위치조정수단
133: 밥솥뚜껑수단 134: 가열수단
136: 취반송풍팬 137: 스팀유동관
140: 세척부 141: 세척호퍼
142: 세척수단 150: 이물질처리부
151: 이물질분쇄수단 152: 이물질건조수단
160: 컨트롤러 170: 정수부
171: 정수코크 172: 정수필터
190: 본체프레임 197: 코크개구
195: 밥솥개구

Claims (11)

  1.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곡물공급모드, 세미모드, 취반모드, 세척모드 및 이물질처리모드가 기설정된 컨트롤러;
    상기 곡물공급모드에 따라 저장된 곡물이 토출되는 곡물공급부;
    상기 세미모드에 따라 상기 곡물공급부에서 낙하된 곡물이 세미되는 세미부;
    세미된 곡물이 수용되는 밥솥이 구비되어, 상기 취반모드에 따라 상기 세미된 곡물이 취반되는 취반부;
    상기 취반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밥솥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밥솥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물질처리모드에서 상기 세척부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처리되는 이물질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반부는 상기 세미모드에서 상기 밥솥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세미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세미된 곡물이 수용되고, 상기 취반모드에서 상기 밥솥이 폐쇄된 후 가열되어 상기 곡물이 취반되고, 상기 세척모드에서 상기 밥솥이 회전되면서 상기 세척수단을 향하도록 위치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반부는,
    상기 밥솥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밥솥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밥솥위치조정수단;
    상기 본체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취반모드에서 상기 밭솥을 가열하고, 상기 세척모드에서 상기 밥솥에서 멀어지게 후진이동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취반모드에서 상기 밥솥을 락킹하면서 가압하고 상기 세척모드에서 상기 밥솥을 개방하면서 상기 밥솥에 멀어지게 후진이동이동하는 밥솥뚜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취반모드에서 상기 밥솥에서 배출된 스팀을 외부로 방출하는 취반송풍팬; 및
    일단이 상기 취반송풍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취반송풍팬에서 토출된 스팀이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로 이동되게 하는 스팀유동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공급부는,
    서로 다른 곡물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호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호퍼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곡물공급모드에서 선택된 취반인분에 따라 상기 저장호퍼에서 상기 곡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저장호퍼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곡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 및
    상기 적어도 저장호퍼의 토출구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미통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에서 토출된 곡물을 상기 세미통으로 공급하는 이송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각각 개폐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곡물공급모드에서 곡물의 혼합비에 따라 상기 이송호퍼로 토출하는 곡물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에는 진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량토출수단의 개방시 작동되어, 상기 곡물이 상기 정량토출수단에서 상기 이송호퍼로 용이하게 낙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곡물이 저장되는 세미통;
    상기 세미통으로 급수를 급수수단; 및
    상기 세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곡물을 교반하는 세미툴과, 상기 세미통에 결합되어 상기 세미툴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가 구비된 세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곡물이 저장되는 세미통;
    상기 세미통으로 급수를 급수수단; 및
    상기 세미통의 내부로 초음파를 제공하는 세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통에는 세미수배출구와, 상기 세미수배출구와 이격되어 상기 세미된 곡물이 토출되는 곡물토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곡물토출부는 세미곡물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세미수배출구에는 메쉬망이 설치되어, 개방시 세미된 물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밥솥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밥솥을 향해 설치된 세척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세척모드에서 세척수를 상기 밥솥을 향해 고압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처리부는,
    상기 세척호퍼의 배출구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모드에서 상기 세척호퍼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이물질분쇄수단; 및
    상기 이물질분쇄수단에 결합되어, 분쇄된 이물질을 공급받아 건조하는 이물질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어,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마련된 코크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정수필터에 결합되어 개방시 여과된 물이 토출되는 정수코크가 구비된 정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KR1020170150494A 2017-11-13 2017-11-13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KR10200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94A KR102001892B1 (ko) 2017-11-13 2017-11-13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94A KR102001892B1 (ko) 2017-11-13 2017-11-13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41A true KR20190054341A (ko) 2019-05-22
KR102001892B1 KR102001892B1 (ko) 2019-07-22

Family

ID=6667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494A KR102001892B1 (ko) 2017-11-13 2017-11-13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8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897A (zh) * 2019-08-07 2019-09-20 山东大学 一种速食烹煮装置及使用方法
CN114680629A (zh) * 2020-12-31 2022-07-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器具的储料装置和具有它的烹饪器具
KR20220096186A (ko) * 2020-12-30 2022-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기술을 접목시킨 자동 취사 밥솥
CN114745990A (zh) * 2019-11-11 2022-07-12 高顺贞 全自动电饭锅装置
EP4197345A1 (en) * 2021-12-14 2023-06-21 LG Electronics Inc. Grain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038B1 (ko) * 2021-12-16 2023-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곡물 디스펜서 및 그 곡물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667B1 (ko) * 1990-05-24 1992-10-08 이호근 취사장치
KR960001335Y1 (ko) * 1993-06-22 1996-02-13 신일산업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의 세척미 배출장치
KR960001332Y1 (ko) * 1993-05-27 1996-02-13 신일산업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의 제어장치
KR970004733Y1 (ko) * 1994-01-31 1997-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
KR970004732Y1 (ko) * 1994-01-31 1997-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
KR0161096B1 (ko) * 1995-06-30 1998-11-16 김선수 전자동 취반 장치
KR100189696B1 (ko) * 1996-07-11 1999-06-01 정재덕 충진 및 자동취반장치
KR20050032125A (ko) * 2002-09-11 2005-04-06 가부시키가이샤 니뽀 세사쿠쇼 전자동취반장치
KR20050033015A (ko) * 2003-10-02 2005-04-08 손광범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KR100978398B1 (ko) * 2008-05-14 2010-08-30 신문수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JP2016101258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アイホー 撹拌装置及び炊飯システム
KR101655892B1 (ko) * 2015-03-23 2016-09-08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클러스터형 업소용 취반시스템
KR20170100242A (ko) * 2016-02-25 2017-09-04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전자동 업소용 취반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667B1 (ko) * 1990-05-24 1992-10-08 이호근 취사장치
KR960001332Y1 (ko) * 1993-05-27 1996-02-13 신일산업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의 제어장치
KR960001335Y1 (ko) * 1993-06-22 1996-02-13 신일산업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의 세척미 배출장치
KR970004733Y1 (ko) * 1994-01-31 1997-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
KR970004732Y1 (ko) * 1994-01-31 1997-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기
KR0161096B1 (ko) * 1995-06-30 1998-11-16 김선수 전자동 취반 장치
KR100189696B1 (ko) * 1996-07-11 1999-06-01 정재덕 충진 및 자동취반장치
KR20050032125A (ko) * 2002-09-11 2005-04-06 가부시키가이샤 니뽀 세사쿠쇼 전자동취반장치
KR20050033015A (ko) * 2003-10-02 2005-04-08 손광범 소형 자동 전기밥솥시스템
KR100978398B1 (ko) * 2008-05-14 2010-08-30 신문수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JP2016101258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アイホー 撹拌装置及び炊飯システム
KR101655892B1 (ko) * 2015-03-23 2016-09-08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클러스터형 업소용 취반시스템
KR20170100242A (ko) * 2016-02-25 2017-09-04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전자동 업소용 취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897A (zh) * 2019-08-07 2019-09-20 山东大学 一种速食烹煮装置及使用方法
CN114745990A (zh) * 2019-11-11 2022-07-12 高顺贞 全自动电饭锅装置
CN114745990B (zh) * 2019-11-11 2023-07-25 高顺贞 全自动电饭锅装置
KR20220096186A (ko) * 2020-12-30 2022-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기술을 접목시킨 자동 취사 밥솥
CN114680629A (zh) * 2020-12-31 2022-07-0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器具的储料装置和具有它的烹饪器具
CN114680629B (zh) * 2020-12-31 2024-01-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器具的储料装置和具有它的烹饪器具
EP4197345A1 (en) * 2021-12-14 2023-06-21 LG Electronics Inc. Grain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892B1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92B1 (ko)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EP1943932B1 (en) Household appliance for sanitizing foods
EP2531085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hygienic cleaning cycle
CN109998365A (zh) 一种炒菜机器人及其智能炒菜控制系统
US6516708B2 (en) Cooking machine
KR20140126515A (ko) 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0126034A (ja) 洗米供給方法及び洗米供給装置
JP2002286268A (ja) レンジフード
JP2020068890A (ja) 洗米炊飯機
CN108065829A (zh) 一种厨房物品收纳机构及具有该机构的厨房柜台
JP6618830B2 (ja) 食品加工装置
JP2009211184A (ja) 飲料調理装置
JP2010063595A (ja) 飲料供給装置
US2109597A (en) Coffee roasting machine
CN207132637U (zh) 一种厨房抹布快干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厨房柜台
JP2002224578A (ja) 粒体気流搬送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洗米装置
JP2010063521A (ja) 飲料供給装置
JP2010057799A (ja) 飲料供給装置
WO2020200329A1 (zh) 用于洗涤设备的可移除的添加剂容器
CN202751255U (zh) 一种清洗消毒机
CN209003729U (zh) 一种厨房物品收纳机构及具有该机构的厨房柜台
US2678050A (en) Portable dishwashing machine
JP6511347B2 (ja) 具材ディスペンサ
KR100949798B1 (ko) 음식물의 별도처리가 가능한 공동주택의 배수설비구조
JP4489613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